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9838A - 보일러 열 교환기용 유닛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 핀리스 타입 다관 열 교환기 - Google Patents

보일러 열 교환기용 유닛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 핀리스 타입 다관 열 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9838A
KR20150059838A KR1020130143413A KR20130143413A KR20150059838A KR 20150059838 A KR20150059838 A KR 20150059838A KR 1020130143413 A KR1020130143413 A KR 1020130143413A KR 20130143413 A KR20130143413 A KR 20130143413A KR 20150059838 A KR20150059838 A KR 20150059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heat exchanger
chamber
boil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3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2278B1 (ko
Inventor
최명헌
Original Assignee
최명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명헌 filed Critical 최명헌
Priority to KR1020130143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278B1/ko
Publication of KR20150059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2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mantle surrounding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 본 발명(고안)은 보일러 열 교환기용 유닛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 핀리스 타입 다관 열 교환기에 것으로 열 교환관 내측과 외측에서 이중으로 열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열 교환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유닛 적 층수의 변경만으로 다양한 보일러를 제작할 수 있는 보일러 열 교환기용 유닛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 핀리스 타입 다관 열 교환기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핀리스 타입 다관 열 교환기는 열 교환관를 이중관 형태의 다관으로 하여 버너에서 발생된 화염이 이중관 형태의 다관의 열 교환관 외측파이프를 먼저 가열하여 열 교환이 이루어 지며 또한 고열의 연소가스가 다관의 내측파이프에 형성된 배기가스 유로로 통하여 방출되면서 내측파이프를 통하여 열 교환이 이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일러 열 교환기용 유닛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 핀리스 타입 다관 열 교환기{omitted}
본 발명(고안)은 보일러 열 교환기용 유닛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 핀리스 타입 다관 열 교환기에 것으로 열 교환관 내측과 외측에서 이중으로 열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열 교환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유닛 적 층수의 변경만으로 다양한 보일러를 제작할 수 있는 보일러 열 교환기용 유닛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 핀리스 타입 다관 열 교환기 관한 것이다.
최근 급속한 경제 성장과 생활수준 향상으로 에너지 소비가 크게 늘어나면서 에너지 절약에 따른 고 효율 열 교환기가 제안되었으나 열 교환기는 열 전달을 통한 열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체적당 열 흡수가 이루어지는 전열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배기가스 유로를 형성하는 구조가 열 교환관의 외 측면 이나 내 측면의 한 면에서만 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되어있어 충분한 열 교환이 이루어질 수 없었다.
즉 단위 열 교환관 에서의 연소가스와 접하여 열 교환이 면이 단위 열 교환관의 외 측면 이거나 내 측면의 한 면에서 만이 열 교환이 이루어지므로 충분한 전열면적을 가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고안)은 위와 같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를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핀리스 타입 다관 열 교환기는 열교환관을 이중관 형태의 다관으로 하여 열매체인 유체가 외측관 과 내측 관 사이로 흐르도록 하여 버너에서 발생된 화염이 이중관 형태의 다관의 열교환관 외측 파이프를 먼저 가열하여 열교환이 이루어 지도록 하며 또한 고열의 연소가스가 다관의 내측파이프에 형성된 배기가스 유로로 통하여 방출되면서 내측 파이프를 통하여 열교환이 이중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전열면적과 열교환율을 높일 수 있는 보일러 열교환기용 유닛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 열교환기를 제공 하고자 한다.
