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2916A -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및 케이블 접속재 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및 케이블 접속재 검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2916A
KR20150062916A KR1020140072335A KR20140072335A KR20150062916A KR 20150062916 A KR20150062916 A KR 20150062916A KR 1020140072335 A KR1020140072335 A KR 1020140072335A KR 20140072335 A KR20140072335 A KR 20140072335A KR 20150062916 A KR20150062916 A KR 20150062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sensor
sensor head
inspec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2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은승환
양영규
유원상
김종해
박창건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8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904B1/ko
Priority to PCT/KR2014/011598 priority patent/WO2015080535A1/ko
Publication of KR20150062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9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23Supports, positioning or alignment in fixed situ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4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3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cables, e.g. undergroun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리브와 케이블의 계면 또는 상기 슬리브의 내부를 검측하는 센서 헤드부와, 상기 센서 헤드부를 상기 슬리브의 외측부 주위로 회전시키는 제1 이송부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 헤드부는 상기 슬리브와의 사이에 접촉 매질을 분사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및 케이블 접속재 검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및 케이블 접속재 검사 방법{The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on of cable joint assemb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및 케이블 접속재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도시 인구집중 현상에 따라 인구과밀 지역을 중심으로 대단위 수요 중심지가 형성됨으로써 도심 대용량 송전의 필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으나, 도심지역에서의 가공 송전 선로 경과지 확보가 불가능하며, 가공 송전 선로 설치시 도시 미관의 저해와 시설, 보안 및 유지보수상의 문제점 때문에 도시지역의 지중 송전 선로의 건설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선진국의 대도시를 중심으로 상당수의 지중 송전 설비가 설치, 운전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초고압 지중 전력 케이블이 제작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초고압 지중 전력 케이블의 제작은 전력 구간 전체 길이를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200 ~ 300 m의 일정한 길이로 케이블을 생산하여 지중 전력구간에 포설한다. 포설된 전력 케이블과 전력 케이블 사이는 접속재로 형성되고, 지중 종단 접속함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어 전기 설비 등과 연결된다. 또한, 초고압 지중 전력 케이블뿐만 아니라 배전급 케이블의 경우에도 전력 구간 전체 길이를 생산하지 않고, 일정 길이로 케이블을 생산하여 전력 구간에 포설하며, 포설된 전력 케이블들 사이는 상술한 접속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두 전력 케이블을 둘러싸서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접속재에는 크게 크게 에폭시 절연물과 고무 스트레스콘의 조합으로 기계적, 전기적 성능을 유지하는 PJ(Prefabricated type joint)와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 SR)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thelene Prophilene Rubber: EPR)를 주절연으로 하는 PMJ(Pre-molded Joint)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4는 케이블(10)에 PMJ(20)가 결합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PMJ(20)는 절연층(14), 내부 반도전층(13), 소선(11) 등이 노출된 두 개의 케이블(10)을 둘러싸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케이블(10a, 10b)은 소선(11a, 11b), 즉 도체는 웰딩(welding) 또는 압착 슬리브에 의해 압착 연결되어 도체 접속된 후 코로나쉴드(32)를 씌워지게 된다. 여기서, 코로나쉴드(32)와 도체 접속된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코로나쉴드(32)가 압착 슬리브(31) 및 내부 반도전층(13a, 13b)을 둘러 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코로나쉴드(32)는 압착 슬리브(31) 및 내부 반도전층(13a, 13b)을 감싸면서 두 케이블(10a, 10b)의 절연층(14a, 14b)의 단면에 접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코로나쉴드(32)는 절연층(14a, 14b)와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후, PMJ(20)의 슬리브(21)는 절연층(13) 및 코로나쉴드(32)를 둘러 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슬리브(21)는 주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액상 실리콘 고무(Liquid silicon rubber)를 사용할 수 있다. 슬리브(21)는 몸체부(21a), 제1 접촉부(21b), 제2 접촉부(21c)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21a)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지며, 일 예로서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접축부(21b) 및 제2 접축부(21c)는 카본 블랙과 같은 반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촉부(21b)는 코로나쉴드(32)의 외측면 전체를 둘러 싸면서, 코로나쉴드(32)와 절연층(14a, 14b)의 경계 부분을 둘러 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촉부(21b)는 반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바, 코로나쉴드(32)와 절연층(14)의 계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계 집중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접촉부(21c)는 슬리브(21)의 양단부에 배치되며, 케이블(10a, 10b)에서 노출된 외부 반도전층과 접하면서 슬리브(21) 내부에서 슬리브(21)의 외측면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접촉부(21c) 역시 제1접축부(21b)와 같이 금속 시스(15a, 15b) 단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계 집중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력 케이블의 제조 공정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품질 검사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문제의 소지가 거의 발생하지 않지만, 시공현장에서 전력 케이블이 접속되는 접속재는 그 시공 관리가 어렵고, 시공 중에 발생하는 결함, 예를 들면 케이블과 접속재 사이의 계면에서의 보이드 또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이 제한되어 있어 접속재의 절연파괴로 인한 전력 케이블 사고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케이블과 접속재 사이의 계면에 존재하는 보이드나 이물질을 검출할 수 있는 접속재 검사 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일본등록공보 제2956917호에는 "케이블 결함부의 초음파 검출위치 탐지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등록공보 제2956917호에 기재된 발명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절연 파단과 같은 케이블 결함부를 검출하는 비파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서 초음파 신호를 케이블 내로 입사시키고, 케이블 끝부분 등에서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여 결함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일본등록공보 제2956917호는 케이블과 접속재 상의 계면의 이물질을 검출하는 것이 아닌 케이블의 피복과 도체 사이의 이물질을 검출하며, 초음파 신호를 발신하는 부재와 상기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부재가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초음파 신호 발신 부재는 케이블의 피복 상에서 초음파 신호를 발신하고 초음파 신호 수신 부재는 케이블의 어느 길이 끝부분에 배치되어 초음파 신호를 수신한다는 점에서 접속재가 이미 접속된 전력 케이블에서 접속재와 전력 케이블 사이의 이물질을 검출하는데 적용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일본등록공보 제3590213호의 발명은 도시가스배관, 급탕용 배관 등을 XLPE 수지관으로 대체함에 있어서, 관 사이에 접합부분의 이물질 등을 검사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일본등록공보 제3590213호의 발명은 접속재가 이미 접속된 전력 케이블에서 접속재와 전력 케이블 사이의 이물질을 검출하는 방법을 전혀 개시 또는 암시하고 있지 않다.
