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3183A - 구이 장치 - Google Patents

구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3183A
KR20150053183A KR1020130135048A KR20130135048A KR20150053183A KR 20150053183 A KR20150053183 A KR 20150053183A KR 1020130135048 A KR1020130135048 A KR 1020130135048A KR 20130135048 A KR20130135048 A KR 20130135048A KR 20150053183 A KR20150053183 A KR 20150053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heating
coupled
column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4988B1 (ko
Inventor
김기용
김기영
김기덕
Original Assignee
김기용
김기덕
김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용, 김기덕, 김기영 filed Critical 김기용
Priority to KR1020130135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988B1/ko
Publication of KR20150053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3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둥부, 상기 기둥부에 연결되어 있고, 승강 또는 회전할 수 있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있고, 열원이 위치할 수 있는 가열부, 그리고 상기 가열부 위에 배치되어 상기 기둥부와 연결되어 있고, 구이물이 놓일 수 있는 불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구이 장치{Roa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고기류와 같은 구이물은 전기, 숯불, 가스불 등을 열원으로 사용하는 구이 장치를 이용하여 구이를 하게 된다.
구이 장치는 열원이 위치하는 가열부와, 가열부 위에 배치되고 구이물이 올려지는 불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불판에서 익은 구이물을 뒤집어 주지 않거나, 외부로 옮기지 않게 되면 열원의 열이 구이물에 지속적으로 가해지면서 구이물이 타버리게 되었다.
구이물이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이가 완료된 구이물을 구이 장치 외부로 옮겨야 했다. 외부로 옮겨진 구이물에는 열원 열이 전달되지 않아 구이물이 식게 되면서 그 맛이 저하되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51856호 (2012.05.24) 등록특허공보 제10-0863801호 (2008.10.14)
본 발명은 열원과 구이물의 간격을 조절하는 동시에 구이물이 열원에 노출되는 시간을 적절히 조절하여 구이물이 타지 않도록 하고, 구워진 구이물이 따뜻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구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구이 장치는 기둥부, 상기 기둥부에 연결되어 있고, 승강 또는 회전할 수 있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있고, 열원이 위치할 수 있는 가열부, 그리고 상기 가열부 위에 배치되어 상기 기둥부와 연결되어 있고, 구이물이 놓일 수 있는 불판을 포함한다.
상기 기둥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복수의 결합홀이 형성된 결합부, 상기 결합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다리 부재,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고 상기 다리 부재에 연결된 조절 부재, 그리고 상기 결합부에 배치되어 있는 수준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기둥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설치 공간을 가지는 본체, 상기 설치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기둥부가 관통하고,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가열부를 지지하는 회전부, 그리고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회전부와 동력 연결된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둥부는 상기 본체와 상기 회전부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는, 상기 기둥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1 치차,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치차와 맞물리는 제2 치차, 상기 제2 치차 일면과 상기 설치 공간 둘레면 사이에 배치된 드럼, 상기 드럼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디스크, 그리고 상기 드럼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디스크를 상기 제2 치차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디스크와 상기 제2 치차 사이에는 돌기와 돌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치차에는 감속모터 또는 레버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와 상기 가열부가 접하는 부분과, 상기 기둥부와 상기 불판이 접하는 부분은 하부측에서 상부측 방향으로 단면적이 협소해지고, 상기 구동부와 상기 가열부, 그리고 상기 기둥부와 상기 불판은 헐거운끼워맞춤 될 수 있다.
