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1750A - 적외선 방식 뎁스 카메라 및 뎁스영상 기반 원격진료 자세유도 시스템 - Google Patents

적외선 방식 뎁스 카메라 및 뎁스영상 기반 원격진료 자세유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1750A
KR20150061750A KR1020130145831A KR20130145831A KR20150061750A KR 20150061750 A KR20150061750 A KR 20150061750A KR 1020130145831 A KR1020130145831 A KR 1020130145831A KR 20130145831 A KR20130145831 A KR 20130145831A KR 20150061750 A KR20150061750 A KR 20150061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image
patient
camera
dep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5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복
김용대
양원우
한재혁
신동진
우창완
Original Assignee
(주) 임베디드 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임베디드 솔루션 filed Critical (주) 임베디드 솔루션
Priority to KR1020130145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1750A/ko
Publication of KR20150061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17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03Static body considered as a whole, e.g. static pedestrian or occupant recogni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컬러카메라. 적외선투사장치, 적외선카메라 등을 포함하는 뎁스카메라와 LCD표시장치, 사용자조작부, 중앙처리장치로 구성되어 원격 진료시 환자가 취해야 하는 동작을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안내하고 의사의 요구에 따라 환자가 동작을 취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는 적외선 방식 뎁스 카메라 및 뎁스영상 기반 원격진료 자세유도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의 발명에 따르면, 적외선 촬영을 통하여 환자의 스켈레톤을 추출하고, 이를 의사가 확인함으로써 환자가 정확한 자세를 취하고 있는지를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교정이 필요 시 이를 통보하여 원격진료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적외선 방식 뎁스 카메라 및 뎁스영상 기반 원격진료 자세유도 시스템{Infrared depth camera, and depth image-based telemedicine detailed guidance system}
본 발명은 원격진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컬러카메라. 적외선투사장치, 적외선카메라 등을 포함하는 뎁스카메라와 LCD표시장치, 사용자조작부, 중앙처리장치로 구성되어 원격 진료시 환자가 취해야 하는 동작을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안내하고 의사의 요구에 따라 환자가 동작을 취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는 적외선 방식 뎁스 카메라 및 뎁스영상 기반 원격진료 자세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의 발달은 인류의 삶을 보다 편리한 방향으로 변화시켰으며, 이러한 변화는 삶의 모든 방향에서 나타나고 있다.
상기의 삶의 변화 중 하나로, 원격진료(Telemedicine)는 상호작용하는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원거리에 의료정보 및 의료서비스를 전달하는 모든 활동으로써, 환자가 먼 거리에 떨어져 있거나 시간적으로 많은 차이가 발생하는 등의 여러 문제로 인하여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 도달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의 환자에게 의료정보 및 전문적인 조언을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을 뜻한다. 또한 상기 원격진료의 광의의 의미로써, 환자의 진료 뿐만 아니라 의료행정, 의학교육, 의료자문 및 의뢰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써 컴퓨터와 데이터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의학영상 및 동영상, 환자기록 등의 각종 데이터를 주고받는 의료서비스를 전달하는 기술을 통칭하는 의미로써도 사용되고 있다.
상기의 원격진료의 응용범위로는 가장 일반적이고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재택진료 및 원격화상회의, 원격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PACS), 원격 영상진단, 가상병원 등이 있다.
이중 재택진료는 의사가 원격으로 환자의 진료를 실시하는 것으로써, 상기 환자의 인체에 연결하여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환자의 진단매개변수 데이터를 원격지의 의사에게 전송하여 영상 및 음성통화를 수행하는 통신 기술 장치가 개발되어 상용화를 앞두고 있어, 근미래에 재택진료 관련 장치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상기의 재택진료에서, 의사와 환자는 원거리 통신에 의해서만 연결되므로, 의사는 원거리 통신으로 전달받은 환자의 영상정보 및 생체정보, 진단매개변수 데이터 등의 환자 정보만을 이용하여 환자를 질병 유무 및 질병 종류, 수준 등을 판단할 수 있어야 하며, 따라서 상기 원거리 통신으로 의사에게 전달되는 환자 정보의 정확성이 재택진료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된다.
