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6406A -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Google Patents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66406A KR20150066406A KR1020130151905A KR20130151905A KR20150066406A KR 20150066406 A KR20150066406 A KR 20150066406A KR 1020130151905 A KR1020130151905 A KR 1020130151905A KR 20130151905 A KR20130151905 A KR 20130151905A KR 20150066406 A KR20150066406 A KR 201500664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uxiliary device
- cap
- user
- head
- sp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9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0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10000001061 forehead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10000005069 ears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984 smart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claims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831 Hot glu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0016 psychiatr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25 brain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6 parie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4—Soft caps; Hood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2—Hats; Caps; Hoods adjustable in size ; Form-fitting or self adjusting head coverings; Devices for reducing hat size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모자는,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대응되도록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되며, 테두리 내측의 어느 일측 또는 전체에 걸쳐 모자점착부가 구비되는 모자; 상기 모자의 테두리 내측 둘레에 접하여 형성되며, 프레임점착부가 구비되는 지지프레임; 및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인접하여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모자점착부 또는 프레임점착부에 결합되도록 하부 테두리 측면에 제1보조점착부가 구비되는 제1보조장치와, 상기 모자의 내측에 인접하여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모자점착부, 프레임점착부 또는 제1보조점착부에 결합되도록 하부 테두리 측면에 제2보조점착부가 구비되는 제2보조장치로 이루어지는 보조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자의 내측으로 상기 지지프레임 및 보조장치가 삽입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보조장치와 제2보조장치 사이에 형성되는 제1공간부, 상기 제2보조장치와 모자 사이에 형성되는 제2공간부 또는 상기 제1보조장치와 사용자의 두부(頭部)사이에 형성되는 제3공간부를 통해 사용자의 두상이 볼륨-업되거나 소형의 전자장치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채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조장치의 다른 실시 예로서, 사용자의 두부(頭部)의 일부를 덮을 수 있는 제1보조장치와 상기 제1보조장치에 수용부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장치와 지지프레임이 상호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도 3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장치와 지지프레임이 모자의 내부에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제1보조장치와 제2보조장치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모자의 내부에 결합된 모습과, 도 2의 실시 예에 따른 제1보조장치가 모자의 내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제1보조장치가 모자의 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소형의 전자장치가 공간부에 구비된 모습을 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
200: 보조장치
210: 제1보조장치 211: 제1보조점착부
220: 제2보조장치
221: 제2보조점착부
300: 통기공 400: 수용부
500: 공간부
510: 제1공간부 520: 제2공간부
530: 제3공간부 540: 제4공간부
600: 지지프레임
610: 프레임점착부
Claims (26)
-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대응되도록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되며, 테두리 내측의 어느 일측 또는 전체에 걸쳐 모자점착부가 구비되는 모자;
상기 모자의 테두리 내측 둘레에 접하여 형성되며, 프레임점착부가 구비되는 지지프레임; 및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인접하여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모자점착부 또는 프레임점착부에 결합되도록 하부 테두리 측면에 제1보조점착부가 구비되는 제1보조장치와, 상기 모자의 내측에 인접하여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모자점착부, 프레임점착부 또는 제1보조점착부에 결합되도록 하부 테두리 측면에 제2보조점착부가 구비되는 제2보조장치로 이루어지는 보조장치;
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자의 내측으로 상기 지지프레임 및 보조장치가 삽입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보조장치와 제2보조장치 사이에 형성되는 제1공간부, 상기 제2보조장치와 모자 사이에 형성되는 제2공간부 또는 상기 제1보조장치와 사용자의 두부(頭部)사이에 형성되는 제3공간부를 통해 사용자의 두상이 볼륨-업되거나 소형의 전자장치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채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 모자, 제1보조장치 또는 제2보조장치에는, 소형의 전자장치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대응되도록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되며, 테두리 내측의 어느 일측 또는 전체에 걸쳐 모자점착부가 구비되는 모자;
상기 모자의 테두리 내측 둘레에 접하여 형성되며, 프레임점착부가 구비되는 지지프레임; 및
