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3411A - 무전원 자동청소기 - Google Patents

무전원 자동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3411A
KR20150053411A KR1020130135306A KR20130135306A KR20150053411A KR 20150053411 A KR20150053411 A KR 20150053411A KR 1020130135306 A KR1020130135306 A KR 1020130135306A KR 20130135306 A KR20130135306 A KR 20130135306A KR 20150053411 A KR20150053411 A KR 20150053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main body
rear roller
roller brush
driv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7319B1 (ko
Inventor
이종훈
Original Assignee
이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훈 filed Critical 이종훈
Priority to KR1020130135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319B1/ko
Publication of KR20150053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2Floor-sweeping machines, hand-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6Floor-scrubbing machines, hand-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공급없이 사용자가 자루부를 잡고 본체를 바닥면 상에서 밀거나 당기는 수동동작만으로 전,후방롤러브러시가 중앙을 향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먼지나 이물질이 중앙의 쓰레받이통 내에 자동으로 포집되도록 함과 동시에 선택적으로 물걸레질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무전원 자동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전원 자동청소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바닥면과의 마찰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구동휠과, 상기 본체의 중앙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쓰레받이통과, 상기 본체의 전,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쓰레받이통의 전,후방에서 상기 구동휠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쓰레받이통을 향해 회전되면서 먼지와 이물질을 상기 쓰레받이통 내로 이동시키는 전,후방롤러브러시와, 상기 구동휠과 상기 전,후방롤러브러시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휠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전,후방롤러브러시가 상기 쓰레받이통을 향해 회전되도록 하는 일방향 전동기구와, 상기 쓰레받이통의 하부에는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물걸레가 장착되는 물걸레장착판과, 상기 본체의 상측에 힌지결합되는 자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전원 자동청소기{AUTPMATIC CLEANER WITHOUT ELECTRICAL POWER}
본 발명은 무전원 자동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 공급없이 사용자가 자루부를 잡고 본체를 바닥면 상에서 밀거나 당기는 수동동작만으로 전,후방롤러브러시가 중앙을 향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먼지나 이물질이 중앙의 쓰레받이통 내에 자동으로 포집되도록 함과 동시에 선택적으로 물걸레질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무전원 자동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바닥 청소방법은 빗자루를 이용하여 먼지나 이물질을 쓸어낸 후에 걸레를 이용하여 바닥면에 점착된 먼지나 오염물을 닦아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인 바닥 청소방법은, 허리를 굽혀 몸을 숙인 자세로 장시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비질을 한 후에 걸레로 재차 바닥면을 문질러 닦아야 하므로, 작업자가 육체적으로 힘이 들며, 시간도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청소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예가 전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형성된 음압을 이용하여 바닥의 먼지나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된 진공청소기이다.
진공청소기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 비교적 편한 자세로 청소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전기가 소모됨은 물론 단순히 바닥의 먼지나 이물질을 음압에 의해 수집하는 기능만을 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바닥면에 점착된 먼지나 이물질은 제거할 수가 없어 추가적인 걸레질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고, 흡입된 공기가 필터링된 후에 후방으로 강하게 재배출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배출공기에 의해 미세먼지가 방출되어 인체에 오히려 해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본체 내부에 음압을 형성하여 공기와 함께 먼지와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음압 형성을 위한 흡입모터의 고속회전에 의해 심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진공청소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44949호(2012.05.03. 등록)에는 회전솔로 먼지와 티끌을 흡입하여 청소가 이루어지게 하는 수동 청소기에 있어서, 흡입된 먼지와 티끌이 수납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본체와; 손으로 밀어서 청소를 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회동되게 부착되어 있고, 굵기가 작은 막대를 굵기가 큰 막대 속에 삽입 고정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굵기가 다르면서 통공된 다수 개의 막대로 이루어진 밀대와; 상기 밀대가 상기 본체에 회동 되게 결합 될 수 있도록 상기 밀대와 상기 본체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밀대를 상기 본체에 연결하는 밀대 아답터와; 상기 본체의 전방 하부에 수평으로 장착되어 회동되게 고정되고, 회전축에 수직 방향으로 부착된 수직 회전모의 수직 방향 회전에 의해 바닥의 먼지와 티끌이 부양되어 상기 본체 속에 저장되게 하는 제 1 회전솔과; 톱니가 있는 바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회전솔의 수직 회전축 좌우 측에 고정되어 상기 제 1 회전솔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밀대로 상기 본체를 밀면 바닥과의 마찰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원주상에는 일정 간격으로 톱니가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시 바닥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구름 바퀴와; 상기 제 1 회전솔의 좌우 측 하방에 수평으로 장착되고, 상기 구름 바퀴 회전에 의해 상기 구름 바퀴와 함께 회전하도록 수평 바퀴살이 상기 구름 바퀴의 톱니와 기어 결합으로 맞물려 먼지와 티끌을 상기 제 1 회전솔의 중앙으로 쓸어 모으는 제 2 회전솔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양 측면에는 힌지가 부착되어 상기 본체의 뒷면에 힌지 결합으로 부착되어 있어, 상기 본체 속에 유입 저장되어 있는 먼지 및 티끌을 상기 본체 밖으로 배출할 수 있게 하는 청소기 비움문과; 당겨서 상기 청소기 비움문을 열 수 있도록 상기 본체 상부 전방에 반달 모양으로 돌출되게 부착되어 있는 청소기 비움문 당김 손잡이와; 상기 청소기 비움문 당김 손잡이를 당겨서 상기 청소기 비움문이 열릴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청소기 비움문 당김 손잡이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일측은 상기 청소기 비움문의 상단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청소기 비움문 당김줄과; 상기 청소기 비움문이 닫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청소기 비움문의 하단 일측과 상기 본체의 내부 상단 사이에 연결되어 있어, 항상 상기 청소기 비움문의 하단 일 측을 당기고 있게 하는 청소기 비움문 당김 스프링과; 바퀴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의 하부 중앙 뒷쪽에 돌출되게 부착되어 있어 상기 본체가 바닥에서 일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구름 마찰에 의해 전후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보조 바퀴와; 상기 본체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먼지 흡입구에 비스듬히 부설되어 상기 제 1 회전솔에 의해 쓸어져 공중으로 부양된 먼지 및 티끌이 다시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고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 1 회전솔의 하방과 상기 본체의 먼지 흡입구 사이를 비스듬하게 연결하는 먼지받이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솔을 구비한 수동형 스마트 청소기가 공개되어 있다.
