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1129A - 음향 증폭 상자 및 이를 구비하는 음향 증폭 장치 - Google Patents

음향 증폭 상자 및 이를 구비하는 음향 증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1129A
KR20150051129A KR1020140072030A KR20140072030A KR20150051129A KR 20150051129 A KR20150051129 A KR 20150051129A KR 1020140072030 A KR1020140072030 A KR 1020140072030A KR 20140072030 A KR20140072030 A KR 20140072030A KR 20150051129 A KR20150051129 A KR 20150051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ide wall
electronic device
sound
acou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2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7246B1 (ko
Inventor
박인길
노태형
박성철
김영술
정현철
최순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Priority to US14/530,649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50122575A1/en
Priority to TW103137832A priority patent/TW201528829A/zh
Priority to EP14191358.2A priority patent/EP2869597A3/en
Priority to JP2014222574A priority patent/JP2015089137A/ja
Priority to CN201410601833.3A priority patent/CN104618844A/zh
Publication of KR20150051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1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소정의 공명 공간이 마련되고 일 면에 전자기기가 접촉되는 몸체와, 몸체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된 공명 홀과, 전자기기와 접촉되는 일 면의 소정 영역에 형성된 진동 전달부를 포함하는 음향 증폭 상자 및 음향 증폭 장치가 제시된다.

Description

음향 증폭 상자 및 이를 구비하는 음향 증폭 장치{Sound amplication box and device}
본 발명은 음향 증폭 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전원을 이용하지 않고 전자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음향을 증폭시킬 수 있는 음향 증폭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으면서 휴대가 편리한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등의 스마트 기기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음악 및 동영상 감상, 게임, 인터넷 등의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스마트 기기의 기능으로는 음악 및 동영상 감상 등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꼽을 수 있다.
그런데, 스마트 기기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내장된 스피커만을 이용하면 음향이 작기 때문에 이어폰을 이용하거나 조용한 실내에서만 멀티미디어를 즐길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비교적 큰 부피의 휴대용 스피커를 이용할 수 있지만, 휴대용 스피커는 부피가 크고 무겁기 때문에 휴대성에 문제가 있다. 기존의 휴대용 스피커는 울림판이 필요하기 때문에 부피가 클 수밖에 없다. 즉, 울림판이 클수록 소리의 증폭을 크게 하고 울림판을 진동시키기 위한 영구 자석의 세기와 크기에 따라 진동에 의한 음질이 좌우되기 때문에 휴대용 스피커의 부피가 클 수 밖에 없다. 또한, 휴대용 스피커는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원이 공급되는 곳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0-119861호에는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지 않는 스마트폰용 스피커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전원을 이용하지 않고 전자기기의 음향을 증폭할 수 있는 음향 증폭 상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진동을 증폭하여 전자기기의 음향을 증폭할 수 있는 음향 증폭 상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휴대용 압전 스피커를 이용하여 전자기기의 음향을 1차 증폭하고, 휴대용 압전 스피커가 결합된 전자기기를 음향 증폭 상자에 접촉시켜 음향을 2차 증폭할 수 있는 음향 증폭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음향 증폭 상자는 내부에 소정의 공명 공간이 마련되고 일 면에 전자기기가 접촉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된 공명 홀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는 상기 전자기기가 접촉되어 안착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대면하는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 및 하부판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측벽판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판, 하부판 및 적어도 하나의 측벽판은 분리 및 결합된다.
상기 상부판, 하부판 및 측벽판의 변의 소정 영역에 체결부가 마련되어 결합된다.
상기 체결부는 변으로부터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부와,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와, 볼록부 및 오목부가 반복 형성된 요철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측벽판은 상기 하부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접힘 가능하도록 복수 마련되고, 상기 측벽판의 하나는 상기 상부판과도 접힘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일측에 상기 측벽판이 접힘 가능하도록 마련된 상기 상부판은 이와 대향되는 타 측에 외부판이 접힘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하부판의 일 측에 연결된 측벽판을 외측에서 덮도록 상기 외부판이 위치하고 상기 측벽판과 외부판의 접촉면의 소정 영역에 자석이 마련된다.
상기 측벽판은 상기 하부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접힘 가능하도록 복수 마련되고, 상기 측벽판의 둘은 상기 상부판과도 접힘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공명 홀은 상기 하부판에 형성된다.
상기 상부판의 소정 영역에 마련된 진동 전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부판의 소정 영역에 마련된 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상부판은 상기 하부판 및 복수의 측벽판들과 다른 재질로 마련된다.
