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7316A - 조그 셔틀 - Google Patents

조그 셔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7316A
KR20150057316A KR1020130140518A KR20130140518A KR20150057316A KR 20150057316 A KR20150057316 A KR 20150057316A KR 1020130140518 A KR1020130140518 A KR 1020130140518A KR 20130140518 A KR20130140518 A KR 20130140518A KR 20150057316 A KR20150057316 A KR 20150057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ain
assembly
slide
main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0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7023B1 (ko
Inventor
양두영
Original Assignee
양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두영 filed Critical 양두영
Priority to KR1020130140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023B1/ko
Publication of KR20150057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01H25/065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using separate operating parts, e.g. a push button surrounded by a rotating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4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02Legends replaceable; adaptable
    • H01H2219/018Electroluminescent panel
    • H01H2219/02Electroluminescent panel programm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08Static electricity consider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3Avoiding erroneous swi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32Anti-tamper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조그 셔틀이 개시된다. 유저의 조작에 따라 회전 운동과 상하 이동운동 및 수평방향으로 전방위로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고, 외부로 빛을 표출하는 윈도우 렌즈를 구비한 상부 조립체, 상기 상부 조립체와 결합되어 상기 상부 조립체가 회전 운동과 상하 이동운동 및 수평방향으로 전방위로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중앙 지지체, 상기 상부 조립체에 내장되어 상기 상부 조립체의 회전 운동과 상하 이동운동을 감지해서 상응하는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메인 조립체 및, 상기 메인 조립체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상부 조립체의 슬라이딩 운동을 감지하여 상승하는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감지신호들을 외부로 송신할 수 있는 서브 조립체를 포함하여, 내구성이 우수하고,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며, 신호의 발생 및 전달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조그 셔틀{JOG SHUTTLE}
본 발명은 조그 셔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구성이 우수하고, 작동 노이즈가 발생되지 않으며, 신호 전달이 정확하고, 응답 속도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조그 셔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그 셔틀은 유저(USER)의 회전 조작이나 슬라이드 조작 혹은 누름 조작 등과 같은 다양 조작을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생성시키는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MP, PDA, 휴대전화기, MP3, 멀티미디어 플레이 혹은 게임기 등과 결합하여 그 조정기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조그 셔틀과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2012년에 출원번호 10-2012-0033891호로서 "푸시버튼, 로터리 다이얼 및 슬라이드 레버를 겸비한 조그 셔틀"과, 출원번호 10-2012-0001840호로서 "푸시버튼, 로터리 휠 및 조이스틱을 겸비한 조그 셔틀 리모컨 장치"를 출원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조그 셔틀은 충격, 기계적 마모, 변형, 온도, 습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 내구성이 있고,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으며, 신호 전달이 정확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제조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생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지만, 이러한 효과 이외에도 구조를 보다 더 컴팩트하게 만들고,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조작감이 우수하고, 방수 기능도 뛰어난 조그 셔틀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요구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서, 충격, 기계적 마모, 변형, 온도, 습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 내구성이 우수하고, 작동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으며, 신호 전달이 정확하고, 응답속도도 빠르며, 제조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조작감도 우수할 뿐만 아니라 방수 기능도 뛰어난 조그 셔틀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그 셔틀은, 유저의 조작에 따라 회전 운동과 상하 이동운동 및 수평방향으로 전방위로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고, 외부로 빛을 표출하는 윈도우 렌즈를 구비한 상부 조립체, 상기 상부 조립체와 결합되어 상기 상부 조립체가 회전 운동과 상하 이동운동 및 수평방향으로 전방위로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중앙 지지체, 상기 상부 조립체에 내장되어 상기 상부 조립체의 회전 운동과 상하 이동운동을 감지해서 상응하는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메인 조립체 및, 상기 메인 조립체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상부 조립체의 슬라이딩 운동을 감지하여 상승하는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감지신호들을 외부로 송신할 수 있는 서브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조립체는, 상기 윈도우 렌즈를 끼워서 지지하는 원통 형상의 메인 커버, 상기 메인 커버에 삽입되어 메인 커버의 내주면에 나사로 결합되는 원통 형상의 어퍼 케이스, 상기 어퍼 케이스의 상부 가장자리에 안착되어 지지되면서 상기 윈도우 렌즈를 받혀서 지지하는 웨이트 링 및, 상기 어퍼 케이스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중앙 지지체에 일부가 삽입되어 회전 및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지지체는 상기 회전링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 유저에게 조작감을 부여하는 텍타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텍타일 스프링은 원판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반경방향 외측 부위에 비해 내측 부위가 상부로 융기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메인 조립체는, 상기 어퍼 케이스와 상기 윈도우 렌즈가 형성하는 수용 공간에 삽입된 LCD 로워 커버, 상기 LCD 로워 커버의 상부에 결합된 LCD 프로텍터, 상기 LCD 프로텍터에 결합되어 