전술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44949호에 따른 회전솔을 구비한 수동형 스마트 청소기의 경우에는 중앙에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 1 회전솔이 바닥과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먼지가 본체 내로 포집되도록 하고 양측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 2 회전솔이 제 1 회전솔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면서 먼지를 모으는 구조로 형성되어, 전기를 비롯한 일체의 외부에너지의 제공없이 먼지나 이물질을 포집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44949호에 따른 회전솔을 구비한 수동형 스마트 청소기의 경우에는, 청소기를 밀 때는 제 1 및 제 2 회전솔이 먼지를 포집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청소기를 당길 때는 제 1 및 제 2 회전솔이 역회전되어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먼지의 포집이 제 1 회전솔 1개에만 의존함은 물론 실제 제 1 및 제 2 회전솔의 회전속도가 청소기의 이동속도와 동일하여 사실상 먼지나 이물질을 본체 내로 이동시키는 효과가 미미한 문제점이 있으며, 물걸레질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는 없어 물걸레질을 별도 실시해야 하는 문제점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 공급없이 사용자가 자루부를 잡고 본체를 바닥면 상에서 밀거나 당기는 수동동작만으로 바닥면 상의 먼지나 이물질이 자동으로 포집될 수 있는 무전원 자동청소기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루부를 잡고 본체를 바닥면 상에서 미는 경우뿐만 아니라 당길 경우에도 전,후방롤러브러시가 중앙을 향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먼지나 이물질을 중앙의 쓰레받이통 내로 전,후방 양측에서 이중으로 포집시킴에 따라 청소효율이 배가될 수 있는 무전원 자동청소기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물걸레질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무전원 자동청소기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바닥면과의 마찰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구동휠과, 상기 본체의 중앙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쓰레받이통과, 상기 본체의 전,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쓰레받이통의 전,후방에서 상기 구동휠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쓰레받이통을 향해 회전되면서 먼지와 이물질을 상기 쓰레받이통 내로 이동시키는 전,후방롤러브러시와, 상기 구동휠과 상기 전,후방롤러브러시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휠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전,후방롤러브러시가 상기 쓰레받이통을 향해 회전되도록 하는 일방향 전동기구와, 상기 쓰레받이통의 하부에는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물걸레가 장착되는 물걸레장착판과, 상기 본체의 상측에 힌지결합되는 자루부를 포함하는 무전원 자동청소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전,후방 내측 상부에 각각 고정설치되고 상기 전방롤러브러시의 후방 상측과 상기 후방롤러브러시의 전방 상측 사이에 각각 접하여 상기 전,후방롤러브러시에 부착된 먼지와 이물질을 긁어 제거하는 전,후방 스크레이퍼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쓰레받이통은, 전,후방에 개방형성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의 상측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개폐도어와, 상기 투입구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투입구로 먼지와 이물질을 안내하는 쓰레받이판과, 상단 중앙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본체에 끼워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원통형결합구와, 상기 개폐도어의 상측에 돌출되고 상기 쓰레받이통의 장착시 상기 본체 내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개폐도어를 개방시키는 도어개방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상부면 일측에는 상기 쓰레받이통의 제 1 원통형결합구를 파지 또는 파지해제하는 제 1 착탈레버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물걸레장착판은 물걸레에 면접되는 물걸레지지판부재와, 상기 물걸레지지판부재의 상부면에 돌출되고 상기 쓰레받이통의 제 1 원통형결합구 내로 삽입되는 제 2 원통형결합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상부면 타측에는 상기 물걸레장착판의 제 2 원통형결합구를 파지 또는 파지해제하는 제 2 착탈레버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전,후방롤러브러시는 상기 본체의 전,후방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일측 또는 타측 중앙에 탄성돌기축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일방향 전동기구는, 상기 구동휠에 동축으로 결합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전방롤러브러시에 동축으로 결합되고 상기 전방롤러브러시가 중앙에 위치된 상기 쓰레받이통을 향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래칫이 구비되는 제 1 래칫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제 1 래칫기어 사이에 개재되는 제 1 전동기어와, 상기 후방롤러브러시에 동축으로 결합되고 상기 후방롤러브러시가 중앙에 위치된 상기 쓰레받이통을 향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래칫이 구비되는 제 2 래칫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제 2 래칫기어 사이에 개재되는 제 2 전동기어와, 상기 전방롤러브러시와 상기 후방롤러브러시에 걸쳐 1열로 나란히 설치되고 상기 전방롤러브러시와 상기 후방롤러브러시를 항상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전동연결하는 반대회전전동기어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동휠은 중심축이 상기 본체에 형성된 호 형상의 장공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중심축에는 상기 자루부에 연결되는 조작레버가 설치되며, 상기 일방향 전동기구는, 상기 전방롤러브러시에 동축으로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기어와, 상기 후방롤러브러시에 동축으로 결합되는 제 3 및 제 4 기어와, 상기 제 2 기어와 제 4 기어 사이에 배열되어 상기 전,후방롤러브러시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 1 및 제 2 전동기어와, 상기 구동휠에 동축으로 설치되고 상기 구동휠의 전진구동시에는 상기 조작레버의 