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1433A -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1433A
KR20150061433A KR1020130145557A KR20130145557A KR20150061433A KR 20150061433 A KR20150061433 A KR 20150061433A KR 1020130145557 A KR1020130145557 A KR 1020130145557A KR 20130145557 A KR20130145557 A KR 20130145557A KR 20150061433 A KR20150061433 A KR 20150061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width
width modulation
motor
seat belt
curren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5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대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5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1433A/ko
Publication of KR20150061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14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4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ide, door, or roof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빙과 텅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시트벨트와 웨빙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리트렉터와 리트렉터의 내부에 구비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모터와 텅 플레이트가 착탈 결합되는 버클과 버클이 해제되면 해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제어부로부터 해제 신호를 수신할 때 서로 다른 복수의 펄스폭변조비를 모터에 인가하는 인버터와 서로 다른 복수의 펄스폭변조비가 인가될 때 출력되는 출력 전류값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목표 펄스폭변조비를 산출하여 모터에 인가하는 신호생성부로 형성된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Seat belt apparatus for vehicl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벨트가 외부 저항의 종류에 관계 없이 일정 장력으로 벨트 파킹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충돌사고시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에는 시트벨트, 에어백, 충격흡수 스티어링 컬럼 및 인스트러먼트 패널 등이 있다.
전술한 장치 중에서 시트벨트는 정면 충돌시 승객의 신체 각부에 걸리는 가속도를 경감시키는 한편, 2차 충돌의 방지 또는 그 충격의 완화를 꾀하면서 승객이 차량 밖으로 팅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로서 현재 필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운전석과 조수석뿐만 아니라 뒷자석에까지 시트벨트를 착용하였는지에 대한 단속이 강화되는 추세이다.
한편, 시트벨트의 한 동작 과정중의 하나인 벨트파킹(Belt Parking)은 승객이 시트벨트 착용 후 해제하면 시트벨트에 장착된 모터를 구동시켜 시트 벨트의 웨빙을 되감아 주는 기능을 말한다. 시트벨트의 또 다른 한 동작 과장인 벨트파킹 인터럽션(Belt Parking Interruption)은 벨트파킹 중 승객이 시트벨트를 재착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트벨트를 승객의 몸쪽으로 당길 경우, 모터의 구동을 멈추기 위한 기능을 말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는 벨트파킹 시, 외부 저항(모터 저항, 제어부 저항 등)에 따라 출력되는 전류 즉, 시트벨트를 되감는 힘이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부 저항에 따라 출력되는 전류가 상이해져 외력이 작용하였을 경우 벨트파킹 인터럽션이 작동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벨트파킹 시, 외부 저항(모터 저항, 제어부 저항 등)에 따라 출력되는 전류 즉, 시트벨트를 되감는 힘을 동일하게 하고, 외부 저항에 따라 출력되는 전류가 상이해져 외력이 작용하였을 경우, 어떠한 경우라도 벨트파킹 인터럽션이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는, 웨빙과 텅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시트벨트와 웨빙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리트렉터와 리트렉터의 내부에 구비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모터와 텅 플레이트가 착탈 결합되는 버클과 버클이 해제되면 해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제어부로부터 해제 신호를 수신할 때 서로 다른 복수의 펄스폭변조비를 모터에 인가하는 인버터와 서로 다른 복수의 펄스폭변조비가 인가될 때 출력되는 출력 전류값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목표 펄스폭변조비를 산출하여 모터에 인가하는 신호생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의 제어방법은 시트벨트의 텅 플레이트가 버클로부터 해제될 때 해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제어부로부터 해제 신호를 수신하면 서로 다른 복수의 펄스폭변조비를 모터에 인가하는 단계와 서로 다른 복수의 펄스폭변조비를 인가하여 출력되는 출력 전류값을 감지하는 단계와 출력 전류값을 통해 목표 전류에 해당하는 목표 펄스폭변조비를 산출하는 단계와 목표 펄스폭변조비를 모터에 인가하여 모터를 정방향으로 구동시켜 시트벨트를 인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외부 저항에 관계 없이 일정 장력으로 벨트파킹이 가능하여 시트벨트의 성능이 향상되고 승객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둘째,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배치된 장력센서를 삭제하여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셋째, 상술한 장력센서를 제거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의 외부 저항 별 출력 전류값을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의 벨트파킹 인터럽션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의 벨트파킹 인터럽션이 발생하였을 경우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의 전압에 따른 출력 전류값을 도출하는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바람직한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인 경우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10)는 웨빙(110)과 텅 플레이트(120)가 구비되는 시트벨트(100)와 웨빙(110)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리트렉터(200)와 리트렉터(2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모터(210)와 텅 플레이트(120)가 착탈 결합되는 버클(140)과 버클(140)이 해제되면 해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00)와 제어부(300)로부터 해제 신호를 수신할 때 서로 다른 복수의 펄스폭변조비를 모터(210)에 인가하는 인버터(400)와 서로 다른 복수의 펄스폭변조비가 인가될 때 출력되는 출력 전류값을 감지하는 센서부(500)와 목표 펄스폭변조비를 산출하여 모터(210)에 인가하는 신호생성부(600)를 포함한다.
