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8305A - 브레이크 부스터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8305A
KR20150058305A KR1020157009335A KR20157009335A KR20150058305A KR 20150058305 A KR20150058305 A KR 20150058305A KR 1020157009335 A KR1020157009335 A KR 1020157009335A KR 20157009335 A KR20157009335 A KR 20157009335A KR 20150058305 A KR20150058305 A KR 20150058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booster
extraction duct
control housing
housing
influen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9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1634B1 (ko
Inventor
위르겐 팔러
랄프 야코비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filed Critical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Publication of KR20150058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67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casing or by its strengthen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7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trol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공압식 (pneumatic) 브레이크 부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공압식 브레이크 부스터는,
Figure pct00001
부스터 하우징으로서, 상기 부스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은, 공압식 차압으로 로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벽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작업 챔버와 적어도 하나의 진공 챔버로 분할되고, 상기 이동가능한 벽은 다이어프램 플레이트 및 롤링 다이어프램을 포함하고, 상기 롤링 다이어프램은 상기 부스터 하우징과 제어 하우징 사이에 밀봉식으로 배치되는, 상기 부스터 하우징;
Figure pct00002
제어 밸브로서, 상기 차압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진공 챔버 또는 대기로의 상기 작업 챔버의 연결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 밸브; 및
Figure pct00003
상기 작업 챔버로의 상기 진공 챔버의 연결을 위해 상기 제어 하우징에 통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출 덕트로서, 상기 제어 밸브에 의해 차단될 수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출 덕트를 구비한다. 브레이크 부스터의 작동 동안에, 특히 제어 하우징의 복귀 동안에 소음 거동을 개선하기 위해, 진공 챔버 (5) 와 작업 챔버 (4) 사이의 추출 덕트에서의 유체 역학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제안된다.

Description

브레이크 부스터{BRAKE BOOSTER}
본 발명은 청구항 1 의 전제부에 따른 특징을 갖는 자동차용 공압식 (pneumatic) 브레이크 부스터, 및 그 공압식 브레이크 부스터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논의되는 타입의 브레이크 부스터는 충분히 잘 알려져 있다. 이 경우, 작업 챔버 (working chamber) 의 대기에의 연결이 제동 작동 동안에 제어 밸브에 의해 개방된다. 결과적으로, 작업 챔버와 진공 챔버 사이에 압력차가 축적되고, 제어 하우징이 가동 벽과 함께 진공 챔버의 방향으로 변위된다. 제동 작동이 종료되면, 작업 챔버와 진공 챔버 사이의 공기 연결이 제어 밸브에 의해 개방되고, 프로세스는 제어 밸브에 의한 추출 덕트의 차단 해제를 수반한다. 이 프로세스 동안에, 제어 하우징은 가동 벽과 함께 작업 챔버의 방향으로 뒤로 이동한다.
현대 자동차의 잘 절연된 내부에서 구동 모터 소음 및 다른 2차 소음이 덜하고 덜 인지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와 순환 연통하는 많은 공압식 브레이크 부스터에 의해 생성되는 소음이 점점 주된 관심을 받고 있고 일반적으로 단점으로 간주되고 있다. 제어 하우징의 복귀 동안에 발생하는 소음은 특히 문제되는 것으로 종종 느껴지고, 이러한 상태의 문제는 다른 차량 적용에서 다소 두드러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이한 차량 적용에서의 특정 요구사항에 용이하게 그리고 경제적으로 조정될 수 있는, 향상된 노이즈 거동을 갖는 공압식 브레이크 부스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진공 챔버와 작업 챔버 사이의 추출 덕트에서의 유체 역학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는 독립 청구항 1 의 특징으로 달성된다. 종속 청구항들은 다른 가능한 유리한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작업 챔버와 제어 밸브 사이의 공기 유동은, 공기 유동에 의해 야기되는 소음 배출이 유리하게 영향을 받아서 선택적으로 감소될 수 있도록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로써, 특히, 기본 버전에 비해 감소된 상이한 소음 배출 거동을 각각 가지는, 브레이크 부스터의 여러 버전 또는 기본 버전의 변형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전개에서, 유체 역학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수단은 추출 덕트에서의 유동 저항을 선택적으로 증가시키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추출 덕트에서의 공기 덩어리 (air masses) 의 유체 동력 (dynamics) 을 선택적으로 감소시키는 것과 소음 배출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히 간단한 문제로 만든다.