상기 적어도 상부판은 밀도가 10.0 내지 20.0 kg/㎡이고 탄성 계수가 2500 내지 3500×106N/㎡를 갖는 폴리머와, 상기 폴리머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마련되며 밀도가 100 내지 300kg/㎡이고 탄성 계수가 100 내지 200×106N/㎡를 갖는 펄프가 접착된 샌드위치형으로 마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음향 증폭 장치는 전자기기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음원을 1차 증폭하는 휴대용 압전 스피커; 및 내부에 소정의 공명 공간이 마련되고 일 면에 상기 전자기기가 접촉되어 상기 휴대용 압전 스피커로부터 1차 증폭된 음향을 2차 증폭하는 음향 증폭 상자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기기는 후면에 휴대용 압전 스피커가 결합된다.
상기 휴대용 압전 스피커는 전자기기의 후면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소정 영역에 체결된 압전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압전 스피커 모듈은 압전 소자와, 상기 압전 소자의 적어도 일 영역과 접촉되고 상기 압전 소자의 적어도 일 면과 이격되어 마련된 진동 전달체를 포함한다.
상기 음향 증폭 상자는 상기 전자기기가 접촉되어 안착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대면하는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 및 하부판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측벽판을 포함한다.
상기 공명 홀은 상기 하부판에 형성된다.
상기 상부판의 소정 영역에 마련된 진동 전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부판의 소정 영역에 마련된 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면, 내부에 소정의 공명 공간이 마련된 몸체와, 몸체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된 공명 홀을 포함하는 음향 증폭 상자가 마련되고, 접촉형 압전 스피커가 결합된 휴대 전자기기를 몸체의 상부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압전 스피커가 휴대 전자기기의 음향을 1차 증폭하고, 음향 증폭 상자가 1차 증폭된 음향을 2차 증폭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전원 및 스피커 장치가 필요없이 휴대 전자기기의 음향을 증폭시킬 수 있다.
또한, 음향 증폭 상자를 분리 및 결합 가능하도록 제작함으로써 음향 증폭 상자의 휴대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증폭 상자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증폭 상자를 이용하여 측정한 데이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증폭 상자의 개략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증폭 상자의 개략도.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증폭 상자의 개략도.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증폭 상자의 개략도.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압전 스피커의 개략도.
도 21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압전 스피커의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 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증폭 상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증폭 상자의 배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증폭 상자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증폭 상자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몸체(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몸체(100)의 일면 상에 마련된 진동 전달부(200)와, 몸체(100)의 타면 상에 마련된 지지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증폭 상자는 진동 전달부(200)와 지지부(300)가 마련되지 않고 소정의 내부 공간이 형성된 몸체(100)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몸체(100)는 대략 직사각형의 상부판(110) 및 하부판(120)과, 상부판(110)과 하부판(120) 사이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복수의 대략 직사각형의 측벽판(130)을 포함한다. 즉, 서로 대면하도록 상부판(110) 및 하부판(120)이 마련되고, 상부판(110)과 하부판(120) 사이의 가장자리에 네개의 측벽판(130)이 마련된다. 따라서, 몸체(100)는 대략 육면체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부판(110)은 스마트 폰 등의 휴대 단말을 포함하는 전자기기(10)가 안치되는 면이고, 하부판(120)은 상부판(110)과 대향되어 지면에 대면하는 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판(110)은 전자기기(10)의 크기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전자기기(10)의 일면이 상부판(110) 상에 접촉되어 안치될 수 있다. 또한, 하부판(120)은 상부판(110)과 동일 크기 및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렇게 몸체(100)가 대략 육면체로 형성됨으로써 몸체(100) 내부에는 소정의 공명 공간이 마련된다. 물론, 몸체(100)는 원기둥, 다면체 형상 등의 다양한 입체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판(110) 및 하부판(120)이 각각 원형으로 마련되고 측벽판(130)이 상부판(110) 및 하부판(120) 사이의 가장자리에 띠 형태로 마련됨으로써 몸체(100)는 원기둥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부판(120)의 소정 영역에는 소정 크기의 공명 홀(100a)이 마련될 수 있다. 공명 홀(100a)이 마련됨으로써 몸체(1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10)의 출력이 낮아도 음량을 충분히 증폭할 수 있고, 저음 또한 선명하게 들을 수 있다. 