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5830A - 자판의 문자입력방식 - Google Patents

자판의 문자입력방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5830A
KR20150055830A KR1020130138315A KR20130138315A KR20150055830A KR 20150055830 A KR20150055830 A KR 20150055830A KR 1020130138315 A KR1020130138315 A KR 1020130138315A KR 20130138315 A KR20130138315 A KR 20130138315A KR 20150055830 A KR20150055830 A KR 20150055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character
input
hangul
charac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8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민
Original Assignee
윤종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민 filed Critical 윤종민
Priority to KR1020130138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5830A/ko
Publication of KR20150055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58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Abstract

이 자판의 방식은 7개의 자판을 사용하여 알파벳과 한글의 글자를 조합해내는 키보드의 자판과 자판의 배열에 대한 것으로, 각 문자의 입력방식을 다르게 하여 겹치는 부분이 없게 하는 글자 입력의 방법이다.

Description

자판의 문자입력방식 {INPUTTING METHOD OF CHARACTER USING KEYBOARD}
본 발명은 영어 및 한국어의 문자입력방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어의 알파벳 및 한국어의 한글의 글자들 중 공통된 부분들을 이용해 가장 간단히 각 문자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고, 그로써 자판이 휴대폰 화면의 대부분을 차지하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문자입력방식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시스템을 제어하는 마이콤과; 이 마이콤과 접속되어 문자나 번호를 입력할 수 있게 하는 키패드와; 상기 마이콤 및 키패드와 접속되어 상기 마이콤에서 처리된 결과를 표시해 주고,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문자나 번호
를 표시해 주는 표시창과; 상기 마이콤과 접속되어 문자나 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휴대폰의 문자입력방식에는 천지인 방식과 나랏글 방식 등이 있으며, 이들 두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키패드가 천지인 입력방식인 경우, 키패드의 1∼9까지의 숫자 키에는 해당 글자가 인쇄되어 있고, 나아가 아래 3개의 키에는 "*", "0" 및 "#"가 각각 인쇄되어 있다.
자음입력은 하나의 키에 배정된 다수 개의 자음에 대하여 해당 키를 반복하여 누름에 의해 이루어지고(예를 들면, "ㄱ=1", "ㅋ=11", 그리고 "ㄲ=111"로 입력), 모음입력은 "ㅣ", "·", "ㅡ"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천지인 한글입력방식은 모음입력에 있어 비교적 간결하여 편리하지만 실제 사용시 연속입력이 힘들고 한글을 숙련되게 입력하는 데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키패드가 나랏글 입력방식인 경우, 키패드의 1∼9까지의 숫자 키에는 해당 글자가 인쇄되어 있고,
나아가 나머지 3개의 키에는 "*획추가", "0 띄기" 및 "#쌍자음"가 각각 인쇄되어 있다.
자음입력은 "ㄱ, ㄴ, ㄹ, ㅁ, ㅅ, ㅇ"의 6개 자음을 기본자음으로 하고, 나머지 자음은 기본자음키, 획추가키(개념적으로 획추가 키) 및 쌍자음키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며, 모음입력은 기본모음의 경우 해당 키를 누르거나 반복하여 누름에 의해 이루어지고 나머지 모음은 획추가키와 기본모음키를 조합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나랏글 한글입력방식은 자판배치의 통일성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한글입력이 매우 불편한 데다 한글 입력을 숙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휴대폰 등에서 자판을 사용할 때 키보드가 화면의 반 정도를 사용해 매우 내용을 보기 힘들었다. 그래서 메신저 등을 할 때 전의 내용을 보지 못한다거나, 검색을 할때 다른 부분을 볼 수 없어 불편한 부분이 많았다.
발명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일단 구축 가능한 키보드 소프트웨어나 실제 물리적 키보드를 만들어 대중적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 발명으로 키보드를 한 줄로 배열할 수 있게 하여, 키보드가 화면의 매우 적은 부분을 차지하게 한다. 또한, 타자의 속도가 빠르게 하여, 매우 실용적인 형태의 키보드가 되게 한다.
도 1 은 한국어의 타자와 영어의 타자를 위한 키보드를 나타냈으며, 키보드의 조합 방법과 문자가 만들어지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한국어는 각 문자의 모양중 공통된 부분을 선택하고, 입력을 편하게 하기 위해 ㄱ,ㄴ을 더 추가하였다. 또한, 각 문자마다 입력 방식이 달라 입력을 할때 불편함이 없게 했으며, 타자의 속도 역시 매우 빠르게 할 수 있게 하였다.
영어는, 반면, 공통되는 부분이 없었기 때문에, 각 알파벳에서 공통되는 부분을 찾아, 각각의 부분들을 만든 다음, 그것을 사용해 알파벳을 만들게 되었다. 그러나 이런 부분들을 사용해 문자를 조합할 경우, 입력 순서가 같은 문자들은 순서를 뒤집거나 다른 방법으로 조합하였다.
각 문자를 조합하는 데 필요한 타자의 개수를 한글은 3개, 영어는 4개로 최소화하여 타자 속도를 높일 수 있게 하였다.
키보드가 평소 화면에서 차지했던 부분을 줄이고, 만약 소프트웨어로 개발을 한다면 많은 사람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알파벳은 한글과 달리 규칙에 의해 만들어진 문자가 아니므로, a~z까지의 문자를 모두 쓰고, 가장 많이 쓰이는 부분인 도 1 알파벳 자판 1,3,5,7을 만들고, 알파벳의 곡선을 쓸때 사용되는 r 모양과 r 모양을 좌우로 뒤집은 모양의 자판을 만들었다.
한글은 규칙적인 모양으로 만들어져 ㅡ,ㅣ,ㅅ,ㅇ만 있으면 모든 문자를 만들 수 있으나, 더 빠른 타자를 위하며 추가로 ㄱ과 ㄴ을 자판에 넣었다.
스페이스 키를 중심으로 3,5번을 제외한 다른 자판은 모두 좌우 대칭이 되게 하였고, 알파벳과 한글을 만들 때에는 서로 겹치는 순서가 없어 원활한 타자가 되게 하였다.