다른 유리한 전개에서, 이는 유체 역학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수단이 추출 덕트의 유압 단면적 (hydraulic cross section) 을 감소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는 경우에 특히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체 역학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수단이 추출 덕트에의 삽입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서트 요소로서 구성되어서,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예컨대 브레이크 부스터의 기존의 기본 버전의 후속하는 가역 수정을 통해, 상기한 기술적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또한 특히 효과적인 방식으로 소음 배출이 개별적으로 조정된 다수의 브레이크 부스터를 획득할 수 있다.
유리한 전개에 있어서, 인서트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공기-투과성 (air-permeable) 개구를 갖는다면, 유동 저항의 특히 세밀하고 정확한 선택적 영향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형태는 인서트 요소가 아치형 요소로서 설계되는 것을 상정하여서, 공기 덕트의 기하학적 형상을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고, 공기 덕트에 인서트 요소를 믿을 수 있게 안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서트 요소는 링 요소로서 설계될 수 있어서, 그 설치를 매우 단순화할 수 있다.
특히 유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서트 요소는 제어 하우징에서 적어도 하나의 규정된 원형 위치 (circular position) 에 고정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고, 고정은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및 그 리세스에 맞물리는 래칭 돌출부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로써, 브레이크 부스터의 작동 동안의 믿을 수 있는 안착이 보장되고, 조립 오류가 회피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체 역학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수단은 추출 덕트에서의 공기 투과율 (air permeablility) 을 감소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고, 예컨대, 발포 또는 소결 공기-투과성 재료로 제조되거나 또는 그러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공기 유동은 특히 균일하게 영향을 받을 수 있고, 유동 분리와 같은 원하지 않는 소음원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유리한 전개에 있이서, 하나 이상의 필터 인서트가 추출 덕트에의 삽입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사출 성형 프로세스에서 생산될 수 있는 제어 하우징과 함께,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추출 덕트의 관류 단면적 (through-flow cross section) 의 치수는 사출 금형에서 적절한 상호교체가능 인서트들을 사용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고, 이로써 추출 덕트의 관류 단면적은 요건에 따라 그리고 특정 희망 적용의 규정된 요구에 따라 제어 하우징의 기본 버전에 비해 감소될 수 있다. 이로써, 특히 작동상 믿을 수 있는 해법을 달성할 수 있고, 조립에서 높은 지출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이드 플레이트는 기본 버전에 비해 개구의 감소된 누적 관류 단면적을 가질 수 있어서, 원래 조립 프로세스를 손상시킴이 없이 비교적 저비용의 부품의 간단한 수정에 의해, 원하는 효과가 달성되고 추출 덕트에서의 유동 저항이 증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한 방법에 있어서, 브레이크 부스터의 기본 버전으로부터의 소음 배출은 특정 차량 어플리케이션의 제 1 단계에서 결정되고, 브레이크 부스터의 다른 버전을 형성하기 위해 기본 버전에서 다른 단계에서 추출 덕트에서의 유체 역학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수단이 사용되고, 브레이크 부스터의 다른 버전은 기본 버전에 비해 제어 하우징의 감소된 복귀 속도를 갖는다면, 공압식 브레이크 부스터로부터의 소음 배출이 특히 간단하게 감소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필요에 따라 브레이크 부스터의 다수의 설계 변형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의 유리한 전개에 있어서, 브레이크 부스터의 다른 버전이 기본 버전에 비해 개구의 관류 단면적의 감소된 누적 면적을 갖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상기한 이점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 상세, 특징, 이점 및 가능한 사용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과 함께 종속 청구항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공압식 브레이크 부스터의 기본적인 구성 및 작동은 충분히 잘 알려져 있으므로, 이하에서 설명하는 것은 특히 본 발명에 관련된 요소와 시퀀스에 대한 것뿐이다. 대응하는 구성요소 및 설계 요소에는 가능한 동일한 도면부호가 제공된다.
