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6803A - 차량 도어 록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 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6803A
KR20150056803A KR1020157009053A KR20157009053A KR20150056803A KR 20150056803 A KR20150056803 A KR 20150056803A KR 1020157009053 A KR1020157009053 A KR 1020157009053A KR 20157009053 A KR20157009053 A KR 20157009053A KR 20150056803 A KR20150056803 A KR 20150056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vehicle door
pawl
door lock
rotary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9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5903B1 (ko
Inventor
스테판 미텔바흐
Original Assignee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50056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43Bolts rotating about an axis with a bifurcated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6Noise prevention; Anti-rattling means
    • E05B77/38Cushion elements, elastic guiding elements or holding elements, e.g. for cushioning or damping the impact of the bolt against the striker during closing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4Protection against weather or dirt, e.g. against water ingre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2Lock ca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6Cooperation between bolts and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6Use of special materials for parts of locks
    • E05B15/1635Use of special materials for parts of locks of plastics materials
    • E05B2015/1664Use of special materials for parts of locks of plastics materials for lock hou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75Operating mean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1) 그리고 실질적으로 로터리 래치(3)와 포올(4)을 포함하는 록킹 메커니즘(3, 4)을 갖되, 포올(4)은 하우징(1) 내에 장착되고 로터리 래치(3)는 하우징(1) 외부에 장착된 차량 도어 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도어 록{Motor vehicle door lock}
본 발명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을 가지며 그리고 실질적으로 로터리 래치와 포올을 포함하는 록킹 메커니즘을 갖는 차량 도어 록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차량 도어가 실제적인 적용으로부터 알려져 있으며 또한 예를 들어 일반적인 DE 10 2009 042 630 A1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은 차량 도어 록의 분해도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차량 도어 록은 플라스틱 하우징을 포함하며, 이뿐만 아니라 금속 록 케이스는 실질적으로 로터리 래치 그리고 포올을 포함하는 록킹메커니즘을 수용한다. 금속 록 케이스는 특히 충돌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록킹 메커니즘에 작용하는 힘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되고 있다.
실제로 차량 도어 록의 록킹 메커니즘은 전형적으로 예를 들어, 차체의 B 컬럼 상의 록킹 볼트와 협동한다. 대부분의 경우, 차량 도어 록은 차량 도어 내부에 배치된다. 이렇게 하여, 전체 차량 도어 록이 제공된다. DE 10 2009 042 630 A1의 선행 기술란에 개시된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하우징은 대부분의 경우에 2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하우징을 폐쇄시키는 하우징 후드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선행 기술에 기초한 차량 도어 록은 자주 금속 록 케이스 및 예를 들어, 바닥과 상단 하우징 부분 또는 실제 하우징 또는 하우징 쉘 그리고 하우징 후드를 갖는 2 부품 하우징을 포함한다. 결과는 적어도 3개의 구조적 요소(록 케이스, 바닥 하우징 부분 또는 하우징 그리고 상단 하우징 부분)를 포함하는 비교적 복잡하고 그리고 특히 고가의 장치이다.
또한, 로터리 래치는 록킹 볼트와의 결합을 위한 유입 슬롯의 영역 내에 배치되어야 하며, 따라서 차량 도어 록 내에 개구를 필요로 한다. 먼지 또는 습기가 이 개구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 시일이 일반적으로 사용될지라도, 이 시일은 환경적 영향으로부터 지킬 수 없다. 이는 또한 로터리 래치와 상호 작용하는 포올에 적용된다.
본 발명은 이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차량 도어 록의 다른 개발의 기술적 문제점에 기초하며, 따라서 이전 해결책과 비교하여 기능이 개선된 반면에 보다 간단하고 따라서 보다 저렴한 구조를 제공한다.
이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반적인 차량 도어 록은 포올이 플라스틱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고 로터리 래치가 하우징의 외부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플라스틱 하우징은 메인 그리고 지지 구조 요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따라서 금속 록 케이스를 대체하고, 또한 적어도 바닥 하우징 부분 또는 하우징 쉘이 이들 2개의 구조적 요소를 결합한다. 플라스틱 하우징은 또한 포올 뿐만 아니라 로터리 래치를 위한 지지 플레이트로서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부분으로서, 포올은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된 반면에, 로터리 래치는 하우징의 외부에 장착된다.