전방회동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 3 기어에 맞물리고 상기 구동휠의 후진구동시에는 상기 조작레버의 후방회동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 1 기어에 맞물려 상기 구동휠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전,후방롤러브러시가 항상 중앙에 위치된 상기 쓰레받이통을 향해 회전하도록 하는 유동기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일방향 전동기구는, 상기 전방롤러브러시에 동축으로 결합되는 제 1 기어와, 상기 후방롤러브러시에 동축으로 결합되는 제 2 기어와, 상기 제 1 기어와 제 2 기어 사이에 1열로 배열되어 상기 전,후방롤러브러시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전동기어와, 상기 구동휠에 동축으로 결합되는 제 3 기어와, 상기 구동휠의 중심축에 절곡중심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절곡지지대와, 상기 절곡지지대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3 기어에 각각 맞물려 회전하는 제 1 및 제 2 유동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휠의 전진구동시에는 전방에 위치된 제 1 유동기어가 상기 제 2 전동기어에 맞물리고 상기 구동휠의 후진구동시에는 후방에 위치된 제 2 유동기어가 상기 제 3 전동기어에 맞물려져 상기 구동휠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전,후방롤러브러시가 항상 중앙에 위치된 상기 쓰레받이통을 향해 회전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구동휠의 전후에 하중분산을 위한 보조휠이 각각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자루부에는 먼지털이가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전원 자동청소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자루부를 잡고 본체를 바닥면 상에서 밀거나 당기는 수동동작만으로 바닥면 상의 먼지나 이물질이 자동으로 포집될 수 있어 전원 공급없이도 효과적인 바닥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전원 자동청소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자루부를 잡고 본체를 바닥면 상에서 미는 경우뿐만 아니라 당길 경우에도 일방향 회전기구에 의해 전,후방롤러브러시가 중앙을 향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먼지나 이물질을 중앙의 쓰레받이통 내로 전,후방 양측에서 이중으로 포집시킴에 따라 청소효율이 배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전원 자동청소기에 의하면, 물걸레장착판에 물걸레를 장착할 경우 전,후방롤러브러시에 의한 바닥청소와 동시에 물걸레질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 청소시간이 현저히 단축될 수 있으며, 카펫, 매트리스 등의 청소시와 같이 물걸레질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물걸레장착판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자동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자동청소기의 전체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자동청소기에 있어서 본체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자동청소기에 있어서, 본체의 단면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자동청소기에 있어서, 구동휠의 전진구동시 일방향 전동기구의 제 1 실시예의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자동청소기에 있어서, 구동휠의 후진구동시 일방향 전동기구의 제 1 실시예의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자동청소기에 있어서, 구동휠의 전진구동시 일방향 전동기구의 제 2 실시예의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자동청소기에 있어서, 구동휠의 후진구동시 일방향 전동기구의 제 2 실시예의 작동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자동청소기에 있어서, 구동휠의 전진구동시 일방향 전동기구의 제 3 실시예의 작동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자동청소기에 있어서, 구동휠의 후진구동시 일방향 전동기구의 제 3 실시예의 작동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자동청소기(1)는, 전원 공급없이 사용자가 자루부(80)를 잡고 본체(10)를 바닥면 상에서 밀거나 당기는 수동동작만으로 전,후방롤러브러시(40, 50)가 중앙을 향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먼지나 이물질이 중앙의 쓰레받이통(30) 내에 자동으로 포집되도록 함과 동시에 선택적으로 물걸레질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10)와, 본체(10)의 양측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바닥면과의 마찰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구동휠(20)과, 본체(10)의 중앙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쓰레받이통(30)과, 본체(10)의 전,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쓰레받이통(30)의 전,후방에서 구동휠(20)의 회전에 연동되어 쓰레받이통(30)을 향해 회전되면서 먼지와 이물질을 쓰레받이통(30) 내로 이동시키는 전,후방롤러브러시(40, 50)와, 구동휠(20)과 전,후방롤러브러시(40, 50) 사이에 설치되고 구동휠(20)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전,후방롤러브러시(40, 50)가 쓰레받이통(30)을 향해 회전되도록 하는 일방향 전동기구(60, 60', 60")와, 쓰레받이통(30)의 하부에는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물걸레가 장착되는 물걸레장착판(70)과, 본체(10)의 상측에 힌지결합되는 자루부(8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10)는 실제 바닥면을 청소하기 위한 각종 구성부재가 설치 또는 수납되는 하우징을 형성하는 것으로, 전,후방롤러브러시(40, 50)와 쓰레받이통(30) 등의 장착을 위해 서로 이격되는 양측 프레임(11, 12)과, 이를 연결하는 몸체부(13)와, 이들을 둘러싸는 상부커버(14)와, 자루부(80)의 결합을 위한 힌지결합부(15)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10)의 상부면 일측에는 차후에 설명될 쓰레받이통(30)의 제 1 원통형결합구(34)를 파지 또는 파지해제하는 제 1 착탈레버(16)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제 1 착탈레버(16)의 단부에는 쓰레받이통(30)의 제 1 원통형결합구(34) 내로 진입되어 파지하는 파지구(16a)가 구비된다.
또한 본체(10)의 상부면 타측에는 차후에 설명될 물걸레장착판(70)의 제 2 원통형결합구(73)를 파지 또는 파지해제하는 제 2 착탈레버(17)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제 2 착탈레버(17)의 단부에는 물걸레장착판(70)의 제 2 원통형결합구(73) 내로 진입되어 파지하는 파지구(17a)가 구비된다.
