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1573A - 개방이 용이한 더블 폴딩도어 - Google Patents

개방이 용이한 더블 폴딩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1573A
KR20120031573A KR1020100093026A KR20100093026A KR20120031573A KR 20120031573 A KR20120031573 A KR 20120031573A KR 1020100093026 A KR1020100093026 A KR 1020100093026A KR 20100093026 A KR20100093026 A KR 20100093026A KR 20120031573 A KR20120031573 A KR 20120031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late
folding
door
frame
pneumatic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3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효석
Original Assignee
박효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효석 filed Critical 박효석
Priority to KR1020100093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1573A/ko
Publication of KR20120031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15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이 용이한 더블 폴딩도어에 관한 것으로, 절첩 개시동작시 소정 각도에 대해서 절첩력을 보조함으로써 사용자가 절첩을 위한 가압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 개방이 용이한 더블 폴딩도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4개의 도어 플레이트의 측면을 작은 외력으로 가압하게 되면 공압실린더가 보조 절첩력을 제공함으로써 쉽게 도어 플레이트가 절첩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어느 방향 및 어느 지점을 가압해야 도어 플레이트가 절첩되는 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 장점이 있으며, 원활하게 도어 플레이트가 절첩된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개방이 용이한 더블 폴딩도어{EASY OPENING DOUBLE FOLDING DOOR}
본 발명은 개방이 용이한 더블 폴딩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절첩 개시동작시 소정 각도에 대해서 절첩력을 보조함으로써 사용자가 절첩을 위한 가압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 개방이 용이한 더블 폴딩도어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폴딩도어는 공간을 구획하고자 할 때에, 도어를 완전히 개방할 공간이 없는 곳이나, 기타 주변환경과의 친화력을 도모하기 위한 곳에 설치되어 출입구를 완전히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폴딩도어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2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더블 폴딩도어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더블 폴딩도어의 슬라이딩 구조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더블 폴딩도어의 개폐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더블 폴딩도어(2)는 장방향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경첩(12)에 의해 연속적으로 접철되게 연결되는 도어 플레이트(10)가 상부 프레임(4) 및 하부 프레임(6), 측부 프레임(8)으로 이루어진 격자형상의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도어 플레이트(10)의 상.하단 각각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롤러(20)가 구성되고, 상기 롤러(20)부가 외력의 작용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형성된 상.하부 가이드 레일(16,14)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도어 플레이트(10)의 상.하단을 가이드 레일(16,14)로 지지하며 이동되도록 하여 개폐시 흔들림을 줄이고자 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즉, 상기 도어 플레이트(10)는 롤러축(18)의 상하단에 각각 고정되어져 있으며, 상기 상.하부 가이드 레일(16,14)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이동시 원활한 지지 및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어져 있다.
종래의 더블 폴딩도어(2)는 각각 선단에 위치한 도어 플레이트(10)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에 의해 상기 도어 플레이트(10)가 폴딩 및 언폴딩되는 바, 상기 도어 플레이트(10)가 도 1과 같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는 “A”부분을 좌측으로 가압해야만 도어가 절첩되며, 그 이외의 도어 플레이트(10)를 가압하면 도어가 절첩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어느 부분을 가압해야 도어 플레이트(10)가 절첩되는 지를 사용자가 알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종래의 더블 폴딩도어(2)를 구성하는 상기 상.하부 가이드 레일(16,14)에 이물질이 낀 상태이거나, 상기 경첩(12)에 녹이 발생된 경우, 또한 상기 도어 플레이트(10)가 약간 비틀린 상태라면 더욱 도어 플레이트(10)를 절첩하기 위한 가압 위치를 찾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절첩 개시동작시 소정 각도에 대해서 절첩력을 보조함으로써 사용자가 절첩을 위한 가압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 개방이 용이한 더블 폴딩도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장방향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경첩에 의해 연속적으로 접철되게 연결되는 도어 플레이트가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 측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격자형상의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상,하단 각각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롤러가 구성되고, 상기 롤러부가 외력의 작용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형성된 