공명 홀(100a)은 예를 들어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그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즉, 공명 홀(100a)은 타원형, 사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명 홀(100a)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명 홀(100a)은 하부판(120)의 중앙 영역에 하나 마련될 수 있고, 하부판(120)의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에 적어도 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물론, 공명 홀(100a)은 하부판(120) 뿐만 아니라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벽판(130)에 적어도 하나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공명 홀(100a)의 크기는 몸체(100)의 체적, 음향의 증폭 량 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명 홀(100a)이 하부판(120)에 형성되는 경우 공명 홀(100a)은 하부판(120) 면적의 10% 내지 80%의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공명 홀(100a)의 면적이 작을수록 증폭되는 주파수 구간이 좁아지고 공명 홀(100a)의 면적이 클수록 증폭되는 주파수 구간이 넓어진다. 예를 들어, 제 1 면적으로 공명 홀(100a)이 마련되는 경우 1㎑∼1.5㎑ 주파수를 증폭할 수 있고, 제 1 면적보다 큰 제 2 면적으로 공명 홀(100a)이 마련되는 경우 800㎐∼2㎑ 주파수를 증폭할 수 있다. 또한, 공명 홀(100a)의 면적이 커질수록 음압이 더 적게 상승한다. 즉, 공명 홀(100a)이 제 1 면적보다 큰 제 2 면적으로 마련되는 경우 공명 홀(100a)이 제 1 면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음압이 상대적으로 덜 높아진다. 한편, 이러한 몸체(100)는 단단하고 진동 전달 특성이 우수한 물질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그런데, 몸체(100)가 너무 가벼우면 몸체(100)가 지나치게 울리게 되고 그에 따라 음향이 명료하지 않을 수 있고, 몸체(100)가 너무 단단하고 무거우면 자연스럽지 못한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100)의 체적 등을 고려하여 몸체(100)의 재질을 선택할 수 있으며, 같은 부피라면 단단하고 무거운 물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몸체(100)는 예를 들어 원목, 집성목, 펄프, 종이,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금속, 플라스틱 등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진동 전달부(200)은 몸체(100)의 상부판(110) 상의 소정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전달부(200)는 상부판(110)의 중앙 영역에 마련되어 전자기기(10)가 접촉될 수 있다. 진동 전달부(200)는 몸체(100)와는 다른 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전자기기(10)로부터 출력되는 진동을 몸체(100) 내부의 진동 공간으로 전달한다. 물론, 진동 전달부(200)가 마련되지 않더라도 전자기기(10)의 음향, 즉 진동이 몸체(100) 내부로 전달될 수 있지만, 진동 전달부(200)가 마련됨으로써 진동의 전달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진동 전달부(200)가 마련됨으로써 2차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전자기기(1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 진동 전달부(200)는 예를 들어 탄성이 강한 실리콘,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등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10)의 밀착력을 높여 휴대 단말(10)의 진동을 몸체(100)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미끄럼을 줄여 안정적인 거치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진동 전달부(200)는 그 표면이 몸체(100)의 상부판(110)의 표면보다 높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진동 전달부(200)는 상부판(110)의 표면 상에 마련되어 상부판(11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진동 전달부(200)는 상부판(110)에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되고 홈 내에 매립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지지부(300)는 하부판(120)의 소정 영역에 마련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하부판(120)의 네 모서리 근방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측벽판(130)과 접촉된 영역의 내측으로 지지부(30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렇게 지지부(300)가 마련됨으로써 하부판(120)이 지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지지부(300)에 의해 하부판(120)과 지면 사이에 이격 공간이 마련되어 공명 홀(100a)을 통한 공기의 원활한 흐름이 가능하고, 하부판(120)과 지면 사이에 2차 공명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300)는 러버(rubber), 폼(foam) 등을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몸체(100)의 흔들림이나 미끄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증폭 상자의 몸체(100)는 적어도 상부판(110)을 적절한 탄성을 갖는 물질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즉, 상부판(110)은 전자기기(10)와 직접 접촉하고 전자기기(10)의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판으로 작용하므로 적절한 탄성을 갖는 물질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부판(110)의 재질을 변화시켜 높은 출력을 얻기 위해서는 높은 영률이 요구되지만, 평탄한 주파수 특성을 만들기 위해서는 낮은 탄성률이 필요하다. 