전술한 본체(10)의 양측 중앙에는 구동휠(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구동휠(20)은 바닥면과의 마찰에 의해 회전구동되면서 전,후방롤러브러시(40, 50)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그 외주면에는 바닥면과의 마찰력이 배가될 수 있도록 고무링(21)이 결합된다,
전술한 본체(10)의 중앙에는 쓰레받이통(3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 쓰레받이통(30)은 바닥면 상의 먼지와 이물질이 차후에 설명될 전,후방롤러브러시(40, 50)에 의해 이동되어 최종 수용되는 통으로, 전,후방에 개방형성되는 투입구(31)와, 투입구(31)의 상측에 힌지결합되며 투입구(3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개폐도어(32)와, 투입구(31)의 하측에 구비되고 투입구(31)로 먼지와 이물질을 안내하는 쓰레받이판(33)과, 상단 중앙에 돌출형성되며 본체(10)에 끼워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원통형결합구(34)와, 개폐도어(32)의 상측에 돌출되고 쓰레받이통(30)의 장착시 본체(10) 내부에 의해 가압되어 개폐도어(32)를 개방시키는 도어개방돌기(35)를 포함한다.
쓰레받이통(30)은 하부통과 상부커버가 결합됨으로써 양측에 투입구(31)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본체(10)로부터 분리시에는 상부커버를 개방시켜 내부에 수용된 먼지와 쓰레기를 배출시킨 후 다시 상부커버를 하부통에 결합한 후 본체(10) 내로 장착하게 된다.
또한 개폐도어(32)는 항상 투입구(3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됨에 따라 본체(10)로부터 쓰레받이통(30)을 분리하면 투입구(31)를 폐쇄하지만 본체(10) 내에 쓰레받이통(30)을 장착하면 도어개방돌기(35)가 본체 내부에 의해 가압되면서 개폐도어(32)를 개방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쓰레받이판(33)은 전,후방롤러브러시(40, 50)의 회전에 의해 먼지와 이물질이 투입구(31)로 안내되도록 바닥면에 밀접함과 동시에 호 형상의 곡면을 가진다.
또한 제 1 원통형결합구(34)는 본체(10) 내로 유입되어 본체(10)에 설치된 제 1 파지레버(16)의 단부에 설치된 제 1 파지구(16a)가 걸려지는 부분으로, 제 1 원통형결합구(34) 상에는 제 1 파지레버(16)의 제 1 파지구(16a)가 진입되어 걸려질 수 있도록 제 1 파지구진입슬릿(34a)이 형성된다.
본체(10)의 전,후방에는 전,후방롤러브러시(40, 5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전,후방롤러브러시(40, 50)는 쓰레받이통(30)의 전,후방에서 구동휠(20)의 회전에 연동되어 쓰레받이통(30)을 향해 회전되면서 먼지와 이물질을 쓰레받이통(30) 내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외주면에는 특정길이의 단모가 구비된다. 전,후방롤러브러시(40, 50)의 재질과 단모의 길이는 다양하게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전,후방롤러브러시(40, 50)는 이물질 분리, 세척 또는 교체 등을 위해 본체(10)의 전후방에 용이하게 분리 또는 장착될 수 있도록 일측 또는 타측 중앙에 탄성돌기축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성돌기축의 구성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 여기서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상세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전,후방롤러브러시(40, 50)의 오염도나 상태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전,후방롤러브러시(40, 50)의 대부분이 노출된 상태로 분체(10)에 창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동휠(20)과 전,후방롤러브러시(40, 50) 사이에는 일방향 전동기구(60, 60', 60")가 설치되는데, 이 일방향 전동기구(60, 60', 60")는 구동휠(20)의 회전방향, 즉 본체(10)의 전진 또는 후진에 관계없이 전,후방롤러브러시(40, 50)가 항상 쓰레받이통(30)을 향해 회전되도록 하는 것으로, 다양한 기어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일방향 전동기구(60)는,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동휠(20)에 동축으로 결합되는 구동기어(61)와, 전방롤러브러시(40)에 동축으로 결합되고 전방롤러브러시(40)가 중앙에 위치된 쓰레받이통(30)을 향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래칫(62a')이 구비되는 제 1 래칫기어(62)와, 구동기어(61)와 제 1 래칫기어(62) 사이에 개재되는 제 1 전동기어(63)와, 후방롤러브러시(50)에 동축으로 결합되고 후방롤러브러시(50)가 중앙에 위치된 쓰레받이통(30)을 향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래칫(64')이 구비되는 제 2 래칫기어(64)와, 구동기어(61)와 제 2 래칫기어(64) 사이에 개재되는 제 2 전동기어(65)와, 전방롤러브러시(40)와 후방롤러브러시(50)에 걸쳐 1열로 나란히 설치되고 전방롤러브러시(40)와 후방롤러브러시(50)를 항상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전동연결하는 반대회전전동기어열(66)을 포함한다.
여기서 반대회전전동기어열(66)의 양단에 위치되는 기어는 전,후방롤러브러시(40, 50)에 동축으로 설치되며, 반대회전전동기어열(66)은 양단에 위치되는 기어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전체 짝수개, 바직하게는 6개가 1열로 나란히 설치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일방향 전동기구(60)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자루부(80)를 잡고 본체(10)를 바닥면 상에서 전방으로 밀어 구동휠(20)이 전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구동기어(61)가 전진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 1 전동기어(63)에 의해 제 1 래칫기어(62)도 구동기어(61)와 연동되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제 2 래칫기어(64)도 제 2 전동기어(65)에 의해 구동기어(61)와 연동되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지만, 래칫(65a)에 의해 헛돌게 된다.
제 1 래칫기어(62)가 전진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동축으로 결합된 전방롤러브러시(40)도 반시계방향, 즉 중앙에 위치된 쓰레받이통(30)을 향해 회전하게 되고, 반대회전전동기어열(66)에 의해 전방에서 후방으로 전동연결되면서, 최종적으로 반대회전전동기어열(66)의 후방단부측에 동축으로 결합된 전방롤러브러시(40)도 시계방향, 즉 중앙에 위치된 쓰레받이통(30)을 향해 회전하게 된다.