일본등록공보 제2956917호, "케이블 결함부의 초음파 검출위치 탐지 방법 및 장치" 일본등록공보 제3590213호, "초음파 검사 방법 및 초음파 검사 장치"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전력 케이블용 접속재와 케이블이 이미 접속된 상태에서 케이블과 접속재 사이의 계면을 검사할 수 있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및 케이블 접속재 검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는, 접속재의 슬리브에 의해 서로 분리된 두 개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슬리브와 케이블 사이의 계면 또는 상기 슬리브 내부를 검사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는, 상기 슬리브와 상기 케이블의 계면 또는 상기 슬리브의 내부를 검측하는 센서 헤드부; 상기 센서 헤드부는 공기압 또는 유압으로 통해 상기 슬리브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슬리브를 향해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 및 상기 센서 헤드부를 상기 슬리브의 외측부 주위로 회전시키는 제1 이송부; 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 헤드부는, 상기 슬리브에 향해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반사되는 상기 초음파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고정하는 센서 지지부; 및 상기 센서 지지부를 고정시키고 상기 제1 이송부와 결합하는 결합부; 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복수 개의 셀로 이루어지며, 상기 셀들 각각은 시간차를 두고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반사된 상기 초음파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 지지부는, 상기 센서부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센서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센서부를 고정시키는 센서 고정부;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결합부에 의해 고정되는 기둥부; 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기둥부의 일단과 연결되는 외부 지그 프레임;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하여 상기 외부 지그 프레임에 대해 틸트되도록 상기 외부 지그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지그 프레임; 및 상기 외부 지그 프레임과 상기 내부 지그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지그 프레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 고정부는 일측에 접촉 매질이 유입되는 유입부와, 타측에 상기 접촉 매질이 유출되는 유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 매질은 상기 센서부와 상기 슬리브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 고정부는 상기 센서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센서 고정부재와 제2 센서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센서 고정부재와 상기 제2 센서 고정부재 사이에서 상기 센서부가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센서 고정부재는 상기 제1센서 고정부재의 일 측면에 접하는 상기 제2센서 고정부재의 일 측면에서 타 측면을 향해 형성되는 오목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2센서 고정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공기압 또는 유압 실린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는, 접속재의 슬리브에 의해 서로 분리된 두 개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슬리브와 케이블 사이의 계면 또는 상기 슬리브 내부를 검사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는, 상기 슬리브와 상기 케이블의 계면 또는 상기 슬리브의 내부를 검측하는 센서 헤드부; 상기 센서 헤드부는 공기압 또는 유압으로 통해 상기 슬리브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슬리브를 향해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 및 상기 센서 헤드부를 상기 슬리브의 외측부 주위로 회전시키는 제1 이송부; 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 헤드부는 상기 슬리브와의 사이에 접촉 매질을 분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슬리브의 음향 임피던스와 상기 센서부의 음향 임피던스 사이의 음향 임피던스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촉 매질은 글리세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 헤드부는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틸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 헤드부를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송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공기압 또는 유압 실린더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 헤드부를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송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는, 접속재의 슬리브에 의해 서로 분리된 두 개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슬리브와 케이블 사이의 계면 또는 상기 슬리브 내부를 검사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는, 상기 슬리브와 상기 케이블의 계면 또는 상기 슬리브의 내부를 검측하는 센서 헤드부; 상기 센서 헤드부는 공기압 또는 유압으로 통해 상기 슬리브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슬리브를 향해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 및 상기 센서 헤드부를 상기 슬리브의 외측부 주위로 회전시키는 제1 이송부; 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 헤드부는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틸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 헤드부를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송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 헤드부는, 상기 슬리브에 향해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반사되는 상기 초음파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고정하는 센서 지지부; 및 상기 센서 지지부를 고정시키고 상기 제1 이송부와 결합하는 결합부; 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복수 개의 셀로 이루어지며, 상기 셀들 각각은 시간차를 두고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반사된 상기 초음파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 지지부는, 상기 센서부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센서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센서부를 고정시키는 센서 고정부;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결합부에 의해 고정되는 기둥부; 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기둥부의 일단과 연결되는 외부 지그 프레임;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하여 상기 외부 지그 프레임에 대해 틸트되도록 상기 외부 지그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지그 프레임; 및 상기 외부 지그 프레임과 상기 내부 지그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지그 프레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 고정부는 일측에 접촉 매질이 유입되는 유입부와, 타측에 상기 접촉 매질이 유출되는 유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 매질은 상기 센서부와 상기 슬리브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 고정부는 상기 센서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센서 고정부재와 제2 센서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센서 고정부재와 상기 제2 센서 고정부재 사이에서 상기 센서부가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센서 고정부재는 상기 제1센서 고정부재의 일 측면에 접하는 상기 제2센서 고정부재의 일 측면에서 타 측면을 향해 형성되는 오목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2센서 고정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공기압 또는 유압 실린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는, 접속재의 슬리브에 의해 서로 분리된 두 개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슬리브와 케이블 사이의 계면 또는 상기 슬리브 내부를 검사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는, 상기 슬리브와 상기 케이블의 계면 또는 상기 슬리브의 내부를 검측하는 센서 헤드부; 상기 센서 헤드부를 상기 슬리브의 외측부 주위로 회전시키는 제1 이송부; 상기 센서 헤드부를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송부; 및 상기 센서 헤드부는 공기압 또는 유압으로 통해 상기 슬리브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슬리브를 향해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 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센서 지지부와 결합되어 상기 슬리브의 외측부 주위를 회전하는 레일; 상기 레일의 회전을 가이드하며, 상기 슬리브의 외측부를 둘러싸되 상기 외측부에서 이격된 제1 가이드; 및 상기 레일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액츄에이터; 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및 상기 레일은 적어도 둘 이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부재들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슬리브의 외측부를 둘러싸되 상기 외측부에서 이격되며,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이 상기 제1 액츄에이터의 상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제1 이송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이송부와 함께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블럭; 상기 블럭을 상기 제1 이송부에 고정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블럭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제2 가이드; 상기 블럭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블럭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액츄에이터; 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재 검사 방법은, 센서 헤드부를 이용하여 접속재의 슬리브와 케이블의 계면 또는 상기 슬리브의 내부를 검사하는 케이블 슬리브 검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 헤드부는 상기 슬리브의 외측부를 따라 회전하면서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 헤드부는 상기 회전 센싱 단계시 상기 슬리브와 밀착되도록 상기 슬리브를 향하여 가압하는 단계; 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 헤드부는 상기 슬리브의 외측부를 따라 회전하면서 센싱하는 단계에서 센서 헤드부와 상기 슬리브 사이에는 접촉 매질이 분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 헤드부는 상기 슬리브의 외측부를 따라 회전하면서 센싱하는 단계에서 상기 슬리브와 밀착되도록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하여 틸트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센서 헤드부는 상기 슬리브의 외측부를 따라 회전하면서 센싱한 후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 헤드부는 상기 슬리브의 외측부를 따라 회전하면서 센싱하는 단계에서 상기 슬리브와 밀착되도록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하여 틸트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 헤드부는 상기 슬리브의 외측부를 따라 회전하면서 센싱한 후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 헤드부는 상기 슬리브의 외측부를 따라 회전하면서 센싱한 후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 헤드부는 상기 슬리브의 외측부를 따라 회전하면서 센싱한 후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재 검사 방법은, 센서 헤드부를 이용하여 접속재의 슬리브와 케이블의 계면 또는 상기 슬리브의 내부를 검사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 헤드부는 상기 슬리브의 외측부를 따라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센싱하는 단계; 상기 센서 헤드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센싱 후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센싱하는 단계; 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 헤드부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센싱 단계에서 상기 슬리브와 밀착되도록 상기 슬리브를 향하여 가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 헤드부는 상기 슬리브의 외측부를 따라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센싱하는 단계에서 센서 헤드부와 상기 슬리브 사이에는 접촉 매질이 분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 헤드부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센싱 단계에서 상기 슬리브와 밀착되도록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하여 틸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재의 슬리브가 케이블에 접속되기 전뿐만 아니라 슬리브가 케이블과 접속된 이후 통전 전에도 슬리브의 내부 및 슬리브와 케이블 사이의 계면의 결함을 검사하여 준공 및 운전시 발생할 수 있는 슬리브와 케이블에서의 선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를 슬리브에 보다 밀착시켜서 검측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센서 헤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센서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센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센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 사시도이다.
