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4813A - 중첩형 다층 이경도 완충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중첩형 다층 이경도 완충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4813A
KR20150064813A KR1020130149587A KR20130149587A KR20150064813A KR 20150064813 A KR20150064813 A KR 20150064813A KR 1020130149587 A KR1020130149587 A KR 1020130149587A KR 20130149587 A KR20130149587 A KR 20130149587A KR 20150064813 A KR20150064813 A KR 20150064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
mold
rigid
hard
superim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9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석
Original Assignee
(주)현대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대공업 filed Critical (주)현대공업
Priority to KR1020130149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4813A/ko
Publication of KR20150064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48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04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onsisting of at least two parts of chemically or physically different materials, e.g. having different dens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6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 B29C44/5627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by mechanical deformation, e.g. crushing, embossing,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8Moulds
    • B29C44/583Moulds for making articles with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71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좌석 등에 사용되는 다층 이경도(異硬度) 완충체(10)에 관한 것으로, 경질부(硬質部)(11)와 연질부(軟質部)(12)가 적층된 상태의 발포합성수지제 완충체(10)를 제조함에 있어서, 단일 금형으로 경질부(11)와 연질부(12)를 동시 성형하되 각각 상이한 발포조건을 적용하거나 이종(異種) 합성수지를 투입한 후 발포성형하여 제조 계획 완충체(10)의 경질부(11)와 연질부(12)가 평탄하게 배치된 상태의 성형물을 일단 제작한 후, 경질부(11)와 연질부(12)의 접합 부위를 절첩하여 경질부(11) 상면에 연질부(12)를 중첩하되 경질부(11) 상면에 평면상 연질부(12)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중첩결합부(20)에 연질부(12)를 결합함으로써, 경질부(11)와 연질부(12)가 긴밀하게 중첩 적층된 완충체(10)를 완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부직포(19) 등 내부 구획수단의 구성 없이도 단일 금형으로 다층 이경도 완충체(10)를 정밀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이로써 종래 다층 이경도 완충체(10)에서 빈발하였던, 성형물의 부분 함몰, 과발포, 촉감 및 탄력성 미달 등의 불량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중첩형 다층 이경도 완충체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FOLDING TYPE MULTILAYERED CUSHION HAVING DIFFERENT HARDNESSES}
본 발명은 자동차 좌석 등에 사용되는 다층 이경도(異硬度) 완충체(10)에 관한 것으로, 경질부(硬質部)(11)와 연질부(軟質部)(12)가 적층된 상태의 발포합성수지제 완충체(10)를 제조함에 있어서, 단일 금형으로 경질부(11)와 연질부(12)를 동시 성형하되 각각 상이한 발포조건을 적용하거나 이종(異種) 합성수지를 투입한 후 발포성형하여 제조 계획 완충체(10)의 경질부(11)와 연질부(12)가 평탄하게 배치된 상태의 성형물을 일단 제작한 후, 경질부(11)와 연질부(12)의 접합 부위를 절첩하여 경질부(11) 상면에 연질부(12)를 중첩하되 경질부(11) 상면에 평면상 연질부(12)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중첩결합부(20)에 연질부(12)를 결합함으로써, 경질부(11)와 연질부(12)가 긴밀하게 중첩 적층된 완충체(10)를 완성하는 것이다.
폴리우레탄폼(Polyurethane foam) 또는 발포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 등의 발포합성수지는 성형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등의 발포가스가 발생되어 성형품의 조직내 기포가 형성됨으로써 특유의 가요성 및 복원성을 발현하는 것으로, 각종 가구 및 자동차용 좌석내 완충체(10)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다층 이경도 완충체(10)는 그 사전적 의미에서와 같이, 경도(硬度)가 상이한 발포합성수지 성형물이 적층되어 구성되는 완충체(10)로서, 도 1에서와 같이, 자동차 좌석용 완충체(10) 등에 적용되며,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체(10)의 외곽 및 기반을 형성하는 경질부(硬質部)(11) 상면에 연질부(軟質部)(12)를 적층 형성함으로써, 착석시 체중이 집중되는 좌석 중앙부는 안락감을 제공하고 좌석 외곽부는 신체의 양 측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층 이경도 완충체(10)는 금형 내부 공간을 상, 하로 분할하는 부직포(19)를 설치한 후 부직포(19) 상, 하부에 각각 상이한 특성의 합성수지를 투입 및 발포성형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체(10)의 경질부(11)와 연질부(12) 경계에 부직포(19)가 적층되는데, 이러한 다층 이경도 완충체(10) 관련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2013-27799호를 들 수 있다.