하우징의 외부로의 로터리 래치의 장착은 이렇게 하여 로터리 래치가 록킹 볼트와 용이하게 상호 작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감안한다. 동시에, 로터리 래치만이 외부적으로 배치되고 그에 따라 습기, 먼지 등을 겪는 것에 반하여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장착됨에 의하여 포올이 보호됨에 따라 동시에 작동 신뢰성이 개선된다.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터리 래치와의 상호 작용을 위하여 포올의 록킹 아암은 하우징 내의 개구를 통하여 연장된다. 로터리 래치가 중간 위치 또는 완전 닫힘 위치에 도달하자마자 포올의 록킹 아암이 보통 로터리 래치의 중간 위치 요부 또는 완전 닫힘 위치 요부와 결합하는 방식으로 포올 상의 록킹 아암은 설계된다. 본 발명은 포올 또는 그 록킹 아암과 로터리 래치 간의 이 래칭 상호 작용이 포올의 약간의 이동만을 필요로 한다는 종합적인 인식에 기초한다. 결과적으로, 포올의 록킹 아암이 관통 연장하는 하우징 내의 개구는 작게 그리고 좁게 유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포올의 최소한의 선회 운동을 고려한다.
이는 록킹 아암을 위한 개구가 포올의 재료의 두께에 맞추어진 슬릿 폭을 갖는 열림 슬릿으로 설계되었다는 사실에 의하여 추가된다. 열림 슬릿의 슬릿 길이는 개구에 관한 포올 또는 록킹 아암의 최대 이동에 맞추어진다.
일반적으로, 포올은 하우징 상에 형성된 포올 지지 핀 상에 장착되어 포올이 각 축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것을 허용한다. 포올 지지 핀과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동일 공정의 부분으로서 제조된다. 이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및/또는 금속 다이캐스팅 공정일 수 있다. 기본적으로, 포올 지지 핀은 또한 매립된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포올 지지 핀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중공의 핀이다. 하우징과 하나의 핀을 형성하기 위하여 포올 지지 핀이 배치됨에 따라, 보통 하우징과 포올 지지 핀을 제조하기 위하여 동일한 플라스틱이 이용된다. 따라서 포올 지지 핀은 특히 쉽게 그리고 저렴하게 제조, 즉, 예를 들어 플라스틱 사출 성형 공정을 이용한 하우징과 동일한 생산 단계에서 제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우징 상의 또는 하우징 내의 예를 들어 금속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포올 지지 핀 및 그 부가물이 요구되지 않는다.
로터리 래치는 일반적으로 록킹 볼트용 유입 슬롯의 종단에 배치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대부분의 경우 로터리 래치는 각 로터리 래치 지지 핀 상에 배치된다. 이 로터리 래치 지지 핀은 유리하게는 하우징의 중공의 보어 내에 안착된다. 이는 하우징의 중공의 보어가 전형적으로 스틸 핀, 스틸 볼트 또는 일반적으로 금속 볼트로 이루어진 로터리 래치 지지 핀을 위한 지지 부싱으로서 작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장착을 위하여, 이 로터리 래치 지지 핀은 단지 하우징 내의 중공의 보어 내에 삽입되어야 하며 이 보어에 고정 또는 접착되어야 한다.
하우징의 기본 구조는 전체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 그리고 유입 슬롯을 한정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는 돌출부가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돌출되고 유입 슬롯을 한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로터리 래치 지지 핀을 수용하는 중공의 보어는 바닥 또는 돌출부 아래에 위치한다. 포올의 록킹 아암이 관통하여 연장되는 개구가 돌출부의 영역 상에 또는 돌출부의 영역 아래 또는 보통 돌출부의 영역 내에 제공된다. 대부분의 경우, 개구는 흔히 프리즘 형상 또는 웨지 형상을 갖는 돌출부의 길이 방향 에지 아래에 위치한다. 이는 돌출부의 포올 측 길이 방향 에지이다.
