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2322A - 차량의 액티브 에어 플랩 - Google Patents

차량의 액티브 에어 플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2322A
KR20150062322A KR1020130146845A KR20130146845A KR20150062322A KR 20150062322 A KR20150062322 A KR 20150062322A KR 1020130146845 A KR1020130146845 A KR 1020130146845A KR 20130146845 A KR20130146845 A KR 20130146845A KR 20150062322 A KR20150062322 A KR 20150062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flap
loader
actua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6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6028B1 (ko
Inventor
김인철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6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028B1/ko
Priority to CN201420478428.2U priority patent/CN204184190U/zh
Publication of KR20150062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8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5Front-end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전방에 설치되는 프론트엔드모듈과 상기 프론트엔드모듈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액츄에이터가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링크와 상기 링크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플랩 및 상기 플랩과 상기 링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으로 상기 링크가 수직운동하면 상기 플랩이 수평운동으로 변형하도록 연결되는 로더를 포함하는 차량의 액티브 에어 플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액티브 에어 플랩{Active air Flap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액티브 에어 플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범퍼그릴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차량의 액티브 에어 플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 룸 내에는 엔진 등과 같은 구동을 위한 부품 뿐만 아니라, 엔진 등과 같은 차량 내 각 부품을 냉각하거나 또는 차량 실내의 공기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라디에이터, 인터쿨러, 증발기, 응축기 등과 같은 다양한 열교환기들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열교환기들은 일반적으로 내부에 열교환매체가 유통하며, 열교환기 내부의 열교환매체와 열교환기 외부의 공기가 서로 열교환을 함으로써 냉각 또는 방열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차량 엔진 룸 내의 다양한 열교환기들이 안정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엔진 룸 내부로 외부 공기가 원활히 공급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부품 또는 차량 실내의 냉각을 위해 구비되는 열교환기들을 쿨링 모듈로 통칭한다.
최근 자동차 개발은 생산성 향상으로 위하여 부품과 공정의 수를 감소하여 단가를 낮추면서 품질을 높이도록 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 되고 있고, 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 중 다수의 부품을 각각 조립하여 집합체를 형성시켜 조립 라인에서 조립한다.
즉, 모듈화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예로써 쿨링 모듈, 헤드 램프 및 범퍼 빔 스테이를 포함한 범퍼를 조립하여 모듈화한 프론트 엔드 모듈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프론트 엔드 모듈에 액티브 에어 플랩을 적용하여 링크와 플랩의 작동시 결합부의 이탈이 발생되는 품질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억지 끼움부의 간격을 축소하면 플랩의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액티브 에어 플랩을 장시간 작동시 링크와 플랩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마모로 인하여 이탈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프론트 엔드 모듈에 액티브 에어 플랩을 적용하여 링크와 플랩의 작동시 결합부의 이탈을 막도록 하며, 또, 억지 끼움부의 간격을 축소시 플랩의 조립성을 높이며, 액티브 에어 플랩을 장시간 작동간에 링크와 플랩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마모를 줄이는 차량의 액티브 에어 플랩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액티브 에어 플랩은, 차량 전방에 설치되는 프론트엔드모듈과 상기 프론트엔드모듈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액츄에이터가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링크와 상기 링크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플랩 및 상기 플랩과 상기 링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으로 상기 링크가 수직운동하면 상기 플랩이 수평운동으로 변형하도록 연결되는 로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로더는, 평평한 복수의 플레이트의 일측이 원통형으로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더의 일측인 원통형 부분은 상기 플랩에 형성된 회전축이 삽입되도록 중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더의 타측은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사이에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플랩을 회동 및 고정 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하우징홈에 장착되고, 상기 로더에 의해 상기 링크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는 상기 로더의 돌기부가 억지끼워질 수 있도록 링크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홀에 상기 돌기부가 끼워지도록 일측이 경사지도록 테이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는 상기 돌기부가 끼워지는 반대방향의 외주면에 상기 링크를 따라 링크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의 액티브 에어 플랩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우선, 액티브 에어 플랩의 작동시 링크와 플랩간에 이탈을 막는 형상으로 성능의 향상 및 제품의 내구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액티브 에어 플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액티브 에어 플랩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는 도 2의 로더와 링크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
도 4은 도 3의 액티브 에어 플랩의 결합시 측면을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5은 액티브 에어 플랩의 설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는 도 3에서 로더에서 링크 분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의 액티브 에어 플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액티브 에어 플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액티브 에어 플랩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는 도 2의 로더와 링크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와 도 4은 도 3의 액티브 에어 플랩의 결합시 측면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고, 도 5은 액티브 에어 플랩의 설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도 6는 도 3에서 로더에서 링크 분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바람직한 차량의 액티브 에어 플랩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액티브 에어 플랩인 경우이다.