탄성력이 높은 경우 음압은 상승하지만, 특정 주파수의 출력이 커져서(강조되어) 평탄한 주파수 특성을 저해하므로 높은 음압과 고품질의 음질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부판(110)의 탄성력이 진동원, 즉 전자기기(10)의 전달 구조에 따라 적정한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또한, 상부판(110)의 질량은 진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가벼운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상부판(110)의 질량이 작을수록 공진 주파수가 높아지게 되어 음질이 저하되므로 비탄성률(=탄성률/밀도)을 조절하여 스피커의 효율과 공진 주파수가 최적인 조합의 상부판(110)을 구성해야 한다. 그리고, 음향 증폭 상자는 접촉형 스피커를 가지는 전자기기(10)와 접촉하여 음향을 증폭하므로 전자기기(10)의 적어도 일측면 방향으로 일정 면적(비율) 이상 상부판(110)이 노출되어야 한다. 즉, 상부판(110)의 크기는 전자기기(10)의 크기보다 커야 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적어도 상부판(110)은 샌드위치형 판을 이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밀도가 10.0∼20.0kg/㎡, 탄성 계수가 2500∼3500×106N/㎡를 갖는 폴리머류 소재를 이용할 수 있고, 공기와의 임피던스 매칭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밀도가 100∼300kg/㎡, 탄성 계수가 100∼200×106N/㎡를 갖는 펄프를 양면에 접착한 샌드위치형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판(110)은 폴리스틸렌의 양면에 화이트 스노우(white snow)를 접착한 판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물론, 상부판(110) 뿐만 아니라 하부판(120) 및 복수의 측벽판(130)도 샌드위치형의 판을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증폭 상자를 이용한 주파수 특성(A)과 다이나믹 스피커의 주파수 특성(B)을 비교한 그래프이고, [표 1]은 이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

Fo(kHz)
공진 주파수
음압(dB)
0.5kHz
(저역부)
0.8∼1.5kHz
(평균음압)
3kHz 0.3∼20kHz
(평균음압)
샌드위치형(A) 0.63 96.0 93.3 99.5 95.3
다이나믹(B) 1.00 79.0 93.2 88.1 87.1
상기한 바와 같이 샌드위치형 판을 이용하여 제작된 음향 증폭 상자를 이용하면 다이나믹 스피커보다 공진 주파수를 낮출 수 있고,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다이나믹 스피커보다 향상된 주파수 특성을 갖는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증폭 상자는 내부에 소정의 공명 공간을 가진 대략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증폭 상자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 5 내지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증폭 상자의 개략도로서, 분리형 음향 증폭 상자를 도시하였다. 즉, 도 5는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증폭 상자의 분리도이고, 도 6은 조립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증폭 상자는 상부판(110) 및 하부판(120)과, 복수의 측벽판(131, 132, 133, 134; 130)을 포함한다. 상부판(110) 및 하부판(120)는 대략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마련되며, 하부판(120)의 소정 영역, 예를 들어 중앙부에는 공명 홀(100a)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판(110), 하부판(120) 및 측벽판(130)의 변들에는 이들을 서로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140)가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140)는 측면으로부터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부(141),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142), 그리고 볼록부와 오목부가 반복 형성된 요철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부판(110), 하부판(120) 및 측벽판(130)의 변들의 적어도 일 영역에 볼록부(141), 오목부(142) 및 요철부(143)가 선택적으로 형성되고, 이들이 서로 체결되어 상부판(110), 하부판(120) 및 측벽판(130)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판(110)의 네 변에는 각각 볼록부(141)가 형성될 수 있고, 하부판(120)의 두 변에는 오목부(142)가 형성되고 다른 두 변에는 요철부(14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측벽판(130)에는 오목부(142) 및 요철부(143)가 형성될 수 있는데, 측벽판(131, 133)의 상측 및 하측에는 상부판(110) 및 하부판(120)의 돌출부(141)에 대응되도록 오목부(141)가 각각 형성되고, 측벽판(132, 134)의 상측에는 상부판(110)의 돌출부(141)에 대응되는 오목부(142)가 형성되며 측벽판(132, 134)의 하측에는 하부판(120)의 요철부(143)에 대응되는 요철부(14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측벽판(130)이 서로 접촉되는 측부의 변에는 요철부(143)가 형성되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분리형 음향 증폭 상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 가능하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증폭 상자는 상부판(110) 및 하부판(120)과, 복수의 측벽판(131, 132, 133, 134; 130)을 포함한다. 