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5862A - 원격진료를 위한 생체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원격진료를 위한 생체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5862A
KR20240015862A KR1020220093640A KR20220093640A KR20240015862A KR 20240015862 A KR20240015862 A KR 20240015862A KR 1020220093640 A KR1020220093640 A KR 1020220093640A KR 20220093640 A KR20220093640 A KR 20220093640A KR 20240015862 A KR20240015862 A KR 20240015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connector
unit
branch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3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광일
Original Assignee
신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광일 filed Critical 신광일
Priority to KR1020220093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5862A/ko
Publication of KR20240015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586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21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 A61B1/00124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electrical, e.g. electrical plug-and-socket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2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ears, i.e. ot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20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61B7/04Electric steth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43Modula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56Apparatus provided with a docking uni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진료를 위한 생체 측정 장치는 생체 측정이 용이하도록 일측에 소정의 각도로 분지된 제1 분지부 및 제2 분지부를 포함하는 분지부 구조를 갖고, 상기 제1 분지부 말단에 프로브 체결부를 갖는 본체 및 피검사자의 다양한 생체 정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프로브 체결부에 체결 또는 분리되는 다수 개의 프로브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 개의 프로브는, 피검사자의 귓속을 촬영할 수 있도록 중공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첨예한 말단 내부에 촬영부가 포함되는 검이경 프로브, 피검사자의 청진이 가능하도록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청진음 수신부가 포함되는 청진 프로브 및 피검사자의 체온 측정이 가능하도록 중공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말단부에 측온부가 포함되는 체온 프로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진료를 위한 생체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격진료를 위한 생체 측정 장치 {Biometric Device for Remote Medical Treatment}
본 발명은 원격진료를 위한 생체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다수 개의 프로브가 구비되고 이를 교체함으로써, 피검사자의 다양한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원격진료를 위한 생체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인터넷 및 통신기기의 사용이 편리해짐에 따라, 다양한 맞춤형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의료분야에서의 온라인 서비스로서 원격진료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까지 대부분 단순한 예약서비스만을 제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최근에는 영상전송기술 등의 발달로 인해 의사와 환자간의 화상진료까지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영상전송기술을 통한 화상진료는 의료진이 환자가 느끼고 있는 아픔, 증상만으로 진단을 내려야하는 기술적 한계가 존재한다. 만약 직접진료가 이루어졌다면, 의료기관 내에 구비된 다양한 장치들을 통해서 초진이후 변화된 다양한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고, 측정 데이터와 환자의 증상을 종합하여 보다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관련문헌 1은 적외선 방식 뎁스 카메라 및 뎁스영상 기반 원격진료 자세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원격 진료 시 환자가 취해야 하는 동작을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안내하고, 의사의 요구에 따라 환자가 동작을 취하였는지 확일 수 있으나, 환자에게 현재 발현되고 있는 증상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원격진료를 보완할 수 있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없다.
특히나, 영유아 진료행동양식을 보면, 영유아의 증상이 시작되면 보호자는 병원에 방문하여 의료진으로부터 초진을 받고 2-3일의 약 처방을 받는다. 그리고 보호자는 처방받은 약을 영유아에게 투여하면서 수일 간 증상을 모니터링 한다. 이때, 30%의 영유아는 완치가 가능하나, 나머지 70%의 영유아는 의료진으로부터 수차례 재진을 받아야 한다. 보호자는 증상이 발현되는 영유아를 데리고 또다시 의료진을 방문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면역력이 떨어진 영유아를 데리고 의료기관을 빈번하게 방문하게 되면 추가적인 증상이 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영유아의 재진을 대상으로 영유아의 증상이 호전될 때까지 원격으로 영유아를 진료 및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175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직접진료 시 의료기관 내에 구비된 다양한 장치들을 통해서 초진이후 변화된 다양한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것과 같이 원격에서도 동일하게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생체 정보와 환자의 증상을 종합하여 보다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도록 다수 개의 프로브 및 상기 다수 개의 프로브 중 임의의 프로브의 체결 또는 분리가 가능한 본체를 포함하는 원격진료를 위한 생체 측정 장치를 얻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원격진료를 위한 생체 측정 장치는 생체 측정이 용이하도록 일측에 소정의 각도로 분지된 제1 분지부 및 제2 분지부를 포함하는 분지부 구조를 갖고, 상기 제1 분지부 말단에 프로브 체결부를 갖는 본체; 및 피검사자의 다양한 생체 정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프로브 체결부에 체결 또는 분리되는 다수 개의 프로브;를 제공한다.
