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6806B1 - 푸시버튼, 로터리 다이얼 및 슬라이드 레버를 겸비한 조그셔틀 - Google Patents

푸시버튼, 로터리 다이얼 및 슬라이드 레버를 겸비한 조그셔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6806B1
KR101346806B1 KR1020120033891A KR20120033891A KR101346806B1 KR 101346806 B1 KR101346806 B1 KR 101346806B1 KR 1020120033891 A KR1020120033891 A KR 1020120033891A KR 20120033891 A KR20120033891 A KR 20120033891A KR 101346806 B1 KR101346806 B1 KR 101346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button
shaft
cover
rotary dial
slid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3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7928A (ko
Inventor
양두영
Original Assignee
양두영
(주)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두영, (주)코텍 filed Critical 양두영
Priority to KR1020120033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6806B1/ko
Publication of KR20120037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7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01H25/065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using separate operating parts, e.g. a push button surrounded by a rotating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4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3Avoiding erroneous swi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32Anti-tamp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38Anti-vandalism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충격, 기계적 마모, 변형, 온도, 습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 내구성이 있고, 노이즈가 발생되지 않으며, 신호 전달이 정확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제조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생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음과 동시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푸시버튼, 로터리 다이얼 및 슬라이드 레버를 겸비한 조그셔틀을 제공하는 데 있다.

Description

푸시버튼, 로터리 다이얼 및 슬라이드 레버를 겸비한 조그셔틀{JOGSHUTTLE REMOTE CONTROLLER COMBINED PUSH BUTTON, ROTARY DIAL AND SLIDE LEVER}
본 발명은 푸시버튼, 로터리 다이얼 및 슬라이드 레버를 겸비한 조그셔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충격, 기계적 마모, 변형, 온도, 습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 내구성이 있고, 노이즈가 발생되지 않으며, 신호 전달이 정확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제조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생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푸시버튼, 로터리 다이얼 및 슬라이드 레버를 겸비한 조그셔틀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 푸시버튼 스위치로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의 공개번호 특2001-0020821호(공개일 2001년 03월 15일)에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의 공개번호 특2001-0020821호에 개시되어 있는 푸시버튼 스위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바닥면에 배치된 고정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상에 배치된 돔 형상의 가동 접점 및 상기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가동 접점의 내면측에는, 돔 형상의 정점부를 제외한 부분에, 상기의 고정접점과 접촉 및 분리가 가능한 돌기부가 점재하여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 접점은 탄력성 있는 금속접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동 접점의 돔 형상의 정점부는, 상기 스템의 하단에 형성된 가압부와 접촉하며, 상기 가압부를 통해 상기 스템자체가 상기 돔형 가동접점의 탄성압에 의해 상기 하우징 상방으로 탄성지지되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는, 상기 고정 접점의 중앙부를 제외한 중앙부 주변부에 대해 접촉가능한 위치에 점재하여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가, 각각 독립된 상태로 점재 배치되어 있어, 상기 가동접점의 반전시에 상기 복수의 돌기부의 내면에 위치하는 돔 형상 정점부를 가동영역으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의 공개번호 특2001-0020821호에 개시되어 있는 푸시버튼 스위치는 가동접점의 내면측에는, 돔 형상의 정점부를 제외한 부분에, 고정 접점과 접촉 및 분리가 가능한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고정 접점의 중앙부에 집적되기 쉬운 먼지를 피하는 공간에서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이 접촉되므로, 정점부가 고정 접점의 중심부에 직접 접촉되는 구조의 것과 비교할 때, 안정되어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충격, 기계적 마모, 변형, 온도, 습도에 영향을 받았을 경우,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로터리 다이얼의 기능 및 슬라이드 레버 기능을 작용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로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 로터리 휠로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의 공개번호 10-2011-027697호(공개일자 2011년 03월 