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8963A - 선박 에어 스포일러 - Google Patents
선박 에어 스포일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58963A KR20150058963A KR1020130142366A KR20130142366A KR20150058963A KR 20150058963 A KR20150058963 A KR 20150058963A KR 1020130142366 A KR1020130142366 A KR 1020130142366A KR 20130142366 A KR20130142366 A KR 20130142366A KR 20150058963 A KR20150058963 A KR 201500589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ip
- frame
- frame portion
- air spoiler
- frame pa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선박 에어 스포일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에어 스포일러는 해수면과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진 선박의 선수부 외판에 설치되고, 선수 방향에서 선미 방향으로 갈수록 폭과 높이가 확장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부착되어 선수를 향하여 불어오는 바람이 상기 선박의 상부 또는 측부를 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에어 스포일러는 해수면과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진 선박의 선수부 외판에 설치되고, 선수 방향에서 선미 방향으로 갈수록 폭과 높이가 확장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부착되어 선수를 향하여 불어오는 바람이 상기 선박의 상부 또는 측부를 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선박 에어 스포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이 운항하는 중에 선박의 선체 외벽과 갑판 그리고 갑판 상에 돌출된 상부구조물은 공기에 의한 저항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이, 선박이 공기에 대한 저항을 받게 되면, 선박은 운항하기 위해 더 많은 연료를 연소시켜 에너지를 생성해야 하기 때문에 연료의 소모가 증가하고, 속도가 저하되며 조종성능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해상을 통해 컨테이너를 운송하는 컨테이너 운반선의 경우 흘수선 위로 노출되는 컨테이너의 면적이 넓기 때문에, 운항 중의 공기 저항과 컨테이너간의 상호 간섭이 심각하여 선박의 운항 안정성이 저하되고, 연료의 소모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운항 중인 선박의 선체에 작용하는 공기 저항을 감소시켜 연료비를 절감하는 에어 스포일러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에어 스포일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에어 스포일러(air spoiler: 10)의 하부 프레임에는 다수 개의 볼트 홀(11)이 형성되어, 볼팅 체결에 의해 선박(20)의 선수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하부 프레임이 데크상에 용접되어 선박(20)의 선수부에 설치 수 있다.
그리고, 컨테이너(30)는 에어 스포일러(1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에어 스포일러(10) 후방에 적재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 스포일러(10)는 선박(20)이 운항 하는 중 태풍 등에 의한 큰 파도나 풍랑 또는 기타 외력에 의한 충격을 고스란히 전달받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에어 스포일러(10)를 상기 선박(20)에 고정시키는 볼트의 체결력(clamping force) 또는 용접부의 접착력이 점차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 경우, 에어 스포일러(10)는 선박(20)으로부터 유동이 생겨 에어 스포일러(10) 후방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파손하는 등 각종 안전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에어 스포일러(10)는 강한 풍압을 견뎌야 하기 때문에 복수 개의 철재 강판이 용접을 통해 결합되는데, 이러한 이유로 에어 스포일러(10)가 대형화되고 무게가 상당하여, 선박(20)의 선수부 중량이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 경우, 선박(20)의 연비가 저해될 뿐만 아니라, 에어 스포일러(10)의 무게만큼 선박(20)에 적재 가능한 컨테이너(30)의 용량이 감소되어 화물 운송수단으로써 선박(20)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박 에어 스포일러와 선박에 적재된 화물과의 충돌을 미연에 방지하며, 무게가 경감된 선박 에어 스포일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에어 스포일러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수면과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진 선박의 선수부 외판에 설치되고, 선수 방향에서 선미 방향으로 갈수록 폭과 높이가 확장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부착되어 선수를 향하여 불어오는 바람이 상기 선박의 상부 또는 측부를 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선박 에어 스포일러가 제공된다.
