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8873A - 슬래그 안정화 방법 - Google Patents

슬래그 안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8873A
KR20150058873A KR1020130142168A KR20130142168A KR20150058873A KR 20150058873 A KR20150058873 A KR 20150058873A KR 1020130142168 A KR1020130142168 A KR 1020130142168A KR 20130142168 A KR20130142168 A KR 20130142168A KR 20150058873 A KR20150058873 A KR 20150058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g
bao
talline
ferromanganese
steelm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7713B1 (ko
Inventor
금창훈
박현서
한웅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142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713B1/ko
Publication of KR20150058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C21C7/064Dephosphorising; Desulfuri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래그 안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BaO를 포함하는 슬래그를 마련하는 과정 및 상기 슬래그를 제강공정에 투입하여 상기 슬래그 중 BaO와 상기 제강공정에서 발생하는 제강 슬래그에 포함된 SiO2를 반응시켜 BaO·SiO2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를 전로, 전기로 및 탈린로 등에 직접 투입하여 각각의 로에서 발생하는 슬래그와 반응을 통해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에 함유된 BaO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슬래그 안정화 방법{Stabilizing method of slag}
본 발명은 슬래그 안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페로 망간의 탈린 슬래그에 함유된 산화바륨(BaO)을 안정화시키는 슬래그 안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강용 합금철로 사용되는 페로 망간은 탄소함량에 따라서 고탄([C]<7.5%이하, KS규격 KSD3712 기준), 중탄([C]<2.0%이하, KS규격 KSD3712 기준) 및 저탄([C]<1.0%이하, KS규격 KSD3712 기준)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페로 망간을 제조하는 일반적인 공정은 망간 광석과 환원제인 코크스 및 슬래그 형성제(Flux)를 전기로에 장입하고, 코크스의 탄소를 이용하여 산화물 형태인 망간 광석을 환원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이와 같이 코크스를 이용하여 전기로에서 제조된 페로 망간은 환원제인 코크스로 인해서 제품 중에 탄소가 포화되어 있는 고탄 페로 망간의 형태로 얻어진다.
이러한 고탄 페로 망간으로부터 탄소를 제거하여 중탄 또는 저탄 페로 망간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SiMn을 이용하여 Mn광석을 전기로에서 용융환원시킴에 따라 저탄 페로 망간을 제조하는 방법이나, 용융 고탄 페로 망간에 산소를 취입하여 탈탄을 함에 따라 저탄 페로 망간을 제조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페로 망간의 인(P)함량은 현재 KS 및 JIS규격에서 규정한 바와 같이 0.4%이하로 대부분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제철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페로 망간에서도 인(P)함량이 0.1 ~ 0.2%로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탄소와 더불어 인은 제강 공정에서 그 함량에 따라 강의 특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탄소의 경우에는 생산되는 강종의 탄소 함량에 따라서 고탄 페로 망간 또는 중/저탄 페로 망간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인(P)의 경우에서는 고탄, 중탄, 저탄 페로 망간 공히 동등 수준의 인 함유량을 가지고 있어서, 합금철의 종류를 변경하여도 페로 망간 중의 인(P)의 영향을 회피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인(P)은 강 중의 불순물로 존재하며 고온 취성 유발 등과 같이 철강 제품의 품질을 해치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용강 중의 인(P)의 함량을 낮추려고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페로 망간 합금철을 사용하는 경우, 합금철에 의한 용강 중의 인(P) 농도의 증가를 고려해야 하며, 이로 인하여 페로 망간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한다.