상기 다수 개의 프로브는, 피검사자의 귓속을 촬영할 수 있도록 중공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첨예한 말단 내부에 촬영부가 포함되는 검이경 프로브, 피검사자의 청진이 가능하도록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청진음 수신부가 포함되는 청진 프로브 및 피검사자의 체온 측정이 가능하도록 중공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말단부에 측온부가 포함되는 체온 프로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분지부 구조를 갖고 제1 분지부 말단에 프로브 체결부를 갖는 본체 및 피검사자의 다양한 생체 정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프로브 체결부에 체결 또는 분리되는 다수 개의 프로브를 구비함으로써, 직접진료 시 의료기관 내에 구비된 다양한 장치들을 통해서 초진이후 변화된 다양한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것과 같이 원격에서도 동일하게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생체 정보와 환자의 증상을 종합하여 보다 정확한 진단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프로브 체결부가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화면부가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하단면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이경 프로브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진 프로브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온 프로브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강경 프로브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이경 프로브와 본체가 분리되어 체결부 커넥터가 표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이경 프로브와 본체가 분리되어 프로브 커넥터가 표시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이경 프로브와 본체가 체결된 것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진 프로브가 체결된 본체(a), 체온 프로브가 체결된 본체(b) 및 구강경 프로브가 체결된 본체(c)를 각각 표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1000)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1000)의 프로브 체결부(1300)가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1000)의 화면부(1500)가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1000)의 하단면이 표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이경 프로브(2000)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진 프로브(3000)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온 프로브(4000)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강경 프로브(5000)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이경 프로브(2000)와 본체(1000)가 분리되어 체결부 커넥터(1310)가 표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이경 프로브(2000)와 본체(1000)가 분리되어 프로브 커넥터(2300)가 표시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이경 프로브(2000)와 본체(1000)가 체결된 것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진 프로브(3000)가 체결된 본체(1000)(a), 체온 프로브(4000)가 체결된 본체(1000)(b) 및 구강경 프로브(5000)가 체결된 본체(1000)(c)를 각각 표시한 도면이다.
우선 본 발명의 원격진료를 위한 생체 측정 장치는 생체 측정이 용이하도록 일측에 소정의 각도로 분지된 제1 분지부(1100) 및 제2 분지부(1200)를 포함하는 분지부 구조를 갖고, 상기 제1 분지부(1100) 말단에 프로브 체결부(1300)를 갖는 본체(1000) 및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에 체결 또는 분리되는 다수 개의 프로브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 개의 프로브 중 상기 본체(1000)에 체결된 임의의 프로브가 다른 프로브로 교체됨으로써, 피검사자의 다양한 생체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 내지 도 8을 보면, 본 발명의 상기 다수 개의 프로브는 피검사자의 귓속을 촬영할 수 있도록 촬영부(2200)가 포함되는 검이경 프로브(2000), 피검사자의 청진이 가능하도록 청진음 수신부(3200)가 포함되는 청진 프로브(3000) 및 피검사자의 체온 측정이 가능하도록 측온부(4200)가 포함되는 체온 프로브(40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프로브는, 피검사자의 구강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우징(5100) 내부에 촬영부(5200)가 구비되는 구강경 프로브(50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강경 프로브(5000)는, 피검사자의 혀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촬영부(5200)의 화각 내 포함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5100) 일측면 가장자리로부터 소정의 길이를 갖고 형성되는 플레이트(5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도 2, 도 9 내지 도 10을 보면 본 발명은 상기 다수 개의 프로브 각각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프로브 커넥터(2300, 3300, 4300, 5300) 및 상기 다수 개의 프로브 중 임의의 프로브가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에 체결되면 상기 프로브 커넥터(2300, 3300, 4300, 5300)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체결부 커넥터(131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브 커넥터(2300, 3300, 4300, 5300)와 체결부 커넥터(1310)가 맞닿으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임의의 프로브로부터 측정된 생체 정보가 상기 체결부 커넥터(1310)를 통해서 상기 본체(1000) 내 제어부(1400)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의 내주면에 수직홈(1321)과 수평홈(1322)이 ‘ㄴ’ 형상으로 형성되는 체결홈(1320) 및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의 내주면과 대응하는 상기 다수 개의 프로브 각각의 삽입부(2120, 3120, 4120, 5120)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2400, 3400, 4400, 5400)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홈(1320)의 수직홈(1321)에 상기 돌출부(2400, 3400, 4400, 5400)가 우선 삽입됨으로써 상기 다수 개의 프로브 중 임의의 프로브 일측면과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가 맞닿고, 맞닿은 상태로 상기 다수 개의 프로브가 회동함으로써 상기 체결홈(1320)의 수평홈(1322)에 상기 돌출부(2400, 3400, 4400, 5400)가 삽입되어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에 상기 임의의 프로브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면, 도 11 내지 도 12와 같이 완전 체결되어 구동이 가능하다.