도 1 은 복귀 위치에 있는 제어 하우징의 영역 내의 공지된 브레이크 부스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 는 아치형 인서트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 1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도 3 은 환형 인서트 (3a) 및 다른 아치형 인서트 (3b) 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 2 및 제 3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도 4 는 필터 인서트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 4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 6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도 6 은 홀더의 영역에서 추출 덕트의 단면의 변화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 7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도 7 은 홀더 길이의 변화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 8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도 8 은 홀더의 영역의 그루브에 필터 링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 9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도 9 는 밸브 플런저에 변화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 10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도 10 은 잠금 키의 두께의 변화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 11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도 11 은 제어 밸브의 밀봉 에지와 잠금 키의 접촉 사이의 간격의 변화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 12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도 12 는 제어 하우징의 키 폭 컷아웃의 변화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 13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도 13 은 가이드 플레이트의 변화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도 1
도 1 은 공지된 공압식 브레이크 부스터 (1) 의 부분 단면도이다.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스터 하우징 (2) 의 내부 공간은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벽 (3) 에 의해 작업 챔버 (4) 와 진공 챔버 (5) 로 분할된다. 이동가능한 벽 (3) 은 다이어프램 플레이트 (6) 및 롤링 다이어프램 (7) 을 포함한다. 부스터 하우징 (2) 내에서, 피스톤 로드 (20) 와 리턴 스프링 (21) 사이에 제어 하우징 (8) 이 작동 방향 (R) 으로 축선방향 이동가능하도록 클램핑되고, 리턴 스프링 (21) 은 가이드 플레이트 (19) 를 통해 제어 하우징 (8) 에 지지된다. 이 경우, 롤링 다이어프램 (7) 은, 그의 반경방향 내측 에지에서, 에워싸는 밀봉 립 (18) 에 의해 제어 하우징 (8) 에 밀봉식으로 놓이고, 그의 다른 반경방향 외측 에지 (도시 안 됨) 에서 부스터 하우징 (2) 에 밀봉식으로 연결, 예컨대 클램핑된다.
작업 챔버 (4) 와 진공 챔버 (5) 사이의 제어가능한 공기 교환을 허용하기 위해, 제어 밸브 (9) 에 의해 차단될 수 있는 추출 덕트 (10) 가 제공된다. 추출 덕트 (10) 는 작업 챔버 (4) 와 제어 밸브 (9) 사이의 공압 연결을 형성하고, 반경방향으로 에워싸는 밀봉 그루브 (15) 및 환형 갭 (16) (이들은 하나 이상의 연결 덕트 (17) 에 의해 연결됨) 을 일반적으로 갖는다. 이 경우, 공지의 브레이크 부스터 (1) 의 가이드 플레이트 (19) 에 다수의 개구 (12) 가 제공되고, 상기 개구는 작업 챔버 (4) 와 제어 밸브 (9) 사이의 가능한 한 방해받지 않는 공기 교환을 허용하고, 따라서 리턴 스프링 (21) 의 지지를 위한 충분한 치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공기 덩어리가 통과할 수 있는 가능한 한 큰 단면적이 추구된다.
디스크 밸브 (24) 가 홀더 (26) 에 축선방향으로 스프링구비 (sprung) 방식으로 배치된다. 홀더 (26) 는 제어 하우징 (8) 내에 장착되는데, 작동 방향 (R) 에서의 축선방향 위치는 에워싸는 스톱부 (27), 대응하는 숄더부 (28) 및 중간 링 (29) 에 의해 실질적으로 결정된다. 그렇지만, 중간 링 (29) 이 없는 해법도 또한 가능하다.
제어 밸브 (9) 는, 요구되는 때에 밸브 플런저 (22) 에 의해 디스크 밸브 (24) 를 뒤쪽으로, 즉 작동 방향 (R) 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디스크 밸브 (24) 로부터 밀봉 에지 (23) 를 들어올림으로써 작업 챔버 (4) 와 진공 챔버 (5) 사이의 공기 연결이 수립될 수 있도록, 디스크 밸브 (24) 에 의해 밸브 플런저 (22) 및 밀봉 에지 (23) 와 상호작용한다. 이 경우, 추출 갭 (25) (이를 통해 작업 챔버 (4) 와 진공 챔버 (5) 사이에 공기 교환이 일어남) 이 밀봉 에지 (23) 와 디스크 밸브 (24) 사이에 형성된다. 이는 제동 작동의 완료 시에 일반적으로 일어나고, 작업 챔버 (4) 와 진공 챔버 (5) 에의 압력 동등화, 그리고 리턴 스프링에 의해 제어 하우징 (8) 에 가해지는 힘으로 인해, 벽 (3) 과 함께 제어 하우징 (8) 의 복귀 이동을 야기한다. 이러한 종류의 "복귀 위치" 가 도 1 에 도시되어 있다.
반면, 제동 작동 동안에, 작동 방향 (R) 으로 디스크 밸브 (24) 로부터 밸브 플런저 (22) 를 들어올려서 작업 챔버 (4) 와 하우징 내부 공간 (30) (피스톤 로드 (20) 를 둘러싸고 차량 내부에 일반적으로 연결됨) 사이의 공기 교환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작업 챔버 (4) 와 대기 사이에 공기 연결이 수립된다.