공개특허 제2013-27799호를 비롯한 종래의 다층 이경도 완충체(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경질부(11)와 연질부(12) 사이에 부직포(19)가 적층되어, 성형과정에서 부직포(19)가 경질부(11)와 연질부(12)를 구분하게 된다.
이러한 부직포(19) 내장형 이경도 완충체(10)는 단일 금형을 사용하여 경질부(11)와 연질부(12)를 동시에 성형하고, 발포성형과 동시에 경질부(11)와 연질부(12)간 접착이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으나, 원료의 투입, 합형, 가열 및 발포에 이르는 합성수지 발포성형의 전과정에 걸쳐 금형내 부직포(19)의 위치와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려우므로 완제품의 정밀도 확보 및 긴밀한 층간 접착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으며, 불량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합성수지의 발포성형과정에서 액상의 합성수지가 부직포(19)에 함침되어 과도하게 경화되거나, 성형의 완료 즉, 발포성형 합성수지가 팽창하여 부직포(19)에 도달한 후에도 통기성 소재인 부직포(19)의 특성상 경질부(11)와 연질부(12)간 발포가스의 불필요한 교환 현상이 발생되어 성형물의 부분 함몰 또는 과팽창 등의 불량이 빈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발포성형의 전과정에서 금형 내부에 부직포(19)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지지핀 또는 지지 클립 등 부직포(19) 고정을 위한 다양한 고정수단이 소요될 뿐 아니라, 이들 고정수단은 완충체(10)에 매입될 수 밖에 없으므로, 촉감 및 탄력성 등 완성된 완충체(10)의 기본적 성능을 저하시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경질부(11)와 연질부(12)를 각각 별도의 금형을 이용하여 성형한 후, 완성된 경질부(11)와 연질부(12)를 조립하여 다층 이경도 완충체(10)를 제조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분야인 합성수지 발포성형 완충체(10)는 그 자체가 최종 상품이 아니라 자동차 좌석 등의 부품으로 사용되는 것인 바, 이러한 개별 제작 및 조립 방식은 최종 상품의 제조 공정상 부품 및 공정을 추가하여 공정 및 품질관리를 복잡화하고 생산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특히, 합성수지 발포성형 제품은 다수의 금형이 컨베이어(conveyor)에 의하여 순환 이송되고 다수의 주입장치, 오븐(oven) 및 취출장치 등을 통과하면서 원료 주입, 발포, 경화 및 탈형에 이르는 전체 공정이 연속 수행되는 연속 발포 성형 설비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따라서 전술한 개별 제작 및 조립 방식은 단순히 금형의 추가만으로 적용 가능한 것이 아니라 별도의 연속 발포 성형 설비를 추가로 증설함으로써 적용 가능한 것이므로, 막대한 시설비용이 소요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단일 금형을 통하여 다층 이경도 완충체(10)를 제작하되, 금형 내부에 부직포(19) 등의 구획수단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경질부(硬質部)(11)와 연질부(軟質部)(12)가 적층된 발포합성수지제 완충체(10)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형(30)과 하형(40)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합형식 금형이 적용되되, 하형(40)에는 각각 경질부(11)와 연질부(12)를 성형하는 경질성형요부(41)와 연질성형요부(42)가 형성되고 경질성형요부(41)와 연질성형요부(42)의 경계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경계연속돌부(43)가 형성되며, 상형(30)과 하형(40)의 결합시 경질성형요부(41) 상측의 상형(30)에는 중첩결합부성형부(31)가 형성되되 중첩결합부성형부(31)는 상기 연질성형요부(42)와 평면상 형상이 동일한 금형이 구성되어, 하형(40)의 경질성형요부(41)와 연질성형요부(42)에 각각 경질수지(51) 및 연질수지(52)가 투입되는 투입단계(S11)와, 하형(40)과 상형(30)이 결합되는 합형단계(S12)와, 금형내 경질수지(51) 및 연질수지(52)가 발포, 팽창되는 발포단계(S21)와, 팽창되던 경질수지(51) 및 연질수지(52)가 상기 경계연속돌부(43)에 도달하여 접합경계부(13)를 형성하며 상호 접합되는 접합단계(S22)와, 경질수지(51) 및 연질수지(52)가 경화되어 각각 경질부(11)와 연질부(12)로 성형된 후 상형(30)과 하형(40)이 분리되어 경질부(11)와 연질부(12)가 접합경계부(13) 양측으로 평탄하게 접합, 배치되고 경질부(11)의 상면에는 연질부(12)와 평면 형상이 일치하는 중첩결합부(20)가 형성된 완충체(10)가 취출되는 탈형단계(S30)와, 완충체(10)의 접합경계부(13)가 절첩되어 경질부(11) 상면에 연질부(12)가 중첩, 적층되되 연질부(12)가 경질부(11) 상면의 중첩결합부(20)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중첩단계(S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형 다층 이경도 완충체의 제조방법이다.