상기 열원은 상기 가열부의 1/3부분에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이 장치는 상기 가열부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불판에 걸리는 걸이 그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판은, 상기 기둥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어 있고,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복수의 프레임, 그리고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을 연결하는 테두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이 장치는, 열원이 위치할 수 있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 위에 배치되어 있고, 구이물이 올려질 수 있는 불판, 상기 가열부에 결합되어 있고 내부가 상하 관통된 기둥부, 상기 기둥부에 지지되어 상기 불판과 연결되어 있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으로 상기 불판은 승강 또는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기둥부는, 상기 가열부에 결합되어 있는 체결 부재 및 상기 체결 부재에 결합되어 있고, 내부가 상하 관통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된 기둥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기둥부 내부에 동작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내부가 상하 관통된 승강 몸체, 상기 승강 몸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제1 치차, 상기 기둥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치차와 맞물리는 제2 치차, 상기 승강 몸체 내부에 위치하고 일측이 상기 불판과 연결된 축 부재, 그리고 상기 승강 몸체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축 부재 타측과 연결된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치차에는 감속모터 또는 레버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이 장치는 상기 가열부에 연결되어 있는 지지앵글 및 상기 지지앵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지지앵글을 받치는 다리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부의 결합홀에 회전부의 결합 돌기가 헐거운끼워맞춤 형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가열부와 회전부 사이에 틈새가 발생 있다. 회전중인 가열부를 잡으면 가열부는 정지하며, 틈새에 의해 가열부의 정지력이 회전부에 전달되지 않아 구동모터와 동력 연결된 회전부는 지속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가열부가 정지된 상태에서도 회전부가 회전하므로 구동모터에 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부와 회전부를 서로 연결하는 결합 돌기와 결합홀의 단면 모양이 원뿔대 모양으로 형성되어 결합 돌기와 결합홀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결합 돌기와 결합홀의 원뿔대 단면 모양에 의해 가열부는 회전부에 흔들리지 않고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면이 경사져 있는 상태에서 조절 부재를 이용하여 지면과 다리 부재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여 구이 장치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의 수준기를 확인하면서 수평을 조절하므로 구이 장치의 수평을 더욱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크가 드럼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돌기가 돌기홈에 결합되면 제2 치차는 회전되지 못하여 제1 치차에 걸려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제2 치차가 회전되지 못하므로 본체와 회전부를 통해 연결된 가열부에 큰 하중이 가해져도 본체는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둥부, 구동부, 가열부, 불판, 그리고 지지부들은 분리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가 분리되므로 구이 장치의 휴대 및 보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구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구이 장치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구이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지지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승강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승강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한 가열부와 불판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3에 도시한 불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한 프레임만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도시한 프레임에 적용될 수 있는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구이 장치 저면 사시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한 구이 장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도 11에 도시한 XIV-XIV선을 따라 구이 장치를 자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구이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구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구이 장치를 나타낸 하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구이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구이 장치(2)는 부피를 최소화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구이물이 타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기둥부(10), 지지부(20), 구동부(30), 가열부(50), 그리고 불판(60)을 포함한다.
기둥부(10)는, 구이 장치를 지지하는 것으로, 기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다단 형태의 끼움 돌기(11)가 형성되어 있다. 끼움 돌기(11)의 단면 모양은 원뿔대 모양으로 형성되어 하부측에서 상부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협소해진다. 기둥부(10)의 하부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20)는, 구이 장치를 야외 등에서 사용할 때 기둥부(10)가 세워질 수 있도록 지지하며, 기둥부(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지지부(20)는 결합부(21), 다리 부재(22), 조절 부재(23), 그리고 수준기(24)를 포함한다.
결합부(21)는 너트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기둥부(10)의 나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결합부(21)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결합홀(211)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결합홀(211)은 하면과 측면이 개방되어 있다.
다리 부재(22)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각 결합홀(211)에 결합되어 있다. 다리 부재(22)의 일측은 결합홀(211)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결합부(21)에 힌지핀(212)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다리 부재(22)의 회전 범위는 지면의 경사, 굴곡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리 부재(22)의 타측은 지면에 접하며 합성수지, 고무 따위로 이루어진 패드(221)가 결합되어 있다. 패드(221)는 다리 부재가 지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고, 다리 부재(22)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다리 부재(22)를 세 개로 도시하였으나, 구이 장치(1)의 크기에 따라 다리 부재(22)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조절 부재(23)는 지면의 경사 굴곡에 따라 다리 부재(22)의 회전 범위를 설정하는 것으로, 힌지핀(212)과 결합홀(211) 개방된 측면 사이에 위치하여 결합부(21)와 다리 부재(22) 일측을 관통하고 있다. 조절 부재(23)는 볼트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직경부(231a) 및 제2 직경부(231b)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직경부(231a)의 직경은 제2 직경부(231b)의 직경보다 크다. 제1 직경부(231a)와 제2 직경부(231b)의 직경 차이에 의해 제1 직경부(231a)와 제2 직경부(231b)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된다.
제1 직경부(231a)는 결합부(21)를 관통하고, 제2 직경부(231b)는 다리 부재(22)를 관통한다. 제2 직경부(231b)가 관통하는 다리 부재(22)의 구멍 직경은 제1 직경부(231a)의 직경보다는 작으므로 단차 부분이 다리 부재(22)의 상면 부분에 걸리게 된다. 단차가 다리 부재(22)에 걸리면 다리 부재(22)의 회전 범위가 제안된다.
그리고 다리 부재(22)를 관통한 제2 직경부(231b) 단부에는 고정 부재(232)가 결합되어 있다. 고정 부재(232)는 핀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조절 부재(23)가 상승할 때 다리 부재(24)를 끌어올릴 수 있다.
조절 부재(23)의 단부는 다리 부재(22)에 체결되어 있다. 조절 부재(23)의 단부는 다리 부재(22)에 접하거나,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조절 부재(23)가 결합홀(211) 내부로 삽입될수록 다리 부재(22)의 타측은 지면 방향으로 회전하여 결합홀(211)의 상면과 다리 부재(22)의 상면이 이루는 경사각(D)이 커질 수 있다. 조절 부재(23)를 이용하여 지면의 경사, 굴곡에 따라 경사각(D)을 조절하여 구이 장치(1)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수준기(24)는 구이 장치(1)의 수평을 확인하는 것으로 결합부(21)에 결합되어 있다. 수준기(24)는 막대형, 관형,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3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부(10)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회전력이 발생한다. 구동부(30)는 본체(31), 승강부(40), 회전부(46), 그리고 구동모터(47)를 포함한다.
