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5012A - 전단볼트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전단볼트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5012A
KR20150065012A KR1020130150026A KR20130150026A KR20150065012A KR 20150065012 A KR20150065012 A KR 20150065012A KR 1020130150026 A KR1020130150026 A KR 1020130150026A KR 20130150026 A KR20130150026 A KR 20130150026A KR 20150065012 A KR20150065012 A KR 20150065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bolt
head
bolt ho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7531B1 (ko
Inventor
희민 박
안창모
Original Assignee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안창모
희민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안창모, 희민 박 filed Critical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0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531B1/ko
Publication of KR20150065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2Joints having intermediate bea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교축 및 교직방향으로 신축하는 교량용 슬래브의 신축을 흡수 할 수 있도록 하되 상,하 진동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면서도 교직방향으로의 회전을 구속하지 않는 전단볼트를 구비한 핑거를 이용한 전단볼트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핑거는 머리부와 돌출삽입부가 서로 대향되어 저면으로부터 두께로 형성되고, 저면으로부터 상기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길이방향으로 상기 머리부로부터 돌출형성된 확장머리부를 포함하여, 상기 확장머리부가 일측 핑거플레이트의 저면공간(S)에 수평 삽입되도록 된다.

Description

전단볼트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BRIDGE EXPANSION JOINT WITH SHEAR TYPE BOLT}
본 발명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교축 및 교직방향으로 신축하는 교량용 슬래브의 신축을 흡수 할 수 있도록 하되 상, 하 진동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면서도 교직방향으로의 회전을 구속하지 않는 전단볼트를 구비한 핑거를 이용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핑거식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상호 연접된 한 쌍의 교량 상판(P)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호 접근 및 이격 가능한 한 쌍의 이격부재(1)와 이 이격부재(1) 외벽에 각각 마련된 복수의 앵커를 갖는다.
상기 이격부재(1)의 상측에는 엇갈리게 서로 삽입된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3)가 설치된다.
이때 핑거플레이트(3)와 이격부재(1)가 형성하는 이격 공간 내에는 이격부재(1)의 상호 접근 및 이격에 대해 탄성적으로 대응하는 신축부재(7)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온도 변화 등 여러 가지 변수에 의한 교량의 신축 시에, 엇갈리게 삽입된 핑거플레이트(3)는 서로 삽입된 홈 내에서 왕복되면서 교량의 신축을 작용시키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핑거플레이트(3) 및 이격부재(1)의 신축방향은 X축에만 한정됨을 알 수 있다. 이에 교량 상판(P)이 Y축(교직방향)으로 유동될 경우에는 핑거플레이트(3)에 균열이 발생될 수 있고, 심한 경우에는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신축이음장치가 도 1c에 소개되어 있다.
즉, 어느 하나의 교량에 연결되며, 요입된 복수의 안착홈(11)과 이 안착홈의 내벽을 따라 각각 형성된 핑거홈(13)을 포함하는 제1핑거플레이트(10); 상기 안착홈에 회전 가능하게 볼트(B)에 의해 축 결합된 회전부(31)와, 상기 회전부로부터 안착홈(11)의 외측으로 연장된 선형돌출부(33)를 포함하는 복수의 핑거(30); 상기 회전부(31)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핑거홈(13)에 삽입되며, 양단부에는 탄성부재(13a)가 설치된 보강부재(35); 그리고 다른 하나의 교량에 연결되어 상기 제1핑거플레이트(10)에 대향되며 핑거(30)의 선형돌출부(33)가 삽입되어 가이드 되는 가이드 홈(51)이 형성된 제2핑거플레이트(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볼트의 둘레(B)에는 핑거의 원활한 회전을 위한 베어링(36)이 설치되도록 하여
결국, 핑거(30)가 회전부(31)의 볼트(B)를 중심으로 Y축 방향(교직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되, 보강부재(35)는 핑거(30)의 회전부(31)에 형성되어 도 1c와 같이 하부판(60)이 핑거(30)의 선형돌출부(33)를 지지하지 않더라도, 보강부재(35)가 제1핑거플레이트(10)의 핑거홈(13)에 결합됨으로 인해 상기 핑거(30)는 하중을 견디는 충분한 지지력이 확보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도 1c에 의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교직방향(Y방향)으로의 회전을 구속하지 않는다는 장점은 있지만 교직방향(Y방향)으로의 상시 회전을 허용함에 따라 이에 따른 내구성(탄성부재)이 떨어질 수 있고,