본체
우선,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분지부 구조는 원줄기에서 갈라져나간 가지와 같은 모습을 하는 구조이다. 도 1의 상기 본체(1000)의 측면을 보면 분지부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00)의 타측은 원줄기 부분으로 검사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160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000)의 일측은 소정의 각도로 분지된 제1 분지부(1100) 및 제2 분지부(1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분지부(1100)와 손잡이부(1600)가 이루는 각도(θ1), 상기 제2 분지부(1200)와 손잡이부(1600)가 이루는 각도(θ2) 및 상기 제1 분지부(1100)와 제2 분지부(1200)가 이루는 각도(θ3)는 특정 수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상기 제2 분지부(1200)와 손잡이부(1600)가 이루는 각도(θ2)는 상기 제1 분지부(1100)와 손잡이부(1600)가 이루는 각도(θ1)와 같거나 클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 분지부(1200) 말단에는 화면부(1500)가 구비될 수 있는데, 피검사자의 생체 정보가 상기 화면부(1500)에 표시될 시 피검사자가 고개를 상당히 숙이거나 돌리지 않고서도 시야를 내리면 이를 곧바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분지부(1100) 말단에는 프로브 체결부(1300)가 구비되어 상기 다수 개의 프로브 중 하나가 체결될 수 있는데, 검사자가 손잡이부(1600) 파지한 후 체결된 임의의 프로브를 통해서 피검사자의 귓속, 입속, 몸체 등에 접촉 및 삽입할 시 검사자가 각도를 맞추기 위해서 손목을 꺾는 행위 등을 하지 않고서도 곧바로 용이하게 접촉 및 삽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다수 개의 프로브가 감지한 생체 정보를 검사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을 보면, 본 발명의 본체(1000)는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에 체결된 임의의 프로브로부터 획득한 임의의 생체 정보를 기 저장된 알고리즘을 통해서 처리하는 제어부(1400) 및 상기 제어부(1400)로부터 처리된 상기 임의의 생체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제2 분지부(1200) 말단에 화면이 구비되는 화면부(1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본체(1000)가 유선 및 무선 전력공급 방식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를 보면, 본 발명의 본체(1000)는 사용자가 손잡이부(1600)를 파지했을 때 on/off가 용이하도록 상기 손잡이부(1600)와 인접하게 위치되는 전원부(1700) 및 상기 전원부(1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 제어부(1400) 및 화면부(1500)에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부(1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부(1800)는 외부전원의 연결단자가 체결되어 상기 배터리부(1800)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충전단자(18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피검사자의 다양한 생체 정보를 상기 화면부(1500)에 표시하는데 그치지 않고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무선연결 방식으로 검사자 단말, 피검사자 단말, 의료진 단말 및 원격진료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400)로부터 처리된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1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다양한 생체 정보는 상기 검이경 프로브(2000)로부터 피검사자의 귓속이 실시간 촬영된 영상이나 녹화된 영상, 상기 청진 프로브(3000)로부터 수음된 청진음 녹음 파일, 청진음 주파수가 표시된 그래프, 상기 체온 프로브(4000)로부터 측정된 체온, 상기 구강경 프로브(5000)로부터 피검사자의 구강이 실시간 촬영된 영상이나 녹화된 영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검이경 프로브
도 5를 보면, 상기 검이경 프로브(2000)는 가장 바람직하게 피검사자의 귓속을 촬영할 수 있도록 중공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2100)을 갖는다. 귓속 깊숙이 삽입되면 피검사자의 고막이 다칠 수 있으므로 상기 하우징(2100)의 형상은 검사자가 적정 깊이를 판단할 수 있는 가이드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검이경 프로브(2000)의 하우징(2100)은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고,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2120) 및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고, 상기 삽입부(2120)가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에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부(2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검이경 프로브(2000)와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 간의 삽입 정도를 일정하게 함에 따라, 강한 외력으로 인한 상기 검이경 프로브(2000)의 프로브 커넥터(2300) 및 돌출부(2400),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의 체결부 커넥터(1310)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100) 