상,하부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더블 폴딩도어에 있어서, 각 도어 플레이트의 내부에 보조절첩부가 장착되어 도어 플레이트의 절첩 개시시 이웃하는 도어 플레이트를 밀어냄으로써 절첩 개시단계에서 절첩력을 배가시킴으로써 작은 힘으로 도어 플레이트의 가압위치를 쉽게 판단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이 용이한 더블 폴딩도어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 절첩부는 어느 한 도어 플레이트의 내부에 장착되며 임계값 이상의 저항 감소시 공압력이 발생되는 공압실린더와; 상기 공압실린더로부터 인출되게 장착되며, 임계값 이상의 저항 감소시 공압실린더로부터 공압력을 전달받아 이웃하는 도어 플레이트를 밀어내는 작동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이 용이한 더블 폴딩도어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작동봉은 이웃하는 도어 플레이트의 측면중 경첩의 배면에 위치된 측면을 밀어내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이 용이한 더블 폴딩도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이 용이한 더블 폴딩도어는 4개의 도어 플레이트의 측면을 작은 외력으로 가압하게 되면 공압실린더가 보조 절첩력을 제공함으로써 쉽게 도어 플레이트가 절첩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어느 방향 및 어느 지점을 가압해야 도어 플레이트가 절첩되는 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 장점이 있으며, 원활하게 도어 플레이트가 절첩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2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더블 폴딩도어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더블 폴딩도어의 슬라이딩 구조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더블 폴딩도어의 개폐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이 용이한 더블 폴딩도어의 개방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이 용이한 더블 폴딩도어의 개방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이 용이한 더블 폴딩도어의 개방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이 용이한 더블 폴딩도어의 개방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이 용이한 더블 폴딩도어는 절첩 개시동작시 소정 각도에 대해서 절첩력을 보조함으로써 사용자가 절첩을 위한 가압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 더블 폴딩도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이 용이한 더블 폴딩도어는 기본적인 외형이 종래의 더블 폴딩도어와 동일한 바, 장방향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경첩(12)에 의해 연속적으로 접철되게 연결되는 도어 플레이트(10)가 상부 프레임(4) 및 하부 프레임(6), 측부 프레임(8)으로 이루어진 격자형상의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도어 플레이트(10)의 상.하단 각각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롤러(20)가 구성되고, 상기 롤러(20)부가 외력의 작용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형성된 상.하부 가이드 레일(16,14)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도어 플레이트(10)의 상.하단을 가이드 레일(16,14)로 지지하며 이동되도록 하여 개폐시 흔들림이 감소되게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이 용이한 더블 폴딩도어는 각 도어 플레이트(10)의 내부에 보조절첩부(20)가 장착되어 도어 플레이트(10)의 절첩 개시시 이웃하는 도어 플레이트(10)를 밀어냄으로써 절첩 개시단계에서 절첩력을 배가시킴으로써 작은 힘으로 도어 플레이트(10)의 가압위치를 쉽게 판단할 수 있게 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이 용이한 더블 폴딩도어는 사용자가 도어 플레이트(10)를 절첩하기 위해 4개의 도어 플레이트(10)의 어느 한 양측단을 서택적으로 가압할 때, 적절한 가압위치(예컨대, A)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보조절첩부(20)가 절첩력을 보조적으로 더 부여함으로써 도어 플레이트(10)가 일정각도 쉽게 절첩되게 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도어 플레이트(10)의 절첩 방향을 쉽게 판단할 수 있게 한 폴딩도어이다.
여기서, 상기 보조 절첩부(20)는 어느 한 도어 플레이트(10)의 내부에 장착되며 임계값 이상의 저항 감소시 공압력이 발생되는 공압실린더(22)와; 상기 공압실린더(22)로부터 인출되게 장착되며, 임계값 이상의 저항 감소시 공압실린더(22)로부터 공압력을 전달받아 이웃하는 도어 플레이트(10)를 밀어내는 작동봉(24)으로 이루어진다.
공압실린더(22)에 부여되는 저항의 임계값은 감소단계와 상승 단계로 나누어지며, 상기 도어 플레이트(10)가 완전히 펼쳐져서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공압실린더(22)로부터 인출 및 인입되는 상기 작동봉(24)이 이웃하는 도어 플레이트(10)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공압실린더(22)의 내부로 유입되므로 저항이 상승된다.
반면에, 상기 도어 플레이트(10)가 절첩되는 개시 단계에는 상기 작동봉(24)을 가압하는 이웃 도어 플레이트(10)의 가압력 즉 저항이 점차 감소되게 되므로 임계값 이상에서 상기 공압실린더(22)는 공압력이 작동되어 상기 작동봉(24)을 외부로 밀어내게 된다. 따라서, 이웃 도어 플레이트(10)를 작동봉(24)이 가압하여 원활한 도어 플레이트(10)의 절첩을 도울뿐더러, 사용자는 도어 플레이트(10)의 절첩 방향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가압 위치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 플레이트(10)가 절첩될 때에는 상기 경첩(12)을 복수의 도어 플레이트(10)가 감싸는 방향으로 절첩되므로, 상기 작동봉(2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도어 플레이트(10)의 측면중 경첩(12)의 배면에 위치된 측면을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공압실린더(22)가 설치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이 용이한 더블 폴딩도어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4:상부 프레임, 6:하부 프레임,
8:측부 프레임, 10:도어 플레이트,
12:경첩, 20:보조절첩부,
22:공압실린더, 24:작동봉.