사용자의 두부(頭部)와 모자 내측의 사이에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모자점착부 또는 프레임점착부에 결합되도록 하부 테두리 측면에 제1보조점착부가 구비되는 제1보조장치;
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자의 내측으로 상기 지지프레임 및 제1보조장치가 삽입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모자와 제1보조장치 사이에 형성되는 제4공간부 또는 상기 제1보조장치와 사용자의 두부(頭部)사이에 형성되는 제3공간부를 통해 사용자의 두상이 볼륨-업되거나 소형의 전자장치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채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 모자 또는 제1보조장치에는, 소형의 전자장치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대응되도록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되며, 테두리 내측의 어느 일측 또는 전체에 걸쳐 모자점착부가 구비되는 모자; 및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인접하여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모자점착부에 결합되도록 하부 테두리 측면에 제1보조점착부가 구비되는 제1보조장치와, 상기 모자의 내측에 인접하여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모자점착부 또는 제1보조점착부에 결합되도록 하부 테두리 측면에 제2보조점착부가 구비되는 제2보조장치로 이루어지는 보조장치;
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자의 내측으로 상기 보조장치가 삽입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보조장치와 제2보조장치 사이에 형성되는 제1공간부, 상기 제2보조장치와 모자 사이에 형성되는 제2공간부 또는 상기 제1보조장치와 사용자의 두부(頭部)사이에 형성되는 제3공간부를 통해 사용자의 두상이 볼륨-업되거나 소형의 전자장치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채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 제1보조장치 또는 제2보조장치의 어느 일측에는, 소형의 전자장치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대응되도록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되며, 테두리 내측의 어느 일측 또는 전체에 걸쳐 모자점착부가 구비되는 모자; 및
사용자의 두부(頭部)와 모자 내측의 사이에 구형(球形)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모자점착부에 결합되도록 하부 테두리 측면에 제1보조점착부가 구비되는 제1보조장치;
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자의 내측으로 상기 제1보조장치가 삽입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모자와 제1보조장치 사이에 형성되는 제4공간부 또는 상기 제1보조장치와 사용자의 두부(頭部)사이에 형성되는 제3공간부를 통해 사용자의 두상이 볼륨-업되거나 소형의 전자장치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채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 또는 제1보조장치의 어느 일측에는, 소형의 전자장치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장치는,
제1보조점착부에 결합되는 제2보조점착부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공간부 또는 제2공간부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1항, 제2항,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장치 또는 제2보조장치는 통풍을 위한 통기공이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3항, 제4항,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장치는 통풍을 위한 통기공이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1항, 제3항,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의 전자장치는,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글라스를 포함하는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가능한 칩 또는 회로기판을 구비하는 장치, 상기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글라스를 통해 이메일 또는 문자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진동으로 알려줄 수 있는 진동 발생장치, 또는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귀로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골전도 진동발생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1항, 제3항,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의 전자장치는, GPS수신기, 초음파변환기, 카메라, 레이저포인터, 또는 두뇌에 파동신호를 인가하는 파동신호 발생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1항, 제3항,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의 전자장치는, 사용자의 두부(頭部)의 주위에서 발생되는 뇌전도, 근적외선, 심전도, 혈압 또는 체온 등을 포함하는 생체신호, 또는 사용자 주위의 온도, 습도, 조도 또는 기압 등을 포함하는 환경신호를 측정하는 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1항, 제2항,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장치는, 모자 내측에서 사용자의 두부(頭部)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제2보조장치는 사용자의 두부(頭部)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조장치는, 모자 내측에서 사용자의 양쪽 귀 상부 좌우방향, 이마와 뒷통수의 전후 방향 또는 임의의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1항, 제2항,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장치는, 모자 내측에서 사용자의 두부(頭部)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제2보조장치는 사용자의 두부(頭部)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장치는, 모자 내측에서 사용자의 양쪽 귀 상부 좌우방향, 이마와 뒷통수의 전후 방향 또는 임의의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1항, 제2항,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장치 및 제2보조장치는, 모자 내측에서 사용자의 두부(頭部)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1항, 제2항,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장치 또는 제2보조장치는, 사용자의 