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4417A - 수중 분산성이 개선된 로얄 젤리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수중 분산성이 개선된 로얄 젤리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4417A
KR20150064417A KR1020130149107A KR20130149107A KR20150064417A KR 20150064417 A KR20150064417 A KR 20150064417A KR 1020130149107 A KR1020130149107 A KR 1020130149107A KR 20130149107 A KR20130149107 A KR 20130149107A KR 20150064417 A KR20150064417 A KR 20150064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yal jelly
protease
beverage composition
specific
se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9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7320B1 (ko
Inventor
강효진
최은숙
김영호
윤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Priority to KR1020130149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7320B1/ko
Publication of KR20150064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4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84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using microorganisms or biological material, e.g.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 C12R2001/66Aspergillus
    • C12R2001/685Aspergillus nig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 C12R2001/66Aspergillus
    • C12R2001/69Aspergillus oryzae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 분산성이 개선된 로얄 젤리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의 단백질 분해효소 및 비전분 다당류 분해효소로 함께 처리하여 얻어진 로얄 젤리 분말을 함유함으로써 수중 분산성이 현저히 개선되고, 나아가 로얄 젤리의 유용한 생리활성 성분인 10-HDA의 분해는 억제되고, 알레르기 유발 물질은 효과적으로 분해된, 로얄 젤리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중 분산성이 개선된 로얄 젤리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Royal jelly beverage composition having improved dispersability in wat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중 분산성이 개선된 로얄 젤리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의 단백질 분해효소 및 비전분 다당류 분해효소로 함께 처리하여 얻어진 로얄 젤리 분말을 함유함으로써 수중 분산성이 현저히 개선되고, 나아가 로얄 젤리의 유용한 생리활성 성분인 10-HDA의 분해는 억제되고, 알레르기 유발 물질은 효과적으로 분해된, 로얄 젤리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로얄 젤리(Royal Jelly)란 일령이 3~12일 사이인 일벌들이 꿀과 꽃가루를 섭취한 뒤 인두선에서 분비하는 유백색의 불투명한 크림상의 물질로, 갓 부화한 애벌레를 제외하고는 여왕벌만이 섭취하게 되므로 왕유라고도 불려진다. 로얄 젤리의 구성은 분석자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평균적으로 수분 50~60%, 단백질 18%, 탄수화물 15%, 지방 3~6%, 무기염 1.5% 등이다. 그리고 이러한 일반 성분 이외에, 로얄 젤리의 특이 지방산인 10-HDA(trans-10-hydroxy-2-decenoic acid)가 로얄 젤리의 대표적인 지표 성분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외에도 항산화 효능을 갖는 폴리페놀(polyphenol) 화합물로 아피제닌(apigenin), 아카센틴(acacentin), 갈란긴(galangin), 카엠페롤(kaempferol), 쿼센틴(quercetin) 등이 로얄 젤리에 함유되어 있다.
로얄 젤리의 효능으로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 예방, 피로회복, 간 및 신장 독성 완화, 노화 방지, 면역 증강, 항당뇨, 항암, 염증 완화, 신경세포 보호 효과 등이 보고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국내산 로얄 젤리 섭취에 의한 피부 항산화, 보습 증진 및 주름 완화 효능 등의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피부 미용 관련 생리활성에 로얄 젤리의 10-HDA 함량이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된 바 있으며(Journal of Medicinal Food. 14(9): 899-906(2011)), 구 식품공전 및 구 건강기능식품 공전에서는 로얄 젤리 원료 및 제품 제조 기준 규격으로 10-HDA 함량을 기준으로 삼고 있다.
이처럼 로얄 젤리는 인체에 매우 유익한 건강 지향 식품의 대표적인 소재이지만, 동물성 유래 소재로서 상온 등에서 쉽게 상하는 단점이 있어서 그 보관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통상적으로는 생 로얄 젤리를 농가에서 수확 후 용기에 담아 냉장고 또는 냉동고에서 저온 보관하면서 식용으로 사용한다. 또한 생 로얄 젤리는 경구투여 할 수 있지만, 목의 불쾌감을 주는 자극적인 신맛 및 점착성이 있어 그대로 섭취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로얄 젤리의 기능성 기준규격으로 사용되는 10-HDA 함량의 경우 생산 산지 또는 채취 시기에 따라 함량 변화가 있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로얄 젤리를 분말 형태로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 바 있다(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76682호).