지지되면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LCD 패널, 상기 상부 조립체의 회전 운동과 상하 이동운동을 감지하는 센서들이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LCD 로워 커버에 장착되어 지지된 메인 PCB 및, 상기 LCD 로워 커버에 일단이 일체로 결함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중앙 지지체의 내부로 삽입되어 지지되고, 상기 회전링이 외주면에 끼워져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링에는 다수개의 볼이 원주 방향을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지지되고, 상기 메인 홀더에는 상기 회전링의 회전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볼이 각각 걸렸다가 빠져 나오는 다수개의 텍타일 기능홈이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 지지체는 상기 회전링 및 상기 메인 홀더의 일부가 수용되어 지지되는 로워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로워 커버에는 유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메인 홀더가 수평 방향으로 전방위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슬라이딩 가이드 기구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홀더에 가해진 유저에 의한 외력이 소멸될 때에 상기 메인 홀더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 스프링이 상기 중앙 지지체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로워 커버의 상단면과 상기 어퍼 케이스의 하단면 사이에는 송정 갭이 형성되도록 상기 어퍼 케이스가 상기 로워 커버에 대해 상부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소정 갭을 통한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로워 커버에는 방수 커버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방수 커버는 상부 방수 커버가 하부 방수 커버에 결합된 2중 방수 커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부 방수 커버는 테프론 재질로 제작되고, 링 형상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반경 방향 내측으로 함몰된 결합홈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 방수 커버는 실리콘 고무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부 테두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리턴 스프링은, 상기 메인 홀더가 관통해서 끼워지는 링 형상의 보스, 상기 보스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고서 상기 보스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며, 링 형상으로 형성된 외측 테두리 및, 상기 중아 보스로부터 상기 외측 테두리까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스프링 테두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스프링 테두리는 상기 중앙 보스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보스 연결점 및, 상기 외측 테두리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외측 테두리 연결점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보스 연결점과 상기 외측 테두리 연결점은 각각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기구는, 원판 형상을 하고서 상기 메인 홀더가 관통해서 조립되고, 상기 메인 홀더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관통홀을 구비한 슬라이드 스톱퍼 플레이트, 상기 슬라이드 스톱퍼 플레이트 아래에 배치되고, 원판 형상을 하고서 중앙에 상기 메인 홀더가 관통해서 끼워져 조립되는 조립홀이 형성되며, 두께 방향으로 돌출한 1쌍의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어퍼 레일, 상기 슬라이드 어퍼 레일의 1쌍의 가이드 돌기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1쌍의 제1가이드 홈이 상면에 형성되며, 중앙에는 상기 메인 홀더가 관통해서 조립되는 타원 형상의 조립홀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기 1쌍의 제1가이드 홈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1쌍의 제2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타원 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슬라이드 레일 가이드의 1쌍의 제2가이드 홈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1쌍의 가이드 돌기가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레일 가이드의 하면에 결합되고, 중앙에는 상기 메인 홀더가 관통해서 조립되는 조립홀이 형성된 원판 형상의 슬라이드 로워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어퍼 레일의 1쌍의 가이드 돌기와,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의 1쌍의 제1가이드 홈 및 제2가이드 홈, 상기 슬라이드 로워 레일의 1쌍의 가이드 돌기는, 각각 직선 형상으로 곧게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조립홀들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홀더에는, 원통 형상을 하고서 바닥면에는 자석이 설치된 홀 센서 가이드가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서브 조립체는 상기 자석의 움직임을 통해 상기 상부 조립체의 슬라이딩 운동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가 장착된 서브 PCB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PCB에는 외부에서 연결하는 커넥터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서브 PCB와 상기 메인 PC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커넥터 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핀은 상기 홀 센서 가이드와 상기 메인 홀더의 내부를 통해 상기 서브 PCB와 상기 메인 PCB를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서브 PCB에는 상기 커넥터 핀의 신축 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커넥터 핀 가이드가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핀 가이드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원판 형상의 가이드 바디, 상기 커넥터 핀의 신축 변형 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가이드 바디의 반경 방향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축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가이드 테두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테두리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서브 PCB에 체결된 체결 볼트가 삽입되는 체결홈이 원주 방향으로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저의 손을 통해 상부 조립체로 유입되는 정전기를 상기 중앙 지지체와 상기 메인 조립체를 통해 외부 장치로 빠져 나가도록 하는 정전기 쇼크 방지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전기 쇼크 방지장치는 상기 메인 조립체에 조립되는 그라운드 부재를포함하고, 상기 그라운드 부재는 링형상의 그라운드 바디와, 이 그라운드 바디로부터 상방향으로 소정 각도를 갖고서 연장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그라운드 윙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그 셔틀에 의하면, 구조가 컴팩트하면서도 내구성도 우수하여 충격, 온도, 습도 등의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기계적 마모나 변형 등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작동 신뢰성이 