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8879A - 차량용 폴딩도어의 개폐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폴딩도어의 개폐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8879A
KR20150058879A KR1020130142183A KR20130142183A KR20150058879A KR 20150058879 A KR20150058879 A KR 20150058879A KR 1020130142183 A KR1020130142183 A KR 1020130142183A KR 20130142183 A KR20130142183 A KR 20130142183A KR 20150058879 A KR20150058879 A KR 20150058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door
vehicle
closing
piston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7280B1 (ko
Inventor
송자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2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280B1/ko
Publication of KR20150058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folding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도어의 개폐시 일단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폴딩도어에 보조력을 인가하는 차량용 폴딩도어의 개폐보조장치로써, 상기 폴딩도어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상기 폴딩도어가 접철되어 개방될 때 상기 폴딩도어의 일단을 지지하는 스토퍼; 차체에 마련되며 단부가 스토퍼에 연결됨으로써, 가압력이 인가될 경우 스토퍼를 통해 폴딩도어의 개폐력에 보조력을 더하는 피스톤부; 및 차량이 경사로에 위치되며 폴딩도어 개방 또는 폐쇄 방향이 경사로의 상방과 일치될 경우 피스톤부에 가압력을 인가하는 압력제공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폴딩도어의 개폐보조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폴딩도어의 개폐보조장치{APPARATUS FOR ASSISTING FOLDING DOOR OPENING FOR VEHICLE}
본 발명은 폴딩도어를 사용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폴딩도어의 개폐시 상기 폴딩도어의 개폐력에 보조력을 제공하는 차량용 폴딩도어의 개폐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특히 시내버스나 마을버스와 같은 중대형 버스에서는 차량의 전단부에 마련된 승차구와 중단부에 마련된 하차구에 서로 다른 구조의 도어가 설치된다. 보통은 승차구에 폴딩도어(10) 형식의 도어가 설치되고 하차구에 슬라이딩 개폐방식의 도어가 설치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 중 상기 폴딩도어(10)의 구조에 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도 1은 버스에 사용되는 상기 폴딩도어(10)를 상기 폴딩도어(10)의 상방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써, 상기 폴딩도어(10)는 두 개의 도어패널(도면부호 미표시)이 중앙에 경첩(도면부호 미표시)으로 서로 연결되어 접철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폴딩도어(10)의 일단은 차체에 힌지핀(미도시)으로 고정되며, 상기 폴딩도어(10)의 타단은 상기 폴딩도어(10)의 상방으로 차체에 고정되게 마련된 가이드레일(30)에 연결되어 상기 폴딩도어(10)의 개폐시 일단이 상기 가이드레일(30)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한, 상기 폴딩도어(10)의 개폐를 위해 상기 폴딩도어(10)의 일단부에는 상기 폴딩도어(10)에 개폐력을 인가하는 작동실린더(20)가 구비되어 상기 작동실린더(20)의 신장 또는 압축에 따라 상기 폴딩도어(10)가 폐쇄 또는 개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30)에는 상기 폴딩도어(10)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상기 가이드레일(30)에 고정되는 스토퍼(40)가 구비되어 상기 폴딩도어(10)의 개방시 상기 폴딩도어(10)의 타단이 폴딩도어(10)의 일단 측으로 슬라이딩 되던 중 어느 지점에 이르러서는 더 이상 슬라이딩 되지 못하도록 상기 폴딩도어(10)의 타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실린더(20)는 상기 폴딩도어(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폴딩도어(10)를 개폐시키게 되는데, 상기 작동실린더(20)가 최대한 인장될 수 있는 길이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한된 길이 범위 내에서 상기 폴딩도어(10)의 개폐를 수행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실린더(20)는 상기 폴딩도어(10)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하지만, 상기 작동실린더(20)가 상기 폴딩도어(10)의 일단부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폴딩도어(10)가 개방되었을 때의 상기 작동실린더(20)와 상기 폴딩도어(10)가 이루는 각인 개방각(a)이 상기 폴딩도어(10)가 폐쇄되었을 때의 상기 작동실린더(20)와 상기 폴딩도어(10)가 이루는 각인 폐쇄각(b)보다 작아지게 되고, 이로인해 상기 폴딩도어(10)가 개방될 때에 상기 폴딩도어(10)의 타단이 받는 힘보다 상기 폴딩도어(10)가 폐쇄될 때에 상기 폴딩도어(10)의 타단이 받는 힘이 더 작아짐에 따라 폴딩도어(10)의 폐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히, 차량이 경사로에 위치되어서 상기 폴딩도어(10)의 폐쇄방향이 경사로의 상방을 향할 때, 상기 폴딩도어(10)의 개방 후 다시 폐쇄시 상기 작동실린더(20)에는 상기 폴딩도어(10)를 폐쇄하는데 필요한 힘에 상기 폴딩도어(10)의 자중까지 더하여져서 상기 작동실린더(20)가 상기 폴딩도어(10)의 폐쇄방향으로 가할 수 있는 힘을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됨에 따라 상기 폴딩도어(10)가 폐쇄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왔던 것이다.