따라서, 인(P)이 낮은 저린 페로 망간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저린 페로 망간을 제조하는 방법에는 인(P)의 함량이 낮은 고품위 망간 광석만을 선광하여 조업하는 방법, 고탄 페로 망간 제조 공정에서 발생되는 슬래그나 인(P)이 낮은 광석을 비탄소계 환원제(Si,Al,Ca 등)로 환원시키는 방법 등이 제시되었지만, 고품위 망간 광석의 가격 상승 및 대량 생산 부적합 등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전기로에서 생산되는 고탄 페로 망간에 직접 탈린 처리를 하여 저린 페로 망간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이 방법은 크게 환원탈린과 산화탈린으로 구분할 수 있다. 환원 탈린은 페로 망간 중의 인(P)을 인화물(Ca3P2, Mg3P2 등) 등의 형태로 제거하는 방법이고, 산화 탈린은 페로 망간 중의 인(P)을 인산화물(Ba3(PO4)2 등) 등의 형태로 제거하는 방법이다.
그 중, 산화 탈린의 경우, 탈린재로서 BaCO3, BaO, BaF2, BaCl2, CaO, CaF2, Na2CO3, Li2CO3 등이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에서 Ca계 탈린재는 탈린 효율이 낮으며 Na와 Li계 탈린재는 증기압이 높아 복린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탈린효율의 증대 및 망간의 손실을 최소화시키기 위해서 주로 BaCO3계(BaCO3 95%, NaF 5%) 탈린재가 페로 망간의 탈린에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BaCO3계 탈린재를 이용하여 페로 망간을 탈린 처리하게 되면, 탈린 처리 후 대략 200 내지 250kg/t 정도의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가 발생한다. 저린 용융 페로망간강 생산량을 50,000톤/년으로 가정하는 경우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 발생량은 10,000 내지 12,000톤/년 정도로 추산할 수 있다. 이러한 탈린 슬래그 중에는 Ba가 필연적으로 함유될 수밖에 없으며, 탈린 슬래그 중 BaO는 중량 백분률로 45 내지 65% 정도 포함되고, 이는 화합물 또는 BaO 단체로 존재하게 된다. 이때, BaO 단체로 존재하는 것을 free BaO라고 일컬으며 이는 수용성 물질로서 free BaO에 의해 용출되는 Ba 이온의 농도는 10,000 내지 20,000ppm 정도로 수질 환경 허용 기준인 10ppm을 현저하게 상회하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BaO가 함유된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를 파쇄한 후 물에 용해시켜 Ba를 용출시키고 이산화탄소(CO2)를 취입하여 Ba를 BaCO3 형태로 안정화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설비 투자에 많은 비용이 소모되고 관리 또한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페로 망간의 슬래그 중에 함유된 Ba을 용이하게 안정화시킬 수 있는 슬래그 처리 방법이 개발이 요구된다.
KR 1036317 B1 KR 0750373 B1 KR 0778551 B1
본 발명은 슬래그 중에 함유된 BaO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슬래그 안정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슬래그 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슬래그 안정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환경오염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는 슬래그 안정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슬래그 안정화 방법은, BaO를 포함하는 슬래그를 마련하는 과정 및 상기 슬래그를 제강공정에 투입하여 상기 슬래그 중 BaO와 상기 제강공정에서 발생하는 제강 슬래그에 포함된 SiO2를 반응시켜 BaO·SiO2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aO를 포함하는 슬래그는 페로망간 용탕을 Ba를 포함하는 탈린재를 이용하여 탈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강공정은 전로, 탈린로 및 전기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공정일 수 있다.
상기 BaO를 포함하는 슬래그는 괴상으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BaO를 포함하는 슬래그는 상기 BaO에 의한 Ba 이온의 용출 농도가 10ppm 이하로 제어되도록 투입될 수 있다.
상기 BaO를 포함하는 슬래그를 상기 전로를 이용하는 공정에 투입하는 경우, 상기 전로에서 발생하는 슬래그의 총 중량에 대해서 1 내지 4중량% 투입될 수 있다.
상기 BaO를 포함하는 슬래그를 상기 전기로를 이용하는 공정에 투입하는 경우, 상기 전기로에서 발생하는 슬래그의 총 중량에 대해서 1 내지 5중량% 투입될 수 있다.
