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4519A - 쥐눈이콩 및 죽염의 발효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로회복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쥐눈이콩 및 죽염의 발효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로회복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4519A
KR20150064519A KR1020130149334A KR20130149334A KR20150064519A KR 20150064519 A KR20150064519 A KR 20150064519A KR 1020130149334 A KR1020130149334 A KR 1020130149334A KR 20130149334 A KR20130149334 A KR 20130149334A KR 20150064519 A KR20150064519 A KR 20150064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mixture
ginger
bamboo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9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6880B1 (ko
Inventor
최은아
박은주
최미주
서보영
Original Assignee
인산죽염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산죽염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산죽염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9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880B1/ko
Publication of KR20150064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4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61K36/725Ziziphus, e.g. juj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8Zingiber, e.g. garden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ll Biology (AREA)
  • Zo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쥐눈이콩(Rhynchosia Nulubilis L.) 및 죽염의 발효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로회복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i) 쥐눈이콩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 ii) 건강(乾薑); 및 iii) 생강 또는 민들레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운동능력을 향상시키고, 피로회복 기능을 하는 혈중 글루코즈, 젖산 및 BUN 농도를 증가시키며, 알코올 탈수소효소 활성을 증진시키고, 혈중 및 간조직 내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는 DNA 손상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상기 조성물을 피로회복 또는 숙취해소용 약제 또는 건강식품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Description

쥐눈이콩 및 죽염의 발효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로회복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FATIGUE OR ANTI-HANGOVER COMPRISING FERMENTED COMPOSITION OF RHYNCHOSIA NULUBILIS AND BAMBOO SALT}
본 발명은 쥐눈이콩(Rhynchosia Nulubilis L.) 및 죽염의 발효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로회복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쥐눈이콩, 죽염,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를 포함한 발효조성물, 생강, 건강 또는 민들레를 포함하는 피로회복 또는 숙취해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에 관한 것이다.
만성피로증후군, 고3병 등과 같이 최근 '피로'라는 단어는 우리의 일상생활과 매우 밀접하게 맞닿아 있다. 피로를 제거하기 위한 비타민 제제를 비롯한 에너지 음료, 자양강장제들이 속속 출시되고 있으나 과학적인 근거 및 기반은 미흡한 실정이다(Don B, Winner drinks, 1996. IFI 3: 20-23). 그에 반해 최근 천연물들을 대상으로 생리활성물질의 분리 및 작용기전에 관한 연구 등이 증가하고 있으며 피로회복 효과에 관한 연구 또한 예외는 아니다.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시험가이드의 2005년 개정판에는 종전에 없었던 피로회복 기능관련 시험편이 추가되었으며, 피로에 대한 명확한 의미를 스트레스와 구분지어 정의하고 있다. 피로란 운동 수행능력의 감소상태로 수면장애, 정신집중장애, 근육통 관절통, 두통, 인후통, 인파선염 등을 동반할 수 있으며 정신적인 활동능력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Gibson, HB. 1961, Spiral Maze, London University Press, Fukuda K. 1994, Ann Inter Med, 121;953-959). 인체는 피로한 상태에 놓이면 근육과 뇌 등의 대사기능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처럼 피로는 생리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요인도 복합되어 나타난다(Ahn ES, 2000 The Kor. J, Exe. Nutr, 4: 27-48).선행된 연구들을 살펴보면 이러한 기전들을 기초로 분석이 시행되었으며, G Phani Kumar 등에 의한 Trigonella foenum-graecum L를 이용한 항피로 효과 연구에서는 운동시간 향상효과, 혈중 BUN, 글루코즈, 젖산 농도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 운동시간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향상되어 운동수행능력이 증가하였으며, 혈중 글루코즈를 제외한 BUN과 젖산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항피로 효과를 보여주었다(G. Phani Kumar. 2013. Pharmacognosy J. 5:66-71). You 등의 loach(Misgurnus anguillicaudatus) peptides를 이용한 항산화 및 항피로 연구에서 운동시간 향상효과 및 혈중 글루코즈 및 젖산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앞의 선행 연구와 동일하게 운동시간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혈중 글루코즈, 젖산 농도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You L, J Agric Food Chem. 2011. 27;(14):7948-53). 또한 Anand의 Bacopa monniera를 이용하여 항피로 연구에서 역시 운동시간 향상효과와 혈중 BUN, 젖산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운동으로 인한 피로에 의해 운동효과는 감소하였고, 혈중 BUN, 젖산 농도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Anand T. Phytother Res. 2012. 26:587-93).
체내에 에너지대사 과정에 일어나는 일련의 반응들을 매개로 분석되어진 것으로 체내 유입되는 산소의 유무에 따라 해당과정과 TCA 회로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유입되는 산소량보다 요구되는 산소량이 많아지면 해당작용과 TCA 회로의 대사적 연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근육조직의 젖산 농도가 증가하게 되고, 이때 생성된 젖산은 혈액으로 방출된다. 이처럼 젖산이 축적되면 체내 산성화가 초래되어 운동 중 당질대사에 관여하는 포스포릴라아제(phosphorylase) 활성이 저해되어 결과적으로는 무산소 상태에서 운동에너지 급원이 되는 글루코즈 신생합성이 억제된다. 따라서 혈중 글루코즈가 근육으로 유입되어 혈중 농도가 감소하게 되면 피로를 느끼게 되고, 운동능력이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탄수화물에서 제공되어야 하는 에너지가 공급이 되지 못할 경우, 근육 내 단백질이 분해되어 탈아미노반응에 의해 에너지를 생성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BUN과 같은 물질의 축적이 증가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과도한 운동은 체내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고 이는 산화물과 항산화물 사이의 균형을 깨뜨리면서 체내 산화물의 농도가 높아진다. 항산화란 생체 내 에너지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전자전달체계가 활성산소(ROS, Reactive oxygen species)에 의해 생성된 산화 정도를 조절하거나 산화물을 제거하는 체계로 이 과정에서 과생성된 활성산소종의 수준을 정상으로 돌려놓거나 생성을 억제시킬 수 있는 방어기전을 뜻하며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방어체계로 최근 질병의 원인이 되는 하나의 독립적인 기전으로 주목받고 있다(Halliwell B, Biochem Soc Trans 35: 1147-1105. 2007).
피로회복은 24시간 돌아가는 현대사회에 일에 대한 집중력을 증대시켜 업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사회적 요인이 된다. 그러나 피로회복에 관한 사람들의 관심은 증대되고 있는 반면, 천연물을 이용한 피로회복 기능성 식품보다는 카페인에 의존한 에너지음료들이 우후죽순처럼 판매되고 이를 무분별하게 섭취함으로써 청소년의 건강에까지 위협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에서 술은 사회생활과 대인관계를 유지하는데 빠질 수 없는 존재로 인식될 만큼 음주가 생활화되어 있다. 지난해 국세청은 우리나라 성인 남녀의 1인당 술 소비량을 소주는 72.42병, 맥주는 79.79병, 위스키는 1.71병으로 집계했으며 이는 전년대비 2.43% 증가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술 소비량이 늘어난 것은 여성 음주인구의 증가 및 저도주 보급 증가 등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주류업계는 분석하고 있다. 우리나라 음주의 행태를 살펴보면 매일같이 식사와 더불어 즐기는 서양 사람들과 달리, 한 번에 많은 양의 술을 소비하는 과음 또는 폭음의 비율이 높고, 이는 개인적인 건강악화뿐만 아니라 집중력 저하에 따른 업무 생산능력 저하와 같은 사회적인 병폐를 야기하게 된다. 음주 후 숙취 증상의 원인으로는 탈수, 알코올 및 알코올 대사 산물의 독성, 흡수장애에 의한 영양소 결핍 등이 알려져 있으며, 특히 숙취 증상의 주된 원인물질로 알려진 아세트알데히드의 혈중 농도가 높아지면 혈압이 저하되고 뇌로의 혈액순환이 나빠져 두통을 일으키거나 메스꺼움, 구토, 현기증, 탈수로 인한 갈증, 설사, 호르몬의 변조 및 근육통 등을 야기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체내의 알코올 대사는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가 되고 다시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에 의해 산화되어 아세트산(acetic acid)으로 되고 최종적으로는 요와 CO2 등으로 배설된다. 알코올이 산화되어 만들어진 일차 대사 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는 숙취의 주요한 인자이며, 알코올 섭취 시 체내의 독성작용을 통해 알코올 그 자체보다 아세트알데히드에 의한 숙취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 체내에서 생성된 아세트알데히드는 뇌로 전해져 많은 유해 화합물로 바뀌어 맥박 증가나 발한 홍조, 오심, 구토 등의 증상을 초래할 수 있다.
