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2096A - 저수공간이 있고 표층과 기층으로 구성된 이중블럭 - Google Patents
저수공간이 있고 표층과 기층으로 구성된 이중블럭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62096A KR20150062096A KR1020130147014A KR20130147014A KR20150062096A KR 20150062096 A KR20150062096 A KR 20150062096A KR 1020130147014 A KR1020130147014 A KR 1020130147014A KR 20130147014 A KR20130147014 A KR 20130147014A KR 20150062096 A KR20150062096 A KR 201500620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base
- water
- space
- hollow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블록포장에 관한 것으로 블록끼리 서로 어긋남이 발생하여 요철이 발생하거나, 단일재질 투수 블록의 강도제한 한계 때문에 투수블록의 투수율 상승제한을 극복하고자 단일재질의 블록에서 기층블록(B)과 표층블록(S-1)의 이중구조로 하여 기층블록(B)은 강도유지. 표층블록(S-1)은 투수율 상승을 이루고자하며, 기층블록(B) 하측에는 물을 저장하는 저장공간(W)을 두어, 이 공간으로 물을 흡수 저장하여 저장된 물의 자체 수압을 이용 아래 지반속으로 물의 흡수력을 높이며, 기층블록(B) 상측 표층블럭 삽입공간(S) 가장자리에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통과하는 중공부(C)을 두어 이 중공부에 이웃하는 기층블록(B)과 연결 핀(P)을 이용 삽입 고정하여 상하 좌우 방향으로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기층블록(B)은 반영구적으로 사용하고, 표층블록(S-1)은 일정기간 사용 후 교체 할 수 있으며 교체된 표층블록(S-1)은 재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도나 차도 제방등 지표면 위를 포장하는 블록포장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기층블록(B)과 표층블록(S-1) 이중구조로 구성하고 기층블록(B) 상층공간은 표층블록(S-1)을 조립하는 공간으로 기층블록(B) 바닥층은 저수공간(W)으로 하는 블록 포장분야이다.
기층블록(B)과 표층블록(S-1)의 이중 구조에서 기층블록(B)은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는 고정 블럭으로 고강도의 재질이며, 표층블록(S-1)은 기층블록(B)의 강도를 의지하여 강도 제한에서 벗어나 투수율을 최대로 높인다. 기층블록(B)하부는 내부에 일정공간을 두어 이 공간(W)으로 표층블록(S-1) 상측에서 유입된 수분을 저장하여 자체 수압을 발생시켜, 지반의 수분흡수력을 높인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일 재질로 구성된 기존의 포장블록에서 강도유지기능의 기층블록부분(B)과 강도유지의 제한에서 벗어나 투수율을 최대로 높인 표층 블록(S-1)을 기층블록(B)부 상측 중공부(S)에 조립되도록 하고, 지상에서 표층블럭(S-1)을 통하여 흡수된 물을 기층블럭(B) 하측 내부 중공부(W)의 저수공간으로 유도하여, 자체 수압을 발생시켜 지반 속으로 물의 흡수력을 높인다.
또한 표층블록(S-1) 조립 전 각 이웃하는 기층블록끼리 서로 통하는 중공부(C)에 연결핀(P)으로 연결 고정하여 상하좌우방향으로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포장블럭을 기층블록(B)와 표층블록(S-1) 이중으로 구성되도록 하고, 기층블록(B) 상측 중공부(S)는 표층블록(S-1)을 삽입, 제거가 가능 하도록 하는 공간(S)으로, 기층블록(B) 하측에는 표층블록(S-1)에서 흡수된 물을 저장하는 중공부(W)를 둔다. 기층블록(B)의 상측 중공부(S) 표층블록(S-1) 삽입공간(S)과 하측 중공부 저수공간(W)사이에는 일정 두께로 막혀 있으며 이 부분에는 상하방향으로 통하는 중공부(H)를 두어 표층블록(S-1)에서 흡수된 물을 아래 저수공간(W)으로 통과하도록 한다. 표층블록 삽입공간(S)에는 기층블록(B) 내측에서 외측으로 통과하는 중공부분(C)을 두고 이 중공부분은 이웃하는 기층블록의 중공부(C)와 일치되도록 하여 이 중공부(C)에 이웃 기층블록과 상하 좌우방향으로 블록이 어긋나지 않도록 하는 핀(P)을 꽂는다.