도 2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 1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도 2 의 a) 의 부분 단면도로부터, 연결 덕트 (17) 내로 돌출하여 연결 덕트를 차단하는 인서트 요소 (11) 가 제어 하우징 (8) 의 환형 그루브 (15) 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2 의 c) 와 d) 로부터, 도시된 실시형태의 인서트 요소 (11) 가 환형 그루브 (15) 에 정합되는 원형도 (circularity) 를 갖는 아치형 요소 (13) 로서 설계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아치형 요소 (13) 는 성형 연장부 (molded extension; 32) 를 갖고, 성형 연장부는 축선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그 둥근 정도에서 아치형 요소 (13) 보다 더 좁다. 도 2 의 d) 에서, 인서트 요소 (11) 는 개구 (12) 를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있고, 이 개구는 공기가 인서트 요소 (11) 를 통과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 내에서, 상이한 단면적으로 갖는 개구들을 생각할 수 있다.
도 2 의 b) 의 사시도에서, 제어 하우징 (8) 이 환형 그루브 (15) 내로 개방되어 있는 총 4 개의 연결 덕트 (17a-d) 를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경우, 연결 덕트 (17d) 는 개구 (12) 를 갖는 인서트 요소 (11) 에 의해 차단되어 있고, 성형 연장부 (32) 가 연결 덕트 (17d) 내로 돌출하고, 아치형 요소 (13) 가 리브 (31) 에 놓인다. 결과적으로, 연결 덕트 (17d) 는 부분적으로 차단되고, 추출 덕트 (10) 의 유압 단면적이 감소된다. 요구된다면, 추출 덕트 (10) 의 유압 단면적을 훨씬 더 감소시키기 위해, 다른 연결 덕트들 (17a, 17b, 17c) 를 차단하는데 복수의 인서트 (11) 가 사용될 수 있다.
유압 단면적은 비순환 단면을 갖는 유동 덕트에서의 유동 거동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유체 동역학에서의 통상적인 보조 변수이다. 유압 단면적은 유동 덕트의 젖은 원주 (wetted circumference) 로 나눈 유동 덕트의 관류 단면적의 4 배로서 산출된다. 질적으로, 유동 덕트를 통과하는 일정한 유체 덩어리, 예컨대 공기 덩어리의 경우, 유동 덕트의 유압 단면적의 감소가 유동 저항의 증가를 야기한다고 말할 수 있다.
유압 단면적의 감소로 인해, 공기 덩어리는 그외 일정한 경계 조건들 하에서 증가된 유동 저항 때문에 진공 챔버 (5) 와 작업 챔버 (4) 사이의 전달에 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제어 하우징 (8) 의 복귀 및 압력 동등화는 더 느리게 일어나고 동력 (dynamics) 이 감소된다. 더욱이, 진공 챔버 (5) 의 압력보다 더 높은, 작업 챔버 (4) 의 더 오래 지속되는 압력으로 인해 감쇠 작용의 증가가 존재한다. 종합적으로, 상기한 효과들은 제어 하우징 (8) 의 복귀 동안의 소음 배출의 큰 감소로 이어진다.
도 2 의 a) 로부터, 인서트 (11) 가 브레이크 부스터 (1) 의 조립 상태에서 제어 하우징 (8) 과 가이드 플레이트 (19) 사이에 배치되고, 그 결과, 위치상 고정 방식으로 확보되는 것을 또한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 내에서 상이한 개수의 연결 덕트 (17) 를 갖는 실시형태가 가능하다.
도 3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 (1) 의 2 개의 다른 실시형태들이 도 3 에 도시되어 있다. 도 2 에 따른 실시형태와 대조적으로, 도시된 본 실시형태들의 인서트 (11) 는 성형 연장부 (32) 를 갖기 않고, 따라서 연결 덕트 (17) 내로 돌출하지 않고, 환형 그루브 (15) 의 영역에서 연결 덕트를 단지 덮는다. 공기가 인서트를 통과할 수 있게 하는 개구 (12) 가 제공되어 있다.
이 경우, 인서트 요소 (11) 에서의 개구 (12) 의 개수, 형상, 단면적 및 위치는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매우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의도하는 목적은, 추출 덕트 (10) 에서의 인서트 (11) 없이 제어 하우징 (8) 의 초기의 또는 기본적인 버전에서 이용가능할 수 있는 유압 단면적의 선택적인 감소를 통해 원하는 정도로 추출 덕트 (10) 를 통한 공기 덩어리 유동을 제한하는 것이다.