또한 이상과 같이 열교환율을 높이면서도 유닛의 적층수의 변경만으로 다양한 용량의 보일러를 제작할 수 있는 보일러 열 교환기용 유닛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 핀리스 타입 다관 열교환기 제공 하는데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고안)에 있어서. 박스형태로 이루어진 두개의 챔버에 다수의 이중관 형태의 다관 외측 파이프를 챔버 내측면에 관통하여 부착하며 또한 다수의 다관의 내측 파이프를 다관의 외측 파이프를 관통하여 챔버의 외측면에 관통하여 부착하여 외측파이프와 내측파이프 사이로 열매체 유로를 형성하여 양쪽의 챔버에 열매체인 유체가 유동하도록 하며
또한 관통된 내측파이프 내측면이 배기가스 유로로 형성되어 버너에서 발생된 화염이 이중관 형태의 다관의 열교환관 외측 파이프를 먼저 가열하여 열교환이 이루어 지며
또한 고열의 연소가스가 다관의 내측파이프에 형성된 배기가스 유로로 통하여 방출되면서 내측 파이프를 통하여 열교환이 이중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전열면적과 열교환율을 높일수 있는 보일러 열교환기용 유닛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관은 파이프를 다관으로 하여 내측 파이프를 외측파이프에 관통하여 위치하게 하여 외측파이프와 내측파이프 사이로 하여 열매체 유로를 형성하며.
이때 상기 파이프 양쪽 끝 단면에는 사각형태의 상자 모양으로 형성된 챔버을 연결하게 하고 챔버와 열교환관을 연결할 때 다관의 내측파이프는 챔버의 안쪽 측면에 관통하게 연결하고 다관의 외측파이프는 챔버의 끝단 쪽 양 측면을 관통하여 설치하여 외측면 파이프와 내측면 파이프 사이로 열매체 유로를 형성하여 열매체인 유체가 챔버간에 교류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또한 양쪽에 설치된 챔버의 끝 단면을 관통하여 설치된 다관의 내 측면 파이프의 내 측면으로 배기가스 유로가 형성되어 배기가스가 열교환관 양쪽에 설치된 챔버을 통과하여 배출 될 수 있게 하며
또한 챔버의 어느 한쪽에 열 매체 공급 및 배출 호수를 연결하기 위한 공급 관이 외 측면에 돌출되어 있고 공급 및 배출 관이 돌출 되어있는 챔버내부 공급관 및 배출관 사이에 격판을 두어 격판에 의해 공급측 격실과 배출 측 격실로 구분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일러 열 교환기용 유닛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 열 교환기는 버너에서 발생된 화염이 이중관 형태의 다관의 열교환관 외측파이프를 먼저 가열하여 열 교환이 이루어 지며 또한 고열의 연소가스가 다관의 내측파이프에 형성된 배기가스 유로로 통하여 방출되면서 내측 파이프를 통하여 열 교환이 이중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이상과 같이 열교환율을 높이면서도 유닛의 적층수의 변경만으로 다양한 용량의 보일러를 제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고안)에 따른 보일러 열 교환기용 유닛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 핀리스 타입 다관 열 교환기는 열교환관을 이중관 형태의 다관으로 하여 열매체인 유체가 열 교환을 이중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전열면적과 열 교환율을 높일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이상과 같이 열 교환율을 높이면서도 유닛의 적층수의 변경만으로 다양한 용량의 보일러를 제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에너지 절약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고안)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보일러 열 교환기용 유닛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 핀리스 타입 다관 열 교환기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이다.
도 2. 본 발명(고안)에 따른 핀리스 타입 다관 열 교환기 유닛 구성에 따른 공급 및 배출 관이 부착된 챔버쪽 과 다관이 부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2의 정 단면도.
도 4.는 도3의 챔버쪽 측면도.
도 5. 보일러 열 교환기용 유닛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 핀리스 타입 다관 열 교환기의 정 단면도.
도6. 본 발명(고안)에 따른 핀리스 타입 다관 열 교환기 유닛 구성에 따른 공급 및 배출 관이 부착되지 않은 챔버쪽 과 다관이 부착된 것을 나타낸 정 단면도.