16일)에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의 공개번호 10-2011-027697호에 개시되어 있는 로터리 휠은 플랜지부 및 슬리브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휠 허부, 및 적어도 하나의 조인트 외부, 조인트 내부 및 토오크-전달 요소를 갖춘 등속 로터리 조인트를 구비하며, 상기 휠 허브 및 등속 로터리 조인트는 서로 스퍼 치형을 통해 결합되고, 상기 스퍼 치형은 플렉시블 실에 의해 외측 상에 방사상으로 둘러싸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의 공개번호 10-2011-027697호에 개시되어 있는 로터리 휠은 플랜지부 및 슬리브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휠 허브, 및 적어도 하나의 조인트 외부, 조인트 내부 및 토오크(torque)-전달 요소를 갖춘 등속 로터리 조인트를 구비하고 있어서 구조는 간단하나, 충격, 기계적 마모, 변형, 온도, 습도에 영향을 받았을 경우,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푸시버튼 기능, 로타리 다이얼 기능 및 슬라이드 레버 기능이 없어서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방수도 않되어 수분이 많은 지역에서는 사용하는 데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충격, 기계적 마모, 변형, 온도, 습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 내구성이 있는 푸시버튼, 로터리 다이얼 및 슬라이드 레버를 겸비한 조그셔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이즈가 발생되지 않으며, 신호 전달이 정확하고, 응답속도가 빠른 푸시버튼, 로터리 다이얼 및 슬라이드 레버를 겸비한 조그셔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조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는 푸시버튼, 로터리 다이얼 및 슬라이드 레버를 겸비한 조그셔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한 푸시버튼, 로터리 다이얼 및 슬라이드 레버를 겸비한 조그셔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생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푸시버튼, 로터리 다이얼 및 슬라이드 레버를 겸비한 조그셔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푸시버튼, 로터리 다이얼 및 슬라이드 레버를 겸비한 조그셔틀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푸시버튼, 로터리 다이얼 및 슬라이드 레버를 겸비한 조그셔틀은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유니트와; 상부에서 하부로 누룸시에 상기 메인 제어유니트에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푸시버튼과; 상기 푸시버튼의 메인커버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에 회전축에 주어진 아날로그 회전각도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신호를 설정하거나 또는 절환신호를 상기 메인 제어유니트에 입력하는 로터리 다이얼과; 상기 푸시버튼의 메인커버를 전후·좌우 방향으로 밀어낼 경우에 상기 제1 제어유니트에 설치된 홀 이펙트 소자를 통해서 사용자의 명령신호를 입력하는 슬라이드 레버와; 상기 푸시버튼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 상기 로터리 다이얼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 및 슬라이드 레버의 조작에 따라 각각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을 받은 상기 메인 제어 유니트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서 화면을 표출하는 LCD와; 상기 푸시버튼를 누르거나 또는 상기 푸시버튼의 누룸을 해제할 경우에 상기 푸시버튼의 슬라이드 레일 커버 내측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 레일 커버가 외주면을 따라 상하동되도록 설치된 슬라이드 레일과; 상기 푸시버튼의 메인커버를 전후·좌우 방향으로 밀어낼 경우에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하부에 나합되어 좌우·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함과 동시에, 상기 푸시버튼의 메인커버의 동작 정지시에 원위치하도록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하부 외주면에 나합되는 리턴블록과; 상기 리턴블록의 상부에 설치 스테인레스 커버를 개재하여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방수 커버와: 상기 리턴블록 및 상기 방수 커버가 상부 내주면에 배설됨과 동시에, 상기 리턴블록을 좌우·전후로 이동가능하도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푸시버튼의 상부 케이스가 과도하게 하강됨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상부에 반원형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하부 케이스와; 설치되는 장치의 패널에 수밀하고 견고하게 설치하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와 나합되는 암나사부가 내측하부에 형성된 외측 너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푸시버튼, 로터리 다이얼 및 슬라이드 레버를 겸비한 조그셔틀에 의하면, 충격, 기계적 마모, 변형, 온도, 습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 내구성이 있고, 노이즈가 발생되지 않으며, 신호 전달이 정확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제조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생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음과 동시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푸시버튼, 로터리 다이얼 및 슬라이드 레버를 겸비한 조그셔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푸시버튼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로터리 다이얼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푸시버튼 내에 설치되는 시선 유도 발광다이오드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푸시버튼 내에 설치되는 로터리 다이얼, 광학 렌즈 및 LCD의 배치관계를 분해해서 도시한 분해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서 광학 렌즈의 적측구조를 설명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결합용 