사용자가 자루부(80)를 잡고 본체(10)를 바닥면 상에서 후방으로 당겨 구동휠(20)이 후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구동기어(61)가 후진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 2 전동기어(65)에 의해 제 2 래칫기어(64)도 구동기어(61)와 연동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제 1 래칫기어(62)도 제 2 전동기어(63)에 의해 구동기어(61)와 연동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지만, 래칫(62a)에 의해 헛돌게 된다.
제 2 래칫기어(64)가 후진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동축으로 결합된 후방롤러브러시(50)도 시계방향, 즉 중앙에 위치된 쓰레받이통(30)을 향해 회전하게 되고, 반대회전전동기어열(66)에 의해 후방에서 전방으로 전동연결되면서, 최종적으로 반대회전전동기어열(66)의 전방단부측에 동축으로 결합된 전방롤러브러시(40)도 반시계방향, 즉 중앙에 위치된 쓰레받이통(30)을 향해 회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전술한 일방향 전동기구(60)로 인해 사용자가 자루부(80)를 잡고 본체(10)를 바닥면 상에서 미는 경우뿐만 아니라 당길 경우에도 전,후방롤러브러시(40, 50)가 중앙을 향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먼지나 이물질을 중앙의 쓰레받이통(30) 내로 전,후방 양측에서 이중으로 포집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 구동휠(20)의 중심축이 본체(10)에 형성된 호 형상의 장공(68')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휠(20)의 중심축에는 자루부(80)에 연결되는 조작레버(69')가 설치되는 경우에, 일방향 전동기구(6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방롤러브러시(40)에 동축으로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기어(61', 62')와, 후방롤러브러시(50)에 동축으로 결합되는 제 3 및 제 4 기어(63', 64')와, 제 2 기어(62')와 제 4 기어(64') 사이에 배열되어 전,후방롤러브러시(40, 5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 1 및 제 2 전동기어(65', 66')와, 구동휠(20)에 동축으로 설치되고 구동휠(20)의 전진구동시에는 조작레버(69')의 전방회동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제 3 기어(63')에 맞물리고 구동휠(20)의 후진구동시에는 조작레버(69')의 후방회동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제 1 기어(61')에 맞물려 구동휠(20)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전,후방롤러브러시(40, 50)가 항상 중앙에 위치된 쓰레받이통(30)을 향해 회전하도록 하는 유동기어(67')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기어(61')는 제 2 기어(62') 보다 더 큰 반경을 가지고, 제 3 기어(63')는 제 4 기어(64') 보다 더 큰 반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일방향 전동기구(60')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자루부(80)를 잡고 본체(10)를 바닥면 상에서 전방으로 밀게 되면 자루부(80)에 연결된 조작레버(69')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그 하단에 결합된 구동휠(20)이 후방으로 유동되면서 전진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때 구동휠(20)에 동축으로 결합된 유동기어(67')가 제 3 기어(63')에 맞물려져 제 3 기어(6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서 제 3 기어(63')에 동축으로 결합된 후방롤러브러시(50)도 시계방향, 즉 중앙에 위치된 쓰레받이통(30)을 향해 회전하게 되며, 후방롤러브러시(50)에 동축으로 결합된 제 4 기어(64')의 회전력이 제 2 전동기어(66')와 제 1 전동기어(65')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 2 기어(62')로 전달되면서, 제 2 기어(6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결국 제 2 기어(62')에 동축으로 결합된 전방롤러브러시(40)도 반시계방향, 즉 중앙에 위치된 쓰레받이통(30)을 향해 회전하게 된다.
사용자가 자루부(80)를 잡고 본체(10)를 바닥면 상에서 후방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자루부(80)에 연결된 조작레버(69')가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그 하단에 결합된 구동휠(20)이 전방으로 유동되면서 후진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때 구동휠(20)에 동축으로 결합된 유동기어(67')가 제 1 기어(61')에 맞물려져 제 1 기어(6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서 제 1 기어(61')에 동축으로 결합된 전방롤러브러시(40)도 반시계방향, 즉 중앙에 위치된 쓰레받이통(30)을 향해 회전하게 되며, 전방롤러브러시(40)에 동축으로 결합된 제 2 기어(62')의 회전력이 제 1 전동기어(65')와 제 2 전동기어(66')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 4 기어(64')로 전달되면서, 제 4 기어(6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결국 제 4 기어(64')에 동축으로 결합된 후방롤러브러시(50)도 반시계방향, 즉 중앙에 위치된 쓰레받이통(30)을 향해 회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전술한 일방향 전동기구(60')로 인해 사용자가 자루부(80)를 잡고 본체(10)를 바닥면 상에서 미는 경우뿐만 아니라 당길 경우에도 전,후방롤러브러시(40, 50)가 중앙을 향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먼지나 이물질을 중앙의 쓰레받이통(30) 내로 전,후방 양측에서 이중으로 포집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 일방향 전동기구(6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방롤러브러시(40)에 동축으로 결합되는 제 1 기어(61")와, 후방롤러브러시(50)에 동축으로 결합되는 제 2 기어(62")와, 제 1 기어(61")와 제 2 기어(62") 사이에 1열로 배열되어 전,후방롤러브러시(40, 5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전동기어(63", 64", 65" 및 66")와, 구동휠(20)에 동축으로 결합되는 제 3 기어(67")와, 구동휠(20)의 중심축에 절곡중심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절곡지지대(68")와, 절곡지지대(68")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3 기어(67")에 각각 맞물려 회전하는 제 1 및 제 2 유동기어(69a", 69b)를 포함한다.