또한,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출력이 큰 작동실린더(20)를 사용할 경우에는 평지에서 상기 폴딩도어(10)가 폐쇄될 때의 힘이 강하게 되어 상기 폴딩도어(10)의 폐쇄시 승객이 다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KR10-2012-0031573A 와 같이 폴딩도어(10)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는 보조장치의 구비가 제시된 바 있으나, 상기 KR10-2012-0031573A에서 제시된 보조장치는 상기 폴딩도어(10)의 개방시에만 적용가능한 것으로써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의하더라도 상기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2-0031573 A(2012.04.04)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폴딩도어를 사용하는 차량에 있어서 경사로에서의 상기 폴딩도어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상기 폴딩도어의 개폐시 폴딩도어에 보조력을 가하는 차량용 폴딩도어의 개폐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폴딩도어의 개폐보조장치는 도어의 개폐시 일단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폴딩도어에 보조력을 인가하는 차량용 폴딩도어의 개폐보조장치로써, 상기 폴딩도어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상기 폴딩도어가 접철되어 개방될 때 상기 폴딩도어의 일단을 지지하는 스토퍼; 차체에 마련되며 단부가 스토퍼에 연결됨으로써, 가압력이 인가될 경우 스토퍼를 통해 폴딩도어의 개폐력에 보조력을 더하는 피스톤부; 및 차량이 경사로에 위치되며 폴딩도어 개방 또는 폐쇄 방향이 경사로의 상방과 일치될 경우 피스톤부에 가압력을 인가하는 압력제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부는 가압력이 인가될 경우 상기 폴딩도어 폐쇄 방향으로 보조력을 더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폴딩도어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스토퍼와 일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의 일단은 상기 폴딩도어의 일단을 향하고, 상기 피스톤부의 일단은 상기 스토퍼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피스톤부의 일단은 상기 가압력이 인가 될 경우 상기 폴딩도어의 일단을 향하여 신장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부는 차체에 고정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되고 일단이 상기 스토퍼의 타단에 연결되는 무빙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제공부는 상기 무빙피스톤의 타단에 공압을 인가하므로써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무빙피스톤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무빙피스톤의 타단에는 제1관통홀이 마련되며, 공압 인가시 공기가 상기 제1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공간으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무빙피스톤이 상기 폴딩도어에 보조력을 인가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압력제공부는 내부에 작동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관통홀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차량이 경사로에 위치할 때 상기 작동공간 내에서 이동하여 공기가 배출되는 관통홀을 막음에 따라 상기 무빙피스톤에 공압이 인가되도록 하는 작동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실린더의 타단이 상기 폴딩도어의 타단을 향하여 연장되어 구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은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위치하면서 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제2관통홀과 상기 제1관통홀과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3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딩도어의 폐쇄시에만 상기 작동공간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보조력은 상기 개폐력 보다 작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폴딩도어의 개폐보조장치에 따르면, 항상 상시적으로 폴딩도어에 보조력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차량이 경사로에 위치하게 되는 때에만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평지에서 상기 보조력의 작용으로 인해 상기 폴딩도어가 과도한 힘으로 폐쇄됨에 따라 승객이 상해를 입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차량에 설치된 폴딩도어의 구조를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미 생산된 차량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폴딩도어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폴딩도어의 개폐보조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폴딩도어의 