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4666A - 스팀조리기능이 있는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스팀조리기능이 있는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4666A
KR20150064666A KR1020140164069A KR20140164069A KR20150064666A KR 20150064666 A KR20150064666 A KR 20150064666A KR 1020140164069 A KR1020140164069 A KR 1020140164069A KR 20140164069 A KR20140164069 A KR 20140164069A KR 20150064666 A KR20150064666 A KR 20150064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airtight container
supplying device
accommodating portion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4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4874B1 (ko
Inventor
정규태
Original Assignee
정규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14909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40138005A/ko
Application filed by 정규태 filed Critical 정규태
Publication of KR20150064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4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4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adjustable volume; Tie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조리 기능이 있는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통상의 밀폐용기 내부로 스팀을 주입하여 밀폐용기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익히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즉 통상의 밀폐용기의 뚜껑이나 몸체의 일측에 스팀주입공과 과잉스팀배출공을 조형하고, 조형된 스팀주입공과 과잉스팀배출공에는각각 마개를 구비하여 마개를 닫은 상태에서는 밀폐용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각각의 마개를 연 상태에서는 스팀주입공에 연질 스팀조즐을 밀폐가 용이한 방식으로 결속하여 스팀을 주입함으로써 스팀의 열원을 이용한 스팀조리를 수행하며, 또한 밀폐용기의 내부에는 바닥에서 이격되고 통공이 다수개 조형된 분리판을 구비함으로써 바닥에 고여 차오르는 응축수에 의한 조리물의 침해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팀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스팀생성공급장치와, 상기 스팀생성공급장치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아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조리하는 스팀시루 기능이 있는 밀폐용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밀폐용기는,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의 하부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팀공급장치로부터 스팀을 공급받는 제2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스팀공급장치로부터 스팀을 공급받는 덮개와, 상기 스팀공급장치로부터 스팀을 공급받는 제2수용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팀조리기능이 있는 밀폐용기{a steamer of airtight container}
본 발명은 통상의 밀폐용기에 스팀시루 기능을 부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밀폐용기의 내부로 스팀을 주입하여 스팀의 열원을 이용한 스팀조리를 가능하게 하되, 밀폐용기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 스팀의 유실을 방지하면서 소정의 내부 압력이 확보됨으로써 조리 온도 상승에 의한 조리소요시간을 단축 효과가 있으며, 스팀조리 완료 후에는 누증, 누수, 누출현상을 방지하면서 조리물을 담은 그대로 보관과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스팀조리기능이 있는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용기는 음식물의 보관, 이동 등에 사용하며, 스팀조리기능으로 사용하기에 곤란하다. 즉 밀폐용기를 통째로 폐쇄된 공간에 넣어 고온의 스팀으로 가열하는 경우에 변형이 발생되거나, 밀폐된 그대로 폐쇄된 공간에 넣어 스팀을 주입하는 경우 밀폐용기 내부의 압력 증가로 인해 폭발할 수도 있고, 밀폐용기 내부의 밀도가 낮은 공기층으로 인해 열의 이동과 효율이 떨어져 음식물 조리 소요시간이 길어질 수 있어 스팀조리용기로 사용하기에 곤란하다.
일반적으로 스팀조리는 스팀시루, 찜기, 찜판 등을 이용한다. 통상의 스팀시루, 찜기, 찜판 등(이하 스팀시루로 통칭함)에는 구멍이 조형되어 있고 구멍을 통해 스팀을 이동시키고 음식물에 스팀을 쐬어 익히게 된다. 그런데 기존 통상의 스팀시루에는 제어가 곤란한 구멍이 나있어 단독으로 사용이 불가능했다.
그래서 스팀시루를 물을 끓일 물솥 상부에 올려 사용하거나, 찜기 찜판 등을 큰 용기의 내부에 넣어 사용하거나, 별도의 스팀발생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시루안치대의 상부 등에 장착하는 방식으로 사용해야만 했다. 또한 음식물을 담은 스팀시루는 구멍으로 누증, 누수, 누출 현상이 쉽게 일어나 보관이나 이동 등에 있어 사용하기 번거롭고 불편했다.
기존 통상의 전기찜기는 스팀시루를 다층으로 단순하게 쌓는 방식을 사용이어서 소정의 기밀성 확보가 곤란하였으며, 조리물이 담긴 스팀시루의 바닥으로 누증, 누수, 누출 현상이 쉽게 일어나 스팀시루에 음식물이 담긴 통째로 보관하거나 이동하기에 곤란하였다.
통상 군대에서는 많은 양의 밥을 일시에 한꺼번에 조리하기 위해 대형 압력 캐비넷에 스팀을 주입하는 방식으로 사용하기도 하나 그 크기와 용도는 제한적이어서 휴대와 이동에 곤란함이 있엇다.