높게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유저의 조작 의도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유저의 조작 의도에 상응하는 감지신호를 발생시켜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고, 유저의 조작 의도에 상응하여 응답속도도 빠르게 작동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제조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조작감이 우수하여 상품성이 뛰어나고, 이물질의 침입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방수 기능도 우수한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그 셔틀의 수평 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그 셔틀의 수직 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링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인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부 방수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부 방수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텍타일 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턴 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스톱퍼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어퍼 레일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레일 가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레일 가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로워 레일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홀 센서 가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핀 가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라운드 부재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그 셔틀은, 상부에 윈도우 역할을 하는 렌즈(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렌즈(10)는 대체로 원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렌즈(10)를 감싸서 고정하기 위해 상기 윈도우 렌즈(10)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메인 커버(20)가 상기 윈도우 렌즈(1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커버(20)는 원통 형상을 하고서 서로 대향하는 상부면과 바닥면이 각각 개구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메인 커버(20)의 개구된 바닥면을 통해 어퍼 케이스(30)가 삽입되어 상기 메인 커버(2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커버(20)의 내주면에는 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어퍼 케이스(30)의 외주면도에도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나사들을 통해 메인 커버(20)와 어퍼 케이스(30)로 서로 분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케이스(30)도 상부면과 바닥면이 각각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케이스(30)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웨이트 링(Weight Ring; 40)이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고, 상기 렌즈(10)는 상기 웨이트 링(40)의 상부 가장자리에 얹혀진 상태에서 상기 메인 커버(10)의 상부면에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케이스(30)와 상기 렌즈(1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는 LCD 로워 커버(50)가 삽입되고, 상기 LCD 로워 커버(50)의 상부에는 LCD 프로텍터(LCD Protector; 60)가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LCD 프로텍터(60)에 LCD 패널(70)이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LCD 패널(70)은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의 기능을 하고, 상기 LCD 패널(70)에서 방사된 빛은 상기 렌즈(10)를 통해 외부로 표출됨으로써, 유저가 상기 렌즈(10)를 통해 표출된 정보를 통해 조그 셔틀의 작동 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LCD 로워 커버(50)에는 메인 PCB(80)가 고정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메인 PCB(80)에는 여러 기능을 하는 다양한 소자나 부품들 혹은 센서들이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메인 PCB(80)에는 유저의 누름 조작을 감지하는 센서와, 유저의 회전 조작을 감지하는 센서들이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어퍼 케이스(30)의 내주면에는 회전 플래그(ROTATE FLAG)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 PCB에는 적외선 센서가 장착되어, 유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어퍼 케이스(30)가 회전할 때에 상기 회전 플래그와 적외선 센서를 통해 어퍼 케이스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어퍼 케이스(30)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메인 홀더(90)가 상기 LCD 로워 커버(50)에 일체로 고정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홀더(90)는 서로 대향하는 양쪽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케이스(30)의 바닥면에는 회전링(100)이 일체로 고정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링(100)은 상기 메인 홀더(90)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메인 홀더(90)의 외주에 단순히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 회전링(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벽에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수용홀(102)이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외주벽을 관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링(100)의 다수개의 수용홀(102)에는 각각 볼(104)이 끼워져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렌즈(10)와, 메인 커버(20), 어퍼 케이스(30) 및 회전링(100)은상부 조립체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메인 홀더(9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벽에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텍타일(TACTILE) 기능홈(9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텍타일 기능홈(92)은 메인 홀더(9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폭이 좁고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직사각 슬릿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저가 상기 메인 커버(20)를 파지한 상태에서 메인 커버(20)를 회전시키면, 상기 메인 커버(20)에 일체로 결합된 어퍼 케이스(30) 및 상기 어퍼 케이스(30)에 고정되게 장착된 회전링(100)이 유저의 회전 조작에 따라 메인 커버(20)와 함께 회전하고, 이러한 회전링(100)의 회전 과정에 회전링(100)에 장착된 다수개의 볼(104)들이 각각 메인 홀더(9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메인 홀더(90)의 텍타일 기능홈(92)에 걸렸다가 빠져 나오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유저에게 회전 조작감을 주게 된다.