개폐보조장치의 배치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폴딩도어의 개폐보조장치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제공부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폴딩도어의 개폐보조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폴딩도어의 개폐보조장치의 구성도로써, 도어의 개폐시 일단이 가이드레일(500)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폴딩도어(400)에 보조력을 인가하는 차량용 폴딩도어의 개폐보조장치로써, 상기 폴딩도어(400)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레일(500)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상기 폴딩도어(400)가 접철되어 개방될 때 상기 폴딩도어(400)의 일단을 지지하는 스토퍼(100); 차체에 마련되며 단부가 스토퍼(100)에 연결됨으로써, 가압력이 인가될 경우 스토퍼(100)를 통해 폴딩도어(400)의 개폐력에 보조력을 더하는 피스톤부(200); 및 차량이 경사로에 위치되며 폴딩도어(400) 개방 또는 폐쇄 방향이 경사로의 상방과 일치될 경우 피스톤부(200)에 가압력을 인가하는 압력제공부(3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3을 통해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폴딩도어의 개폐보조장치의 배치상태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상기 스토퍼(100)와 상기 피스톤부(200) 및 상기 압력제공부(300)는 모두 일렬로 배치되되 상기 폴딩도어(400)의 일단측에서부터 타단측으로 스토퍼(100)-피스톤부(200)-압력제공부(300)의 순으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며 모두 상기 폴딩도어(400)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폴딩도어(400)의 일단에는 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500)을 따라 움직이며, 상기 폴딩도어(400)의 타단은 차체에 힌지핀으로 고정되어 상기 폴딩도어(400)의 개방시 일단을 타단측으로 슬라이딩 시키거나 폐쇄시 타단측과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스토퍼(100)와 피스톤부(200)와 상기 압력제공부(300)가 모두 일렬로 마련됨에 따라 피스톤부(200)의 작동방향과 상기 보조력의 방향이 일치하게 되어 상기 가압력의 전달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력은 상기 압력제공부(300)에서 상기 피스톤에 가하는 힘이며, 상기 보조력은 상기 피스톤이 상기 스토퍼(100)를 통해 상기 폴딩도어(400)의 일단에 가하는 힘을 말한다.
또한, 상기 개폐력은 상기 폴딩도어(400)의 개폐시 주로 작용하는 힘으로써 차체 및 상기 폴딩도어(400)의 타단을 연결하는 작동실린더(600)에 의해 인가되는 힘을 말한다.
물론, 상기 스토퍼(100)와 피스톤과 압력제공부(300)가 반드시 일렬로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각 구성간에 각도와 위치의 변화는 다양한 실시예로서 존재할 수 있다.
이제 다시 도 1을 통해 더 구체적인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폴딩도어(400)의 개폐보조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우선 상기 스토퍼(100)는 상기 가이드레일(500)에 고정된 것이 아닌 상기 가이드레일(50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고, 일단이 상기 폴딩도어(400)의 일단을 향하도록 마련된다. 재질은 고무가 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폴딩도어(400)의 개방시 상기 폴딩도어(400)의 일단이 상기 가이드레일(500)을 따라 슬라이딩 하던 중 미리 지정된 상기 스토퍼(100)가 위치된 지점에 이르게 되면 상기 스토퍼(100)의 일단면과 접촉되면서 상기 폴딩도어(400)의 일단의 슬라이딩이 저지된다.
한편, 상기 피스톤부(200)는 차체에 고정되는 실린더(210)와 상기 실린더(210)의 내부에 위치되고 일단이 상기 스토퍼(100)의 타단에 연결되는 무빙피스톤(230)을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210)는 상기 가이드레일(500) 상에 위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500)을 매개로 차체에 결합될 수 있지만, 차체에 바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실린더(210)가 고정됨에 따라 상기 무빙피스톤(230)의 일단에 결합된 상기 스토퍼(100)도 상기 실린더(210)를 매개로 차체에 지지될 수 있고, 상기 폴딩도어(400)의 개방시 상기 폴딩도어(400)의 일단과 접촉하여도 안정적으로 상기 폴딩도어(400)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무빙피스톤(230)은 상기 압력제공부(300)로부터 타단부가 가압력을 인가받게 될 때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210) 내부를 슬라이딩하여 일단이 상기 폴딩도어(400)의 일단 측으로 신장되고, 따라서 상기 폴딩도어(400)의 폐쇄시 상기 폴딩도어(400)의 일단이 슬라이딩 할 때, 상기 무빙피스톤(230)의 길이만큼 지속적으로 상기 폴딩도어(400)의 일단에 상기 스토퍼(100)를 통하여 보조력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210)의 내부에는 상기 무빙피스톤(230)의 둘레를 따라 인장력을 가하는 스프링(250)이 마련되는데, 상기 무빙피스톤(230)의 