상부판(110) 및 하부판(120)는 대략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마련되며, 하부판(120)의 소정 영역, 예를 들어 중앙부에는 공명 홀(100a)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판(110) 및 하부판(120)의 가장자리, 즉 복수의 측벽판(130)과 접촉되는 영역에는 복수의 삽입 홀(110a, 120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삽입 홀(110a, 120a)은 상부판(110) 및 하부판(120)의 동일 위치에 동일 형상 및 동일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부판(110) 및 하부판(120)의 변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측벽판(131, 132, 133, 134)에는 이러한 복수의 삽입 홀(110a, 120a)에 대응되는 복수의 돌출부(131a, 132a, 133a, 134a)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의 측벽판(131, 132, 133, 134)의 복수의 돌출부(131a, 132a, 133a, 134a)가 상부판(110) 및 하부판(120)의 복수의 삽입 홀(110a, 120a)에 삽입됨으로써 측벽판(131, 132, 133, 134)의 두 변이 상부판(110) 및 하부판(120) 각각의 일면에 기밀하게 접촉되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마련된 직육면체 모양의 몸체(100)가 형성된다. 여기서, 돌출부(131a, 132a, 133a, 134a)의 길이는 상부판(110) 및 하부판(120)의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돌출부(131a, 132a, 133a, 134a)가 삽입 홀(110a, 120a)에 삽입된 후 돌출부(131a, 132a, 133a, 134a)가 상부판(110) 및 하부판(120)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물론, 돌출부(131a, 132a, 133a, 134a)의 길이는 상부판(110) 및 하부판(120)의 두께보다 길거나 짧을 수도 있다. 또한, 측벽판(131, 132, 133, 134)는 측면에서 서로 기밀하게 접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두 측벽판(131, 133)은 측면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측벽판(132, 134)는 측면에 볼록부가 형성되어 오목부에 볼록부가 결합됨으로써 측벽판들(130)이 기밀하게 측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측벽판(131, 132, 133, 134)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둘 이상의 측벽판에는 복수의 돌출부(131a, 132a, 133a, 134a)보다 길게 제 2 돌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판(120)의 장변에 대응되는 측벽판(132, 134)의 하부판(120)의 삽입 홀(120a)에 삽입되는 제 2 돌출부(132b, 134b)는 상부판(110)에 삽입되는 돌출부(132a, 134a)보다 길게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측벽판(131, 132, 133, 134)의 복수의 돌출부(131a, 132a, 133a, 134a)가 상부판(110) 및 하부판(120)에 삽입된 후 제 2 돌출부(132b, 134b)는 하부판(120)이 지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지지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즉, 별도의 지지부를 마련하지 않고도 측벽판(131, 132, 133, 134)의 적어도 일부의 돌출부(132b, 134b)를 지지부로서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지면과 대면하는 하부판(120)의 일 면의 소정 영역에 지지부를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 및 제 3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증폭 상자는 상부판(110), 하부판(120) 및 복수의 측벽판(130)이 완전히 분리된 후 결합함으로써 음향 증폭 상자의 휴대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분리된 복수의 판들을 휴대함으로써 부피를 줄일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결합하여 이용할 수 있으므로 소정의 부피를 갖는 음향 증폭 상자를 휴대하는 것보다 휴대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증폭 상자의 개략도로서, 접이식 음향 증폭 상자의 개략도이다. 즉, 도 9는 음향 증폭 상자를 폈을 때의 개략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일부 접었을 때의 개략도이며, 도 12는 완전히 접었을 때의 개략도이며, 도 13은 조립 후의 개략도이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증폭 상자는 상부판(110) 및 하부판(120)과, 이들의 가장자리에 마련될 수 있는 복수의 측벽판(131, 132, 133, 134)을 포함하며, 복수의 측벽판(131, 132, 133, 134) 각각은 일 변이 하부판(120)의 네 변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측벽판(131, 132, 133, 134)은 하부판(120)의 네 변 각각으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고, 측벽판(131, 132, 133, 134)이 하부판(120)의 각 변으로부터 상부판(110)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측벽판(131, 132, 133, 134)은 하부판(120)의 네 변으로부터 연장되고 접힘 가능하도록 하부판(120)과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일 측벽판(131)은 타 변이 상부판(110)의 일변과 접촉된다. 즉, 하부판(120)의 일 변과 상부판(110) 일 변 사이에 측벽판(131)이 마련되고, 측벽판(131)은 접힘 가능하다. 따라서, 상부판(110), 측벽판(131), 하부판(120) 및 측벽판(133)이 일 방향으로 연결되어 마련되고, 두 측벽판(131, 133)은 상부판(110)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고, 측벽판(131)의 타 변으로부터 상부판(110)이 측벽판(133)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다. 