숙취 해소 효과가 있는 기능성 식품에 대한 연구 개발 및 특허 출원이 활발한 실정이다. 특허청에 따르면, 매년 20건 이상이 출원되고 있으며 매년 증가추세에 있다고 보고한 바 있다. 따라서 숙취해소 음료에 대한 시장성은 이미 포화상태이므로 단순한 숙취해소 기능을 넘어선 제품의 부가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는 기능성이 부여된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을 것으로 보여진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숙취해소 또는 피로회복의 기능을 가지는 새로운 음료를 개발하기 위해 예의노력한 결과, 죽염과 쥐눈이콩의 발효조성물, 생강, 및 건강 또는 민들레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에 다양한 부재료를 첨가한 조성물이 운동능력향상, 숙취해소 또는 피로회복 관련 효소 활성, 혈중 및 간조직내 항산화 활성, 및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해 유발되는 DNA 손상 보호 활성을 갖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조성물들을 숙취해소 또는 피로회복을 위한 약제 또는 건강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쥐눈이콩, 죽염, 밭마늘, 유황오리 및 유근피를 이용하여 발효조성물을 만들고, 여기에 전통 약재로 사용하는 생강 및 건강 등을 첨가하여 제조된 피로회복 효과가 있는 약제 또는 건강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쥐눈이콩, 죽염, 밭마늘, 유황오리 및 유근피를 이용하여 발효조성물을 만들고, 여기에 전통 약재로 사용하는 생강 및 민들레 등을 첨가하여 제조된 숙취해소 효과가 있는 약제 또는 건강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i) 쥐눈이콩(Rhynchosia Nulubilis L.)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20내지60->3 내지 60중량%; ii) 건강(乾薑) 10 내지 30 중량%; 및 iii) 생강 10 내지 30->60중량%를 포함하는 피로회복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쥐눈이콩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 203내지 60 중량%; ii) 건강 10 내지 30 중량%; 및 iii) 생강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피로회복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쥐눈이콩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3내지20 60 중량%; ii) 건강 10 내지 30 중량%; 및 iii) 생강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운동능력향상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쥐눈이콩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3내지20 내지 60 중량%; ii) 건강 10 내지 30 중량%; 및 iii) 생강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운동능력향상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쥐눈이콩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3내지20 내지 60 중량%; ii) 건강 10 내지 30 중량%; 및 iii) 생강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혈중 항산화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쥐눈이콩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3내지20 내지 60 중량%; ii) 건강 10 내지 30 중량%; 및 iii) 생강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혈중 항산화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쥐눈이콩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3내지20 내지 60 중량%; ii) 건강 10 내지 30 중량%; 및 iii) 생강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혈중 항산화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쥐눈이콩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3내지20 내지 60 중량%; ii) 건강 10 내지 30 중량%; 및 iii) 생강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혈중 항산화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쥐눈이콩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3내지20 내지 60 중량%; ii) 건강 10 내지 30 중량%; 및 iii) 생강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DNA 손상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쥐눈이콩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3내지20 내지 60 중량%; ii) 건강 10 내지 30 중량%; 및 iii) 생강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DNA 손상 보호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쥐눈이콩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3내지5 내지 20 중량%; ii) 생강 20 내지 75 중량%; 및 iii) 민들레 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쥐눈이콩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3내지5 내지 20 중량%; ii) 생강 20 내지 75 중량%; 및 iii) 민들레 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쥐눈이콩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3내지5 내지 20 중량%; ii) 생강 20 내지 75 중량%; 및 iii) 민들레 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ADH(alcohol dehydrogenase) 활성 증진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쥐눈이콩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3내지5 내지 20 중량%; ii) 생강 20 내지 75 중량%; 및 iii) 민들레 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ADH 활성 증진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쥐눈이콩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3내지5 내지 20 중량%; ii) 생강 20 내지 75 중량%; 및 iii) 민들레 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간 조직에 대한 항산화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쥐눈이콩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3내지5 내지 20 중량%; ii) 생강 20 내지 75 중량%; 및 iii) 민들레 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간 조직에 대한 항산화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쥐눈이콩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3내지5 내지 20 중량%; ii) 생강 20 내지 75 중량%; 및 iii) 민들레 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DNA 손상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i) 쥐눈이콩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 53내지내지 20 중량%; ii) 생강 20 내지 75 중량%; 및 iii) 민들레 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DNA 손상 보호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죽염과 쥐눈이콩의 발효조성물, 생강 및 건강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투여한 동물 모델에 대해 체중, 섭취율 및 장기 무게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운동능력을 향상시키고, 피로회복 기능을 하는 혈중 글루코즈, 젖산 및 BUN 농도를 증가시키며, 혈중 항산화효소인 카탈라아제(Catalase)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운동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는 DNA 손상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죽염과 쥐눈이콩의 발효조성물, 생강 및 민들레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투여한 동물 모델에 대해 체중, 섭취율 및 장기 무게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ADH(alcohol dehydrogenase) 활성을 증가시키고, 간 조직으로부터 항산화 효소인 카탈라아제(Catalase) 및 슈퍼 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uper oxide dismutase, SOD)의 활성을 증가시키며, 알코올에 의해 유발되는 DNA 손상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에 다양한 부재료를 첨가한 조성물은 피로회복 또는 숙취해소를 위한 약제 또는 건강식품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로회복용 조성물의 섭취에 의한 운동능력 향상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NC: 정상 대조군(Normal control)(수영하지 않음), S: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Swimming-induced fatigue), S + A 1X: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 20% 개발조성물, S + A 5X: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 100% 개발조성물, S + B: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 항피로 음료(Antifatigue beverage), A: 수영하지 않음(None swimming) + 20% 개발조성물, A 5X: 수영하지 않음 + 100% 개발조성물;
평균 ± 표준편차(Mean ± SE); 및
칼럼 내에 다양한 첨자를 가진 수치는 p<0.05에서 유의적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로회복용 조성물의 섭취에 의한 항산화 효소 활성 증가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NC: 정상 대조군(Normal control)(수영하지 않음), S: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Swimming-induced fatigue), S + A 1X: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 20% 개발조성물, S + A 5X: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 100% 개발조성물, S + B: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 항피로 음료(Antifatigue beverage), A: 수영하지 않음(None swimming) + 20% 개발조성물, A 5X: 수영하지 않음 + 100% 개발조성물;
평균 ± 표준편차(Mean ± SE); 및
칼럼 내에 다양한 첨자를 가진 수치는 p<0.05에서 유의적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섭취에 의한 알코올로 유도된 간장 알코올 탈수소효소(hepatic alcohol dehydrogenase) 활성 증가의 감소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칼럼 내에 다양한 첨자를 가진 막대는 p<0.05에서 유의적임; 및
NC: 정상 대조군(Normal control)(알코올을 공급하지 않음), PC: 6 g/kg/day 알코올 공급, Alcohol + A 1X: 6 g/kg/day 알코올 공급 + 20% 개발조성물, Alcohol + A 5X: 6 g/kg/day 알코올 공급 + 100% 개발조성물, Alcohol + B: 6 g/kg/day 알코올 공급 + 숙취음료(Hangover drink).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i) 쥐눈이콩(Rhynchosia Nulubilis L.)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3내지20 내지 60 중량%; ii) 건강(乾薑) 10 내지 30 중량%; 및 iii) 생강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피로회복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쥐눈이콩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3내지20 내지 60 중량%; ii) 건강(乾薑) 10 내지 30 중량%; 및 iii) 생강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운동능력향상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쥐눈이콩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3내지20 내지 60 중량%; ii) 건강(乾薑) 10 내지 30 중량%; 및 iii) 생강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혈중 항산화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쥐눈이콩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3내지20 내지 60 중량%; ii) 건강(乾薑) 10 내지 30 중량%; 및 iii) 생강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혈중 항산화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쥐눈이콩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3내지20 내지 60 중량%; ii) 건강(乾薑) 10 내지 30 중량%; 및 iii) 생강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DNA 손상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은
a) 쥐눈이콩과 죽염을 1:0.5~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를 1 : 1 내지 1.5 : 2 내지 3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열수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a)의 혼합물과 상기 단계 b)의 추출물을 혼합한 후 발효 및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런 제조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3내지20 내지 30 중량%, 건강 10 내지 20 중량%, 및 생강 10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쥐눈이콩 발효조성물 25 중량%, 건강 15 중량%, 및 생강 11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대추, 맥아, 계피, 마늘, 감초 및 산양삼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부재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 부재료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대추 10 내지 20 중량%, 맥아 10 내지 20 중량%, 계피 1 내지 2중량%, 마늘 10 내지 20 중량%, 감초 1 내지 2중량%, 및 산양삼 추출물 1 내지 2중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추 107 중량%, 맥아 15 중량%, 계피 1중량%, 마늘 14 중량%, 감초 1중량%, 및 산양삼 추출물 1중량%을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성물이 운동능력을 향상시키고, 피로회복 기능을 하는 혈중 글루코즈, 젖산 및 BUN 농도를 증가시키며, 혈중 항산화효소인 카탈라아제(Catalase)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운동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는 DNA 손상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피로회복용 약학적 조성물의 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i) 쥐눈이콩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3내지5 내지 20 중량%; ii) 생강 20 내지 75 중량%; 및 iii) 민들레 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쥐눈이콩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3내지5 내지 20 중량%; ii) 생강 20 내지 75 중량%; 및 iii) 민들레 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ADH(alcohol dehydrogenase) 활성 증진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쥐눈이콩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3내지5 내지 20 중량%; ii) 생강 20 내지 75 중량%; 및 iii) 민들레 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간 조직에 대한 항산화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쥐눈이콩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3내지5 내지 20 중량%; ii) 생강 20 내지 75 중량%; 및 iii) 민들레 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DNA 손상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은