하지만 이러한 로얄 젤리 분말은 생 로얄 젤리의 고유의 특성이 그대로 남아있어 상당한 양의 불용성 단백질을 포함하기 때문에 수중에서 분산이 어렵고, 가용성분과 불용성분의 층 분리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어 액상 음료 제품보다는 캅셀 또는 정제 개발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음료 제품으로 개발된 제품이라 하더라도 극소량의 로얄 젤리 분말을 함유하여 로얄 젤리 고유의 영양가 및 건강 기능성을 발휘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액상 음료 제품에 로얄 젤리를 적용하기 위하여 물리적인 방법인 초고압 호모게나이저 등으로 균질화액을 제조하거나(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81683호), 수중에서 불용성인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프로테아제를 사용하여 효소처리된 로얄 젤리액을 제조하는 방법 등이 제시된 바 있다(일본공개특허 제1993-123119호 및 제2013-179941호). 그러나 이들 방법들은 모두 액상형태의 로얄 젤리액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산업적으로의 사용이 보다 용이한 로얄 젤리 분말 형태를 제조하는 데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액상 제품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수중 분산성을 지닌 로얄 젤리 분말의 제조기술 및 이를 사용하여 수중 분산성이 개선된 로얄 젤리 음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간단한 공정을 통하여 pH 조절 없이 제조된, 수중 분산성이 현저히 개선된 로얄 젤리 분말을 사용하여 수중 분산성이 현저히 개선되고, 나아가 로얄 젤리의 유용한 생리활성 성분인 10-HDA의 분해는 억제되고, 알레르기 유발 물질은 효과적으로 분해된 로얄 젤리 음료 조성물 및 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로얄 젤리 원료를, 세린-특이적 단백질 분해효소, 프롤린-특이적 엔도(endo)형 단백질 분해효소 및 엑소(exo)형 단백질 분해효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백질 분해효소; 및 비전분 다당류 분해효소;로 함께 처리하여 얻어진 로얄 젤리 분말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로얄 젤리 원료를, 세린-특이적 단백질 분해효소, 프롤린-특이적 엔도(endo)형 단백질 분해효소 및 엑소(exo)형 단백질 분해효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백질 분해효소; 및 비전분 다당류 분해효소;로 함께 처리하여 제조된 로얄 젤리 분말을 음료용 액상 매질에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얄 젤리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로얄 젤리 음료 조성물을 제조하면, 로얄 젤리 효소처리 과정에서 pH 조정 과정이 필요 없고 단일 온도 조건 하에서 단일의 효소처리 단계만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공정이 현저히 간소화될 수 있고, 알레르기 유발 물질은 효과적으로 분해하면서 로얄 젤리의 생리활성 성분인 10-HDA의 분해는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로얄 젤리의 유용한 성분을 섭취하는데 도움을 주며, 음료 조성물 내 로얄 젤리 분말의 수중 분산성이 현저히 개선된다.
도 1은 효소별 로얄 젤리 단백질의 분해 성능 평가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로얄 젤리를 효소처리한 일 구체예에 있어서, 시간에 따른 처리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로얄 젤리 분말과 동결건조 로얄 젤리 분말의 수중 분산성에 대한 비교 실험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로얄 젤리 분말과 동결건조 로얄 젤리 분말을 각각 사용하여 제조된 액상음료의 분산상태를 비교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로얄 젤리 원료로는 원액을 채취한 그대로의 상태인 젤리형태의 생 로얄 젤리 또는 동결건조 로얄 젤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로얄 젤리 원료는 적정 비율(예컨대, 1~5배량)의 물에 희석된 후, 세린-특이적 단백질 분해효소, 프롤린-특이적 엔도(endo)형 단백질 분해효소 및 엑소(exo)형 단백질 분해효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백질 분해효소; 및 비전분 다당류 분해효소;로 함께 처리된다.