도 3 의 b) 의 인서트 요소는, 다소 완전하게 환형 그루브를 덮고 또한 대체로 또는 오로지 개구 (12) 를 통해 공기 덩어리 교환을 허용하는 링 요소 (14) 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3 의 c) 의 인서트 요소는 아치형 요소 (13) 로서 구성되어 있고, 그 둥근 정도는 단 하나 초과의 연결 덕트 (17) 를 덮을 수 있도록 선택된다.
본 발명의 전개에서, 아치형 요소 (13) 또는 디스크 (14) 의 정확한 원형 위치결정을 위한 래칭이, 특히 도 3 의 d) 의 상세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아치형 요소는 래칭 돌출부 (33) 를 갖고, 이 래칭 돌출부는 리세스 (34) 에 맞물려서, 원하는 특정 원형 위치에서 비틀림 (twisting) 에 대해 저지되는 (secured) 방식으로 제어 하우징에서 지지될 수 있다. 다양한 원형 위치를 나타낼 수 있어서 단일 아치형 요소 (14) 와 연결 덕트 (17) 의 상이한 중첩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리세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단일 인서트 요소 (11) 를 사용하여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제어 하우징 (8) 의 상이한 복귀 속도를 갖는 브레이크 부스터 (1) 의 복수의 변형예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치형 요소 (13) 또는 링 요소 (14) 의 단지 특정 공간 위치를 믿을 수 있게 허용하여서 그의 설치를 단순화하고 부정확한 설치, 예컨대 거울-역전 (mirror-reversed) 설치를 회피하기 위해, 복수의 래칭 돌출부 및/또는 상이한 형상의 래칭 돌출부와 대응 리세스의 코딩 (coding) 에 유사한 조합을 또한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래칭 요소들은 상이하게, 예컨대 인서트 요소 (11) 상의 축선방향 위쪽으로 돌출하는 스톱 요소로서 설계될 수 있고, 이는 리브 (31) 와 상호작용하는 동시에, 이를 구비하는 인서트 요소 (11) 의 거울-역전 설치를 방지한다.
도 4
도 4 는 인서트 요소 (11) 가 필터 링 (35) 으로서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필터 링은 발포 또는 소결 재료, 예컨대 스폰지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환형 그루브 (15) 의 영역에서 전체 추출 덕트 (10) 를 덮는다.
감소된 공기 투과율을 통해, 그러한 재료는 그의 바로 그 성질에 의해 관류하는 매체에서 더 높은 유동 저항을 야기한다. 따라서, 적절한 재료 및 적절한 치수를 선택함으로써, 추출 덕트 (10) 에서의 유동 저항을 선택적으로 증가시키고 제어 하우징 (8) 의 복귀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그러한 필터 링 (35) 은 매우 낮은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고,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그리고 오류를 회피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5
도 5 는, 도 4 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작용 원리에 따라 작동하지만 상이한 형상 및 위치를 갖는 인서트 (11) 를 구비하는 2 개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도 5 의 a) 에서, 도 4 와 대조적으로, 인서트 요소 (11) 는 연결 덕트 (17) 에의 삽입을 위한 필터 인서트 (36) 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5 의 b) 의 인서트 요소 (11) 는 필터 튜브 (37) 로서 형성되고, 환형 갭 (16) 내에 배치된다.
도 6
도 6 은, 추출 덕트 (10) 의 단면을 좁혀서 유동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해 환형 갭 (16) 의 단면 폭 (B) 이 변경될 수 있는, 다른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이는 상이한 대응 교체가능 인서트를 사용함으로써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환형 갭 (16) 의 상이한 폭 (B) 이 달성될 수 있도록 제어 하우징 (8) 을 제조하기 위한 사출 금형을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로써, 추출 덕트 (10) 에서의 상이한 저항값으로 상대적으로 작은 배치 (batches) 의 제어 하우징 (8) 을 신속하게 그리고 저비용으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성요소의 수 및 조립 시퀀스는 동일하게 유지되므로, 조립에의 지출은 증가하지 않는다.