상기 BaO를 포함하는 슬래그를 상기 탈린로를 이용하는 공정에 투입하는 경우, 상기 탈린로에서 발생하는 슬래그의 총 중량에 대해서 1 내지 7중량% 투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슬래그 안정화 방법은,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를 전로, 전기로 및 탈린로 등에 직접 투입하여 각각의 로에서 발생하는 슬래그와 반응을 통해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에 함유된 BaO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 중 BaO는 다양한 로에서 발생하는 슬래그 중의 SiO2와 결합하여 안정된 상인 바륨실리케이트(BaO·SiO2)를 생성한다. 이에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 중 BaO에 의해 Ba 이온이 용출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환경 오염 발생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는 제강공정에서 인과 황과 같은 불순물을 정련하는데 재활용될 수 있어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를 폐기하는데 소요되는 비용과 정련제 구매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래그 안정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2는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가 안정화되는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 중에 함유된 Ba 이온 용출 실험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4는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 중에 함유된 Ba 이온 용출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5는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에 함유된 BaO 농도에 따른 용융물 내 인 성분과 황 성분의 정련능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래그 안정화 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슬래그에 함유된 산화바륨(BaO)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여기서는 BaO, BaCO3 등의 Ba계 탈린재를 이용하여 페로망간강을 탈린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에 함유된 BaO를 안정화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그 안정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2는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가 안정화되는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슬래그 안정화 과정은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를 마련하는 과정(S100)과, 마련된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를 전로, 전기로 및 탈린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한 제강공정에 투입하여 재활용하는 과정(S200)을 포함한다.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는 페로망간 용탕에 Ba계 탈린재를 투입하여 탈린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부산물이다. 페로망간을 정련한 후 발생한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의 성분을 분석해보면 하기의 표1과 같이 60% 이상의 산화바륨(BaO)이 함유되어 있다.
성분 함량(중량%)
SiO2 0.43
Al2O3 1.49
MnO 32.62
CaO 0.64
MgO 0.33
T-Fe 0.73
TiO2 0.05
BaO 61.58
P2O5 1.13
Na2O 0.86
K2O -
전술한 바와 같이 산화바륨(BaO)은 수용성 물질로서 Ba 이온이 용출되어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서는 산화바륨(BaO)을 안정화시켜 Ba 이온의 용출을 억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산화바륨(BaO)은 SiO2와 결합하여 안정된 상인 바륨실리케이트(BaO·SiO2)를 생성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화바륨을 포함하는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를 제강공정에 투입하여 제강공정에서 발생하는 제강 슬래그 중에 함유되는 SiO2와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에 함유되는 산화바륨을 결합시켜 바륨실리케이트(BaO·SiO2)를 생성함으로써 산화바륨을 안정화시킨다.
제강공정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제강 슬래그가 발생하며, 일 예로 전기로 슬래그, 전로 슬래그 및 탈린로 슬래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하기의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을 갖는다.
성분 전로 슬래그 탈린로 슬래그 전기로 슬래그
SiO2 13.04 18.44 13.82
Al2O3 1.86 2.72 3.82
MnO 2.48 4.58 3.67
CaO 43.56 24.77 27.59
MgO 9.35 3.19 9.73
T-Fe 19.26 30.14 28.45
TiO2 0.42 0.84 0.609
BaO - - 0.053
P2O5 2.74 2.73 1.22
Na2O 0.09 0.69 0.06
K2O 0.02 0.08 0.02
상기 표 2를 살펴보면, 전로 슬래그와 전기로 슬래그의 경우에는 슬래그 전체 중량에 대해서 약 13% 정도의 SiO2가 포함되어 있고, 탈린로 슬래그의 경우에는 슬래그 전체 중량에 대해서 약 18% 정도의 SiO2가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에 함유된 BaO를 제강 슬래그에 함유된 SiO2를 상호 반응시키면 안정화된 상의 바륨실리케이트(BaO·SiO2)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를 전로, 전기로 및 탈린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제강공정에 투입하면,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에 함유된 BaO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때,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는 괴상으로 투입될 수 있다.