상기 프레임부는 다수의 홀를 갖도록 격자형태로 연결된 복수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다수의 홀을 덮는 다수의 단위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위 패널은 고분자 복합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의 끝단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 체결됨으로써 상기 외판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부를 상기 외판에 고정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판에는 상기 프레임부의 끝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해수면을 향하여 개구부가 형성된 수용공간을 갖는 수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부의 끝단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수용부재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의 끝단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관통홀에 삽입 체결됨으로써 상기 프레임부를 상기 수용부재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상기 프레임부의 끝단부에는 홈부 또는 돌출부 중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외판에는 상기 홈부 또는 상기 돌출부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되어, 상기 홈부와 상기 돌출부가 끼움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에어 스포일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에어 스포일러는 선박과의 체결력이 저하되는 경우에도, 해수면으로 낙하하도록 설치되므로 선박에 적재된 화물과의 충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에어 스포일러는 화물을 적재할 수 없는 선수부에 구비되어, 선박에 적재되는 화물의 적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에어 스포일러는 모든 부위가강재로 형성되지 아니하고,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부가 아닌 상기 프레임부에 부착되는 가이드부는 비교적 가벼운 고분자 복합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어 선박 에어 스포일러의 무게를 경감시킬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에어 스포일러는 선박 에어 스포일러 내측에서 고정작업이 이루어져, 작업자가 선박 에어 스포일러 외측에 위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적다.
다섯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수부 외판과 선박 에어 스포일러 각각에는 홈부와 돌출부가 마련되어, 경사진 선수부 외판에 선박 에어 스포일러 설치 시 얼라인먼트를 향상시키며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에어 스포일러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실시 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선박 에어 스포일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에어 스포일러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에어 스포일러에 수용부재가 더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에어 스포일러를 해수면으로 떨어뜨리는 모습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에어 스포일러를 나타낸 도이다.
도 1은 종래의 선박 에어 스포일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에어 스포일러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에어 스포일러에 수용부재가 더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에어 스포일러를 해수면으로 떨어뜨리는 모습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에어 스포일러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 선박 에어 스포일러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에어 스포일러를 나타낸 도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에어 스포일러는 프레임부(100) 및 가이드부(30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00)는 경사진 선박(20)의 선수부 외판(21)에 설치되고, 선수 방향에서 선미 방향으로 갈수록 폭과 높이가 확장될 수 있다.
이때, 경사진 선수부 외판(21)과 해수면(sea surface: S)이 형성하는 각도(θ)는 둔각으로, 선박(20)의 진행방향을 바라보는 외판(21)의 경사면의 하측단부는 상측단부보다 해수면(S)에 더욱 가까워지도록 경사질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부(100)의 끝단부(10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101a)이 형성되고, 결합부재(200)가 프레임부(100)의 관통홀(101a)에 삽입 체결됨으로써 프레임부(100)를 외판(2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200)는 고정볼트(미도시)와 고정너트(미도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리벳(미도시)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등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프레임부(100)는 선수부 외판(21)에 볼팅 체결을 통해 결합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체결 방식은 일례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레임부(100)가 선수부 외판(21)에 용접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에어 스포일러는 경사진 선수부 외판(21)에 설치됨에 따라, 강한 태풍과 같은 외력을 받아 볼트의 체결력(clamping force) 또는 용접부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선박(20)으로부터 유동이 생기는 경우에도 자중에 의해 해수면(S)으로 떨어지게 되므로 프레임부(100) 후방에 적재된 화물(C)을 파손하는 등 각종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100)가 화물(C)이 적재되지 않는 선수부 외판(21)에 적절하게 설치됨에 따라 화물(C)의 적재효율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선체에 작용하는 공기 저항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한편, 프레임부(100)는 하부 프레임부(110), 상부 프레임부(130), 측부 프레임부(15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프레임부(110)는 프레임부(100)의 하부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선수 