치공구를 사용하여 메인커버와 상부커버를 결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버튼, 로터리 다이얼 및 슬라이드 레버를 겸비한 조그셔틀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버튼, 로터리 다이얼 및 슬라이드 레버를 겸비한 조그셔틀은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유니트(1)와; 상부에서 하부로 누룸시에 상기 메인 제어유니트(1)에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푸시버튼(10)과; 상기 푸시버튼(10)의 메인커버(11)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에 회전축(20a ; shaft)에 주어진 아날로그 회전각도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신호를 설정하거나 또는 절환신호를 상기 메인 제어유니트(1)에 입력하는 로터리 다이얼(20)과; 상기 푸시버튼(10)의 메인커버(11)를 전후·좌우 방향으로 밀어낼 경우에 제1 제어유니트(90)에 설치된 홀 이펙트 소자(32a)를 통해서 사용자의 명령신호를 입력하는 슬라이드 레버(30)와; 상기 푸시버튼(10)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 상기 로터리 다이얼(20)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 및 슬라이드 레버(30)의 조작에 따라 각각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을 받은 상기 메인 제어유니트(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서 화면을 표출하는 LCD(40 ; Liquid Crystal Display)와; 상기 푸시버튼(10)를 누르거나 또는 상기 푸시버튼(10)의 누룸을 해제할 경우에 상기 푸시버튼(10)의 슬라이드 레일 커버(14) 내측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 레일 커버(14)가 외주면을 따라 상하동되도록 설치된 슬라이드 레일(50)과; 상기 푸시버튼(10)의 메인커버(11)를 전후·좌우 방향으로 밀어낼 경우에 상기 슬라이드 레일(50)의 하부에 나합되어 좌우·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함과 동시에, 상기 푸시버튼(10)의 메인커버(11)의 동작 정지시에 원위치하도록 상기 슬라이드 레일(50)의 하부 외주면에 나합되는 리턴블록(60)과; 상기 리턴블록의 상부에 설치 스테인레스 커버(71)를 개재하여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방수 커버(70)와: 상기 리턴블록(60) 및 상기 방수 커버(70)가 상부 내주면에 배설됨과 동시에, 상기 리턴블록(60)을 좌우·전후로 이동가능하도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푸시버튼(10)의 상부 케이스(13)가 과도하게 하강됨을 방지하도록 상부에 반원형 형상의 스토퍼(73b)가 돌출되게 형성된 하부 케이스(73)와; 설치되는 장치의 패널(100)에 수밀하고 견고하게 설치하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73)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73a)와 나합되는 암나사부(75a)가 내측하부에 형성된 외측 너트(75); 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푸시버튼(10)은 메인커버(11)와; 상기 메인커버(11)의 중앙 상부에 형성된 중앙개구부(11a) 내측에 제1 O-링(11c)을 개재하여 배설된 광학렌즈(12)와; 상기 메인커버(11) 내주면 하부에 형성된 암나사부(11b)와 결합되어 상기 광학렌즈(12)를 수밀하고 견고하게 지지하는 상부 케이스(13)와; 상기 상부 케이스(13)의 하단부에 일측이 결합됨과 동시에, 타측이 상기 슬라이드 레일(50)의 외주면에 접촉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 레일 커버(14)와; 상기 슬라이드 레일(50) 및 상기 슬라이드 레일 커버(14)의 외주면에 외감되어 푸시버튼(10)이 눌려진 후 원위치시키는 제1 코일 스프링(15)과; 상기 슬라이드 레일(50)의 상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레일 커버(14)의 변형을 방지하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 커버 보호부재(16)와; 상기 슬라이드 레일(5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레일 커버(14)의 상하동시에 상기 슬라이드 레일 커버(14)의 내측 하부에 형성된 테이퍼면(부호 생략)에 접촉시에 접촉 클릭감(스위칭 감각)을 출력하는 택타일 링(51; tactile ring)을 포함한다.
도 6과 같이 상기 광학렌즈(12)는 렌즈(12a)의 상부면에 스크래치(scratch)에 의한 흠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마모성을 증가시키고 내충격성을 감소시키도록 내마찰성 강화코틴층(12b)과; 상기 내마찰성 강화코틴층(12b) 상에 스크래치(scratch)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도록 다층반사억제 피막코팅층(12c)과; 상기 렌즈(12)의 하부 가장자리에 LCD(40)의 불필요한 가장자리가 표출되지 않도록 도료를 코팅한 리버스 코팅층(12d)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3과 같이 상기 로터리 다이얼(20)은 상기 푸시버튼(10)의 메인커버(11)가 슬라이드 레일(5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에 상부 케이스(13)의 내주면에 형성된 로터리 기어레일(13c ; 내측 톱니라고도 한다)에 맞물려서 샤프트(20a)를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로터리 기어(21)와; 샤프트(20a)를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부 또는 하부로 수평이동하는 상부판체(22)와; 상기 상부판체(22)가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압축 또는 팽창되도록 샤프트(20a)의 외주면에 설치된 제2 코일 스프링(23)과; 상기 로터리 기어(21)가 샤프트(20a)를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아날로그의 회전각도신호를 받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메인 제어유니트(1)에 출력하는 옵티컬 디지털 엔코더(24)와; 상기 샤프트(20a)를 지지하는 반원형 돌기(25)와; 상기 로터리 기어(21)가 샤프트(20a)를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옵티컬 디지털 엔코데(24)의 중심공간(부호표시하지 않음)을 통과하면서 광신호를 간헐적으로 상기 옵티컬 디지털 엔코더(24)에 출력하는 포토센서(2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3)의 내주면에 형성된 로터리 기어레일(13c;톱니수)은 상기 로터리 다이얼(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로터리 기어(21;톱니수)의 2배이다.