a) 쥐눈이콩과 죽염을 1:0.5~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를 1 : 1 내지 1.5 : 2 내지 3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열수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a)의 혼합물과 상기 단계 b)의 추출물을 혼합한 후 발효 및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런 제조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감초, 대추, 맥아효소, 무엿추출물, 산양삼추출물, 계피 및 둥글레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부재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 부재료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감초 1 내지 5중량%, 대추 10 내지 20중량%, 맥아효소 15 내지 30중량%, 무엿 추출물 5 내지 15중량%, 산양삼 추출물 1 내지 2중량%, 계피 1 내지 2중량% 및 둥글레 추출물 10 내지 20중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감초 2중량%, 대추 15중량%, 맥아효소 20중량%, 무엿 추출물 10중량%, 산양삼 추출물 1중량%, 계피 1중량% 및 둥글레 추출물 15중량%을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성물이 ADH(alcohol dehydrogenase) 활성을 증가시키고, 간 조직으로부터 항산화 효소인 카탈라아제(Catalase) 및 슈퍼 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uper oxide dismutase, SOD)의 활성을 증가시키며, 알코올에 의해 유발되는 DNA 손상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숙취해소용 약학적 조성물의 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로는 전분, 젤라틴화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포비돈, 콜로이달실리콘디옥사이드, 인산수소칼슘, 락토스, 만니톨, 엿, 아라비아고무, 전호화전분, 옥수수전분, 분말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오파드라이, 전분글리콜산나트륨, 카르나우바 납, 합성규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칼슘, 백당, 덱스트로스, 소르비톨 및 탈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에 대해 0.1 ~ 9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실제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내주사, 직장내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일일 투여량은 조성물의 양을 기준으로 0.001 내지 1000 mg/kg이고,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 mg/kg이며, 하루 1 ~ 6 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피로 또는 숙취에 대한 개선 및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i) 쥐눈이콩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3내지20 내지 60 중량%; ii) 건강(乾薑) 10 내지 30 중량%; 및 iii) 생강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피로회복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쥐눈이콩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3내지20 내지 60 중량%; ii) 건강(乾薑) 10 내지 30 중량%; 및 iii) 생강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운동능력향상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쥐눈이콩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3내지20 내지 60 중량%; ii) 건강(乾薑) 10 내지 30 중량%; 및 iii) 생강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혈중 항산화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쥐눈이콩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3내지20 내지 60 중량%; ii) 건강(乾薑) 10 내지 30 중량%; 및 iii) 생강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혈중 항산화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쥐눈이콩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3내지20 내지 60 중량%; ii) 건강(乾薑) 10 내지 30 중량%; 및 iii) 생강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DNA 손상 보호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 203내지내지 30 중량%, 건강 10 내지 20 중량%, 및 생강 10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쥐눈이콩 발효조성물 25 중량%, 건강 15 중량%, 및 생강 11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대추, 맥아, 계피, 마늘, 감초 및 산양삼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부재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 부재료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대추 10 내지 20 중량%, 맥아 10 내지 20 중량%, 계피 1 내지 2중량%, 마늘 10 내지 20 중량%, 감초 1 내지 2중량%, 및 산양삼 추출물 1 내지 2중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추 107 중량%, 맥아 15 중량%, 계피 1중량%, 마늘 14 중량%, 감초 1중량%, 및 산양삼 추출물 1중량%을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i) 쥐눈이콩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3내지5 내지 20 중량%; ii) 생강 20 내지 75 중량%; 및 iii) 민들레 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쥐눈이콩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3내지5 내지 20 중량%; ii) 생강 20 내지 75 중량%; 및 iii) 민들레 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ADH(alcohol dehydrogenase) 활성 증진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쥐눈이콩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3내지5 내지 20 중량%; ii) 생강 20 내지 75 중량%; 및 iii) 민들레 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간 조직에 대한 항산화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쥐눈이콩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3내지5 내지 20 중량%; ii) 생강 20 내지 75 중량%; 및 iii) 민들레 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DNA 손상 보호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감초, 대추, 맥아효소, 무엿추출물, 산양삼추출물, 계피 및 둥글레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부재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 부재료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감초 1 내지 5중량%, 대추 10 내지 20중량%, 맥아효소 15 내지 30중량%, 무엿 추출물 5 내지 15중량%, 산양삼 추출물 1 내지 2중량%, 계피 1 내지 2중량% 및 둥글레 추출물 10 내지 20중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감초 2중량%, 대추 15중량%, 맥아효소 20중량%, 무엿 추출물 10중량%, 산양삼 추출물 1중량%, 계피 1중량% 및 둥글레 추출물 15중량%을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보조식품을 모두 포함하며, 이들 건강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비타민 복합제 및 각종 스프류,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 중에서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당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0.10 g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제조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제조예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피로회복용 조성물의 제조
<1-1> 쥐눈이콩 발효조성물의 제조
주재료로서 발효된 쥐눈이콩(Rhynchosia Nulubilis L.) 20 kg 및 죽염 20 kg의 혼합물을 제조한 후, 부재료로서 유근피 1.05 kg, 밭마늘 1.4 kg 및 유황오리 2.6 kg를 60 L의 물에서 열수 추출한 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이들 주재료와 부재료를 혼합한 후 3개월간 발효 및 숙성시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각 시료는 인산죽염촌을 통해 국내산으로 제공받았다.
<1-2> 1차 피로회복용 조성물의 제조
쥐눈이콩 발효조성물, 건강(乾薑) 및 생강을 이용하여 하기의 배합비로 혼합한 후, 물 20배수를 첨가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재료명 배합비(%) 단위(g)
쥐눈이콩 발효조성물 46.7 467
건강 30 300
생강 23.3 233
합계 100 1,000
<1-3> 2차 피로회복용 조성물의 제조
상기 1차 피로회복용 조성물에 추가적으로 부재료로서 대추, 맥아, 계피, 마늘 및 산양삼 열수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의 배합비로 혼합한 후, 물 20배수를 첨가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재료명 배합비(%) 단위(g)
쥐눈이콩 발효조성물 25 250
건강 15 150
생강 11 110
대추 17 170
맥아 15 150
계피 1 10
마늘 14 140
감초 1 10
산양삼 추출물 1 10
합계 100 1,000
<실시예 2> 피로회복 효과 검증을 위한 실험동물의 준비 및 사육
5주령 SD 랫트(Sprague-Dawley rat)를 1주일간 실험실 환경에 적응하게 한 후 본 실험에 앞서 수영 적응 운동을 10분간 30-33℃의 수온에서 실시하였다. 피로유발을 위한 운동은 1회 40분간 주 5회 실시하였으며 4주간 사육하였다. 물의 온도는 30℃를 유지하도록 하였으며, 모든 군은 동일한 실험조건을 위해 일정한 시간 운동을 실시하였다(2005. 건강기능식품기능성시험가이드 참조).
각 그룹은 양성 대조군(NC), 피로유발군(S), 운동 + 실시예 <1-2>의 조성물 투여군[운동 + 저농도 개발조성물(S + A 1X), 운동 + 고농도 개발조성물(S + A 5X), 운동 + 시판음료(S + B), 실시예 <1-2>의 조성물 투여군[저농도 개발조성물(A 1X), 고농도 개발조성물(A 5X)] 군으로 나누어 각각 4주 동안 경구 투여하였으며 운동 30분 전 투여하였다. 양성대조군과 운동군은 동일한 스트레스를 유발하기 조성물 대신 동일 양의 생리식염수를 경구 투여하였다. 4주간 섭취한 식이조성은 하기 표 3과 같다.
식이조성표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수용하지 않음
NC1) S S + A 1X S+ A 5X S + B A 1X A 5X
카제인(Casein) 18.0 18.0 18.0(%) 18.0 18.0 18.0 18.0
옥수수 전분(Corn starch) 50.5 50.5 50.5 50.5 50.5 50.5 50.5
설탕(Sucrose)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콩기름(Soybean oil)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샐룰로오스(Cellulose) 6.5 6.5 6.5 6.5 6.5 6.5 6.5
비타민 혼합물(Vitamin mixture)2) 1.0 1.0 1.0 1.0 1.0 1.0 1.0
미네랄 혼합물(Mineral mixture)3) 3.5 3.5 3.5 3.5 3.5 3.5 3.5
콜린 비타르트레이트(Choline bitartarate) 0.2 0.2 0.2 0.2 0.2 0.2 0.2
L-시스테인(L-cystein) 0.3 0.3 0.3 0.3 0.3 0.3 0.3
BHT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음료(Beverage) (A) - - 20.0 100.0 - 20.0 100.0
상업적 음료(Commercial Beverage) (B) - - - - 100.0 - -
각 수치의 단위는 %임.
1)NC: 정상 대조군(Normal control)(수영하지 않음), S: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Swimming-induced fatigue), S + A 1X: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 20% 개발조성물, S + A 5X: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 100% 개발조성물, S + B: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 항피로 음료(Antifatigue beverage), A: 수영하지 않음(None swimming) + 20% 개발조성물, A 5X: 수영하지 않음 + 100% 개발조성물.
2)AIN 93 비타민 혼합물(vitamin mixture)은 다음을 포함한다(혼합물 중 g/kg 내): 티아민(thiamine) HCl 0.6; 리보플라빈(riboflavin) 0.6; 피리독신(pyridoxine) HCl 0.7; 니아신(niacin) 3) d-칼슘 판토텐산염(d-calcium pantothenate) 1.6; 엽산(folic acid) 0.2; d-비오틴(d-biotin) 0.02; 시아노코발라민(cyanocobalamin)(비타민 B12) 2.5; 건조 비타민 A 팔미테이트(dry vitamin A palmitate)(500,000 U/d) 0.8; 건조 비타민 E 아세테이트(dry vitamin E acetate)(500 U/d) 15; 비타민 D3 배산(vitamin D3 trituration)(400,000 U/g) 0.25; 비타민 K1 0.075 메나디온 아황산수소나트륨 복합체(menadione sodium bisulfite complex) 0.15; 잘게 분말화된 설탕(sucrose finely powdered) 981.08.