보강부재(35)가 핑거(30)에 형성은 되어 있으나 이러한 보강부재(35)는 핑거단면을 보강할 정도는 아니며, 볼트(B)에 의하여 안착홈(11)에 고정되어 있으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수직방향 진동을 상하로 제어할 용도로 이용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 핑거를 이격부재에 통상시에는 전단볼트로 고정되도록 하여 교직방향으로의 회전이 구속되도록 하고, 지진하중과 같이 교직방향으로의 하중작용이 크게 작용하는 경우에는 전단볼트가 전단파괴 되도록 유도하여 교직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전단볼트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핑거의 단면을 확장시켜 상하진동에 효과적이며 내구성도 확보할 수 전단볼트를 구비한 핑거를 이용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첫째, 핑거식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즉 핑거가 인접한 핑거플레이트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교축방향으로 교량상판의 신축을 흡수하도록 하는 핑거식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교축방향의 교량상판 신축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되, 제한적으로 교직방향(교축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상기 핑거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교직방향으로 발생하는 교량 신축을 제한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핑거는 교직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핑거는 베어링과 회전고정볼트에 의하여 일측 이격부재에 설치되도록 하되, 전단볼트에 의하여 핑거를 이격부재에 추가로 고정시켜 교직방향으로의 회전이 구속되도록 하면서, 상기 전단볼트가 파단 될 정도로 수평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핑거는 전단볼트로부터의 구속이 해제되어 교직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교직방향으로 항시 회전을 허용하지 않고, 지진과 같이 큰 수평하중이 전달될 때 교직방향으로 핑거의 회전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핑거의 사용성과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본 발명의 핑거식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 핑거는 전단볼트가 추가로 설치되는데 이러한 전단볼트를 설치하기 위한 전단볼트홀을 기존의 핑거에 형성시키게 되면 단면손실이 발생하게 되며 회전고정볼트홀까지 고려하면 핑거의 단면손실이 매우 커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회전고정볼트홀이 형성되는 머리부 두께가 전단볼트홀이 형성되는 확장머리부 두께보다 커지도록 하되, 상기 확장머리부는 상기 머리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더 연장되도록 함으로서 핑거의 단면손실의 문제를 해결하여 핑거의 강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핑거의 확장머리부가 삽입되는 저면공간(S)이 저부에 형성되는 일측 핑거플레이트; 머리부, 돌출삽입부 및 확장머리부를 포함하여 확장머리부가 일측 핑거플레이트의 저면공간(S)에 수평 삽입되도록 설치된 핑거; 및 핑거의 돌출삽입부가 삽입되는 핑거삽입홈이 형성된 타측 핑거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핑거의 머리부에 형성된 회전고정볼트홀에는 회전고정볼트가 삽입되어 일측 이격부재의 제1볼트홀에 체결되어 핑거가 고정되고, 상기 핑거의 확장머리부에 형성된 전달볼트홀에는 전단볼트가 삽입되어 일측 이격부재에 제3볼트홀에 체결되어 핑거가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전단볼트가 파단 되면 핑거가 교직방향으로 회전고정볼트를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전단볼트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회전고정볼트에 의하여 핑거가 이격부재에 고정되도록 하되 전단볼트에 의하여 교직방향으로의 큰 수평하중이 발생하지 않으면 교직방향으로의 핑거 회전을 허용하지 않게 된다.
즉, 과도한 교직방향으로의 핑거 회전에 의해 핑거의 내구성이 떨어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사용성 및 유지관리의 어려움을 극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지진등과 같이 교직방향으로 수평하중이 커지게 됨에도 핑거의 교직방향 회전을 구속하게 되면 핑거식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자체의 파손이 초래된다. 이에 본 발명은 전단볼트가 파단될 정도로 큰 수평하중이 발생하면 전단볼트가 전단파괴 되도록 함으로서 핑거의 회전을 허용하여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사용성 및 내구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의한 핑거는 전단볼트 사용에 따른 단면손실이 발생하게 되므로 비교적 두께가 얇은 확장머리부를 추가로 형성시켜 핑거의 단면손실 문제를 해결하여 강성 확보에 유리하도록 하게 된다.