상기 LCD 로워 커버(50)와, 상기 LCD 프로텍터(60), 상기 LCD 패널(70), 상기 메인 PCB(80) 및 상기 메인 홀더(90)는 메인 조립체를 구성한다.
상기 메인 홀더(90)는 로워 커버(110)에 그 일부가 삽입되어 수평 방향으로 전방위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고, 상기 로워 커버(110)의 위에는 상기 어퍼 케이스(30)가 로워 커버(110)의 상단면에 대해 상부로 소정 갭(L)만큼 이격된 상태로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어퍼 케이스(30)의 하단면과 로워 커버(110)의 상단면 사이에는 상기 소정 갭(L)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소정 갭(L)은 유저가 상기 메인 커버(20)를 하방으로 누를 때에 어퍼 케이스(30)가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간격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로워 커버(110)의 내부에는 텍타일 스프링(120)이 내장되어, 상기 어퍼 케이스(30)에 결합된 상기 회전링(100)이 상기 텍타일 스프링(120)에 안착되어 탄력적으로 지지됨으로써, 상기 어퍼 케이스(30)와 메인 커버(20)를 포함하는 상부 조립체가 상기 로워 커버(110)에 대해 상기 텍타일 스프링(120)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로워 커버(110)의 외주면에는 패널 로커(PANEL LOCKER; 112)가 나사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패널 로커(112)는 조그 셔틀을 게임기 등에 장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어퍼 케이스(30)의 하단면과 로워 커버(110)의 상단면 사이의 소정 갭(L)을 통한 수분이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로워 커버(110)의 개구된 상부에는 방수 커버(1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방수 커버(13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방수 커버(132)와 하부 방수 커버(134)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2중 커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부 방수 커버(132)는 내열성이 우수한 예를 들면 테프론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방수 커버(132)는 대체로 링 형상을 하고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함몰된 결합홈(132a)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 방수 커버(134)는 가볍고, 고탄성 및 고내구성을 구비한 실리콘 고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방수 커버(134)의 상부에는 상부 테두리(134a)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 방수 커버(132)가 상기 하부 방수 커버(132)의 상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테두리(134a)가 상기 상부 방수 커버(132)의 결합홈(132a)에 삽입되어, 상부 방수 커버(132)와 하부 방수 커버(134)가 서로 결합된다.
상기 텍타일 스프링(1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위에 관통된 결합홀(122)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홀(122)을 통해 상기 메인 홀더(90)가 관통해서 끼워지게 된다.
상기 텍타일 스프링(120)은 그 반경방향으로 외측 부위에 비해 내측 부위가 상대적으로 상부로 융기한 원판 스프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텍타일 스프링(120)은 위에서 아래로 외력을 가해 눌려지면 탄성 변형하였다가 외력이 소멸되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스프링 역할을 하고, 탄성 변형되었다가 복원될 때에 그 탄발감을 유저에게 제공하게 된다.
상기 텍타일 스프링(120)은 로워 커버(110)에 내장된 돔 서포터(140)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돔 서포터(140)의 바로 아래에는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리턴 스프링(150)이 배치될 수 있다.
