KR20150066406A -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Google Patents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66406A KR20150066406A KR1020130151905A KR20130151905A KR20150066406A KR 20150066406 A KR20150066406 A KR 20150066406A KR 1020130151905 A KR1020130151905 A KR 1020130151905A KR 20130151905 A KR20130151905 A KR 20130151905A KR 20150066406 A KR20150066406 A KR 201500664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uxiliary device
- cap
- user
- head
- sp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4—Soft caps; Hood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2—Hats; Caps; Hoods adjustable in size ; Form-fitting or self adjusting head coverings; Devices for reducing hat size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두부(頭部)와 모자 사이에 보조장치와 지지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보조장치와 지지프레임을 통해 사용자의 두상이 성형되거나 소형의 전자장치 등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채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며, 상기 보조장치, 모자 또는 지지프레임에 수용부를 구비하여 상기 소형의 전자장치 등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모자는,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대응되도록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되며, 테두리 내측의 어느 일측 또는 전체에 걸쳐 모자점착부가 구비되는 모자; 상기 모자의 테두리 내측 둘레에 접하여 형성되며, 프레임점착부가 구비되는 지지프레임; 및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인접하여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모자점착부 또는 프레임점착부에 결합되도록 하부 테두리 측면에 제1보조점착부가 구비되는 제1보조장치와, 상기 모자의 내측에 인접하여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모자점착부, 프레임점착부 또는 제1보조점착부에 결합되도록 하부 테두리 측면에 제2보조점착부가 구비되는 제2보조장치로 이루어지는 보조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자의 내측으로 상기 지지프레임 및 보조장치가 삽입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보조장치와 제2보조장치 사이에 형성되는 제1공간부, 상기 제2보조장치와 모자 사이에 형성되는 제2공간부 또는 상기 제1보조장치와 사용자의 두부(頭部)사이에 형성되는 제3공간부를 통해 사용자의 두상이 볼륨-업되거나 소형의 전자장치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채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모자는,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대응되도록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되며, 테두리 내측의 어느 일측 또는 전체에 걸쳐 모자점착부가 구비되는 모자; 상기 모자의 테두리 내측 둘레에 접하여 형성되며, 프레임점착부가 구비되는 지지프레임; 및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인접하여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모자점착부 또는 프레임점착부에 결합되도록 하부 테두리 측면에 제1보조점착부가 구비되는 제1보조장치와, 상기 모자의 내측에 인접하여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모자점착부, 프레임점착부 또는 제1보조점착부에 결합되도록 하부 테두리 측면에 제2보조점착부가 구비되는 제2보조장치로 이루어지는 보조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자의 내측으로 상기 지지프레임 및 보조장치가 삽입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보조장치와 제2보조장치 사이에 형성되는 제1공간부, 상기 제2보조장치와 모자 사이에 형성되는 제2공간부 또는 상기 제1보조장치와 사용자의 두부(頭部)사이에 형성되는 제3공간부를 통해 사용자의 두상이 볼륨-업되거나 소형의 전자장치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채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두부(頭部)와 모자 사이에 보조장치와 지지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보조장치와 지지프레임을 통해 사용자의 두상이 성형되거나 소형의 전자장치 등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채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며, 상기 보조장치, 모자 또는 지지프레임에 수용부를 구비하여 상기 소형의 전자장치 등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에 관한 것이다.
뒷머리부위가 가라앉는 납작한 형태의 두상을 갖는 사용자들의 경우, 미용실 등에서 정수리 부위를 들어올리는 과정을 통해 이를 극복하고자 하고 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수리부위가 다시 가라앉는 문제가 있다. 또한 모자를 쓰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뒷머리부위가 눌리면서 모자를 쓴 두상의 모습이 아름답게 형성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8062호 (등록일자: 2010. 03. 05.) 는 두상 보정용 보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납작한 두상을 볼록하게 표현되도록 하거나, 이마도 더 볼록하게 보이도록 함으로써 머리에 착용된 모자의 미적 심미감을 높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 의한 보정구의 고정끈(12)은 띠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귀 상부 양쪽이 눌려지는 등으로 두상의 성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인간의 뇌를 측정하거나 연구하고자 하는 경우, 실험대상자를 연구실, 실험실 또는 의료시설 등 제한된 공간 내에서 일시적으로 실험함으로써 일상생활 속 자연스런 활동과정 중에 나타나는 다양한 결과를 얻어내기가 어려운 측면이 있다. 즉, 종래에는 활동이 제한된 구속상태에서 실험대상자에 대한 생체신호의 측정이 이루어짐으로써 실제 생활 속에서 이루어지는 생체신호의 측정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일부 가발 등에 공간을 확보하여 소형 칩이 내장될 수 있는 형태로 사용되기도 하였으나, 가발 자체가 갖는 공간상의 한계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플랫폼을 구현해 내기가 용이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두부(頭部)와 모자 사이에 보조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보조장치가 사용자의 정수리 부위를 뒤덮을 수 있을 정도의 일정 폭을 갖거나 두부 전체를 덮을 수 있는 구형(球形)의 형태로 모자에 고정됨으로써, 보조장치 사이 또는 상기 보조장치의 상하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통해 사용자의 두상이 성형되거나 상기 공간부에 소형의 전자장치 등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채 설치될 수 있으며, 보조장치, 모자 또는 지지프레임에 수용부를 구비하여 상기 소형의 전자장치 등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모자는,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대응되도록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되며, 테두리 내측의 어느 일측 또는 전체에 걸쳐 