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는 분체로 투입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가 비산되기 쉽기 때문에 공정 수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를 제강공정에 사용할 때 제강 슬래그, 예컨대 전로 슬래그의 염기도(CaO/SiO2)가 낮을수록 공정 효율이 높기 때문에 취련 초기에 투입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BaO가 함유된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를 제강공정에서 투입할 때에는 호퍼에 저장할 경우 또 다른 오염을 야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스크랩 슈트 등을 이용하여 직접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강공정에 투입되는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의 양은 제강 슬래그의 종류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제강공정에서 발생하는 제강 슬래그의 총 중량에 대해서 약 1 내지 7중량% 정도의 범위 내에서 투입될 수 있다. 이는 제강 슬래그의 종류에 따라 슬래그에 함유된 SiO2의 함량 차이에 기인하게 된다. 따라서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를 제시된 범위보다 적게 투입하는 경우에는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를 안정화시키는 공정의 효율이 저하되고, 제시된 범위보다 많이 투입하는 경우에는 제강 슬래그 중 SiO2의 함량이 제한적이어서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 중의 BaO가 미반응 상태로 잔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제강공정 시 투입되는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의 양을 산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도 3은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 중에 함유된 Ba 이온 용출 실험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4는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 중에 함유된 Ba 이온 용출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페로망간강을 제조한 후 발생한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와 전로 슬래그, 탈린로 슬래그 및 전기로 슬래그와 혼합하여 Ba 이온 용출 실험을 진행하였다.
Ba 이온 용출 실험은 다음과 같이 수행되었다.
도 3을 참조하면,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와 제강 슬래그를 준비하는 과정(S10, S12))과, 준비된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와 제강 슬래그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과정(S20)과, 혼합물을 용융시킨 후 냉각시키는 과정(S30)과, 냉각된 혼합물을 파쇄하는 과정(S40)과, 파쇄된 혼합물을 물 등의 용매에 용해시키는 과정(S50)과, 슬래그와 용출수를 분리하는 과정(S60) 및 용출수를 분석하는 과정(S70)을 포함한다.
페로망간강 제조 후 발생한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와, 전로, 전기로 및 탈린로에서 발생한 제강 슬래그를 각각 마련한다. 이때, 전로에서 발생한 전로 슬래그는 탈린 슬래그나 탈탄 슬래그일 수 있다.
각각의 슬래그가 준비되면, 페로망간 슬래그와 제강 슬래그 각각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다. 이때, 페로망간 슬래그는 각 제강 슬래그의 중량에 대해서 1%, 5% 및 10%씩 혼합한다.
각각의 혼합물을 1450℃에서 한 시간 동안 균일 용융시킨 후 다시 냉각시킨다.
다음, 0.5 내지 5.0㎜ 정도의 크기로 파쇄한 후 물에 용해시킨다. 그리고 KS의 표준 용출시험에 따라 6시간 동안 진탕(振湯)한 후 슬래그와 용출수를 분리한다.
이후, 분리된 각각의 용출수를 습식분석하여 Ba 이온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도 4는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의 첨가량에 따른 Ba 이온의 농도 측정 결과이다. 이를 통해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의 Ba 이온 용출 농도를 환경 규제치인 10ppm으로 제한하기 위해서 제강공정에 투입되는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의 양을 산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Ba 이온 용출 농도는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Ba 이온의 용출 농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강 슬래그의 종류에 따라 Ba 이온 용출 농도 변화에 차이가 있는 것도 알 수 있다. 이에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에 함유된 BaO를 안정화시키기 위해서는 제강공정에 따라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를 적정량 투입하여 Ba 이온의 용출 농도를 환경 규제치(10ppm) 이하로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강 슬래그의 종류에 따라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의 투입량에 차이가 있는 것은 제강 슬래그 중 함유된 SiO2의 함량이 다르기 때문이다. 즉, SiO2의 함량이 많은 제강 슬래그, 예컨대 탈린로 슬래그의 경우 다량의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로를 이용한 제강공정에서는 전로 조업으로 발생하는 전로 슬래그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4중량%, 전기로를 이용한 제강공정에서는 전기로 조업으로 발생하는 전기로 슬래그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중량%, 탈린로를 이용한 제강공정에서는 탈린로 조업으로 발생하는 탈린로 슬래그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7중량%의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를 투입하면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에 함유된 BaO가 바륨실리케이트로 안정화되어 Ba 이온의 용출 농도를 10ppm 이하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는 제강 공정에 재활용될 수 있어 그 처리 비용 및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 내 BaO가 안정화되어 제강공정 후 배재된 슬래그를 냉각 후 그대로 처리하더라도 환경오염의 발생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에 함유된 BaO는 강염기성의 물질로 용선, 용강 등의 용융물 중의 인(P) 성분, 황(S) 성분 등과 같은 불순물을 제거해주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에 30중량% 이상 함유되는 MnO의 경우에는 생석회의 재화를 촉진시켜주는 역할을 하여 용융물의 정련능 향상에 많은 도움을 준다.