상기 세린-특이적 단백질 분해효소로는 돼지 위점막(Porcine gastric mucosa) 유래의 세린-특이적 프로테아제가 바람직하고, 상기 프롤린-특이적 엔도형 단백질 분해효소로는 Aspergillus niger(흑국균) 유래의 프롤린-특이적 엔도형 프로테아제가 바람직하며, 상기 엑소형 단백질 분해효소로는 Aspergillus oryzae(황국균) 유래의 엑소형 프로테아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전분 다당류 분해효소로는 Aspergillus niger 유래의 비전분 다당류 분해효소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백질 분해효소로서 바람직하게는 세린-특이적 단백질 분해효소, 프롤린-특이적 엔도형 단백질 분해효소 및 엑소형 단백질 분해효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이 사용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세린-특이적 단백질 분해효소, 프롤린-특이적 엔도형 단백질 분해효소 및 엑소형 단백질 분해효소 3종 모두가 사용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돼지 위점막 유래의 세린-특이적 프로테아제, Aspergillus niger 유래의 프롤린-특이적 엔도형 프로테아제 및 Aspergillus oryzae 유래의 엑소형 프로테아제의 조합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로얄 젤리 원료를 처리하기 위한 효소로서, 돼지 위점막 유래의 세린-특이적 프로테아제, Aspergillus niger 유래의 프롤린-특이적 엔도형 프로테아제, Aspergillus oryzae 유래의 엑소형 프로테아제 및 Aspergillus niger 유래의 비전분 다당류 분해효소의 조합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로얄 젤리 원료를 상기 1종 이상의 단백질 분해효소 및 비전분 다당류 분해효소로 함께 처리한다는 것은, 단일의 효소처리단계 내에서 이들 효소들로 동시에 처리하는 것 및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로얄 젤리 원료가 별도의 pH 조정 없이 상기한 효소들로 처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소처리 조건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사용되는 구체적인 효소 종류 등 구체적인 제조 여건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효소처리는 pH 3~4, 보다 바람직하게는 pH 3.1~3.5에서, 40~60℃, 보다 바람직하게는 45~55℃의 온도하에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로얄 젤리 분말을 제조하는 공정은, 상기한 바와 같이 효소처리된 로얄 젤리를 분말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분말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방법 및 장비를 활용하여 효소처리된 로얄 젤리의 분말화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소처리에 의해 로얄 젤리 원료 내의 단백질이 분해되어 저분자 펩타이드화되는 반면, 유용한 생리활성 성분인 10-HDA의 분해는 억제되고 알레르기 유발 물질은 효과적으로 분해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지는 로얄 젤리 분말은 기존의 동결건조 분말에 비하여 현저히 개선된 수중 분산성을 나타내는 한편, 10-HDA의 함량은 높고, 알레르기 유발 물질 함량은 현저히 감소되는 등 매우 우수한 품질을 나타내기 때문에, 로얄 젤리를 함유하는 액상 음료 제품에 특히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 내의 로얄 젤리 분말 함량은, 음료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0.25 내지 0.1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상기 로얄 젤리 분말 이외에, 음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포함되는 첨가제 성분을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이러한 첨가제 성분의 예로는 젤란검과 같은 검류, 펙틴, 한천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함량은 음료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0.5 중량% 내에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 따른 음료 조성물은, 음료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0.07 내지 0.1 중량%의 검류(예컨대, 젤란검)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로얄 젤리 분말 및 임의의 첨가제 성분(들)을 사용하여 통상의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설명한 복합 효소 처리에 의하여 제조된 로얄 젤리 분말을 음료용 액상 매질에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얄 젤리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음료용 액상 매질로는 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효소별 로얄 젤리 처리 성능 비교
생 로얄 젤리 원료에 2배량의 물을 넣어 희석한 용액(pH 3.3)을, 별도의 pH 조정 없이 50℃로 가온한 후, 하기 표1에 나타낸 단백질 분해효소 및 당 분해효소 각각을 첨가하고, 50℃에서 반응시켰다. 효소 반응 종료 후 반응 결과물을 가열하여 효소를 실활시켰다.
상기 효소처리 결과물 각각에 Bromophenol blue를 함유하는 5 ×SDS 샘플 버퍼를 가하고 100℃로 5분간 가열하여 얻어진 샘플에 대하여, 전기영동시스템을 사용하여 SDS-PAGE 분석을 행하였다(10~14%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 전기영동 후 겔을 Brilliant blue로 염색하고, 30% 메탄올 및 10% 초산을 포함하는 용액으로 탈색하였다.
