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4138A - 벌룬 카테터 - Google Patents

벌룬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4138A
KR20150054138A KR1020130136167A KR20130136167A KR20150054138A KR 20150054138 A KR20150054138 A KR 20150054138A KR 1020130136167 A KR1020130136167 A KR 1020130136167A KR 20130136167 A KR20130136167 A KR 20130136167A KR 20150054138 A KR20150054138 A KR 20150054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balloon
flow path
guide wire
proximal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6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8824B1 (ko
Inventor
안용철
Original Assignee
안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용철 filed Critical 안용철
Priority to KR1020130136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824B1/ko
Priority to JP2016553196A priority patent/JP6311031B2/ja
Priority to PCT/KR2014/010801 priority patent/WO2015069089A1/ko
Publication of KR20150054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4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US15/150,688 priority patent/US10173039B2/en
Publication of KR101618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5/09016Guide wires with mandr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의 루멘(lumen)을 갖는 카테터 도관(catheter tube)과; 카테터 도관을 통과하는 가이드 와이어(guide wire)와; 카테터 도관의 근단부(proximal end portion)에 결합되고, 루멘과 연통된 유로 및 유로 상에서 가이드 와이어의 근단부를 지지하는 홀더(holder)를 갖는 커넥터(connector)와; 카테터 도관의 원단부(distal end portion)에 결합된 벌룬(balloon)을 포함함으로써, 팽창 루멘 및 가이드 와이어 루멘이 하나로 통합된 벌룬 카테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벌룬 카테터 {Balloon Catheter}
본 발명은 의료용 벌룬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벌룬 카테터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팽창 루멘(inflating lumen)과 가이드 와이어 루멘(guide wire lumen)을 갖는 카테터 도관(catheter tube), 카테터 도관의 양쪽 단부 중 한쪽에 연결된 벌룬(balloon), 카테터 도관의 양쪽 단부 중 다른 쪽에 연결된 커넥터(connector)를 포함한다.
커넥터에는 시린지(syringe)와 같은 유체 주입기구가 연결된다. 벌룬 카테터는 유체 주입기구로부터의 유체(용액일 수 있다.)가 카테터 도관의 팽창 루멘에 주입, 팽창 루멘을 따라 이송되고 벌룬이 팽창 루멘으로부터 유체를 제공받아 팽창하도록 구성된다.
벌룬 카테터는 벌룬이 수축된 상태에서 피시술자의 표피로부터 체내(뼈나 장기, 혈관 등)로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벌룬은 유체 주입기구로부터의 유체의 압력으로 팽창되어 해당 조직을 확장 또는 복원한다. 가이드 와이어 루멘에는 카테터 도관의 강성을 보강하여 벌룬 카테터를 체내로 삽입하는 때 카테터 도관이 임의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된다.
이와 같은 벌룬 카테터는 그 카테터 도관에 팽창 루멘과 가이드 와이어 루멘이 별개로 마련되므로 제조가 용이하지 않다. 또, 구조적으로 복합하고, 카테터 도관의 외경이 클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시술 면에서 유리한 벌룬 카테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위 과제에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과제들은 통상의 기술자(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근단부와 원단부를 갖고, 상기 근단부와 원단부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단일의 루멘을 갖는 카테터 도관과; 상기 카테터 도관을 통과하여 상기 루멘 상에 배치된 가이드 와이어와;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유체 주입유로를 가지며, 상기 카테터 도관의 근단부에 상기 유체 주입유로가 상기 루멘과 연통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유체 주입유로의 중심부에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근단부를 지지하는 홀더 바디 및 상기 유체 주입유로의 내벽에 상기 홀더 바디를 지지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포트 암으로 구성된 가이드 와이어 홀더를 갖는 커넥터와; 상기 카테터 도관의 원단부에 상기 유체 주입유로로부터 상기 루멘에 주입되는 유체에 의하여 팽창 가능하도록 구비된 벌룬을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가 제공된다.