시트벨트(100)는 웨빙(110), 텅 플레이트(120) 및 버클(14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벨트(100)는 차량 내부 좌석에 각각 배치되며, 리트렉터(200)의 상측에 형성된 홀을 통해 인출되어 센터 필라(미도시)의 상부에 지지받는 스로우 엥커(130)에 끼워지게 관통된다. 또한, 시트벨트(100)에는 텅 플레이트(120)가 삽입되어 있고, 텅 플레이트(120)는 승객에 의해 시트(1)의 차실 내측에 구비되는 버클(14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버클(140)은 텅 플레이트(120)가 착탈 결합된다.
리트렉터(200)는 모터(21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리트렉터(200)에 구비된 모터(210)가 구동되면 웨빙(110)이 인입 또는 인출된다.
모터(210)는 차량의 센터필라(미도시)에 장착되는 리트렉터(200)의 내부에 장착된다.
모터(210)는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 구동하며, 시트벨트(100)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210)는 회전 구동시 시트벨트(100)를 당기게 된다. 이때 시트벨트(100)에는 장력이 형성된다. 또한, 모터(210)는 모터(210)에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차량의 시트벨트(100)를 당겨주거나 풀어주어 시트벨트(100)의 웨빙(110)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300)는 버클(140)이 해제되면 해제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300)는 기 설정된 전류 프로파일을 호출하여 모터(210)로 출력한다.
인버터(400)는 서로 다른 복수의 펄스폭변조비(D0, D1, D2)를 모터(210)에 인가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300)로부터 버클(140) 해제 신호를 수신할 때 서로 다른 복수의 펄스폭변조비(D0, D1, D2)를 모터(210)에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인버터(400)에서 서로 다른 복수의 펄스폭변조비(D0, D1, D2)를 모터(210)에 인가하면 모터(210)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서로 다른 복수의 펄스폭변조비(D0, D1, D2)는 시간에 따라 소정단위만큼 점차 큰값으로 인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210)에 서로 다른 복수의 펄스폭변조비(D0, D1, D2)를 정해진 시간 T0/3 동안 각각 인가한다.
센서부(500)는 모터(210)와 배터리(미도시)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센서부(500)는 모터(210)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류값(A0, A1, A2)을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복수의 펄스폭변조비(D0, D1, D2)가 모터(210)에 인가되면 출력되는 출력 전류값(A0, A1, A2)을 주기적으로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출력 전류값(A0, A1, A2)은 외부저항의 종류에 관계없이 모터(210)에서 동일하게출력되는것이 바람직하다.
신호생성부(600)는 목표 펄스폭변조비(DT)를 산출하여 모터(210)에 인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인버터(400)에서 출력되는 서로 다른 복수의 펄스폭변조비(D0, D1, D2)와 모터(210)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류값(A0, A1, A2)을 통해 목표 펄스폭변조비(DT)를 산출하고, 산출된 목표 펄스폭변조비(DT)를 모터(210)에 인가하여 모터(210)를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신호생성부(600)에서 산출된 목표 펄스폭변조비(DT)를 모터(210)에 인가하면 모터(210)는 정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신호생성부(600)는 출력 전류값(A0, A1, A2)이 목표 전류값(AT)을 초과하면 모터(210)에 목표 펄스폭변조비(DT) 인가를 중단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의 외부 저항 별 출력 전류값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의 벨트파킹 인터럽션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의 벨트파킹 인터럽션이 발생하였을 경우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의 전압에 따른 출력 전류값을 도출하는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어부(300)는 시트벨트(100)가 벨트파킹 기능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 시트벨트(100)의 텅 플레이트(120)가 버클(140)로부터 해제될 때, 제어부(300)는 해제 신호를 출력하게 되는데, 모터(210)가 해제 신호를 제어부(300)로부터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시트벨트(100)가 벨트파킹 기능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에서 벨트파킹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것으로 판단되면 다른 기능을 동작한다.(S11)
모터(210)가 전압 프로파일을 호출하면 제어부(300)가 전압 프로파일을 모터(210)로 출력한다.(S20) 시트벨트(100)가 벨트파킹 기능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에서 벨트파킹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터(210)가 전압 프로파일을 호출하고, 제어부(300)는 저장된 전압 프로파일 호출하여 모터(210)로 출력한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면, 전압 프로파일은 전류예측구간(T0)과 전류분석구간(T1) 및 벨트파킹구간(T2)을 포함한다.