돌출부는 실제로 가로지르는 에지의 방향으로 웨지형으로 연장된다. 가로지르는 에지의 반대쪽은 개방되며 따라서 록킹 볼트가 이 가로지르는 에지를 통하여 돌출부 내로 들어갈 수 있다. 이 과정 동안에, 록킹 볼트는 열린 로터리 래치와 접촉되며 로터리 래치를 초기에 중간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후 완전 닫힘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과정 동안, 포올 상의 록킹 아암은 먼저 중간 위치 요부와 결합하고 이후 메인 캐치 요부와 결합한다.
유입구 슬롯을 한정하는 돌출부는 로터리 래치 지지 표면 상에 형성된다. 포올 지지 표면과 비교하여, 로터리 지지 표면은 포올의 재료 두께에 맞추어진 양만큼 올려진다. 이는 포올 지지 표면이 하우징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한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베이스 또는 포올 지지 표면과 비교하여, 위에서 보았을 때 로터리 지지 표면은 올려지거나 낮아지며 따라서 에지가 포올 지지 표면과 로터리 래치 지지 표면 사이의 변환부의 영역에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이 에지는 포올의 록킹 아암을 위한 열림 슬롯을 포함한다. 이 에지는 또한 돌출부의 포올측 길이 방향 에지 내에 위치한다.
위에서 언급된 하우징 이외에, 일반적으로 하우징을 폐쇄하기 위한 하우징 후드가 제공된다. 이 경우에, 기본적으로 차량 도어 록의 록킹 메커니즘뿐만 아니라 다른 레버 또는 다른 요소를 수용하는 하우징은 하우징의 바닥부를 구성한다. 반대로, 하우징 후드는 기본적으로 하우징의 상단부의 기능을 맡는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의 차량 도어 록의 모든 요소를 유지 및 보관하기 위하여 단지 2개의 구조적 요소, 즉 하우징 그리고 하우징을 폐쇄하는 하우징 후드가 요구된다. 원칙적으로, 단일 구조적 요소로 단지 작업하는 것 또한 실현 가능하다. 어떠한 경우에도, 본 발명은 부가적인 록 케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는 구조를 현저하게 간략하게 하며 현저한 비용 절감을 가져다 준다. 또한 선행 기술 실시예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이러한 차량 도어 록의 하중은 현저하게 작아지며, 일정하게 증가하는 차량 하중의 관점에서 이는 분명히 기꺼이 받아들여지며 그리고 특히 유리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차량 도어 록 또는 주요 구조적 요소로서의 하우징은 특히 쉽게 그리고 광범위하게, 즉 일반적으로 (단일) 플라스틱 사출 성형 공정의 부분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이 제조 공정 동안에, 적어도 포올 베어링 핀과 같은 이전에 별도로 제조된 부가적인 요소가 동시에 제조된다. 대부분의 경우, 이는 또한 중공 보어로서, 이미 상세하게 설명된 제조 공정의 부분으로서 한정된, 로터리 래치 지지 핀을 위한 지지 부싱을 포함한다. 이는 현저한 비용 절감을 야기하며 또한 차량 도어 록의 하중을 현저하게 감소시킨다. 이들이 본 발명의 주요 이점이다.
이하, 본 발명이 단지 하나의 실시예만을 도시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일체화된 포올과 지시된 로터리 래치를 갖는, 본 발명의 차량 도어 록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포올이 제거된 도 1의 대상물을 도시한 도면.
도면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1)을 포함하는 차량 도어 록을 도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실제로, 메인 구조체로서의 또는 바닥 하우징 부분으로서의 하우징(1) 이외에, 하우징의 상단 부분을 기능을 수행하는 -도시되지 않은- 하우징 후드를 포함한다. 이 하우징 후드는 밀봉 방식으로 하우징(1)에 포함될 수 있으며 또한 이 목적을 위하여 그루브(2)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그루브(2) 또한 하우징(1)과 -도시되지 않은- 하우징 후드 사이에 남아있는 슬릿을 밀봉하는 시일을 수용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하우징(1) 이외에 도시된 차량 도어 록의 기본적인 구조는 또한 실질적으로 로터리 래치(3)와 포올(4)을 포함하는 록킹 메커니즘(3, 4)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위하여 중요한 것은 포올(4)이 하우징(1) 내에 장착되는 반면에, 로터리 래치(3)는 하우징(1) 외부에 장착된다는 사실이다. 상세하게는, 로터리 래치(3)는 로터리 래치 지지 핀(5) 상에 장착된다. 포올은, 이 경우에 중공의 볼트(6)로서 설계된 포올 지지 핀(6) 상에 장착된다.