종래 통상의 모든 스팀쿠커의 스팀조리방식은 스팀시루를 스팀조리용기로 채용하고 있으며, 채용한 스팀조리용기에 조형된 구멍으로 인해 발생되는 누증, 누수, 누출 발생 현상을 용이하게 제어하는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통상의 스팀쿠커는 주요 구성인 스팀발생장치와 조리부의 결속을 스팀이 새지 않도록 고정 결합하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탈착 분리하기가 곤란하였고, 스팀조리 완료 후에 조리물을 옮기려면 스팀발생장치와 조리부가 결합된 통째로 옮겨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또은 조리물을 반드시 다른 그릇에 옮겨담아 보관하거나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통상의 스팀쿠커는 조리된 음식물의 형상과 상품성을 보존(산업 당사자들에겐 중요한 경쟁력 요인이 됨.)하기 위해서는 스팀발생장치와 조리부가 결속된 그대로 통째로 옮겨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그래서 통상의 스팀쿠커는 스팀발생장치를 제외한 조리부 전체를 음식물이 담긴 통째로 분리하여 단독으로 사용하기가 곤란하다.
본 발명의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통상의 밀폐용기 내부로 고온의 스팀을 주입하여 음식물을 익히도록 하고, 스팀조리 중에 발생된 응축수가 음식물에 접촉하여 음식물이 물러지지는 등 조리물의 상품성이 훼손받지 않도록 하며, 밀폐용기 내부에 발생되는 과잉압력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첫번째 기술적 과제로 하며, 스팀조리 후에 다시 밀폐용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두번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상의 밀폐용기 내부로 스팀을 주입하여 스팀조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스팀주입공을 밀폐용기 바닥, 외벽, 덮개 등어느 일측에 조형할 수 있으며, 스팀주입공에는 스팀주입공의 내연에 조응되어 밀폐구조 형성이 용이하며 결속과 분리가 용이한 실리콘, 고무 등의 연질 스팀노즐을 구비할 수 있으며, 아울러 스팀조리를 종료하고 스팀노즐이 분리된 스팀주입공에는 연질 마개를 구비하여 반복적으로 밀폐용기 기능 수행을 언제든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밀폐용기 내부에 주입된 고온의 스팀에 의해 생성된 응축수가 바닥에 고이며 차올라 조리물을 침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분리판을 설치하여 분리판 위에 음식물을 수용하도록 하며, 분리판에는 스팀의 통과가 용이하도록 통공을 다수 조형할 수 있으며, 분리판의 재질로는 열에 강한 망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분리판 위의 음식물이 조리 과정에서 겔화되어 분리판의 통공을 막이 스팀이 이동을 막는 경우를 대비하여 분리판을 관통하는 스팀이동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밀폐용기 내부에 스팀의 주입으로 발생되는 과잉의 압력을 배출하기 위한 통공을 밀폐용기의 덮개나 외벽에 조형할 수 있고, 통공에는 자동압력배출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통상의 밀폐용기를 그대로 활용함으로써 조리물을 옮겨담아 보관하거나 이동할 필요가 없어 스팀조리물의 형상 보존과 상품성 보존 능력이 탁월함으로써 외식산업에서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통상의 밀폐용기를 활용함으로써 소정의 밀폐력 확보에 따른 스팀유실방지 효과,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으며, 소정의 압력 확보에 따라 조리온도가 향상됨으로써 조리소요시간 단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종래의 스팀조리방식에 비해 스팀조리를 간편용이하게 수행가능하게 함으로써, 물보다 몇십배에 달하는 조리 효과가 있는 스팀조리의 활용과 사용빈도를 증대할 수 있어 환경친화도가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팀조리용기와 스팀생성공급장치의 구성도
도 2의 a는 종래의 통상 찜기를 이용한 스팀조리방식 구조도
도 2의 b는 종래의 통상 스팀시루를 이용한 스팀조리방식 구조도
도 2의 c는 종래의 통상 스팀쿠커의 구성도
도 2의 d는 종래 통상의 별도 스팀생성장치와 시루안치대로 구성된 스팀시루를 이용한 스팀조리방식 구조도
도 2의 e는 종래 케비넷을 이용한 고온 고압의 대량 음식 조리용 스팀조리방식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노즐의 개념도.