이때, 전류예측구간(T0)은 서로 다른 복수의 펄스폭변조비(D0, D1, D2)로 모터를 역방향으로 구동한다.
전류분석구간(T1)은 서로 다른 복수의 펄스폭변조비(D0, D1, D2)가 인가되면서 모터(210)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류값(A0, A1, A2)을 감지한다.
또한, 벨트파킹구간(T2)은 모터(210)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류값(A0, A1, A2)을 통해 산출된 목표 펄스폭변조비(DT)를 모터(210)에 인가하여 모터를 정방향으로 구동한다.
인버터(400)는 모터(210)에 서로 다른 복수의 펄스신호(D0, D1, D2)를 인가한다.(S30) 전압 프로파일이 전류예측구간(T0)에 진입하면 인버터(400)에서 출력되는 서로 다른 복수의 펄스폭변조비(D0, D1, D2)를 모터(210)에 정해진 시간 T0/3 동안 각각 인가한다. 이때, 복수의 펄스신호(D0, D1, D2)를 역으로 인가하기 때문에 모터(210) 구동에 의한 시트벨트(100)의 구속력은 없다.
신호생성부(600)는 모터(210)에 인가된 서로 다른 복수의 펄스신호(D0, D1, D2)에 대한 출력 전류값(A0, A1, A2)을 센서부(500)로부터 수신한다.(S40) 센서부(500)는 서로 다른 복수의 펄스폭변조비(D0, D1, D2)가 인가되어 모터(210)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류값(A0, A1, A2)을 감지하여 출력하고, 센서부(500)에서 감지된 출력 전류값(A0, A1, A2)을 신호생성부(600)가 수신한다.
신호생성부(600)는 서로 다른 복수의 펄스폭변조비(D0, D1, D2)에 의한 출력 전류(A0, A1, A2)를 표현할 수 있는 함수값을 도출한다.(S50) 취득한 (D0, A0) , (D1, A1), (D2, A2)의 값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펄스폭변조비(D0, D1, D2)에 따른 출력 전류값(A0, A1, A2)의 추세를 분석하여, Y=F(X)의 함수를 도출 한다. 이때, Y는 출력 전류값을 나타내고 X는 인가한 서로 다른 복수의 펄스폭변조비(D0, D1, D2)를 나타낸다.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7을 참조하면, A0 = F(D0), A1 = F(D1), A2 = F(D2) 를 모두 만족할 수 있는 F(X)를 찾기 위하여, 먼저 각각의 기울기를 측정, 그래프가 선형인지를 판단한다.
(A1-A0) / (D1-D0) = (A2-A1) / (D2-D1),
만약 선형이라면, Y = (A1-A0) / (D1-D0) * X + @ 를 이용하여, 각각의 값을 입력하여 @를 구해 Y=F(X)의 함수를 도출한다.
선형이 아니라면, 각각의 입력값에 따라 오차가 최소가 되는 Y=F(X)를 구하기 위하여 다음의 수식을 이용한다.
1) Y = F(X) = aX+b 라는 1차함수를 가정,
2) 오차의 총합이 최소가 되기 위한 최소 자승법을 이용 다음의 수식에 각각의 (D0, A0), (D1, A1), (D2, A2) 를 대입하여 Y=F(X)를 구한다.
상술한 내용을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신호생성부(600)는 원하는 목표 전류값(AT)에 해당하는 목표 펄스폭변조비(DT)를 산출한다.(S60) 함수값을 도출하는 단계(S50)에서 구한 Y=F(X)를 이용하여, 원하는 목표 전류값(AT)를 출력할 수 있는 목표 펄스폭변조비(DT)를 산출한다.
신호생성부(600)는 목표 펄스폭변조비(DT)를 모터(210)에 인가하여 벨트파킹 기능을 수행한다.(S70) T2 구간에서 목표 펄스폭변조비(DT)를 모터(210)에 인가하여 벨트파킹 기능을 수행한다. 목표 펄스폭변조비(DT)는 원하는 목표 전류값(AT)의 출력을 위한 값이므로 어떠한 경우에서도 (외부 저항 등이 달라도) 목표 전류값(AT)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목표 펄스폭변조비(DT)를 모터(210)에 인가하여 모터(210)를 정방향으로 구동시켜 웨빙(110)을 인입시킨다.
센서부(500)는 벨트파킹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S70)에서 벨트파킹 인터럽션 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S80) 모터(210)에 목표 전류값(AT)가 출력되고 있는 상황에서 시트벨트(100)를 잡아 당겨 얼마만큼의 어느정도의 외력(장력)이 작용하였을 때 어느정도의 전류가 변화하는지를 체크하여. 벨트파킹 인터럽션을 판정할 수 있는 마스터 값(AI)을 선정하고, 마스터값(AI)으로 인터럽션을 판정할 수 있다.