상기와 같은 재택진료를 실시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10-0825947호는 화상상담 및 진료용 디스플레이장치로써, 열상카메라 및 화상상담용 카메라, 디스플레이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의사가 간편하게 환자의 체열측정 및 건강상태 진단을 할 수 있는 화상상담 및 진료용 디스플레이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의 등록특허는 환자의 체열 데이터를 수집하는 장치로써 자세교정을 위한 장치인 본 발명과는 상이한 발명이다.
또한 공개특허 10-2009-0120831호는 의료상담 환자의 관리를 용이하게 ptlf시하기 위해 환자와 의사의 상담과정데이터와 환자영상데이터로 구성되는 의료상담데이터를 기록 관리하는 의료상담 녹화시스템을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와 마찬가지로
따라서 상기 환자는 의사가 정확한 환자 정보를 수신받기 위하여 정확한 동작 및 자세를 취하여 최대한 정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협조하여야 한다. 하지만 환자는 의사와 직접적으로 대면하지 않고 원격지에서 의사의 지시에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의사의 지시에 따른 정확한 자세를 취하기 어려우며, 의사 또한 환자가 정확한 자세를 취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적외선투사장치, 적외선카메라, 컬러카메라 등을 포함하는 환자용 뎁스카메라와 LCD표시장치, 스피커, 마이크 등을 포함하는 의사용 디스플레이, 중앙처리장치, 외부통신망 등으로 구성되어 영상처리 기술을 사용하여 원격 진료시 환자가 취해야 하는 동작을 안내하고 의사의 요구대로 환자가 동작을 취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적외선 방식 뎁스 카메라 및 뎁스영상 기반 원격진료 자세유도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원격진료용 시스템으로써 환자의 거주공간 등에 설치되며,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는 적외선투사장치 및 적외선카메라; 컬러영상을 촬영하는 컬러카메라; 의사소통용 마이크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뎁스카메라로 구성되는 자세유도장치; 의사의 진료공간에 설치되며, 영상확인용 LCD표시장치; 그리고 의사소통용 마이크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지시장치; 그리고 상기 자세유도장치 또는 지시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는, 영상분석용 중앙처리부로 구성되는 적외선 방식 뎁스카메라 및 뎁스영상 기반 원격진료 자세유도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적외선투사장치에는 적외선을 도트로 투사되도록 필터를 설치한다.
상기에서, 필터의 해상도는 320X240픽셀 이상이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적외선투사장치 및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적외선 이미지를 중앙처리부가 분석하여 환자의 스켈레톤을 자세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스켈레톤 자세영상을 지시장치에 전달하도록 한다.
상기에서, 컬러카메라가 촬영한 컬러 이미지를 중앙처리부가 분석하여 컬러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컬러영상을 지시장치에 전달하도록 한다.
상기에서, 자세유도장치와 지시장치는 외부통신망에 의해 연결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외선 촬영을 통하여 환자의 스켈레톤을 추출하고, 이를 의사가 확인함으로써 환자가 정확한 자세를 취하고 있는지를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교정이 필요 시 이를 통보하여 원격진료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격진료 자세유도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원격진료 자세유도 시스템을 환자 및 의사가 사용하는 모습을 도시한 구조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들은 이하의 특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격진료 자세유도 시스템(100)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원격진료 자세유도 시스템(10)은 환자의 거주지 등에 설치되는 뎁스카메라(110) 및 중앙처리부(120)로 구성되는 자세유도장치(100), 그리고 의사의 진료공간 등에 설치되는 지시장치(2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의 중앙처리부(120)가 자세유도장치(100)에 설치되는 것은 본 발명의 일예시로써, 상기 중앙처리부(120)는 지시장치(200)에 설치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중앙처리부(120)가 자세유도장치(100)에 연결 설치되는 것을 본 발명의 일예시로써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의 자세유도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자세유도장치(100)의 뎁스카메라(110)는 환자의 자세를 촬영하고 의사와 통화할 수 있는 장치로써, 적외선투사장치(111)와 적외선카메라(112), 컬러카메라(113)를 이용하여 환자의 자세를 촬영하게 되고, 마이크(114) 및 스피커(115)를 통하여 담당의사와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뎁스카메라(110)가 촬영한 영상은 자세유도장치(100)의 중앙처리부(120)가 분석하여 의사에게 영상정보를 전달하게 되고, 상기의 영상정보망은 외부통신망(E)을 통해 지시장치(200)에 전달된다. 상기의 지시장치(200)는 의사에게 전달된 영상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LCD표시장치(210), 그리고 환자와 의시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피커(220)와 마이크(230)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원격진료 자세유도 시스템(10)을 환자(P) 및 의사(D)가 사용하는 모습을 도시한 구조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통하여 본 발명의 원격진료 자세유도 시스템(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P)의 거주공간(H) 및 의사(D)의 진료공간(M) 사이에 본 발명의 원격진료 자세유도 시스템(10)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환자(P)가 의사(D)에게 원격진료를 요청할 경우, 상기 의사(D)는 정확한 진료를 위하여 환자(P)에게 진료에 필요한 자세를 취하도록 요구하게 된다. 상기의 요구는 지시장치(200)의 마이크(230)를 통해 음성정보(VI)로 변환되어 외부통신망(E)을 통해 전달되어 환자(P)의 스피커(115)로 출력된다.