도 6은 센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7은 센서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센서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센서부와 센서 고정부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0은 제1 이송부의 제1 가이드와 레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1 가이드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레일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1 액츄에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케이블 접속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검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100)는, 센서 헤드부(110), 제1 이송부(120), 및 제2 이송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센서 헤드부(110)는 슬리브(21)와 케이블(10)의 계면, 또는 슬리브(21)의 내부를 검측할 수 있다. 센서 헤드부(110)는 슬리브(21)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슬리브(21)와 케이블(10)의 계면에서 결함, 예를 들면 상기 계면에서의 이물질이나 보이드(void) 등을 검측할 수 있다. 센서 헤드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21)와 케이블(10)이 결합된 상태에서 슬리브(21)와 케이블(10)의 계면을 검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10)과 결합되기 전의 슬리브(21)의 내부 또한 검측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는 센서 헤드부(1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센서 헤드부(110)는 센서부(111), 센서 지지부(110-1), 및 결합부(117)를 구비할 수 있다.
센서부(111)는 초음파 센서일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대상체인 슬리브(21)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탐상하는 접촉 타입(contact type)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센서부(111)는 위상 배열 초음파 센서(phased array ultrasonic sensor)일 수 있다. 위상 배열 초음파 센서는 64 내지 256개의 셀들이 배열된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셀들 각각은 시간차를 두고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슬리브(21)의 내부 또는 슬리브(21)와 케이블(10)의 계면에서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할 수 있다.
센서부(111)는 센서 지지부에 의해 고정되고 슬리브(21)의 외측면에 밀착되며, 슬리브(21)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초음파를 슬리브(21) 내로 발진시킬 수 있다. 또한, 센서부(111)는 슬리브(21) 내 또는 슬리브(21)와 케이블(10)의 내부 계면에서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111)에서 초음파의 발신과 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센서부(111)에서 발진된 초음파의 세기와 상기 반사된 초음파의 세기는 초음파 측정 모듈(140)로 전송될 수 있다. 초음파 측정 모듈(140)은 반사된 초음파들의 세기 또는 시간을 비교하여 슬리브(21) 내 또는 슬리브(21)와 케이블(10) 사이의 계면의 결함을 검측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부(111)는 슬리브(21) 내 또는 슬리브(21)와 케이블(10) 사이의 계면에서 반사된 초음파뿐만 아니라 슬리브(21) 내 또는 슬리브(21)와 케이블(10) 사이의 계면에 존재하는 이물에서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할 수 있다. 이물이나 손상된 부분에서 반사된 초음파의 세기는 정상적인 부분에서 반사된 초음파의 세기와는 차이가 있는바, 초음파 측정 모듈(140)은 이물이 없는 부분에서 반사된 초음파와 이물에서 반사된 초음파의 세기를 비교하여 슬리브(21) 내 또는 슬리브(21)와 케이블(10) 사이의 계면에서의 이물을 검측할 수 있다. 또한, 이물이나 손상된 부분에서 반사된 초음파는 이물질이나 손상된 부분에서 반사되어 센서부(111)로 되돌아오는 시간이 정상적인 부분에서 반사되어 센서부(111)로 되돌아오는 반사파와는 차이가 있는바, 초음파 측정 모듈(140)은 이물이 없는 부분에서 반사된 초음파와 이물에서 반사된 초음파의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시간을 비교하여 슬리브(21) 내 또는 슬리브(21)와 케이블(10) 사이의 계면에서의 이물을 검측할 수 있다.
도 4 내지 6은 센서부(111)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세하게는, 도 4는 센서부(111)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며, 도 5는 센서부(111)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 사시도이고, 도 6은 센서부(111)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센서부(111)는 셀(111a)을 수용하는 하우징(111b)을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111b)은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그 하부는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셀(111a)은 하우징(111b)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하우징(111b) 하부의 개방된 개구부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고 슬리브(21)에 접촉하게 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하우징(111b)은 일 측면에 두 개의 돌출부(111c)를 구비하며, 타 측면에 두 개의 돌출부(111c)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111b)은 그 양측면에 복수 개의 돌출부(111c)를 구비할 수 있다.
돌출부(111c)는 센서 고정부(112)의 오목부(도 7의 112m)에 수용될 수 있으며, 돌출부(111c)가 수용부(112m)에 수용된 후에는 체결 수단(111e)에 의해 센서부(111)가 센서 고정부(112)에 고정될 수 있다.