또한, 두 측벽판(132, 134)은 내측의 소정 영역에 연결부(135)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135)는 측벽판(132, 133)의 가장자리와 하부판(120)과 측벽판들(131, 133)의 경계 영역에서 가까운 하부판(120)의 소정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35)는 상부판(110), 하부판(120) 및 복수의 측벽판(131, 132, 133, 134)과 동일 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이들보다 얇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35)는 측벽판(132, 134)이 완전히 세워졌을 때 측벽판(131, 133)의 내면과 접촉하고 측벽판(132, 134)가 접힐 때 측벽판(132, 134)와 하부판(1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접힘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135)가 마련됨으로써 측벽판(130)을 세울 때 측벽판들(130)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측벽판(131)이 연결된 변과 대향되는 상부판(110)의 타변에는 측벽판(133)과 동일 형태의 외부판(136)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판(136)은 몸체(100)를 조립할 때 측벽판(133)을 외부에서 감싸도록 한다. 또한, 측벽판(133)과 외부판(136)의 접촉면의 소정 영역에 자석을 마련하여 측벽판(133)과 외부판(136)이 자력에 의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증폭 상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판(136), 상부판(110), 측벽판(131), 하부판(120) 및 측벽판(133)의 일면이 지면에 맞닿도록 하여 전개할 수 있고, 측벽판(132, 134)은 하부판(120)의 타면에 접촉되도록 접힐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판(133)을 하부판(120)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접고, 상부판(110)을 접어 외부판(136)이 측벽판(133)과 자석에 의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측벽판(132, 134)는 하부판(12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접힐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판들이 모두 펼쳐진 도 9의 경우에 비해 크기를 줄일 수 있어 휴대가 더욱 간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판(131, 132, 133, 134)을 세우고, 상부판(110)이 하부판(120)의 상측에서 대면되도록 하고 외부판(136)을 측벽판(133)의 외측에 접촉되도록 하여 자석을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음향 증폭 상자를 조립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는 상부판(110)이 분리되고 음향 증폭 상자가 조립된 후 상부판(110)이 결합될 수 있다. 즉, 하부판(120)과 대향되는 면, 즉 상부면에 측벽판(131, 132, 133, 134)의 폭 또는 이보다 넓은 폭으로 잔류되고 나머지 영역에 개구가 형성되도록 한 후 가장자리의 잔류 영역에 상부판(110)을 접촉 결합하여 개구가 덮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증폭 상자는 상부판(110), 하부판(120) 및 복수의 측벽판(131, 132, 133, 134)이 일체로 제작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측벽판들(131, 132, 133, 134)을 세워 조립할 수 있어 부피를 줄이면서 휴대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증폭 상자의 개락도로서, 접이식 터널형 음향 증폭 상자를 도시하였다. 즉, 도 14는 음향 증폭 상자를 일부 펼쳤을 때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15는 접었을 때의 개략도이며, 도 16은 조립 후의 개략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증폭 상자는 상부판(110) 및 하부판(120)과, 이들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측벽판(131, 132, 133, 134)을 포함하며, 복수의 측벽판(131, 132, 133, 134) 각각은 일 변이 하부판(120)의 네 변과 각각 접촉되고, 서로 대향하는 두 측벽판(131, 133)의 타 변이 상부판(110)의 두 변과 각각 접촉된다. 이를 위해 두 측벽판(131, 133)는 일 변이 하부판(110)의 두 변과 접힘 가능하도록 일체로 마련되고, 두 측벽판(131, 133)의 타 변이 상부판(110)의 두 변과 접힘 가능하도록 일체로 마련된다. 또한, 두 측벽판(132, 134)은 하부판(120)의 대향되는 두 변과 접힘 가능하도록 일체로 마련되며, 상부판(110)과는 떨어져 마련된다. 따라서, 두 측벽판(132, 134)은 하부판(120)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접을 수 있고, 두 측벽판(132, 134)을 수직으로 펴 음향 증폭 상자를 조립할 수 있다. 한편, 두 측벽판(132, 134)의 내측에는 인접한 두 측벽판(131, 133)과 연결되는 연결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가 마련됨으로써 측벽판들(131, 132, 133, 134)을 세울 때 측벽판들(131, 132, 133, 134)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증폭 상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되는 두 측벽판(131, 133)이 세워진 상태에서 상부판(110)과 하부판(120)이 서로 대면할 수 있고, 두 측벽판(131, 133)과 인접하며 서로 대향되는 두 측벽판(132, 134)는 접혀 하부판(120)의 내면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판(133)의 외측면이 지면과 접촉되도록 하고 측벽판(131)의 내면이 하부판(120)과 접촉되도록 접을 수 있다. 