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0153A - 핸드 드라이어 - Google Patents

핸드 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0153A
KR20150060153A KR1020130144252A KR20130144252A KR20150060153A KR 20150060153 A KR20150060153 A KR 20150060153A KR 1020130144252 A KR1020130144252 A KR 1020130144252A KR 20130144252 A KR20130144252 A KR 20130144252A KR 20150060153 A KR20150060153 A KR 20150060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ort
hand
drying chamber
dry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4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은희
Original Assignee
권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은희 filed Critical 권은희
Priority to KR1020130144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0153A/ko
Publication of KR20150060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01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Abstract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본체 내 송풍부를 통해 소정의 풍량으로 건조풍을 생성하여 건조실 내로 배출시켜 젖은 손을 건조시키는 핸드 드라이어가 개시된다. 핸드 드라이어는,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상기 건조실에 설치되어 건조풍을 출력하는 토출구; 상기 감지부에서 손이 감지되면 상기 송풍부를 구동하여 소정의 풍량으로 건조풍을 생성하여 건조실 내로 상기 토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건조풍의 기류 힘에 의하여 건조실 벽면에서 돌출된다. 이러한 핸드 드라이어는 건조시키기 위한 젖은 손을 협소한 건조실에 넣을 때 가지는 거부감을 해소시키면서 건조 시간은 더욱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건조시키기 위한 손을 상하로 반복해서 이동시킬 때, 건조실 벽면에 접촉될 수 있는 확률이 낮아져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핸드 드라이어 {Hand dryer}
본 발명은 젖은 손을 건조시키기 위한 핸드 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실의 폭을 종래의 핸드 드라이어보다 넓게 제공하여 사용자의 사용 거부감을 해소하면서도 건조속도는 더욱 높일 수 있는 핸드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 드라이어는 업무용 빌딩, 백화점, 대형마트, 상가, 고속도로 휴게소, 대형 음식점, 극장, 공공기관 등의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화장실에 주로 설치되어 손을 씻은 후에 곧바로 사용자가 송풍팬의 바람으로 손의 물기를 건조시키는데 사용된다.
손의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종래의 페이퍼 타올은 나무를 주원료로 하여 환경을 훼손시키게 만들며, 소모되는 페이퍼 타올 비용과 페이퍼 타올을 채우거나 관리하는 인건비 등의 유지비가 상당하나 핸드 드라이어는 페이퍼 타올에 비해 환경문제, 비용문제 등의 그 장점이 월등하여 그 사용이 점점 증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 핸드 드라이어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건조풍의 토출구가 건조실 내의 전면 또는 뒷면의 양쪽 방향에 모두 있는 종래의 핸드 드라이어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1의 핸드 드라이어는 본체 상면에 건조실이 형성 되어 있고, 상기 건조실 내의 전면과 후면, 양방향에 각각 설치되는 토출구 및 감지센서, 그리고 본체 내부에는 송풍팬 및 송풍모터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핸드 드라이어는 감지센서에 의해 손이 건조실 내로 진입이 된 것을 감지하여 상기 송풍팬 및 송풍모터일 구동시켜 소정의 건조풍을 건조실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된 토출구를 통해 동시에 배출한다. 이때 사용자는 손에 있는 물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손을 위아래로 반복해서 움직여 물기를 털어내는 방법으로 건조시킨다.