센서 지지부(110-1)는 슬리브(21)에 밀착될 수 있도록 센서부(111)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은 센서 지지부(110-1)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센서 지지부(110-1)는 지지 프레임(113, 114), 센서 고정부(112a, 112b), 및 기둥부(116)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13, 114)은 센서 고정부(112a, 112b)와 함께 센서부(111)를 지지하고 고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13, 114)는 외부 지그 프레임(113)과 내부 지그 프레임(11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 지그 프레임(114)은 외부 지그 프레임(113) 내부에 위치하며, 슬리브(21)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하여 외부 지그 프레임(113)에 대하여 틸트되도록 외부 지그 프레임(113)과 체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지그 프레임(114)과 외부 지그 프레임(113)은 관통형 프레임 형상을 가지며, 크기에 있어서 내부 지그 프레임(114)이 외부 지그 프레임(113)보다 작게 형성되어 외부 지그 프레임(113)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내부 지그 프레임(114)와 외부 지그 프레임(113)은 슬리브(21)의 길이 방향으로 체결 수단(a)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체결 수단(a)과 대칭이 되는 부분에 다른 체결 수단에 의해 내부 지그 프레임(114)과 외부 지그 프레임(113)이 연결될 수 있다. 슬리브(21)의 길이 방향에서 두 개의 체결 수단이 각각 서로를 향하여 위치하면서 내부 지그 프레임(114)과 외부 지그 프레임(113)을 연결하므로 내부 지그 프레임(114)은 체결 수단(a)을 축으로 틸트되는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지지 프레임(113, 114)이 진원이 아닌 슬리브(21)의 외주면을 이동하는 경우에도 내부 지그 프레임(114)은 슬리브(21)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자유도를 갖게 되므로 내부 지그 프레임(114)에서 고정되는 센서부(111)의 슬리브(21) 외주면에 대한 밀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외부 지그 프레임(113)과 내부 지그 프레임(114) 사이에는 탄성부재(119)가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19)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은 내부 지그 프레임(114)에 연결되며, 타단은 외부 지그 프레임(113)에서 돌출된 고리부(115)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 지그 프레임(113)과 내부 지그 프레임(114)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119)는 내부 지그 프레임(114)에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내부 지그 프레임(114)이 외부 지그 프레임(113)에 대해 틀어진 경우에, 내부 지그 프레임(114)은 다시 외부 지그 프레임(113)과 정렬이 되는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센서 고정부(112)는 내부 지그 프레임(114)과 센서부(111) 사이에 배치되어 센서부(111)를 고정시킬 수 있다. 센서 고정부(112)는 센서부(11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2 센서 고정부재(112a, 11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11)는 내부 지그 프레임(114) 내에서 제1 센서 고정부재(112a)와 제2 센서 고정부재(112b)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제1 및 2 센서 고정부재(112a, 112b) 각각은 슬리브(21)의 원주 방향으로 체결수단(b)에 의해 내부 지그 프레임(114)과 연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체결수단(b)는 슬리브(21)의 원주방향(도 1의 Y축 방향)으로 관통된 외부 지그 프레임(113)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제1 및 2 센서 고정부재(112a, 112b)와 내부 지그 프레임(114)를 체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2 센서 고정부재(112a, 112b)와 센서부(111)는 슬리브(21)의 원주 방향을 축으로 하여 틸트되는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지그 프레임(113) 내의 내부 지그 프레임(114)은 슬리브(21)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하여 자유도를 가지며, 내부 지그 프레임(114) 내의 센서 고정부(112)는 슬리브(21)의 원주 방향을 축으로 하여 자유도를 가지므로 슬리브(21)의 외주면에 대한 센서부(111)의 밀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제1 센서 고정부재(112a)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제1 센서 고정부재(112a)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센서부(111)와 센서 고정부(112)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센서 고정부(도 1의 112)는 제1 센서 고정부재(112a)와 제2 센서 고정부재(112b)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및 2 센서 고정부재(112a, 112b) 각각은 두 개의 고정부재가 체결수단에의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7 내지 9를 참조하면, 제1 센서 고정부재(112a)는 제1 고정부재(112a1)와 제2 고정부재(112a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고정부재(112a1)와 제2 고정부재(112a2)는 별도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112a1)는 일측에 센서부(111)가 위치할 수 있으며, 타측에 제2 고정부재(112a2)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112a1)은 센서부(111)가 위치하는 일측에 수용부(112m)를 구비할 수 있다. 수용부(112m)는 센서부(111)의 하우징(111b) 측부에 형성된 돌출부(111c)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112a1) 상에는 관통공(112g)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112g)은 제1 고정부재(112a1) 상부면에서 하부를 향하며, 수용부(112m)에 까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12m)에 돌출부(111c)가 수용된 후에 관통공(112g)을 통해 체결 수단(도 4의 111e)이 삽입될 수 있으며, 체결 수단(111e)이 돌출부(111c)에 체결됨으로써 제1 고정부재(112a1)에 센서부(111)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고정 부재(112a2)의 일측부에는 관통공(112f)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112f)은 제2 고정 부재(112a2)의 외측면에서 제1 고정 부재(112a1)를 향하여 형성되며, 제1 고정 부재(112a1)의 내부까지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112f)에는 체결 수단(112k)가 삽입되어 제2 고정 부재(112a2)와 제1 고정 부재(112a1)를 체결할 수 있다.
센서 고정부(112)는 슬리브(21)를 향하는 저면부에 슬릿 형태의 유출부(112j)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유입부(112d)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 및 8을 참조하면, 센서부(111)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고정 부재(112a1) 상에는 접촉 매질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부(112d)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부(112d)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매질이 유동할 수 있는 유동관(40)이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유동관(40)의 일단에는 접촉 매질을 저장하는 탱크가 연결되어 있으며, 접촉 매질은 상기 탱크에서 유동관(40)을 통해 유입부(112d)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및 2 센서 고정부재(112a, 112b)의 배면, 즉 슬리브(21)를 향하는 하부면에는 접촉 매질이 유출될 수 있는 유출부(112j)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유입부(112d)로 유입된 접촉 매질이 슬리브(21)를 향해 유출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7 내지 9를 참조하면, 유출부(112j)는 제1 고정 부재(112a1)와 제2 고정 부재(112a2) 사이의 계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유입부(112d)는 제1 고정 부재(112a1)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며, 제1 고정 부재(112a1) 내의 유입부(112d)에서 제2 고정 부재(112a2)에 접하는 측면을 향해 연결 통로(112c)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입부(112d)로 유입된 접촉 매질은 연결 통로(112c)를 통해 제1 고정 부재(112a1)와 제2 고정 부재(112a2) 사이의 계면에 형성된 유출부(112j)를 통해 슬리브(21)를 향해 유출될 수 있다.
제1 고정 부재(112a1)의 일 측면에 접하는 제2 고정 부재(112a2)의 일 측면에는 오목부(112e)가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112e)는 제1 고정 부재(112a1)의 연결 통로(112c)로 연결되며, 유입부(112d)로 유입된 접촉 매질은 연결 통로(112c)를 통과하여 오목부(112e)에 유입될 수 있다. 오목부(112e)에 유입된 접촉 매질은 유출부(112j)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유출부(112j)는 제1 고정 부재(112a1)와 제2 고정 부재(112a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출부(112j)가 제2 고정 부재(112a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됨에 따라 접촉 매질이 제1 고정 부재(112a1) 또는 제2 고정 부재(112a2)의 길이 방향으로 넓게 유출되는바, 접촉 매질이 센서부(111)의 바닥면에 고르게 도포되어 센서부(111)와 슬리브(21)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유출부(112j) 전체를 통해 접촉 매질이 넓게 유출될 수 있도록 오목부(112e)는 제2 고정 부재(112a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유출부(112j)의 출구에 해당하는 제1 고정 부재(112a1)와 제2 고정 부재(112a2)이 접하는 모서리들은 모따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 매질이 슬리브(21)로의 유출이 용이해질 수 있다.
유출부(112j)를 통해 유출된 접촉 매질은 센서부(111)와 슬리브(21) 사이에 스며들어 센서부(111)에서 슬리브(21)로의 초음파 투과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접촉 매질은 슬리브(21)의 음향 임피던스와 센서부(111)의 음향 임피던스 사이의 음향 임피던스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촉 매질은 슬리브(21)와 센서부(111) 사이에 게재되며, 접촉 매질의 음향 임피던스가 슬리브(21)의 음향 임피던스와 센서부(111)의 음향 임피던스 사이 값을 가지게 되므로, 접촉 매질은 슬리브(21)와 센서부(111)의 음향 임피던스 차이를 감소시켜 초음파의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접촉 매질은 슬리브(21)와 반응하지 않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슬리브(21)는 절연 물질로 이루어지며, 접촉 매질은 슬리브(21) 표면에 도포되는바, 접촉 매질이 슬리브(21)와 반응하여 슬리브(21)의 전기적인 특성(예를 들면, 절연성)을 저하시키는 등의 영향을 미친다면 접속재로서의 슬리브(21)가 고전압을 견디지 못하고 폭발하거나 그 수명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접촉 매질은 슬리브(21)와 접촉하여여 슬리브(21)의 전기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물질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리브(21)는 일반적으로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며, 이 경우, 실리콘인 슬리브(21)와 반응하지 않는 접촉 매질은 일 예로서 글리세린일 수 있다.