상기 카테터 도관을 통과하여 상기 카테터 도관으로부터 돌출된 가이드 와이어의 원단부에는 보강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벌룬은 양단부 중 한쪽이 상기 카테터 도관의 원단부 측 외주에 끼워진 상태로 결합되고 양단부 중 다른 쪽이 상기 보강부재에 상기 보강부재를 감싼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암은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홀더 바디의 둘레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외주에 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카테터 도관의 근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루멘과 연통되어 상기 유체 주입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유로를 갖는 제1 커넥터 바디와; 상기 제1 커넥터 바디와 결합되고, 상기 제1 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제1 유로와 함께 상기 유체 주입유로를 구성하는 제2 유로를 가지며, 상기 제2 유로에 상기 가이드 와이어 홀더가 마련된 제2 커넥터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커넥터 바디는 한쪽 단부에 상기 카테터 도관의 근단부가 끼워지는 제1 결합홈부가 마련되고 다른 쪽 단부에 상기 제2 커넥터 바디와의 끼움결합을 위한 제2 결합홈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 커넥터 바디의 제1 유로는 상기 제1 결합홈부와 제2 결합홈부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커넥터 바디는 상기 제2 결합홈부에 끼워지는 끼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와이어 홀더는 상기 제2 유로의 원단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위 같은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나 도면 등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될 것이고, 나아가서는 위 같은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의 해결 수단 이외에도 다양한 과제의 해결 수단이 이하에서 추가로 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가 도시된 단면도로, 도 2는 벌룬이 수축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은 벌룬이 팽창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2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B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커넥터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5의 C-C선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사용된 용어는 주로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 용어의 정의는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는 니들 도구(needle instrument)와 캐뉼러 도구(cannula instrument) 등을 이용하여 사전에 피시술자의 표피로부터 체내의 목적하는 위치에 이르도록 형성한 시술용 접근통로를 통하여 뼈, 장기, 혈관 등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설명에서 근단부(proximal end portion) 및 원단부(distal end portion)는 시술자를 기준으로 한 용어로, 시술자 측에 위치하는 단부는 근단부가 되고, 반대쪽은 원단부가 된다.
도 1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는, 근단부(12) 및 원단부(14)를 갖고 루멘(lumen)을 갖는 카테터 도관(catheter tube, 10), 카테터 도관(10)의 원단부(14)에 구비된 벌룬(balloon, 20), 카테터 도관(10)의 근단부(14)에 결합된 커넥터(connector, 30), 카테터 도관(10)에 삽입되어 카테터 도관(10)의 강성을 보강하는 가이드 와이어(guide wire, 40)를 포함한다.
카테터 도관(10)은 길게 형성된다. 카테터 도관(10)은 양단이 개방된 튜브로 구성되어, 카테터 도관(10)의 근단부(12) 및 원단부(14)는 각각 개구를 갖는다. 카테터 도관(10)은 그 근단부(12)와 원단부(14) 사이의 내부통로를 루멘으로 한다.
카테터 도관(10)은 폴리머(polymer)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카테터 도관(1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테터 도관(10)은 강성이 합성수지에 비하여 큰 재질로 제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카테터 도관(10)의 재질은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이나 형상기억합금과 같은 금속일 수 있다. 그리고, 형상기억합금으로는 니켈(Ni)과 티탄(Ti)의 비자성 합금인 니티놀(nitinol)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가이드 와이어(40)는 길이가 카테터 도관(10)에 비하여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 와이어(40)는 카테터 도관(10)을 통과함으로써, 가이드 와이어(40)의 양단부(가이드 와이어(40)의 근단부(42)와 원단부(44))는 각각 카테터 도관(10)의 근단부(12) 측 개구와 원단부(14) 측 개구를 통하여 카테터 도관(10)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노출)되고, 가이드 와이어(40)의 양단부(42, 44) 사이는 루멘 상에 배치된다.