이에 상기 핑거의 확장머리부 형성에 의하여 핑거의 강성확보를 통해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 수직하중에 의한 진동에 대한 저항성능이 커지게 되어 내구성에 매우 유리한 구조가 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핑거식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1c는 종래 교직방향 회전이 가능한 핑거식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평면도 및 발췌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핑거식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구성사시도 및 발췌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핑거와 핑거플레이트 및 이격부재와의 결합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핑거식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교축방향 및 교직방향 작용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 본 발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 ]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의 구성사시도 및 발췌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는 이격부재(110a, 100b), 일측 및 타측 핑커플레이트(120,130) 및 핑거(14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는 서로 분리되어 이격된 교량상판(슬래브, 미도시)의 연결부위에 설치된다.
이에 상기 연결부위에는 미리 이격부재(110a, 100b)를 설치하고 이러한 이격부재(110)에 일측 핑거플레이트(120), 타측 핑거플레이트(130) 및 핑거(140)가 장착된다.
도 2a의 경우에는 ㄱ자형 부재로서 이격부재(110a,110b)가 도시되어 있는데 서로 인접하는 교량상판의 연결부위에 먼저 각각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앵글부재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격부재(110a)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를 교량상판의 연결부위에 고정되도록 하는 일 구성이라 할 수 있으며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일측 이격부재(110a)의 배면부위(A2)에는 제1볼트홀(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할 제1볼트홀(111)은 일측 핑거플레이트(120)와 앵커볼트(150)의 연결에 이용된다.
즉, 상기 앵커볼트(150)는 연결부위의 교량상판에 미리 매립 설치되는데 몸통부(151) 상면에 형성된 체결홈(152)과 이격부재(110a)에 형성된 제1볼트홀(111)은 연통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이격부재의 제1볼트홀(111)은 일측 핑거플레이트(120)에 형성된 확장볼트홀(121)과도 연통된다.
이에 확장볼트홀(121)을 통해 앵커고정볼트(153)가 이격부재의 제1볼트홀(111)을 경유하여 앵커볼트의 체결홈(152)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서 이격부재(110a)와 일측 핑거플레이트(120)는 앵커볼트(150)에 연결 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일측 핑거플레이트(120)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측 핑거플레이트(120)는 전면부위(A1)와 배면부위(A2)가 서로 상면으로부터의 두께를 달리하는 강재플레이트부재이다.
즉, 앞서 살펴본 확장볼트홀(121)이 형성되는 배면부위(A2)는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두께(t1)를 가지도록 하되 후술되는 핑거(140)의 확장머리부(143)가 저면공간(S)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전면부위(A1)는 상기 두께(t1)보다 작은 상면으로부터의 두께(t2)를 가진 지도록 하게 된다.
이에 일측 핑거플레이트(120)의 저부에는 확장머리부(143)가 삽입되는 저면공간(S)이 형성되는 단차진 공간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전면부위(A1)의 전면에는 후술되는 핑거(140)의 머리부(141)가 삽입되어 접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반원형의 머리부안치홈(1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머리부안치홈(122)은 핑거의 설치개수에 따라 서로 접하여 복수개가 연속하여 전면부위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타측 핑거플레이트(130)를 살펴보면,
상기 타측 핑거플레이트(130)는 일측 핑거플레이트(120)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 이격부재(110b)의 수평면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일측 핑거플레이트(120)에 설치된 핑거(140)의 돌출삽입부(142)가 삽입될 수 있는 핑거삽입홈(132)이 핑거(140)의 설치개수에 대응하여 복수개가 연속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면으로부터의 두께가 동일한 강재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즉, 타측 핑거플레이트(130)의 전면부위(A3)에는 상기 핑거삽입홈(132)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부위(A4)는 이격부재(110b)에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이격부재(110a,110b)는 서로 연결부위 양 측방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이격부재(110b)의 상면에 타측 핑거플레이트(130)가 앵커고정볼트(153)에 의하여 앵커볼트(150)에 고정된다.
즉, 상기 앵커볼트(150)는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연결부위의 교량상판에 미리 매립 설치되도록 하되, 몸통부(151) 상면에 형성된 체결홈(152)과 이격부재(110b)에 형성된 제4볼트홀(미도시)은 연통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이격부재의 제4볼트홀(미도시)은 타측 핑거플레이트(130)에 형성된 확장볼트홀(131)과도 연통된다.