유저가 상기 메인 커버(20)를 파지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전방위로 슬라이드시키면 상기 메인 홀더(90)도 함께 슬라이딩 운동을 하게 되는데, 상기 리턴 스프링(150)은 상기 메인 홀더(90)의 외주에 끼워진 상태에서 메인 홀더(90)의 슬라이딩 운동에 따라 탄성 변형하고, 그 복원력을 상기 메인 홀더(90)에 작용시켜 메인 홀더(90)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리턴 스프링(150)은 링 형상을 가지는 중앙의 보스(152), 이 보스(152)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고서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된 링 형상의 외측 테두리(1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보스(152)로부터 상기 외측 테두리(154)까지 나선형상을 한 3개의 스프링 테두리(156a, 156b, 156c)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3개의 스프링 테두리(156a, 156b, 156c)가 상기 중앙 보스(152)에 연결되는 보스 연결점은 각각 상기 중앙 보스(152)에서 원주 방향으로 120도의 각도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3개의 스프링 테두리(156a, 156b, 156c)가 상기 외측 테두리(154)에 연결되는 외측 테두리 연결점은 각각 외측 테두리(154)에서 원주 방향으로 120도의 각도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앙 보스(152)에 형성된 관통홀에 상기 메인 홀더(90)가 관통해서 끼워져 장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 홀더(90)가 전방위로 슬라이딩 운동을 할 때에 상기 리턴 스프링(150)은 메인 홀더(90)의 이동 방향으로 가압되어 탄성 변형하였다가. 그 복원력을 메인 홀더(90)에 가해서 메인 홀더(9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리턴 스프링(150)은 그 아래에 배치된 슬라이드 스톱퍼 플레이트(160)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스톱퍼 플레이트(16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형상을 하고서 중앙에 관통홀(160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60a)에 메인 홀더(90)가 관통해서 끼워진다.
상기 관통홀(160a)의 직경은 메인 홀더(9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메인 홀더(90)가 슬라이드 스톱퍼 플레이트(16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160a)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메인 홀더(90)의 슬라이딩 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슬라이드 스톱퍼 플레이트(160)의 바로 아래에는 슬라이드 어퍼 레일(17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어퍼 레일(17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원판 형상을 하고서 중앙에 상기 메인 홀더(90)가 관통해서 끼워져 조립되는 조립홀(17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어퍼 레일(170)의 하면에는 두께 방향으로 돌출한 1쌍의 가이드 돌기(17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1쌍의 가이드 돌기(174)는 직선 형상으로 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1쌍의 가이드 돌기(174)는 상기 조립홀(172)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어퍼 레일(170)의 하면에는 슬라이드 레일 가이드(18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레일 가이드(180)는 도 11과 도 12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타원 형상의 판으로 형성될 수 있고, 중앙에는 상기 메인 홀더(90)가 관통해서 조립되는 타원 형상의 조립홀(18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레일 가이드(180)의 상면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어퍼 레일(170)의 가이드 돌기(174)가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1쌍의 제1가이드 홈(18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1쌍의 제1가이드 홈(184)은 상기 조립홀(182)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며, 직선 형상으로 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레일 가이드(180)의 하면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쌍의 제2가이드 홈(18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1쌍의 제2가이드 홈(186)은 상기 조립홀(182)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며, 직선 형상으로 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1쌍의 제2가이드 홈(186)은 1쌍의 제1가이드 홈(184)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레일 가이드(180)의 하면에는 슬라이드 로워 레일(19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로워 레일(19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원판 형상을 하고서 중앙에는 상기 메인 홀더(90)가 관통해서 조립되는 조립홀(19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로워 레일(190)의 상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 가이드(180)의 하면에 형성된 1쌍의 제2가이드 홈(186)에 슬라이드 안내 이동되게 결합되는 1쌍의 가이드 돌기(194)가 두께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1쌍의 가이드 돌기(194)는 직선 형상으로 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1쌍의 가이드 돌기(194)는 상기 조립홀(192)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저가 상기 메인 커버(20)를 파지한 상태에서 메인 커버(20)를 수평 방향으로 전방위로 슬라이드시키면, 상기 메인 홀더(90)도 유저의 조작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하게 되는 데, 이 때에 상기 슬라이드 로워 레일(190)의 위에서 상기 슬라이드 레일 가이드(180)와 슬라이드 어퍼 레일(17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이들의 상호 조합 운동으로 메인 홀더(90) 및 그 상부 조립체들이 수평 방향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메인 홀더(90)의 하부에는 홀 센서 가이드(200)의 일부가 삽입되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홀 센서 가이드(2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는 개구되고, 하부는 바닥면으로 막힌 