도 2는 도 1에 액티브 에어 플랩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전방에 설치되는 프론트엔드모듈과 상기 프론트엔드모듈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액츄에이터가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링크와 상기 링크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플랩 및 상기 플랩과 상기 링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으로 상기 링크가 수직운동하면 상기 플랩이 수평운동으로 변형하도록 연결되는 로더를 포함한다.
도 3는 도 2의 로더와 링크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와 도 4은 도 3의 액티브 에어 플랩의 결합시 측면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프론트엔드모듈은 플라스틱 재질의 캐리어에 라디에이터, 헤드램프 및 범퍼빔 등이 장착되어 볼팅 또는 용접 등을 통해 차량의 좌측 사이드 멤버 및 우측 사이드 멤버에 결합되어 차량의 전방에 설치된다.
하우징(10)은 프론트엔드모듈에 설치된다. 하우징(10)에 복수의 관통부(미도시)가 형성되어 관통부로 플랩(40)이 설치된다. 복수의 관통부의 사이에 액츄에이터(20)가 장착되도록 하우징홈(12)이 형성된다. 이때, 하우징홈(12)은 액츄에이터(20)에 링크(30)가 설치된 상태로 액츄에이터(20)가 장착되게 액츄에이터(20)보다 크게 형성된다.
액츄에이터(20)는 하우징(10)에 형성된 하우징홈(12)에 장착되고, 플랩을 회동 및 고정 시킨다. 액츄에이터(20)의 일측으로 로더(50)가 연결되어 로더(50)에 의해 링크(30)와 연결된다. 즉, 액츄에이터(20)에 링크(30) 사이에 로더(50)가 구비되어 액츄에이터(20)와 링크(30)가 연결되어, 액츄에이터(20)의 작동으로 링크(30)가 상, 하측으로 이동된다.
링크(30)는 액츄에이터(20)가 연결되어 하우징(10)에 설치된다. 링크(30)는 액츄에이터(20)와 연결되도록 로더(50)가 사이에 구비된다. 링크(30)는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내측벽에 로더(50)가 연결되어 액츄에이터(20)와 연결된다. 여기서, 로더(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연결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와 같다.
링크(30)는 링크홀(32)이 형성된다. 링크홀(30)은 플랩(40)에서 끼워지는 링크홀(32)과 액츄에이터(20)에서 끼워지는 링크홀(32)로 복수개가 형성된다. 따라서, 링크홀(32)은 액츄에이터(20)가 끼워지는 방향과 플랩(40) 방향에서 끼지는 방향에 따라 링크홀(32)의 형상이 다르게 된다. 링크(30)는 돌기부(56)가 끼워지는 반대방향의 측면에 링크(30)를 따라 링크리브(34)가 형성된다.
링크홀(32)에 돌기부(56)가 끼워지도록 일측이 경사지도록 테이퍼부(36)가 형성되어, 돌기부(56)의 억지끼움시 테어퍼부(34)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링크홀(32)과 결합된다.
플랩(40)은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플랩(40)의 중심으로 길게 회전축(44)이 형성되고, 회전축(44)을 따라 연장되게 돌출부(42)가 형성된다. 돌출부(42)는 로더(50)에 형성된 중공홀(52)과 결합되어 링크(30)가 상측으로 이동시 링크홀(32)과 돌출부(42)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로더(50)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회전축(44)을 중심으로 플랩(40)이 회동하게 된다.
