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3341A - 이차전지 전해액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전해액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3341A
KR20150053341A KR1020130135130A KR20130135130A KR20150053341A KR 20150053341 A KR20150053341 A KR 20150053341A KR 1020130135130 A KR1020130135130 A KR 1020130135130A KR 20130135130 A KR20130135130 A KR 20130135130A KR 20150053341 A KR20150053341 A KR 20150053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solvent
methanol
extraction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1908B1 (ko
Inventor
조규갑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5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908B1/ko
Publication of KR20150053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9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4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electrolyte level, electrolyte density or electrolyte conductiv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 전해액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이차전지 전해액 추출방법은 전해액이 함침된 분리막을 추출용매에 침지하는 단계; 및 상기 침지된 분리막을 초음파 처리하여 상기 분리막에 함침된 전해액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용매는 물, 헥산,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 메탄올 및 에탄올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차전지 전해액 추출방법 {EXTRACTING METHOD FOR SECONDARY BATTERY ELECTROLYTE}
본 발명은 이차전지 전해액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추출용매 및 초음파를 적용하여 이차전지 분리막에 포함된 이차전지 전해액의 조성을 용이하게 추출하여 분석할 수 있는 이차전지 전해액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지는 크게 일차전지와 이차전지로 구분될 수 있다. 일차전지란 비가역적인 반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므로 한 번 사용된 후에는 재사용이 불가능한 전지로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건전지, 수은 전지, 볼타 전지 등이 이에 속하며, 이차전지는 이와는 달리 가역적인 반응을 이용하여 사용 후 충전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전지로서 납축전지, 리튬 이온 전지, 니카드(Ni-Cd) 전지 등이 이에 속한다.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무선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에너지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는 이차전지의 장점으로 인해 매우 다양화되어 가고 있으며, 향후에는 지금보다는 많은 분야와 제품들에 이차전지가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적인 이차전지 단품은 음극, 양극, 전해질, 분리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해질은 이차전지의 양극과 음극간의 이온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매체 역할을 하며, 분리막은 이온이 통과하기 위하여 수십 내지 수백 나노미터 크기의 기공을 포함하는 다공질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양극과 음극의 전기적 접촉으로 인한 단락을 방지하고, 이온 전도성 막으로 기능한다. 고출력 대용량이 요구되는 전기자동차 등의 경우, 이러한 이차전지들이 복수 개로 연결된 이차전지 팩(배터리)을 형성하여 사용한다. 즉, 이차전지 팩의 내부에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 복수 개의 단위 이차전지(단위셀)가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복수 개로 연결된 이차전지 팩은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 및 조립의 용이성을 위해 케이스에 수용되어 배치되기도 한다.
리튬이온전지와 같은 일반적인 이차전지의 전해질은 LiPF6, LiClO4 또는 LiBF4 등의 리튬염 용질을 에틸렌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EC),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DMC), 에틸메틸카보네이트(ethyl methyl carbonate, EMC) 및 디에틸카보네이트(diethyl carbonate, DEC) 등의 비수계, 비양성자성, 극성 유기물질에 용해한, 액체 상태의 전해질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액체 전해질(전해액)은, 이온전도도가 비교적 높고, 저온성능이 비교적 양호하나, 고온 안정성은 다소 불안정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한편, 리튬이온전지 등의 이차전지는 고온으로 인하여 전해질이 발화점(flash point) 이상의 온도를 갖는 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전해질과 양극 활물질에 존재하는 산소(O2) 등의 성분이 서로 격렬한 발열 반응을 일으켜 열폭주(thermal runaway)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열폭주 현상은 리튬이온전지의 충전 시에 특히 발생 가능성이 높으며, 이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리튬이온전지의 전기화학적 성능 감소 및 폭발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해액의 일정한 품질 유지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이유로 인해 미량의 전해액이 함침된 이차전지의 분리막(separator)으로부터 전해액을 추출하여 그 조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분석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76700호에는 리튬이차전지 전해액의 용해가 가능한 비수계용매에 리튬이차전지 전해액을 용해하여 시료를 준비하고; 리튬이차전지 전해액의 용해가 가능한 비수계 용매에 아민화합물을 용해하여 적정액을 제조하고; 그리고 시료에 대하여 적정액으로 적가하여 종말점을 구하여 리튬이차전지 전해액 중에 포함된 불산의 함량을 측정하는; 구성이 개시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0086604호에는 용매용기 내에 용매를 채우고, 상기 용매 속에 전해지를 넣고 가열하고, 용매용기에 냉각수를 이용하여 상기 용매용기 상부로 증발된 용액을 냉각시켜 추출용기에 수득한 다음, 상기 추출용기 내부의 용액을 증류하여 용질을 얻는 전해지에 함침된 전해액 추출 구성이 개시되고 있다.