상기 슬라이드 레버(30)는 축(31)과; 상기 축(31)의 상단부에 설치된 제1 원형볼(31a)이 좌우·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슬라이드 레일(50)의 내측 하부에 고정설치된 오메가(Ω) 형상의 지지부재(32)와; 상기 축(31)의 상부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축(31)의 하부가 우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축(31)의 상부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축(31)의 하부가 좌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축(31)의 상부가 앞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축(31)의 하부가 뒤쪽으로 이동하고, 상기 축(31)의 상부가 뒤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축(31)의 하부가 앞쪽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축(31)의 중간부에 설치된 제3 원형볼(33a)을 지지하는 브라켓(33)과; 상기 브라켓(33)을 관통하여 상기 축(31)의 하단부에 설치된 제2 원형볼(31a)이 끼워지도록 상부 중앙에 역 오메가 형상의 수용홈(부호 생략)이 형성된 작동자(34)와; 상기 작동자(34)에 반도체편에 전류전극과 점모양의 홀 전극을 설치한 홀 소자에 일정한 전류 I를 흘리고, 소자에 수직으로 균일한 자속밀도(B)를 가하면 홀 전압(VH = KHIB, 식에서 KH는 적감도를 말하며 홀계수(RH)와 소자의 두께(t)의 역수의 곱(KH = RH//t)이며, I는 홀 소자에 인가되는 전류이고, B는 홀 소자의 수직방향에서 인가되는 자속밀도이다)을 발생하여 상기 제1 제어유니트(90)에 출력하는 홀 이펙트 소자(3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LCD(40)는 광학렌즈(12)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서 실리콘재질의 보호커버(41)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메인 제어유니트(1)의 하부 가장자리에 일정 각도를 두고 설치된 다수의 RGB 발광다이오드(1a)에서 발광되는 광을 외부로 투사하도록 상기 보호커버(41)는 투명재질의 하부커버(4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커버(11)의 중앙 개구부에 광학렌즈(12)가 끼워지며, 상기 광학렌즈(12)의 가장자리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메인 커버(11)의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부(11b)에 나합되도록 외주면에 숫나사부(13a)가 형성됨과 동시에, 하부면에 상기 메인커버(11)와 상기 상부 케이스(13)를 결합 또는 분해할 수 있도록 하부면에 치공구(98)에 돌출된 다수의 돌기(98a)를 각각 삽입할 수 있도록 다수의 오목홈(13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제어유니트(90)에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부호 표시하지 않음)을 제1 체결볼트(95)가 관통하여 하부 케이스(73) 내측에 설치된 제1 고정브라켓(74a)에 나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하부 케이스(73) 내측에 설치된 제2 고정브라켓(74b)의 상부에 상기 제1 제어유니트(90)의 타측을 올려놓음으로써 상기 제1 제어유니트(90)가 상기 하부 케이스(73) 내에 위치고정되고, 제2 제어유니트(91)는 결합브라켓(94)을 상기 제2 제어유니트(91)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관통공을 관통시킨 후에 상기 제2 제어유니트(91)와 상기 결합 브라켓(94)을 제2 체결볼트(96a)로 결합한 후에 제3 제어 유니트(92)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관통공 내를 상기 결합 브라켓(94)을 타측(하부)을 관통시킨 다음, 상기 제2 제어유니트(91)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관통공 내를 제3 체결볼트(96a)를 관통시키고, 제3 체결볼트(96b)를 제2 고정브라켓(74b)에 나합시켜서 상기 제2 및 제3 제어유니트(91,92)를 상기 하부 케이스(73)에 설치한다.
도면에 있어서, 미설명부호 92a는 USB포트이고, 상기 제2 제어유니트(91)와 상기 제3 제어유니트(92)는 결합 브라켓(94)을 개제하여 체결볼트(95)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메인 제어유니트(1), 보조유니트(96), 제1 내지 제3 제어유니트(90,91,92)는 리이드 와이어를 개재해서 서로 신호를 주고받도록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미설명부호 1b는 광학센서이고, 2는 도시하지 않은 리이드 와이어 또는 전자부품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컨넥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푸시버튼, 로터리 다이얼 및 슬라이드 레버를 겸비한 조그셔틀의 작용을 설명한다.