가이드 와이어(40)의 원단부(44)에는 가이드 와이어(40)의 원단부(44)의 굵기를 증대시켜 가이드 와이어(40)의 원단부(44)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부재(46)가 결합된다. 이러한 보강부재(46)는 캡(cap)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가이드 와이어(40)의 원단부(44)에 씌워질 수 있다. 보강부재(46)는 카테터 도관(10)과 마찬가지로 폴리머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물론, 보강부재(46)의 재질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 4를 참조하면, 벌룬(20)은 양단부 중 한쪽이 개방되고 다른 쪽이 폐쇄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벌룬(20)의 양단부 중 개방된 쪽은 카테터 도관(10)의 원단부(14) 측 외주에 끼워진 상태로 기밀 유지 가능하게 결합되고, 벌룬(20)의 양단부 중 폐쇄된 쪽은 보강부재(46)에 보강부재(46)를 감싼 상태로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된 벌룬(20)은 내부가 카테터 도관(10)의 원단부(14) 측 개구를 통하여 루멘과 연통된다.
이와 같은 벌룬(20)은 팽창 및 수축(원상 복원)이 가능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벌룬(20)은 카테터 도관(10) 및 보강부재(46)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벌룬(20)은 융착에 의하여 카테터 도관(10)의 원단부(14) 측 외주 및 보강부재(46)와 결합될 수 있다. 재질에 따라서는 벌룬(20)을 결합시키는 데 접착제나 결속밴드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2,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커넥터(30)는 시린지(syringe)와 같은 유체 주입기구로부터의 유체가 주입되는 유체 주입유로(130, 230)를 갖는다. 유체 주입유로(130, 230)는 커넥터(30)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커넥터(30)는 유체 주입유로(130, 230)에서 가이드 와이어(40)의 근단부(42)를 지지하여 가이드 와이어(4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가이드 와이어 홀더(guide wire holder, 240, 250)를 갖는다.
이와 같은 커넥터(3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서로 결합되는 제1과 제2의 두 커넥터 바디(connector body, 100, 200)로 구성된다.
제1 커넥터 바디(100)는 카테터 도관(10)의 근단부(12)에 결합된다. 제1 커넥터 바디(100)는, 길이방향 양단부 중 한쪽에 카테터 도관(10)의 근단부(12)가 끼워지는 제1 결합홈부(110)가 마련되고, 길이방향 양단부 중 다른 쪽에 제2 커넥터 바디(200)와의 끼움결합을 위한 제2 결합홈부(120)가 마련된다. 그리고, 제1 결합홈부(110)와 제2 결합홈부(120) 사이에는 유체 주입유로(130, 230)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유로(130)가 마련된다. 제1 결합홈부(110)의 내부와 제2 결합홈부(120)의 내부는 제1 결합홈부(110)와 제2 결합홈부(120) 사이의 제1 유로(130)에 의하여 서로 연통된다.
제2 결합홈부(120)는 제1 결합홈부(110)에 비하여 더 큰 크기의 내주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1 유로(130)는 크기가 제1 결합홈부(110)로부터 제2 결함홈부(120) 측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도록 형성된다. 제1 결합홈부(110)와 제1 유로(130) 사이에는 카테터 도관(10)의 근단부(12)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제1 걸림턱부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결합홈부(110)와 카테터 도관(10)의 근단부(12)는 접착제에 의하여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결합된 카테터 도관(10)과 제1 커넥터 바디(100)는 루멘과 제1 유로(130)가 카테터 도관(10)의 근단부(12) 측 개구를 통하여 서로 연통된다.
제2 커넥터 바디(100)는, 길이방향 양단부 중 한쪽에는 제2 결합홈부(120)에 끼워지는 끼움부(210)가 마련되고, 길이방향 양단부 중 다른 쪽에는 유체 주입기구가 결합되는 유체 주입기구용 결합부(220)가 마련된다. 제2 결합홈부(120)와 제1 유로(130) 사이에는 끼움부(210)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제2 걸림턱부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커넥터 바디(100)는 양단부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커넥터 바디(100)를 통과하는 제2 유로(230)를 갖는다. 물론, 제2 유로(230)의 근단부 측 개구는 유체 주입기구용 결합부(220)에 위치되고, 제2 유로(230)의 원단부 측 개구는 끼움부(210)에 위치된다.