로더(50)는 평평한 플레이트(54)의 일측이 원통형으로 일체로 성형되고, 플레이트(54)는 복수개가 구비된다. 복수의 플레이트(54)는 제1 플레이트(54a)와 제2 플레이트(54b)가 구비되어 서로 같은 형상으로 구비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타원형의 플레이트(54)는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일측은 타측에 비해 지름이 작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1 플레이트(54a)에 지름이 작은 타측에 제2 플레이트(54b)를 향하여 돌기부(56)가 형성된다. 돌기부(56)와 제2 플레이(54b) 사이는 이격되어 공간부(58)가 형성된다. 공간부(58)를 통하여 링크(30)가 삽입시 링크홀(32)과 돌기부(56)를 맞춰 링크홀(32)에 돌기부(56)를 삽입하여 결합한다.
로더(50)는 플랩(40)에 형성된 돌출부(42)가 삽입되도록 중공홀(52)이 형성된다. 중공홀(52)의 지름은 돌츌부(42)의 직경과 같아 억지로 끼워진다.
로더(50)는 플랩(40)과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링크(30)와 연결되어 액츄에이터(20)의 작동으로 링크(50)가 상, 하측으로 이동하면 로더(50)가 플랩(40)의 회전축(44)을 기준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액티브 에어 플랩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은 액티브 에어 플랩의 설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도 6는 도 3에서 로더에서 링크 분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액티브 에어 플랩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은 액티브 에어 플랩의 설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는 도 3에서 로더에서 링크 분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프론트엔드모듈에 장착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로더(50)로 링크(30)가 장착된 액츄에이터(20)가 중심에 장착된다. 또, 상기 하우징(10)에 장착된 상기 액츄에이터(20)의 양측에 플랩(40)이 링크(30)와 연결되어 배치되어 액츄에이터(20)의 작동으로 플랩(40)이 회동되어 공기가 유입 및 배출된다.
상기 로더(50)의 중공홀(52)을 통하여 상기 플랩(40)의 돌출부(44)를 관통하여 억지끼움으로 삽입한다. 다음, 상기 로더(50)의 돌기부(56)가 형성된 방향에서 공간부(58)를 통하여 링크(40)를 삽입하여 상기 돌기부(56)를 링크홀(42)에 억지끼움으로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액츄에이터(20)에 제어부(미도시)의 지시에 따라 전류가 가해지게 되어 작동된다. 이때 상기 액츄에이터(20)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이와 연결된 로더(50)에도 회전이 발생하게 되면, 로더(50)와 연결된 링크(30)가 상측 및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는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일실시예로 설명한다.
상기 링크(30)가 상측으로 이동하게되면 상기 링크(30)와 연결된 로더(50)가 돌기부(56)가 끼워진 로더(50)의 일측 즉, 플랩(40)의 회전축(44)을 중심으로 로더(50)의 일측이 회전하여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플랩(40)은 회전축(44)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어 공기를 차폐를 하게 된다.
여기서, 플랩(40)은 상기 액츄에이터(20)의 작동으로 일측방향으로만 회전할 수도 있고, 양방향 액츄에이터를 구비하여, 플랩(40)의 차폐시 회전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측방향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주요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
10: 하우징 20: 액츄에이터
30: 링크 40: 플랩
50: 로더

Claims (8)

  1. 차량 전방에 설치되는 프론트엔드모듈;
    상기 프론트엔드모듈에 설치되는 하우징;
    액츄에이터가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링크;
    상기 링크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플랩; 및
    상기 플랩과 상기 링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으로 상기 링크가 수직운동하면 상기 플랩이 수평운동으로 변형하도록 연결되는 로더;를 포함하는 차량의 액티브 에어 플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더는, 평평한 복수의 플레이트의 일측이 일체로 성형되는 차량의 액티브 에어 플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더의 일측인 원통형 부분은 상기 플랩에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중공홀이 형성된 차량의 액티브 에어 플랩.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더의 타측은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사이에 돌기부가 형성되는 차량의 액티브 에어 플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플랩을 회동 및 고정 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하우징홈에 장착되고, 상기 로더에 의해 상기 링크와 연결되는 차량의 액티브 에어 플랩.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로더의 돌기부가 억지끼워질 수 있도록 링크홀이 형성되는 차량의 액티브 에어 플랩.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홀에 상기 돌기부가 끼워지도록 일측이 경사지도록 테이퍼부가 형성된 차량의 액티브 에어 플랩.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돌기부가 끼워지는 반대방향의 외주면에 상기 링크를 따라 링크리브가 형성된 차량의 액티브 에어 플랩.