염색 및 탈색한 겔의 사진을 도 1에 나타내었으며, 단백질 밴드의 발색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단백질 분해 성능을 평가한 후, 그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평가는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염색 및 탈색과정을 통해 발색된 밴드를 대조군(생 로얄 젤리 2배 희석액)와 비교하여 밴드 발색 정도에 따라 (+)~(+++++)의 5단계로 나타내었으며,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샘플에 대해서는 “차이없음”으로 표시하였다. 또한 로얄 젤리에 포함되는 주요한 알레르기 물질인 분자량 55kDa 단백질과, 알레르기 물질이라고 의심받는 분자량 4kDa 이상 55kDa 미만의 단백질을 효율적으로 분해하는 정도를 마찬가지 방식으로 표시하였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조건(pH 3.3, 50℃)에서 효소별 단백질 분해 성능 평가 결과, 효소 번호 1, 5, 6 및 11을 사용한 경우가 대조군에 비하여 저분자 펩타이드로의 분해 성능이 보다 우수하였으며, 또한 알레르기 물질인 55kDa의 펩타이드 및 4kDa 이상 55kDa 미만의 펩타이드의 분해 성능도 보다 우수하였다.
복합 효소 처리 실시예
상기 효소 성능 평가 결과에 따라, 효소 번호 1, 5, 6 및 11을 함께 사용하여 생 로얄 젤리 원료를 처리하였다. 이러한 복합 효소를 사용한 처리 조건은 상기 효소 성능 평가 때와 동일하였다.
복합 효소로 처리된 결과물에 대하여 상기 효소 성능 평가 때와 동일하게 SDS-PAGE 분석을 행하였다. 처리 시간에 따른 단백질의 분해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효소반응 개시 후 경과 시간대 별로 샘플을 채취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물인 겔 사진을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처리 시간이 길어질수록 전체적인 밴드의 발색 정도가 감소하여 단백질이 저분자 펩타이드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55kDa 펩타이드 밴드와 4kDa 이상 55kDa 미만의 밴드의 발색 정도 역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처리 시간대 별로 채취된 복합 효소 처리 결과물에 대하여 로얄 젤리의 생리활성 성분인 10-HDA의 함량을 액체크로마토그래피(Liquid Chromatography)로 분석하였다. 10-HDA(Nacalai tesque, Japane)시약을 표준 시료로 사용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절차는 다음과 같았다.
처리 시간대 별로 채취된 복합 효소 처리 결과물 200mg을 100ml 부피 플라스크에 넣고 여기에 물 10ml을 넣은 후, 50℃로 가온하고 진탕 혼합하였다. 여기에 메탄올 약 70ml를 넣어 약 30분간 초음파 진탕 추출하고, 추가의 메탄올을 넣어 100ml 부피로 보정하였다. 이 용액을 여과하여 HPLC 분석 검액으로 사용하였다. 동일 전처리 과정을 거친 생 로얄 젤리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LC 분석에 사용된 컬럼은 μ-Bondapak C-18이었으며, 이동상으로 0.02M(NH4)2HPO4와 메탄올의 7:3 혼합액을 사용하여 1.4ml/min의 유속으로 컬럼을 통과시킨 후, 214nm 흡광도에서 검출하였다. 하기 표 3에 분석된 시료별 10-HDA 절대 함량을 중량%(시료 총중량 100중량% 기준)로 나타내었으며, 대조군 대비 상대적 10-HDA 함량을 %(대조군 10-HDA 함량 100% 기준)로 나타내었다. 대조군 시료의 10-HDA 절대 함량은 0.84 중량%이었다.
Figure pat00003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복합 효소로 처리된 로얄 젤리는 생 로얄 젤리와 비교하여 10-HDA함량이 오차범위 내에서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로얄 젤리를 처리하더라도 로얄 젤리의 생리활성 성분이 손실 없이 유지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음료 조성물 제조 실시예
먼저, 로얄 젤리 분말 자체의 수중 분산성을 비교하고자, 비교예로서 동결건조 로얄 젤리 분말과 본 발명에 따라 복합 효소로 처리된 로얄 젤리의 분말을 동량 측량하여 수중에 투여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동결건조 로얄 젤리 분말은 수중에 녹아 들어 분산되지 않고 상부에 떠올라 응집되었던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로얄 젤리 분말은 수중에 바로 침전되어 분산되었다.