도7.은 도7의 챔버쪽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에 따른 보일러 열 교환기용 유닛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 핀리스 타입 다관 열 교환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고안)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른 보일러 열 교환기용 유닛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 핀리스 타입 다관 열 교환기(120)는 열교환관(121.122)을 이중관 형태의 다관으로 하여 외측파이프(121)와 내측파이프(122) 사이로 열매체 유로(125)을 형성하여 양쪽의 챔버(123.124)에 열매체인 유체(140)가 유동하도록 하여 버너(110)에서.발생된 화염이 외측 열교환관(121)과 먼저 열 교환을 하고 연소된 고열의 배기가스가 내측 열교환관(122)에 형성된 배기가스 유로(126)을 통하여 방출되면서 내측 열교환관(122)과 열 교환이 이루어 지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열교환기유닛(120)은 열교환부을 이루는 열교환관(121.122)을 다관으로 이중배치하여 열매체인 유체(140)가 외측관(121)과 내측관(122) 사이에 흐르도록 하며 관 양측 단면에 챔버(123.124)을 두어 유체(140)공급 및 배출을 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보일러 열 교환기용 유닛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 핀리스 타입 다관 열 교환기(120)는 도 2 와도 5 을 통해 알 수 있는 봐와 같이 유닛몸체(120)을 구성하는 양 측면에 부착된 챔버(123.124)와 챔버(123.124)에 연결된 다수의 이중으로 연결된 다관형태의 열교환관(121.1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열매체(140)인 유체가 챔버(123.124)에서 내측관(122)과 외측관(121) 사이에 흐르도록 하기 위하여 외측관(121)은 챔버(123.124)의 관이 부착된 방향 내 측면을 관통하여 챔버(123.124)에 부착하며 내측관(122)은 챔버(123.124)의 관이 부착된 방향 외 측면을 관통하여 챔버(123.124)에 부착하여 챔버(123.124)내 유체(140)가 챔버(123)와 챔버(124)사이로 유동하게 되도록 유체관로(125)을 형성한다.
또한 그렇게 함으로써 내측관(122)의 내 측면으로 배기가스 유로(126)가 형성되어 배기가스가 열교환관(121.122) 양쪽에 설치된 챔버(123.124)을 통과하여 배출 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일러 열 교환기용 유닛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 핀리스 타입 다관 열 교환기(120)는 버너에서 발생된 고열을 화염과 배기가스로 이중 열교환이 이루어 지게 됨으로 전열면적은 넓어지고 열교환율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이 열 교환율을 높이면서도 유닛의 적층수의 변경만으로 다양한 용량의 보일러를 제작할 수 있게도 한다.
이상 본발명의 특정 실시 예에 대해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 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명칭>
110: 버너
120:열교환기 유닛 121:외측열교환관 122:내측열교환관 123: 열매체 공급 및 배출 관이 부착된 챔버 124:챔버 125;열매체 유동관로 126:배기가스관로 127:열매체공급관 128:열매체배출관 129:격벽
130:보일러 배기관로
140:열매체 유체

Claims (3)

  1. 상기 박스형태로 이루어진 두 개의 챔버에 다수의 이중관 형태의 다관 외측 관을 챔버 내측면에 관통하여 부착하며
    또한 다수의 다관의 내측 관을 다관의 외측 관을 관통하여 챔버의 외 측면에 관통하여 부착하여 외측 관과 내측관 사이로 열매체 유로를 형성하여 양쪽의 챔버에 열매체인 유체가 유동하도록 하며
    또한 관통된 내측관 내 측면이 배기가스 유로로 형성 되여 버너에서 발생된 화염이 이중관 형태의 다관의 연교환관 외측관를 먼저 가열하여 열 교환이 이루어 지며
    또한 고열의 연소가스가 다관의 내측 관에 형성된 배기가스 유로로 통하여 방출되면서 내측관을 통하여 열 교환이 이중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전열면적과 열 교환율을 높일 수 있는 보일러 열 교환기용 유닛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 열 교환기.