내에서 첨예한 말단(2110)에 인접하게 촬영부(2200)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촬영부(2200)는 고해상도 HD(1280×720, 720p)급 소형 카메라와 LED 광원이 구비되어 귓속 내부를 밝게 비춘 후 귓속 내부를 고화질로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첨예한 말단(2110)은 중공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촬영부(2200)의 화각은 중공 크기에 한정될 수 있고 상기 LED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모여져 어두운 귓속이 보다 밝게 촬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화면부(1500)는 상기 촬영부(2200)로부터 실시간 촬영되거나 녹화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사자는 피검사자의 귓속 상처, 외이도 크기, 굴곡, 귀지, 외이도염, 중이염, 고막상태를 상세히 확인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2100)의 첨예한 말단(2110)은 피검사자의 귓속에 상처를 입히지 않도록 탄성이 있는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 실리콘(Silicon)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검이경 프로브(200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프로브 커넥터(2300) 및 상기 검이경 프로브(2000)가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에 체결되면 상기 프로브 커넥터(2300)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체결부 커넥터(131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브 커넥터(2300)와 체결부 커넥터(1310)가 맞닿으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검이경 프로브(2000)로부터 측정된 생체 정보가 상기 체결부 커넥터(1310)를 통해서 상기 본체(1000) 내 제어부(1400)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체 정보가 전송되기 위해서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의 체결부 커넥터(1310)와 상기 검이경 프로브(2000)의 프로브 커넥터(2300)의 연결이 상당히 중요하다. 이에, 상기 검이경 프로브(2000)의 프로브 커넥터(2300) 또는 체결부 커넥터(1310)는 탄성 부재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검이경 프로브(2000)의 프로브 커넥터(2300)와 체결부 커넥터(1310)는 과도한 압력으로 상기 검이경 프로브(2000)가 체결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두 커넥터 간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오랜 시간 사용할수록 상기 검이경 프로브(2000)와 프로브 체결부(1300) 간의 이격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두 커넥터 간 접촉 불량 문제가 발생되어 검이경 프로브(2000)로부터 측정된 측정 정보를 상기 본체(1000)의 제어부(1400)에 전달되지 못할 수 있다. 이는 장치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중대한 문제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검이경 프로브(2000)의 프로브 커넥터(2300) 또는 체결부 커넥터(1310)가 탄성 부재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프로브 커넥터(2300)와 체결부 커넥터(1310) 간의 밀접한 접촉이 가능하도록 하여 연결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상기 검이경 프로브(2000)로부터 측정된 생체 정보는 상기 체결부 커넥터(1310)를 통해서 상기 제어부(140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는 피검사자의 귓속이 촬영된 실시간 영상 또는 녹화된 영상, 이미지 데이터 형식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0)는 기 저장된 알고리즘을 통해서 상기 화면부(1500)의 UX/UI 디자인에 적합하게 표시될 수 있도록 영상, 이미지 데이터 형식의 생체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원격진료를 위한 생체 측정 장치는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의 내주면에 수직홈(1321)과 수평홈(1322)이 ‘ㄴ’ 형상으로 형성되는 체결홈(1320) 및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의 내주면과 대응하는 상기 검이경 프로브(2000)의 삽입부(2120)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2400)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홈(1320)의 수직홈(1321)에 상기 돌출부(2400)가 우선 삽입됨으로써 상기 검이경 프로브(2000) 일측면과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가 맞닿고, 맞닿은 상태로 상기 검이경 프로브(2000)가 회동함으로써 상기 체결홈(1320)의 수평홈(1322)에 상기 돌출부(2400)가 삽입되어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에 상기 검이경 프로브(2000)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검이경 프로브(2000)는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와 체결된 후 쉽게 분리되지 않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체결된 형상은 도 11과 같다.