또한, 센서부(111)와 센서 고정부(112)는 슬리브(21)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센서부(111)와 센서 고정부(112)는 슬리브(21)의 외주면 사이에 마찰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마찰에 의해 센서부(111)의 측정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접촉 매질은 센서부(111)(또는 센서 고정부(112))와 슬리브(21)의 외주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마찰력에 의해 발생하는 측정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기둥부(116)는 지그 프레임(113)의 일측에서 슬리브(21)의 외주면의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기둥부(116)는 결합부(117)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기둥부(116)는 결합부(117)의 고정부재(117a)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고정레버(117b)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두 개의 고정부재(117a) 사이에 이격이 발생하며, 이격된 공간에 기둥부(116)가 삽입되고, 다시 고정레버(117b)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두 개의 고정부재(117a)가 기둥부(116)를 조이게 하여 센서 지지부(110-1)를 결합부(117)에 고정시킬 수 있다.
가압부(118)는 센서 지지부(110-1)가 슬리브(21)에 보다 더 밀착될 수 있도록 센서 지지부(110-1)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가압부(118)는 공기압 또는 유압 실린더일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가압부(118)는 제1 연결관(31)과 제2 연결관(32)에 의해 솔밸브(150)와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솔밸브(150)는 컴프레셔와 연결될 수 있다. 솔밸브(150)는 컴프레셔의 압력을 가압부(118)에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 기능을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연결관(31)의 일단은 가압부(118) 일측의 연결부(118a)와 연결되며 제1 연결관(31)의 타단은 솔밸브(15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관(32)의 일단은 가압부(118) 일측의 연결부(118b)와 연결되며 제2 연결관(32)의 타단은 솔밸브(150)와 연결될 수 있다. 솔밸브(150)는 제1 연결관(31)을 통해 공기압 또는 유압을 흐르게 하고 제2 연결관(32)을 통해 공기압 또는 유압을 차단함으로써 가압부(118)가 작동하도록 하며, 이와는 반대로 솔밸브(150)는 제1 연결관(31)을 통해 공기압 또는 유압을 차단하고 제2 연결관(32)을 통해 공기압 또는 유압을 흐르게 함으로써 가압부(118)가 작동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가압부(118)는 기둥부(116)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17a)와 연결되며, 기둥부(116)의 길이 방향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둥부(116)의 일단에 결합된 지지 프레임(113, 114)은 슬리브(21)의 외주면에 더 밀착되고 지지 프레임(113, 114) 내에 고정된 센서부(111) 역시 슬리브(21)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센서부(111)의 센싱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결합부(117)는 센서 지지부(110-1)를 제1 이송부(1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결합부(117)은 그 일측이 제1 이송부(120)와 결합되며, 그 타측에서 고정부재(117a)에 의해 기둥부(116)를 고정시킴으로써 센서 지지부(110-1)를 제1 이송부(1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0은 제1 이송부의 제1 가이드와 레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제1 가이드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레일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제1 액츄에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1 이송부(120)는 센서 헤드부(110)를 슬리브(21)의 원주면을 따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1 방향으로의 회전 이후에는 센서 헤드부(110)를 슬리브(21)의 원주면을 따라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제1 이송부(120)는 센서 헤드부(110)를 슬리브(21)의 원주면을 따라 시계 방향(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한 바퀴 회전시킬 수 있다. 센서 헤드부(110)가 시계 방향(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한 바퀴 회전하면서 슬리브(21)의 내부 또는 슬리브(21)와 케이블(10)의 계면을 검측할 수 있다.
제1 이송부(120)가 센서 헤드부(110)를 슬리브(21)의 원주면을 따라 시계 방향(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한 바퀴 회전시킨 후에는, 센서 헤드부(110)는 제2 이송부(130)에 의해 슬리브(2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2 이송부(130)에 의해 이동된 센서 헤드부(110)를 제1 이송부(120)는 제1 방향과는 반대 방향, 즉 반 시계 방향(또는 시계 방향)으로 한 바퀴 회전시킬 수 있다. 센서 헤드부(110)가 반 시계 방향(또는 시계 방향)으로 한 바퀴 회전하면서 슬리브(21)의 내부 또는 슬리브(21)와 케이블(10)의 계면을 검측할 수 있다.
센서 헤드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동관(40)을 통해 접촉 매질 저장 탱크와 연결되고 또한 연결관(31, 32)를 통해 솔밸브(150)와 연결되는바, 센서 헤드부(110)가 한 방향으로만 회전한다면 유동관(40) 및 연결관(31, 32)이 슬리브(21)에 꼬이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이송부(120)가 센서 헤드부(110)를 시계 방향(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일회전시킨 후 다시 그 반대 방향인 반 시계 방향(또는 시계 방향)으로 일회전시킴으로써 유동관(40)이나 연결관(31, 32)이 슬리브(21)에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10 내지 13을 참조하면, 제1 이송부(120)는 레일(121), 제1 가이드(122), 및 제1 액츄에이터(123)를 구비할 수 있다.
레일(121)은 센서 지지부(110-1)와 결합되어 슬리브(21)의 외측부 주위를 회전할 수 있다. 즉, 레일(121)은 결합부(117)에 의해 센서 지지부(110-1)의 기둥부(116)과 연결되며, 레일(121)이 회전함에 따라 센서 지지부(110-1)도 슬리브(21)의 외주면을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센서 지지부(110-1)에 고정된 센서부(111)가 슬리브(21)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면서 슬리브(21) 내부를 검측할 수 있다.