상기의 요구에 따라, 환자(P)는 필요한 자세를 취하게 되는데, 상기의 자세를 촬영하여 자세정보(SI) 및 영상정보(II)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환자(P)의 거주공간(H)에 설치되어 있는 뎁스카메라(110)의 적외선투사장치(111)가 환자(P)에게 적외선을 투사하는데, 상기의 적외선투사장치(111)에는 320X240픽셀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는 적외선필터(111f)가 부착됨으로써, 상기의 적외선투사장치(111)가 적외선을 도트 형태로 환자(P)에게 투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적외선필터(111f)의 해상도인 320X240픽셀은 적외선필터(111f)가 적외선투사장치(111)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최소의 해상도이며, 상기 적외선투사장치(111) 및 적외선카메라(112)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서는 상기 적외선필터(111f)의 해상도를 640X480픽셀 이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도트 형태로 투사된 적외선을 적외선카메라(112)가 촬영하는데, 상기의 적외선투사장치(111)와 적외선카메라(112)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촬영하고자 하는 환자(P)와의 거리에 따라 투사되는 적외선 도트의 위치가 실시간으로 변하게 되며, 상기의 적외선카메라(112)는 이러한 도트정보가 포함된 적외선 투사영상을 중앙처리부(120)에 전달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의 중앙처리부(120)는 상기의 적외선카메라(112)가 전달하는 도트정보가 포함된 투사영상을 통하여 뎁스카메라(110)와 환자(P)와의 거리를 측정(공간 스캔)하고, 상기 환자(P)의 적외선 투사영상으로부터 스켈레톤(Skeleton)을 추출하여 상기한 자세정보(SI)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별개로써, 상기의 컬러카메라(113)는 환자(P)의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의 촬영에 따라 중앙처리부(120)는 영상정보(II)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스켈레톤 자세정보(SI) 및 영상정보(II)는 외부통신망(E)을 통해 진료공간(M)에 위치하는 의사(D)에게 LCD표시장치(210)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전달된다. 상기의 의사(D)는 환자의 영상정보(II)와 스켈레톤으로 형성되어 있는 자세정보(SI)를 동시에 확인하므로, 환자(P)가 지금 취하고 있는 자세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며, 정확한 동작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의사(D)와 환자(P) 모두 각자의 스피커 및 마이크(114, 115, 220, 230)를 통해 의사소통하면서 진료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10 : 원격진료 자세유도 시스템. 100 : 자세유도장치.
110 : 뎁스카메라. 111 : 적외선투사장치. 112 : 적외선카메라.
113 : 컬러카메라. 114, 230 : 마이크. 115, 220 : 스피커.
120 : 중앙처리부. 200 : 지시장치. 210 : LCD표시장치.