제2 결합홈부(120)와 끼움부(210)는 접착제에 의하여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결합된 제1 커넥터 바디(100)와 제2 커넥터 바디(200)는 제1 유로(130)와 제2 유로(230)가 서로 연통된다. 제1 유로(130)와 연통된 제2 유로(230)는 제1 유로(130)와 함께 유체 주입유로(130, 230)를 구성한다.
가이드 와이어(40)의 근단부(42)는 제1 유로(130)를 지나서 제2 유로(230)의 원단부에 위치되어, 가이드 와이어 홀더(240, 250)는 제2 유로(230)의 원단부 측에 위치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와이어 홀더(240, 250)는, 제2 유로(230)의 횡단면 중심부에 배치된 홀더 바디(holder body, 240), 제2 유로(230)의 내벽에 홀더 바디(240)를 지지시키는 단수 또는 복수의 서포트 암(support arm, 250)을 포함한다.
홀더 바디(240)는 가이드 와이어(40)의 근단부(42)를 지지한다. 홀더 바디(240)는 컵(cup)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가이드 와이어(40)의 근단부(42)는 홀더 바디(240)에 끼워질 수 있다. 서포트 암(250)은 복수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서포트 암(250)은 홀더 바디(240)의 둘레에 서로 이격되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면부호 260은 손잡이로, 손잡이(260)는 제2 커넥터 바디(100)의 외주에 단수 또는 복수로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는 벌룬(20)이 수축된 상태에서 피시술자의 표피로부터 체내의 목적하는 위치로 삽입된다. 이 과정에서, 시술자는 가이드 와이어(40)의 원단부(44)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부재(46)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를 용이하게 진입시킬 수 있다. 또한, 보강부재(46)에 의하면, 벌룬(20)이 가이드 와이어(40)의 원단부(44)에 의하여 손상(찢기는 현상 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가 체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유체 주입기구에 의하여 유체(용액일 수 있다.)를 주입하면, 유체는 제2 유로(230), 제1 유로(130), 카테터 도관(10)의 루멘을 순차적으로 거친 후 카테터 도관(10)의 원단부(14) 측 개구로 유출되어 벌룬(20)에 유입된다. 이 때, 벌룬(20)은 팽창되어 해당 조직을 확장 또는 복원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는 단일의 루멘이 가이드 와이어(40)가 삽입되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 및 유체가 이송되는 팽창 루멘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단순한 제조과정으로 제조할 수 있고, 시술자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으며, 카테터 도관(10)을 보다 가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 : 카테터 도관 20 : 벌룬
30 : 커넥터 40 : 가이드 와이어
46 : 보강부재 100 : 제1 커넥터 바디
110 : 제1 결합홈부 120 : 제2 결합홈부
130 : 제1 유로 200 : 제2 커넥터 바디
210 : 끼움부 220 : 유체 주입기구용 결합부
230 : 제2 유로 240 : 홀더 바디
250 : 서포트 암 260 : 손잡이

Claims (8)

  1. 근단부와 원단부를 갖고, 상기 근단부와 원단부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단일의 루멘을 갖는 카테터 도관과;
    상기 카테터 도관을 통과하여 상기 루멘 상에 배치된 가이드 와이어와;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유체 주입유로를 가지며, 상기 카테터 도관의 근단부에 상기 유체 주입유로가 상기 루멘과 연통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유체 주입유로의 중심부에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근단부를 지지하는 홀더 바디 및 상기 유체 주입유로의 내벽에 상기 홀더 바디를 지지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포트 암으로 구성된 가이드 와이어 홀더를 갖는 커넥터와;
    상기 카테터 도관의 원단부에 상기 유체 주입유로로부터 상기 루멘에 주입되는 유체에 의하여 팽창 가능하도록 구비된 벌룬을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도관을 통과하여 상기 카테터 도관으로부터 돌출된 가이드 와이어의 원단부에는 보강부재가 결합된, 벌룬 카테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벌룬은 양단부 중 한쪽이 상기 카테터 도관의 원단부 측 외주에 끼워진 상태로 결합되고 양단부 중 다른 쪽이 상기 보강부재에 상기 보강부재를 감싼 상태로 결합된, 벌룬 카테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암은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홀더 바디의 둘레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벌룬 카테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외주에 손잡이가 마련된, 벌룬 카테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카테터 도관의 근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루멘과 연통되어 상기 유체 주입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유로를 갖는 제1 커넥터 바디와;
    상기 제1 커넥터 바디와 결합되고, 상기 제1 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제1 유로와 함께 상기 유체 주입유로를 구성하는 제2 유로를 가지며, 상기 제2 유로에 상기 가이드 와이어 홀더가 마련된 제2 커넥터 바디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바디는 한쪽 단부에 상기 카테터 도관의 근단부가 끼워지는 제1 결합홈부가 마련되고 다른 쪽 단부에 상기 제2 커넥터 바디와의 끼움결합을 위한 제2 결합홈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 커넥터 바디의 제1 유로는 상기 제1 결합홈부와 제2 결합홈부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커넥터 바디는 상기 제2 결합홈부에 끼워지는 끼움부를 구비한, 벌룬 카테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 홀더는 상기 제2 유로의 원단부 측에 배치된, 벌룬 카테터.