이에 확장볼트홀(131)을 통해 앵커고정볼트(153)가 이격부재(110b)의 제4볼트홀(미도시)을 경유하여 체결홈(152)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서 이격부재(110b)와 타측 핑거플레이트(130)가 앵커볼트(150)에 고정 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이격부재(110b)에는 제5볼트홀(미도시)이 형성되도록 하여 다른 앵커고정볼트(153)에 의하여 이격부재(110b)와 타측 핑거플레이트(130)가 서로 직접 연결되도록 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핑거(140)는 머리부(141), 돌출삽입부(142) 및 확장머리부(14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핑거형 블록으로서 머리부(141)와 돌출삽입부(142)가 서로 양 단부쪽으로 향하도록 하고, 확장머리부(143)는 머리부(141)의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더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머리부(141)는 소정의 두께(t1)를 가진 반원형형태의 머리부로서 일측 핑거플레이트(120)의 머리부안치홈(122)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세팅되는 부위이다.
상기 머리부(141)에는 앞서 살펴본 회전고정볼트홀(144)이 형성되며, 이러한 회전고정볼트홀(144)을 통해 회전고정볼트(145)가 이격부재(110a)의 제2볼트홀(112)에 삽입되어 너트 및 와셔에 의하여 체결된다.
이로서 핑거(140)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이격부재(110a)에 고정 설치되어 교축방향으로 교량상판이 신축되면서 타측 핑커플레이트(130)의 핑거삽입홈(13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신축을 흡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고정볼트(145)의 둘레에는 도 2b 및 도 4b와 같이 핑거의 원활한 회전을 위한 베어링(B)이 설치되도록 하여 핑거(140)가 회전고정볼트(145)를 중심으로 Y축 방향(교직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 돌출삽입부(142)는 머리부(141)로부터 타측 핑거플레이트(130)의 핑거삽입홈(132)으로 수평 삽입되도록 연장되는 부위로서 두께(t3)를 유지하도록 하되 핑거삽입홈(132)으로 수평 삽입되도록 단부로 갈수록 폭은 좁아지는 형태이다.
상기 확장머리부(143)는 앞서 살펴본 전단볼트홀(146)이 형성되며, 이러한 전단볼트홀(146)을 통해 전단볼트(147)가 이격부재(110a)의 제3볼트홀(113)에 삽입되어 역시 너트 및 와셔에 의하여 체결된다.
이러한 확장머리부(143)는 특히 앞서 살펴본 일측 핑커플레이트(120)의 배면부위(A2)의 저면공간(S)에 삽입되도록 세팅됨을 알 수 있다.
이로서 상기 확장머리부(143)는 일측 핑커플레이트(120)의 배면부위(A2)의저면부에 형성된 저면공간에 삽입되게 됨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전단볼트(147)의 직경은 회전고정볼트(145)의 직경과 대비하여 작게 형성됨을 알 수 있는데 전단볼트(147)는 그 직경을 조정하여 지진등과 같은 수평하중이 작용할 때 기준 이상이 되면 도 4b와 같이 자연스럽게 파단되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에 전단볼트(147)가 파단되기 이전에는 핑거(140)는 교직방향으로의 회전이 구속되지만, 전단볼트(147)가 파단되면 핑거(140)는 교직방향으로의 회전이 허용되어 교직방향으로의 핑거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전단볼트(147)는 핑거의 교직방향 회전을 구속하되 교직방향으로의 수평하중이 커지게 되면 파단되어 핑거가 교직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서 핑거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전단볼트가(147)가 설치되는 확장머리부(143)의 두께(t4)는 머리부(141)의 두께(t3)보다 작아 저면공간(S)에 삽입되도록 하되 머리부의 보강부로서 머리부(141)와 돌출삽입부(142)로만 구성되는 핑거(140)에 있어 단면손실의 우려가 없도록 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확장머리부(143)는 핑거(140)에 작용하는 수직하중에 대하여 상하진동이 발생할 수 있는데 확장머리부(143)가 저면공간(S)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하 진동에 의한 인발을 방지할 수 있어 상,하 진동에 매우 유리한 구조가 됨을 알 수 있다.
[ 본 발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의 설치 상태 ]
도 3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먼저 교량상판(미도시)의 연결부위에 앵커볼트(150)가 서로 이격되어 먼저 설치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먼저 일측 앵커볼트(150)에는 앞서 살펴본 핑거(140)가 회전고정볼트(145)와 전단볼트(147) 의하여 미리 결합된 이격부재(110a)를 앵커고정볼트(153)에 의하여 일측 핑거플레이트(120)에 고정되도록 하여 설치하고,
다음으로 타측 앵커볼트(150)에는 타측 핑거플레이트(130)와 타측 이격부재(110b)가 앵커고정볼트(153)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고, 나아가 상기 타측 핑거플레이트(130)는 다른 앵커고정볼트(153)에 의하여 타측 이격부재(110b)에 직접 고정 설치됨을 알 수 있다.