도 7
도 7 은, 홀더 (26) 의 외측 반경방향 환형 표면 (38) 의 상이한 길이 (L) 를 각각 갖는, 바람직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는 홀더들 (26) 의 선택을 이용가능하게 함으로써 추출 갭 (25) 의 폭 (A) 이 변경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길이 (L) 에 따라, 환형 표면 (38) 은 추출 갭 (25) 내로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정도로 돌출하여서, 추출 갭 (25) 에서의 유동 저항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제어 하우징 (8) 의 희망 복귀 속도를 갖는 브레이크 부스터 (1) 의 변형예를 획득하기 위해 적절한 길이 (L) 의 홀더 (26) 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
도 8 의 실시형태는 밀봉 에지 (23) 주위에 연장되는 밀봉 에지 그루브 (39) 내에 배치되는 다른 필터 링 (40) 을 갖고 있다.
도 9
도 9 에 따른 실시형태에서, 추출 갭 (25) 의 폭 (A) 은 상이한 길이 (V) 를 각각 갖는, 바람직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는 밸브 플런저들 (22) 의 선택을 이용가능하게 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밸브 플런저 (22) 는 제어 하우징 (8) 의 그루브 (42) 에 삽입된 잠금 키 (41) 에 충돌한다. 길이 (V) 에 따라, 제어 하우징 (8) 의 복귀 동안에 밸브 플런저 (22) 와 디스크 밸브 (24) 사이의 거리가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정도까지 개방되고, 따라서 추출 갭 (25) 의 상이한 관류 단면적 그리고 상이한 유동 저항으로 이어진다.
도 10
도 10 에 따른 실시형태에서, 상이한 두께 (K) 를 각각 갖는 잠금 키들 (41) 의 선택을 이용가능하게 함으로써, 추출 갭 (25) 의 폭 (A) 그리고 추출 덕트 (10) 에서의 유동 저항이 변겨왼다. 여기서, 그루브 (42) 의 그루브 폭 (N) 은 변화없이 유지된다.
도 11
도 11 에 따른 실시형태에서, 제어 하우징 (8) 을 위한 사출 금형에서의 적절한 상호교체가능 인서트들을 사용함으로써, 그루브 (42) 와 밀봉 에지 (23) 사이의 거리 (M) 가 변경된다. 여기서, 그루브 (42) 의 그루브 폭 (N), 밸브 플런저 (22) 및 잠금 키 (41) 의 두께 (K) 는 변화없이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1 의 a) 는 조립체에서의 제어 하우징 (8) 의 부분 단면을 보여주고, 도 11 의 b) 는 제어 하우징을 개별 부품으로서 보여준다.
도 12
도 12 에 따른 실시형태에서, 제어 하우징 (8) 을 위한 사출 금형에서의 적절한 상호교체가능 인서트들을 통해 희망 치수를 갖는 그루브 (42) 의 그루브 폭 (N) 을 시행하는 것은 간단한 문제이다. 도 11 에서처럼, 도 12 의 a) 에는 조립체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12 의 b) 에는 제어 하우징 (8) 을 포함하는 개별 부품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3
브레이크 부스터 (1) 의 가이드 플레이트 (19) 의 기본 버전에서, 공기 통과를 위한 가능한 한 큰 단면적을 갖는 가이드 플레이트 (19) 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러한 실시형태가 도 13 의 b) 에 도시되어 있다.
공기 통과를 위한 단면적은 모든 개구 (12) 의 통과 면적의 합으로써 형성된다.
그러면, 논의되는 타입의 공지된 브레이크 부스터에서 목적인 가능한 한 큰 단면적 대신에 감소된 단면적을 갖는 가이드 플레이트 (19) 를 사용함으로써 추출 덕트 (10) 에서의 유동 저항의 증가를 달성하는 것은 특히 간단한 문제이다. 희망 치수는 개구 (12) 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그리고/또는 개구의 윤곽을 수정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 13 의 c), c) 및 e) 는 본 발명에 따른 3 개의 상이한 가능한 실시형태를 보여주는데, 도시된 선택은 완전한 것이 아니며, 상이한 개수, 형상 또는 크기의 개구를 각각 갖는 실시형태들이 본 발명 내에서 가능하다.