또한, 상기 상형(30)과 하형(40)의 결합시 경질성형요부(41) 상측의 상형(30)에는 중첩결합부성형부(31)가 형성되되 중첩결합부성형부(31)에는 결합요부성형부(36)가 돌출 형성되고, 상형(30)과 하형(40)의 결합시 연질성형요부(42) 상측의 상형(30)에는 상기 결합요부성형부(36)와 일치하는 형상의 결합돌부성형부(35)가 요입(凹入) 형성되어, 탈형단계(S30)에서 취출되는 완충체(10)의 경질부(11)상 중첩결합부(20)에는 결합요부(22)가 요입(凹入) 형성되고, 연질부(12)에는 상기 결합요부(22)와 일치하는 형상의 결합돌부(21)가 돌출 형성되며, 중첩단계(S40)에서 완충체(10)의 접합경계부(13)가 절첩되어 경질부(11) 상면에 연질부(12)가 중첩, 적층되되 연질부(12)가 경질부(11) 상면의 중첩결합부(20)에 결합됨과 동시에 연질부(12)의 결합돌부(21)가 경질부(11)의 결합요부(22)에 결합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형 다층 이경도 완충체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부직포(19) 등 내부 구획수단의 구성 없이도 단일 금형으로 다층 이경도 완충체(10)를 정밀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이로써 종래 다층 이경도 완충체(10)에서 빈발하였던, 성형물의 부분 함몰, 과발포, 촉감 및 탄력성 미달 등의 불량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금형 내부에 부직포(19)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완제품에서 불필요한 매입물을 배제할 수 있으며, 이로써 매입물로 인한 완제품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질부(11)와 연질부(12)의 독립적인 발포성형이 가능하므로 완제품의 치수 정밀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경도 완충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통하여 제조된 완충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완충체 중첩 전, 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금형 대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행단계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완충체 중첩 전, 후 대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완충체가 적용된 헤드레스트 및 암레스트 예시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는 본 발명을 통하여 제조된 완충체(10)를 예시한 것으로, 자동차 좌석에 사용되는 완충체(10)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완충체(10) 하부와 외곽을 구성하는 경질부(硬質部)(11)와, 경질부(11) 상면에 적층된 연질부(軟質部)(12)로 완충체(10)가 구성되며, 완충체(10)의 정면 중앙부에는 경질부(11)와 연질부(12)를 연결하는 접합경계부(13)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완충체(10)는 도 3의 상부에서와 같이 경질부(11)와 연질부(12)가 접합경계부(13) 양측으로 평탄하게 접합, 배치되고 경질부(11)의 상면에는 연질부(12)와 평면 형상이 일치하는 중첩결합부(20)가 형성된 완충체(10)를 일단 제작한 후, 동 도면의 하부에서와 같이 중첩결합부(20)를 절첩하여 경질부(11) 상면에 연질부(12)를 중첩 적층함으로써 완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완충체(10)는 단일 금형으로 성형되는데,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금형의 대표 단면도가 도 4에 예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 단일 금형의 의미는 전체 금형이 일체로 구성된 즉, 1개의 부품으로 구성된 금형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상형(30)과 하형(40)이 조합되어 1개의 성형물을 성형하는 1조의 금형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금형은 상형(30)과 하형(40)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합형식 금형으로서, 하형(40)에는 각각 경질부(11)와 연질부(12)를 성형하는 경질성형요부(41)와 연질성형요부(42)가 형성되고 경질성형요부(41)와 연질성형요부(42)의 경계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경계연속돌부(43)가 형성된다.
즉, 하형(40)은 경질부(11)를 성형하는 금형과 연질부(12)를 성형하는 금형이 수평으로 접합된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경질성형요부(41)와 연질성형요부(42)의 내부 표면은 완제품 기준으로 각각 경질부(11)의 저면 및 연질부(12)의 중첩 후 상면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상형(30)과 하형(40)의 결합시 경질성형요부(41) 상측의 상형(30)에는 중첩결합부성형부(31)가 형성되되 중첩결합부성형부(31)는 상기 연질성형요부(42)와 평면상 형상이 동일하게 구성된다.