이에 일측 핑거플레이트(120)에 형성된 핑거(140)의 돌출삽입부(142)는 타측 핑거플레이트(130)의 핑거삽입홈(132)에 단부 일부만 삽입된 상태로 초기 설치됨을 알 수 있다.
[ 본 발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교축 및 교직방향의 신축작용 ]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의 교축방향 및 교직방향 작용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4a는 도 3과 같이 초기 세팅된 상태에서 교량상판의 교축방향 신축에 의하여 앵커볼트(150)에 의하여 교량상판과 일체로 거동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가 교축방향으로의 이동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4a의 경우에는 지진등 교직방향으로의 수평하중이 크게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교직방향으로의 핑거 회전은 전단볼트(147)에 의하여 구속된 상태에서 교축방향으로의 교량상판 신축에 의하여 핑거(140)가 인접한 핑거삽입홈(132)으로 더 삽입 및 복원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b에 의하면 지진등 교직방향으로의 수평하중이 크게 작용하는 경우에는 핑거(140)가 핑거삽입홈(132)에 단부 삽입된 상태이므로 핑거(140)의 교직방향 이동은 타측 핑거플레이트에 의하여 구속되어 있다. 이에 교직방향으로의 수평하중이 커지게 되면 핑거(140)가 손상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상기 전단볼트(147)가 큰 수평하중에 의하여 미리 파단 된다면 핑거(14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므로 타측 핑거플레이트에 의하여 구속되어 파손되지 않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로서 전단볼트(147)의 직경은 교직방향으로 수평하중이 일정한 기준 이상으로 발생할 때 상기 기준에 도달하기 이전에 파단 되도록 하는 직경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110a,100b: 이격부재
111: 제1볼트홀 112: 제2볼트홀
113: 제3볼트홀
120: 일측 핑거플레이트
121: 확장볼트홀 122: 머리부안치홈
130: 타측 핑거플레이트
131: 확장볼트홀 132: 핑거삽입홈
140; 핑거
141: 머리부 142: 돌출삽입부
143: 확장머리부 144: 회전고정볼트홀
145: 회전고정볼트 146: 전단볼트홀
147: 전단볼트
150: 앵커볼트
151: 몸통부 152: 체결홈 153: 앵커고정볼트

Claims (6)

  1. 핑거(140)의 확장머리부(143)가 삽입되는 저면공간(S)이 저부에 형성되는 일측 핑거플레이트(120); 머리부(141), 돌출삽입부(142) 및 확장머리부(143)를 포함하여 확장머리부(143)가 일측 핑거플레이트(120)의 저면공간(S)에 수평 삽입되도록 설치된 핑거(140); 및 핑거(140)의 돌출삽입부(142)가 삽입되는 핑거삽입홈(132)이 형성된 타측 핑거플레이트(120);를 포함하며,
    상기 핑거(140)의 머리부(141)에 형성된 회전고정볼트홀(144)에는 회전고정볼트(145)가 삽입되어 일측 이격부재(110a)의 제2볼트홀(112)에 체결되어 핑거(140)가 고정되고, 상기 핑거(140)의 확장머리부(143)에 형성된 전달볼트홀(146)에는 전단볼트(147)가 삽입되어 일측 이격부재(110a)에 제3볼트홀(113)에 체결되어 핑거(140)가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전단볼트(147)가 파단 되면 핑거(140)가 교직방향으로 회전고정볼트(145)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볼트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핑거플레이트(120)는 일측 이격부재(110a)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배면부위(A2)는 상면으로부터 두께(t1)로 형성되어 확장볼트홀(121)이 형성되며, 전면부위(A1)는 상기 배면부위(A2)의 두께(t1)보다 작은 상면으로부터의 두께(t2)로 형성됨으로서 핑거(140)의 확장머리부(143)가 삽입되는 저면공간(S)이 저부에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전면부위(A1)의 전면에는 머리부안치홈(122)이 형성되어 핑거(140)의 머리부(141)가 삽입되어 접하도록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볼트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140)는 일측 핑거플레이트(120)의 전면부위(A1)에 위치하여 일측 이격부재(110a)에 고정되도록 하되, 머리부(141)와 돌출삽입부(142)가 서로 대향되어 저면으로부터 두께(t3)로 형성되고, 저면으로부터 상기 두께(t3)보다 작은 두께(t4)로 길이방향으로 상기 머리부(141)로부터 돌출형성된 확장머리부(1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볼트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핑거플레이트(120)는 타측 이격부재(110b)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배면부위(A4)에는 확장볼트홀(131)이 형성되고, 전면부위(A4)에는 핑거(140)의 돌출삽입부(142)가 삽입되는 핑거삽입홈(132)이 전면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볼트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핑거플레이트(120)의 확장볼트홀(121)은