이 때 일방향 전동기구(60")는 구동휠(20)의 전진구동시에는 절곡지지대(68") 상에서 전방에 위치된 제 1 유동기어(69a")가 제 3 기어(67")의 회전력에 의해 하부로 내리눌려지면서 제 2 전동기어(64")에 맞물리고 구동휠(20)의 후진구동시에는 절곡지지대(68") 상에서 전방에 위치된 제 2 유동기어(69b")가 제 3 기어(67")의 회전력에 의해 하부로 내리눌려지면서 제 3 전동기어(65")에 맞물려져 구동휠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전,후방롤러브러시(40, 50)가 항상 중앙에 위치된 쓰레받이통(30)을 향해 회전하도록 한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일방향 전동기구(60")의 작동관계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자루부(80)를 잡고 본체(10)를 바닥면 상에서 전방으로 밀게 되면, 구동휠(20)에 동축으로 설치된 제 3 기어(67")가 전진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절곡지지대(68") 상에서 전방에 위치된 제 1 유동기어(69a")를 하부로 내리누르면서 절곡지지대(68")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게 하고 이로 인해 제 1 유동기어(69a")가 제 2 전동기어(64")와 맞물리게 된다. 이 때 제 1 유동기어(69a")는 제 3 기어(67")와 맞물려짐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 2 전동기어(6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전방롤러브러시(40)에 동축으로 결합되는 제 1 기어(61")는 제 2 전동기어(64")와 제 1 전동기어(63")를 거쳐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제 1 기어(61")에 동축으로 결합된 전방롤러브러시(40)도 반시계방향, 즉 중앙에 위치된 쓰레받이통(30)을 향해 회전하게 된다. 또한 후방롤러브러시(50)에 동축으로 결합되는 제 2 기어(62")는 제 2 전동기어(64"), 제 3 전동기어(65") 및 제 4 전동기어(66')를 거쳐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제 2 기어(62")에 동축으로 결합된 후방롤러브러시(40)도 시계방향, 즉 중앙에 위치된 쓰레받이통(30)을 향해 회전하게 된다.
사용자가 자루부(80)를 잡고 본체(10)를 바닥면 상에서 후방으로 당기게 되면, 구동휠(20)에 동축으로 설치된 제 3 기어(67")가 후진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절곡지지대(68") 상에서 후방에 위치된 제 2 유동기어(69b")를 하부로 내리누르면서 절곡지지대(68")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게 하고 이로 인해 제 2 유동기어(69b")가 제 3 전동기어(65")와 맞물리게 된다. 이 때 제 2 유동기어(69b")는 제 3 기어(67")와 맞물려짐에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 3 전동기어(6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전방롤러브러시(40)에 동축으로 결합되는 제 1 기어(61")는 제 3 전동기어(63"), 제 2 전동기어(64") 및 제 1 전동기어(63")를 거쳐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제 1 기어(61")에 동축으로 결합된 전방롤러브러시(40)도 반시계방향, 즉 중앙에 위치된 쓰레받이통(30)을 향해 회전하게 된다. 또한 후방롤러브러시(50)에 동축으로 결합되는 제 2 기어(62")는 제 3 전동기어(65") 및 제 4 전동기어(66')를 거쳐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제 2 기어(62")에 동축으로 결합된 후방롤러브러시(50)도 시계방향, 즉 중앙에 위치된 쓰레받이통(30)을 향해 회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전술한 일방향 전동기구(60")로 인해 사용자가 자루부(80)를 잡고 본체(10)를 바닥면 상에서 미는 경우뿐만 아니라 당길 경우에도 전,후방롤러브러시(40, 50)가 중앙을 향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먼지나 이물질을 중앙의 쓰레받이통(30) 내로 전,후방 양측에서 이중으로 포집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쓰레받이통(30)의 하부에는 물걸레장착판(70)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물걸레장착판(70)은 물걸레가 장착되는 것으로, 물걸레에 면접되는 물걸레지지판부재(71)와, 물걸레지지판부재(71)의 상부면에 돌출되고 쓰레받이통(30)의 제 1 원통형결합구(34) 내로 삽입되는 제 2 원통형결합구(73)를 포함한다.
물걸레지지판부재(71)의 하부면에는 물걸레의 확실한 파지를 위해 물걸레 내로 파고 들어가는 파지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2 원통형결합구(73)의 외부 둘레에는 제 2 착탈레버(17)의 단부에 구비되는 파지구(17a)가 걸려질 수 있는 단턱(73a)이 형성된다. 단턱(73a)의 노출을 위해 쓰레받이통(30)의 제 1 원통형결합구(34)에는 개방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체(10)의 힌지결합부(14)에는 자루부(80)가 결합되는데, 이 자루부(8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본체(10)를 전후방으로 밀고 당기는 수동력을 제공하는 부분으로, 파이프연결구에 의해 다수의 파이프부재가 연결되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길이조절가능한 다단봉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자루부(80)에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먼지털이(81)가 인출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체의 전,후방 내측 상부에는 전,후방 스크레이퍼(90, 100)이 각각 고정설치되는데, 이 전,후방 스크레이퍼(90, 100)는 전방롤러브러시(40)의 후방 상측과 후방롤러브러시(50)의 전방 상측 사이에 각각 접하여 전,후방롤러브러시(40, 50)에 부착된 먼지와 이물질, 특히 머리카락 등을 긁어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정 간격으로 빗살이 돌출형성되는 경사진 빗 구조물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본체(100)의 하부에는 보조휠(110)이 구동휠(20)의 전후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보조휠(110)은 구동휠(20)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함으로써 하중집중에 따른 구동휠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통상의 이이들휠, 볼베어링 구조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자동청소기(1)의 경우에는 별도의 전원 공급없이 사용자가 자루부(80)를 잡고 본체(10)를 바닥면 상에서 밀거나 당기는 수동동작만으로 전,후방롤러브러시(40, 50)를 회전구동시켜 바닥면 상의 먼지나 이물질이 자동으로 포집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자동청소기(1)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자루부(80)를 잡고 본체(10)를 바닥면 상에서 미는 경우뿐만 아니라 당길 경우에도 전,후방롤러브러시(40, 50)가 일방향 회전기구(60, 60', 60")에 의해 중앙의 쓰레받이통(30)을 향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바닥면 상의 먼지나 이물질을 중앙의 쓰레받이통(30) 내로 전,후방 양측에서 이중으로 포집시킴에 따라 청소효율이 배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물걸레장착판(70)에 물걸레를 장착한 상태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자동청소기(1)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후방롤러브러시(40, 50)에 의한 바닥청소와 동시에 물걸레질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 청소시간이 현저히 단축될 수 있으며, 카펫, 매트리스 등의 청소시와 같이 물걸레질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물걸레장착판(70)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어 매우 편리하다.