즉, 상형(30)의 저면에 연질성형요부(42)와 동일한 평면 형상을 가지는 중첩결합부성형부(31)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성형된 경질부(11) 상면에 연질부(12)와 동일한 형상의 중첩결합부(20)를 요입 형성하고, 후술할 완충체(10)의 최종 완성단계에서 연질부(12)를 절첩하여 경질부(11)의 중첩결합부(20)에 결합,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렇듯 최종 완제품의 형상이 아닌 완제품의 전개 상태 형상으로 구성된 금형을 통하여 본 발명이 수행되는데, 이러한 본 발명의 다층 이경도 완충체(10) 제조방법은 도 5에서와 같이, 하형(40)의 경질성형요부(41)와 연질성형요부(42)에 각각 경질수지(51) 및 연질수지(52)를 투입하는 투입단계(S11)로 개시된다.
투입단계(S11)에서 경질성형요부(41)와 연질성형요부(42)에 각각 투입되는 경질수지(51) 및 연질수지(52)는 원료 합성수지 자체에 이종(異種) 합성수지가 적용되거나, 발포제 등 첨가물의 성상 또는 배합비가 상이하게 조정되거나, 가열온도 등 발포조건이 상이하게 적용되는 상태를 포괄하는 것으로, 경질성형요부(41)와 연질성형요부(42)에 반드시 이종의 원재료가 적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금형내 경질수지(51) 및 연질수지(52)의 투입이 완료되면, 하형(40)과 상형(30)을 결합하는 합형단계(S12)가 수행되며, 이후 금형내 경질수지(51) 및 연질수지(52)가 발포, 팽창되는 발포단계(S21)가 수행된다.
발포단계(S21)가 진행됨에 따라 경질수지(51) 및 연질수지(52)는 발포, 팽창을 지속하며 금형 내부에 충만하게 되고, 이어 팽창되던 경질수지(51) 및 연질수지(52)가 전술한 금형의 경계연속돌부(43)에 도달하여 접합경계부(13)를 형성하며 상호 접합되는 접합단계(S22)가 수행된다.
발포, 팽창하던 경질수지(51)와 연질수지(52)는 팽창압에 의하여 경계연속돌부(43)에서 긴밀하게 밀착됨과 동시에 해당 부위에서 상호 혼합되면서 견고하게 접합되어 접합경계부(13)를 형성하게 된다.
접합단계(S22)가 완료되고, 경질수지(51) 및 연질수지(52)가 경화되어 각각 경질부(11)와 연질부(12)로 성형되면, 상형(30)과 하형(40)을 분리하여 완충체(10)를 취출하는 탈형단계(S30)를 수행하는데, 여기서 취출된 완충체(10)는 도 6의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질부(11)와 연질부(12)가 접합경계부(13) 양측으로 평탄하게 접합, 배치되고 경질부(11)의 상면에는 연질부(12)와 평면 형상이 일치하는 중첩결합부(20)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탈형단계(S30)가 완료된 후, 도 6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체(10)의 접합경계부(13)를 절첩하여 경질부(11) 상면에 연질부(12)를 중첩, 적층하되 연질부(12)를 경질부(11) 상면의 중첩결합부(20)에 결합하여 고정하는 중첩단계(S40)를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을 통한 다층 이경도 완충체(10)가 완성된다.