청진 프로브
도 6을 보면, 상기 청진 프로브(3000)는 피검사자의 청진이 가능하도록 타측면(3110)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3100)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청진 프로브(3000)의 하우징(3100)은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고,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3120) 및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고, 상기 삽입부(3120)가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에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부(3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청진 프로브(3000)와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 간의 삽입 정도를 일정하게 함에 따라, 강한 외력으로 인한 상기 청진 프로브(3000)의 프로브 커넥터(3300) 및 돌출부(3400),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의 체결부 커넥터(1310)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청진 프로브(3000)는 신체 일부에 접촉하는 압력에 따라 측정되는 생체 신호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 하우징(3100) 내 접촉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3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0)는 상기 압력 센서(3500)로부터 감지된 접촉 압력이 기 설정된 알고리즘의 범위 내에 있다면 청진음을 측정할 준비가 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화면부(1500)에 생체 정보를 측정하라는 알람이 표시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반대로, 기 설정된 알고리즘의 범위 외에 있다면 청진음을 측정하기에 접촉 압력이 크거나 적다고 판단하고, 상기 화면부(1500)에 상기 청진 프로브(3000)를 재접촉 하라는 알람이 표시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청진 프로브(3000)의 타측면(3110)에 구비되는 프로브 커넥터(3300) 및 상기 청진 프로브(3000)가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에 체결되면 상기 프로브 커넥터(3300)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체결부 커넥터(131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브 커넥터(3300)와 체결부 커넥터(1310)가 맞닿으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청진 프로브(3000)로부터 측정된 생체 정보가 상기 체결부 커넥터(1310)를 통해서 상기 본체(1000) 내 제어부(1400)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청진 프로브(3000)는 상기 하우징(3100) 내부에서 상기 타측면(3110)에 인접하게 청진음 수신부(3200)를 포함할 수 있다. 폐와 같은 신체 일부로부터 천명(wheeze)과 수포음(rhonchus) 등 소리 데이터 형식의 생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소리 데이터 형식의 생체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제어부(1400)는 노이즈(noise)를 제거한 후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여 그래프, 수치 등을 형식으로 정보 처리하여 상기 화면부(150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400)는 상기 소리 데이터 형식의 생체 신호를 기 설정된 시간동안 녹음하여 녹음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의 체결부 커넥터(1310)와 상기 청진 프로브(3000)의 프로브 커넥터(3300)의 연결이 상당히 중요하다. 이에, 상기 청진 프로브(3000)의 프로브 커넥터(3300) 또는 체결부 커넥터(1310)는 탄성 부재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청진 프로브(3000)의 프로브 커넥터(3300)와 체결부 커넥터(1310)는 과도한 압력으로 상기 청진 프로브(3000)가 체결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두 커넥터 간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오랜 시간 사용할수록 상기 청진 프로브(3000)와 프로브 체결부(1300) 간의 이격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두 커넥터 간 접촉 불량 문제가 발생되어 청진 프로브(3000)로부터 측정된 측정 정보를 상기 본체(1000)의 제어부(1400)에 전달되지 못할 수 있다. 이는 장치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중대한 문제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청진 프로브(3000)의 프로브 커넥터(3300) 또는 체결부 커넥터(1310)는 탄성 부재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프로브 커넥터(3300)와 체결부 커넥터(1310) 간의 밀접한 접촉이 가능하도록 하여 연결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원격진료를 위한 생체 측정 장치는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의 내주면에 수직홈(1321)과 수평홈(1322)이 ‘ㄴ’ 형상으로 형성되는 체결홈(1320) 및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의 내주면과 대응하는 상기 청진 프로브(3000)의 삽입부(3120)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3400)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홈(1320)의 수직홈(1321)에 상기 돌출부(3400)가 우선 삽입됨으로써 상기 청진 프로브(3000) 일측면과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가 맞닿고, 맞닿은 상태로 상기 청진 프로브(3000)가 회동함으로써 상기 체결홈(1320)의 수평홈(1322)에 상기 돌출부(3400)가 삽입되어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에 상기 청진 프로브(3000)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청진 프로브(3000)는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와 체결된 후 쉽게 분리되지 않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체결된 형상은 도 12의 (a)와 같다.