대체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 센서 가이드(200)의 상부에는 상기 메인 홀더(90)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려서 안착되는 걸림돌기(202)가 원주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 센서 가이드(200)의 바닥면에는 원통 형상의 수용 용기(204)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 용기(204)에 도시되지 않은 자석이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자석은 상기 메인 홀더(90)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할 때에 메인 홀더(90)와 함께 슬라이딩 운동을 하는 홀 센서 가이드(200)의 슬라이딩 운동을 감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홀 센서 가이드(200)의 아래에는 서브 PCB(210)가 고정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로워 커버(110)와 그 내부에 내장된 부품들은 중앙 지지체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서브 PCB(210)에는 상기 홀 센서 가이드(200)에 장착된 자석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유저의 슬라이딩 조작을 인지하는 슬라이드 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PCB(210)는 커넥터 핀(220)을 매개로 상기 메인 PCB(70)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 PCB(7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내보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서브 PCB(2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게임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등을 연결하기 커넥터 단자(230)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저에 의한 조그 셔틀의 누름 조작과 회전 조작 및 슬라이드 조작의 감지 신호들이 상기 커넥터를 통해 외부로 송출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홀더(90)와 홀 센서 가이드(200)가 슬라이딩 운동을 할 때에 상기 커넥터 핀(220)도 수평 방향으로 신축 운동을 하게 되는 데, 상기 커넥터 핀(220)의 신축 운동시에 커넥터 핀(220)에 의해 서브 PCB(210)에 장착될 부품들이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서브 PCB(210) 위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넥터 핀 가이드(2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핀 가이드(240)는 중앙에 관통홀(242)이 형성된 원판 형상의 가이드 바디(244)와, 이 가이드 바디(244)의 반경 방향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축방향으로 돌출한 가이드 테두리(246)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테두리(246)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함몰된 체결홈(246a)이 원주 방향으로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홈(246a)에 체결 볼트 등이 삽입되어서 상기 커넥터 핀 가이드(240)를 상기 서브 PCB(210)에 고정되게 체결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테두리(246)는 상기 커넥터 핀(220)의 신축 변형 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서브 PCB(210)와 커넥터 핀 가이드(240) 및 커넥터 단자(230)는 서브 조립체를 구성한다.
도 1과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그 셔틀에는 회로의안전한 구동 및 보호를 위해 정전기 쇼크 방지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정전기 쇼크 방지장치는 대체로 링 형상의 그라운드 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라운드 부재(250)는 링형상의 그라운드 바디(252)와, 이 그라운드 바디(252)로부터 상방향으로 소정 각도를 갖고서 연장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그라운드 윙(25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4개의 그라운드 윙(254)이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예를 들면 90도의 각도를 두고 배치된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라운드 부재(250)는 슬라이드 스톱퍼 플레이트(160)의 외주에 끼워져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의 손을 통해 메인 커버(20)로 유입된 정전기는 웨이트 링(40)과, LCD 로워 커버(50), 메인 홀더(90) 및 슬라이딩 가이드 기구를 거쳐서 그라운드 부재(250)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인된 정전기는 패널 로커(112)와 그라운드 부재(250) 사이에 장착되는 게임기나 디스플레이어 등과 같은 외부 장치를 통해 빠져 나가게 되어, 조그 셔틀을 정전기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렌즈
20: 메인 커버
30: 어퍼 케이스
40: 웨이트 링
50: LCD 로워 커버
60: LCD 프로텍터
70: LCD 패널
80: 메인 PCB
90: 메인 홀더
100: 회전링
110: 로워 커버
120: 리턴 스프링
130: 방수 커버
140: 돔 서포터
150: 리턴 스프링
160: 슬라이드 스톱퍼 플레이트
170: 슬라이드 어퍼 레일
180: 슬라이드 레일 가이드
190: 슬라이드 로워 레일
200: 홀 센서 가이드
210: 서브 PCB
220: 커넥터 핀
230: 커넥터 단자
240: 커넥터 핀 가이드
250: 그라운드 부재

Claims (20)

  1. 유저의 조작에 따라 회전 운동과 상하 이동운동 및 수평방향으로 전방위로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고, 외부로 빛을 표출하는 윈도우 렌즈를 구비한 상부 조립체;
    상기 상부 조립체와 결합되어 상기 상부 조립체가 회전 운동과 상하 이동운동 및 수평방향으로 전방위로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중앙 지지체;
    상기 상부 조립체에 내장되어 상기 상부 조립체의 회전 운동과 상하 이동운동을 감지해서 상응하는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메인 조립체; 및
    상기 메인 조립체로부터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상부 조립체의 슬라이딩 운동을 감지하여 상승하는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감지신호들을 외부로 송신할 수 있는 서브 조립체;
    를 포함하는 조그 셔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조립체는,
    상기 윈도우 렌즈를 끼워서 지지하는 원통 형상의 메인 커버;
    상기 메인 커버에 삽입되어 메인 커버의 내주면에 나사로 결합되는 원통 형상의 어퍼 케이스;
    상기 어퍼 케이스의 상부 가장자리에 안착되어 지지되면서 상기 윈도우 렌즈를 받혀서 지지하는 웨이트 링; 및