본체(31)는 기설정된 넓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설치 공간(311)과 관통홀(312)이 형성되어 있다. 설치 공간(311)은 본체(31)의 하부측에 위치하며, 기둥부(10)가 설치 공간(311)과 관통홀(312)을 관통한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승강부(40)는 본체(31)를 기둥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시키며, 제1 치차(41), 샤프트(42), 제2 치차(43), 디스크(45), 그리고 탄성 부재(454)를 포함한다.
제1 치차(41)는 곧은 막대에 톱니를 절삭한 래크(rack)로 형성되어 있고, 기둥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제1 치차(41)는 기둥부(10)에 용접, 리벳, 볼트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샤프트(42)는 기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설치 공간(311)에 위치하고 기둥부(10)와 간격을 두고 마주하며 교차한다. 샤프트(42)의 양측은 설치 공간(3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샤프트(42)의 일측에는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는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레버(421)가 연결되어 있다. 레버(421)의 조작으로 샤프트(42)가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레버(421)는 생략되고, 샤프트(42)에 감속모터(도시하지 않음)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치차(43)는 샤프트(42)에 결합되어 제1 치차(41)와 교차하며, 제1 치차(41)에 맞물려 있다. 제2 치차(43)는 샤프트(42)와 키 결합되어 샤프트(42)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제1 치차(41)에 맞물려 이동하게 된다. 제2 치차(43)의 회전 방향에 따라 본체(31)는 기둥부(10)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하게 된다.
본 실시예서, 제1 치차(41)를 래크로, 제2 치차(43)를 피니언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치차(41)와 제2 치차(43)는 웜기어, 훰휠, 스크류, 액추에이터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치차(43)와 설치 공간(311) 내부면 사이에는 드럼(44)이 위치하고, 드럼(44) 내부에 디스크(45)가 배치되어 있다. 드럼(44)의 내부면과 디스크(45) 외부면 사이에는 가이드 돌기(431)와 가이드홈(441)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돌기(431)가 가이드홈(441)에 결합되어 디스크(45)는 드럼(44) 내부에서 회전되지 않고 직선 이동한다.
디스크(45)는 제2 치차(43)의 일면과 마주하며, 디스크(45)와 제2 치차(43) 사이에는 돌기(431)와 돌기홈(453)이 형성되어 있다. 돌기(431)와 돌기홈(453)은 원기둥,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돌기(431)는 돌기홈(453)에 거치되는 형식으로 결합된다.
디스크(45)가 드럼(44)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돌기(431)가 돌기홈(453)에 결합되면 제2 치차(43)는 회전되지 못하여 제1 치차(41)에 걸려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제2 치차(43)가 회전되지 못하므로 본체(31)에 큰 하중이 가해져도 본체(31)는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탄성 부재(454)는 드럼(44)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디스크(45)가 제2 치차(43)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디스크(45)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탄성 부재(454)의 탄성력에 의해 돌기(431)가 돌기홈(453)에 지속적으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탄성 부재(454)의 탄성력보다 큰 힘으로 샤프트(42)를 회전시키면 돌기(431)는 돌기홈(453)에서 벗어날 수 있고, 디스크(45)는 돌기(431)에 의해 후퇴하며, 제2 샤프트(42)는 회전될 수 있다. 제2 샤프트(42)의 회전으로 제2 치차(43)가 회전되어 본체(31)는 기둥부(10) 길이를 따라 승강할 수 있다.
샤프트(42)에 감속모터가 연결될 경우, 드럼(44), 디스크(45), 그리고 탄성 부재(454)는 생략될 수 있다.
회전부(46)는 가열부(50)를 지지하고 회전하는 것으로, 회전 몸체(461)와 결합 돌기(462)를 포함한다.
회전 몸체(461)는 본체(31)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고, 기둥부(10)가 내부를 관통한다. 회전 몸체(461)의 내부면과 기둥부(10)의 외부면은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본체(31)에 접하는 회전 몸체(461) 부분에는 베어링(463)이 배치되어 있으며, 베어링(463)은 회전 몸체(461)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회전 몸체(46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결합 돌기(462)는 회전 몸체(461)의 상단에 다단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 돌기(462)는 원뿔대 모양으로 형성되어 하부측에서 상부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협소해진다. 결합 돌기(462)는 끼움 돌기(11)보다 하부측에 위치한다.
구동모터(47)는 회전부(46)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본체(31)에 결합되어 있다. 구동모터(47)는 회전부(46)와 동력 전달부(48)로 동력 연결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력 전달부(48)를 기어로 도시하였으나, 동력 전달부(48)는 풀리, 벨트, 체인, 와이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모터(47)의 구동력이 동력 전달부(48)를 통해 회전부(46)에 전달되어 회전부(46)는 축 회전할 수 있다.