푸시버튼(10)을 상부에서 하부로 누르면(도 1에서 화살표 A방향) 메인커버(11), 상부 케이스(13) 및 상기 상부 케이스(13)의 하단부와 슬라이드 레일(50)의 외주면에 당접되어 설치된 슬라이드 레일커버(14)가 제1 코일 스프링(15)을 압축시킴과 동시에, 합성고무재질로 이루어진 탄성의 방수커버(70)를 압압하면서 상기 슬라이드 레일(50)의 외주면을 따라서 일정 높이(L)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상부 케이스(13)의 하부면이 하부 케이스(73)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스토퍼(73b)에 당접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13)가 과도하게 하강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13)의 하단부와 슬라이드 레일(50)의 외주면에 당접되게 설치된 슬라이드 레일커버(14)가 일정 높이(L) 하강되면 광학센서(1b)가 일정 높이(L) 하강되었음을 검출하여 메인 제어 유니트(1)에 출력한 다음에, 상기 푸시버튼(10)의 누룸을 해제하면 상기 메인커버(11), 상기 상부 케이스(13) 및 상기 상부 케이스(13)의 하단부와 슬라이드 레일(50)의 외주면에 당접되게 설치된 슬라이드 레일커버(14)가 제1 코일 스프링(15)의 팽창력에 의해 상부로 올라감과 동시에, 합성고무재질로 이루어진 탄성의 방수커버(70)가 복원되어 상부로 올라가며, 이때, 상기 슬라이드 레일커버(14)의 하단 내주면이 상부로 올라감에 따라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형상에 형성된 부분이 상기 슬라이드 레일커버(14)의 외주면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된 택타일 링(51)이 테이퍼형상에 형성된 부분으로 돌출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레일커버(14)가 상부로 올라간 것을 클릭감에 의해 촉감으로 느낄 수 있다.
상기 메인커버(11), 상기 상부 케이스(13) 및 상기 상부 케이스(13)의 하단부와 슬라이드 레일(50)의 외주면에 당접되게 설치된 슬라이드 레일커버(14)가 상부로 완전히 올라가면 상기 슬라이드 레일(50)의 위쪽 하부에 설치된 실리콘 또는 인조고무로 이루어진 탄성체인 슬라이드 레일 커버 보호부재(16)에 슬라이드 레일 커버(14)의 상부면이 접촉되어도 슬라이드 레일 커버(14)의 상부면이 파손되지 않는다.
상기 푸시버튼(10)의 메인커버(11)를 슬라이드 레일(5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부 케이스(13)의 내주면에 형성된 로터리 기어레일(13c)에 로터리 기어(21)가 맞물려서 반원형 돌기(25)에 의해 상기 샤프트(20a)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므로, 샤프트(20a)를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2 코일 스프링(23)을 압축하거나 또는 팽창시키면서 상부판체(22)가 상부 또는 하부로 수평이동하며, 로터리 기어레일(13c)에 로터리 기어(21)가 맞물려서 샤프트(20a)를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포토센서(26)의 발광다이오드(부호표시하지 않음)에서 발광되는 광을 일정 간격을 두고 광트랜지스터(후호 표시하지 않음)에 출력하므로, 옵티컬 디지털 엔코더(24)에 아날로그의 회전각도신호가 입력되며, 이에 따라 상기 옵티컬 디지털 엔코더(24)에서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메인 제어유니트(1)에 출력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상부 케이스(13)의 내주면에 형성된 로터리 기어레일(13c;톱니수)은 상기 로터리 다이얼(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로터리 기어(21;톱니수)의 2배 이므로, 상기 상부 케이스(13)의 내주면에 형성된 로터리 기어레일(13c)이 슬라이드 레일(5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18도 회전시킬 때 마다 상기 로터리 다이얼(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로터리 기어(21)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5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36도 회전하며, 이때 클릭감(라쳇감)을 손에 느낄 수 있으며, LCD(40) 상에 표출된 특정부위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레버(30)의 축(31)의 상단부에 설치된 제1 원형볼(31a)이 상기 슬라이드 레일(50)의 내측 하부에 고정설치된 오메가(Ω) 형상의 지지부재(32) 내에 좌우·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상기 축(31)의 상단부에 설치된 제2 원형볼(31b)이 작동자(34)의 상부에 끼워져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제1 원형볼(31a)과 제2 원형볼(31b) 사이에 제3 원형볼(33a)이 브라켓(33)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축(31)의 상부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축(31)의 하부가 우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축(31)의 상부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축(31)의 하부가 좌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축(31)의 상부가 앞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축(31)의 하부가 뒤쪽으로 이동하고, 상기 축(31)의 상부가 뒤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축(31)의 하부가 앞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작동자(34)에 반도체편에 전류전극과 점모양의 홀 전극을 설치한 홀 이펙트 소자(35)에 일정한 전류 I를 흘리고, 이펙트 소자(35)에 수직으로 균일한 자속밀도(B)를 가하면 홀 전압(VH = KHIB, 식에서 KH는 적감도를 말하며 홀계수(RH)와 소자의 두께(t)의 역수의 곱(KH = RH//t)이며, I는 홀 소자에 인가되는 전류이고, B는 홀 소자의 수직방향에서 인가되는 자속밀도이다)을 발생하여 상기 제1 제어유니트(90)에 출력한다.