    상기 어퍼 케이스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중앙 지지체에 일부가 삽입되어 회전 및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셔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지지체는 상기 회전링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 유저에게 조작감을 부여하는 텍타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셔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텍타일 스프링은 원판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반경방향 외측 부위에 비해 내측 부위가 상부로 융기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셔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조립체는,
    상기 어퍼 케이스와 상기 윈도우 렌즈가 형성하는 수용 공간에 삽입된 LCD 로워 커버;
    상기 LCD 로워 커버의 상부에 결합된 LCD 프로텍터;
    상기 LCD 프로텍터에 결합되어 지지되면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LCD 패널;
    상기 상부 조립체의 회전 운동과 상하 이동운동을 감지하는 센서들이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LCD 로워 커버에 장착되어 지지된 메인 PCB; 및
    상기 LCD 로워 커버에 일단이 일체로 결함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중앙 지지체의 내부로 삽입되어 지지되고, 상기 회전링이 외주면에 끼워져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 홀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셔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에는 다수개의 볼이 원주 방향을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지지되고;
    상기 메인 홀더에는 상기 회전링의 회전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볼이 각각 걸렸다가 빠져 나오는 다수개의 텍타일 기능홈이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셔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지지체는 상기 회전링 및 상기 메인 홀더의 일부가 수용되어 지지되는 로워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로워 커버에는 유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메인 홀더가 수평 방향으로 전방위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슬라이딩 가이드 기구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셔틀.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홀더에 가해진 유저에 의한 외력이 소멸될 때에 상기 메인 홀더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 스프링이 상기 중앙 지지체에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셔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 커버의 상단면과 상기 어퍼 케이스의 하단면 사이에는 소정 갭이 형성되도록 상기 어퍼 케이스가 상기 로워 커버에 대해 상부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소정 갭을 통한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로워 커버에는 방수 커버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셔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커버는 상부 방수 커버가 하부 방수 커버에 결합된 2중 방수 커버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셔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방수 커버는 테프론 재질로 제작되고, 링 형상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반경 방향 내측으로 함몰된 결합홈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 방수 커버는 실리콘 고무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부 테두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셔틀.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스프링은,
    상기 메인 홀더가 관통해서 끼워지는 링 형상의 보스;
    상기 보스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고서 상기 보스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며, 링 형상으로 형성된 외측 테두리; 및
    상기 중아 보스로부터 상기 외측 테두리까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스프링 테두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셔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스프링 테두리는
    상기 중앙 보스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보스 연결점; 및
    상기 외측 테두리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외측 테두리 연결점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보스 연결점과 상기 외측 테두리 연결점은 각각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셔틀.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기구는,
    원판 형상을 하고서 상기 메인 홀더가 관통해서 조립되고, 상기 메인 홀더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관통홀을 구비한 슬라이드 스톱퍼 플레이트;
    상기 슬라이드 스톱퍼 플레이트 아래에 배치되고, 원판 형상을 하고서 중앙에 상기 메인 홀더가 관통해서 끼워져 조립되는 조립홀이 형성되며, 두께 방향으로 돌출한 1쌍의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어퍼 레일;