형태에 대응되는 유선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하부 프레임부(110)는 측면 라인이 선체의 측면 라인에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부(130)는 프레임부(100)의 상부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부 프레임부(110)의 선수 측 중심점(P1)에 꼭지점(P2)이 연결되도록 경사진 삼각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측부 프레임부(150)는 프레임부(100)의 측부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부 프레임부(13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측부 프레임부(150)과 상부 프레임부(130)의 경계면(B)은 직선 또는 곡선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부(100)를 구성하는 하부 프레임부(110), 상부 프레임부(130), 측부 프레임부(150)는 복수의 프레임들이 격자형태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 사이에 다수의 홀(100a)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부(100)는 선박(20)의 항해에 따른 풍압이나 파도에 의한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내구성이 큰 스틸(steel)재질로 이루어져 후술할 가이드부(300)의 적어도 일부를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300)는 프레임부(100)에 부착되어 선수를 향하여 불어오는 바람이 선박(20)의 상부 또는 측부를 향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부(300)는 복수의 프레임들 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홀(100a)을 덮을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단위 패널(301)로 구비 될 수 있다. 이때, 단위 패널(301)은 사각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곡률을 갖는 판 형상 또는 평면의 판 형상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단위 패널(301)은 프레임부(100)보다 경량의 고분자 복합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분자 복합재료란, 둘 이상의 재료를 조합한 것으로 예컨대 발사우드(balsawood)나 PVC폼을 코어소재로 하고, FRP(fiber reinforced plastic: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나 탄소섬유 등을 보강소재로 할 수 있다. 즉, 단위 패널(301)은 발사우드나 PVC폼과 같은 코어소재의 양면에 FRP나 탄소섬유와 같은 보강소재를 적층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각각의 단위 패널(301)은 볼트(210) 및 너트(230)에 의해 프레임부(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위 패널(301)의 테두리 부분에는 볼트(210)가 관통되는 결합홀(301a)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위 패널(301)이 접착제(2)가 도포된 프레임부(100) 상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볼트(210)가 단위 패널(301)과 프레임부(100)를 관통하고 너트(230)가 체결됨으로써 단위 패널(301)과 프레임부(100)를 고정결합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박(20) 운행 중 강한 바람의 저항 등으로 인해 일부 단위 패널(301)에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파손된 해당 단위 패널(301)만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어 교체 비용 및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에어 스포일러는 전체가 스틸(steel)과 같은 고강도 재질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선박 에어 스포일러 구조에 대비하여, 다수 개의 홀(100a)이 형성되도록 격자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부(100)와 프레임부(100)에 비하여 무게가 가벼운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홀(100a)을 덮는 가이드부(300)로 이루어져 선박 에어 스포일러의 무게를 경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선박(20)의 연비를 상승시키고 선박 에어 스포일러의 무게만큼 선박(20)의 화물(C) 적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에어 스포일러에 수용부재(400)가 더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이다.
도 3내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에어 스포일러는 수용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에어 스포일러에 수용부재가 더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이다.
수용부재(400)는 프레임부(100)의 끝단부(10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해수면(S)을 향하여 개구부(400a)가 형성된 수용공간(400b)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부(100)의 끝단부(101)는 개구부(400a)를 통해 수용부재(400)에 삽입됨으로써 수용부재(400)에 1차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부(100)의 끝단부(10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101a)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재(500)가 수용부재(400)와 프레임부(100)의 끝단부(101)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체결부재(500)를 관통홀(101a)에 삽입시킴으로써 프레임부(100)를 수용부재(400)에 최종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프레임부(100)의 고정작업은 선체 내측을 향하는 프레임부(100)의 안쪽에서 이루어져, 작업자가 선박(20)의 진행방향을 향하는 프레임부(100) 외측에 위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이 용이하고 안전사고의 발생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수용부재(400)는 프레임부(100)와 동일한 재질(예를 들어, 스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강한 태풍과 같은 외력을 받아 체결부재(500)의 체결력(clamping force)이 저하되어 프레임부(100)에 유동이 생기는 경우에도, 프레임부(100)가 선박(20)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프레임부(100)를 구속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에어 스포일러를 해수면으로 떨어뜨리는 모습을 나타낸 도이다.