레일(121)은 슬리브(21)의 외측부를 둘러싸되 상기 외측부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레일(121)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경이 슬리브(21)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 환형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레일(121)은 둘 이상의 부재로 형성되고 이들 부재가 결합하여 환형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2는 두 개의 부재로 분리된 레일(121)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레일(121)은 제1 레일 부재(121a)와 제2 레일 부재(121b)로 각각 이루어지며, 이들 제1 및 2 레일 부재(121a, 121b)는 체결 수단(121c)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레일(121)의 외측면에는 나사산(121d)이 형성될 수 있다. 레일(121)에 형성된 나사산(121d)은 제1 액츄에이터(도 13의 123)의 기어(도 13의 123b)에 치합되며, 모터(123a)의 회전력에 의해 레일(121)이 슬리브(21) 주위를 회전하게 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액츄에이터(123)의 기어(123b)는 수용부(123c)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수용부(123c)는 기어(123b)가 레일(121)의 나산산(121d)과 치합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가이드(122)는 레일(121)의 회전을 가이드하며, 슬리브(21)의 외측부를 둘러싸되 외측부에서 이격되어 형성된 환형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가이드(12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32)에 의해 제2 이송부(130)의 블럭(131)에 고정되며, 블럭(131)이 제2 가이드(134)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슬리브(2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제1 가이드(122)는 레일(121)이 슬리브(21)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1 가이드(122)의 일 측에 베어링(124)을 구비할 할 수 있다. 베어링(124)은 레일(121)이 회전에 있어서 마찰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가이드(122)는 레일(121)과 같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이들을 결합시킴으로써 환형 고리 형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가이드(122)는 두 개의 가이드 부재(122a, 122b)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은 체결 수단(122c)에 의해 체결되어 환형 고리 형상을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가이드(122)와 레일(121)이 두 개 이상의 부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케이블(10)과 슬리브(21)가 이미 결합된 상태에서 슬리브(21)와 케이블(10) 사이의 계면 측정이 가능하다. 즉, 제1 가이드(122)와 레일(121)이 두 개 이상의 부재로 분리된 상태에서 슬리브(21)가 결합된 케이블(10)을 분리된 상기 부재들 사이에 배치한 후 이들 부재들을 결합함으로써 슬리브(21) 외주면을 둘러싸는 환형의 제1 가이드(122)와 레일(121)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는 슬리브(21)가 결합된 케이블(10)을 시공 현장에서 바로 슬리브(21)와 케이블(10) 사이의 계면의 결함을 검사할 수 있다.
제2 이송부(130)는 센서 헤드부(110)를 슬리브(2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이송부(130)는 센서 헤드부(110)가 제1 이송부(120)에 의해 슬리브(21)의 외측부를 일회전하면서 센싱한 후 센서 헤드부(110)를 슬리브(21)의 길이 방향(도 1의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이송부(130)는 센서 헤드부(110)가 일회전하면서 센싱하는 범위와 상기 일회전 후 타회전하면서 센싱하는 범위가 일부 오버랩되도록 센서 헤드부를 접속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센서 헤드부(110)는 제1 이송부(120)에 의해 시계 방향(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일회전하며서 센싱한 후에는 회전의 시작 위치에서 멈추게 된다. 이후 제2 이송부(130)는 센서 헤드부(110)를 슬리브(2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그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는 제1 방향인 시계 방향(또는 반 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한 센서 헤드부(110)의 센싱 범위가 그 이후에 이루어지는 제2 방향인 반 시계 방향(또는 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한 센서 헤드부(110)의 센싱 범위와 일부 오버랩이 될 수 있도록 센서 헤드부(110)를 슬리브(2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 헤드부(110)의 제1 방향으로의 센싱 범위와 제2 방향으로의 센싱 범위가 일정 부분 오버랩이 됨으로써 슬리브(21) 전체 범위를 빠짐없이 연속적으로 탐상할 수 있다.
또한, 센서 헤드부(110)가 슬리브(21)의 원주면을 따라 회전함과 동시에 슬리브(2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탐상된 결과를 분석하고 처리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는바, 센서 헤드부(110)의 접속재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은 슬리브(21)의 원주면을 따라 일회전을 하고 멈춘 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2 이송부(130)는 블럭(131), 연결부(132), 제2 가이드(134), 및 제2 액츄에이터(13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블럭(131)은 연결부(132)에 의해 제1 이송부(120)의 제1 가이드(122)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럭(131)이 제2 가이드(134)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제1 이송부(120) 역시 슬리브(2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가이드(134)는 슬리브(2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블럭(131)이 슬리브(2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로서, 블럭(131)과 제2 가이드(134) 각각은 LM(Linear Motor) 블럭 및 LM 가이드일 수 있다.
LM 가이드는 외측에 스크류가 형성된 로드를 구비하고 있으며, LM 블록은 상기 스크류에 치합될 수 있는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LM 가이드는 슬리브(2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로드의 회전에 의해, 상기 로드의 스크류와 치합되는 LM 블록은 로드의 길이 방향, 즉 슬리브(2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검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우선 센서 헤드부(110)는 제1 이송부(120)에 의해 슬리브(21)의 외측부를 따라 회전하면서 슬리브(21)의 내부 또는 슬리브(21)와 케이블(10) 사이의 계면을 탐상할 수 있다. 즉, 제1 이송부(120)는 센서 헤드부(110)를 슬리브(21)의 원주면을 따라 제1 방향인 시계 방향(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한 바퀴 회전시킬 수 있다. 센서 헤드부(110)가 시계 방향(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한 바퀴 회전하면서 슬리브(21)의 내부 또는 슬리브(21)와 케이블(10)의 계면을 검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센서 헤드부(110)는 제1 방향으로의 센싱 후 슬리브(2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2 이송부(130)는 센서 헤드부(110)가 제1 이송부(120)에 의해 슬리브(21)의 외측부를 일회전하면서 센싱한 후 센서 헤드부(110)를 슬리브(21)의 길이 방향(도 1의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이송부(130)는 센서 헤드부(110)가 일회전하면서 센싱하는 범위와 상기 일회전 후 타회전하면서 센싱하는 범위가 일부 오버랩되도록 센서 헤드부를 접속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센서 헤드부(110)는 제1 이송부(120)에 의해 시계 방향(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일회전하며서 센싱한 후에는 회전의 시작 위치에서 멈추게 된다. 이후 제2 이송부(130)는 센서 헤드부(110)를 슬리브(2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그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는 제1 방향인 시계 방향(또는 반 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한 센서 헤드부(110)의 센싱 범위가 그 이후에 이루어지는 제2 방향인 반 시계 방향(또는 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한 센서 헤드부(110)의 센싱 범위와 일부 오버랩이 될 수 있도록 센서 헤드부(110)를 슬리브(2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 헤드부(110)의 제1 방향으로의 센싱 범위와 제2 방향으로의 센싱 범위가 일정 부분 오버랩이 됨으로써 슬리브(21) 전체 범위를 빠짐없이 연속적으로 탐상할 수 있다.
또한, 센서 헤드부(110)가 슬리브(21)의 원주면을 따라 회전함과 동시에 슬리브(2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탐상된 결과를 분석하고 처리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는바, 센서 헤드부(110)의 접속재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은 슬리브(21)의 원주면을 따라 일회전을 하고 멈춘 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센서 헤드부(110)는 슬리브(2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 후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센싱할 수 있다. 즉, 제2 이송부(130)에 의해 이동된 센서 헤드부(110)를 제1 이송부(120)는 제1 방향과는 반대 방향, 즉 반 시계 방향(또는 시계 방향)으로 한 바퀴 회전시킬 수 있다. 센서 헤드부(110)가 반 시계 방향(또는 시계 방향)으로 한 바퀴 회전하면서 슬리브(21)의 내부 또는 슬리브(21)와 케이블(10)의 계면을 검측할 수 있다.