가열부(50)는 보관 몸체(51) 및 돌출부(52)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관 몸체(51)의 상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숯 등의 열원이 배치될 수 있는 열원 배치홀(511)이 형성되어 있다. 열원 배치홀(511)은 보관 몸체(51)의 바닥면 1/3 부분에만 형성되어 있다. 열원 배치홀(511)의 형성 넓이는 보관 몸체(51)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열원 배치홀(511)이 형성되지 않은 보관 몸체(51)에는 물, 기름 등의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홀(512)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홀(512)이 형성된 보관 몸체(51) 바닥면에는 유체를 배출홀(512)로 안내하는 기름골(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보관 몸체(51)의 하면에는 배출홀(512)에서 배출되는 유체를 회수하는 회수 용기(513)가 결합될 수 있다. 회수 용기(513)는 가이드 브래킷(514)에 의해 보관 몸체(51)에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보관 몸체(51)를 평면에서 본 모양은 원모양이다. 그러나 보관 몸체(51)를 평면에서 본 모양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다각형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52)는 보관 몸체(51)의 중앙에서 상부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결합 돌기(462)가 결합된 결합홀(521)이 상하 관통되어 있다. 결합홀(521)의 내부면은 결합 돌기(462)와 대응되는 원뿔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뿔대 모양에 의해 결합 돌기(462)와 돌출부(52)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열원 몸체(61)는 회전부(46)에 흔들리지 않게 결합될 수 있다(도 7 참고).
그리고 결합 돌기(462)가 결합홀(521)에 결합될 때 헐거운끼워맞춤 형태로 결합된다. 보관 몸체(51)는 결합 돌기(462)와 결합홀(521)의 결합에 의해 구동부(30)를 따라 승강하며, 회전부(46)를 따라 회전한다. 결합 돌기(462)와 결합홀(521)이 헐거운끼워맞춤 되어 있으므로 가열부(50)을 잡게 되면 가열부(50)는 회전부(46)를 따라 회전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회전부(46)는 지속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결합 돌기(462)와 결합홀(521)이 억지끼움 또는 키 방식 등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가열부(50)을 잡게 되면 가열부(50)는 정지하게 된다. 이때 가열부(50)의 정지력이 회전부(46)를 통하여 구동하고 있는 구동모터(47)에 전달될 수 있다. 구동하고 있던 구동모터(47)가 외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멈추게 되면서 구동모터(47)에 많은 부하가 발생하게 되어 구동모터(47)는 손상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결합 돌기(462)와 결합홀(521)이 헐거운끼워맞춤되어 있어 가열부(50)가 정지하더라도 그 정지력이 구동모터(47)에 전달되지 않아 가열부(50)가 정지하더라도 구동모터(47)는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47)에 부하가 발생하지 않아, 구동모터(47)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불판(60)은 가열부(50) 위에 배치되며, 평면에서 본 모양은 가열부(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불판(60)은 링 형태의 테두리(611)에 단면 모양이 원형인 프레임(612) 들이 그물처럼 엮여 있는 몸체(61)와, 몸체(61)에 결합된 연결부(62)를 포함한다. 몸체(61)는 중앙에서 외측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구이물이 올려질 수 있으며, 중앙에는 연결부(62)가 결합되어 있다. 연결부(62)는 용접 방식으로 몸체(61)의 중앙에 결합되어 있고, 상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마늘 등의 구이물을 올려놓을 수 있는 구이 공간(622)이 형성되어 있다. 불판(60)이 가열부(50) 위에 위치할 때 연결부(62)의 하면 중앙은 기둥부(10)와 마주한다. 연결부(62)의 하면 중앙에는 끼움 돌기(11)가 결합되는 끼움홀(621)이 형성되어 있다. 끼움홀(621)의 내부면은 끼움 돌기(11)와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끼움 돌기(11)와 끼움홀(621)이 원뿔대 모양으로 형성되어 끼움 돌기(11)와 연결부(62)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불판(60)은 기둥부(10)에 흔들리지 않게 결합될 수 있다(도 7 참조).
첨부된 도 7에서 프레임(612)을 변화없이 도시하였으나, 연결부(62)에서 테두리(611) 방향으로 갈수록 프레임(612)의 단면적을 증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불판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불판(60)은 가열부(50) 위에 위치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7에 대한 불판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다만, 프레임의 구조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불판(60)의 프레임(612)은 일측(612a)에서 타측(612b)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프레임(612)의 단면적이 좁은 부분은 연결부(62)와 결합되고, 단면적이 넓은 부분은 테두리(61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612)은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그러나 프레임(612)은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은 변화하지 않을 수 있다. 프레임(612)의 단면 모양은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마름모, 직사각, 정사각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612)의 단면 모양을 도 10의 (a), (b), (c), (d)의 모양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프레임(612)의 단면 모양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구이 장치(1)는 걸이 그릴(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고하면, 걸이 그릴(70)은 가열부(50)의 외측에 위치하며 수용부(71)와 걸이부(72)를 포함한다.