Claims (3)

  1. 장방향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경첩에 의해 연속적으로 접철되게 연결되는 도어 플레이트가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 측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격자형상의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상,하단 각각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롤러가 구성되고, 상기 롤러부가 외력의 작용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형성된 상,하부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더블 폴딩도어에 있어서,
    각 도어 플레이트의 내부에 보조절첩부가 장착되어 도어 플레이트의 절첩 개시시 이웃하는 도어 플레이트를 밀어냄으로써 절첩 개시단계에서 절첩력을 배가시킴으로써 작은 힘으로 도어 플레이트의 가압위치를 쉽게 판단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이 용이한 더블 폴딩도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절첩부는 어느 한 도어 플레이트의 내부에 장착되며 임계값 이상의 저항 감소시 공압력이 발생되는 공압실린더와;
    상기 공압실린더로부터 인출되게 장착되며, 임계값 이상의 저항 감소시 공압실린더로부터 공압력을 전달받아 이웃하는 도어 플레이트를 밀어내는 작동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이 용이한 더블 폴딩도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봉은 이웃하는 도어 플레이트의 측면중 경첩의 배면에 위치된 측면을 밀어내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이 용이한 더블 폴딩도어.
KR1020100093026A 2010-09-27 2010-09-27 개방이 용이한 더블 폴딩도어 KR201200315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026A KR20120031573A (ko) 2010-09-27 2010-09-27 개방이 용이한 더블 폴딩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026A KR20120031573A (ko) 2010-09-27 2010-09-27 개방이 용이한 더블 폴딩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1573A true KR20120031573A (ko) 2012-04-04

Family

ID=46134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026A KR20120031573A (ko) 2010-09-27 2010-09-27 개방이 용이한 더블 폴딩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157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306B1 (ko) * 2012-08-20 2013-01-24 (주)한찬기업 창문 자동개폐장치
KR20150058879A (ko) 2013-11-21 2015-05-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폴딩도어의 개폐보조장치
KR101871371B1 (ko) * 2018-01-10 2018-06-26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경사로를 갖는 건축용 계단장치
KR20190029295A (ko) * 2017-09-12 2019-03-20 문양식 화물 이송 장치
CN110173179A (zh) * 2019-04-04 2019-08-27 广东东泰五金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家具合页的可定位调节结构
CN115162908A (zh) * 2022-08-23 2022-10-11 上海凡柏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折叠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306B1 (ko) * 2012-08-20 2013-01-24 (주)한찬기업 창문 자동개폐장치
KR20150058879A (ko) 2013-11-21 2015-05-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폴딩도어의 개폐보조장치
KR20190029295A (ko) * 2017-09-12 2019-03-20 문양식 화물 이송 장치
KR101871371B1 (ko) * 2018-01-10 2018-06-26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경사로를 갖는 건축용 계단장치
CN110173179A (zh) * 2019-04-04 2019-08-27 广东东泰五金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家具合页的可定位调节结构
CN115162908A (zh) * 2022-08-23 2022-10-11 上海凡柏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折叠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31573A (ko) 개방이 용이한 더블 폴딩도어
ITBO20070369A1 (it) Cerniera per ante o sportelli
CN105019216B (zh) 一种烫衣机的折衣架组件
JP2013170074A (ja) 塵芥投入箱および塵芥収集車
CN107072394A (zh) 用于家具部件的拉入设备
CN110269415B (zh) 一种家具静音省力按压反弹开闭结构
WO2010072650A3 (en) Foldaway security shutter
CN105625871A (zh) 阳台窗
CN103037736A (zh) 拉出体移动辅助装置
DE602006015404D1 (de) Schiebetüranordnung und korrespondierender Lastkraftwagen
CN204875294U (zh) 一种烫衣机的折衣架组件
JP2002114044A (ja) 開閉可能な車両ルーフのウインドデフレクタのための機構
US20150184451A1 (en) Control assembly for cordless curtain asembly
ITMI20040170U1 (it) Dispositivo di azionamento per porte scorrevoli del tipo a pacchetto
EP2710923B1 (de) Möbel und Vorrichtung zur Bewegungskontrolle eines Möbelteils
CN104358498B (zh) 一种折叠式仓库大门
CN212583598U (zh) 一种电动翻折梯
CN203570124U (zh) 一种门扇联动机构
CN207443009U (zh) 一种手持式高清摄像机
CN203321239U (zh) 综合加工机用活动门的改良结构
CN207553749U (zh) 一种门窗双向锁盒结构
CN206367759U (zh) 一种后装压缩式垃圾车填装器密封后盖开闭装置
EP2886980A1 (en) Side-by-side refrigerator
CN203903746U (zh) 施工升降机小电梯手动推拉门
CN109267870A (zh) 一种埋入式铰链的无间隙装配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