1 브레이크 부스터
2 부스터 하우징
3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벽
4 작업 챔버
5 진공 챔버
6 다이어프램 플레이트
7 롤링 다이어프램
8 제어 하우징
9 제어 밸브
10 추출 덕트
11 인서트 요소
12 개구
13 아치형 요소
14 링 요소
15 환형 그루브
16 환형 갭
17 연결 덕트
18 밀봉 립
19 가이드 플레이트
20 피스톤 로드
21 리턴 스프링
22 밸브 플런저
23 밀봉 에지
24 디스크 밸브
25 추출 갭
26 홀더
27 스톱부
28 숄더부
29 중간 링
30 하우징 내부 공간
31 리브 (rib)
32 성형 연장부 (molded extension)
33 래칭 돌출부 (latching projection)
34 리세스
35 필터 링
36 필터 인서트
37 필터 튜브
38 환형 표면
39 밀봉 에지 그루브
40 필터 링
41 잠금 키
42 그루브
A 폭, 추출 갭
B 횡단 폭, 환형 갭
K 두께, 잠금 키
L 길이, 환형 표면
M 그루브와 밀봉 에지 사이의 거리
N 그루브 폭
R 작동 방향 (actuating direction)
V 잠금 키에서의 길이

Claims (15)

  1. 자동차용 공압식 (pneumatic) 브레이크 부스터 (1) 로서,
    부스터 하우징 (2) 으로서, 상기 부스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은, 공압식 차압으로 로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벽 (3) 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작업 챔버 (4) 와 적어도 하나의 진공 챔버 (5) 로 분할되고, 상기 이동가능한 벽 (3) 은 다이어프램 플레이트 (6) 및 롤링 다이어프램 (7) 을 포함하고, 상기 롤링 다이어프램은 상기 부스터 하우징 (2) 과 제어 하우징 (8) 사이에 밀봉식으로 배치되는, 상기 부스터 하우징 (2);
    제어 밸브 (9) 로서, 상기 차압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 하우징 (8) 내에 배치되고, 상기 진공 챔버 (5) 또는 대기로의 상기 작업 챔버 (4) 의 연결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 밸브 (9); 및
    상기 작업 챔버로의 상기 진공 챔버의 연결을 위해 상기 제어 하우징 (8) 에 통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출 덕트 (10) 로서, 상기 제어 밸브 (9) 에 의해 차단될 수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출 덕트 (10)
    를 구비하고,
    상기 진공 챔버 (5) 와 상기 작업 챔버 (4) 사이의 상기 추출 덕트 (10) 에서의 유체 역학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는, 공압식 브레이크 부스터 (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역학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추출 덕트 (10) 에서의 유동 저항을 선택적으로 증가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브레이크 부스터 (1).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역학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추출 덕트 (10) 의 유압 단면적 (hydraulic cross section) 을 감소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브레이크 부스터 (1).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역학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추출 덕트 (10) 에의 삽입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서트 요소 (11) 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브레이크 부스터 (1).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요소 (11) 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투과성 (air-permeable) 개구 (12)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브레이크 부스터 (1).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요소 (11) 는 아치형 요소 (13) 로서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브레이크 부스터 (1).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요소 (11) 는 링 요소 (14) 로서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브레이크 부스터 (1).
  8.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요소 (11) 는 상기 제어 하우징에서 적어도 하나의 규정된 원형 위치 (circular position) 에 고정될 수 있고, 고정은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34) 및 상기 리세스 (34) 에 맞물리는 래칭 돌출부 (33) 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브레이크 부스터 (1).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역학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추출 덕트 (10) 에서의 공기 투과율을 감소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브레이크 부스터 (1).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역학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수단은 발포 또는 소결 공기-투과성 재료로 제조되거나 또는 그러한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브레이크 부스터 (1).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역학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추출 덕트 (10) 에의 삽입을 위한 하나 이상의 필터 인서트로서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브레이크 부스터 (1).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하우징 (8) 은 사출 성형 프로세스에서 생산될 수 있고, 상기 추출 덕트 (10) 의 관류 단면적의 치수는 상기 제어 하우징 (8) 의 사출 금형에서 적절한 상호교체가능 인서트들을 사용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고, 상기 추출 덕트 (10) 의 상기 관류 단면적은 상기 제어 하우징 (8) 의 기본 버전에 비해 감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브레이크 부스터 (1).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1) 의 기본 버전이 하나 이상의 개구 (12) 를 갖는 가이드 플레이트 (19) 를 갖고, 상기 개구 (12) 의 누적 관류 단면적이 리턴 스프링 (21) 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치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상기 작업 챔버 (4) 와 상기 제어 밸브 (9) 사이의 가능한 한 방해받지 않는 공기 교환을 허용하고, 상기 기본 버전에 비해 상기 개구 (12) 의 감소된 누적 관류 단면적을 갖는 가이드 플레이트 (19) 를 구비하는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1) 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버전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브레이크 부스터 (1).