이때, 종래의 핸드 드라이어는 건조 속도를 높이기 위해 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건조풍을 토출구의 형상대로 날카로운 칼날 형태 그대로 유지시킨 상태로 손에 닿게 하기 위해서 손등 또는 손바닥과 토출구와의 간격을 각각 약 40mm 이내가 되게 구성 하므로 건조실의 폭을 대략 60 ~ 80mm의 간격 내로 좁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이런 좁은 건조실은, 손에서 떨어진 물기 속에 함유된 인체의 지방, 피부껍질 등의 이물질이 건조실에 퇴적 및 부패되어 악취와 함께 오염이 상당하고, 또한 이런 오염에 손이 닿지 않을까 하는 사용자의 불안감을 키우고, 더욱이 건조실 내부가 잘 보이지 않아서 상해 발생 우려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증폭시켜 건조실 내부에 손을 넣는 것에 대한 매우 큰 거부감 및 부담감이 존재하였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2013-0074580호(공개일 2013.7.4 명칭: 핸드 드라이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젖은 손을 건조하기 위해 건조실로 삽입할 때 사용자의 거부감을 해소시키고, 동시에 건조시간은 단축하는 핸드 드라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국가별 또는 인종별로 손의 크기의 차이에 따른 건조시간 차이 또는 거부감을 해소할 수 있는 핸드 드라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손에서 떨어진 물기를 빠르게 자연 건조시켜 건조실의 악취와 오염 줄이는 청결한 핸드 드라이어에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는,
외부공기를 흡입구를 통해 본체 내로 유입시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본체 내 송풍부를 통해 소정의 풍량으로 건조풍을 생성하여 건조실 내로 배출시켜 젖은 손을 건조시키는 핸드 드라이어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상기 건조실에 설치되어 건조풍을 출력하는 토출구;
상기 토출구를 구동하는 토출구 구동부;
상기 감지부에서 손이 감지되면 상기 토출구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토출구가 건조실 벽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감지부에서 손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토출구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토출구가 원래위치로 되돌아 가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토출구는 상기 건조실 내의 일측면과 상기 건조실의 일측면에 대향하는 또 다른 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감지부를 통하여 손의 진입을 감지하면 상기 토출구들이 소정의 거리만큼 서로 근접하고, 상기 감지부가 손의 부재를 감지하면 상기 토출구들이 소정의 거리만큼 서로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는, 외부공기를 흡입구를 통해 본체 내로 유입시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본체 내 송풍부를 통해 소정의 풍량으로 건조풍을 생성하여 건조실 내로 배출시켜 젖은 손을 건조시키는 핸드 드라이어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상기 건조실에 설치되어 건조풍을 출력하는 토출구;
상기 감지부에서 손이 감지되면 상기 송풍부를 구동하여 소정의 풍량으로 건조풍을 생성하여 건조실 내로 상기 토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건조풍의 기류 힘에 의하여 건조실 벽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출구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돌출되며,
상기 토출구는 탄성력을 가진 탄성부와 연결되어 상기 건조풍이 중지되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출구들 사이의 최대 근접 거리를 설정하기 위한 토출간격 조정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들 간의 최대 근접 거리를 사전에 가변 설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건조시키기 위한 젖은 손을 건조실에 넣을 때 가지는 거부감을 해소시키면서 건조 시간은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건조시키기 위한 손을 상하로 반복해서 이동시킬 때, 건조실 벽면에 접촉될 수 있는 확률이 낮아져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국가별, 인종별 손의 크기의 차이에 따른 건조시간 차이 및 거부감을 해소시킬 수 있다.
또한, 건조실 내의 악취와 오염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건조실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어 상해에 대한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핸드 드라이어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의 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 정지 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 송풍 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 정지 시의 측면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 송풍 시의 측면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의 단면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100)의 외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2 또는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100)는, 본체(10) 및 건조실(20), 흡기부(30), 토출구(50), 토출구 구동부(56), 감지부(40), 송풍부(80), 전원공급부(60), 제어부(7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각 부위를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플라스틱 수지나 금속이 사용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본체를 통해 송풍되는 경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송풍부(80)는 건조바람을 발생시키는 송풍팬(82), 송풍팬(82)을 회전시키기 위한 송풍모터(81)를 포함한다.
흡입구(30)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송풍팬(82)으로 흡입시키고, 토출구(50)는 송풍팬(82)을 통해 발생된 건조풍을 손 건조를 위해 토출한다.
전원공급부는(60) 각 부로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제어부(70)는 각종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71)와 시간을 체크하는 타이머(72)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감지부(40)로부터의 작동개시 신호를 받아 송풍모터(81)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70)는 제조원가를 줄이기 위하여 감지기(40)가 제어부(70)의 기능을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여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감지부(40)는 손이 건조실에 들어온 것을 감지한다,
토출구 구동부(56)는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손이 건조실(20)에 들어오면 토출구(50)를 건조실 벽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한다.
그러면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감지부(40)를 통해 사람의 손이 감지되면 제어부(70)가 미리 설정된 송풍량에 해당 되는 송풍신호를 송풍모터에 보낸다. 이때 손이 아닌 다른 신체부위가 감지되어도 동작은 같다.
이때, 송풍모터(81)는 공급되어진 송풍신호에 비례하는 회전속도로 회전력을 일으켜 동축으로 고정 연결된 송풍팬(82)을 회전시켜 흡입구(30)로부터 유입되는 건조풍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나서, 발생된 건조풍은 토출구(50)를 통해 손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외부로 송풍된다.