상기 푸시버튼(10)의 메인커버(11)를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밀어서 슬라이드 레버(30)에 의해 제1 제어유니트(90)에 설치된 홀 이펙트 소자(32a)에 사용자의 명령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메인 제어유니트(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LCD(40)에서 받아서 화면에 표출하고, 상기 푸시버튼(10)를 누르거나 또는 상기 푸시버튼(10)의 누룸을 해제할 경우에 슬라이드 레일(50)이 상기 푸시버튼(10)의 슬라이드 레일 커버(14) 내측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 레일 커버(14)가 외주면을 따라 상하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푸시버튼(10)의 메인커버(11)를 전후·좌우 방향으로 밀어내면 리턴블록(60)이 상기 슬라이드 레일(50)의 하부에 나합되어 좌우·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함과 동시에, 상기 푸시버튼(10)의 메인커버(11)의 동작 정지시에 원위치한다.
상기 메인커버(11)와 광학렌즈(12) 사이에 배설된 제1 O-링(11c), 하부 케이스(73)의 상부 내주면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 케이스(13)의 하부면과 상기 스테인레스 커버(71) 사이에 설치된 방수 커버(70) 및 하부 케이스(73)와 패널(100) 사이에 설치된 제2 O-링(76)에 의해서 본 발명의 푸시버튼, 로터리 다이얼 및 슬라이드 레버를 겸비한 조그셔틀 내측으로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방수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상기 리턴블록(60) 및 상기 방수 커버(70)가 상부 내주면에 배설됨과 동시에, 상기 리턴블록(60)을 좌우·전후로 이동가능하도를 지지함과 동시에, 하부 케이스(73) 상부에 반원형 형상의 스토퍼(73b)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푸시버튼(10)의 상부 케이스(13)가 과도하게 하강됨을 방지한다.
상기 광학렌즈(12)는 렌즈(12a)의 상부면에 강화코틴층(12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크래치(scratch)에 의한 흠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마모성을 증가시키고 내충격성을 감소시키며, 상기 내마찰성 강화코틴층(12b) 상에 다층반사억제 피막코팅층(12c)이 적층되어 있으므로, 스크래치(scratch)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며. 상기 렌즈(12)의 하부 가장자리에 도료에 의해 리버스 코팅층(12d)이 코팅되어 있어서 LCD(40)의 가장자리가 외부로 표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보호커버(41)는 투명재질의 하부커버(42)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상기 LCD(40)는 광학렌즈(12)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서 실리콘재질의 보호커버(41)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메인 제어유니트(1)의 하부 가장자리에 일정 각도를 두고 설치된 다수의 RGB 발광다이오드(1a)에서 발광되는 RGB 광을 외부(도 4에서 화살표 B방향)로 투사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커버(11)의 중앙 개구부에 광학렌즈(12)를 끼운 후에, 상기 메인 커버(11)와 상기 상부 케이스(13)를 결합하기 위하여 치공구(98)에 상부로 돌출된 다수의 돌기(98a)를 상기 상부 케이스(13)의 하부면에 형성된 오목홈(13b) 내에 각각 삽입하고 나서 상기 메인 커버(11)의 하부 개구부 내에 상기 상부 케이스(13)를 밀어넣은 후에 상기 치공구(98)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메인 커버(11)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1b)와 상기 상부 케이스(13)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13a)가 결합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13)의 상단부가 상기 광학렌즈(12)의 하부 가장자리를 상부로 밀어올려서 메인커버(11)의 상부 내면에 O-링(1b)을 개재해서 기밀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메인 커버(11)와 상기 상부 케이스(13)의 결합을 해제할려면, 상기 치공구(98)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메인 커버(11)와 상기 상부 케이스(13)의 결합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유니트(90)에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부호 표시하지 않음)을 제1 체결볼트(95)가 관통하여 하부 케이스(73) 내측에 설치된 제1 고정브라켓(74a)에 나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하부 