센서 헤드부(110)는 상술한 제1 방향으로의 센싱 또는 제2 방향으로의 센싱 단계에서 슬리브(21)와 밀착되도록 슬리브(21)를 향하여 가압될 수 있다. 또한, 센서 헤드부(110)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센싱 단계에서 슬리브(21)와 밀착되도록 슬리브(21)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하여 틸트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 헤드부(110)가 슬리브(21)의 원주면을 회전하면서 가압되고 틸트되므로, 센서 헤드부(110)는 슬리브(21)의 원주면에 보다 밀착하게 되어 측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센서 헤드부(110)의 제1 방향으로의 센싱 및 제2 방향으로의 센싱시, 센서 헤드부(110)와 슬리브(21) 사이에는 접촉 매질이 분사될 수 있다. 즉, 접촉 매질은 센서 헤드부(110)의 이동 중에 분사될 수 있다.
접촉 매질은 센서 헤드부(110)와 슬리브(21) 사이에 게재되어 센서 헤드부(110)의 센서부(111)에서 슬리브(21)로의 초음파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센서부(111)와 슬리브(21)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접촉 매질은 슬리브(21)의 음향 임피던스와 센서부(111)의 음향 임피던스 사이의 음향 임피던스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촉 매질은 슬리브(21)와 센서부(111) 사이에 게재되며, 접촉 매질의 음향 임피던스가 슬리브(21)의 음향 임피던스와 센서부(111)의 음향 임피던스 사이 값을 가지게 되므로, 접촉 매질은 슬리브(21)와 센서부(111)의 음향 임피던스 차이를 감소시켜 초음파의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접촉 매질은 글리세린일 수 있다.
또한, 센서부(111)와 센서 고정부(112)는 슬리브(21)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센서부(111)와 센서 고정부(112)는 슬리브(21)의 외주면 사이에 마찰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마찰에 의해 센서부(111)의 측정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접촉 매질은 센서부(111)(또는 센서 고정부(112))와 슬리브(21)의 외주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마찰력에 의해 발생하는 측정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110: 센서 헤드부
111: 센서부
112: 센서 고정부
113: 외부 지그 프레임
114: 내부 지그 프레임
115: 고리부
116: 기둥부
119: 탄성부재
120: 제1 이송부
121: 레일
122: 제1 가이드
123: 제1 액츄에이터
130: 제2 이송부
131: 블럭
132: 연결부
133: 제2 액츄에이터
134: 제2 가이드

Claims (44)

  1. 접속재의 슬리브에 의해 서로 분리된 두 개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슬리브와 케이블 사이의 계면 또는 상기 슬리브 내부를 검사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는,
    상기 슬리브와 상기 케이블의 계면 또는 상기 슬리브의 내부를 검측하는 센서 헤드부;
    상기 센서 헤드부는 공기압 또는 유압으로 통해 상기 슬리브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슬리브를 향해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 및
    상기 센서 헤드부를 상기 슬리브의 외측부 주위로 회전시키는 제1 이송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헤드부는,
    상기 슬리브에 향해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반사되는 상기 초음파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고정하는 센서 지지부; 및
    상기 센서 지지부를 고정시키고 상기 제1 이송부와 결합하는 결합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복수 개의 셀로 이루어지며, 상기 셀 들 각각은 시간차를 두고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반사된 상기 초음파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지지부는,
    상기 센서부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센서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센서부를 고정시키는 센서 고정부;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결합부에 의해 고정되는 기둥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기둥부의 일단과 연결되는 외부 지그 프레임;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하여 상기 외부 지그 프레임에 대해 틸트되도록 상기 외부 지그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지그 프레임; 및
    상기 외부 지그 프레임과 상기 내부 지그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지그 프레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고정부는 일측에 접촉 매질이 유입되는 유입부와, 타측에 상기 접촉 매질이 유출되는 유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 매질은 상기 센서부와 상기 슬리브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고정부는 상기 센서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센서 고정부재와 제2 센서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센서 고정부재와 상기 제2 센서 고정부재 사이에서 상기 센서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 고정부재는 상기 제1 센서 고정부재의 일 측면에 접하는 상기 제2 센서 고정부재의 일 측면에서 타 측면을 향해 형성되는 오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2 센서 고정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공기압 또는 유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11. 접속재의 슬리브에 의해 서로 분리된 두 개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슬리브와 케이블 사이의 계면 또는 상기 슬리브 내부를 검사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는,
    상기 슬리브와 상기 케이블의 계면 또는 상기 슬리브의 내부를 검측하는 센서 헤드부;
    상기 센서 헤드부는 공기압 또는 유압으로 통해 상기 슬리브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슬리브를 향해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 및
    상기 센서 헤드부를 상기 슬리브의 외측부 주위로 회전시키는 제1 이송부; 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 헤드부는 상기 슬리브와의 사이에 접촉 매질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매질은 상기 슬리브의 음향 임피던스와 상기 센서 헤드부의 음향 임피던스 사이의 음향 임피던스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매질은 글리세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헤드부는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틸트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헤드부를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송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공기압 또는 유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헤드부를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송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18. 접속재의 슬리브에 의해 서로 분리된 두 개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슬리브와 케이블 사이의 계면 또는 상기 슬리브 내부를 검사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는,
    상기 슬리브와 상기 케이블의 계면 또는 상기 슬리브의 내부를 검측하는 센서 헤드부;
    상기 센서 헤드부는 공기압 또는 유압으로 통해 상기 슬리브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슬리브를 향해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 및
    상기 센서 헤드부를 상기 슬리브의 외측부 주위로 회전시키는 제1 이송부; 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 헤드부는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틸트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헤드부를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송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헤드부는,
    상기 슬리브에 향해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반사되는 상기 초음파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고정하는 센서 지지부; 및
    상기 센서 지지부를 고정시키고 상기 제1 이송부와 결합하는 결합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복수 개의 셀로 이루어지며, 상기 셀 들 각각은 시간차를 두고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반사된 상기 초음파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지지부는,
    상기 센서부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센서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센서부를 고정시키는 센서 고정부;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결합부에 의해 고정되는 기둥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기둥부의 일단과 연결되는 외부 지그 프레임;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하여 상기 외부 지그 프레임에 대해 틸트되도록 상기 외부 지그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지그 프레임; 및
    상기 외부 지그 프레임과 상기 내부 지그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지그 프레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고정부는 일측에 접촉 매질이 유입되는 유입부와, 타측에 상기 접촉 매질이 유출되는 유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 매질은 상기 센서부와 상기 슬리브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고정부는 상기 센서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센서 고정부재와 제2 센서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센서 고정부재와 상기 제2 센서 고정부재 사이에서 상기 센서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 고정부재는 상기 제1 센서 고정부재의 일 측면에 접하는 상기 제2 센서 고정부재의 일 측면에서 타 측면을 향해 형성되는 오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2 센서 고정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28.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공기압 또는 유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29. 접속재의 슬리브에 의해 서로 분리된 두 개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슬리브와 케이블 사이의 계면 또는 상기 슬리브 내부를 검사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는,
    상기 슬리브와 상기 케이블의 계면 또는 상기 슬리브의 내부를 검측하는 센서 헤드부;
    상기 센서 헤드부를 상기 슬리브의 외측부 주위로 회전시키는 제1 이송부; 및
    상기 센서 헤드부를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송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센서 지지부와 결합되어 상기 슬리브의 외측부 주위를 회전하는 레일;
    상기 레일의 회전을 가이드하며, 상기 슬리브의 외측부를 둘러싸되 상기 외측부에서 이격된 제1 가이드; 및
    상기 레일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액츄에이터;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및 상기 레일은 적어도 둘 이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부재 들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슬리브의 외측부를 둘러싸되 상기 외측부에서 이격되며,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이 상기 제1 액츄에이터의 상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제1 이송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이송부와 함께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블럭;
    상기 블럭을 상기 제1 이송부에 고정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블럭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제2 가이드;
    상기 블럭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블럭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액츄에이터;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34. 센서 헤드부를 이용하여 접속재의 슬리브와 케이블의 계면 또는 상기 슬리브의 내부를 검사하는 케이블 슬리브 검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 헤드부는 상기 슬리브의 외측부를 따라 회전하면서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 헤드부는 상기 회전 센싱 단계시 상기 슬리브와 밀착되도록 상기 슬리브를 향하여 가압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헤드부는 상기 슬리브의 외측부를 따라 회전하면서 센싱하는 단계에서 센서 헤드부와 상기 슬리브 사이에는 접촉 매질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방법.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헤드부는 상기 슬리브의 외측부를 따라 회전하면서 센싱하는 단계에서 상기 슬리브와 밀착되도록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하여 틸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방법.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헤드부는 상기 슬리브의 외측부를 따라 회전하면서 센싱한 후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방법.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헤드부는 상기 슬리브의 외측부를 따라 회전하면서 센싱하는 단계에서 상기 슬리브와 밀착되도록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하여 틸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방법.