3)AIN 93 미네랄 혼합물(mineral mixture)은 다음을 포함한다(혼합물 중 g/kg 내): 인산칼슘(calcium phosphate), 2염기성(dibasic) 500;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74; 구연산칼륨(potassium citrate), 일수화물(monohydrate) 220; 황산칼륨(potassium sulfate) 52; 산화마그네슘(magnesium oxide) 24; 탄산망간(manganous carbonate)(43-48% Mn) 3.5; 구연산철(ferric citrate)(16-17% Fe) 6; 탄산아연(zinc carbonate)(70% ZnO) 1.6; 탄산제2동(cupric carbonate)(53-55% Cu) 0.3; 요오드염(potassium iodate) 0.01; 아셀렌산나트륨(sodium selenite) 0.01; 황산크롬칼륨(chromium potassium sulfate) 0.55; 잘게 분말화된 설탕(sucrose, finely powdered) 118.03.
시료의 수집 및 처리는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실험동물을 희생시키기 전 12시간 동안 금식을 시킨 후, 드라이아이스에서 발생하는 CO2를 이용하여 마취하였으며 복부 대동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고 헤파린으로 응고를 방지하였다. 혈액을 3000 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장과 적혈구를 분리하여 분석시까지 -70℃에 냉동 보관하였다. 실험동물의 장기는 적출하여 생리식염수에 세척한 후, 흡수지로 물기를 제거하고 무게를 측정한 후 간은 액체질소로 급속 냉동시킨 후 분석 시까지 -70℃에 냉동 보관하였다.
<실시예 3> 피로회복 효과 검증을 위한 실험동물에 미치는 영향 확인
<3-1> 실험동물의 체중 및 식이에 미치는 영향 확인
개발조성물이 실험동물의 체중 및 식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실험기간 중 실험동물의 식이 섭취량은 차이가 있었으나, 체중증가량, 식이효율 및 조성물의 섭취량은 각 그룹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
개발조성물 섭취에 의한 체중증가량,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에 미치는 영향
체중 (g) 식이 섭취량 (g) FER2)(%) 조성물 섭취량(mL)
NC1) 95.0 ± 2.53)c4) 15.7 ± 0.1b 0.23 ± 0.01b -
PC 89.9 ± 2.4ab 15.8 ± 0.1b 0.20 ± 0.01a -
S + A 1X 79.0 ± 5.1ab 16.2 ± 0.1c 0.19 ± 0.01a 7.4 ± 0.2b
S + A 5X 74.5 ± 3.1a 15.4 ± 0.2b 0.19 ± 0.01a 7.2 ± 0.1ab
S + B 78.7 ± 3.4ab 15.3 ± 0.2b 0.20 ± 0.01a 7.5 ± 0.1b
A 1X 85.4 ± 4.4bc 15.5 ± 0.2b 0.21 ± 0.01ab 6.9 ± 0.3ab
A 5X 82.0 ± 2.9ab 14.7 ± 0.2a 0.21 ± 0.01ab 6.5 ± 0.5a
1)NC: 정상 대조군(Normal control)(수영하지 않음), S: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Swimming-induced fatigue), S + A 1X: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 20% 개발조성물, S + A 5X: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 100% 개발조성물, S + B: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 항피로 음료(Antifatigue beverage).
2)FER: 식이효율(Food efficiency rate).
3)평균 ± 표준편차(Mean ± SE).
4)칼럼 내에 다양한 첨자를 가진 수치는 p<0.05에서 유의적임.
<3-2> 실험동물의 장기 무게에 미치는 영향 확인
개발조성물이 실험동물의 장기 무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4주간 일정한 운동으로 피로를 유발하며 개발조성물을 먹인 후의 뇌, 간, 신장, 심장, 비장의 무게에서 그룹 간의 특이사항을 확인할 수 없었으며, 가자미근과 비복근의 무게에서도 유의적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표 5).
개발조성물 섭취에 의한 장기 무게에 미치는 영향
신장 심장 비장 가자미근 비복근
NC1) 0.74 ± 0.012)a3) 2.73 ± 0.07ab 0.74 ± 0.01ab 0.41 ± 0.01ab 0.22 ± 0.01b 0.05 ± 0.00ns4) 0.49 ± 0.05ns
PC 0.76 ± 0.01ab 2.77 ± 0.06ab 0.71 ± 0.01a 0.43 ± 0.01bc 0.20 ± 0.00ab 0.05 ± 0.00 0.45 ± 0.01
S + A 1X 0.74 ± ◎0.02ab 2.16 ± 0.06c 0.76 ± 0.02ab 0.45 ± 0.01c 0.20 ± 0.01ab 0.04 ± 0.00 0.46 ± 0.02
S + A 5X 0.78 ± ◎0.02b 2.17 ± 0.10c 0.78 ± 0.02b 0.44 ± 0.01bc 0.19 ± 0.01a 0.05 ± 0.00 0.42 ± 0.03
S + B 0.77 ± 0.01ab 2.93 ± 0.04b 0.74 ± 0.02ab 0.44 ± 0.01bc 0.21 ± 0.01ab 0.04 ± 0.00 0.45 ± 0.01
A 1X 0.74 ± 0.01ab 2.85 ± 0.08ab 0.74 ± 0.02ab 0.49 ± 0.01a 0.22 ± 0.01b 0.05 ± 0.00 0.36 ± 0.05
A 5X 0.73 ± 0.03a 2.68 ± 0.08a 0.75 ± 0.03ab 0.38 ± 0.02a 0.22 ± 0.01b 0.05 ± 0.00 0.38 ± 0.04
1)NC: 정상 대조군(Normal control)(수영하지 않음), S: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Swimming-induced fatigue), S + A 1X: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 20% 개발조성물, S + A 5X: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 100% 개발조성물, S + B: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 항피로 음료(Antifatigue beverage).
2) 평균 ± 표준편차(Mean ± SE).
3)칼럼 내에 다양한 첨자를 가진 수치는 p<0.05에서 유의적임.
4) ns: 유의적이지 않음.
<실시예 4> 운동수행능력 향상 효과 확인
랫트의 꼬리에 유리구슬을 묶은 후 수영유지 시간을 분석하였다. 쥐의 코가 5초 이상 잠기는 시점을 기준으로 가라앉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만성적인 피로에 의한 운동수행능력을 분석하기 위해 4주간 운동과 개발조성물 투여를 함께한 후 분석을 시행하였고, 피로에 대한 예방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만성적인 조성물 투여 후 운동수행능력을 분석하기 위해 4주간 운동으로 인한 스트레스 없이 개발조성물만을 투여 후 운동수행능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운동을 4주 후 1회 시행한 NC군에 비해 4주간 운동유도 피로 유발군에서는 운동시간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개발조성물 투여시 S군에 비해 5X의 개발조성물을 투여한 군에서 27%의 운동수행능력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시판음료의 효과가 36%인 것과 비슷한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개발조성물을 4주간 섭취 후 급성적인 운동을 수행하였을 때, 운동 수행능력이 NC에 비해 A 1X군에서 153%, A 5X군에서 67%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6, 표 7 및 도 1). 따라서 개발조성물의 섭취는 근육의 피로도를 감소시켜 운동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수영으로 유도된 만성피로의 SD 랫트에서 수영시간에 대한 개발조성물의 효과
4주간 공급 (min)
NC1) 11.1 ± 0.92)a3)
C 0.5 ±7.5b
S + A 1X 3.4 ± 13.7b
S + A 5X 9.5 ± 17.3bc
S + B 6.0 ± 20.8c
1)NC: 정상 대조군(Normal control)(수영하지 않음), S: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Swimming-induced fatigue), S + A 1X: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 20% 개발조성물, S + A 5X: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 100% 개발조성물, S + B: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 항피로 음료(Antifatigue beverage).
2) 평균 ± 표준편차(Mean ± SE).
3)칼럼 내에 다양한 첨자를 가진 수치는 p<0.05에서 유의적임.
SD 랫트에서 수영시간에 대한 개발조성물의 효과
4주간 공급 (min)
NC1) 11.1 ± 0.92)a3)
A 1X 28.1 ± 7.7b
B 1X 18.5 ± 2.8a
1)NC: 정상 대조군(Normal control)(수영하지 않음), S: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Swimming-induced fatigue), S + A 1X: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 20% 개발조성물, S + A 5X: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 100% 개발조성물, S + B: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 항피로 음료(Antifatigue beverage).
2) 평균 ± 표준편차(Mean ± SE).
3)칼럼 내에 다양한 첨자를 가진 수치는 p<0.05에서 유의적임.
<실시예 4> 혈중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 확인
각 실험군의 실험동물로부터 획득한 혈액으로부터 간 기능을 분석할 수 있는 효소인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와 ALT(alanine aminotransferase)를 시판용 분석 시약(JW Pharmaceutical, Korea)을 사용하여 기질과 효소반응을 이용한 비색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AST 및 ALT의 활성 분석에서 모든 그룹에서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표 8). 따라서 개발조성물을 장기 복용하여도 간독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발조성물 섭취가 간 기능에 미치는 영향
AST (U/L) ALT (U/L)
NC1) 53.3 ± 1.32) ns 3) 45.3 ± 1.8ns
S 50.5 ± 1.9 45.0 ± 0.4
S + A 1X 53.5 ± 1.6 46.3 ± 1.1
S + A 5X 52.5 ± 3.9 44.5 ± 3.1
S + B 57.8 ± 3.4 43.0 ± 1.5
1)NC: 정상 대조군(Normal control)(수영하지 않음), S: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Swimming-induced fatigue), S + A 1X: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 20% 개발조성물, S + A 5X: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 100% 개발조성물, S + B: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 항피로 음료(Antifatigue beverage).
2) 평균 ± 표준편차(Mean ± SE).
3) ns: 던컨의 다중검정(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해 유의적이지 않음을 의미함.