아래에,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조리 기능이 있는 밀폐용기와 스팀생성공급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통상의 스팀생성공급장치(200)의 스팀 토출 단부에 결속되는 연질 스팀노즐(40)과, 연질 스팀노즐(40)이 끼움 결속과 분리가 용이하게 조응된 스팀주입공(11, 21)이 조형된 밀폐용기(100)로 이루어진다. 밀폐용기(100)에는 스팀주입공이 조형되는데, 스팀주입공은 밀폐용기의 외벽(11), 뚜껑(21), 바닥 등 밀폐용기(100)의 어느 일측에 조형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스팀주입공(11, 21)에는 마개(미도시)가 구비되어, 마개를 막아 놓은 상태에서는 밀폐용기의 기능을 지속하게 되며, 마개를 분리하여 스팀주입공을 개방한 후에 연질 스팀노즐(40)을 끼움 결속하면, 스팀주입공의 내단면에 연질 스팀노즐(40)의 외연 경사면이 밀착되어 눌리면서 탄력성 높은 임시요홈이 생성되어 밀폐력이 형성되며, 동시에 고온의 스팀이 주입되면서 온도가 상승하여 밀폐용기의 외벽과 스팀노즐이 팽창되고 밀착력은 더욱 높아져 스팀의 유출 방지 효과가 높아진다. 고온의 스팀 주입과 스팀 조리 과정이 종료되고 온도가 낮아지면서 밀폐용기의 외벽과 스팀노즐은 수축되면서 스팀주입공에서 스팀노즐의 분리가 용이해지고 임시 요홈은 복원된다. 상기 연질 스팀노즐(40)은 일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조형되며, 좁는 단부 쪽이 스팀주입공에 용이하게 진입가능한 이점이 있다.
연질 연질노즐(40)의 스팀인입 측에는 슬라이딩 부재(미도시)가 구비되는데, 슬라이딩 부재는 스팀이동관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슬라이딩 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연질 스팀노즐(40)의 외연 측을 커버하는 보호관(미도시)을 설치하게 하게 된다. 그리하여 연질 스팀노즐(40)이 외부의 이물질과 접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스팀 주입과정에서 분리판(12) 상부의 음식물 수용부(12a)에 담겨진 조리물에는 고온의 스팀 열이 작용하여 조리가 이루어지며, 밀폐용기 내부에 생성되는 과잉의 스팀 압력은 과잉스팀배출공(22)을 통해 자동배출된다. 과잉스팀배출공에는 자동압력조절수단(미도시)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밀폐용기(100) 내부로 주입되는 스팀이 식거나 응결되면서 생성되는 응축수가 밀폐용기(100)의 바닥에 고이며 차올라 음식물에 닿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폐용기(100)의 바닥과 이격된 분리판(12)을 설치한다. 분리판에는 스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통공이 다수개 조형되며, 분리판 위의 음식물이 겔화되어 분리판 상하간 연통구조가 막히면서 스팀의 이동이 단절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분리판을 상하로 관통하고 동시에 겔화된 음식물의 상하를 관통하는 스팀이동관(14)을 더 설치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밀폐용기(100)의 외벽 내연에는 걸림턱(15)을 하나 이상 다수개 더 조형하여 분리판을 걸쳐 다층 구조로 분할 사용 가능게 함으로써 동시에 어려가지 음식물 요리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살릴 수 있다.
나아가 밀폐용기(100)의 바닥에는 고이며 차오르는 응결수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면서 스팀의 유출을 방지하는 스팀트랩(13)을 설치할 수 있다. 물론 스팀트랩(13)이 설치되는 밀폐용기(100)의 바닥 하부에는 응축수 수거부(300)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며, 이를 이용하여 응축수에 의한 주변의 오염과 더렵혀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밀폐용기(100)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의 밀폐용기 내부로 스팀을 주입하여, 밀폐용기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며, 스팀의 내부에 수용된 수분이 뭉쳐져 발생되는 응결수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하도록함으로써 음식물과 응결수가 접하여 음식물의 조리 완성도와 상품성을 저하시키며 음식물의 맛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밀폐용기(100)에 관한 것이다. 즉 통상의 밀폐용기를 이용하여 스팀조리 기능을 수행가능하게 함으로써 더욱 에너지 효율과 조리소요시간을 단축하는 이점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0 : 본체 20:덮개 40 : 연질 스팀노즐
100 : 스팀시루 기능이 있는 밀폐용기
200 : 스팀공급장치.
12a : 제1수용부 12b : 제2수용부
300 : 응결수 수집장치

Claims (11)

  1. 스팀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스팀생성공급장치와,
    상기 스팀생성공급장치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아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조리하는 밀폐용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팀조리기능이 있는 밀폐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기는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는 제1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스팀생성공급장치로부터 스팀을 공급받는 덮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조리기능이 있는 밀폐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기는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의 하부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팀생성공급장치로부터 스팀을 공급받는 제2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스팀생성공급장치로부터 스팀을 공급받는 덮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조리기능이 있는 밀폐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는 절첩가능하게 주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조리기능이 있는 밀폐용기.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덮개에는 밀폐용기 내부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보다 높아지게 되면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는 압력조절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조리기능이 있는 밀폐용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용부의 하부에는 스팀에 의해 생성된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스팀트랩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조리기능이 있는 밀폐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조리기능이 있는 밀폐용기의 하부에는 응축수 수집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조리기능이 있는 밀폐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기의 어느 일측에 스팀주입공이 형성되고,
    스팀주입공에는 상기 스팀생성공급장치와 연결되는 노즐이 탈착분리 용이하게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조리기능이 있는 밀폐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이 연결되는 연결관에는 슬라이딩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노즐의 외측을 커버하는 보호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조리기능이 있는 밀폐용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분리판으로 분할되며,
    상기 제1수용부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분리판이 안착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조리기능이 있는 밀폐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의 내연에는 상기 분리판을 상하로 관통하는 스팀이동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조리기능이 있는 밀폐용기.