체온 프로브
도 7을 보면, 상기 체온 프로브(4000)는 피검사자의 체온 측정이 가능하도록 중공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4100)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피검사자의 귓속 체온을 측정하는 것이 체온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체온 프로브(4000)가 귓속 깊숙이 삽입되면 피검사자의 고막이 다칠 수 있으므로 상기 하우징(4100)의 중공 원뿔 형상은 검사자가 적정 깊이를 판단할 수 있는 가이드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체온 프로브(4000)의 하우징(4100)은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고,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4120) 및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고, 상기 삽입부(4120)가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에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부(4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체온 프로브(4000)와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 간의 삽입 정도를 일정하게 함에 따라, 강한 외력으로 인한 상기 체온 프로브(4000)의 프로브 커넥터(4300) 및 돌출부(4400),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의 체결부 커넥터(1310)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4100)에서 중공 원뿔 형상의 말단부(4110) 내부에 측온부(420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말단부(4110)는 중공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측온부(4200)를 가리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온부(4200)는 보다 정확한 체온 측정이 가능하도록 기 설정된 온도값에 도달할 때까지 구동되어 예열될 수 있고, 상기 말단부(4110)는 상기 측온부(4200)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체온 프로브(400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프로브 커넥터(4300) 및 상기 체온 프로브(4000)가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에 체결되면 상기 프로브 커넥터(4300)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체결부 커넥터(131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브 커넥터(4300)와 체결부 커넥터(1310)가 맞닿으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체온 프로브(4000)로부터 측정된 생체 정보가 상기 체결부 커넥터(1310)를 통해서 상기 본체(1000) 내 제어부(1400)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의 체결부 커넥터(1310)와 상기 체온 프로브(4000)의 프로브 커넥터(4300)의 연결이 상당히 중요하다. 이에, 상기 체온 프로브(4000)의 프로브 커넥터(4300) 또는 체결부 커넥터(1310)는 탄성 부재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온 프로브(4000)의 프로브 커넥터(4300)와 체결부 커넥터(1310)는 과도한 압력으로 상기 체온 프로브(4000)가 체결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두 커넥터 간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오랜 시간 사용할수록 상기 체온 프로브(4000)와 프로브 체결부(1300) 간의 이격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두 커넥터 간 접촉 불량 문제가 발생되어 체온 프로브(4000)로부터 측정된 측정 정보를 상기 본체(1000)의 제어부(1400)에 전달되지 못할 수 있다. 이는 장치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중대한 문제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체온 프로브(4000)의 프로브 커넥터(4300) 또는 체결부 커넥터(1310)가 탄성 부재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프로브 커넥터(4300)와 체결부 커넥터(1310) 간의 밀접한 접촉이 가능하도록 하여 연결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상기 체온 프로브(4000)로부터 측정된 생체 정보는 상기 체결부 커넥터(1310)를 통해서 상기 제어부(140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는 피검사자의 귓속 온도 또는 체온이 측정된 숫자 데이터 형식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0)는 기 저장된 알고리즘을 통해서 상기 화면부(1500)의 UX/UI 디자인에 적합하게 표시될 수 있도록 숫자 데이터 형식의 생체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원격진료를 위한 생체 측정 장치는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의 내주면에 수직홈(1321)과 수평홈(1322)이 ‘ㄴ’ 형상으로 형성되는 체결홈(1320) 및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의 내주면과 대응하는 상기 체온 프로브(4000)의 삽입부(4120)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4400)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홈(1320)의 수직홈(1321)에 상기 돌출부(4400)가 우선 삽입됨으로써 상기 체온 프로브(4000) 일측면과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가 맞닿고, 맞닿은 상태로 상기 체온 프로브(4000)가 회동함으로써 상기 체결홈(1320)의 수평홈(1322)에 상기 돌출부(4400)가 삽입되어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에 상기 체온 프로브(4000)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체온 프로브(4000)는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와 체결된 후 쉽게 분리되지 않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체결된 형상은 도 12의 (b)와 같다.
구강경 프로브