이 발명은 기존 블록포장 방법에 있어서 이웃하는 블록과의 고정방법이 없이 포장블록 사이에 채움 모래를 이용 고정하였으나 이는 각 블록이 서로 어긋나 요철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 발명은 이러한 요철을 방지하기 위해 이웃하는 블록끼리 서로 고정할 수 있는 공간(C)과 이 공간에 핀(P) 을 삽입 고정한다. 단일 구조로 된 기존 블록과 비교하여, 이 이웃블록과 수평적 고정 기능은 표층블록(S-1)이 탈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기층블록(B) 하측에는 저수공간(W)이 있어 표층블록(S-1) 상측 지상에서 표층블록 삽입공간(S)과 기층블록(B) 하측 저수 공간(W)사이에 상하방향의 중공부(H)를 통하여 흡수된 물은 저수공간(W)에 저수되도록 하여 자체 수압을 발생시켜 지반속으로 흡수력을 높인다.
도 1은 블록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가 는 기층블럭의 정방향 사시도이다.
나 는 기층블럭의 뒷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다는 기층블럭의 표층블록 조립공간에 조립되는 표층블록이다.
도 2는 블록 포장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가 는 기층블럭의 정방향 사시도이다.
나 는 기층블럭의 뒷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다는 기층블럭의 표층블록 조립공간에 조립되는 표층블록이다.
도 2는 블록 포장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기층 블록(B)는 상측과 하측에 각각 일정 가장자리는 남겨두고 내부를 중공부로 한다. 상측 중공부(S)는 표층블록(S-1)이 조립되는 공간이고 하측 내부 중공부(W)는 블록 표층 위 지반에서 흡수된 물이 저장되는 공간이다. 이는 물을 저장, 중력작용에 의해 자체 수압을 발생 아래쪽 지반속으로 물의 흡수력을 높인다. 상측 표층블록조립 중공부(S)와 하측 저수공간(W)사이는 표층블록(S-1)가 아래쪽으로 내려앉지 않도록 막혀 있으며, 이 막힌 부분에는 하측 저수공간(W)으로 통하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모양의 중공부(H)가 다수개 있다. 이 중공부(H) 는 표층블록 (S-1)의 강도와 기층블럭(B)의 크기, 하측 저수공간(W)으로 물의 통과량에 따라 크기와 갯수를 달리한다. 기층블럭(B)의 상측 내부공간(S)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측 중공부(S) 내측에서 외측으로 통과하는 수평방향의 중공부(C)가 있다. 이는 이웃하는 기층블럭끼리 중공부(C)를 마주보게 하여 이 공간을 통하여 핀(P)으로 연결 각 기층블록 끼리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 핀 연결 중공부(C)는 양면 또는 사면방향으로 둘 수 있다. 각 기층블럭(B)를 핀(P)으로 고정 연결한 후 각 표층블럭(S-1)을 기층블록(B) 상측 표층삽입 공간(S)에 조립한다.
S 는 표층블록(S-1)이 삽입되어 조립되는 공간이다.
H 는 상측 표층블록을 통과한 물을 하측 저수공간(W)으로 이동되게 하는 중공부이다.
C 는 표층블록(S-1)이 조립되기 전 이웃한 기층블록간 핀(P)를 삽입하여 고정하게 하는 핀(P) 삽입공간이다.
W 는 표층블록 위 지표에서 흡수된 물을 중공부(H)를 통과하여 물을 저장하는 저수공간이다.
S-1 은 기층블럭 상측 표층블록 삽입공간(S) 에 삽입되는 표층블럭이다.
B 는 기층블록이다.
P 는 이웃하는 기층블럭 끼리 일치되는 공간 C 에 이웃하는 기층블럭을 함께 끼워 넣어 고정하는 고정핀이다.
H 는 상측 표층블록을 통과한 물을 하측 저수공간(W)으로 이동되게 하는 중공부이다.
C 는 표층블록(S-1)이 조립되기 전 이웃한 기층블록간 핀(P)를 삽입하여 고정하게 하는 핀(P) 삽입공간이다.