한편, 제어부(70)는 감지부(40)에 의해 손이 감지되면, 토출구 구동부(56)를 구동하여 토출구(50)를 돌출시킨다.
따라서, 건조실(20)이 종래의 핸드 드라이어에 비해 넓어도 토출구(50)로부터 손까지의 거리를 더 가깝게 할 수 있어 건조를 더 빨리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 실시예에서는 토출구 구동부(56)를 사용하여 토출부를 구동하였으나 건조풍에 의해 토출구를 돌출시키는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 정지 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 송풍 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 정지 시의 측면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 송풍 시의 측면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는,
외부공기를 흡입구를 통해 본체 내로 유입시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본체 내의 송풍팬 및 송풍모터를 통해 소정의 풍량으로 건조풍(84)을 생성하여 본체 상측면에 형성된 건조실 내로 배출시켜 젖은 손을 건조시키는 핸드 드라이어에 있어서,
본체 상면에 구비되는 개방면적이 충분히 넓어 사용자의 거부감이 해소된 건조실(20);
상기 건조실 내의 일측면과 상기 건조실의 일측면에 대향하는 또 다른 면에 각각 설치되는 감지부(40);
상기 건조실(20) 내의 일측면과 상기 건조실의 일측면에 대향하는 또 다른 면에 각각 설치되고, 건조풍(84)의 토출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운 토출구(50);
상기 토출구를 원점으로 복원시키는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복원자(54);
손을 건조시키기 위해서 바람을 발생시키는 송풍팬(82) 및 송풍모터(81);
상기 송풍팬 및 송풍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70)를 포함하여, 상기 토출구(50)는 직진하는 건조풍(84)의 기류의 힘에 의해서 서로 근접하고, 상기, 복원자(54)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
또한, 핸드 드라이어는,
국가별로 상기 토출구들 사이의 최대 근접 거리를 가변 설정하기 위한 토출간격 조정자(55);를 더 포함하여, 상기 토출구(50)가 서로 근접할 때 상기 조정자(55)에 의해 조절된 소정의 토출간격 만큼만 근접하도록 한다.
건조실(20)은 손을 건조시키기 위해 본체 내 상측에 위치하고, 윗면이 개방된 직사각형 형상의 공간으로, 손 건조 시 물기가 제품 외부(사용자 또는 바닥)로 튀지 않게 하고, 또 손에서 분리된 물기를 모아주는 역할을 하거나, 건조풍(84)이 사용자한테 불지 않게 막는 역할도 동시에 한다. 건조실을 넓게 할수록 건조실 접촉으로 인한 오염에 대한 염려가 없어 사용자의 거부감이 낮아서 좋지만 토출구(50)로부터 나온 건조풍이 손에 닿을 때는 날카로운 칼날 형상이 아닌 넓게 퍼진 형상이 되므로, 결국 건조시간을 더 길게 만들기 때문에 가능한 한 60 ~ 80mm 이내의 좁은 폭으로 만든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건조실의 폭을 적어도 대략 80mm 이상으로 하여,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시키면서 건조속도는 향상시킨다.
흡입구(30)는 건조풍이 본체내로 흡입되는 입구이고, 감지부(40)는 손이 건조실에 진입되면 자동으로 건조풍을 생성시키기 위하여 손을 감지하는 비접촉식 센서이다. 일반적으로 변조광의 투수광형 적외선 감지센서가 많이 쓰이고, 토출구가 양쪽 방향인 핸드 드라이어에서는 넓은 건조실을 커버하기 위해 2 ~ 3개의 감지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
토출구(50)는 송풍팬으로부터 발생 된 건조풍(84)이 토출되는 곳으로써, 지름 2 ~ 4mm의 작은 원형 토출홀을 여러 개 1열로 가로 배치하거나 또는 얇고 긴 칼날(또는 짧은 칼날) 형상의 직사각형의 토출홈을 한 개(또는 여러 개) 1열로 가로 배치하여 건조풍을 "一"자 형태로 만들며, 또한 건조풍의 토출량을 한정시켜 건조풍의 압력을 높여 건조풍속을 증가시킨다.
토출홀(51)은 일반적으로 대략 2 ~ 4mm의 작은 원형홀이다.
토출구 커버(52)는 에어덕터(90)와 연결되어 건조풍(84)의 이동통로이며, 토출구(50)를 수납하고 토출구(50)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가이드 해 준다.