한편, 액상 음료에의 적합성을 비교하고자, 동결건조 로얄 젤리 분말(비교예 1~3) 및 본 발명에 따라 복합 효소 처리된 로얄 젤리의 분말(실시예 1~3)을 각각 동일한 양(음료 총중량의 0.52%)으로 물에 첨가하여 액상 음료 샘플들을 제조하였다. 로얄 젤리 본연의 침전현상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는 검류로서 젤란검을, 하기 표 4에 나타낸 양(음료 총 중량 100중량% 기준)으로 각 음료 샘플들에 추가로 투입하였다. 제조된 각 음료 샘플들의 성상을 도 4에 나타내었다. 한편, 제조된 액상 음료에 침전이나 층분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균일하게 분산한 정도에 따라 (+)~(+++++)의 5단계로 분산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뚜렷하게 침전 및 층분리가 발생한 경우에는 침전/층분리로 표시하였다.
Figure pat00004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량의 젤란검 사용시, 본 발명에 따라 복합 효소로 처리된 로얄 젤리의 분말은 동결건조 분말에 비하여 현저히 우수한 수중 분산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동결건조 분말은 0.07 중량%의 젤란검 사용시에는 침전 및 층분리되었으며, 0.2 중량%의 젤란검 사용시에야 비로소 액상 음료에 적합한 분산성을 나타내게 되었지만, 액상 음료의 액상형태 유지 및 목 넘김에 적합한 점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음료의 젤란검 함량이 0.1 중량%를 넘지 않아야 한다. 즉, 동결건조 분말로는 상업적 액상 음료에 적용 가능한 수준의 분산성을 얻을 수 없었다.

Claims (14)

  1. 로얄 젤리 원료를, 세린-특이적 단백질 분해효소, 프롤린-특이적 엔도(endo)형 단백질 분해효소 및 엑소(exo)형 단백질 분해효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백질 분해효소; 및 비전분 다당류 분해효소;로 함께 처리하여 얻어진 로얄 젤리 분말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로얄 젤리 원료가 생 로얄 젤리, 동결건조 로얄 젤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세린-특이적 단백질 분해효소가 돼지 위점막 유래의 세린-특이적 프로테아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프롤린-특이적 엔도형 단백질 분해효소가 Aspergillus niger 유래의 프롤린-특이적 엔도형 프로테아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엑소형 단백질 분해효소가 Aspergillus oryzae 유래의 엑소형 프로테아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비전분 다당류 분해효소가 Aspergillus niger 유래의 비전분 다당류 분해효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단백질 분해효소로서 세린-특이적 단백질 분해효소, 프롤린-특이적 엔도형 단백질 분해효소 및 엑소형 단백질 분해효소의 3종 모두가 사용되어 얻어진 로얄 젤리 분말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음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단백질 분해효소로서 돼지 위점막 유래의 세린-특이적 프로테아제, Aspergillus niger 유래의 프롤린-특이적 엔도형 프로테아제 및 Aspergillus oryzae 유래의 엑소형 프로테아제의 조합이 사용되고, 비전분 다당류 분해효소로서 Aspergillus niger 유래의 비전분 다당류 분해효소가 사용되어 얻어진 로얄 젤리 분말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로얄 젤리 원료를 단백질 분해효소 및 비전분 다당류 분해효소로 동시에 처리하여 얻어진 로얄 젤리 분말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로얄 젤리 원료를 별도의 pH 조정 없이 효소 처리하여 얻어진 로얄 젤리 분말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효소처리된 로얄 젤리를 추가로 분말화하여 얻어진 로얄 젤리 분말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검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검류가 젤란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조성물.