수용부(71)는 가열부(50)의 외부 둘레면에 밀착되고 망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고구마, 밤, 옥수수 등의 구이물이 수용될 수 있다.
걸이부(72)는 가열부(50)와 접하는 수용부(71) 부분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불판(60)의 테두리(611)에 걸릴 수 있도록 상단부가 구부러져 있다.
이와 같은 구이 장치(1)의 기둥부(10), 지지부(20), 구동부(30), 가열부(50), 그리고 불판(60) 들이 서로 분리 결합될 수 있다. 이들을 분리하면 부피가 최소화되므로 구이 장치의 휴대 및 보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음은 위에서 설명한 구이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이 장치(1)를 야외에서 지면에 놓고 사용할 경우, 기둥부(10), 구동부(30), 가열부(50), 그리고 지지부(20)를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지면에 세워놓는다. 그러나 구이 장치(1)를 테이블에 설치할 경우, 가열부(50)를 테이블에 형성된 홀에 위치하고, 다리 부재(24)는 테이블 하부에 위치하여 테이블의 다리에 연결하여 구이 장치(1)를 테이블에 설치한다.
그리고 구이 장치(1)가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수준기(24)를 확인하면서 다리 부재(22)와 결합부(21)가 이루는 경사각(D)을 조절 부재(23)를 이용하여 조절하여 구이 장치(1)의 수평을 조절한다. 구이 장치(1)의 수평이 조절되면 열원을 열원 배치홀(511)에 배치한 후 불판(60)을 기둥부(10)에 결합한다. 위 설명에서 구이 장치(1)의 수평을 조절한 뒤 가열부(50)에 열원을 배치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열원 배치홀(511)에 열원이 배치된 상태에서 구이 장치(1)의 수평을 조절할 수도 있다.
구동모터(47)의 구동력이 회전부(46)를 통해 가열부(50)에 전달되면서 가열부(50)가 불판(60) 하부에서 기둥부(10)를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불판(60)에 구이물이 올려지면 가열부(50)의 회전으로 열원이 구이물 하부를 지나면서 구이물이 구워질 수 있다. 그리고 걸이 그릴(70)에 수용된 구이물 또한 열원의 열에 의해 구이 될 수 있다.
열원이 불판(60)에 놓인 구이물 하부를 지나면서 구이물이 구워지므로, 구이가 완료된 구이물과 열원의 접촉 시간이 최소화되어 구이물이 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몸체(61)가 중앙에서 외측 방향으로 경사져 있어 구이물이 구워지면서 발생한 기름은 중력에 의해 경사진 프레임(612)을 따라 몸체(61)의 외측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기름이 몸체(61)의 외측에서 보관 몸체(51)의 바닥면으로 떨어지므로 열원에 직접적으로 떨어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기름이 열원에 떨어지면서 발생하는 연기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보관 몸체(51) 바닥면으로 떨어진 기름은 배출홀(512)을 통하여 회수 용기(513)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612)의 단면적이 외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므로 구이물에서 발생한 기름이 프레임(612)에 맺힐 수 있고, 맺힌 기름은 프레임(611)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흐르게 되어 중간에 가열부(50)로 떨어지지 않고 테두리(611) 부분까지 흐를 수 있다.
구이물이 구워짐에 따라 열원과 구이물의 간격을 조절해야 할 경우 이용자는 레버(421)를 돌려 샤프트(42)를 회전시키며, 샤프트(42)의 회전에 의해 제2 치차(43)가 회전된다. 레버(421)를 돌리는 힘이 탄성 부재(454)의 탄성력보다 크면 돌기(431)는 돌기홈(453)에서 벗어날 수 있고, 돌기(431)가 돌기홈(453)을 벗어나게 되면서 제2 치차(43)는 회전되면서 제1 치차(41)에 맞물려 이동하게 된다.
제2 치차(43)의 회전 방향에 따라 본체(31)는 제1 치차(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제2 치차(43)가 제1 치차(41) 상부측으로 이동하면 본체(31)가 승강하여 가열부(50)가 불판(6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열원과 구이물의 간격은 좁혀 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2 치차(43)가 제1 치차(41) 하부측으로 이동하면 본체(31)는 하강하여 가열부(50)가 불판(6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열원과 구이물의 간격이 벌어질 수 있다.