모자점착부가 구비되는 모자; 상기 모자의 테두리 내측 둘레에 접하여 형성되며, 프레임점착부가 구비되는 지지프레임; 및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인접하여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모자점착부 또는 프레임점착부에 결합되도록 하부 테두리 측면에 제1보조점착부가 구비되는 제1보조장치와, 상기 모자의 내측에 인접하여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모자점착부, 프레임점착부 또는 제1보조점착부에 결합되도록 하부 테두리 측면에 제2보조점착부가 구비되는 제2보조장치로 이루어지는 보조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자의 내측으로 상기 지지프레임 및 보조장치가 삽입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보조장치와 제2보조장치 사이에 형성되는 제1공간부, 상기 제2보조장치와 모자 사이에 형성되는 제2공간부 또는 상기 제1보조장치와 사용자의 두부(頭部)사이에 형성되는 제3공간부를 통해 사용자의 두상이 볼륨-업되거나 소형의 전자장치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채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모자는,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대응되도록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되며, 테두리 내측의 어느 일측 또는 전체에 걸쳐 모자점착부가 구비되는 모자; 상기 모자의 테두리 내측 둘레에 접하여 형성되며, 프레임점착부가 구비되는 지지프레임; 및 사용자의 두부(頭部)와 모자 내측의 사이에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모자점착부 또는 프레임점착부에 결합되도록 하부 테두리 측면에 제1보조점착부가 구비되는 제1보조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자의 내측으로 상기 지지프레임 및 제1보조장치가 삽입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모자와 제1보조장치 사이에 형성되는 제4공간부 또는 상기 제1보조장치와 사용자의 두부(頭部)사이에 형성되는 제3공간부를 통해 사용자의 두상이 볼륨-업되거나 소형의 전자장치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채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모자는,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대응되도록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되며, 테두리 내측의 어느 일측 또는 전체에 걸쳐 모자점착부가 구비되는 모자; 및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인접하여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모자점착부에 결합되도록 하부 테두리 측면에 제1보조점착부가 구비되는 제1보조장치와, 상기 모자의 내측에 인접하여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모자점착부 또는 제1보조점착부에 결합되도록 하부 테두리 측면에 제2보조점착부가 구비되는 제2보조장치로 이루어지는 보조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자의 내측으로 상기 보조장치가 삽입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보조장치와 제2보조장치 사이에 형성되는 제1공간부, 상기 제2보조장치와 모자 사이에 형성되는 제2공간부 또는 상기 제1보조장치와 사용자의 두부(頭部)사이에 형성되는 제3공간부를 통해 사용자의 두상이 볼륨-업되거나 소형의 전자장치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채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모자는,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대응되도록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되며, 테두리 내측의 어느 일측 또는 전체에 걸쳐 모자점착부가 구비되는 모자; 및 사용자의 두부(頭部)와 모자 내측의 사이에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모자점착부에 결합되도록 하부 테두리 측면에 제1보조점착부가 구비되는 제1보조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자의 내측으로 상기 제1보조장치가 삽입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모자와 제1보조장치 사이에 형성되는 제4공간부 또는 상기 제1보조장치와 사용자의 두부(頭部)사이에 형성되는 제3공간부를 통해 사용자의 두상이 볼륨-업되거나 소형의 전자장치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채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 모자, 제1보조장치 또는 제2보조장치에는, 소형의 전자장치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보조장치와 제2보조장치는 제1보조점착부에 결합되는 제2보조점착부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공간부 또는 제2공간부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보조장치 또는 제2보조장치는 통풍을 위한 통기공이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구비되는 소형의 전자장치는,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글라스를 포함하는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가능한 칩 또는 회로기판을 구비하는 장치, 상기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글라스를 통해 이메일 또는 문자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진동으로 알려줄 수 있는 진동 발생장치, 또는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귀로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골전도 진동발생장치를 포함하거나, GPS수신기, 초음파변환기, 카메라, 레이저포인터, 또는 두뇌에 파동신호를 인가하는 파동신호 발생장치를 포함하거나, 사용자의 두부(頭部)의 주위에서 발생되는 뇌전도, 근적외선, 심전도, 혈압 또는 체온 등을 포함하는 생체신호, 또는 사용자 주위의 온도, 습도, 조도 또는 기압 등을 포함하는 환경신호를 측정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보조장치 또는 제2보조장치는 모자 내측에서 사용자의 두부(頭部) 전체를 덮을 수 있거나 사용자의 두부(頭部)의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보조장치와 제2보조장치가 사용자의 두부(頭部)의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경우 모자 내측에서 사용자의 양쪽 귀 상부 좌우방향, 이마와 뒷통수의 전후 방향 또는 임의의 방향으로 상호 동일하게 함께 위치되거나, 방향이 상호 어긋나게 위치될 수 있으며, 제1보조장치 또는 제2보조장치 중 어느 하나만 사용자의 두부(頭部)의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의 두부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제1보조장치 또는 제2보조장치는 모자 내측에서 사용자의 양쪽 귀 상부 좌우방향, 이마와 뒷통수의 전후 방향 또는 임의의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보조장치와 제2보조장치는 모두 사용자의 두부(頭部)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두부(頭部)와 모자 사이에 구비되는 보조장치를 통해 공간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공간부를 통해 사용자의 두상 성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보조장치가 사용자의 두부(頭部) 전체를 뒤덮거나 정수리 부위를 뒤덮을 수 있을 정도로 일정 폭을 갖는 상태에서 모자에 고정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정수리부위를 포함한 전체 두상이 성형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두부(頭部)와 모자 사이에 구비되는 보조장치를 통해 형성되는 공간부 내부 또는 상기 모자, 보조장치 또는 지지프레임에 형성되는 