Claims (2)

  1. 컴퓨터나 핸드폰등에서 문자의 입력에 사용되는 키보드 중 전체적 키보드와 그것을 구성하는 버튼(1~7)에 있어서,
    각각의 버튼이 알파벳과 자음과 모음을 형성하여, 모든 문자를 버튼(1~7)으로 형성하고 키보드를 한 줄로 배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 배열 형식.
  2. 제 1항에 대해서, 버튼의 배열이 서로 대칭이 되게 하여 더 편한 타자를 할 수 있게 하고, 서로 겹치는 부분이 없게 각 문자의 입력방법을 설정한 키보드의 배열과 문자 조합의 방법.
KR1020130138315A 2013-11-14 2013-11-14 자판의 문자입력방식 KR201500558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315A KR20150055830A (ko) 2013-11-14 2013-11-14 자판의 문자입력방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315A KR20150055830A (ko) 2013-11-14 2013-11-14 자판의 문자입력방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830A true KR20150055830A (ko) 2015-05-22

Family

ID=53391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8315A KR20150055830A (ko) 2013-11-14 2013-11-14 자판의 문자입력방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583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55347B (zh) 汉语拼音输入键盘
US20130222254A1 (en) Smart keyboard for computer and compact devices
KR101653906B1 (ko) 터치스크린을 가진 기기에서 스와이프를 이용한 한글입력장치 및 한글입력방법
KR20150055830A (ko) 자판의 문자입력방식
KR20150055864A (ko) 자판의 문자입력방식
KR20150055840A (ko) 자판의 문자입력방식
KR20150055845A (ko) 자판의 문자입력방식
KR101921586B1 (ko) 한글의 모음과 자음 사용빈도에 따른 전자통신기기의 문자입력장치
KR100800606B1 (ko) 한글 입력 장치 및 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
KR101368718B1 (ko) 터치스크린용 한글 입력패드
JP3110695B2 (ja) キー入力装置
KR20030053971A (ko)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KR20130004648A (ko) 터치스크린패널기기에서의 문서편집기능이 있는 다국어 문자입력장치
KR101850674B1 (ko)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영어입력 자판 및 입력방법
KR100626680B1 (ko)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
KR20060107646A (ko) 디지털 단말기 한글입력시스템
KR100875334B1 (ko) 영문 입력을 위한 키패드
KR100398668B1 (ko) 한글자모 배열과 입력방법
KR20120117711A (ko) 문자 입력을 위한 영어 단짝문자 힐 자판과 한글 가족자음 나이러 자판
KR101127868B1 (ko) 멀티터칭을 위한 한손 한글자판배열 및 입력방법
KR20140093151A (ko) 중앙 모음 긋기 자판 배열
JP4987945B2 (ja) キーボード
KR100562332B1 (ko)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
KR101141774B1 (ko) 문자입력부가 구비된 휴대장치
KR20110000062A (ko) 한글 키패드, 한글 입력 장치 및 한글 문자 생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