가열부(50)의 결합홀(521)에 회전부(46)의 결합 돌기(462)가 헐거운끼워맞춤 형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회전중인 가열부(50)를 잡게 되면 가열부(50)는 정지하고 구동모터(47)와 연결된 회전부(46)는 지속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가열부(50)가 정지된 상태에서도 회전부(46)가 회전하므로 구동모터(47)에 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구이 장치 저면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1에 도시한 구이 장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은 도 11에 도시한 XIV-XIV선을 따라 구이 장치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구이 장치(2)는 부피를 초소화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구이물이 타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기둥부(10), 지지부(20), 구동부(30), 가열부(50), 불판(60), 걸이 그릴(7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불판(60)은 열원이 수용될 수 있는 가열부(50) 위에 배치되어 있고, 불판(60) 위로 구이물이 올려질 수 있다. 가열부(50), 불판(60) 및 걸이 그릴(70)은 도 1 내지 도 10의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 불판 및 걸이 그릴과 같은 구성 및 작용을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둥부(10)는 가열부(50)의 하면 중앙에 배치되어 구동부(30)를 지지한다. 기둥부(10)는 기둥 부재(12), 브래킷(14), 그리고 체결 부재(13)를 포함한다.
기둥 부재(12)는 기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고,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부(12a)되어 외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측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14)은 기둥 부재(12)의 절개부(12a) 부분에 결합되어 있으며, 절개부(12a)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브래킷(14)을 평면에서 본 모양은 전방이 개방된 "ㄷ"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체결 부재(13)는 너트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가열부(50)의 중앙에 결합되어 있다. 기둥 부재(12)의 나사 부분이 체결 부재(13)에 결합되면서 기둥 부재(12)는 가열부(50)와 연결될 수 있다. 가열부(50)의 내부와 기둥 부재(12)의 내부는 연통 된다. 체결 부재(13)는 생략될 수 있고, 이때 기둥 부재(12)는 가열부(50)의 중앙에 형성된 체결홀(도시하지 않음)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구동부(30)는 불판(60)을 회전 및 승강시키는 것으로 승강 몸체(49), 제1 치차(41), 제2 치차(43), 축 부재(492), 그리고 구동모터(47)를 포함한다.
승강 몸체(49)는 기둥 부재(12) 내부를 관통하며, 상부측은 가열부(5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승강 몸체(49)의 하부측은 기둥 부재(12) 하부로 돌출되어 있고, 플랜지(491)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치차(41)는 승강 몸체(49)의 외부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기둥 부재(12)의 절개된 부분을 통하여 기둥 부재(12)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제1 치차(41)는 래크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치차(43)는 기둥 부재(12)의 절개부(12a)에 위치하여 브래킷(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2 치차(43)는 제1 치차(41)에 맞물리는 피니언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치차(43)에는 감속모터(432) 또는 레버(도시하지 않음)가 결합되어 있다. 제2 치차(43)에 레버가 결합된 경우 브래킷(14)과 제2 치차(43) 사이에는 도 1 내지 도 10 실시예에 따른 드럼(44), 디스크(45), 그리고 탄성 부재(454)가 브래킷(14)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치차(43)와 디스크(45) 사이에는 돌기와 돌기홈이 형성될 수 있다.
감속모터(432) 또는 레버의 구동력에 의해 제2 치차(43)가 회전되면 제1 치차(41)가 움직이게 되면서 승강 몸체(49)가 움직일 수 있다. 제2 치차(43)에 레버가 연결될 경우 레버의 길이를 가열부(50)의 반경보다 길게 형성하여 이용자가 가열부(50) 하부로 손을 넣지 않도록 한다.
감속모터(432)가 구동하지 않을 때에는 승강 몸체(49)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감속모터(432)는 브레이크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치차(43)에 레버가 결합된 경우 별도의 제2 치차(43)에 별도의 브레이크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축 부재(492)는 승강 몸체(49)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이 승강 몸체(49) 외부로 돌출되어 불판(60)에 연결되어 있다. 축 부재(492)의 타측은 승강 몸체(49) 하부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구동모터(47)는 승강 몸체(49)의 플랜지(491) 부분에 고정되어 있으며, 축 부재(492)와 동력 연결되어 있다. 구동모터(47)의 구동으로 축 부재(492)가 회전되면 불판(60)이 회전할 수 있다.
한편, 구동모터(47)가 승강 몸체(49)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승강 몸체(49) 승강 시 구동모터(47) 및 축 부재(492)가 승강 몸체(49)를 따라 승강할 수 있다.
그리고 감속모터(431)가 정지 상태에서는 브레이크 역할을 하게 되어 불판(60)에 많은 구이물이 올려져 있어도 승강 몸체(49)는 하강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이 장치(2)는 가열부(50)를 받치는 지지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0)는 지지앵글(25) 및 다리 부재(22)를 포함한다.
지지앵글(25)은 내부가 상하 관통된 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단면은 "ㄴ"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열부(50)가 지지앵글(25)에 올려지면서 지지앵글(25)과 가열부(50)가 연결된다.