도 5는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에 함유된 BaO 농도에 따른 용융물 내 인 성분과 황 성분의 정련능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의 용융물 내 인 성분과 황 성분의 정련능을 실험하기 위하여 하기의 표 3과 같은 조성을 갖는 플럭스를 제조하였다.
FeO(중량%) CaO(중량%) CaF2(중량%) BaO(중량%)
플럭스1 50 45 5 0
플럭스2 50 40 5 5
플럭스3 50 35 5 10
각각의 플럭스는 FeO, CaO, CaF2 및 BaO 분체를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펠렛타이저를 이용하여 타블렛(tablet)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산소 포텐셜을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FeO의 배합을 동일하게 하였으며, CaO의 일부를 BaO로 대체하여 BaO의 농도를 변화시켰다.
이렇게 제조된 각각의 플럭스를 1400℃에서 용해된 용선에 투입한 후 시간 별로 샘플을 채취하여 인과 황의 정련능을 분석하였다.
도 5를 살펴보면, BaO 농도에 따라 인의 정련능은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지만, 황의 정련능은 플럭스 중 BaO의 함유 여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BaO가 5중량%, 10중량% 투입된 플럭스2 및 플럭스3의 경우 BaO가 포함되지 않은 플럭스1에 비해 황을 정련하는데 탁월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8)

  1. BaO를 포함하는 슬래그를 마련하는 과정 및
    상기 슬래그를 제강공정에 투입하여 상기 슬래그 중 BaO와 상기 제강공정에서 발생하는 제강 슬래그에 포함된 SiO2를 반응시켜 BaO·SiO2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슬래그 안정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aO를 포함하는 슬래그는 페로망간 용탕을 Ba를 포함하는 탈린재를 이용하여 탈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를 포함하는 슬래그 안정화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강공정은 전로, 탈린로 및 전기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공정인 슬래그 안정화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BaO를 포함하는 슬래그는 괴상으로 투입되는 슬래그 안정화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BaO를 포함하는 슬래그는 상기 BaO에 의한 Ba 이온의 용출 농도가 10ppm 이하로 제어되도록 투입되는 슬래그 안정화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BaO를 포함하는 슬래그를 상기 전로를 이용하는 공정에 투입하는 경우, 상기 전로에서 발생하는 슬래그의 총 중량에 대해서 1 내지 4중량% 투입되는 슬래그 안정화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BaO를 포함하는 슬래그를 상기 전기로를 이용하는 공정에 투입하는 경우, 상기 전기로에서 발생하는 슬래그의 총 중량에 대해서 1 내지 5중량% 투입되는 슬래그 안정화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BaO를 포함하는 슬래그를 상기 탈린로를 이용하는 공정에 투입하는 경우, 상기 탈린로에서 발생하는 슬래그의 총 중량에 대해서 1 내지 7중량% 투입되는 슬래그 안정화 방법.