<실시예 5> 혈중 피로회복 요소에 미치는 영향 확인
각 실험군의 실험동물로부터 획득한 혈액으로부터 혈중 글루코즈(Glucose), 요소질소(Blood urea nitrogen, BUN), 젖산(lactate)을 시판용 분석 시약(JW Pharmaceutical, Korea)을 사용하여 기질과 효소반응을 이용한 비색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운동을 하지 않은 군(NC)에 비해 운동으로 인한 피로 유발군(S)에서는 혈중 글루코즈 농도가 감소하였으며, 반면 개발조성물 섭취군에서는 글루코즈 농도가 NC 수준으로 회복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S군에 비해 시판음료 B 섭취 시 14% 증가한 결과를 보였으며, 반면 A 1X 섭취 시 22%, A 5X 섭취 시에는 16%로 시판음료에 비해 개발조성물을 섭취한 군에서 글루코즈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표 9).
또한, 젖산 농도는 운동을 하지 않은 NC에 비해 S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냈으며 개발조성물을 섭취하였을 때 그 수준이 감소되었으며, 이 역시 시판음료에 비해 개발조성물의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표 9).
또한, 신장 기능을 분석하는 지표인 BUN은 NC에 비해 S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A 5X 섭취군에서는 16%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 시판음료 B군의 14%보다 나은 효과를 보였다(표 9).
이러한 결과는 강도 높은 운동을 시행하게 되면 세포에서 요구되는 산소량보다 공급되는 산소가 부족한 상황이 되고 원활한 에너지 대사가 일어나지 않아 초래되는 결과로써, 해당작용과 TCA 회로의 대사적 연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근육조직의 젖산 농도는 증가하고 혈중 글루코즈가 근육으로 유입되어 혈중 농도가 감소하게 되고 이는 곧 피로를 느끼게 함으로써 운동능력이 저하를 초래한다. 또한, BUN은 정상적인 신장 기능을 나타내는 지표로써 단백질 파괴, 탈수, 스트레스, 피로 등의 요인에 의해 BUN의 수치가 변화되는데, 이는 세포가 탄수화물이나 지방으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지 못하는 경우 단백질이나 아미노산이 대사되어 에너지 요구량을 충족시키기 때문에 신장의 역할이 증가하게 되어 운동과 같은 피로상태에서 BUN의 수치가 증가하게 된다(G. Phani Kumar, 2013, Pharmacognosy J. Volume 5:66-71).
따라서 개발조성물의 피로회복 기능을 혈중 글루코즈, 젖산 및 BUN 농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수준이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피로회복제보다 나은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발조성물 섭취에 의한 혈중 피로회복 요소에 미치는 영향 확인
글루코즈 (mg/dL) 락테이트 (μmol/mL) BUN (mg/dL)
NC1) 61.4 ± 0.42)c3) 2.8±0.3a 7.98 ± 0.25bc
S 43.4 ± 3.6a 6.1±0.5c 8.33 ± 0.15c
S + A 1X 53.0 ± 2.4bc 4.7±0.5b 7.90 ± 0.25bc
S + A 5X 50.2 ± 4.7ab 4.8±0.3b 7.03 ± 0.35a
S + B 49.4 ± 1.7ab 5.1±0.5bc 7.15 ± 0.32ab
1)NC: 정상 대조군(Normal control)(수영하지 않음), S: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Swimming-induced fatigue), S + A 1X: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 20% 개발조성물, S + A 5X: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 100% 개발조성물, S + B: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 항피로 음료(Antifatigue beverage).
2)평균 ± 표준편차(Mean ± SE).
3)칼럼 내에 다양한 첨자를 가진 수치는 p<0.05에서 유의적임.
<실시예 6> 혈중 항산화 효소에 미치는 영향 확인
각 실험군의 실험동물로부터 획득한 혈액으로부터 혈중 항산화 효소인 카탈라아제(Catalase)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카탈라아제 효소 활성 측정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카탈라아제 효소 활성 측정의 원리는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가 물과 산소로 분해되는 반응을 촉매하여 과산화수소의 감소량을 측정하게 되며, 반응속도는 과산화수소 농도와 비례한다.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0.1 M 이상이면 카탈라아제에 의한 반응이 억제되므로 약 0.01 M의 적은 농도를 사용해야 한다. 반응이 잘 이뤄지게 하기 위해서는 반응 시작 후 늦어도 30초 후에는 과산화수소 적혈구에 50 mM 인산 ㅇ오완충용액(phate buffer)(pH 7)과 과산화수소를 첨가한 후 과산화수소의 감소량을 240 nm에서 30초간 측정하였다.
격심한 운동에 의한 피로는 전자전달계의 중간 단계에서 전자 누출에 의한 유리기 및 산화적 스트레스의 생성을 증가시킨다(Davies KJ, 1982. Biochem Biophys Res Communi 107:1198-1205). 생체 내에는 유리기로부터 생체를 방어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항산화 효소가 존재하여 유리기를 제거함으로써 생체를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보호한다(Ji LL. 1995. Gerontology 37:317-325). 그러나 산화물의 생성이 많아져 생체방어 기전의 균형이 깨어지면 조직의 산화적 스트레스와 손상이 촉진되고, 특히 격심한 운동 시는 산소소비량을 증가시킴으로 안정시와 비교해 볼 때 유리기 생성이 증가 되고 생성된 과잉의 유리기와 지질 과산화물은 단백질의 산화, DNA 손상과 같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상해를 증가시킨다(Reid MB, J Appl Physio.73: 1797-1804, Kumar CT, 1992. Mol Cell Biochem 111: 109-115).
그 결과, 피로를 유발하지 않은 NC군과 피로유발군인 S군은 비슷한 수준의 효소활성을 나타낸 반면, 개발조성물과 시판음료를 섭취한 군에서는 유의적으로 월등히 증가한 활성을 보였다(도 2). 이는 개발조성물을 장기 섭취 시 항산화방어기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7> 백혈구 및 간의 DNA 손상에 미치는 영향 확인
피로에 의한 백혈구 및 간의 DNA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백혈구 및 간의 DNA 손상 정도를 코멧 분석(comet assay)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전혈 20 μL를 채취하여 75 μL의 0.7% 저융점 아가로즈 겔(low melting agarose gel, LMA)과 섞은 후, 전코팅(precoating)된 완전히 프로스테드된 슬라이드(fully frosted slide) 위로 전혈과 LMA의 현탁액이 골고루 분산되게 한 후 커버 글래스(cover glass)로 덮어 4℃ 냉장고에 보관하였다. 겔(Gel)이 굳으면 커버 글래스를 벗기고 그 위에 다시 0.7% LMA 용액 75 μL로 한 겹 더 덮었다.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손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200 μM H2O2를 처리하였다. 세포 용해(Cell lysis)를 위해 미리 준비해 둔 차가운 알칼리 용해 완충용액(alkali lysis buffer)(2.5M NaCl, 100mM EDTA, 10mM tris)에 사용 직전에 1% Triton X-100을 섞은 후 슬라이드를 담가 저온, 암실에서 1시간 동안 침지시켜 DNA의 이중가닥(double strand)을 풀어주었다. 용해(Lysis)가 끝난 슬라이드를 전기영동 탱크(electrophoresis tank)에 배열하고 4℃의 차가운 완충용액(300 mM NaOH, 10 mM Na2EDTA)를 채워 20분간 풀림(unwinding) 시킨 후 25V/300±3 mA의 전압을 걸어 20분간 전기영동을 실시하였다. 전기영동이 끝난 후 0.4M Tris 완충용액(pH 7.4)으로 충분히 세척하고 20 μL/mL 농도의 브롬화 에티듐(ethidium bromide)으로 핵을 염색하여 형광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CCD 카메라를 통해 보내진 각각의 세포핵 이미지는 코멧 아미지 분석 시스템(comet image analyzing system)이 설치된 컴퓨터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손상된 DNA의 비율을 계산한 Tail DNA, 손상된 DNA 비율과 tail length를 곱해 나온 Tail moment, 손상된 DNA의 길이를 나타내는 Tail length 모두에서 NC에 비해 운동으로 스트레스를 유발한 군에서는 DNA 손상정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한 반면, 개발조성물을 투여한 S + A 1X와 S + A 5X 그리고 시판음료를 투여한 S + B의 DNA 손상정도는 NC 수준으로 유의적 감소를 보였다(표 10).
개발조성물 섭취가 피로에 의한 DNA 손상에 미치는 영향
NC1) S S + A 1X S + A 5X S + B
Tail DNA (%) 8.3 ± 0.62)a3) 20.3 ± 2.8b 9.5 ± 0.9a 9.5 ± 1.1a 10.5 ± 0.4a
Tail moment 5.4 ± 0.8a 34.3 ± 11.8b 8.2 ± 1.7a 7.2 ± 1.7a 8.8 ± 1.0a
Tail length (μm) 32.5 ± 3.7a 112.5 ± 23.3b 41.0 ± 7.1a 36.3 ± 5.5a 40.3 ± 4.7a
1)NC: 정상 대조군(Normal control)(수영하지 않음), S: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Swimming-induced fatigue), S + A 1X: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 20% 개발조성물, S + A 5X: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 100% 개발조성물, S + B: 수영함으로써 유도된 피로 + 항피로 음료(Antifatigue beverage).
2)평균 ± 표준편차(Mean ± SE).
3)칼럼 내에 다양한 첨자를 가진 수치는 p<0.05에서 유의적임.
<실시예 8>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제조
<8-1> 쥐눈이콩 발효조성물의 제조
주재료로서 발효된 쥐눈이콩(Rhynchosia Nulubilis L.) 20 kg 및 죽염 20 kg의 혼합물을 제조한 후, 부재료로서 유근피 1.05 kg, 밭마늘 1.4 kg 및 유황오리 2.6 kg를 60 L의 물에서 열수 추출한 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이들 주재료와 부재료를 혼합한 후 3개월간 발효 및 숙성시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각 시료는 인산죽염촌을 통해 국내산으로 제공받았다.