포올 지지 핀(6)은 하우징(1) 상에 형성되어 단일 부재를 형성한다. 포올 지지 핀(6) 그리고 하우징(1)은 실제로 공통 공정, 예를 들어 공통적인 플라스틱 사출 성형 공정에서 제조된다. 안정성의 이유로, 포올 지지 핀(6)은 플라스틱 재료 내에 매립된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는다.
포올(4)은 록킹 아암(4a)을 포함하며, 로터리 래치(3)와의 상호 작용을 위하여 록킹 아암은 하우징(1) 내의 개구(7)를 통하여 연장된다. 개구(7)가 열림 슬릿(7)으로 설계되었다는 것이 도면으로부터 명백하다.
열림 슬릿(7)은 포올(4)의 재료 두께에 맞추어진 슬릿 폭을 갖는다. 개구 또는 열림 슬릿(7)의 슬릿 길이는 의도된 사용 동안의 포올(4)의 록킹 아암(4a)의 최대 선회 운동을 고려한다. 록킹 메커니즘(3, 4)의 닫힘 과정 동안, 로터리 래치(3)를 관련된 중간 위치 또는 완전 닫힘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하여, 포올(4)은 실제로 먼저 -도시되지 않은- 중간 위치 요부에 결합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그리고 그후 로터리 래치(3)의 완전 닫힘 위치 요부에 결합한다. 그 결과, 이 과정을 시작할 때, 명확하게 도시되지 않은 록킹 볼트는 또한 록킹 메커니즘(3, 4)에 의하여 유지된다. 역으로, 포올(4)은 로터리 래치(3)로부터 들어올려져야 하며, 따라서 로터리 래치(3)는 스프링의 도움으로 록킹 볼트를 열 수 있고 해제할 수 있다.
로터리 래치(3)가 유입 슬롯(8)의 종단에 배치된 것이 분명하다. 이 목적을 위하여, 로터리 래치 지지 핀(5)은 하우징(1)의 중공의 보어(9) 내에 수용된다. 이 중공의 보어(9)는 돌출부(10) 아래에 위치한다. 돌출부(10)는 또한 도시되지 않은 다른 록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저널(11)을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먼저 하우징(1)은 베이스 플레이트(12)를 포함하며,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 베이스 플레이트는 포올 지지 표면(12) 또는 베이스 표면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 베이스 플레이트(12) 또는 그로 인하여 만들어진 베이스 표면 또는 생성된 포올 지지 표면(12)을 제외하고, 하우징(1)은 또한 로터리 래치 지지 표면(13)을 포함한다. 포올 지지 표면(12)에 관하여, 위에서 보았을 때 로터리 래치 지지 표면(13)은 포올(4)의 재료 두께(b)에 맞추어진 양만큼 올려지거나 또는 낮아진다. 이는 포올 지지 표면(12)과 로터리 래치 지지 표면(13) 사이의 전환부가 포올(4)의 재료 두께(b)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 돌출부 또는 렛지(14)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렛지(14)는 개구 또는 열림 슬릿(7)을 포함한다.
돌출부(10)는 실제로 설명된 바와 같이 포올 지지 표면(12)에 관하여 올려지거나 낮아진 로터리 래치 지지 표면(13) 상에 배치된다.