도 8을 보면, 상기 다수 개의 프로브는, 피검사자의 구강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우징(5100) 내부에 촬영부(5200)가 구비되는 구강경 프로브(5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100)은 관통공(51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5110)에 인접하게 상기 촬영부(520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촬영부(5200)는 고해상도 HD(1280×720, 720p)급 소형 카메라와 LED 광원이 구비되어 구강 내부를 밝게 비춘 후 구강 내부를 고화질로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촬영부(5200)의 화각은 상기 관통공(5110)의 크기에 한정될 수 있고 상기 LED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모여져 어두운 구강 내부가 보다 밝게 촬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화면부(1500)는 상기 촬영부(5200)로부터 실시간 촬영 또는 녹화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검사자는 피검사자의 구강 내 편도, 상처 등을 상세히 확인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구강경 프로브(5000)는, 상기 촬영부(5200)로부터 구강 촬영 시 피검사자의 혀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촬영부(5200)의 화각 내 포함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5100) 일측면 가장자리로부터 소정의 길이를 갖고 형성되는 플레이트(5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편도 등을 확인하기 위해서 구강경 촬영을 하게 되는데, 이때 혀를 고정하여 촬영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5500)는 구강 내에 상처를 입히지 않도록 모서리를 둥글게 하는 모깎이 성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5500)는 피검사자의 구강 내 상처릴 입히지 않고 혀를 눌림으로써 구강 촬영이 용이하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강경 프로브(5000)의 하우징(5100)은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고,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5120) 및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고, 상기 삽입부(5120)가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에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부(5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구강경 프로브(5000)와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 간의 삽입 정도를 일정하게 함에 따라, 강한 외력으로 인한 상기 구강경 프로브(5000)의 프로브 커넥터(5300) 및 돌출부(5400),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의 체결부 커넥터(1310)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구강경 프로브(500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프로브 커넥터(5300) 및 상기 구강경 프로브(5000)가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에 체결되면 상기 프로브 커넥터(5300)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체결부 커넥터(131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브 커넥터(5300)와 체결부 커넥터(1310)가 맞닿으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강경 프로브(5000)로부터 측정된 생체 정보가 상기 체결부 커넥터(1310)를 통해서 상기 본체(1000) 내 제어부(1400)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의 체결부 커넥터(1310)와 상기 구강경 프로브(5000)의 프로브 커넥터(5300)의 연결이 상당히 중요하다. 이에, 상기 구강경 프로브(5000)의 프로브 커넥터(5300) 또는 체결부 커넥터(1310)는 탄성 부재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강경 프로브(5000)의 프로브 커넥터(5300)와 체결부 커넥터(1310)는 과도한 압력으로 상기 구강경 프로브(5000)가 체결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두 커넥터 간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오랜 시간 사용할수록 상기 구강경 프로브(5000)와 프로브 체결부(1300) 간의 이격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두 커넥터 간 접촉 불량 문제가 발생되어 구강경 프로브(5000)로부터 측정된 측정 정보를 상기 본체(1000)의 제어부(1400)에 전달되지 못할 수 있다. 이는 장치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중대한 문제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프로브 커넥터(5300)와 체결부 커넥터(1310) 간의 밀접한 접촉이 가능하도록 하여 연결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강경 프로브(5000)로부터 측정된 생체 정보는 상기 체결부 커넥터(1310)를 통해서 상기 제어부(140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는 피검사자의 구강 내부가 촬영된 실시간 영상 또는 녹화된 영상, 이미지 데이터 형식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0)는 기 저장된 알고리즘을 통해서 상기 화면부(1500)의 UX/UI 디자인에 적합하게 표시될 수 있도록 영상, 이미지 데이터 형식의 생체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원격진료를 위한 생체 측정 장치는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의 내주면에 수직홈(1321)과 수평홈(1322)이 ‘ㄴ’ 형상으로 형성되는 체결홈(1320) 및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의 내주면과 대응하는 상기 구강경 프로브(5000)의 삽입부(5120)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5400)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홈(1320)의 수직홈(1321)에 상기 돌출부(5400)가 우선 삽입됨으로써 상기 구강경 프로브(5000) 일측면과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가 맞닿고, 맞닿은 상태로 상기 구강경 프로브(5000)가 회동함으로써 상기 체결홈(1320)의 수평홈(1322)에 상기 돌출부(5400)가 삽입되어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에 상기 구강경 프로브(5000)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구강경 프로브(5000)는 상기 프로브 체결부(1300)와 체결된 후 쉽게 분리되지 않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체결된 형상은 도 12의 (c)와 같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지부 구조를 갖고 제1 분지부(1100) 말단에 프로브 체결부(1300)를 갖는 본체(1000) 및 피검사자의 다양한 생체 정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프로브 체결부(1300)에 체결 또는 분리되는 다수 개의 프로브를 포함함으로써, 직접진료 시 의료기관 내에 구비된 다양한 장치들을 통해서 초진이후 변화된 다양한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것과 같이 원격에서도 동일하게 다양한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생체 정보들과 환자의 증상을 종합하여 보다 정확한 진단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으로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0.. 본체
1100.. 제1 분지부
1200.. 제2 분지부
1300.. 프로브 체결부
1310.. 체결부 커넥터
1320.. 체결홈
1321.. 수직홈
1322.. 수평홈
1400.. 제어부
1500.. 화면부
1600.. 손잡이부
1700.. 전원부
1800.. 배터리부
1810.. 충전단자
1900.. 통신부
2000.. 검이경 프로브
2100.. 하우징
2110.. 첨예한 말단
2120.. 삽입부
2130.. 걸림부
2200.. 촬영부
2300.. 프로브 커넥터
2400.. 돌출부
3000.. 청진 프로브
3100.. 하우징
3110.. 타측면
3120.. 삽입부
3130.. 걸림부
3200.. 청진음 수신부