<8-2> 1차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제조
쥐눈이콩 발효조성물, 생강 및 민들레를 이용하여 하기의 배합비로 혼합한 후, 물 20배수를 첨가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재료명 배합비(%) 단위(g)
쥐눈이콩 발효조성물 15 150
생강 70 700
민들레 15 150
합계 100 1,000
<8-3> 2차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제조
상기 1차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추가적으로 부재료로서 감초, 대추, 맥아효소, 무엿 열수 추출물, 산양삼 열수 추출물, 계피 및 둥글레 열수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의 배합비로 혼합한 후, 물 20배수를 첨가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재료명 배합비(%) 단위(g)
쥐눈이콩 발효조성물 5 75
생강 25 375
민들레 6 90
감초 2 30
대추 15 225
맥아효소 20 300
무엿 추출물 10 150
산양삼 추출물 1 15
계피 1 15
둥글레 추출물 15 225
합계 100 1,500
<실시예 9> 숙취해소 효과 검증을 위한 실험동물의 준비 및 사육
5 주령의 수컷 Wistar Rat을 1 주일간 적응시킨 후, 실험 동물군을 5 그룹으로 양성 대조군; NC, 음성 대조군(알코올+생리식염수; PC), 상기 실시예 <8-2>의 조성물 투여군(알코올+저농도 개발조성물; Alcohol + A 1X, 알코올+개발조성물; Alcohol + A 5X, 알코올+시판음료; Alcohol + B)으로 각 군별로 나누어 각각 실험 식이를 6주 동안 제공하였다. 실험 식이는 에탄올에 함유된 칼로리를 제외한 양을 섭취시키며, 정산대조군에는 에탄올의 열량을 보완하기 위해 포도당을 섭취시켰다. 에탄올 공급은 6 g/kg/day로 하였다. 실험식이 제공 후 6주 후 동물을 희생시켜 혈액과 간을 수집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식이조성표
NC1) PC Alcohol + A 1X Alcohol + A 5 Alcohol + B
카제인(Casein) 18.0 18 18 18 18
옥수수 전분(Corn starch) 45.3 15.5 15.5 15.5 15.5
설탕(Sucrose) 10.0 10 10 10 10
콩기름(Soybean oil) 10.0 10 10 10 10
샐룰로오스(Cellulose) 6.5 6.5 6.5 6.5 6.5
비타민 혼합물(Vitamin mixture)2) 1.0 1 1 1 1
미네랄 혼합물(Mineral mixture)3) 3.5 3.5 3.5 3.5 3.5
콜린 비ㅌ레이트트holine bitartarate) 0.2 0.2 0.2 0.2 0.2
L-시스테인(L-cystein) 0.3 0.3 0.3 0.3 0.3
BHT* 0.001 0.001 0.001 0.001 0.001
글루코즈 10.5 0 0 0 0
알코올 0 6 6 6 6
각 수치의 단위는 g임.
1)NC: 정상 대조군(Normal control)(알코올을 공급하지 않음), PC: 6 g/kg/day 알코올 공급, Alcohol + A 1X: 6 g/kg/day 알코올 공급 + 20% 개발조성물, Alcohol + A 5X: 6 g/kg/day 알코올 공급 + 100% 개발조성물, Alcohol + B: 6 g/kg/day 알코올 공급 + 숙취음료(Hangover drink).
2)AIN 93 비타민 혼합물(vitamin mixture)은 다음을 포함한다(혼합물 중 g/kg 내): 티아민(thiamine) HCl 0.6; 리보플라빈(riboflavin) 0.6; 피리독신(pyridoxine) HCl 0.7; 니아신(niacin) 3) d-칼슘 판토텐산염(d-calcium pantothenate) 1.6; 엽산(folic acid) 0.2; d-비오틴(d-biotin) 0.02; 시아노코발라민(cyanocobalamin)(비타민 B12) 2.5; 건조 비타민 A 팔미테이트(dry vitamin A palmitate)(500,000 U/d) 0.8; 건조 비타민 E 아세테이트(dry vitamin E acetate)(500 U/d) 15; 비타민 D3 배산(vitamin D3 trituration)(400,000 U/g) 0.25; 비타민 K1 0.075 메나디온 아황산수소나트륨 복합체(menadione sodium bisulfite complex) 0.15; 잘게 분말화된 설탕(sucrose finely powdered) 981.08.
3)AIN 93 미네랄 혼합물(mineral mixture)은 다음을 포함한다(혼합물 중 g/kg 내): 인산칼슘(calcium phosphate), 2염기성(dibasic) 500;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74; 구연산칼륨(potassium citrate), 일수화물(monohydrate) 220; 황산칼륨(potassium sulfate) 52; 산화마그네슘(magnesium oxide) 24; 탄산망간(manganous carbonate)(43-48% Mn) 3.5; 구연산철(ferric citrate)(16-17% Fe) 6; 탄산아연(zinc carbonate)(70% ZnO) 1.6; 탄산제2동(cupric carbonate)(53-55% Cu) 0.3; 요오드염(potassium iodate) 0.01; 아셀렌산나트륨(sodium selenite) 0.01; 황산크롬칼륨(chromium potassium sulfate) 0.55; 잘게 분말화된 설탕(sucrose, finely powdered) 118.03.
실험동물을 희생시키기 전 12시간 동안 금식을 시킨 후, 드라이아이스에서 발생하는 CO2를 이용하여 마취하여 복부 대동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고 헤파린으로 응고를 방지하였다. 코멧 분석(Comet assay)를 실시한 나머지 혈액을 3000 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장과 적혈구를 분리하여 분석 시까지 -70℃에 냉동 보관하였다. 실험동물의 장기는 적출하여 생리식염수에 세척한 후, 흡수지로 물기를 제거하고 무게를 측정한 후 간은 0.5 g 적출하여 코멧 분석을 위해 HBSS 완충용액에 담가 즉시 사용하였으며, 나머지는 액체질소로 급속 냉동시킨 후 분석 시까지 -70℃에 냉동 보관하였다.
<실시예 10> 숙취해소 효과 검증을 위한 실험동물에 미치는 영향 확인
<10-1> 실험동물의 체중 및 식이에 미치는 영향 확인
개발조성물이 실험동물의 체중 및 식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실험기간 중 실험동물의 식이 섭취량은 차이가 있었으나, 체중증가량, 식이효율 및 조성물의 섭취량은 각 그룹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14).
개발조성물 섭취에 의한 체중증가량,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에 미치는 영향
체중 (g) 식이 섭취량 (g) FER2)(%) 조성물 섭취량(mL)
NC1) 118.6 ± 11.73)c4) 14.9 ± 0.7ns5) 0.53 ± 0.03a -
PC 111.3 ± 4.9a 14.5 ± 0.6 0.51 ± 0.02a -
Alcohol + A 1X 121.8 ± 4.3ab 14.6 ± 0.4 0.56 ± 0.02a 13.7 ± 0.5ns
Alcohol + A 5X 114.7 ± 4.2ab 15.4 ± 0.4 0.50 ± 0.02a 13.9 ± 0.7
Alcohol + B 131.0 ± 5.4b 14.1 ± 0.4 0.62 ± 0.02b 13.9 ± 0.5
1)NC: 정상 대조군(Normal control)(알코올을 공급하지 않음), PC: 6 g/kg/day 알코올 공급, Alcohol + A 1X: 6 g/kg/day 알코올 공급 + 20% 개발조성물, Alcohol + A 5X: 6 g/kg/day 알코올 공급 + 100% 개발조성물, Alcohol + B: 6 g/kg/day 알코올 공급 + 숙취음료(Hangover drink).
2)FER: 식이효율(Food efficiency rate).
3)평균 ± 표준편차(Mean ± SE).
4)칼럼 내에 다양한 첨자를 가진 수치는 p<0.05에서 유의적임.
5) ns: 유의적이지 않음.
<10-2> 실험동물의 장기 무게에 미치는 영향 확인
개발조성물이 실험동물의 장기 무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6주간의 실험식이 섭취가 알코올을 섭취한 쥐의 조직무게를 체중 100 g으로 환산하여 무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간, 신장, 심장, 비장의 무게에서 그룹 간의 특이사항을 확인할 수 없었다(표 15).
개발조성물 섭취에 의한 장기 무게에 미치는 영향
신장 심장 비장
NC1) 2.49 ± 0.102)ns3) 0.61 ± 0.03ns 0.26 ± 0.01a4) 0.18 ± 0.01ns 0.62 ± 0.03ns
PC 2.46 ± 0.09 0.66 ± 0.02 0.28 ± 0.01ab 0.20 ± 0.01 0.67 ± 0.02
Alcohol + A 1X 2.61 ± 0.12 0.67 ± 0.03 0.27 ± 0.01ab 0.18 ± 0.01 0.63 ± 0.02
Alcohol + A 5X 2.52 ± 0.12 0.68 ± 0.02 0.27 ± 0.00ab 0.18 ± 0.1 0.67 ± 0.02
Alcohol + B 2.41 ± 0.07 0.63 ± 0.02 0.29 ± 0.01b 0.18 ± 0.01 0.64 ± 0.01
1)NC: 정상 대조군(Normal control)(알코올을 공급하지 않음), PC: 6 g/kg/day 알코올 공급, Alcohol + A 1X: 6 g/kg/day 알코올 공급 + 20% 개발조성물, Alcohol + A 5X: 6 g/kg/day 알코올 공급 + 100% 개발조성물, Alcohol + B: 6 g/kg/day 알코올 공급 + 숙취음료(Hangover drink).