벨트파킹 인터럽션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80)에서 벨트파킹 인터럽션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될 경우, 벨트파킹을 중단한다.(S81) 도 6을 참조하면, T2 구간에서 목표 펄스폭변조비(DT)로 벨트파킹을 하는 중에 출력 전류가 목표 전류값(AT) + 마스터 값(AI)를 초과하면 이는 외력이 마스터 값(AI) 만큼 작동한 것이므로, 벨트파킹의 출력을 중단하여 사용자가 시트벨트(100)를 손쉽게 당길 수 있도록 한다.
벨트파킹 인터럽션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80)에서 벨트파킹 인터럽션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될 경우, 정해진 시간(T2) 동안 벨트파킹을 수행한 후, 중단한다.(S90)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벨트 파킹 시, 외부 저항(모터 저항, 제어부 저항 등)에 따라 출력되는 전류 즉, 시트벨트를 되감는 힘을 동일하게 하고, 외부 저항에 따라 출력되는 전류가 상이해져 외력이 작용하였을 경우, 어떠한 경우라도 벨트파킹 인터럽션 기능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창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주요 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
10 :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
100 : 시트벨트
200 : 리트렉터 210 : 모터
300 : 제어부
400 : 인버터
500 : 센서부
600 : 신호생성부

Claims (8)

  1. 웨빙과 텅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시트벨트;
    상기 웨빙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리트렉터;
    상기 리트렉터의 내부에 구비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모터;
    상기 텅 플레이트가 착탈 결합되는 버클;
    상기 버클이 해제되면 해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해제 신호를 수신할 때 서로 다른 복수의 펄스폭변조비를 상기 모터에 인가하는 인버터;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펄스폭변조비가 인가될 때 출력되는 출력 전류값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목표 펄스폭변조비를 산출하여 상기 모터에 인가하는 신호생성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펄스폭변조비는 시간에 따라 소정단위만큼 점차 큰값으로 인가되는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에서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펄스폭변조비를 상기 모터에 인가하면 상기 모터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생성부에서 산출된 상기 목표 펄스폭변조비를 상기 모터에 인가하면 상기 모터는 정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류값은 외부저항의 종류에 관계없이 상기 모터에서 동일하게출력되는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생성부는 상기 출력 전류값이 목표 전류값을 초과하면 목표 펄스폭변조비 인가를 중단하는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
  7. 시트벨트의 텅 플레이트가 버클로부터 해제될 때 해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제어부로부터 상기 해제 신호를 수신하면 서로 다른 복수의 펄스폭변조비를 모터에 인가하는 단계;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펄스폭변조비를 인가하여 출력되는 출력 전류값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출력 전류값을 통해 목표 전류에 해당하는 목표 펄스폭변조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목표 펄스폭변조비를 상기 모터에 인가하여 상기 모터를 정방향으로 구동시켜 시트벨트를 인입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의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펄스폭변조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펄스폭변조비와 상기 출력 전류값을 표현할 수 있는 함수를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30145557A 2013-11-27 2013-11-27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614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557A KR20150061433A (ko) 2013-11-27 2013-11-27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557A KR20150061433A (ko) 2013-11-27 2013-11-27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433A true KR20150061433A (ko) 2015-06-04

Family

ID=53499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5557A KR20150061433A (ko) 2013-11-27 2013-11-27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143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4400B2 (ja) 車両のシートベルト装置
US10668895B2 (en) Variable force limiter control system for vehicle
US7588114B2 (en) Seat belt retractor system
JP4714525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シートベルト装置、シートベルト装置付車両
US7698037B2 (en) Seatbelt device for vehicle
US20110270493A1 (en) Seat-belt-retractor control device and seat belt device having the same
WO2011152144A1 (ja) 乗員保護装置
CN111098813B (zh) 用于车辆座椅安全带的控制装置
JP2009502637A (ja) シートベルトプリテンショナーの制御方法及びシートベルトプリテンショナーを備える安全構造
JP2018176845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KR101747882B1 (ko)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682351B2 (ja) 車両乗員用の拘束装置
JP4847241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KR20150061433A (ko) 차량용 시트벨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11107B1 (ko) 신체 사이즈에 의해 모터의 구동력을 조절하는 차량의 시트벨트
JP2018167604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4263968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2011230690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の制御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JP7070314B2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の制御装置
JP6453640B2 (ja) シートベルト巻き取り装置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4322694A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JP5531051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4722619B2 (ja) 車両のシートベルト装置
JP4854485B2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4149042A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