두부(頭部)의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장치 또는 제2보조장치는 모자 내측에서 사용자의 양쪽 귀 상부 좌우방향, 이마와 뒷통수의 전후 방향 또는 임의의 방향으로 상호 동일하게 함께 위치되거나, 방향이 상호 어긋나게 위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3항, 제4항,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장치는, 모자 내측에서 사용자의 두부(頭部)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3항, 제4항,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장치는, 사용자의 두부(頭部)의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장치는, 모자 내측에서 사용자의 양쪽 귀 상부 좌우방향, 이마와 뒷통수의 전후 방향 또는 임의의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장치는, 원형, +자형, X자형, T자형, Η자형 또는 Π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조장치는, 원형, +자형, X자형, T자형, Η자형 또는 Π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1905A KR101554689B1 (ko) | 2013-12-06 | 2013-12-06 |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JP2016557853A JP6553634B2 (ja) | 2013-12-06 | 2014-11-27 | 頭形補正又は空間形成のための補助装置を備えた帽子 |
PCT/KR2014/011481 WO2015083980A1 (ko) | 2013-12-06 | 2014-11-27 |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1905A KR101554689B1 (ko) | 2013-12-06 | 2013-12-06 |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6406A true KR20150066406A (ko) | 2015-06-16 |
KR101554689B1 KR101554689B1 (ko) | 2015-09-21 |
Family
ID=53273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51905A Active KR101554689B1 (ko) | 2013-12-06 | 2013-12-06 |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6553634B2 (ko) |
KR (1) | KR101554689B1 (ko) |
WO (1) | WO2015083980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2110B1 (ko) * | 2015-10-23 | 2016-10-04 | 국방과학연구소 | 골전도 진동자를 구비한 헬멧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1642B1 (ko) | 2019-12-06 | 2020-08-05 | 김성희 | 헤어 볼륨유지 보정구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48652B2 (ja) * | 1991-12-11 | 1996-10-30 | セーラー万年筆株式会社 | 脳波測定具 |
JP3105073U (ja) * | 2004-05-07 | 2004-10-21 | 孝 近藤 | 気晴らし器 |
JP3113728U (ja) * | 2005-06-16 | 2005-09-15 | 貢央 杉村 | 帽子 |
JP2008150761A (ja) * | 2006-12-14 | 2008-07-03 | Mitsunobu Hiyama | 検電器を装着した作業用帽子 |
JP2008163524A (ja) * | 2006-12-28 | 2008-07-17 | Yoshiko Araki | 帽子 |
JP2012251286A (ja) * | 2011-05-12 | 2012-12-20 | Harui Tsuji | 帽子兼用部分かつら |
JP3186883U (ja) * | 2013-08-06 | 2013-10-31 | ▲諸曁▼市▲絲▼百内▲紡織▼品有限公司 | 多機能帽子 |
-
2013
- 2013-12-06 KR KR1020130151905A patent/KR101554689B1/ko active Active
-
2014
- 2014-11-27 WO PCT/KR2014/011481 patent/WO2015083980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11-27 JP JP2016557853A patent/JP6553634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2110B1 (ko) * | 2015-10-23 | 2016-10-04 | 국방과학연구소 | 골전도 진동자를 구비한 헬멧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7506295A (ja) | 2017-03-02 |
KR101554689B1 (ko) | 2015-09-21 |
WO2015083980A1 (ko) | 2015-06-11 |
JP6553634B2 (ja) | 2019-07-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328561B2 (en) | Multifunctional earphone system for sports activities | |
US20230284921A1 (en) | Physiological monitoring devices having sensing elements decoupled from body motion | |
US11871172B2 (en) | Stand-alone multifunctional earphone for sports activities | |
CN110166916A (zh) | 耳内式助听器装置、助听器及电声变换器 | |
KR101554691B1 (ko) |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헤어웨어 | |
US9265478B2 (en) | Wireless electronic stethoscope | |
US20170000417A1 (en) | Biometric Sensors Assembly for a Hard Hat | |
ITMI20132171A1 (it) | Rilevatore indossabile per il rilevamento di parametri legati ad una attività motoria | |
US12313762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ng mobile electronic devices with ear-worn devices | |
JP2018186934A (ja) | 生体信号検出装置、および、脳波測定方法 | |
US20240000315A1 (en) | Passive safety monitoring with ear-wearable devices | |
KR101554689B1 (ko) | 두상 성형 또는 공간 형성을 위한 보조장치를 구비한 모자 | |
US20210373593A1 (en) | Ear physiological wearable device | |
JP2019063290A (ja) | 脳活動計測装置及び脳活動計測システム | |
HK40009544A (en) | Physiological monitoring devices having sensing elements decoupled from body motion | |
KR20160091951A (ko) | 말의 두부용 후드 | |
CN117724606A (zh) | 集成健康传感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3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9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9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