수용부에,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거나 현대인의 정신질환 또는 두뇌의 성향을 다룰 수 있는 뉴로 바이오피드백 장치 등 뇌공학 관련 소형 전자장치, 체온 또는 혈압 등의 체크가 가능한 센서, 또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통신장치와 무선으로 통신가능한 장치 등이 소형화되어 내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조장치의 일 실시 예로서, 사용자의 두부(頭部)의 일부를 덮을 수 있는 제1보조장치와 제2보조장치가 상호 동일한 방향으로 결합된 모습과 수용부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조장치의 다른 실시 예로서, 사용자의 두부(頭部)의 일부를 덮을 수 있는 제1보조장치와 상기 제1보조장치에 수용부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장치와 지지프레임이 상호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도 3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장치와 지지프레임이 모자의 내부에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제1보조장치와 제2보조장치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모자의 내부에 결합된 모습과, 도 2의 실시 예에 따른 제1보조장치가 모자의 내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제1보조장치가 모자의 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소형의 전자장치가 공간부에 구비된 모습을 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조장치의 다른 실시 예로서, 사용자의 두부(頭部)의 일부를 덮을 수 있는 제1보조장치와 상기 제1보조장치에 수용부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장치와 지지프레임이 상호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도 3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장치와 지지프레임이 모자의 내부에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제1보조장치와 제2보조장치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모자의 내부에 결합된 모습과, 도 2의 실시 예에 따른 제1보조장치가 모자의 내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제1보조장치가 모자의 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소형의 전자장치가 공간부에 구비된 모습을 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통해 설명되는 '소형의 전자장치' 는 사용자의 두부(頭部)의 주위에서 발생되는 뇌전도, 근적외선, 심전도, 혈압 또는 체온 등을 포함하는 생체신호와 사용자 주위의 온도, 습도, 조도 또는 기압 등을 포함하는 환경신호의 측정을 위해, 사용자가 착용하는 모자, 지지프레임, 보조장치, 공간부 또는 상기 모자, 지지프레임, 보조장치 또는 공간부에 구비된 수용부에 삽입되는 측정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센서들이 사용자의 두부에 부착되거나 사용자 주위의 환경신호 측정을 위한 센서들이 모자에 의해 노출되지 않은 채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들이 상기 소형의 전자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생체신호와 환경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것을 통칭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구비되는 소형의 전자장치는,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글라스를 포함하는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가능한 칩 또는 회로기판을 구비하는 장치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글라스를 통해 이메일 또는 문자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진동으로 알려줄 수 있는 진동 발생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며,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귀로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골전도 진동발생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구비되는 소형의 전자장치에는, GPS수신기, 초음파변환기, 카메라 또는 레이저포인터가 포함되며, 두뇌에 파동신호를 인가하는 파동신호 발생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모자는, 뒷머리 상부인 정수리 부위를 볼륨-업시켜 뒤통수의 성형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며, 또한, 점차 발전하는 뇌공학에 이용되는 전자장치, 예를 들면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여 뇌기능의 이상유무를 측정하거나, 정신질환 등을 연구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소형의 전자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기능을 포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나는 본 발명의 모자는 앞쪽에 챙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고 있으나, 모자의 형태는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 4 및 5는 사용자의 두부(頭部)의 일부를 덮을 수 있는 제1보조장치(210)와 제2보조장치(220)가 모자의 내측에서 상호 동일한 방향으로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즉, 상기 도 4 및 도 5는 제1보조장치와 제2보조장치가 사용자의 양쪽 귀 상부 좌우방향으로 상호 동일하게 함께 위치되도록 하는 실시 예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제1보조장치와 제2보조장치는 이마와 뒷통수의 전후 방향 또는 임의의 방향으로 상호 동일하게 함께 위치되거나, 방향이 상호 어긋나게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제1보조장치(210)는 모자 내측에서 사용자의 두부(頭部)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보조장치(220)는 사용자의 두부(頭部)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제1보조장치는 모자 내측에서 사용자의 두부(頭部) 일부를 뒤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제2보조장치가 사용자의 두부(頭部)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보조장치와 제2보조장치 모두 사용자의 두부(頭部)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보조장치가 모자 내측에서 사용자의 두부(頭部)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제2보조장치는 사용자의 두부(頭部)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2보조장치는 모자 내측에서 사용자의 양쪽 귀 상부 좌우방향, 이마와 뒷통수의 전후 방향 또는 임의의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1보조장치는 모자 내측에서 사용자의 두부(頭部)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반면, 제2보조장치가 사용자의 두부(頭部)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1보조장치가 모자 내측에서 사용자의 양쪽 귀 상부 좌우방향, 이마와 뒷통수의 전후 방향 또는 임의의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제1보조장치 및/또는 제2보조장치가 사용자의 두부(頭部)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경우, 제1보조점착부(211) 및/또는 제2보조점착부(221)는 각각 제1보조장치 및/또는 제2보조장치의 하부 테두리 측면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고, 하부 테두리 측면의 어느 일측에 일부 형성될 수도 있다.