Claims (6)

  1. 원격진료용 시스템에 있어서, 환자의 거주공간 등에 설치되며,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는 적외선투사장치 및 적외선카메라; 컬러영상을 촬영하는 컬러카메라; 의사소통용 마이크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뎁스카메라로 구성되는 자세유도장치; 의사의 진료공간에 설치되며, 영상확인용 LCD표시장치; 그리고 의사소통용 마이크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지시장치; 그리고 상기 자세유도장치 또는 지시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는, 영상분석용 중앙처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방식 뎁스카메라 및 뎁스영상 기반 원격진료 자세유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투사장치에는 적외선을 도트로 투사되도록 하는 필터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방식 뎁스카메라 및 뎁스영상 기반 원격진료 자세유도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해상도는 320X240픽셀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방식 뎁스카메라 및 뎁스영상 기반 원격진료 자세유도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적외선투사장치 및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적외선 이미지를 중앙처리부가 분석하여 환자의 스켈레톤을 자세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스켈레톤 자세영상을 지시장치에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방식 뎁스카메라 및 뎁스영상 기반 원격진료 자세유도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카메라가 촬영한 컬러 이미지를 중앙처리부가 분석하여 컬러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컬러영상을 지시장치에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방식 뎁스카메라 및 뎁스영상 기반 원격진료 자세유도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유도장치와 지시장치는 외부통신망에 의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방식 뎁스카메라 및 뎁스영상 기반 원격진료 자세유도 시스템.
KR1020130145831A 2013-11-28 2013-11-28 적외선 방식 뎁스 카메라 및 뎁스영상 기반 원격진료 자세유도 시스템 KR201500617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831A KR20150061750A (ko) 2013-11-28 2013-11-28 적외선 방식 뎁스 카메라 및 뎁스영상 기반 원격진료 자세유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831A KR20150061750A (ko) 2013-11-28 2013-11-28 적외선 방식 뎁스 카메라 및 뎁스영상 기반 원격진료 자세유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750A true KR20150061750A (ko) 2015-06-05

Family

ID=53499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5831A KR20150061750A (ko) 2013-11-28 2013-11-28 적외선 방식 뎁스 카메라 및 뎁스영상 기반 원격진료 자세유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175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07340B2 (en) 2016-02-17 2020-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mote image transmission system, display apparatus, and guide displaying method thereof
KR20240015862A (ko) 2022-07-28 2024-02-06 신광일 원격진료를 위한 생체 측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07340B2 (en) 2016-02-17 2020-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mote image transmission system, display apparatus, and guide displaying method thereof
KR20240015862A (ko) 2022-07-28 2024-02-06 신광일 원격진료를 위한 생체 측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302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adjusting sound acquisition sensor parameters
US8194956B2 (en) Medical imag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11297285B2 (en) Dental and medical loupe system for lighting control, streaming, and augmented reality assisted procedures
US201303316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n automatic and self-guided medical examination
US9392164B2 (en) User terminal for a telemedicine image ser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00187881A1 (en) Dental teatment plann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matching of two-dimensional medical image and three-dimensional medical image
JP6540807B2 (ja) 撮影用コンソール
WO2017142223A1 (en) Remote image transmission system, display apparatus, and guide displaying method thereof
JP2000166908A (ja) 検査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方法、媒体及び撮影システム
US20100166269A1 (en) Automatic body silhouette matching for remote auscultation
KR20200068992A (ko) 전자 차트 관리 장치, 전자 차트 관리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150061750A (ko) 적외선 방식 뎁스 카메라 및 뎁스영상 기반 원격진료 자세유도 시스템
CN104706422A (zh) 一种头戴式医疗装置、医疗系统及其操作方法
TW201742603A (zh) 外科手術輔助系統
WO2020204645A1 (ko) 초음파 검사위치 안내 기능이 탑재된 초음파 촬영 장치
WO20121110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n automatic and remote trained personnel guided medical examination
CN115514918B (zh) 一种远程视频方法、云平台、通讯移动平台及存储介质
US11839516B2 (en) Medical imaging equipment and medical imaging method
KR20170024994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구강 엑스선 촬영 장치 및 시스템
WO2014104357A1 (ja) 動作情報処理システム、動作情報処理装置及び医用画像診断装置
KR102278040B1 (ko) 2차원 의료 영상 및 3차원 의료 영상의 정합을 이용한 치과 치료 계획 장치 및 방법
KR20190123141A (ko) 질병 진단 분석 시스템 및 방법
JP2001175784A (ja) 電子カルテ装置および紹介状伝送装置
WO2023018259A1 (ko) 증강 현실 및 가상 현실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피부 질환을 진단하는 진단 방법 및 장치
WO2022092379A1 (ko) 청진기를 이용한 원격 진료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