이때, 측벽판(132, 134)는 하부판(12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접힐 수 있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판(131, 132, 133, 134)을 세우고, 상부판(110)이 하부판(120)의 상측에서 대면되도록 하여 음향 증폭 상자를 조립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증폭 상자는 상부판(110), 하부판(120) 및 복수의 측벽판(131, 132, 133, 134)이 일체로 제작될 수 있고, 부피를 줄이면서 휴대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음향 증폭 상자에 접촉되어 음향을 제공하는 전자기기(10)는 스마트 폰 등의 음량을 제공하는 기기를 포함할 수 있고, 전자기기(10) 내에는 다이나믹 스피커, 압전 스피커 등이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전자기기(10)는 휴대용 압전 스피커가 체결되어 휴대용 압전 스피커가 전자기기(10)에서 제공되는 음향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10)에 체결되어 음향 증폭 상자에 접촉될 수 있는 휴대용 압전 스피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7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압전 스피커의 개략도로서, 전자기기의 후면 커버 일체형 휴대용 압전 스피커의 개략도이다. 즉,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압전 스피커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18은 휴대용 압전 스피커의 몸체와 압전 스피커 모듈의 체결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또한, 도 19는 압전 스피커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0 및 도 2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변형 예들에 따른 휴대용 압전 스피커의 개략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압전 스피커는 전자기기(10)의 후면에 체결되는 몸체(1000)와, 몸체(1000)의 일 영역에 마련되어 전자기기(10)와 연결되는 압전 스피커 모듈(2000)을 포함할 수 있다. 압전 스피커 모듈(2000)이 마련된 몸체(1000)는 전자기기(10)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 커버를 분리시킨 후 체결될 수 있다. 물론, 몸체(1000)가 후면 커버로서 전자기기(10)의 후면을 커버하도록 생산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0)의 일 측면에 마련되고 전자기기(10)의 전면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마련되어 전자기기(10)의 전면을 커버하는 플립 커버(3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기기(10)는 테블릿 PC,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스마트폰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러한 전자기기(10)는 소정 두께를 갖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마련되며, 전면에 표시부, 수화부, 키버튼 등이 마련되고, 내부에 회로 장치 등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전자기기(10)은 그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 커버가 분리 및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후면 커버를 제거하게 되면 전자기기(10)의 후면에는 소정 영역에 배터리가 체결되고, NFC 단자가 노출될 수 있으며, 카메라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후면 커버의 내측에는 NFC 안테나가 마련되어 NFC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몸체(1000)는 전자기기(10)와 분리 및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즉, 몸체(1000)는 전자기기(10)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 커버와 동일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후면 커버를 분리한 후 전자기기(10)의 후면에 체결될 수 있다. 물론, 몸체(1000) 자체가 후면 커버로서 전자기기(10)의 후면에 체결된 상태로 전자기기(10)가 생산될 수도 있다. 몸체(1000)를 전자기기(10)와 분리 및 결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예를 들어 전자기기(10) 후면의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체결홈에 대응되는 영역의 몸체(1000)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1000)의 체결 돌기가 전자기기(10)의 체결홈에 삽입되어 몸체(1000)가 전자기기(10)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몸체(1000)는 소정 범위 내에서 굽힘 등의 변형이 가능하도록 플렉서블하게 제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몸체(1000)는 폴리이미드(PI)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로 제조될 수 있고, 금속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물론, 몸체(1000)는 전자기기(10)의 후면 커버와 동일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폴리이미드(PI: polyimide)는 열전도성 플라스틱이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열적, 화학적 안정성이 뛰어난 고분자이다.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이고 내열성, 내충격성,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며 가공이 용이하다. 한편, 몸체(1000)에는 소정의 제 1 개구(1100)가 형성되어 압전 스피커 모듈(2000)이 삽입될 수 있다. 물론, 몸체(1000)에는 전자기기(10)의 후면에 노출된 카메라(미도시)가 노출되도록 제 2 개구(1200)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 1 개구(1100)는 압전 스피커 모듈(2000)이 삽입되고, 제 2 개구(1200)는 카메라가 외부에서 노출되도록 한다.