    일측 이격부재(110a)의 제1볼트홀(111)과 앵커볼트(150)의 상면에 형성된 체결홈(152)과 연통되어, 앵커고정볼트(154)에 의하여 일측 핑거플레이트(120)가 앵커볼트(150)에 일측 이격부재(100a)와 함께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볼트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핑거플레이트(130)의 확장볼트홀(131)은
    타측 이격부재(110b)의 제4볼트홀과 앵커볼트(150)의 상면에 형성된 체결홈(152)과 연통되어, 앵커고정볼트(154)에 의하여 타측 핑거플레이트(130)가 앵커볼트(150)에 타측 이격부재(100b)와 함께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볼트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20130150026A 2013-12-04 2013-12-04 전단볼트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607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026A KR101607531B1 (ko) 2013-12-04 2013-12-04 전단볼트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026A KR101607531B1 (ko) 2013-12-04 2013-12-04 전단볼트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012A true KR20150065012A (ko) 2015-06-12
KR101607531B1 KR101607531B1 (ko) 2016-04-05

Family

ID=53503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026A KR101607531B1 (ko) 2013-12-04 2013-12-04 전단볼트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5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22086A (zh) * 2016-12-07 2017-03-22 中交铁道(武汉)建设科技有限公司 多向变位桥梁伸缩装置
KR20210000856A (ko) * 2019-06-26 2021-01-06 이하나 일단지지형으로 양단지지기능을 갖게한 교량용 핑거 신축이음장치
KR20210019264A (ko) * 2019-08-12 2021-02-22 포엠 주식회사 교량용 풀림 방지 신축이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770B1 (ko) * 2018-01-04 2018-08-27 주식회사 포유텍 양단 지지 핑거를 이용한 교량 신축 이음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855B1 (ko) * 2007-08-17 2008-03-03 매크로드 주식회사 교량의 파운딩 방지를 위한 면진용 완충식 핑거 조인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22086A (zh) * 2016-12-07 2017-03-22 中交铁道(武汉)建设科技有限公司 多向变位桥梁伸缩装置
KR20210000856A (ko) * 2019-06-26 2021-01-06 이하나 일단지지형으로 양단지지기능을 갖게한 교량용 핑거 신축이음장치
KR20210019264A (ko) * 2019-08-12 2021-02-22 포엠 주식회사 교량용 풀림 방지 신축이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7531B1 (ko) 201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1868B1 (ko) 가드레일
KR101607531B1 (ko) 전단볼트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JP4966439B2 (ja) 耐震伸縮継手
KR101095959B1 (ko) 교량용 면진 신축이음장치
KR101654338B1 (ko) 간주형 제진장치
KR101005787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탄성받침
KR102170121B1 (ko) 마찰진자형 교량 면진 받침
JP6651501B2 (ja) 地震事象におけるエスカレータおよび動く歩道のための横方向の減衰および中間支持
JP2008057121A (ja) 建物の防振構造
JP2007332665A (ja) 変位調整機能付き落橋防止装置
JP6267457B2 (ja) 構造物用3面スライド支承装置
JP3159615U (ja) 橋梁設備の変位制限構造体
KR101942265B1 (ko) 내진용 배관 지지대
KR101329420B1 (ko) 벽체 수직 분절형 에너지 소산 시스템
KR101604745B1 (ko) 변위제어판을 이용한 지진에너지 소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방법
JP2016070352A (ja) 構造物用強制両面スライド支承装置
JP7312422B2 (ja) 橋梁の変位制限装置
KR20090112512A (ko) 쐐기형 전단키
KR102124584B1 (ko) 구조물용 진동 저감장치
KR101388416B1 (ko) 브레이스형 댐퍼
KR102356049B1 (ko) 교량용 풀림 방지 신축이음장치
KR102004334B1 (ko) 탄성받침
KR102174473B1 (ko) 내진 신축이음장치
KR200426214Y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481029B1 (ko) 육방향 자유도를 갖는 저소음 신축이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