2)FER: 식이효율(Food efficiency rate).
3)평균 ± 표준편차(Mean ± SE).
4)칼럼 내에 다양한 첨자를 가진 수치는 p<0.05에서 유의적임.
<실시예 11> 간 조직의 알코올분해효소에 미치는 영향 확인
각 실험군의 실험동물로부터 획득한 간 조직에 대해 ADH(alcohol dehydrogen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ADH 효소 활성 측정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ADH 효소 활성 측정의 원리는 ADH 활성은 Bergmeyer의 방법에 따라 효소원에 기질인 에탄올과 NAD+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동안 생성된 NADH의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활성도는 단백질 1 mg이 생성시킨 NADH를 nmole로 나타내었다. ADH를 측정하기 위해 우선 간을 0.25 M의 설탕(sucrose)에 섞어 4℃에서 균질기(homogenizer)를 이용해 균질화 시켰다. 이것을 600 g에서 10분간 원심 분리 후, 다시 10000 g에서 20분간 원심분리를 통해 상층액에서 간의 시토졸 부분을 분리했다. 그 후, 상층액 0.1 ml을 에탄올 0.2 ml과 0.5 M 세미카르바지드(semicarbazide) 0.02 ml, 0.1 M NAD가 함유된 전인큐베이션(preincubation)된 반응액 2.0 ml에 혼합해 37℃에서 반응시켜 340 nm에서 흡광도 차이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NC와 비교하여 알코올 섭취로 인해 PC의 알코올 분해 효소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Alcohol + A 1X군과 Alcohol + A 5X군은 PC 수준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NC 수준으로 나타났다(도 3). 이는 알코올과 함께 섭취한 개발조성물이 알코올 분해에 도움이 되어 적은 양의 알코올 분해효소로 알코올을 분해를 할 수 있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3> 간 조직의 항산화 효소에 미치는 영향 확인
각 실험군의 실험동물로부터 획득한 간 조직으로부터 항산화 효소인 카탈라아제(Catalase) 및 슈퍼 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uper oxide dismutase, SOD)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카탈라아제 효소 활성 측정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카탈라아제 효소 활성 측정의 원리는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가 물과 산소로 분해되는 반응을 촉매하여 과산화수소의 감소량을 측정하게 되며, 반응속도는 과산화수소 농도와 비례한다.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0.1 M 이상이면 카탈라아제에 의한 반응이 억제되므로 약 0.01 M의 적은 농도를 사용해야 한다. 간 조직은 균질기(homogenizer)를 이용하여 균질화하여 600 g에 10분간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다시 10000 g에서 20분간 원심 분리하여 얻은 펠렛(pellet)에 1X RBC를 처리하여 10000 g에서 20분간 원심 분리 후 세척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방법은 50 mM Na-K ⓟ buffer(pH 7) 0.6 ml에 펠렛 0.05 ml와 30 mM 과산화수소 0.3 ml를 첨가한 후 과산화수소의 감소량을 240 nm에서 30초간 측정하였다. 활성도는 단백질 1 mg이 시간당 생성시킨 과산화수소를 nmole로 나타내었다.
또한, SOD 효소 활성 측정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O2-와 산화히드록실기의 최종산물은 아질산염으로 설파닐산(sulfanilic acid)과 1-나프틸아민(1-naphthylamine)의 작용 하에 자주색을 띠게 되며, 최종산물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간 조직은 균질기를 이용하여 균질화하여 10000 g에서 20분간 원심분리 후, 상층액은 Cu, Zn-SOD에 사용하였고, 펠렛은 Mn-SOD에 사용하였다. 각각의 간 조직 샘플은 농도별로 희석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방법은 농도별 샘플 0.15 ml에 DW(Cu, Zn) 또는 KCN(Mn) 0.06 ml, 75 mM Na-xanthine 0.015 ml, 10 mM 하이드로질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Hydrozylamine hydrochloride) 0.015 ml 을 첨가하여 37℃에서 10분 방치한 다음, 0.1 unit XOD 0.06 ml을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37℃에서 20분간 방치한다. 그 후, 1% 설파닐아미드(sulfanilamide) 0.3 ml과 0.02% N-(1-나프틸) 에틸렌디아민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N-(1-naphthyl) e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 0.3 ml 처리하여 20분간 실온 방치 후 45 nm에서 측정하였다. 반응액의 SOD 효소활성 계산은 억제율이 50%에 달할 때에 대응하는 SOD양을 기본 단위로 하며, 활성도는 단백질 1 mg이 생성시킨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 결과, 간 조직의 CAT 활성은 NC와 비교하여 PC가 유의적이지는 않지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Alcohol + A 5X군과 Alcohol + B군은 PC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CAT 활성이 증가하였다. Cu, Zn-SOD 또한 NC와 PC가 유의적인 차이가 나지 않지만 CAT 활성과 반대로 PC와 비교하여 Alcohol + A 1X군이 유의적 증가를 보였다. Mn-SOD는 각 그룹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표 16).
개발조성물 섭취에 의한 간 조직의 항산화 효소에 미치는 영향 확인
CAT
(mM/min/mg protein)
Cu, Zn-SOD
(U/mg protein)
Mn-SOD
(U/mg protein)
NC1) 7.20±1.702)ab3) 23.59±1.57abc 21.50±1.35ns4)
PC 2.85±0.42a 21.88±1.83ab 19.62±0.86
Alcohol + A 1X 5.95±1.85ab 29.91±3.61c 22.15±1.28
Alcohol + A 5X 9.23±1.62b 26.90±2.80bc 21.19±1.25
Alcohol + B 8.82±1.46b 18.60±1.06a 22.66±2.14
1)NC: 정상 대조군(Normal control)(알코올을 공급하지 않음), PC: 6 g/kg/day 알코올 공급, Alcohol + A 1X: 6 g/kg/day 알코올 공급 + 20% 개발조성물, Alcohol + A 5X: 6 g/kg/day 알코올 공급 + 100% 개발조성물, Alcohol + B: 6 g/kg/day 알코올 공급 + 숙취음료(Hangover drink).
2)평균 ± 표준편차(Mean ± SE).
3)칼럼 내에 다양한 첨자를 가진 수치는 p<0.05에서 유의적임.
4) ns: 유의적이지 않음.
<실시예 14> 백혈구 및 간의 DNA 손상에 미치는 영향 확인
알코올에 의한 백혈구 및 간의 DNA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백혈구 및 간의 DNA 손상 정도를 코멧 분석(comet assay)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백혈구의 DNA 손상 측정의 경우, 전혈 20 μL를 채취하여 75 μL의 0.7% 저융점 아가로즈 겔(low melting agarose gel, LMA)과 섞은 후, 전코팅(precoating)된 완전히 프로스테드된 슬라이드(fully frosted slide) 위로 전혈과 LMA의 현탁액이 골고루 분산되게 한 후 커버 글래스로 덮어 4℃ 냉장고에 보관하였다.
간 조직의 DNA 손상 측정의 경우, 0.5 g 적출하여 HBSS 완충용액에 담아 보관한 간 조직에 300 unit 콜라게나아제(colagenase)를 처리한 다음 37℃에서 30분간 처리하였다. 그 후 40 g에서 5분간 원심분리 하여 간 조직을 가라앉힌 후 상층액을 분리하여 700 g에서 10분간 다시 원심분리하여 세포층인 하층액을 분리하여 1% 평균 융점 아가로즈(normal melting agarose, NMA)가 전코팅(precoating)된 완전히 프로스테드된 슬라이드(fully frosted slide) 위로 전혈과 LMA의 현탁액이 골고루 분산되게 한 후 커버 글래스로 덮어 4℃ 냉장고에 보관하였다.
전기영동의 경우, 겔(Gel)이 굳으면 커버 글래스를 벗기고 그 위에 다시 0.7% LMA 용액 75 μL로 한 겹 더 덮었다.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손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200 μM H2O2를 처리하였다. 세포 용해(Cell lysis)를 위해 미리 준비해 둔 차가운 알칼리 용해 완충용액(alkali lysis buffer)(2.5M NaCl, 100mM EDTA, 10mM tris)에 사용 직전에 1% Triton X-100을 섞은 후 슬라이드를 담가 저온, 암실에서 1시간 동안 침지시켜 DNA의 이중가닥(double strand)을 풀어주었다. 용해(Lysis)가 끝난 슬라이드를 전기영동 탱크(electrophoresis tank)에 배열하고 4℃의 차가운 완충용액(300 mM NaOH, 10 mM Na2EDTA)를 채워 20분간 풀림(unwinding) 시킨 후 25V/300±3mA의 전압을 걸어 20분간 전기영동을 실시하였다. 전기영동이 끝난 후 0.4M Tris 완충용액(pH 7.4)으로 충분히 세척하고 20 μL/mL 농도의 브롬화 에티듐(ethidium bromide)으로 핵을 염색하여 형광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CCD 카메라를 통해 보내진 각각의 세포핵 이미지는 코멧 아미지 분석 시스템(comet image analyzing system)이 설치된 컴퓨터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6주간 6 g/kg/day의 알코올의 섭취는 400 μM H2O2를 처리하였을 때 DNA 손상에 영향을 미쳐 NC와 비교하여 PC의 DNA 손상이 유의적이지는 않지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Alcohol + A 1X군과 Alcohol + A 5X군에서 DNA 손상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표 17).