KR1020130146845A 2013-11-29 2013-11-29 차량의 액티브 에어 플랩 KR102116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845A KR102116028B1 (ko) 2013-11-29 2013-11-29 차량의 액티브 에어 플랩
CN201420478428.2U CN204184190U (zh) 2013-11-29 2014-08-22 车辆的活动风门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845A KR102116028B1 (ko) 2013-11-29 2013-11-29 차량의 액티브 에어 플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322A true KR20150062322A (ko) 2015-06-08
KR102116028B1 KR102116028B1 (ko) 2020-06-05

Family

ID=52616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6845A KR102116028B1 (ko) 2013-11-29 2013-11-29 차량의 액티브 에어 플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16028B1 (ko)
CN (1) CN20418419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7779A (zh) * 2020-10-13 2022-04-15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主动控制的集成空气动力学挡板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37283B1 (fr) * 2015-06-12 2019-11-22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obturation d'entree d'air de face avant de vehicule automobile
DE102015216924B4 (de) * 2015-09-03 2022-06-02 Magna Exteriors Gmbh Lufteinlass für ein Kraftfahrzeug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2163A (ja) * 1997-12-24 1999-07-06 Bunka Shutter Co Ltd 電動グリルシャッターの持ち上げ防止構造
KR200199031Y1 (ko) * 2000-05-18 2000-10-02 주식회사센추리 에어컨디셔너의 자동 그릴장치
US6250012B1 (en) * 1997-11-28 2001-06-26 Ricci Tools Inc. Louver assembly with multi-position louver adjusting control rod having clamping connecting arms
KR20110065213A (ko) * 2009-12-09 2011-06-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플랩장치
KR101171794B1 (ko) * 2010-11-01 2012-08-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장대응을 위한 자동차용 에어플랩 개폐장치
KR101272930B1 (ko) * 2011-12-08 2013-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액티브 에어플랩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0012B1 (en) * 1997-11-28 2001-06-26 Ricci Tools Inc. Louver assembly with multi-position louver adjusting control rod having clamping connecting arms
JPH11182163A (ja) * 1997-12-24 1999-07-06 Bunka Shutter Co Ltd 電動グリルシャッターの持ち上げ防止構造
KR200199031Y1 (ko) * 2000-05-18 2000-10-02 주식회사센추리 에어컨디셔너의 자동 그릴장치
KR20110065213A (ko) * 2009-12-09 2011-06-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플랩장치
KR101171794B1 (ko) * 2010-11-01 2012-08-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장대응을 위한 자동차용 에어플랩 개폐장치
KR101272930B1 (ko) * 2011-12-08 2013-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액티브 에어플랩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7779A (zh) * 2020-10-13 2022-04-15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主动控制的集成空气动力学挡板系统
CN114347779B (zh) * 2020-10-13 2024-04-12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主动控制的集成空气动力学挡板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6028B1 (ko) 2020-06-05
CN204184190U (zh) 2015-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2930B1 (ko) 차량용 액티브 에어플랩 장치
EP2407333B1 (en) Movable grille shutter for vehicle
KR102496697B1 (ko) 열교환기 냉각 시스템
US9120373B2 (en) Active air flap apparatus for vehicle
KR101261516B1 (ko) 에어플랩을 구비한 라디에이터 그릴
KR20150062322A (ko) 차량의 액티브 에어 플랩
KR101894452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US11951824B2 (en) Shutter device for vehicle
KR101631565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101936726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101693348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101745962B1 (ko) 차량용 캐리어
KR101595979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20110109034A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101180244B1 (ko) 자동차용 라디에이터그릴 에어셔터 시스템
KR20120106034A (ko) 액티브 에어 플랩
WO2019021650A1 (ja) シャッター装置
KR101719666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20090100994A (ko) 프론트 엔드 모듈
KR101576889B1 (ko) 보행자 보호형 액티브 에어 플랩
WO2020022057A1 (ja) 組立体
WO2021019954A1 (ja) シャッター装置
US20230084648A1 (en) Air flap having mixed-type door structure
KR20150070770A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20210105614A (ko) 도어 간 간섭회피설계가 적용된 에어플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