  2.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유닛 몸체(120)을 구성하는 양 측면에 부착된 챔버(123.124)와 챔버(123.124)에 연결된 다수의 이중으로 연결된 다관형태의 열 교환관(121.122)을 포함하여 구성하여 열 매체(140)인 유체가 챔버(123.124)에서 내측관(122)과 외측관(121) 사이에 흐르도록 하기 위하여 외측관(121)은 챔버(123.124)의 관이 부착된 방향 내 측면을 관통하여 챔버(123.124)에 부착하며 내측관(122)은 챔버(123.124)의 관이 부착된 방향 외측 면을 관통하여 챔버(123.124)에 부착하여 챔버(123.124)내 유체(140)가 챔버(123)와 챔버(124)사이로 유동하게 되도록 유체 관(125)으로 형성되고.
    또한 그렇게 함으로써 내측관(122)의 내 측면으로 배기가스 유로(126)가 형성되어 배기가스가 열 교환관(121.122) 양쪽에 설치된 챔버(123.124)을 통과하여 배출하는 보일러 열교 환기용 유닛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 열 교환기.
  3.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이상과 같이 열 교환율을 높이면서도 유닛의 적 층수의 변경만으로 다양한 용량의 보일러를 제작할 수 있게 하는 보일러 열 교환기용 유닛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 열 교환기.
KR1020130143413A 2013-11-25 2013-11-25 보일러 핀리스 타입 다관 열 교환기 KR101672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413A KR101672278B1 (ko) 2013-11-25 2013-11-25 보일러 핀리스 타입 다관 열 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413A KR101672278B1 (ko) 2013-11-25 2013-11-25 보일러 핀리스 타입 다관 열 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838A true KR20150059838A (ko) 2015-06-03
KR101672278B1 KR101672278B1 (ko) 2016-11-03

Family

ID=53504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3413A KR101672278B1 (ko) 2013-11-25 2013-11-25 보일러 핀리스 타입 다관 열 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2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169A (ko) * 2001-04-03 2001-08-04 박창덕 온수보일러
JP2007120839A (ja) * 2005-10-27 2007-05-17 Takuma Co Ltd 多管式貫流ボイラ
KR20120104698A (ko) * 2011-03-14 2012-09-24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열교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169A (ko) * 2001-04-03 2001-08-04 박창덕 온수보일러
JP2007120839A (ja) * 2005-10-27 2007-05-17 Takuma Co Ltd 多管式貫流ボイラ
KR20120104698A (ko) * 2011-03-14 2012-09-24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열교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2278B1 (ko) 2016-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6014B2 (en) Heat exchanger for condensing gas boiler
US20140373794A1 (en) Hot water storage tank-type condensing boiler having multi-stage structure
RU2018130211A (ru) Конденсационный теплообменник, оснащенный теплообмен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JP6502852B2 (ja) 熱風オーブン
CN106440883A (zh) 卧式管壳式换热器
JP2015531603A5 (ko)
US20150090201A1 (en) Condensing heat exchanger and boiler/water hearter including the same
CN103471440A (zh) 管翅式换热器及其组件
KR20150059838A (ko) 보일러 열 교환기용 유닛 및 그를 포함한 보일러 핀리스 타입 다관 열 교환기
CN112050469A (zh) 一种热交换装置及燃气热水器
KR101659786B1 (ko) 핀리스 타입 이중관 열 교환장치
JP2009019859A (ja) 熱交換器および温水装置
KR101620208B1 (ko) 타원형 열교환관을 포함한 저탕식 열교환기
KR20160015952A (ko) 저탕식 열교환기
CN212205076U (zh) 热交换器和热水器
CN214015931U (zh) 烤房火箱室
RU200074U1 (ru) Теплообменник для водогрейного котла
KR20140054726A (ko) 열교환용 전열관
US20220316759A1 (en) Wavy smoke tube structure of boiler
CN211854448U (zh) 热风旋转炉节能热交换器
RU2639438C1 (ru) Котел с принудительной циркуляцией
KR100515636B1 (ko) 가스보일러의 열교환기 구조
CN103953940A (zh) 燃油锅炉余热回收换热器
CN115727541A (zh) 加热设备的水箱组件以及加热设备
JP3196892U (ja) マルチパス型多管式貫流ボイ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