복원 구조물(53)은 토출구(50)에 고정 부착되어 복원자(54)를 수축시키거나 누르는 구조물이다.
복원자(54)는 토출구를 원점으로 복원시키는 복원력을 발생하는 구조물로써, 링 또는 판스프링, 토출구의 플라스틱 사출물에 일체화된 힌지 중 하나로 할 수 있다. 복원자의 복원력은 토출구를 원점으로 이동시킬 정도만의 힘으로 최소하고, 건조풍의 기류의 힘보다는 작아야 한다.
토출간격 조정자(55)는 토출구(50)들간 서로 근접하는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송풍모터(81)는 송풍팬(82)을 회전시켜 건조풍을 발생하기 위한 회전력을 만드는 전동기이며, 10,000 ~ 35,000 rpm이 일반적이다.
송풍팬(82)은 건조풍을 발생하기 위한 팬이다.
모터 하우징(83)은 송풍팬(82)과 송풍모터(81)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케이스이다. 에어덕터(90)와 연결되어 건조풍을 에어덕터(90)로 보낸다. 진동과 소음의 감소시키기 위하여, 우레탄이나 고무를 송풍모터(81)와 모터 하우징(83) 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
에어덕터(90)는 송풍팬(82)에서 발생 된 건조풍(84)을 토출구(50)에 전달하기 위한 공기의 경로이며, 공기흐름을 방해하지 않게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갑작스런 경로의 축소, 확대 등을 피해야 하며, 경로의 방향이 바뀌는 코너지점은 R 형상을 유지하여야 한다.
그러면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건조실에 젖은 손이 진입되면 감지부(40)에서 감지가 된다. 그러면, 제어부(70)가 송풍모터(81)를 회전시키고, 송풍팬(82)도 같이 회전한다.
그러면 건조풍이 발생되고 에어덕터(90)를 통해 토출구 커버(52)로 건조풍(84)이 이동한다.
그러면, 토출구(50)가 건조풍(84)의 기류의 힘에 의해 토출구 커버(52)의 가이드를 따라 건조실 벽면에서 슬라이딩 돌출되고 동시에 복원자가 수축된다. 이러한 상태를 도 8 및 도 9에 도시하였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건조풍(84)을 서서히 증가시켜 토출구(50)가 서서히 돌출되도록 한다.
이후, 건조풍이 토출되어 젖은 손을 건조시킨다.
그리고 나서, 건조실에서 사용자의 손이 빠져 나오면 감지부(40)가 손의 부재를 감지하여 제어부(70)로 출력한다.
그러면 제어부(70)가 송풍모터(81)를 정지시킨다.
그러면, 토출구(50)가 수축된 복원자(54a)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즉, 토출구(50)는 도 9와 같은 상태에서 도 8과 같은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 비해 별도의 토출구 구동부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제조비용이 줄어들게 된다.
이상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핸드 드라이어는 충분히 넓은 건조실을 제공하여, 건조시키기 위한 젖은 손을 건조실에 넣을 때 가지는 거부감을 해소시킨다.
그리고, 건조실 벽면 상에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종래 핸드 드라이어)보다 건조실 벽면으로부터 돌출된 토출구는 젖은 손을 상하 이동 시 건조실 벽면에 부딪히는 확률이 낮아지므로, 토출구들 간의 간격을 더욱 가깝게 근접시킬 수 있으므로 건조시간을 단축시킨다.
또한, 건조시키기 위한 손을 상하로 반복해서 이동시킬 때, 건조실 폭이 넓어 건조실 벽면에 접촉될 수 있는 확률이 낮아져서 사용자의 사용 거부감을 해소한다.
그리고 국가별, 인종별 손의 크기의 차이에 따라 건조간격을 조정할 수 있어 건조시간 차이와 사용 거부감을 해소시킬 수 있다.(서양인을 기준으로 건조실을 넓게 만들면 동양인은 건조시간이 길어지고, 동양인을 기준으로 건조실을 좁게 만들면 서양인의 사용 거부감이 상승한다)
또한, 건조실의 폭(입구)이 넓어서 건조실에 떨어진 물기가 빨리 자연건조 되어(자연채광이 개선되고 내부를 밀폐시키지 않으므로 수분이 빨리 건조됨) 건조실 내의 악취와 오염을 개선시킬 수 있다.