1 : 무전원 자동청소기
10 : 본체
14 : 힌지결합부
15 : 제 1 착탈레버
16 : 제 2 착탈레버
20 : 구동휠
30 : 쓰레받이통
31 : 투입구
32 : 개폐도어
33 : 쓰레받이판
34 : 제 1 원통형결합구
35 : 도어개방돌기
40 : 전방롤러브러시
50 : 후방롤러브러시
60, 60', 60" : 일방향 전동기구
70 : 물걸레장착판
71 : 물걸레지지판부재
73 : 제 2 원통형결합구
80 : 자루부
81 : 먼지털이
90, 100 : 전,후방 스크레이퍼

Claims (12)

  1. 본체;
    상기 본체의 양측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바닥면과의 마찰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구동휠;
    상기 본체의 중앙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쓰레받이통;
    상기 본체의 전,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쓰레받이통의 전,후방에서 상기 구동휠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쓰레받이통을 향해 회전되면서 먼지와 이물질을 상기 쓰레받이통 내로 이동시키는 전,후방롤러브러시;
    상기 구동휠과 상기 전,후방롤러브러시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휠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전,후방롤러브러시가 상기 쓰레받이통을 향해 회전되도록 하는 일방향 전동기구;
    상기 쓰레받이통의 하부에는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물걸레가 장착되는 물걸레장착판; 및
    상기 본체의 상측에 힌지결합되는 자루부를 포함하는 무전원 자동청소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후방 내측 상부에 각각 고정설치되고 상기 전방롤러브러시의 후방 상측과 상기 후방롤러브러시의 전방 상측 사이에 각각 접하여 상기 전,후방롤러브러시에 부착된 먼지와 이물질을 긁어 제거하는 전,후방 스크레이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자동청소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쓰레받이통은, 전,후방에 개방형성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의 상측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개폐도어와, 상기 투입구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투입구로 먼지와 이물질을 안내하는 쓰레받이판과, 상단 중앙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본체에 끼워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원통형결합구와, 상기 개폐도어의 상측에 돌출되고 상기 쓰레받이통의 장착시 상기 본체 내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개폐도어를 개방시키는 도어개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자동청소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면 일측에는 상기 쓰레받이통의 제 1 원통형결합구를 파지 또는 파지해제하는 제 1 착탈레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자동청소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물걸레장착판은 물걸레에 면접되는 물걸레지지판부재와, 상기 물걸레지지판부재의 상부면에 돌출되고 상기 쓰레받이통의 제 1 원통형결합구 내로 삽입되는 제 2 원통형결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자동청소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면 타측에는 상기 물걸레장착판의 제 2 원통형결합구를 파지 또는 파지해제하는 제 2 착탈레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자동청소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롤러브러시는 상기 본체의 전,후방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일측 또는 타측 중앙에 탄성돌기축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자동청소기.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전동기구는, 상기 구동휠에 동축으로 결합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전방롤러브러시에 동축으로 결합되고 상기 전방롤러브러시가 중앙에 위치된 상기 쓰레받이통을 향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래칫이 구비되는 제 1 래칫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제 1 래칫기어 사이에 개재되는 제 1 전동기어와, 상기 후방롤러브러시에 동축으로 결합되고 상기 후방롤러브러시가 중앙에 위치된 상기 쓰레받이통을 향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래칫이 구비되는 제 2 래칫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제 2 래칫기어 사이에 개재되는 제 2 전동기어와, 상기 전방롤러브러시와 상기 후방롤러브러시에 걸쳐 1열로 나란히 설치되고 상기 전방롤러브러시와 상기 후방롤러브러시를 항상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전동연결하는 반대회전전동기어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자동청소기.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은 중심축이 상기 본체에 형성된 호 형상의 장공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중심축에는 상기 자루부에 연결되는 조작레버가 설치되며, 상기 일방향 전동기구는, 상기 전방롤러브러시에 동축으로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기어와, 상기 후방롤러브러시에 동축으로 결합되는 제 3 및 제 4 기어와, 상기 제 2 기어와 제 4 기어 사이에 배열되어 상기 전,후방롤러브러시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 1 및 제 2 전동기어와, 상기 구동휠에 동축으로 설치되고 상기 구동휠의 전진구동시에는 상기 조작레버의 전방회동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 3 기어에 맞물리고 상기 구동휠의 후진구동시에는 상기 조작레버의 후방회동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 1 기어에 맞물려 상기 구동휠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전,후방롤러브러시가 항상 중앙에 위치된 상기 쓰레받이통을 향해 회전하도록 하는 유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자동청소기.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전동기구는, 상기 전방롤러브러시에 동축으로 결합되는 제 1 기어와, 상기 후방롤러브러시에 동축으로 결합되는 제 2 기어와, 상기 제 1 기어와 제 2 기어 사이에 1열로 배열되어 상기 전,후방롤러브러시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전동기어와, 상기 구동휠에 동축으로 결합되는 제 3 기어와, 상기 구동휠의 중심축에 절곡중심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절곡지지대와, 상기 절곡지지대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3 기어에 각각 맞물려 회전하는 제 1 및 제 2 유동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휠의 전진구동시에는 전방에 위치된 제 1 유동기어가 상기 제 2 전동기어에 맞물리고 상기 구동휠의 후진구동시에는 후방에 위치된 제 2 유동기어가 상기 제 3 전동기어에 맞물려져 상기 구동휠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전,후방롤러브러시가 항상 중앙에 위치된 상기 쓰레받이통을 향해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자동청소기.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구동휠의 전후에 하중분산을 위한 보조휠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자동청소기.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부에는 먼지털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자동청소기.