  3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헤드부는 상기 슬리브의 외측부를 따라 회전하면서 센싱한 후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방법.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헤드부는 상기 슬리브의 외측부를 따라 회전하면서 센싱한 후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방법.
  41.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헤드부는 상기 슬리브의 외측부를 따라 회전하면서 센싱한 후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방법.
  42. 센서 헤드부를 이용하여 접속재의 슬리브와 케이블의 계면 또는 상기 슬리브의 내부를 검사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 헤드부는 상기 슬리브의 외측부를 따라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센싱하는 단계;
    상기 센서 헤드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센싱 후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센싱하는 단계; 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 헤드부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센싱 단계에서 상기 슬리브와 밀착되도록 상기 슬리브를 향하여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헤드부는 상기 슬리브의 외측부를 따라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센싱하는 단계에서 센서 헤드부와 상기 슬리브 사이에는 접촉 매질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방법.
  44. 제42항 또는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헤드부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센싱 단계에서 상기 슬리브와 밀착되도록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하여 틸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재 검사 방법.
KR1020140072335A 2013-11-28 2014-06-13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및 케이블 접속재 검사 방법 KR2015006291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175A KR102258904B1 (ko) 2013-11-28 2014-11-28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및 케이블 접속재 검사 방법
PCT/KR2014/011598 WO2015080535A1 (ko) 2013-11-28 2014-11-28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및 케이블 접속재 검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648 2013-11-28
KR20130146648 2013-1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916A true KR20150062916A (ko) 2015-06-08

Family

ID=535008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335A KR20150062916A (ko) 2013-11-28 2014-06-13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및 케이블 접속재 검사 방법
KR1020140168175A KR102258904B1 (ko) 2013-11-28 2014-11-28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및 케이블 접속재 검사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175A KR102258904B1 (ko) 2013-11-28 2014-11-28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및 케이블 접속재 검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5006291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350B1 (ko) * 2017-08-25 2019-04-22 남형수 가변 프로브 홀더와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검사 시스템의 신호 분석 방법
CN108775880A (zh) * 2018-08-07 2018-11-09 南京邮电大学 基于超声换能器的电缆损伤检测装置及使用方法
KR102485053B1 (ko) * 2019-12-16 2023-01-06 한국전력공사 지중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및 모듈
KR20210083056A (ko) 2019-12-26 2021-07-06 한국전력공사 활선 감지 기능을 갖는 특고압 케이블의 종단장치
KR102272086B1 (ko) 2020-01-02 2021-07-02 대한전선 주식회사 이종 구조물의 계면 압력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6917A (en) 1956-03-06 1960-10-18 Du Pont Article of manufacture and process of making same
JPS59213A (ja) 1982-06-25 1984-01-05 Toshiba Corp 弾性表面波装置
KR200406125Y1 (ko) * 2005-11-03 2006-01-24 세안기술 주식회사 배관 용접부의 비파괴 초음파 검사장치
CN101467035B (zh) * 2006-06-13 2012-10-31 住友金属工业株式会社 超声波探伤方法、焊接钢管的制造方法及超声波探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8904B1 (ko) 2021-06-01
KR20150062147A (ko) 2015-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62916A (ko) 케이블 접속재 검사 장치 및 케이블 접속재 검사 방법
US8424385B2 (en) Inspecting device including detachable probe
TR201808530T4 (tr) İzleme sistemiyle donatılmış boru elemanı.
CA2750588C (en) Low profile encircling ultrasonic probe for the inspection of in-situ piping in immersion mode
US20160252482A1 (en) Ultrasonic inspection device for small bore pipes
RU2751557C2 (ru) Акустико-эмиссионные датчики со встроенными акустическими генераторами
KR20130086033A (ko) 파이프의 주행성을 체크하는 장치 및 제조 제어 방법
CN104565670B (zh) 柔性接头、接头中泄漏的检测方法及检测系统
US20200103391A1 (en) Apparatus for detecting internal defect in transformer
ES2382904T3 (es) Paso eléctrico y uso del paso eléctrico
CN108291894B (zh) 用于检查垫圈焊接部的方法、系统和固定装置
KR101499800B1 (ko) 발전소 튜브 전용 위상배열 초음파 검사장치
KR101973073B1 (ko) 관통관 수밀 검사 장치
EP3732386A1 (fr) Embout de connexion d'une ligne flexible, procédé de fabrication et méthode de surveillance associés
WO2007111389A1 (en) Power cable capable of detecting failure
KR20220000179A (ko) 유도 초음파를 이용한 전주 진단 장치
KR101885756B1 (ko) 비파괴 검사를 수행하는 초음파 검사장치의 초음파 센서 모듈 구조
KR20230081460A (ko) 광섬유센서를 이용한 파이프 비파괴 검사장치
KR20230081458A (ko) 초음파를 이용한 파이프 비파괴 검사장치
KR101646498B1 (ko) 고밀도 폴리에틸렌 배관의 결함을 검출하기 위한 초음파 검사 시스템 및 방법
KR101759667B1 (ko) 소구경 튜브 용접부 건전성 평가 장치
EP3088884A1 (en) Method and system for ultrasonically determining the condition of a building structure
BR112020013120B1 (pt) Peça terminal de conexão de uma linha flexível para o transporte de fluido, método para a fabricação de uma peça terminal e método para monitorar uma peça terminal
JP2001343367A (ja) タービン発電機の水冷却ステータコイルクリップの継手接合部の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JP2023094480A (ja) 橋梁用ケーブルの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