제1보조장치 또는 제2보조장치가 사용자의 두부(頭部)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보조장치 또는 제2보조장치는 원형, +자형, X자형, T자형, Η자형 또는 Π자형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자형을 예로 들면, 제1보조장치 또는 제2보조장치가 사용자의 두부(頭部)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하되, 띠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이 때도 사용자의 두부(頭部)를 지지한 상태에서 공간확보가 이루어지게 되며, 띠 형태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소형의 전자장치 탑재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제1보조장치 또는 제2보조장치가 사용자의 두부(頭部)의 일부를 덮도록 하는 경우, 그 폭은 자유롭게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기는 2 ~ 10 cm의 범위에서 형성되도록 하며, 사용자가 모자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제1보조장치와 제2보조장치가 모두 사용자의 두부(頭部)의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보조장치와 제2보조장치는 모자 내측에서 사용자의 양쪽 귀 상부 좌우방향, 이마와 뒷통수의 전후 방향 또는 임의의 방향으로 상호 동일하게 함께 위치될 수 있으며, 또는 방향이 상호 어긋나게 위치될 수 있다.
모자 내측에 제2보조장치가 생략된 채 제1보조장치만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제1보조장치가 사용자의 두부(頭部) 전체를 덮거나 일부를 뒤덮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보조장치가 사용자의 두부(頭部)의 일부를 덮도록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보조장치는 사용자의 양쪽 귀 상부 좌우방향, 이마와 뒷통수의 전후 방향 또는 임의의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조장치의 일 실시 예로서, 사용자의 두부(頭部)의 일부를 덮을 수 있는 제1보조장치와 제2보조장치가 상호 동일한 방향으로 결합된 모습과 수용부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중 도 1(a)는 제1보조장치(210)와 제2보조장치(220)가 상호 동일한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고, 도 1(b)는 수용부(400)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제1보조장치와 제2보조장치는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특성상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보조장치와 제2보조장치가 모자(100)와 결합되면서 공간부(500)가 형성되게 되며, 상기 공간부가 사용자의 두상을 성형함과 함께 소형의 전자장치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채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뇌파 측정이 가능한 장치, 체온 또는 혈압 등의 체크가 가능한 센서 및/또는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등이 소형화되어 상기 공간부에 내장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수용부(400)는 소형의 전자장치가 내장될 수 있는 공간을 실시 예로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수용부의 크기와 모양은 소형 전자장치의 구조, 크기 또는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소형 전자장치는 특별히 수용부의 구성없이 상기 제1보조장치의 상하부 또는 제2보조장치의 상하부를 통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위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제1보조장치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접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제2보조장치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모자의 하부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에는 제1보조장치(210)와 제2보조장치(220) 사이에 형성되는 제1공간부(510)가 나타나 있으며, 상기 제1공간부가 사용자의 두부 상부에 형성되면서 납작한 형태의 정수리부위가 성형되게 되며, 또한 상기 제1공간부 내부에 소형 전자장치의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제1보조장치와 제2보조장치 사이의 결합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제1보조장치의 하부 테두리 측면에 제1보조점착부(211)가 형성되고, 제2보조장치의 하부 테두리 측면에 제2보조점착부(221)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제1보조장치(210)의 상부에 제2보조장치(220)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2보조점착부가 제1보조점착부(211)에 결합되도록 한다. 점착부의 예로는 다양할 수 있으나 암수(雌雄) 형태를 갖는 벨크로테이프가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보조점착부와 제2보조점착부는 하부 테두리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 모두 형성되거나 어느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보조장치 및/또는 제2보조장치는 모자의 테두리 내측에 형성되는 모자점착부(110)에 점착될 수 있어야 하며, 후술하는 지지프레임(600)이 구비되는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되는 프레임점착부(610) 또한 상기 모자점착부에 점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제1보조장치, 제2보조장치, 프레임점착부 및/또는 모자점착부가 선택적으로 상호 결합됨으로써 모자 내측에서 안정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두상 성형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모자점착부도 벨크로테이프가 이용될 수 있으며, 암수 상호 대응되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호간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보조장치와 결합되는 제2보조장치에 구비된 제2보조점착부가 제1보조장치의 제1점착부에 결합되는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제1공간부(5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2보조점착부를 제1보조점착부의 상부 쪽에 접합시키는 경우 제1공간부의 높이가 높아질 수 있으며, 반대로 제2보조점착부를 제1보조점착부의 하부 쪽에 접합시키는 경우 제1공간부의 높이는 낮아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두상 성형의 높이를 조절하여 볼륨-업 높이가 조절되게 되며, 탑재되는 소형 전자장치의 크기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조장치(200)의 다른 실시 예로서, 사용자의 두부(頭部)의 일부를 덮을 수 있는 보조장치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2(a)는 제1보조장치(210)를 보여주고 있고, 도 2(b)는 상기 제1보조장치에 수용부(400)가 더 구비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즉, 도 2의 실시 예는 제2보조장치(220) 없이 제1보조장치만으로 볼륨-업 및 공간 형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제1보조장치의 하부 테두리 측면에 구비된 제1보조점착부(211)가 모자의 테두리 내측에 형성된 모자점착부(110)에 결합되면서 공간부가 형성되게 된다. 