한편, 선박(20)의 선수부 외판(21)에 설치되는 선박 에어 스포일러의 경우, 태풍 등에 의한 큰 파도나 풍랑 또는 기타 외력에 의한 충격을 고스란히 전달받기 때문에, 프레임부(100)의 일부가 뒤틀리거나 가이드부(300)가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수용부재(400)와 프레임부(100)를 순차적으로 체결한 체결부재(500)를 관통홀(101a)로부터 인출하여, 선박 에어 스포일러가 경사진 외판(21)을 따라 해상으로 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파손된 선박 에어 스포일러로 인해 선박의 추진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선박 에어 스포일러를 수리 하기 위해 선박(20)이 항로를 벗어나 조선소에 정박할 필요가 없이 운항을 계속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에어 스포일러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에어 스포일러는 프레임부(600) 및 가이드부(30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에어 스포일러의 가이드부(300)는 전술한 실시예의 가이드부(300)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명칭 및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600)의 끝단부(601)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600)의 끝단부(601)와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프레임부(600)는 크레인에 연결된 운반와이어(3)에 연결되어,경사진 선박(20)의 선수부 외판(21)에 운반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레임부(600)는 선수 방향에서 선미 방향으로 갈수록 폭과 높이가 확장될 수 있다.
이때, 경사진 선수부 외판(21)과 해수면(sea surface: S)가 형성하는 각도(θ)는 둔각으로, 선박(20)의 진행방향을 바라보는 외판(21)의 경사면의 하측단부는 상측단부보다 해수면(S)에 더욱 가까워지도록 경사질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부(600)의 끝단부(601)에는 홈부(701) 또는 돌출부(702) 중 하나가 형성되고, 선수부 외판(21)에는 홈부(701) 또는 돌출부(702)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되어, 홈부(701)와 돌출부(702)가 끼움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사진 선수부 외판(21)에 프레임부(600)가 설치될 때, 홈부(701)와 돌출부(702)가 긴밀하게 끼움 결합되면서 프레임부(600)가 경사면을 따라 해수면(S)으로 미끄러지지 않고 얼라인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선체 내측을 향하는 프레임부(100)안쪽에서 프레임부(600)와 선수부 외판(21)을 용접을 통해 연결함에 따라, 작업자가 선박(20)의 진행방향을 향하는 프레임부(100) 외측에 위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이 용이하고 안전사고의 발생가능성을 경감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부(600)의 형상 및 재질은 전술한 프레임부(100)의 형상 및 재질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에어 스포일러는 경사진 선수부 외판(21)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강한 태풍과 같은 외력을 받아 용접부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프레임부(600)에 유동이 생기는 경우에도, 자중에 의해 해수면(S)으로 떨어지게 되므로 프레임부(600) 후방에 적재된 화물(C)을 파손하는 등 각종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후, 프레임부(600)에 가이드부(300)가 부착됨으로써 선박 에어 스포일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20: 선박 21: 선수부 외판
100: 프레임부(일 실시예) 100a: 다수의 홀
200: 결합부재 210: 볼트
230: 너트 300: 가이드부
301: 단위 패널 301a: 결합홀
400: 수용부재 400a: 개구부
400b: 수용공간 500: 체결부재
600: 프레임부(다른 실시예) 701: 홈부
702: 돌출부
Claims (8)
- 해수면과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진 선박의 선수부 외판에 설치되고, 선수 방향에서 선미 방향으로 갈수록 폭과 높이가 확장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부착되어 선수를 향하여 불어오는 바람이 상기 선박의 상부 또는 측부를 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선박 에어 스포일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다수의 홀을 갖도록 격자형태로 연결된 복수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선박 에어 스포일러.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다수의 홀을 덮는 다수의 단위 패널로 이루어진 선박 에어 스포일러.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패널은 고분자 복합재료로 이루어진 선박 에어 스포일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끝단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 체결됨으로써 상기 외판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부를 상기 외판에 고정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선박 에어 스포일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판에는 상기 프레임부의 끝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해수면을 향하여 개구부가 형성된 수용공간을 갖는 수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부의 끝단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수용부재에 삽입되는 선박 에어 스포일러.