돌출부(10)는 전체적으로 프리즘 형상을 갖는다. 돌출부(10)는 로터리 래치(3)를 향하여 또는 이점에 위치한 가로지르는 에지를 향하여 쐐기 형상으로 테이퍼진다. 로터리 래치 지지 핀(5)을 수용하는 중공의 보어(9)는 실제로 바닥 또는 돌출부 아래에 배치된다. 각 중공의 보어(9)는 따라서 사다리꼴 횡단면을 갖는, 돌출부(10)의 바닥 길이 방향 에지에서 찾아질 수 있다. 포올 아암(4a)을 위한 개구(7)는 포올 측 상의 돌출부(10)의 상부 길이 방향 에지의 영역 내에 제공된다.
유입측 상의 돌출부(10)의 가로지르는 에지는 개방되어 록킹 볼트가 이를 넘어 유입 슬롯(8) 내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록킹 볼트를 로터리 래치(3)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돌출부(10)의 2개의 길이 방향 에지는 웨지 형상으로 테이퍼진다.

Claims (15)

  1.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1) 및 실질적으로 로터리 래치(3)와 포올(4)을 포함하는 록킹 메커니즘(3, 4)을 갖되, 포올(4)은 하우징(1) 내에 장착되고 로터리 래치(3)는 하우징(1) 외부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2. 제1항에 있어서, 포올(4)의 록킹 아암(4a)은 하우징(1) 내의 개구(7)를 통하여 연장되어 로터리 래치(3)와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3. 제2항에 있어서, 개구(7)는 포올(4)의 재료 두께(b)에 맞추어진 슬릿 폭을 갖는 개방 슬릿(7)으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포올(4)은 단일 부재를 형성하도록 하우징(1) 상에 배치된 포올 지지 핀(6) 상의 각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5. 제4항에 있어서, 포올 지지 핀(6)과 하우징(1)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 및/또는 금속 다이캐스팅과 같은 동일 공정에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로터리 래치(3)는 유입 슬롯(8)의 종단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로터리 래치(3)는 로터리 래치 지지 핀(5)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8. 제7항에 있어서, 로터리 래치 지지 핀(5)은 하우징(1)의 중공 보어(9) 내에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1)은 유입 슬롯(8)을 한정하는 돌출부(11) 및 베이스 플레이트(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10. 제9항에 있어서, 로터리 래치 지지 핀(5)을 수용하기 위한 중공 보어(9)는 돌출부(10) 아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11. 제10항에 있어서, 포올(4)이 연장되는 개구(7)는 돌출부(10)의 영역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웨지 형상(1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돌출부(10)는 로터리 래치 지지 표면(13)으로부터 위로 올라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14. 제13항에 있어서, 로터리 래치 지지 표면(13)은 포올 지지 표면(12)에 대하여 포올(4)의 재료 두께(b)에 맞추어진 양만큼 올려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1) 이외에, 하우징(1)을 폐쇄하는 하우징 후드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록.
KR1020157009053A 2012-09-20 2013-09-14 차량 도어 록 KR1020559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2103608U DE202012103608U1 (de) 2012-09-20 2012-09-20 Kraftfahrzeugtürschloss
DE202012103608.8 2012-09-20
PCT/DE2013/000529 WO2014044241A2 (de) 2012-09-20 2013-09-14 Kraftfahrzeugtürschlo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803A true KR20150056803A (ko) 2015-05-27
KR102055903B1 KR102055903B1 (ko) 2019-12-13

Family

ID=47220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9053A KR102055903B1 (ko) 2012-09-20 2013-09-14 차량 도어 록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180020B2 (ko)
EP (1) EP2898163B1 (ko)
KR (1) KR102055903B1 (ko)
CN (1) CN104797769B (ko)
BR (1) BR112015006269A2 (ko)
CA (1) CA2892671A1 (ko)
DE (1) DE202012103608U1 (ko)
IN (1) IN2015DN03067A (ko)
MX (1) MX2015003598A (ko)
RU (1) RU2633235C2 (ko)
WO (1) WO201404424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08737A1 (de) 2015-06-02 2016-12-08 Kiekert Ag Kraftfahrzeugschloss
DE102016116606A1 (de) * 2016-09-06 2018-03-08 Kiekert Ag Komponententräger für elektrische/elektronische Bauteile zur Anbringung in einem Kraftfahrzeugtürschloss
JP6836053B2 (ja) * 2016-09-30 2021-02-24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物用ラッチ装置