케이스(73) 내측에 설치된 제2 고정브라켓(74b)의 상부에 상기 제1 제어유니트(90)의 타측을 올려놓음으로써 상기 제1 제어유니트(90)가 상기 하부 케이스(73) 내에 위치고정되고, 제2 제어유니트(91)는 결합브라켓(94)을 상기 제2 제어유니트(91)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관통공을 관통시킨 후에 상기 제2 제어유니트(91)와 상기 결합 브라켓(94)을 제2 체결볼트(96a)로 결합한 후에 제3 제어 유니트(92)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관통공 내를 상기 결합 브라켓(94)을 타측(하부)을 관통시킨 다음, 상기 제2 제어유니트(91)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관통공 내를 제3 체결볼트(96a)를 관통시키고, 제3 체결볼트(96b)를 제2 고정브라켓(74b)에 나합시켜서 상기 제2 및 제3 제어유니트(91,92)를 상기 하부 케이스(73)에 설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푸시버튼, 로터리 다이얼 및 슬라이드 레버를 겸비한 조그셔틀은 충격, 기계적 마모, 변형, 온도, 습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 내구성이 있고, 노이즈가 발생되지 않으며, 신호 전달이 정확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제조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생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음과 동시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메인 제어유니트 1a:RGB 발광다이오드
10:푸시버튼 11:메인커버
11a:암나사부 11a:중앙개구부
11b:암나사부 11c:제1 O-링
12:광학렌즈 12a:렌즈
12b:내마찰성 강화코틴층 12c:다층반사억제 피막코팅층
12d:리버스 코팅층 13:상부 케이스
13a:숫나사부 13b:오목홈
13c:로터리 기어레일 14:슬라이드 레일 커버
15:제1 코일 스프링 16:레일 커버 보호부재
20:로터리 다이얼 20a:샤프트
21:로터리 기어 22:상부판체
23:제2 코일 스프링 24:옵티컬 디지털 엔코더
25:반원형 돌기 26:포토세서
30:슬라이드 레버 31:축
31a:제1 원형볼 32:지지부재
33:브라켓 33a:제3 원형볼
34:작동자 35:홀 이펙트 소자
40:LCD 41:보호커버
42:하부커버 50:슬라이드 레일
51:택타일 링 60:리턴블록
70:방수 커버 71:스테인레스 커버
73:하부 케이스 73a:숫나사부
73b:스토퍼 74a:제1 고정브라켓
74b:제2 고정브라켓 75:외측 너트
75a:암나사부 76:제2 O-링
90:제1 제어유니트 91:제2 제어유니트
92:제3 제어 유니트 94:결합브라켓
95:제1 체결볼트 96a:제2 체결볼트
96a:제3 체결볼트 96b:제3 체결볼트
98:치공구 98a:돌기
100:패널

Claims (7)

  1. 메인 제어유니트(1)와,
    상기 메인 제어유니트(1)에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푸시버튼(10)과,
    상기 푸시버튼(10)의 메인커버(11)를 회전시에 회전축(20a)에 주어진 아날로그 회전각도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신호 또는 절환신호를 상기 메인 제어유니트(1)에 입력하는 로터리 다이얼(20) 및
    상기 푸시버튼(10)의 메인커버(11)를 전후·좌우 방향으로 밀어낼 경우에 사용자의 명령신호를 상기 메인 제어유니트(1)에 입력하는 슬라이드 레버(30)를 구비하며,
    상기 푸시버튼(10)은 메인커버(11)와, 상기 메인커버(11)의 중앙 상부에 형성된 중앙개구부(11a) 내측에 제1 O-링(11c)을 개재하여 배설된 광학렌즈(12)와, 상기 메인커버(11) 내주면 하부에 형성된 암나사부(11b)와 결합되어 상기 광학렌즈(12)를 수밀하고 견고하게 지지하는 상부 케이스(13)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렌즈(12)로부터 떨어져서 실리콘재질의 보호커버(41)에 의해 지지되는 LCD(4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로터리 다이얼 및 슬라이드 레버를 겸비한 조그셔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다이얼(20)은
    로터리 기어레일(13c)에 맞물려서 샤프트(20a)를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로터리 기어(21)와,
    샤프트(20a)를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부 또는 하부로 수평이동하는 상부판체(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로터리 다이얼 및 슬라이드 레버를 겸비한 조그셔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렌즈(12)는
    렌즈(12a)의 상부면에 스크래치에 의한 흠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마찰성 강화코틴층(12b) 또는 다층반사억제 피막코팅층(12c)이 형성되거나, 강화코틴층(12b)과 다층반사억제 피막코팅층(12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로터리 다이얼 및 슬라이드 레버를 겸비한 조그셔틀.