한편, 도 3의 상부에서와 같이, 전개상태 연질부(12)의 상면 중심부에는 결합돌부(21)를 돌출 형성하고, 경질부(11)의 중첩결합부(20) 중심부에는 상기 결합돌부(21)와 일치하는 형상의 결합요부(22)를 요입 형성하여, 연질부(12)의 중첩 결합시 연질부(12)와 중첩결합부(20)간 결합과 동시에 결합돌부(21)와 결합요부(22)간 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일층 견고한 층간 결합을 달성할 수 있으며, 이는 도 4에서와 같이, 금형의 상형(30)에 결합돌부성형부(35) 및 결합요부성형부(36)를 구성함으로써 적용이 가능하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상형(30)과 하형(40)의 결합시 경질성형요부(41) 상측의 상형(30)에는 중첩결합부성형부(31)가 형성되되 중첩결합부성형부(31)에는 결합요부성형부(36)가 돌출 형성되고, 상형(30)과 하형(40)의 결합시 연질성형요부(42) 상측의 상형(30)에는 상기 결합요부성형부(36)와 일치하는 형상의 결합돌부성형부(35)가 요입(凹入) 형성된 금형을 적용하여 본 발명을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 이로써 탈형단계(S30)에서 취출되는 완충체(10)의 경질부(11)상 중첩결합부(20)에는 결합요부(22)가 요입(凹入) 형성되고, 연질부(12)에는 상기 결합요부(22)와 일치하는 형상의 결합돌부(21)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전술한 중첩단계(S40)에서는 완충체(10)의 접합경계부(13)가 절첩되어 경질부(11) 상면에 연질부(12)가 중첩, 적층되되 연질부(12)가 경질부(11) 상면의 중첩결합부(20)에 결합됨과 동시에 연질부(12)의 결합돌부(21)가 경질부(11)의 결합요부(22)에 결합되어 연질부(12)와 경질부(11)간 일층 견고한 결속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좌석용 완충체(10) 뿐 아니라, 헤드레스트(headrest) 또는 암레스트(armrest) 등의 완충체(10) 제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경질부(11)와 연질부(12)가 수평 접합된 전개상태의 완충체(10)를 일단 성형한 후 이를 중첩하여 다층 이경도의 완충체(10)를 제조하는 본 발명을 통하여, 단일 금형을 사용하면서도 부직포(19) 및 부직포(19) 고정수단 등 완제품의 품질을 저하하는 불요(不要) 매입물을 배제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완제품의 품질은 향상시킬 수 있는 일석이조(一石二鳥)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0 : 완충체
11 : 경질부
12 : 연질부
13 : 접합경계부
19 : 부직포
20 : 중첩결합부
21 : 결합돌부
22 : 결합요부
30 : 상형
31 : 중첩결합부성형부
35 : 결합돌부성형부
36 : 결합요부성형부
40 : 하형
41 : 경질성형요부
42 : 연질성형요부
43 : 경계연속돌부
51 : 경질수지
52 : 연질수지
S11 : 투입단계
S12 : 합형단계
S21 : 발포단계
S22 : 접합단계
S30 : 탈형단계
S40 : 중첩단계

Claims (2)

  1. 경질부(硬質部)(11)와 연질부(軟質部)(12)가 적층된 발포합성수지제 완충체(10)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형(30)과 하형(40)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합형식 금형이 적용되되, 하형(40)에는 각각 경질부(11)와 연질부(12)를 성형하는 경질성형요부(41)와 연질성형요부(42)가 형성되고 경질성형요부(41)와 연질성형요부(42)의 경계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경계연속돌부(43)가 형성되며, 상형(30)과 하형(40)의 결합시 경질성형요부(41) 상측의 상형(30)에는 중첩결합부성형부(31)가 형성되되 중첩결합부성형부(31)는 상기 연질성형요부(42)와 평면상 형상이 동일한 금형이 구성되어,
    하형(40)의 경질성형요부(41)와 연질성형요부(42)에 각각 경질수지(51) 및 연질수지(52)가 투입되는 투입단계(S11)와;
    하형(40)과 상형(30)이 결합되는 합형단계(S12)와;
    금형내 경질수지(51) 및 연질수지(52)가 발포, 팽창되는 발포단계(S21)와;
    팽창되던 경질수지(51) 및 연질수지(52)가 상기 경계연속돌부(43)에 도달하여 접합경계부(13)를 형성하며 상호 접합되는 접합단계(S22)와;
    경질수지(51) 및 연질수지(52)가 경화되어 각각 경질부(11)와 연질부(12)로 성형된 후 상형(30)과 하형(40)이 분리되어 경질부(11)와 연질부(12)가 접합경계부(13) 양측으로 평탄하게 접합, 배치되고 경질부(11)의 상면에는 연질부(12)와 평면 형상이 일치하는 중첩결합부(20)가 형성된 완충체(10)가 취출되는 탈형단계(S30)와;
    완충체(10)의 접합경계부(13)가 절첩되어 경질부(11) 상면에 연질부(12)가 중첩, 적층되되 연질부(12)가 경질부(11) 상면의 중첩결합부(20)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중첩단계(S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형 다층 이경도 완충체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형(30)과 하형(40)의 결합시 경질성형요부(41) 상측의 상형(30)에는 중첩결합부성형부(31)가 형성되되 중첩결합부성형부(31)에는 결합요부성형부(36)가 돌출 형성되고;
    상형(30)과 하형(40)의 결합시 연질성형요부(42) 상측의 상형(30)에는 상기 결합요부성형부(36)와 일치하는 형상의 결합돌부성형부(35)가 요입(凹入) 형성되어;
    탈형단계(S30)에서 취출되는 완충체(10)의 경질부(11)상 중첩결합부(20)에는 결합요부(22)가 요입(凹入) 형성되고, 연질부(12)에는 상기 결합요부(22)와 일치하는 형상의 결합돌부(21)가 돌출 형성되며;
    중첩단계(S40)에서 완충체(10)의 접합경계부(13)가 절첩되어 경질부(11) 상면에 연질부(12)가 중첩, 적층되되 연질부(12)가 경질부(11) 상면의 중첩결합부(20)에 결합됨과 동시에 연질부(12)의 결합돌부(21)가 경질부(11)의 결합요부(22)에 결합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첩형 다층 이경도 완충체의 제조방법.