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끝단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관통홀에 삽입 체결됨으로써 상기 프레임부를 상기 수용부재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선박 에어 스포일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끝단부에는 홈부 또는 돌출부 중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외판에는 상기 홈부 또는 상기 돌출부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되어, 상기 홈부와 상기 돌출부의 끼움결합되는 선박 에어 스포일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2366A KR101644318B1 (ko) | 2013-11-21 | 2013-11-21 | 선박 에어 스포일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2366A KR101644318B1 (ko) | 2013-11-21 | 2013-11-21 | 선박 에어 스포일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58963A true KR20150058963A (ko) | 2015-05-29 |
KR101644318B1 KR101644318B1 (ko) | 2016-08-01 |
Family
ID=53393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42366A KR101644318B1 (ko) | 2013-11-21 | 2013-11-21 | 선박 에어 스포일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44318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994U (ko) * | 1986-06-20 | 1988-01-06 | ||
US4843997A (en) | 1983-04-29 | 1989-07-04 | Shell Oil Company | Ship provided with air deflector |
JPH03153489A (ja) * | 1989-11-09 | 1991-07-01 | Nkk Corp | コンテナ船の風圧減少装置 |
JP2003301517A (ja) * | 2002-04-10 | 2003-10-24 | Takenaka Komuten Co Ltd | パネルユニットを用いた構造物の構築方法 |
KR20130066015A (ko) * | 2011-12-12 | 2013-06-20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감소장치 |
-
2013
- 2013-11-21 KR KR1020130142366A patent/KR10164431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843997A (en) | 1983-04-29 | 1989-07-04 | Shell Oil Company | Ship provided with air deflector |
JPS63994U (ko) * | 1986-06-20 | 1988-01-06 | ||
JPH03153489A (ja) * | 1989-11-09 | 1991-07-01 | Nkk Corp | コンテナ船の風圧減少装置 |
JP2003301517A (ja) * | 2002-04-10 | 2003-10-24 | Takenaka Komuten Co Ltd | パネルユニットを用いた構造物の構築方法 |
KR20130066015A (ko) * | 2011-12-12 | 2013-06-20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감소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44318B1 (ko) | 2016-08-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062112A (ko) | 선박 확장 방법 및 확장된 선박 | |
CN107021183B (zh) | 球鼻船首、具有这种船首的海船和其制造及安装方法 | |
JP5707701B2 (ja) | 船首マスク及び船首マスク付き船舶 | |
CA2984411A1 (en) | Hybrid ship supplementally using wind-powered propulsive force | |
CN113879456A (zh) | 一种大型船舶舷侧吸收液舱泄爆装置 | |
KR101644318B1 (ko) | 선박 에어 스포일러 | |
CN113232766A (zh) | 一种穿梭油轮舒适度上建结构的减振装置及制造方法 | |
KR20120119333A (ko) | 박스형 거더를 구비한 선박 | |
KR101616320B1 (ko) | 선박용 에어스포일러 | |
CN111348168A (zh) | 一种防倒车吸空浅吃水螺旋桨船流道拦水板及其安装方法 | |
KR101549584B1 (ko) | 멤브레인 에어스포일러 | |
CN210063290U (zh) | 一种分体式充气复合艇 | |
KR101556925B1 (ko) | 선박 에어 스포일러 | |
KR101616307B1 (ko) | 선박 에어 스포일러 | |
KR101616311B1 (ko) | 선박 에어 스포일러 | |
CN205366014U (zh) | D型橡胶护舷与护舷架的连接装置 | |
KR101505622B1 (ko) | 선박 에어 스포일러의 패널 설치장치 및 선박 에어 스포일러의 패널 설치방법 | |
CN114771177B (zh) | 一种新型的水陆两栖车主船体结构 | |
KR102673891B1 (ko) | 브리지 윙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
KR101487327B1 (ko) | 선박용 에어스포일러 | |
VESSELS | 2019 | |
KR101580802B1 (ko) | 패널 인양 지그 | |
CN216861749U (zh) | 一种铝合金公务执法艇 | |
JP2009149278A (ja) | 表面効果翼艇の翼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CN205381371U (zh) | 尾部内收式引航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