다리 부재(22)는 기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이 지지앵글(25)에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지면에 접할 수 있다. 다리 부재(22)의 일측은 지지앵글(25)에 힌지로 접힘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다리 부재(22)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형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구이 장치(2)는 테이블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가열부(50)를 지지앵글(25)에서 분리한 뒤 가열부(50)를 테이블에 형성된 홀 부분에 위치시켜 설치한다.
다음은 위에서 설명한 구이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가열부(50), 기둥부(10), 구동부(30), 그리고 지지부(20)를 순차적으로 결합한다. 구이 장치(2)를 야외에서 사용할 경우 지지부(20)의 다리 부재(22)는 지면에 접하도록 한다. 구이 장치(2)가 테이블에 설치할 경우 가열부(50)를 테이블의 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다리 부재(22)를 테이블의 다리에 연결하여 구이 장치(2)를 테이블에 설치한다.
구이 장치(2)의 설치가 완료되면 가열부(50)에 열원을 위치시키고, 불판(60)을 축 부재(492)에 결합한다. 구이 장치(2)를 야외에서 사용할 경우 걸이 그릴(70)을 불판(60)에 걸어 연결한다. 구이 장치(2)의 설치가 완료되면 불판(60), 구이공간(622), 그리고 걸이 그릴(70)에 구이물을 올려놓는다.
구이물이 올려진 상태에서 구동모터(47)가 구동하면 축 부재(492)가 회전되면서 불판(60)이 회전한다. 불판(60)의 회전으로 구이물이 열원을 지나게 되면서 구이물은 구워질 수 있다. 그리고 불판(60)에서 구이물이 구워질 때 구이물에서 기름이 발생하며, 기름은 경사진 프레임(612)을 따라 불판(60) 외측으로 흐르게 된다. 기름이 불판(60) 외측으로 흐르게 되면서 열원에 떨어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기름이 열원에 의해 타면서 일어날 수 있는 연기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불판(60) 외측으로 흐른 기름은 자중에 의해 가열부(50) 바닥면으로 떨어져 배출홀(512)로 흘러 회수 용기(513)에 유입될 수 있다.
구이물이 구워짐에 따라 열원과 구이물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감속모터(432)를 구동시키면 제2 치차(43)가 회전되면서 제1 치차(41)가 결합된 승강 몸체(49)가 승강한다. 승강 몸체(49) 승강으로 구동모터(47)와 축 부재(492)가 승강하게 되면서 불판(60)이 승강할 수 있다. 감속모터(432)의 회전 방향에 따라 불판(60)은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따라서, 구이물과 열원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구이물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불판의 회전으로 열원에 구이물이 노출되는 것이 최소화되어 구이물은 타지 않고 따뜻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10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2: 구이 장치 10: 기둥부
11: 끼움 돌기 12: 기둥 부재
13: 체결 부재 14: 브래킷
20: 지지부 21: 결합부
211: 결합홀 212: 힌지핀
22: 다리 부재 221: 패드
23: 조절 부재 24: 수준기
25: 지지앵글 30: 구동부
31: 본체 311: 설치 공간
312: 관통홀 40: 승강부
41: 제1 치차 42: 샤프트
421: 레버 43: 제2 치차
431: 돌기 432: 감속모터
44: 드럼 441: 가이드홈
45: 디스크 452: 가이드 돌기
453: 돌기홈 454: 탄성 부재
46: 회전부 461: 회전 몸체
462: 결합 돌기 463: 베어링
47: 구동모터 48: 동력 전달부
49: 승강 몸체 491: 플랜지
492: 축 부재 50: 가열부
51: 보관 몸체 511: 열원 배치홀
512: 배출홀 513: 회수 용기
514: 가이드 브래킷 52: 돌출부
521: 결합홀 60: 불판
61: 몸체 611: 테두리
612: 프레임 62: 연결부
621: 끼움홀 70: 걸이 그릴
71: 수용부 72: 걸이부

Claims (14)

  1. 기둥부,
    상기 기둥부에 연결되어 있고, 승강 또는 회전할 수 있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있고, 열원이 위치할 수 있는 가열부, 그리고
    상기 가열부 위에 배치되어 상기 기둥부와 연결되어 있고, 구이물이 놓일 수 있는 불판
    을 포함하는 구이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기둥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복수의 결합홀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결합부,
    상기 결합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다리 부재,
    상기 결합부와 상기 다리 부재를 관통하는 조절 부재,
    상기 조절 부재 단부에 결합된 고정 부재, 그리고
    상기 결합부에 배치되어 있는 수준기
    를 더 포함하는
    구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기둥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설치 공간을 가지는 본체,
    상기 설치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가열부를 지지하는 회전부, 그리고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회전부와 동력 연결된 구동모터
    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부는 상기 본체와 상기 회전부를 관통하는
    구이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기둥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1 치차,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치차와 맞물리는 제2 치차,
    상기 제2 치차 일면과 상기 설치 공간 둘레면 사이에 배치된 드럼,
    상기 드럼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디스크, 그리고
    상기 드럼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디스크를 상기 제2 치차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와 상기 제2 치차 사이에는 돌기와 돌기홈이 형성되어 있는
    구이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제2 치차에는 감속모터 또는 레버가 결합되어 있는 구이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구동부와 상기 가열부가 접하는 부분과, 상기 기둥부와 상기 불판이 접하는 부분은 하부측에서 상부측 방향으로 단면적이 협소해지고, 상기 구동부와 상기 가열부, 그리고 상기 기둥부와 상기 불판은 헐거운끼워맞춤되는
    구이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열원은 상기 가열부의 1/3 부분에만 배치되는 구이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가열부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불판에 걸리는 걸이 그릴을 더 포함하는 구이 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불판은,
    상기 기둥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어 있고,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복수의 프레임, 그리고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을 연결하는 테두리
    를 포함하는
    구이 장치.