이때, 추출용매에 대하여 전해액의 유기용매의 끓는점이 현저히 낮은 경우, 추출용기 내 증발된 용액의 대부분은 전해액 용매가 차지하게 되므로 효과적이다. 그러나 리튬이차전지의 경우 전해액에 포함되는 유기용매인 EC, DEC, EMC 및 DMC 등의 끓는점은 각각 250℃, 130℃, 110℃ 및 90℃으로 대부분의 추출용매보다 끓는점이 훨씬 높으며, 전해액 내 리튬염 용질 LiPF6, LiClO4 또는 LiBF4의 끓는점도 각각 200℃, 300℃로 매우 높은 편이다. 따라서 상기 방법으로는 추출용기로 전해액 성분을 추출하기 어렵고, 게다가 고온으로 장시간 동안 가열하여 전해액의 유기용매를 추출시 전해액 성분들의 변질 및 손실이 불가피하다.
또한, 전해액이 과량으로 함침된 전지의 경우는 전지분해 후 전해액을 따라 내거나,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밀도차를 이용하여 전극재, 분리막과 전해액 성분을 분리하여 추출해 낼 수도 있으나, 전해액이 미량으로 함침된 전지의 경우 이마저도 불가능하며, 따라서 새로운 전해액 분석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량의 전해액을 포함하는 분리막에서도 효율적인 전해액의 추출이 가능한 이차전지 전해액 추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시간에 전해액의 추출이 가능하며, 추출시 전해액에 포함된 성분의 변질 및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이차전지 전해액 추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제적 효과가 우수한 이차전지 전해액 추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추출된 이차전지 전해액에 포함되는 성분들을 분석시 정확도, 정밀도, 재현성 및 신뢰성이 우수한 이차전지 전해액 추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이차전지 전해액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이차전지 전해액 추출방법은 전해액이 함침된 분리막을 추출용매에 침지하는 단계; 및 상기 침지된 분리막을 초음파 처리하여 상기 분리막에 함침된 전해액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용매는 물, 헥산,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 메탄올 및 에탄올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추출용매는 물 및 메탄올을 1:0.1~10 부피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초음파 처리는 상기 침지된 분리막에 20~100 kHz의 주파수로 10초 내지 60분 동안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전해액 성분이 리튬염인 경우, 상기 추출용매는 물 또는 물과 메탄올의 혼합용매 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전해액 성분이 유기용매인 경우, 상기 추출용매는 메탄올 또는 물과 메탄올의 혼합용매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전해액 추출방법을 적용시, 미량의 전해액을 포함하는 분리막에서도 효율적인 전해액의 추출이 가능하며, 단시간에 전해액의 추출이 가능하고, 추출시 상기 전해액에 포함된 성분의 변성, 변질 및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저가의 추출용매 및 초음파 처리 구성을 적용하여 경제적 효과가 우수할 수 있으며, 이차전지 전해액 성분의 변질 및 변성을 방지하면서 대량으로 추출하기 때문에, 상기 추출이후 수행되는 기기분석을 통하여 추출된 이차전지 전해액에 포함된 성분들의 분석시 정확도, 정밀도, 재현성 및 신뢰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라면 특별히 그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리튬 이차전지, 니켈-수소(Ni-MH) 이차전지, 니켈-카드뮴(Ni-Cd) 이차전지 등을 들 수 있으나, 그 중에서도 리튬 이차전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이차전지 전해액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이차전지 전해액 추출방법은 (a) 추출용매 침지단계; 및 (b) 초음파 처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방법은 전해액이 함침된 분리막을 추출용매에 침지하는 단계; 및 상기 침지된 분리막을 초음파 처리하여 상기 분리막에 함침된 전해액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차전지 전해액 추출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a) 추출용매 침지단계
상기 단계는 전해액이 함침된 분리막을 추출용매에 침지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는 상기 추출용매에 의해 상기 분리막에 포함된 전해액의 성분들을 용해시키는 목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추출용매로는 물, 헥산,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 메탄올 및 에탄올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종류의 추출용매를 사용시, 상기 전해액에 포함된 성분들과의 용해도가 우수하여 전해액 추출효율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추출용매로는 물 및 메탄올을 1:0.1~10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 및 메탄올을 1:0.1~5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 및 메탄올을 1:0.5~3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전해액에 포함된 성분들과의 용해도가 우수하여 전해액 추출효율이 우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이차전지의 전해액 성분이 리튬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추출용매는 물 또는 물과 메탄올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 및 메탄올을 1:0.5~3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상기 전해액에 포함된 성분에 대한 용해도가 우수하여 전해액 추출효율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차전지의 전해액 성분이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추출용매는 메탄올 또는 물과 메탄올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 및 메탄올을 1:0.5~3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상기 전해액에 포함된 성분에 대한 용해도가 우수하여 전해액 추출효율이 우수할 수 있다.