도 2는 상기 모자점착부가 모자의 양 측면 내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상기 모자점착부는 제1보조점착부 및/또는 제2보조점착부와 상호 결합될 수 있는 정도의 폭을 갖는 상태에서 모자의 내측 테두리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장치(200)와 지지프레임(600)이 상호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a)는 도 1(b)의 보조장치가 지지프레임과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 도 3(b)는 도 2(b)의 제1보조장치가 지지프레임과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은 모자와 보조장치를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게 되며, 일정 폭을 가진 상태에서 모자의 테두리 내측 둘레에 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모자와 보조장치와의 결합을 위해 지지프레임의 외측면에 프레임점착부(610)가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점착부에 제1보조장치(210)의 제1보조점착부(211) 및/또는 제2보조장치(220)의 제2보조점착부(221)가 상호 결합되게 되며, 모자와도 결합되게 된다. 지지프레임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프레임점착부는 테두리의 일정 위치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필요에 따라 외측면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제1보조점착부 및/또는 제2보조점착부가 지지프레임의 외측면에 점착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지지프레임의 내측면에도 프레임점착부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보조점착부 및/또는 제2보조점착부는 지지프레임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프레임이 사용자의 두부에 접하는 특성상, 프레임점착부가 내측면 전체 둘레에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가 불쾌감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제1보조점착부 및/또는 제2보조점착부가 결합되는 일부 부위에만 프레임점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모자의 테두리 내측에는 상기 프레임점착부와의 결합을 위해 모자점착부(110)가 더 구비되게 되며, 상기 모자점착부(110)는 테두리의 일부 또는 전체에 걸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소형의 전자장치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400)가 일정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두부와 직접 접촉되지 않은 외측 또는 내측에도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도 3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장치와 지지프레임이 모자의 내부에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a)는 제1보조장치, 제2보조장치 및 지지프레임이 모자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되 점선 내부의 도면은 a-a'선에 의한 단면을 'A'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 도 4(b)는 제1보조장치와 지지프레임이 모자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되 점선 내부의 도면은 b-b'선에 의한 단면을 'B'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도 4(a) 및 도 4(b)의 점선 내부의 도면 중 제1보조장치의 아래에 도시된 점선은 사용자의 두부(頭部)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모자는 외부경계부위를 선으로 표시하였고, 내부의 보조장치 및/또는 지지프레임이 나타날 수 있도록 표시하였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보조장치(210), 제2보조장치(220) 및 지지프레임(600)이 모자(100)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모자의 테두리 내측에 형성된 모자점착부(110), 지지프레임에 구비된 프레임점착부, 제1보조장치에 구비된 제1보조점착부 및/또는 제2보조장치에 구비된 제2보조점착부가 상호 결합되게 된다.
도 4(
a)의 실시 예에 의하면, 제1보조장치(210)와 제2보조장치(220) 사이에 형성되는 제1공간부(510), 상기 제2보조장치와 모자의 상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공간부(520) 및 상기 제1보조장치와 사용자의 두부(頭部) 사이에 형성되는 제3공간부(530)를 통해 사용자의 두상이 볼륨-업되거나 소형의 전자장치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채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보조장치 및 제2보조장치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접하여 수용부가 형성되거나, 지지프레임의 외측면에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모자의 내측면에 수용부가 형성되거나, 챙의 하부면에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에 소형의 전자장치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게 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1보조장치(210)와 지지프레임(600)이 모자(100)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모자의 테두리 내측에 형성된 모자점착부(110), 지지프레임에 구비된 프레임점착부 및 제1보조장치의 제1보조점착부가 상호 결합되게 된다.