  10. 열원이 위치할 수 있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 위에 배치되어 있고, 구이물이 올려질 수 있는 불판,
    상기 가열부에 결합되어 있고 내부가 상하 관통된 기둥부,
    상기 기둥부에 지지되어 상기 불판과 연결되어 있는 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으로 상기 불판은 승강 또는 회전할 수 있는
    구이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기둥부는
    상기 가열부에 결합되어 있는 체결 부재 및
    상기 체결 부재에 결합되어 있고, 내부가 상하 관통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된 기둥 부재
    를 포함하는
    구이 장치.
  12. 제10항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기둥부 내부에 동작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내부가 상하 관통된 승강 몸체,
    상기 승강 몸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제1 치차,
    상기 기둥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치차와 맞물리는 제2 치차,
    상기 승강 몸체 내부에 위치하고 일측이 상기 불판과 연결된 축 부재, 그리고
    상기 승강 몸체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축 부재 타측과 연결된 구동모터
    를 포함하는
    구이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제2 치차에는 감속모터 또는 레버가 결합되어 있는 구이 장치.
  14. 제10항에서,
    상기 가열부에 연결되어 있는 지지앵글 및
    상기 지지앵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지지앵글을 받치는 다리 부재
    를 더 포함하는 구이 장치.
KR1020130135048A 2013-11-07 2013-11-07 구이 장치 KR101614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048A KR101614988B1 (ko) 2013-11-07 2013-11-07 구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048A KR101614988B1 (ko) 2013-11-07 2013-11-07 구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183A true KR20150053183A (ko) 2015-05-15
KR101614988B1 KR101614988B1 (ko) 2016-04-22

Family

ID=53389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048A KR101614988B1 (ko) 2013-11-07 2013-11-07 구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9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950B1 (ko) * 2015-10-20 2016-08-18 김우주 캠핑용 회전식 구이장치
KR102463742B1 (ko) * 2022-04-04 2022-11-04 (주)태양홀딩스 숯불구이용 화로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990B1 (ko) * 2016-08-03 2018-02-20 권옥식 회전불판 숯불구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098B1 (ko) 2006-06-15 2007-12-04 주식회사 제이엠씨 숯불 구이기의 컨트롤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950B1 (ko) * 2015-10-20 2016-08-18 김우주 캠핑용 회전식 구이장치
KR102463742B1 (ko) * 2022-04-04 2022-11-04 (주)태양홀딩스 숯불구이용 화로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4988B1 (ko) 2016-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68084C (en) Adjustable fire pit grill
US7878186B2 (en) Outdoor cooker and method of use
KR101614988B1 (ko) 구이 장치
US9808119B1 (en) Grill apparatus that raises and lowers coal grate to and away from food grill
EP3890574B1 (en) Modular hanging barrel system
US20150245740A1 (en) Cooking apparatus
KR101434989B1 (ko) 그릴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음식물 구이기
US3009410A (en) Broiler for shish kebab
KR100572921B1 (ko) 숯불구이장치
KR101286792B1 (ko) 구이용 테이블
US3512515A (en) Outdoor broiler having rotary grill
KR20130134678A (ko) 그릴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고기구이기
KR101806772B1 (ko) 화로구이 장치
KR200338472Y1 (ko) 숯불 고기 구이기의 석쇠 자동조절장치
KR100644844B1 (ko) 회전식 바비큐 장치
KR101334913B1 (ko) 자동 숯불구이장치
KR200397588Y1 (ko) 다단 회전식 바베큐장치
KR101437311B1 (ko)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불판 승강장치
KR100707385B1 (ko) 다단 회전식 바베큐장치
KR101648950B1 (ko) 캠핑용 회전식 구이장치
KR200478143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숯통
KR102169100B1 (ko) 구이 테이블
KR101694398B1 (ko) 높이조절형 꼬치구이장치
KR101624872B1 (ko) 승강식 로스터 장치
CH713457A2 (de) Grillvorricht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