(b) 초음파 처리단계
상기 단계는 상기 침지된 분리막을 초음파 처리하여 상기 분리막에 함침되어 용해된 전해액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는 상기 추출용매에 의해 침지된 전해액의 변성 및 손상을 방지하면서 상기 용해된 전해액을 단시간에 추출하는 목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처리는 통상적인 초음파 장치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초음파 처리는 상기 침지된 분리막에 20~100 kHz의 주파수로 10초 내지 60분 동안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0~50 kHz의 주파수로 1분 내지 20분 동안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초음파 처리시 상기 추출용매에 의해 침지된 전해액의 변성 및 손상을 방지하면서 상기 용해된 전해액을 단시간에 추출하는 목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처리하여 추출된 전해액은 통상적인 기기분석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추출된 전해액을 GC(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전해액에 포함된 용매 및 용질 성분들의 조성을 추정하고, GC/mass를 이용하여 상기 GC에 의해 추정된 물질을 확인하며 조성(함량)을 추정한 후에 LC(Liquid Chromatography), LC/mass를 이용하여 GC, GC/mass에서 추정되는 물질을 표준으로 하고, 확인된 물질의 정확한 함량을 확인한다.
상기 GC, GC/mass 에서 알아내지 못한 성분은 LC/mass를 사용하여 M.W(molecular weight)를 측정한다. 그 다음에, IR(infrared resonance spectroscopy) 및 NMR(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중 하나 이상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상기 분석된 성분들의 데이터 피크(peak)를 통해 물질을 알아내고, 상기 물질의 정확한 함량을 알아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
실시예
용질로서 리튬염을 사용하고, 유기용매로서 에틸렌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의 분리막을 취하고, 각각 동일한 양의 헥산, 증류수, 아세토 나이트릴, 메탄올과, 증류수 및 메탄올을 1:1 부피비로 혼합한 추출용매에 대하여 상기 분리막을 각각 동일한 양으로 침지하였다. 상기 종류의 추출용매에 각각 침지된 리튬 이차전지 분리막에 40kHz의 초음파를 15분 동안 처리하고, 각 추출용매에서 추출된 리튬염 및 에틸렌카보네이트의 추출농도(ppm)를 측정하여 하기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초음파를 적용하지 않고, 상기 리튬 이차전지 분리막을 상기 추출용매에 침지하여 1시간 동안 용해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추출용매에서 추출된 리튬염 및 에틸렌카보네이트의 추출농도(ppm)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상기 표 1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처리 구성을 미적용한 비교예의 경우, 실시예보다 용해시간을 길게 하였음에도 모든 추출용매에서 실시예보다 리튬염 및 에틸렌 카보네이트의 추출농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추출용매 중에서도 특히 물과 메탄올을 혼합한 추출용매에서 상기 리튬염 및 에틸렌카보네이트의 추출효율이 모두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5)

  1. 전해액이 함침된 분리막을 추출용매에 침지하는 단계; 및
    상기 침지된 분리막을 초음파 처리하여 상기 분리막에 함침된 전해액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용매는 물, 헥산,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 메탄올 및 에탄올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전해액 추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매는 물 및 메탄올을 1:0.1~10 부피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전해액 추출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처리는 상기 침지된 분리막에 20~100 kHz의 주파수로 10초 내지 60분 동안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전해액 추출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성분이 리튬염인 경우, 상기 추출용매는 물 또는 물과 메탄올의 혼합용매인 이차전지 전해액 추출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성분이 유기용매인 경우, 상기 추출용매는 메탄올 또는 물과 메탄올의 혼합용매인 이차전지 전해액 추출방법.