그리고, 건조실의 폭(입구)이 넓어서 건조실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어 상해에 대한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8)

  1.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본체 내 송풍부를 통해 소정의 풍량으로 건조풍을 생성하여 건조실 내로 배출시켜 젖은 손을 건조시키는 핸드 드라이어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상기 건조실에 설치되어 건조풍을 출력하는 토출구;
    상기 감지부에서 손이 감지되면 상기 송풍부를 구동하여 소정의 풍량으로 건조풍을 생성하여 건조실 내로 상기 토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건조풍의 기류 힘에 의하여 상기 손과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드라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탄성력을 가진 복원자와 연결되어 상기 건조풍이 중지되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드라이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는 핸드 드라이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건조실 내의 일측면과 상기 건조실의 일측면에 대향하는 또 다른 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감지부를 통하여 손이 감지되면 상기 토출구들이 소정의 거리만큼 서로 근접하고, 상기 감지부에서 손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토출구들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드라이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들 사이의 최대 근접 거리를 설정하기 위한 토출간격 조정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들 간의 최대 근접 거리를 사전에 가변 설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드라이어.
  6.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본체 내 송풍부를 통해 소정의 풍량으로 건조풍을 생성하여 건조실 내로 배출시켜 젖은 손을 건조시키는 핸드 드라이어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상기 건조실에 설치되어 건조풍을 출력하는 토출구;
    상기 토출구를 구동하는 토출구 구동부;
    상기 감지부에서 손이 감지되면 상기 토출구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토출구가 상기 손과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되고, 상기 감지부에서 손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토출구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토출구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핸드 드라이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건조실 내의 일측면과 상기 건조실의 일측면에 대향하는 또 다른 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감지부를 통하여 손이 감지되면 상기 토출구들이 소정의 거리만큼 서로 근접하고, 상기 감지부에서 손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토출구들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드라이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들 사이의 최대 근접 거리를 설정하기 위한 토출간격 조정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들 간의 최대 근접 거리를 사전에 가변 설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드라이어.
KR1020130144252A 2013-11-26 2013-11-26 핸드 드라이어 KR201500601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252A KR20150060153A (ko) 2013-11-26 2013-11-26 핸드 드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252A KR20150060153A (ko) 2013-11-26 2013-11-26 핸드 드라이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445A Division KR20150060613A (ko) 2015-02-17 2015-02-17 핸드 드라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153A true KR20150060153A (ko) 2015-06-03

Family

ID=53504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4252A KR20150060153A (ko) 2013-11-26 2013-11-26 핸드 드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01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435A (ko) 2017-01-19 2018-07-2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압축된 공기를 자외선 살균 처리하여 분사하는 핸드 드라이어
CN117770683A (zh) * 2024-02-23 2024-03-29 福建洁利来智能厨卫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移动出风口的刮水式干手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435A (ko) 2017-01-19 2018-07-2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압축된 공기를 자외선 살균 처리하여 분사하는 핸드 드라이어
CN117770683A (zh) * 2024-02-23 2024-03-29 福建洁利来智能厨卫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移动出风口的刮水式干手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3571B1 (ko) 신체 건조기
US5651189A (en) Portable drying system
KR20230170638A (ko)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JP6099219B2 (ja) イオン発生装置を組み込んだ便座装置
KR20210117882A (ko) 건조장치
JP2014036692A (ja) イオン発生装置及びそれを組み込んだ便座装置
KR20150060153A (ko) 핸드 드라이어
KR20150060613A (ko) 핸드 드라이어
KR20220028832A (ko) 건조장치
KR20220028830A (ko) 필터조립체 및 필터조립체를 가진 건조장치
JPH04221523A (ja) 手乾燥装置
KR20220028828A (ko) 건조장치
KR20220028825A (ko) 건조장치
KR20220028827A (ko) 건조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JP4792794B2 (ja) 手乾燥装置
JP5194497B2 (ja) 手乾燥装置
JP2013103111A (ja) 手乾燥装置
KR102209633B1 (ko) 1인용 클린 게이트 시스템
JP7138794B2 (ja) 手乾燥装置、手乾燥装置付き洗面台および手乾燥装置の制御方法
EP4252603A1 (en) Hand-drying device
JP3302245B2 (ja) エアー式乾燥機
US20160045084A1 (en) Body Dryer
KR20220028826A (ko) 건조장치
KR20220028829A (ko) 건조장치
KR20100128673A (ko) 우산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