도 4(
b)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보조장치와 사용자의 두부(頭部) 사이에 형성되는 제3공간부(530)와 상기 제1보조장치와 모자 상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4공간부(540)를 통해 사용자의 두상이 볼륨-업되거나 소형의 전자장치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채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보조장치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접하여 수용부가 형성되거나, 지지프레임의 외측면에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모자의 내측면에 수용부가 형성되거나, 챙의 하부면에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에 소형의 전자장치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1보조장치 및/또는 제2보조장치가 모자의 내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a)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제1보조장치(210)와 제2보조장치(220)가 모자(100)의 내부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 도 5(b)는 도 2의 실시 예에 따른 제1보조장치(210)가 모자(100)의 내부에 결합된 모습을 각각 보여주고 있다. 즉, 도 5는 도 4의 실시 예와 다른 구성은 동일하며, 지지프레임만 생략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모자의 테두리 내측에 형성되는 모자점착부(110)와 제1보조장치에 형성된 제1보조점착부(211) 및/또는 제2보조점착부(221)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두상의 볼륨-업과 공간형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5(a)의 실시 예에 의하면, 제1보조장치(210)와 제2보조장치(220) 사이에 형성되는 제1공간부(510), 상기 제2보조장치와 모자 상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공간부(520) 및 상기 제1보조장치와 사용자의 두부(頭部) 사이에 형성되는 제3공간부(530)를 통해 사용자의 두상이 볼륨-업되거나 소형의 전자장치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채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 제1보조장치 및 제2보조장치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접하여 수용부가 형성되거나, 지지프레임의 외측면에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모자의 내측면에 수용부가 형성되거나, 챙의 하부면에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에 소형의 전자장치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게 된다.
도 5(b)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보조장치와 사용자의 두부(頭部) 사이에 형성되는 제3공간부(530)와 상기 제1보조장치와 모자 상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4공간부(540)를 통해 사용자의 두상이 볼륨-업되거나 소형의 전자장치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채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보조장치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접하여 수용부가 형성되거나, 지지프레임의 외측면에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모자의 내측면에 수용부가 형성되거나, 챙의 하부면에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모자의 챙 상부면에도 수용부의 형성이 가능하나, 미관을 고려하여 하부면에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부에 소형의 전자장치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1보조장치, 제2보조장치 또는 지지프레임은 사용자의 두상을 볼륨-업 시키거나 공간형성이 가능하도록 일정 강도를 가진 상태에서 형상유지가 가능한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가 재질로 이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제1보조장치가 모자의 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소형의 전자장치가 공간부에 구비된 모습을 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1보조장치와 모자 사이의 공간부에 사용자의 두뇌의 파동신호를 인가하는 파동발생장치가 구비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프레임과 보조장치를 생략한 상태에서, 모자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 또는 모자의 챙의 하부면 또는 상부면에 수용부를 형성한 후, 상기 수용부에 소형의 전자장치가 안착될 수 있다. 이때 모자는 두상 성형보다는 소형의 전자장치를 통한 뇌공학 관련 측정을 위한 도구, 또는 스마트폰 등과 통신하는 무선장치, 진동발생장치 또는 레이저포인터 등을 수용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1보조장치, 제2보조장치 및 지지프레임은 사용자의 두상을 볼륨-업 시키거나 공간형성이 가능하도록 일정 강도를 가진 상태에서 형상유지가 가능한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가 재질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조장치에는 다수의 통기공(300)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상기 통기공을 통해 외부 공기가 사용자의 두부(頭部)와 소통됨으로써 두부(頭部)로부터 발산되는 열 또는 땀 등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두부(頭部)와 모자 사이에 구비되는 보조장치를 통해 공간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공간부를 통해 사용자의 두상 성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보조장치가 사용자의 정수리 부위를 뒤덮을 수 있을 정도로 일정 폭을 갖는 상태에서 모자에 고정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정수리부위를 포함한 전체 두상이 성형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두부(頭部)와 모자 사이에 구비되는 보조장치를 통해 형성되는 공간부 내부 또는 상기 모자, 보조장치 또는 지지프레임에 형성되는 수용부에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거나 현대인의 정신질환 또는 두뇌의 성향을 다룰 수 있는 뉴로 바이오피드백 장치 등 뇌공학 관련 소형 전자장치, 또는 체온 또는 혈압 등의 체크가 가능한 센서 및/또는 통신 기기 등이 소형화되어 내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모자
110: 모자점착부
200: 보조장치
210: 제1보조장치 211: 제1보조점착부
220: 제2보조장치
221: 제2보조점착부
300: 통기공 400: 수용부
500: 공간부
510: 제1공간부 520: 제2공간부
530: 제3공간부 540: 제4공간부
600: 지지프레임
610: 프레임점착부
200: 보조장치
210: 제1보조장치 211: 제1보조점착부
220: 제2보조장치
221: 제2보조점착부
300: 통기공 400: 수용부
500: 공간부
510: 제1공간부 520: 제2공간부
530: 제3공간부 540: 제4공간부
600: 지지프레임
610: 프레임점착부
Claims (26)
-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대응되도록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되며, 테두리 내측의 어느 일측 또는 전체에 걸쳐 모자점착부가 구비되는 모자;