  14. 제 1 항의 구성을 갖는 공압식 브레이크 부스터 (1) 로부터의 소음 배출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 하우징 (8) 의 복귀 유동 동안에 소음이 배출되고,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1) 의 기본 버전으로부터의 소음 배출은 차량 어플리케이션의 제 1 단계에서 결정되고,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1) 의 다른 버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기본 버전에서 다른 단계에서 추출 덕트 (10) 에서의 유체 역학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수단이 사용되고,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1) 의 상기 다른 버전은 상기 기본 버전에 비해 상기 제어 하우징 (8) 의 감소된 복귀 속도를 갖는, 공압식 브레이크 부스터 (1) 로부터의 소음 배출을 감소시키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1) 의 상기 기본 버전은 개구 (12) 의 관류 단면적을 갖는 하나 이상의 개구 (12) 를 구비하는 가이드 플레이트 (19) 를 갖고,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1) 의 상기 다른 버전은 상기 기본 버전에 비해 상기 개구 (12) 의 관류 단면적의 감소된 누적 면적을 갖는 가이드 플레이트 (19)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브레이크 부스터 (1) 로부터의 소음 배출을 감소시키는 방법.
KR1020157009335A 2012-09-17 2013-09-17 브레이크 부스터 KR1021216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216585 2012-09-17
DE102012216585.1 2012-09-17
PCT/EP2013/069307 WO2014041201A1 (de) 2012-09-17 2013-09-17 Bremskraftverstär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305A true KR20150058305A (ko) 2015-05-28
KR102121634B1 KR102121634B1 (ko) 2020-06-10

Family

ID=49230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9335A KR102121634B1 (ko) 2012-09-17 2013-09-17 브레이크 부스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78695B2 (ko)
EP (1) EP2895364B1 (ko)
KR (1) KR102121634B1 (ko)
CN (1) CN104640754B (ko)
DE (1) DE102013218642A1 (ko)
WO (1) WO20140412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7557A (ko) * 2016-12-15 2019-07-03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조립 키트-최적화 하우징 쉘을 갖는 브레이크 부스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207538A1 (de) 2020-06-18 2021-12-23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emskraftverstärker mit einer definierten pneumatischen Verbind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13432A1 (de) * 2004-03-26 2006-01-05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emskraftverstärk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95896B1 (fr) * 1992-09-21 1994-12-02 Alliedsignal Europ Services Servomoteur pneumatique.
JP4492459B2 (ja) * 2005-06-22 2010-06-30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負圧式倍力装置
JP5198784B2 (ja) * 2007-03-29 2013-05-15 ボッシュ株式会社 コイルスプリングの防振機構およびこれを用いた倍力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13432A1 (de) * 2004-03-26 2006-01-05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emskraftverstärk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7557A (ko) * 2016-12-15 2019-07-03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조립 키트-최적화 하우징 쉘을 갖는 브레이크 부스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95364B1 (de) 2020-12-16
DE102013218642A1 (de) 2014-03-20
KR102121634B1 (ko) 2020-06-10
CN104640754A (zh) 2015-05-20
WO2014041201A1 (de) 2014-03-20
CN104640754B (zh) 2018-01-30
US20150239447A1 (en) 2015-08-27
US9878695B2 (en) 2018-01-30
EP2895364A1 (de) 201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00662B1 (en) Hydraulic shock absorber
JP3465407B2 (ja) 開閉電磁弁
KR20120112858A (ko) 밸런스 포핏식 전자 밸브
JP6531633B2 (ja) 電磁弁
KR102419445B1 (ko) 주파수 의존 댐핑 밸브 장치
KR20160072117A (ko) 특히 자동차의 자동 변속기용 스풀 밸브
KR20150058305A (ko) 브레이크 부스터
JP2004340325A (ja) 電磁弁
JPWO2019021797A1 (ja) 緩衝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CA2587159A1 (en) Device for dynamic control of a water flow
JP6605641B2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の空気バルブ
US20160377190A1 (en) Armature assembly and valve cartridge for a solenoid valve, and method for installing an armature assembly
KR100488263B1 (ko) 브레이크부스터
JP2006258183A (ja) ポペット式方向制御弁
US10612684B2 (en) Electromagnetic valve assembly
CN108679288B (zh) 电磁阀组件
US10351116B2 (en) Pneumatic brake booster
JP7070092B2 (ja) ピストンポンプ
CN101506019A (zh) 制动力放大器
KR20090052879A (ko) 서보브레이크
JP5617815B2 (ja) 負圧式倍力装置
CN112443697A (zh) 用于电磁阀的阀套筒
KR101979415B1 (ko) 체크밸브
CN1740600B (zh) 阀装置
CN216767920U (zh) 换向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