KR1020130135130A 2013-11-08 2013-11-08 이차전지 전해액 추출방법 KR102111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130A KR102111908B1 (ko) 2013-11-08 2013-11-08 이차전지 전해액 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130A KR102111908B1 (ko) 2013-11-08 2013-11-08 이차전지 전해액 추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341A true KR20150053341A (ko) 2015-05-18
KR102111908B1 KR102111908B1 (ko) 2020-05-18

Family

ID=53389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130A KR102111908B1 (ko) 2013-11-08 2013-11-08 이차전지 전해액 추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19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9615A1 (ko) * 2019-04-08 2020-10-15 솔브레인 주식회사 전해액 분석용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 전해액 내 리튬 염 정량분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해액의 제조방법
WO2023008873A1 (ko) * 2021-07-30 2023-02-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해액 추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7365U (ko) * 1985-04-19 1986-11-05
JPS61177363U (ko) * 1985-04-19 1986-11-05
KR19990086604A (ko) * 1998-05-29 1999-12-15 권호택 전해지에 함침되어 있는 전해액 추출방법
KR20130076700A (ko) * 2011-12-28 2013-07-08 솔브레인 주식회사 리튬이차전지 전해액 중 불산 함량 측정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분석시약 조성물
JP6022160B2 (ja) * 2012-01-16 2016-11-0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連続板厚測定装置、クラウン検査装置及びその検査方法、リップル検査装置及びその検査方法、ならびにクラウン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7365U (ko) * 1985-04-19 1986-11-05
JPS61177363U (ko) * 1985-04-19 1986-11-05
KR19990086604A (ko) * 1998-05-29 1999-12-15 권호택 전해지에 함침되어 있는 전해액 추출방법
KR20130076700A (ko) * 2011-12-28 2013-07-08 솔브레인 주식회사 리튬이차전지 전해액 중 불산 함량 측정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분석시약 조성물
JP6022160B2 (ja) * 2012-01-16 2016-11-0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連続板厚測定装置、クラウン検査装置及びその検査方法、リップル検査装置及びその検査方法、ならびにクラウン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9615A1 (ko) * 2019-04-08 2020-10-15 솔브레인 주식회사 전해액 분석용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 전해액 내 리튬 염 정량분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해액의 제조방법
WO2023008873A1 (ko) * 2021-07-30 2023-02-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해액 추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1908B1 (ko) 2020-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hore et al. Identification of electrolyte-soluble organic cross-talk species in a lithium-ion battery via a two-compartment cell
Suresh et al. Temperature dependence studies of ac impedance of lithium-ion cells
Fu et al. Lithium difluoro (oxalato) borate/ethylene carbonate+ propylene carbonate+ ethyl (methyl) carbonate electrolyte for LiMn2O4 cathode
Liu et al. Failure study of commercial LiFePO4 cells in over-discharge conditions using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KR101822703B1 (ko) 비수 전해액 2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847550B1 (ko)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 및 당해 전지의 제조 방법
Belov et al. GBL-based electrolyte for Li-ion battery: thermal an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KR101776519B1 (ko) 재이용 가능한 비수 전해액 2차 전지의 선별 방법
Chen et al. Investigation of a novel ternary electrolyte based on dimethyl sulfite and lithium difluoromono (oxalato) borate for lithium ion batteries
Qin et al. Electrolyte additive to improve performance of MCMB/LiNi1/3Co1/3Mn1/3O2 Li-ion cell
CN111699585A (zh) 堆叠-折叠型电极组件和包括该堆叠-折叠型电极组件的锂金属电池
CN112557931A (zh) 金属锂电池健康程度的检测装置及方法
KR101942496B1 (ko) 진동을 이용한 전지셀 제조용 가스 트랩 제거 장치
El Khakani et al. Redox shuttles for lithium-ion batteries at concentrations up to 1 M using an electroactive ionic liquid based on 2, 5-di-tert-butyl-1, 4-dimethoxybenzene
US11024898B2 (en) Lithium-ion battery high temperature aging process
KR101811952B1 (ko) 재이용 가능한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의 선별 방법
JP2010262867A (ja) 二次電池の製造方法
Cui et al. Electrochemical performances of a novel lithium bis (oxalate) borate-based electrolyte for lithium-ion batteries with LiFePO 4 cathodes
KR102111908B1 (ko) 이차전지 전해액 추출방법
JP2014127283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容量回復方法
Sun et al. Electrochemical and impedance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lithium malonate on the performance of natural graphite electrodes in lithium-ion batteries
JP6897411B2 (ja) 二次電池の製造方法
Li et al. Effect of sulfolane and lithium bis (oxalato) borate-based electrolytes on the performance of spinel LiMn 2 O 4 cathodes at 55 C
JP7025715B2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の再利用方法
JP7412389B2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およ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