타단에는 플랜지(290)가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290)의 외주면이 상기 실린더(210)의 내주면을 따라 기밀을 유지하면서 슬라이딩하게 되고, 상기 실린더(210)의 상기 스토퍼(100) 측 일단에는 지지부(211)가 마련되어 상기 스프링(250)의 양단이 각각 상기 실린더(210)의 지지부(211)와 상기 플랜지(290)에 접촉되므로써 상기 무빙피스톤(230)에 상기 무빙피스톤(230)의 타단 측으로의 탄성력을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무빙피스톤(230)의 타단에 상기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290)가 상기 스프링(250)에 의해 항상 상기 실린더(210)의 타단에 위치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스토퍼(100)는 돌출되지 않은 초기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압력제공부(300)는 상기 무빙피스톤(230)의 타단에 공압을 인가함에 따라 가압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써, 차량의 컴프레서(미도시)를 통해 압축된 고압의 공기를 상기 무빙피스톤(230)의 타단에 인가하게 되는데, 상기 무빙피스톤(230)의 내부에는 공간(270)이 형성되고 상기 무빙피스톤(230)의 타단에는 상기 공간(270)과 통공되는 제1관통홀(291)이 마련되므로써 공압 인가시 고압의 공기가 상기 제1관통홀(291)을 통하여 상기 공간(270)으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플랜지(290)뿐만 아니라 상기 무빙피스톤(230)의 내주면 전체가 가압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무빙피스톤(230)은 단순히 플랜지(290)만 가압되는 것 보다 더 넓은 면적에 걸쳐서 가압력을 인가받을 수 있으므로 상기 플랜지(290)만 가압되었을 때와 비교할 때 더 큰 보조력을 상기 폴딩도어(400)의 일단에 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제공부(300)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상기 압력제공부(300)는 내부에 하우징(350)이 형성된 하우징(320)과 상기 하우징(320)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관통홀 및 상기 하우징(320) 내부에 마련되고 차량이 경사로에 위치할 때 상기 하우징(350) 내에서 이동하여 고압의 공기가 배출되는 관통홀을 막음에 따라 상기 무빙피스톤(230)에 공압이 인가되도록 하는 작동볼(37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320)은 상기 실린더(210)의 타단이 상기 폴딩도어(400)의 타단을 향하여 연장되어 구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되고,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은 상기 하우징(320)의 저면에 위치하면서 고압의 공기가 상기 하우징(3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제2관통홀(310)과 상기 제1관통홀(291)과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유입된 고압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3관통홀(330)을 포함하도록 마련된다. 물론, 고압의 공기가 유입되는 관통홀은 상기 제2관통홀(310) 이외에도 다수개 더 구비될 수 있으며, 고압의 공기가 배출되는 관통홀에 대해서도 상기 제3관통홀(330) 이외에도 다수개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면은 상기 작동피스톤이 지면과 나란하게 위치할 때 상기 작동볼(370)이 자중에 의해 상기 압력제공부(300)에 항상 접하는 바닥면을 말한다.
상기 제2관통홀(310)은 차량에 마련된 컴프레서(미도시) 및 제어밸브(미도시)와 연결되어 고압의 공기를 공급받게 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어밸브(미도시)는 상기 폴딩도어(400)의 폐쇄시에만 상기 제2관통홀(310)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350)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밸브(미도시)는 상기 폴딩도어(400)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제어신호를 받게 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작동볼(370)은 상기 하우징(350)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350)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하우징(320)은 차량이 평지에 있을 때에는 상기 무빙피스톤(230)이 가압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작동볼(370)이 제1관통홀(291)을 막도록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2관통홀(310)은 도 5의 (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50)의 전후중심에서 상기 제3관통홀(330) 측으로 편심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1관통홀(291) 및 제3관통홀(330) 또한 상기 하우징(350)의 상하중심에서 상기 제2관통홀(310) 측으로 편심되게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압력제공부(300)의 후방은 상기 무빙피스톤(230)의 타단 측이고 전방은 후방과 반대되는 방향이며, 상방은 상기 압력제공부(300)의 저면과 반대되는 방향이고, 하방은 저면 측을 말한다.