  5. 삭제
  6. 제1항, 제3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10)의 슬라이드 레일 커버(14) 내측에 설치된 슬라이드 레일(50)과;
    상기 슬라이드 레일(50)의 하부 외주면에 나합되는 리턴블록(60)과;
    상기 리턴블록의 상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방수 커버(70) 및
    상기 푸시버튼(10)의 상부 케이스(13)가 과도하게 하강됨을 방지하도록 상부에 반원형 형상 스토퍼(73b)가 돌출되게 형성된 하부 케이스(73)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로터리 다이얼 및 슬라이드 레버를 겸비한 조그셔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레버(30)는
    축(31)과,
    상기 축(31)의 상단부에 설치된 제1 원형볼(31a)이 좌우·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슬라이드 레일(50)의 내측 하부에 고정설치된 오메가(Ω) 형상의 지지부재(32)와,
    상기 축(31)의 상부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축(31)의 하부가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축(31)의 중간부에 설치된 제3 원형볼(33a)을 지지하는 브라켓(3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로터리 다이얼 및 슬라이드 레버를 겸비한 조그셔틀.
KR1020120033891A 2012-04-02 2012-04-02 푸시버튼, 로터리 다이얼 및 슬라이드 레버를 겸비한 조그셔틀 KR101346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891A KR101346806B1 (ko) 2012-04-02 2012-04-02 푸시버튼, 로터리 다이얼 및 슬라이드 레버를 겸비한 조그셔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891A KR101346806B1 (ko) 2012-04-02 2012-04-02 푸시버튼, 로터리 다이얼 및 슬라이드 레버를 겸비한 조그셔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928A KR20120037928A (ko) 2012-04-20
KR101346806B1 true KR101346806B1 (ko) 2014-01-02

Family

ID=46138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3891A KR101346806B1 (ko) 2012-04-02 2012-04-02 푸시버튼, 로터리 다이얼 및 슬라이드 레버를 겸비한 조그셔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68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H22013000203Y1 (en) * 2013-05-06 2014-09-03 Dante R Olivar Remote controller for electronic appliances such as television and the like
KR101537023B1 (ko) * 2013-11-19 2015-07-15 양두영 조그 셔틀
WO2016133228A1 (ko) * 2015-02-16 2016-08-25 양두영 조그 셔틀
CN108766800A (zh) * 2018-06-20 2018-11-06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温州供电公司 用于便携式开关柜的遥控式分合闸装置
CN114717632B (zh) * 2022-05-17 2023-12-08 天衍医疗器材有限公司 一种3d打印多孔表面钛合金的微弧氧化装置
KR102560000B1 (ko) * 2023-02-08 2023-07-27 (주)테크리더월드 수밀성을 향상시킨 로터리 스위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4247A (ko) * 2005-07-28 2007-02-01 포스텍전자주식회사 다기능 스위치
JP2009176711A (ja) 2007-12-27 2009-08-06 Alps Electric Co Ltd 複合操作型入力装置
JP2011204485A (ja) * 2010-03-25 2011-10-13 Stanley Electric Co Ltd 非接触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4247A (ko) * 2005-07-28 2007-02-01 포스텍전자주식회사 다기능 스위치
JP2009176711A (ja) 2007-12-27 2009-08-06 Alps Electric Co Ltd 複合操作型入力装置
JP2011204485A (ja) * 2010-03-25 2011-10-13 Stanley Electric Co Ltd 非接触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928A (ko) 201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806B1 (ko) 푸시버튼, 로터리 다이얼 및 슬라이드 레버를 겸비한 조그셔틀
JP4612361B2 (ja) キースイッチ
RU2222455C2 (ru) Пульт управления велосипеда
US9745014B2 (en) Operating device of straddle type vehicle
WO2016125216A1 (ja) 入力装置と、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EP1364869A2 (en) Bicycle display apparatus
TWI379997B (en) User navigational apparatus
KR20060096386A (ko) 광 포인팅장치용 광센서모듈 및 그 제조방법
US7966905B2 (en) Shift apparatus
JP3408357B2 (ja) コンピュータ等の入力装置および入力処理方法
US20030112221A1 (en) Optical pointing device
KR102520028B1 (ko) 스크롤 푸시 스위치 모듈
US20140002360A1 (en) Joystick Input Device
WO2019179069A1 (zh) 一种操作键结构及电子装置
GB2184841A (en) Electronic display measuring device
JP5524666B2 (ja) 非接触スイッチ
US8643599B2 (en) Washable mouse
CN108605080B (zh) 用于选择成像模式的模式选择组件和方法
TWM581298U (zh) 用於單個光組件上實現光通量變化獲得壓感反饋的裝置
JP2023064395A (ja) 発信機
WO2016075364A1 (en) Rotary switch
JP3223396U (ja) ディスプレイを備えたデジタルエンコーダ
US20030137490A1 (en) Computer mouse
JPS6124771B2 (ko)
JP5568396B2 (ja) 回転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