상기 모자의 테두리 내측 둘레에 접하여 형성되며, 프레임점착부가 구비되는 지지프레임; 및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인접하여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모자점착부 또는 프레임점착부에 결합되도록 하부 테두리 측면에 제1보조점착부가 구비되는 제1보조장치와, 상기 모자의 내측에 인접하여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모자점착부, 프레임점착부 또는 제1보조점착부에 결합되도록 하부 테두리 측면에 제2보조점착부가 구비되는 제2보조장치로 이루어지는 보조장치;
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자의 내측으로 상기 지지프레임 및 보조장치가 삽입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보조장치와 제2보조장치 사이에 형성되는 제1공간부, 상기 제2보조장치와 모자 사이에 형성되는 제2공간부 또는 상기 제1보조장치와 사용자의 두부(頭部)사이에 형성되는 제3공간부를 통해 사용자의 두상이 볼륨-업되거나 소형의 전자장치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채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 모자, 제1보조장치 또는 제2보조장치에는, 소형의 전자장치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대응되도록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되며, 테두리 내측의 어느 일측 또는 전체에 걸쳐 모자점착부가 구비되는 모자;
상기 모자의 테두리 내측 둘레에 접하여 형성되며, 프레임점착부가 구비되는 지지프레임; 및
사용자의 두부(頭部)와 모자 내측의 사이에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모자점착부 또는 프레임점착부에 결합되도록 하부 테두리 측면에 제1보조점착부가 구비되는 제1보조장치;
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자의 내측으로 상기 지지프레임 및 제1보조장치가 삽입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모자와 제1보조장치 사이에 형성되는 제4공간부 또는 상기 제1보조장치와 사용자의 두부(頭部)사이에 형성되는 제3공간부를 통해 사용자의 두상이 볼륨-업되거나 소형의 전자장치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채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 모자 또는 제1보조장치에는, 소형의 전자장치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대응되도록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되며, 테두리 내측의 어느 일측 또는 전체에 걸쳐 모자점착부가 구비되는 모자; 및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인접하여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모자점착부에 결합되도록 하부 테두리 측면에 제1보조점착부가 구비되는 제1보조장치와, 상기 모자의 내측에 인접하여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모자점착부 또는 제1보조점착부에 결합되도록 하부 테두리 측면에 제2보조점착부가 구비되는 제2보조장치로 이루어지는 보조장치;
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자의 내측으로 상기 보조장치가 삽입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보조장치와 제2보조장치 사이에 형성되는 제1공간부, 상기 제2보조장치와 모자 사이에 형성되는 제2공간부 또는 상기 제1보조장치와 사용자의 두부(頭部)사이에 형성되는 제3공간부를 통해 사용자의 두상이 볼륨-업되거나 소형의 전자장치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채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 제1보조장치 또는 제2보조장치의 어느 일측에는, 소형의 전자장치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대응되도록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되며, 테두리 내측의 어느 일측 또는 전체에 걸쳐 모자점착부가 구비되는 모자; 및
사용자의 두부(頭部)와 모자 내측의 사이에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모자점착부에 결합되도록 하부 테두리 측면에 제1보조점착부가 구비되는 제1보조장치;
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자의 내측으로 상기 제1보조장치가 삽입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모자와 제1보조장치 사이에 형성되는 제4공간부 또는 상기 제1보조장치와 사용자의 두부(頭部)사이에 형성되는 제3공간부를 통해 사용자의 두상이 볼륨-업되거나 소형의 전자장치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채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 또는 제1보조장치의 어느 일측에는, 소형의 전자장치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장치는,
제1보조점착부에 결합되는 제2보조점착부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공간부 또는 제2공간부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1항, 제2항,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장치 또는 제2보조장치는 통풍을 위한 통기공이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3항, 제4항,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장치는 통풍을 위한 통기공이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1항, 제3항,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의 전자장치는,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글라스를 포함하는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가능한 칩 또는 회로기판을 구비하는 장치, 상기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글라스를 통해 이메일 또는 문자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진동으로 알려줄 수 있는 진동 발생장치, 또는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귀로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골전도 진동발생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1항, 제3항,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의 전자장치는, GPS수신기, 초음파변환기, 카메라, 레이저포인터, 또는 두뇌에 파동신호를 인가하는 파동신호 발생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1항, 제3항,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의 전자장치는, 사용자의 두부(頭部)의 주위에서 발생되는 뇌전도, 근적외선, 심전도, 혈압 또는 체온 등을 포함하는 생체신호, 또는 사용자 주위의 온도, 습도, 조도 또는 기압 등을 포함하는 환경신호를 측정하는 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1항, 제2항,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장치는, 모자 내측에서 사용자의 두부(頭部)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제2보조장치는 사용자의 두부(頭部)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조장치는, 모자 내측에서 사용자의 양쪽 귀 상부 좌우방향, 이마와 뒷통수의 전후 방향 또는 임의의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1항, 