더 자세하게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20)이 구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차량이 평지에 있을 때에 상기 작동볼(370)은 상기 하우징(350)의 저면 중 상기 하우징(350)의 좌우중심과 일치되는 지점에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제2관통홀(310)이 상기 하우징(350)의 좌우중심에서 상기 제3관통홀(330) 측으로 치우쳐서 위치됨에 따라 차량이 평지에 있을 경우 상기 작동볼(370)이 상기 제2관통홀(310)을 막지 않게 되며, 상기 제2관통홀(310)과 상기 제3관통홀(330)은 상기 하우징(350)을 거쳐 통공되어 상기 폴딩도어(400)의 폐쇄시 고압의 공기가 상기 제2관통홀(310)로 유입되어 하우징(350)을 지나 상기 제3관통홀(330)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되 된다. 또한 상기 제1관통홀(291)이 상기 하우징(350)의 상하중심에서 상기 제2관통홀(310) 측으로 편심되게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이 평지에 있을 때에는 상기 제1관통홀(291)이 막혀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무빙피스톤(230)에는 가압력이 인가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이 경사로에 위치하되 상기 폴딩도어(400)의 폐쇄 방향이 경사로의 상방과 일치될 경우, 예컨데 상기 폴딩도어(400)의 일단이 차량의 후방으로 슬라이딩 되어 도어가 폐쇄되는 차량이 내리막길에 위치하여 승차를 위해 상기 폴딩도어(400)를 개방한 뒤 출발을 위해 상기 폴딩도어(400)를 폐쇄하려는 경우, 상기 폴딩도어(400)의 일단에 보조력을 가하기 위해 상기 무빙피스톤(230)에는 가압력이 인가되어야 한다. 상기 폴딩도어(400)의 폐쇄 방향이 경사로의 상방과 일치한 상태이므로 상기 작동볼(370)은 상기 제3관통홀(330) 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동된 작동볼(370)에 의해 상기 제3관통홀(330)은 막이게되고 상기 제2관통홀(310)은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됨에 따라 상기 폴딩도어(400)의 폐쇄시 인가되는 고압의 공기가 상기 제2관통홀(310)을 통해 상기 하우징(350)으로 유입되고, 이어서 상기 제1관통홀(291)을 통해 상기 무빙피스톤(230)의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무빙피스톤(230)에 가압력이 인가되어 상기 폴딩도어(400)의 일단에 보조력이 가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보조력은 상기 개폐력 보다 작게 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개폐력 보다 더 큰 힘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폴딩도어(400)의 폐쇄시 과도한 힘이 작용하게 되어 탑승자의 상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보조력은 상기 개폐력 보다 작게 됨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기술한 본 실시예는 상기 폴딩도어(400)의 폐쇄방향이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설정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폴딩도어(400)의 폐쇄방향이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때라 하더라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폴딩도어(400)의 개폐보조장치에 따르면, 항상 상시적으로 폴딩도어(400)에 보조력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차량이 경사로에 위치하게 되는 때에만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평지에서 상기 보조력의 작용으로 인해 상기 폴딩도어(400)가 과도한 힘으로 폐쇄됨에 따라 승객이 상해를 입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차량에 설치된 폴딩도어(400)의 구조를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미 생산된 차량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스토퍼 200 : 피스톤부
210 : 실린더 211 : 지지부
230 : 무빙피스톤 250 : 스프링
270 : 공간 290 : 플랜지
291 : 제1관통홀 300 : 압력제공부
310 : 제2관통홀 320 : 하우징
330 : 제3관통홀 350 : 작동공간
370 : 작동볼 400 : 폴딩도어
500 : 가이드레일 600 : 작동실린더

Claims (11)

  1. 도어의 개폐시 일단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폴딩도어에 보조력을 인가하는 차량용 폴딩도어의 개폐보조장치로써,
    상기 폴딩도어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상기 폴딩도어가 접철되어 개방될 때 상기 폴딩도어의 일단을 지지하는 스토퍼;
    차체에 마련되며 단부가 스토퍼에 연결됨으로써, 가압력이 인가될 경우 스토퍼를 통해 폴딩도어의 개폐력에 보조력을 더하는 피스톤부; 및
    차량이 경사로에 위치되며 폴딩도어 개방 또는 폐쇄 방향이 경사로의 상방과 일치될 경우 피스톤부에 가압력을 인가하는 압력제공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폴딩도어의 개폐보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는 가압력이 인가될 경우 상기 폴딩도어 폐쇄 방향으로 보조력을 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딩도어의 개폐보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폴딩도어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스토퍼와 일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딩도어의 개폐보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일단은 상기 폴딩도어의 일단을 향하고, 상기 피스톤부의 일단은 상기 스토퍼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피스톤부의 일단은 상기 가압력이 인가 될 경우 상기 폴딩도어의 일단을 향하여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딩도어의 개폐보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는 차체에 고정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되고 일단이 상기 스토퍼의 타단에 연결되는 무빙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제공부는 상기 무빙피스톤의 타단에 공압을 인가하므로써 가압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딩도어의 개폐보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무빙피스톤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무빙피스톤의 타단에는 제1관통홀이 마련되며, 공압 인가시 공기가 상기 제1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공간으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무빙피스톤이 상기 폴딩도어에 보조력을 인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딩도어의 개폐보조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압력제공부는 내부에 작동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관통홀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차량이 경사로에 위치할 때 상기 작동공간 내에서 이동하여 공기가 배출되는 관통홀을 막음에 따라 상기 무빙피스톤에 공압이 인가되도록 하는 작동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딩도어의 개폐보조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실린더의 타단이 상기 폴딩도어의 타단을 향하여 연장되어 구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딩도어의 개폐보조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은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위치하면서 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제2관통홀과 상기 제1관통홀과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3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딩도어의 개폐보조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폴딩도어의 폐쇄시에만 상기 작동공간에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딩도어의 개폐보조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력은 상기 개폐력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폴딩도어의 개폐보조장치.