W 는 표층블록 위 지표에서 흡수된 물을 중공부(H)를 통과하여 물을 저장하는 저수공간이다.
S-1 은 기층블럭 상측 표층블록 삽입공간(S) 에 삽입되는 표층블럭이다.
B 는 기층블록이다.
P 는 이웃하는 기층블럭 끼리 일치되는 공간 C 에 이웃하는 기층블럭을 함께 끼워 넣어 고정하는 고정핀이다.
Claims (1)
- 다각형의 블록의 상측과 하측에 일정너비의 가장자리를 두고 내부를 중공부로 하여 상측은 표층 조립공간(S) 하측은 저수공간(W)으로 하며, 상측 표층블럭 조립공간(S) 가장자리에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통과하는 중공부(C)를 두고 이 중공부(C)는 이웃하는 기층블럭(B)끼리 핀(P)으로 연결 상하 좌우측으로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기층블록(B)과 표층블럭(S-1)의 이중구조로 하여 표층블럭(S-1)만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저수공간(W)을 갖고 표층블록(S-1)과 기층블록(B), 이중 구조의 포장블록과 이 포장블럭을 이용한 도로 포장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7014A KR20150062096A (ko) | 2013-11-28 | 2013-11-28 | 저수공간이 있고 표층과 기층으로 구성된 이중블럭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7014A KR20150062096A (ko) | 2013-11-28 | 2013-11-28 | 저수공간이 있고 표층과 기층으로 구성된 이중블럭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2096A true KR20150062096A (ko) | 2015-06-05 |
Family
ID=53500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47014A KR20150062096A (ko) | 2013-11-28 | 2013-11-28 | 저수공간이 있고 표층과 기층으로 구성된 이중블럭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62096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988184A (zh) * | 2017-03-27 | 2017-07-28 | 葛威延 | 透水路面 |
KR102235676B1 (ko) * | 2020-08-26 | 2021-04-02 | 오은규 | 다용도 모듈형 블록틀 |
-
2013
- 2013-11-28 KR KR1020130147014A patent/KR2015006209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988184A (zh) * | 2017-03-27 | 2017-07-28 | 葛威延 | 透水路面 |
KR102235676B1 (ko) * | 2020-08-26 | 2021-04-02 | 오은규 | 다용도 모듈형 블록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3795465U (zh) | 一种适用于深厚松软土地基的扶壁式挡墙结构 | |
KR101246268B1 (ko) |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식생 강재틀 개비온 옹벽 | |
KR20150062096A (ko) | 저수공간이 있고 표층과 기층으로 구성된 이중블럭 | |
JP4967105B2 (ja) | 建築物における免震方法 | |
KR101598148B1 (ko) | 수직 옹벽 축조용 블록 유닛 | |
KR101348615B1 (ko) | 기존 옹벽의 리노베이션을 위한 천연석 장착구조 | |
KR200477688Y1 (ko) | 옹벽용 배수파일 | |
KR100839019B1 (ko) | 옹벽 축조용 블록 및 그 시공방법 | |
KR200440047Y1 (ko) | 옹벽용 블록 | |
KR100654629B1 (ko) | 지주근입식 이중벽체 구조를 이용한 식물식생 옹벽 | |
JP4614928B2 (ja) | 軽量盛土工法 | |
KR101564352B1 (ko) | 수직 옹벽 축조용 블록 유닛 | |
KR101312604B1 (ko) | 옹벽블록 | |
JP5801599B2 (ja) | 建築物 | |
KR20120003971U (ko) | 조립식 옹벽블록 | |
KR101475443B1 (ko) | 요철을 구비한 케이슨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 |
KR20110045578A (ko) | 배면 요철식 인터록킹 블록 | |
CN103061291A (zh) | 活动绿化护栏支座 | |
KR200398018Y1 (ko) | 옹벽격자블록 | |
CN205579078U (zh) | 一种可靠的可折叠的便携式基座 | |
KR101719960B1 (ko) | 이중 구조를 갖는 화단형 진지 | |
CN104481562A (zh) | 扣式木垛 | |
ES2434143B1 (es) | Muro de contención de cajones rellenables | |
KR20150089546A (ko) | 도로포장용 지지체 | |
CN101748843A (zh) | 墙体模块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