제2항,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장치는, 모자 내측에서 사용자의 두부(頭部)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제2보조장치는 사용자의 두부(頭部)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장치는, 모자 내측에서 사용자의 양쪽 귀 상부 좌우방향, 이마와 뒷통수의 전후 방향 또는 임의의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1항, 제2항,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장치 및 제2보조장치는, 모자 내측에서 사용자의 두부(頭部)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1항, 제2항,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장치 또는 제2보조장치는, 사용자의 두부(頭部)의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장치 또는 제2보조장치는 모자 내측에서 사용자의 양쪽 귀 상부 좌우방향, 이마와 뒷통수의 전후 방향 또는 임의의 방향으로 상호 동일하게 함께 위치되거나, 방향이 상호 어긋나게 위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3항, 제4항,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장치는, 모자 내측에서 사용자의 두부(頭部)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3항, 제4항,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장치는, 사용자의 두부(頭部)의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장치는, 모자 내측에서 사용자의 양쪽 귀 상부 좌우방향, 이마와 뒷통수의 전후 방향 또는 임의의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장치는, 원형, +자형, X자형, T자형, Η자형 또는 Π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조장치는, 원형, +자형, X자형, T자형, Η자형 또는 Π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1905A KR101554689B1 (ko) | 2013-12-06 | 2013-12-06 |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JP2016557853A JP6553634B2 (ja) | 2013-12-06 | 2014-11-27 | 頭形補正又は空間形成のための補助装置を備えた帽子 |
PCT/KR2014/011481 WO2015083980A1 (ko) | 2013-12-06 | 2014-11-27 |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1905A KR101554689B1 (ko) | 2013-12-06 | 2013-12-06 |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6406A true KR20150066406A (ko) | 2015-06-16 |
KR101554689B1 KR101554689B1 (ko) | 2015-09-21 |
Family
ID=53273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51905A KR101554689B1 (ko) | 2013-12-06 | 2013-12-06 |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6553634B2 (ko) |
KR (1) | KR101554689B1 (ko) |
WO (1) | WO2015083980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2110B1 (ko) * | 2015-10-23 | 2016-10-04 | 국방과학연구소 | 골전도 진동자를 구비한 헬멧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1642B1 (ko) | 2019-12-06 | 2020-08-05 | 김성희 | 헤어 볼륨유지 보정구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48652B2 (ja) * | 1991-12-11 | 1996-10-30 | セーラー万年筆株式会社 | 脳波測定具 |
JP3105073U (ja) * | 2004-05-07 | 2004-10-21 | 孝 近藤 | 気晴らし器 |
JP3113728U (ja) * | 2005-06-16 | 2005-09-15 | 貢央 杉村 | 帽子 |
JP2008150761A (ja) * | 2006-12-14 | 2008-07-03 | Mitsunobu Hiyama | 検電器を装着した作業用帽子 |
JP2008163524A (ja) * | 2006-12-28 | 2008-07-17 | Yoshiko Araki | 帽子 |
JP2012251286A (ja) * | 2011-05-12 | 2012-12-20 | Harui Tsuji | 帽子兼用部分かつら |
JP3186883U (ja) * | 2013-08-06 | 2013-10-31 | ▲諸曁▼市▲絲▼百内▲紡織▼品有限公司 | 多機能帽子 |
-
2013
- 2013-12-06 KR KR1020130151905A patent/KR10155468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
- 2014-11-27 JP JP2016557853A patent/JP6553634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11-27 WO PCT/KR2014/011481 patent/WO2015083980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2110B1 (ko) * | 2015-10-23 | 2016-10-04 | 국방과학연구소 | 골전도 진동자를 구비한 헬멧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553634B2 (ja) | 2019-07-31 |
KR101554689B1 (ko) | 2015-09-21 |
WO2015083980A1 (ko) | 2015-06-11 |
JP2017506295A (ja) | 2017-03-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71197B2 (en) | Multifunctional earphone system for sports activities | |
CN110166916B (zh) | 耳内式助听器装置、助听器及电声变换器 | |
US11684278B2 (en) | Physiological monitoring devices having sensing elements decoupled from body motion | |
US11871172B2 (en) | Stand-alone multifunctional earphone for sports activities | |
US10076279B2 (en) | System and method for a compact EEG headset | |
US10212525B2 (en) | Universal earpiece | |
US10617842B2 (en) | Ear-worn electronic device for conducting and monitoring mental exercises | |
EP2427107B1 (en) | Electrode fixing device | |
KR101554691B1 (ko) |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헤어웨어 | |
US20230051613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ng mobile electronic devices with ear-worn devices | |
KR101554689B1 (ko) |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
JP6963250B2 (ja) | 生体信号検出装置、および、脳波測定方法 | |
US20210373593A1 (en) | Ear physiological wearable device | |
KR20090015570A (ko) | 임산부용 태교 벨트 | |
CN221225622U (zh) | 一种可监测坐姿的腕式学生证 | |
JP2019063290A (ja) | 脳活動計測装置及び脳活動計測システム | |
US20240000315A1 (en) | Passive safety monitoring with ear-wearable devices | |
CN212086442U (zh) | 一种自动调整压力的骨传导音频传输装置 | |
CN117724606A (zh) | 集成健康传感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