  14. 로얄 젤리 원료를, 세린-특이적 단백질 분해효소, 프롤린-특이적 엔도(endo)형 단백질 분해효소 및 엑소(exo)형 단백질 분해효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백질 분해효소; 및 비전분 다당류 분해효소;로 함께 처리하여 제조된 로얄 젤리 분말을 음료용 액상 매질에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얄 젤리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30149107A 2013-12-03 2013-12-03 수중 분산성이 개선된 로얄 젤리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617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107A KR101617320B1 (ko) 2013-12-03 2013-12-03 수중 분산성이 개선된 로얄 젤리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107A KR101617320B1 (ko) 2013-12-03 2013-12-03 수중 분산성이 개선된 로얄 젤리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417A true KR20150064417A (ko) 2015-06-11
KR101617320B1 KR101617320B1 (ko) 2016-05-02

Family

ID=53502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107A KR101617320B1 (ko) 2013-12-03 2013-12-03 수중 분산성이 개선된 로얄 젤리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732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9467A (ko) * 2016-08-16 2018-02-26 (주) 바이텍 효소처리 로얄젤리 제조방법 및 효소처리 로얄젤리
KR20190091198A (ko) 2018-01-26 2019-08-05 (주) 바이텍 효소처리 로얄젤리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기능 증진용 약학적 조성물
WO2019221078A1 (ja) * 2018-05-18 2019-11-21 株式会社山田養蜂場本社 酵素分解ローヤルゼリーの安定化
KR20210073184A (ko) * 2019-12-10 2021-06-18 임재웅 로열젤리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2210B2 (ja) 2000-10-03 2004-04-26 アピ株式会社 低アレルゲン化ローヤルゼリ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269422A (ja) * 2003-03-07 2004-09-30 Yamada Bee Farm 免疫賦活用組成物
JP4727939B2 (ja) * 2004-03-31 2011-07-20 アピ株式会社 低アレルゲン化ローヤルゼリーの製造方法
JP2006061038A (ja) * 2004-08-25 2006-03-09 Api Co Ltd 酵素処理ローヤルゼリー含有ドリンク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9467A (ko) * 2016-08-16 2018-02-26 (주) 바이텍 효소처리 로얄젤리 제조방법 및 효소처리 로얄젤리
KR20190091198A (ko) 2018-01-26 2019-08-05 (주) 바이텍 효소처리 로얄젤리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기능 증진용 약학적 조성물
WO2019221078A1 (ja) * 2018-05-18 2019-11-21 株式会社山田養蜂場本社 酵素分解ローヤルゼリーの安定化
JPWO2019221078A1 (ja) * 2018-05-18 2021-05-27 株式会社山田養蜂場本社 酵素分解ローヤルゼリーの安定化
KR20210073184A (ko) * 2019-12-10 2021-06-18 임재웅 로열젤리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20220149650A (ko) * 2019-12-10 2022-11-08 임재웅 로열젤리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7320B1 (ko) 2016-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3566B2 (en) Method of improving lacrimal secretion for dry eye treatment using maqui berry extract
US10117910B2 (en) Composition of natural vitamin C and fish scale collagen peptid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4384981B2 (ja) 精製ローヤルゼリー
TWI516280B (zh) 紅藜萃取物用於製備促進膠原蛋白生成及抗皮膚老化之組合物之用途
JP2009234980A (ja) 細胞成長因子類にノイラミン酸類、プラセンタを配合してなる美容組成物
KR101617320B1 (ko) 수중 분산성이 개선된 로얄 젤리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WO2008149838A1 (ja) 新規ローヤルゼリー分画物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CN103478811A (zh) 一种蓝莓黑莓混合果汁饮料及其制备方法
CN106035938B (zh) 一种叶黄素酯压片糖果及其制备方法
KR101811122B1 (ko) 떫은맛이 저감된 아로니아원액과 l-아르기닌을 주원료로하는 젤리 또는 음료조성물의 제조방법
EP3918925A1 (en) Artificial honey composition and production process
JP4917584B2 (ja) 可溶化蜂の子処理物、その製造方法、抗酸化剤、ace阻害剤、血圧降下剤、皮膚繊維芽細胞増殖促進剤、疲労回復剤、血流改善剤、並びに可溶化蜂の子処理物を含有する医薬品、化粧品又は飲食品
JP2008056645A (ja) 酵素処理されたローヤルゼリー中の蛋白質とポリペプチドとの反応により得られた抗酸化ペプチ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235779B2 (ja) 葉酸含有組成物及び葉酸の安定化方法
JP2007308396A (ja) 眼精疲労用組成物
EP3854226A1 (en) Method for fractionating olive pomace, its products and uses thereof
KR101913392B1 (ko) 키토산 용해용 솔루션 및 키토산 수용액의 제조방법
KR20170027221A (ko) 누에 단백질을 이용한 미네랄 펩타이드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건강음료
JP2007055951A (ja) 体脂肪低減剤
JP2000102362A (ja) 食品添加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食品組成物
KR20050101143A (ko) 글루코사민을 포함하는 퇴행성관절염 예방 및 개선을 위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13306A (ko) 계피를 함유한 꿀의 제조방법
JP2014009198A (ja) ヒアルロニダーゼ活性阻害剤組成物
WO2019221078A1 (ja) 酵素分解ローヤルゼリーの安定化
RU2761581C1 (ru) Сухой безалкогольный напито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