KR1020130142183A 2013-11-21 2013-11-21 차량용 폴딩도어의 개폐보조장치 KR101997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183A KR101997280B1 (ko) 2013-11-21 2013-11-21 차량용 폴딩도어의 개폐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183A KR101997280B1 (ko) 2013-11-21 2013-11-21 차량용 폴딩도어의 개폐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879A true KR20150058879A (ko) 2015-05-29
KR101997280B1 KR101997280B1 (ko) 2019-07-05

Family

ID=53392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183A KR101997280B1 (ko) 2013-11-21 2013-11-21 차량용 폴딩도어의 개폐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72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01016A1 (de) * 1999-01-13 2000-08-10 Eller Gmbh Nutzfahrzeug
KR20060062517A (ko) * 2004-12-03 2006-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폴딩도어 개폐장치
KR20120031573A (ko) 2010-09-27 2012-04-04 박효석 개방이 용이한 더블 폴딩도어
JP2012201353A (ja) * 2011-03-28 2012-10-22 Toyota Auto Body Co Ltd 折戸式車両用ドア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01016A1 (de) * 1999-01-13 2000-08-10 Eller Gmbh Nutzfahrzeug
KR20060062517A (ko) * 2004-12-03 2006-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폴딩도어 개폐장치
KR20120031573A (ko) 2010-09-27 2012-04-04 박효석 개방이 용이한 더블 폴딩도어
JP2012201353A (ja) * 2011-03-28 2012-10-22 Toyota Auto Body Co Ltd 折戸式車両用ド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7280B1 (ko) 201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2325B1 (ko)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EP1728691A3 (en)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US2551054A (en) Vehicle door
US8322554B2 (en) Open/close device for pit cover
KR101997280B1 (ko) 차량용 폴딩도어의 개폐보조장치
DE112007000020A5 (de) 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zum Insassenschutz bei einem kollisionsbedingten, auf eine Kraftfahrzeugtür gerichteten Energieeintrag
US20140202088A1 (en) Deployment shelter
ATE478778T1 (de) Schiebedachvorrichtung für kraftfahrzeuge
CN102635285B (zh) 一种汽车鸥翼门的开启装置
CN205533518U (zh) 一种双级气缸
ATE360548T1 (de) Steuervorrichtung zum kippen eines bewegbaren dach und entsprechendes fahrzeug
DE602005002808D1 (de) Rückstell- und halterungsvorrichtung einer Heckklappe eines Kraftfahrzeuges mit zwei Flügeln
WO2006021844A1 (en) A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chamber in motor vehicles
EP1741617A3 (fr) Véhicule à caisse renforcée
US20080093879A1 (en) Hard Top
FR2878477B1 (fr) Accoudoir escamotable pour vehicules automobiles
KR20220066596A (ko) 차량의 테일 게이트 개폐 장치
EP1681198A3 (de) Vorrichtung zur Ermöglichung des Zugangs zu einem abgeschlossenen Raum innerhalb eines Kraftfahrzeugs
CN107009109B (zh) 开合式hga自动抓取装配机构
KR200478672Y1 (ko) 차량용 시트
KR100387614B1 (ko) 도어 연동식 실내공기 추출장치
CN104044648A (zh) 用于车辆闭合面板的支撑机构
AU2003299350A1 (en) Device for tensioning retractable top of a motor vehicle
KR20170040053A (ko) 캠핑용 승용차 도어
KR20170041107A (ko) 캠핑용 승용차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