KR1020130142168A 2013-11-21 2013-11-21 슬래그 안정화 방법 KR101597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168A KR101597713B1 (ko) 2013-11-21 2013-11-21 슬래그 안정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168A KR101597713B1 (ko) 2013-11-21 2013-11-21 슬래그 안정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873A true KR20150058873A (ko) 2015-05-29
KR101597713B1 KR101597713B1 (ko) 2016-02-25

Family

ID=53392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168A KR101597713B1 (ko) 2013-11-21 2013-11-21 슬래그 안정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7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1657A (ko) 2021-12-16 2023-06-23 이민재 비금속 용기를 위한 인덕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7645A (ja) * 2005-02-10 2006-09-21 Natoo Kenkyusho:Kk 改質処理剤、熱履歴シリケートの改質処理方法ならびに熱履歴シリケートが改質処理された結着形状体
KR100750373B1 (ko) 2006-05-19 2007-08-17 서울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철강슬래그를 이용한 산화촉매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KR100778551B1 (ko) 2006-12-20 2007-11-28 주식회사 포스코 슬래그 표면처리 방법
KR20100127556A (ko) * 2009-05-26 2010-12-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제강 슬래그의 안정화 방법
KR101229900B1 (ko) * 2011-08-25 2013-02-05 주식회사 포스코 슬래그 안정화 방법
KR20130064263A (ko) * 2011-12-08 2013-06-18 주식회사 포스코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의 안정화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7645A (ja) * 2005-02-10 2006-09-21 Natoo Kenkyusho:Kk 改質処理剤、熱履歴シリケートの改質処理方法ならびに熱履歴シリケートが改質処理された結着形状体
KR100750373B1 (ko) 2006-05-19 2007-08-17 서울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철강슬래그를 이용한 산화촉매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KR100778551B1 (ko) 2006-12-20 2007-11-28 주식회사 포스코 슬래그 표면처리 방법
KR20100127556A (ko) * 2009-05-26 2010-12-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제강 슬래그의 안정화 방법
KR101229900B1 (ko) * 2011-08-25 2013-02-05 주식회사 포스코 슬래그 안정화 방법
KR20130064263A (ko) * 2011-12-08 2013-06-18 주식회사 포스코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의 안정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7713B1 (ko) 2016-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83352B1 (en) Method for reclaiming iron and phosphorus from steelmaking slag
EP2692874B1 (en) Environmentally friendly flux for desulfurization of molten steel
JP6969476B2 (ja) 高リン含有スラグおよびスラグ系肥料の製造方法ならびにリン酸肥料
KR101597713B1 (ko) 슬래그 안정화 방법
KR102234126B1 (ko) 용강의 제조 방법
JPH07278644A (ja) 高クロム高マンガン溶融合金鉄の脱りん方法
KR101381856B1 (ko) 페로망간의 탈린용 플럭스
KR20160072663A (ko) 플럭스 및 그 제조방법
KR102156718B1 (ko) 정련제 및 이를 이용한 용선 정련 방법
KR101300740B1 (ko) 페로망간 탈린 슬래그의 안정화 방법
KR101702247B1 (ko) 정련 방법 및 용강의 제조 방법
JP6788742B2 (ja) 脱リンフラックス及びその製造方法
Alan et al. Effects of Slag Optimization on Steel Cleanliness in Secondary Metallurgy Process
KR100999197B1 (ko) 강의 정련 방법
KR20130002493A (ko) 용강용 탈황제 및 이를 이용한 용강 탈황 방법
KR100436652B1 (ko) 전로 정련용 슬래그 진정효과 및 탈린능을 가진저융점매용제 조성물
JP2015140473A (ja) 燐酸質肥料原料、燐酸質肥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896838B2 (ja) 溶鋼製造法
SU1713937A1 (ru) Способ выплавки стали из фосфористого чугуна в конвертере
KR20150125080A (ko) 제강 슬래그 중의 철원 회수 방법
KR19980037663A (ko) 망간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망간 광석의 환원방법
KR20020000605A (ko) 탈린 용선 출탕시 가시분진 발생 방지방법
KR20160001925A (ko) 전로 정련 방법
JP2005163147A (ja) 電気炉スラグ中のフッ素溶出の抑制方法
KR20120070676A (ko) 고망간 강의 정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