3300.. 프로브 커넥터
3400.. 돌출부
3500.. 압력 센서
4000.. 체온 프로브
4100.. 하우징
4110.. 말단부
4120.. 삽입부
4130.. 걸림부
4200.. 측온부
4300.. 프로브 커넥터
4400.. 돌출부
5000.. 구강경 프로브
5100.. 하우징
5110.. 관통공
5120.. 삽입부
5130.. 걸림부
5200.. 촬영부
5300.. 프로브 커넥터
5400.. 돌출부
5500.. 플레이트

Claims (5)

  1. 생체 측정이 용이하도록 일측에 소정의 각도로 분지된 제1 분지부 및 제2 분지부를 포함하는 분지부 구조를 갖고, 상기 제1 분지부 말단에 프로브 체결부를 갖는 본체; 및
    상기 프로브 체결부에 체결 또는 분리되는 다수 개의 프로브;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 개의 프로브 중 상기 본체에 체결된 임의의 프로브가 다른 프로브로 교체됨으로써, 피검사자의 다양한 생체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진료를 위한 생체 측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프로브는,
    피검사자의 귓속을 촬영할 수 있도록 촬영부가 포함되는 검이경 프로브, 피검사자의 청진이 가능하도록 청진음 수신부가 포함되는 청진 프로브 및 피검사자의 체온 측정이 가능하도록 측온부가 포함되는 체온 프로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진료를 위한 생체 측정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프로브는,
    피검사자의 구강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우징 내부에 촬영부가 구비되는 구강경 프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강경 프로브는,
    피검사자의 혀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촬영부의 화각 내 포함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 일측면 가장자리로부터 소정의 길이를 갖고 형성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진료를 위한 생체 측정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프로브 각각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프로브 커넥터; 및
    상기 다수 개의 프로브 중 임의의 프로브가 상기 프로브 체결부에 체결되면 상기 프로브 커넥터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체결부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브 커넥터와 체결부 커넥터가 맞닿으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임의의 프로브로부터 측정된 생체 정보가 상기 체결부 커넥터를 통해서 상기 본체 내 제어부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진료를 위한 생체 측정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프로브 체결부에 체결된 임의의 프로브로부터 획득한 임의의 생체 정보를 기 저장된 알고리즘을 통해서 처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처리된 상기 임의의 생체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제2 분지부 말단에 화면이 구비되는 화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진료를 위한 생체 측정 장치.
KR1020220093640A 2022-07-28 2022-07-28 원격진료를 위한 생체 측정 장치 KR202400158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640A KR20240015862A (ko) 2022-07-28 2022-07-28 원격진료를 위한 생체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640A KR20240015862A (ko) 2022-07-28 2022-07-28 원격진료를 위한 생체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5862A true KR20240015862A (ko) 2024-02-06

Family

ID=89858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3640A KR20240015862A (ko) 2022-07-28 2022-07-28 원격진료를 위한 생체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586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1750A (ko) 2013-11-28 2015-06-05 (주) 임베디드 솔루션 적외선 방식 뎁스 카메라 및 뎁스영상 기반 원격진료 자세유도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1750A (ko) 2013-11-28 2015-06-05 (주) 임베디드 솔루션 적외선 방식 뎁스 카메라 및 뎁스영상 기반 원격진료 자세유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58582A1 (e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acquiring medical diagnostic information and provision of telehealth services
EP1488618B1 (en) Multifunctional mobile phone for medical diagnosis and rehabilitation
JP2018152086A (ja) 医療診断情報を取得するための装置、方法、およびシステム、ならびに遠隔医療サービスの提供
JP2009011813A (ja) 電子画像化装置、カメラ及びカメラを製造する方法
US20150374208A1 (en) Otoscope
KR20160005677A (ko) 피험자의 귀의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 및 귀 검사 장치
WO2001035817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agnosing an inflammatory process
KR20160004995A (ko) 검이경
EP2108313B1 (en) Improved apparatus for determining dysphagia
US20070161924A1 (en) Ear probe and disposable ear tip system
KR20240015862A (ko) 원격진료를 위한 생체 측정 장치
CN108523830B (zh) 儿童咽喉检查装置
US9610059B2 (en) Monitoring system for monitoring heart signals
EP1609415A1 (en) Method and a device for recording signals
KR101588422B1 (ko) 의료용 이경
CA3066653A1 (en) Stabilization of ear devices
Madell Testing babies: you can do it! Behavioral Observation Audiometry (BOA)
US20230363696A1 (en) System, methods, and devices for cervical and fetal position monitoring in labor
CN212755803U (zh) 非接触式疾病检查装置、系统及口腔内定位件
US20240000397A1 (en) Portable, foldable and handheld multipurpose medical instrument (opthalmotopharyngodermatoscope) for use in telemedicine to examine ears, mouth, eyes, skin, and nasal cavity and detect body temperature
KR20230111287A (ko)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11288A (ko) 스마트 헬스케어 장치
KR101962533B1 (ko) 내시경 관리 장치
KR20190055307A (ko) 귀 타입의 생체신호 측정기기
Carter The Development of a Novel Sleep Position Monitoring Sens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