DE102019135418A1 (de) * 2019-12-20 2021-06-24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102020100146A1 (de) * 2020-01-07 2021-07-08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DE102020118721A1 (de) 2020-07-15 2022-01-20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DE102021128301A1 (de) 2021-10-29 2023-05-04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94926A1 (en) * 1997-07-31 1999-02-03 ATOMA ROLTRA S.p.A. Lock for a motor vehicle doo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00321A (en) 1969-01-22 1972-12-20 Aisin Seiki Door latch mechanism
DE4103142C2 (de) * 1991-02-02 1996-11-21 Ymos Ag Ind Produkte Schloßgehäuse
JP3121744B2 (ja) * 1995-06-01 2001-01-09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ドアロック装置におけるフルラッチ検出スイッチ
US5709420A (en) * 1995-08-24 1998-01-20 Mitsui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Vehicle door latch device
US6249983B1 (en) * 1998-08-14 2001-06-26 Empire Level Mfg. Corp. Levelling apparatus for a laser level
DE102004001988A1 (de) * 2004-01-13 2005-08-04 Kiekert Ag Lagerdorn für Sperrteile und Kraftfahrzeug-Türschloss mit einem Lagerdorn
JP4335761B2 (ja) * 2004-07-30 2009-09-30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JP4935612B2 (ja) * 2007-10-09 2012-05-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EP2412903B1 (en) * 2009-03-24 2016-03-23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Door lock device for vehicle
DE102009042630A1 (de) 2009-09-23 2011-03-24 Daimler Ag Universelles Türschloss für verschiedene Kraftfahrzeugtypen
CN102762807B (zh) 2010-02-19 2014-12-10 爱信精机株式会社 汽车用门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94926A1 (en) * 1997-07-31 1999-02-03 ATOMA ROLTRA S.p.A. Lock for a motor vehicle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98163B1 (de) 2018-11-07
WO2014044241A3 (de) 2014-07-17
CN104797769B (zh) 2018-07-03
MX2015003598A (es) 2015-08-20
RU2015113725A (ru) 2016-11-10
US10180020B2 (en) 2019-01-15
CA2892671A1 (en) 2014-03-27
CN104797769A (zh) 2015-07-22
RU2633235C2 (ru) 2017-10-11
US20150240538A1 (en) 2015-08-27
IN2015DN03067A (ko) 2015-10-02
KR102055903B1 (ko) 2019-12-13
EP2898163A2 (de) 2015-07-29
DE202012103608U1 (de) 2012-10-24
WO2014044241A2 (de) 2014-03-27
BR112015006269A2 (pt) 201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56803A (ko) 차량 도어 록
RU2469875C2 (ru) Узел откидной крышки резервуара
US20120112477A1 (en) Movable wedge device for vehicle door fixing apparatus and vehicle door fixing apparatus
CN102084076B (zh) 一种锁定设备
JPH0280772A (ja) 錠止装置
RU2005138865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дания направления при блокировании фиксируемой защелки в дверном замке
EP2140083B1 (en) Door lock
KR20210080485A (ko) 자동차 로크
EP0995870B1 (en) Lock for a door of a motor vehicle
US7413224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US11479113B2 (en) Fuel door opener assembly
US9422754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CN103046816B (zh) 一种锁止机构、驾驶室和车辆
JP2013227744A (ja) 自動車のドアハンドル構造
CN102312610B (zh) 具有改进的可靠性的滑动螺栓锁
CN104508223A (zh) 用于舱盖或门的锁
KR100945079B1 (ko) 다이얼식 잠금 부재를 구비하는 러기지 박스 조립체
CN104411905A (zh) 用于舱盖或门的锁
US20060261599A1 (en) Cover lock mechanism
CN117716104A (zh) 机动车锁
JP2020514581A (ja) 自動車の為の閉鎖装置
JP3904209B2 (ja) 引き出し回転操作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RU2562032C2 (ru) Поворотный язычок и замок для открывающейся части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04981577A (zh) 机动车辆锁
KR20210015797A (ko) 액추에이터 유닛 및 안전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