KR1020130136167A 2013-11-11 2013-11-11 벌룬 카테터 KR101618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167A KR101618824B1 (ko) 2013-11-11 2013-11-11 벌룬 카테터
JP2016553196A JP6311031B2 (ja) 2013-11-11 2014-11-11 バルーンカテーテル
PCT/KR2014/010801 WO2015069089A1 (ko) 2013-11-11 2014-11-11 벌룬 카테터
US15/150,688 US10173039B2 (en) 2013-11-11 2016-05-10 Balloon cathe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167A KR101618824B1 (ko) 2013-11-11 2013-11-11 벌룬 카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138A true KR20150054138A (ko) 2015-05-20
KR101618824B1 KR101618824B1 (ko) 2016-05-10

Family

ID=53390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6167A KR101618824B1 (ko) 2013-11-11 2013-11-11 벌룬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8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368A (ko) * 2018-05-14 2019-11-2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일 내강으로 구성된 풍선 카테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1221A (en) 1991-02-05 1992-12-15 Target Therapeutics Single lumen low profile valved balloon catheter
US7488337B2 (en) * 2002-09-30 2009-02-10 Saab Mark A Apparatus and methods for bone, tissue and duct dilatation
JP5164283B2 (ja) 2010-06-25 2013-03-21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バルーンカテーテ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368A (ko) * 2018-05-14 2019-11-2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일 내강으로 구성된 풍선 카테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8824B1 (ko) 201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4730B2 (ja) イントロデューサーシース組立体
JP6138921B2 (ja) カテーテル組立体
US10173039B2 (en) Balloon catheter
JP6043301B2 (ja) 血管用針システム
JPS62133969A (ja) 血管内留置用使い捨てカテ−テル導入装置
JP2014509222A (ja) 血液飛散を低減した静脈カテーテル及び挿入装置
JP2007508854A (ja) シーリングバルブ付きニードル
JP2010155101A (ja) 解放自在のかえしアンカーを備えたガイドワイヤ
JP2009273609A (ja) 弁付きカテーテル
TW200938241A (en) An apparatus for peripheral vascular access
JP2012205697A (ja) カテーテ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6886775B2 (ja) カテーテル組立体
WO2014162452A1 (ja) イントロデューサシース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1528418B1 (ko) 체내 삽입용 도관
KR101618824B1 (ko) 벌룬 카테터
JP4900242B2 (ja) 大動脈内バルーンポンピングセット
CN210277939U (zh) 一种医用引流管组件
JP2019513472A (ja) バルブ体を有する送達カテーテル
KR101610282B1 (ko) 벌룬 카테터
US9603601B2 (en) Occlusion devices including dual balloons and related methods
JP2015163088A (ja) 医療器具
JP5547149B2 (ja) 封止部材挿入用押圧部材付きガイドワイヤー及び薬液注入用カテーテル装置
JP2016185277A (ja) イントロデューサーシースおよびイントロデューサー組立体
JP2002119598A (ja) 血管内留置用バルーンカテーテル
JP2009268630A (ja) 血管拡張具、イントロデューサー、ガイドワイヤー及び医療器具導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