KR1020140164069A 2013-12-03 2014-11-24 스팀조리기능이 있는 밀폐용기 KR1016348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096A KR20140138005A (ko) 2013-05-24 2013-12-03 서빙 가능한 용기시루
KR1020130149096 2013-1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666A true KR20150064666A (ko) 2015-06-11
KR101634874B1 KR101634874B1 (ko) 2016-06-29

Family

ID=53510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4069A KR101634874B1 (ko) 2013-12-03 2014-11-24 스팀조리기능이 있는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87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09114A (zh) * 2015-12-28 2016-04-20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面盖推动结构及吸油烟机
CN105747839A (zh) * 2016-05-16 2016-07-13 陈宇 蒸汽煲
WO2017111538A1 (ko) * 2015-12-24 2017-06-29 정규태 스팀 조리용기
CN106287621B (zh) * 2016-01-29 2018-12-04 四川行之智汇知识产权运营有限公司 一种蒸汽发生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364B1 (ko) * 2017-03-30 2019-01-22 정규태 스팀 조리용기
KR101968859B1 (ko) 2018-02-08 2019-04-12 유승용 스팀 조리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8898A (ja) * 1992-05-08 1993-1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野菜収納容器、容器
KR20000031813A (ko) * 1998-11-10 2000-06-05 신창근 증기분사식 취사장치
KR100767450B1 (ko) * 2007-03-08 2007-10-17 박강수 스팀조리기
KR20130058226A (ko) * 2011-11-25 2013-06-04 정규태 멀티컵시루찜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8898A (ja) * 1992-05-08 1993-1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野菜収納容器、容器
KR20000031813A (ko) * 1998-11-10 2000-06-05 신창근 증기분사식 취사장치
KR100767450B1 (ko) * 2007-03-08 2007-10-17 박강수 스팀조리기
KR20130058226A (ko) * 2011-11-25 2013-06-04 정규태 멀티컵시루찜통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1538A1 (ko) * 2015-12-24 2017-06-29 정규태 스팀 조리용기
CN105509114A (zh) * 2015-12-28 2016-04-20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面盖推动结构及吸油烟机
CN106287621B (zh) * 2016-01-29 2018-12-04 四川行之智汇知识产权运营有限公司 一种蒸汽发生器
CN105747839A (zh) * 2016-05-16 2016-07-13 陈宇 蒸汽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4874B1 (ko) 201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4874B1 (ko) 스팀조리기능이 있는 밀폐용기
CN105919411B (zh) 一种密封式电饭锅
WO2018014806A1 (zh) 一种可提高蒸炖压力的炒锅及其使用密封圈
CN105286494B (zh) 电饭煲的盖板和电饭煲
CN108634771A (zh) 一种可自动调节气压的电饭锅
WO2015192756A1 (zh) 烹饪器具
KR101244277B1 (ko) 중탕기
KR100749356B1 (ko) 멸균기
KR20100009406U (ko) 휴대용 발열조리기구
KR101354786B1 (ko) 음식조리용 찜기
KR20200092831A (ko)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
KR101941364B1 (ko) 스팀 조리용기
CN114632008A (zh) 一种中药自循环煎煮锅及中药煎煮方法
US8809745B1 (en) Infant bottle and food warmer
CN105433765B (zh) 烹饪器具
KR101964559B1 (ko)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 조리용기
CN110736090A (zh) 一种具有自清洁功能的蒸汽发生系统及其蒸制烹饪装置
CN206327735U (zh) 一种多功能食品自加热袋
JP6706731B2 (ja) 炊飯器
KR100874216B1 (ko) 휴대용 떡시루 장치
CN207544914U (zh) 防溢锅装置及具有其的锅盖、锅具
CN209315617U (zh) 一种蒸汽食物盒及具有蒸汽食物盒的蒸汽烤箱/蒸箱
CN206792686U (zh) 食用菌高温灭菌设备
CN208941691U (zh) 一种汽锅蒸炉
CN209315616U (zh) 一种蒸汽食物盒及具有蒸汽食物盒的蒸汽烤箱/蒸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