    상기 슬라이드 어퍼 레일의 1쌍의 가이드 돌기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1쌍의 제1가이드 홈이 상면에 형성되며, 중앙에는 상기 메인 홀더가 관통해서 조립되는 타원 형상의 조립홀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기 1쌍의 제1가이드 홈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1쌍의 제2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타원 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슬라이드 레일 가이드의 1쌍의 제2가이드 홈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1쌍의 가이드 돌기가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레일 가이드의 하면에 결합되고, 중앙에는 상기 메인 홀더가 관통해서 조립되는 조립홀이 형성된 원판 형상의 슬라이드 로워 레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셔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어퍼 레일의 1쌍의 가이드 돌기와,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의 1쌍의 제1가이드 홈 및 제2가이드 홈, 상기 슬라이드 로워 레일의 1쌍의 가이드 돌기는, 각각 직선 형상으로 곧게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조립홀들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셔틀.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홀더에는, 원통 형상을 하고서 바닥면에는 자석이 설치된 홀 센서 가이드가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서브 조립체는 상기 자석의 움직임을 통해 상기 상부 조립체의 슬라이딩 운동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가 장착된 서브 PCB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PCB에는 외부에서 연결하는 커넥터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서브 PCB와 상기 메인 PC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커넥터 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셔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핀은 상기 홀 센서 가이드와 상기 메인 홀더의 내부를 통해 상기 서브 PCB와 상기 메인 PCB를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서브 PCB에는 상기 커넥터 핀의 신축 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커넥터 핀 가이드가 고정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셔틀.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핀 가이드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원판 형상의 가이드 바디; 및
    상기 커넥터 핀의 신축 변형 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가이드 바디의 반경 방향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축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가이드 테두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테두리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서브 PCB에 체결된 체결 볼트가 삽입되는 체결홈이 원주 방향으로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셔틀.
  19. 제1항에 있어서,
    유저의 손을 통해 상부 조립체로 유입되는 정전기를 상기 중앙 지지체와 상기 메인 조립체를 통해 외부 장치로 빠져 나가도록 하는 정전기 쇼크 방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셔틀.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쇼크 방지장치는 상기 메인 조립체에 조립되는 그라운드 부재를포함하고;
    상기 그라운드 부재는 링형상의 그라운드 바디와, 이 그라운드 바디로부터 상방향으로 소정 각도를 갖고서 연장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그라운드 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셔틀.
KR1020130140518A 2013-11-19 2013-11-19 조그 셔틀 KR101537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518A KR101537023B1 (ko) 2013-11-19 2013-11-19 조그 셔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518A KR101537023B1 (ko) 2013-11-19 2013-11-19 조그 셔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316A true KR20150057316A (ko) 2015-05-28
KR101537023B1 KR101537023B1 (ko) 2015-07-15

Family

ID=53392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0518A KR101537023B1 (ko) 2013-11-19 2013-11-19 조그 셔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70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3228A1 (ko) * 2015-02-16 2016-08-25 양두영 조그 셔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797B1 (ko) 2021-10-29 2022-03-18 주식회사 서연이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24666B2 (ja) * 2010-03-25 2014-06-18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非接触スイッチ
JP5259641B2 (ja) * 2010-03-31 2013-08-07 ナイルス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KR101346806B1 (ko) * 2012-04-02 2014-01-02 양두영 푸시버튼, 로터리 다이얼 및 슬라이드 레버를 겸비한 조그셔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3228A1 (ko) * 2015-02-16 2016-08-25 양두영 조그 셔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7023B1 (ko) 2015-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6743B1 (ko)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회전 입력 메커니즘
US20190250740A1 (en) Operation knob and display device in which same is used
EP2755221B1 (en) Switch
US8035043B2 (en) Multidirectional switch
US20080310087A1 (en) Media playing device
US8743056B2 (en) Waterproof computer mouse
US9494966B2 (e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US20220197327A1 (en) Pointing device
KR101537023B1 (ko) 조그 셔틀
AU2014316853B2 (en) Heat detector
CN110622271B (zh) 一种操作键结构及电子装置
CN110764568B (zh) 一种电子设备
KR890002616Y1 (ko) X-y방향 입력장치
JP5626197B2 (ja) ダイヤル式スイッチ
US9362069B1 (en) Multi-command trigger switch
KR101673915B1 (ko) 복원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조절노브
JP2005135635A (ja) 多方向スイッチ
KR101218212B1 (ko) 센서장치
CN219555129U (zh) 无线耳机充电盒
WO2016133228A1 (ko) 조그 셔틀
WO2019087607A1 (ja) 入力装置
JP2007073451A (ja) 回転入力装置
TW201628038A (zh) 多指令觸發開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