개발조성물 섭취가 알코올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DNA 손상에 미치는 영향 확인
NC1) PC Alcohol + A 1X Alcohol + A 5X Alcohol + B
200 μM H2O2로 유도된 DNA 손상
Head DNA (%) 78.9±1.72)ab3) 73.8±1.3a 83.5±1.3b 82.5±0.3b 80.3±30ab
Tail DNA (%) 21.1±1.7ab 26.2±1.3b 16.5±1.3a 17.4±0.3a 19.7±3.0ab
Tail extent moment 46.0±5.4ab 75.8±9.9b 29.0±2.2a 36.4±1.4a 47.9±7.6ab
Tail length (μm) 164.0±17.2ab 218.8±10.1b 130.5±1.3a 139.8±2.4a 152.4±7.0ab
1)NC: 정상 대조군(Normal control)(알코올을 공급하지 않음), PC: 6 g/kg/day 알코올 공급, Alcohol + A 1X: 6 g/kg/day 알코올 공급 + 20% 개발조성물, Alcohol + A 5X: 6 g/kg/day 알코올 공급 + 100% 개발조성물, Alcohol + B: 6 g/kg/day 알코올 공급 + 숙취음료(Hangover drink).
2)평균 ± 표준편차(Mean ± SE).
3)칼럼 내에 다양한 첨자를 가진 수치는 p<0.05에서 유의적임.
<제조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2>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 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 2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캡슐제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 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4> 환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1 g
유당 1.5 g
글리세린 1 g
자일리톨 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환 당 4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1-5> 과립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150 mg
대두추출물 50 mg
포도당 200 mg
전분 600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mg을 첨가하여 섭씨 60℃ 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제조예 2> 건강식품의 제조
<2-1>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0.5 ~ 5.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였다.
<2-2>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0.1 ~ 5.0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2-3>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10 중량부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2-4>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5 ~ 10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2-5>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본 발명의 조성물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본 발명의 조성물(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제조예 3> 건강음료의 제조
<3-1> 피로회복용 드링크제의 제조
하기 [표 18]과 같이 성분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및 패트병에 각각 포장하여 제조하였다.
재료명 배합비(%) 단위(g)
쥐눈이콩 발효조성물 25 250
건강 15 150
생강 11 110
대추 17 170
맥아 15 150
계피 1 10
마늘 14 140
감초 1 10
산양삼 추출물 1 10
<3-2> 숙취해소용 드링크제의 제조
하기 [표 19]와 같이 성분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제조하였다.
재료명 배합비(%) 단위(g)
쥐눈이콩 발효조성물 5 75
생강 25 375
민들레 6 90
감초 2 30
대추 15 225
맥아효소 20 300
무엿 추출물 10 150
산양삼 추출물 1 15
계피 1 15
둥글레 추출물 15 225
<3-3> 건강 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본 발명의 조성물 5 g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제조하였다.
<3-4> 야채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5 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000 에 가하여 야채 주스를 제조하였다.
<3-5> 과일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1 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 에 가하여 과일 주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15)

  1. i) 쥐눈이콩(Rhynchosia Nulubilis L.)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 20 내지 60 중량%;
    ii) 건강(乾薑) 10 내지 30 중량%; 및
    iii) 생강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피로회복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대추, 맥아, 계피, 마늘, 감초 및 산양삼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회복용 약학적 조성물.
  3. i) 쥐눈이콩(Rhynchosia Nulubilis L.)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 20 내지 60 중량%;
    ii) 건강(乾薑) 10 내지 30 중량%; 및
    iii) 생강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피로회복용 건강식품.
  4. i) 쥐눈이콩(Rhynchosia Nulubilis L.)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 20 내지 60 중량%;
    ii) 건강(乾薑) 10 내지 30 중량%; 및
    iii) 생강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혈중 항산화용 약학적 조성물.
  5. i) 쥐눈이콩(Rhynchosia Nulubilis L.)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 20 내지 60 중량%;
    ii) 건강(乾薑) 10 내지 30 중량%; 및
    iii) 생강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혈중 항산화용 건강식품.
  6. i) 쥐눈이콩(Rhynchosia Nulubilis L.)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 20 내지 60 중량%;
    ii) 건강(乾薑) 10 내지 30 중량%; 및
    iii) 생강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DNA 손상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
  7. i) 쥐눈이콩(Rhynchosia Nulubilis L.)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 20 내지 60 중량%;
    ii) 건강(乾薑) 10 내지 30 중량%; 및
    iii) 생강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DNA 손상 보호용 건강식품.
  8. i) 쥐눈이콩(Rhynchosia Nulubilis L.)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 5 내지 20 중량%;
    ii) 생강 20 내지 75 중량%; 및
    iii) 민들레 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약학적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감초, 대추, 맥아효소, 무엿추출물, 산양삼추출물, 계피 및 둥글레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약학적 조성물.
  10. i) 쥐눈이콩(Rhynchosia Nulubilis L.)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 5 내지 20 중량%;
    ii) 생강 20 내지 75 중량%; 및
    iii) 민들레 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건강식품.
  11. 제 10항에 있어서, 감초, 대추, 맥아효소, 무엿추출물, 산양삼추출물, 계피 및 둥글레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건강식품.
  12. i) 쥐눈이콩(Rhynchosia Nulubilis L.)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 5 내지 20 중량%;
    ii) 생강 20 내지 75 중량%; 및
    iii) 민들레 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간 조직에 대한 항산화용 약학적 조성물.
  13. i) 쥐눈이콩(Rhynchosia Nulubilis L.)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 5 내지 20 중량%;
    ii) 생강 20 내지 75 중량%; 및
    iii) 민들레 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간 조직에 대한 항산화용 건강식품.
  14. i) 쥐눈이콩(Rhynchosia Nulubilis L.)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 5 내지 20 중량%;
    ii) 생강 20 내지 75 중량%; 및
    iii) 민들레 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DNA 손상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
  15. i) 쥐눈이콩(Rhynchosia Nulubilis L.) 및 죽염의 혼합물에 유근피, 밭마늘 및 유황오리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후 발효시켜 제조된, 쥐눈이콩 발효조성물 5 내지 20 중량%;
    ii) 생강 20 내지 75 중량%; 및
    iii) 민들레 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DNA 손상 보호용 건강식품.
KR1020130149334A 2013-12-03 2013-12-03 쥐눈이콩 및 죽염의 발효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로회복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156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334A KR102156880B1 (ko) 2013-12-03 2013-12-03 쥐눈이콩 및 죽염의 발효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로회복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334A KR102156880B1 (ko) 2013-12-03 2013-12-03 쥐눈이콩 및 죽염의 발효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로회복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519A true KR20150064519A (ko) 2015-06-11
KR102156880B1 KR102156880B1 (ko) 2020-09-16

Family

ID=53503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334A KR102156880B1 (ko) 2013-12-03 2013-12-03 쥐눈이콩 및 죽염의 발효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로회복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8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3860A (ko) * 2016-09-26 2018-04-04 정홍균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천연식이성 유황을 이용한 유황오리 진액 제조방법
KR102115398B1 (ko) * 2018-11-20 2020-05-27 인산죽염 주식회사 항산화능 및 알레르기성 피부염 치료능을 갖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190A (ko) * 2003-01-22 2004-07-30 최은아 약간장인 사리장의 제조방법
KR20070008832A (ko) * 2005-07-12 2007-01-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탄력을 증가시키는 생강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190A (ko) * 2003-01-22 2004-07-30 최은아 약간장인 사리장의 제조방법
KR20070008832A (ko) * 2005-07-12 2007-01-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탄력을 증가시키는 생강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3860A (ko) * 2016-09-26 2018-04-04 정홍균 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tBHQ)을 처리하여 천연식이성 유황을 이용한 유황오리 진액 제조방법
KR102115398B1 (ko) * 2018-11-20 2020-05-27 인산죽염 주식회사 항산화능 및 알레르기성 피부염 치료능을 갖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6880B1 (ko) 202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76839A1 (en) Appetite satiation and hydration beverage
WO2011037099A1 (ja) ウコン抽出物とガジュツ抽出物とを含有する組成物
US10485836B2 (en) Anti-fatigue composition used for increasing endurance performance, and use of the same
US20210046003A1 (en) Health drink composition for preventing liver damage caused by alcohol while providing excellent hangover relief
KR20210000768A (ko) 돼지고기 제육볶음 또는 돼지고기 두루치기 양념 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90285914A1 (en) Composition Comprising Hovenia Dulcis Thunb. Extract, Lindera Obtusiloba Blume Extract, or Herbal Mixture Extract Thereof
US20110052750A1 (en) Olive juice extracts for promoting muscle health
KR101093998B1 (ko)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KR101371143B1 (ko) 클로렐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507704B1 (ko) 천연 식물소재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해독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JP2017057147A (ja) ニンニク等、低塩分濃度の味噌、及びビタミンb1を含有する組成物
KR20150064519A (ko) 쥐눈이콩 및 죽염의 발효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로회복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JP2010275288A (ja) 宿酔を予防及び改善する機能性組成物とこれを含む食品及び食品添加剤
KR20150050391A (ko) 자화지정 추출물 또는 자화지정, 도인, 계지, 및 감초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및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1357982A (zh) 沙棘复合发酵液及其制备方法、保健饮品、植物酵素
KR20100037310A (ko) 김치 유산균을 이용한 액상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20140105657A (ko) 오미자 당침 발효물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고혈압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0851586B1 (ko) 락토바실러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JPWO2005082390A1 (ja) 脂肪蓄積抑制剤
JP2006182654A (ja) 体脂肪の蓄積抑制または低減剤
KR100631073B1 (ko) 더덕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 질환 및 알코올성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88068B1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101154031B1 (ko)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회복용 조성물
JP2010043036A (ja) 糖代謝促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