KR1020130149587A 2013-12-04 2013-12-04 중첩형 다층 이경도 완충체의 제조방법 KR201500648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587A KR20150064813A (ko) 2013-12-04 2013-12-04 중첩형 다층 이경도 완충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587A KR20150064813A (ko) 2013-12-04 2013-12-04 중첩형 다층 이경도 완충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813A true KR20150064813A (ko) 2015-06-12

Family

ID=53503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587A KR20150064813A (ko) 2013-12-04 2013-12-04 중첩형 다층 이경도 완충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481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10017A (zh) * 2017-07-21 2017-11-03 河北互兴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软硬双模模具及其制作方法
KR102071847B1 (ko) * 2019-08-05 2020-01-31 주식회사 현대공업 자동차 시트용 다중망 적층 이경도 완충체 및 그 제조용 금형
KR102131594B1 (ko) * 2019-09-09 2020-07-08 (주)현대공업 자동차 시트용 다중망 적층 이경도 완충체
KR20220059701A (ko) * 2020-11-03 2022-05-10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종 소재의 고분자 폼 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충격 흡수용 패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10017A (zh) * 2017-07-21 2017-11-03 河北互兴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软硬双模模具及其制作方法
CN107310017B (zh) * 2017-07-21 2024-04-19 河北互兴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软硬双模模具及其制作方法
KR102071847B1 (ko) * 2019-08-05 2020-01-31 주식회사 현대공업 자동차 시트용 다중망 적층 이경도 완충체 및 그 제조용 금형
KR102131594B1 (ko) * 2019-09-09 2020-07-08 (주)현대공업 자동차 시트용 다중망 적층 이경도 완충체
KR20220059701A (ko) * 2020-11-03 2022-05-10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종 소재의 고분자 폼 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충격 흡수용 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64813A (ko) 중첩형 다층 이경도 완충체의 제조방법
CN104995059B (zh) 用于车辆的头枕,以及用于制造所述头枕的方法
US8721821B2 (en) Seam fillers for use with decorative stitching of vehicle interior components
US6821465B1 (en) Door trim panel with integral soft armrest pad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US20140042767A1 (en) Vehicle interior components with decorative stitching
KR20240025064A (ko) 폼 시트 요소, 이의 제조 방법 및 몰드
JP6866740B2 (ja) シートクッション材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用発泡型
US20210009017A1 (en) Vehicle seating assembly with aesthetic trim cover assembly
US6505570B1 (en) Method for forming a foamed product integral with trim cover assembly
US20110156467A1 (en) Vehicle seat cush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50027B1 (ko) 가변 밀도 시팅 재료를 형성하는 시스템 및 장치
KR101778559B1 (ko) 소프트 타입 차량 내장부품 및 이의 제조방법
US9950654B1 (en) Method of making a headrest and headrest construction
US20030180513A1 (en) Foam par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6650360B2 (ja) 表皮一体発泡成形品
EP2386398A1 (en) A method for producing a foamed article
US8460587B2 (en) Method for producing a foamed article
JP2012228788A (ja) 発泡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9188973A (ja) 乗物用シート構成部材の製造方法
CN103612358A (zh) 用于成型带有气囊框的软质仪表板的发泡模具
JP2014151473A (ja) パネル
KR102131594B1 (ko) 자동차 시트용 다중망 적층 이경도 완충체
KR20170057478A (ko) 차량용 트렁크 보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71847B1 (ko) 자동차 시트용 다중망 적층 이경도 완충체 및 그 제조용 금형
JP2011110089A (ja) 車両用シートクッショ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