KR1020130135306A 2013-11-08 2013-11-08 무전원 자동청소기 KR101577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306A KR101577319B1 (ko) 2013-11-08 2013-11-08 무전원 자동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306A KR101577319B1 (ko) 2013-11-08 2013-11-08 무전원 자동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411A true KR20150053411A (ko) 2015-05-18
KR101577319B1 KR101577319B1 (ko) 2015-12-28

Family

ID=53389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306A KR101577319B1 (ko) 2013-11-08 2013-11-08 무전원 자동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731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474B1 (ko) * 2017-12-05 2018-08-14 정진구 개선된 바닥 청소기
WO2018164448A1 (en) * 2017-03-06 2018-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WO2018192381A1 (zh) * 2017-04-17 2018-10-25 嘉兴捷顺旅游制品有限公司 一种清洗时可缩小使用时可扩大的清洁工具
CN108720724A (zh) * 2018-08-13 2018-11-02 苏州德易仕清洁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多功能清洁技术的地刷
CN108903215A (zh) * 2018-07-28 2018-11-30 江苏省中医院 一种横向滚动式医用床刷
CN112155478A (zh) * 2020-09-30 2021-01-01 中山市贝子洗涤科技有限公司 一种地板自动清洗机
WO2023142948A1 (zh) * 2022-01-28 2023-08-03 追觅创新科技(苏州)有限公司 自移动式机器人、清洁系统、污物箱及清洁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101Y1 (ko) * 2001-10-15 2002-02-19 유수아 빗자루
JP3641618B2 (ja) * 2002-05-02 2005-04-27 山崎産業株式会社 清掃器具
KR200416713Y1 (ko) * 2005-11-08 2006-05-23 영 진 이 바닥 청소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101Y1 (ko) * 2001-10-15 2002-02-19 유수아 빗자루
JP3641618B2 (ja) * 2002-05-02 2005-04-27 山崎産業株式会社 清掃器具
KR200416713Y1 (ko) * 2005-11-08 2006-05-23 영 진 이 바닥 청소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4448A1 (en) * 2017-03-06 2018-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CN110381792A (zh) * 2017-03-06 2019-10-25 三星电子株式会社 真空清洁器
US10765288B2 (en) 2017-03-06 2020-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WO2018192381A1 (zh) * 2017-04-17 2018-10-25 嘉兴捷顺旅游制品有限公司 一种清洗时可缩小使用时可扩大的清洁工具
US11253130B2 (en) 2017-04-17 2022-02-22 Jiaxing Jackson Travel Products Co., Ltd Cleaning tool capable of expanding during use and contracting when to be cleaned
KR101888474B1 (ko) * 2017-12-05 2018-08-14 정진구 개선된 바닥 청소기
CN108903215A (zh) * 2018-07-28 2018-11-30 江苏省中医院 一种横向滚动式医用床刷
CN108903215B (zh) * 2018-07-28 2024-04-12 江苏省中医院 一种横向滚动式医用床刷
CN108720724A (zh) * 2018-08-13 2018-11-02 苏州德易仕清洁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多功能清洁技术的地刷
CN112155478A (zh) * 2020-09-30 2021-01-01 中山市贝子洗涤科技有限公司 一种地板自动清洗机
WO2023142948A1 (zh) * 2022-01-28 2023-08-03 追觅创新科技(苏州)有限公司 自移动式机器人、清洁系统、污物箱及清洁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7319B1 (ko) 2015-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7319B1 (ko) 무전원 자동청소기
EP3838096B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7013528B2 (en) Floor cleaner with dusting
US7861351B2 (en) Electric cleaning sweeper
JP4711436B2 (ja) 裸床面掃除機
TR201807873T4 (tr) Çıplak zemin elektrik süpürgesi.
AU2010201890A1 (en) Upright steam mop sweeper
EP3868268A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damp cleaning
KR20140145714A (ko) 걸레 회전형 청소장치
KR101560446B1 (ko) 무전원 자동청소기
KR20150055743A (ko) 휴대용 수동 청소기
KR101688429B1 (ko) 통합형 청소기
JP2008246154A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CN213640755U (zh) 辊式地面清洁器
CN116669607A (zh) 多功能清洁器具
KR101333102B1 (ko) 무동력 청소기
KR102025847B1 (ko) 수동식 진공청소기
EP1438919A2 (en) Automatic roller wringer for mops and the like
KR20110006014U (ko) 비 겸용 물걸레 수동청소기
KR200458082Y1 (ko) 걸레포 착탈형 물걸레 청소기 및 이를 수용하는 홀더
KR20120036624A (ko) 핸드 청소기
JP2002233485A (ja) 手押掃除機
KR101337037B1 (ko) 진공 물걸레 청소기
KR100495390B1 (ko) 전동 회전식 청소기
KR200467849Y1 (ko) 물걸레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