압전 스피커 모듈(2000)은 몸체(1000)의 제 1 개구(1100)에 삽입되어 몸체(1000)의 소정 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압전 스피커 모듈(2000)은 예를 들어 분극되지 않은 진동 유발층을 사이에 두고 두께 방향으로 분극되어 적층된 복수의 압전층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 압전 소자가 진동 전달체와 소정 간격 이격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전 소자와 진동 전달체의 간격이 가장자리로부터 중앙부로 커지는 대략 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압전 스피커 모듈(2000)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소자(100)와, 압전 소자(100) 상의 소정 영역에 마련되는 연결 단자(300)와, 압전 소자(100)의 하측에 마련되는 진동 전달체로서의 버텀 진동 전달 케이스(400)와, 압전 소자(100)의 상측에 마련되는 탑 커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압전 소자(100)를 버텀 진동 전달 케이스(400)에 부착하기 위한 제 1 접착 테이프(미도시)와, 압전 소자(100)와 탑 커버(500)를 접착하기 위한 제 2 접착 테이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버텀 진동 전달 케이스(400)는 압전 소자(100)의 하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되어 진동 전달판의 기능을 하는데, 진동 전달판과 다른 구조를 갖고 상부의 탑 커버(500)와 위치 상으로 구별하기 위해 버텀 진동 전달 케이스(400)의 용어를 이용한다.
연결 단자(300)는 압전 소자(100) 상의 소정 영역에 마련되며 압전 스피커 모듈(200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연결 단자(300)는 압전 소자(100)에 소정의 전원 및 음원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즉, 연결 단자(300)는 전자기기(10)의 출력 단자와 연결되어 압전 소자(100)에 소정의 전원 및 음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10)의 후면에는 NFC 단자가 노출되고 연결 단자(300)는 NFC 단자에 접속된다. 따라서, NFC 단자 및 연결 단자(300)를 통해 전자기기(10)로부터 전원과 음원을 공급받아 압전 스피커 모듈(2000)이 구동된다. 이러한 연결 단자(300)는 예를 들어 FPCB(Flexible Printed Citcuit Board)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연결 단자(300)는 압전 스피커 모듈(2000)의 외측으로 노출된 부분이 몸체(1000)의 소정 영역에 밀착 고정될 수 있는데, 몸체(1000)의 일 영역에 수용 홈이 형성되고 수용 홈 상에 연결 단자(300)가 접착 고정될 수 있다.
버텀 진동 전달 케이스(400)는 압전 소자(100)를 수용하며 몸체(1000)의 제 1 개구(1100)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버텀 진동 전달 케이스(400)는 베이스(410)와, 베이스(410)의 일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된 체결부(420)를 포함한다. 베이스(410)는 몸체(1000)의 제 1 개구(1100)보다 크게 마련되고 몸체(1000)의 후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1000)의 후면에는 베이스(410)가 몸체(1000)의 후면보다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410)는 사각형, 원형,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410)는 몸체(1000)와 동일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410)는 내측면이 평탄한 면으로 마련될 수 있고, 소정의 곡면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즉, 베이스(410)는 압전 소자(100)와 대면하는 내면이 압전 소자(100)와 소정 간격 이격되고, 가장자리로부터 중앙부로 이격 간격이 멀어지도록 소정의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체결부(420)는 베이스(410) 상에 소정의 형상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내측으로 압전 소자(100)를 수용한다. 이를 위해 체결부(420)는 압전 소자(100)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베이스(41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압전 소자(100)의 측면이 체결부(420)의 내면과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버텀 진동 전달 케이스(400)는 체결부(420)의 내측에 베이스(410)보다 높은 단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단턱부는 예를 들어 서로 대면하는 두 측면부의 내측에 측면부보다 낮은 높이로 마련될 수 있고, 단턱부 상에 제 1 접착 테이프를 통해 압전 소자(100)의 가장자리가 부착된다. 또한, 단턱부 상에 압전 소자(100)가 마련되므로 압전 소자(100)의 일면과 이와 대면되는 버텀 진동 전달 케이스(400), 즉 베이스(410)의 내측 평면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마련된다.
탑 커버(500)는 외부로부터의 물리적인 힘으로부터 압전 소자(100)를 보호하기 위해 마련되며, 압전 소자(100)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된다. 즉, 압전 소자(100)의 상면 가장자리에 제 2 접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탑 커버(500)가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탑 커버(500)는 강도와 경도가 크면서 잘 휘어지지 않는 얇은 판재를 이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탑 커버(500)가 압전 소자(100)의 상면에 접촉될 경우 압전 소자(100)가 진동할 때 탑 커버(500)와 부딪혀 압전 소자(100)의 진동이 탑 커버(500)를 통해 전자기기(10)에 전달되고, 압전 소자(100)의 진동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압전 소자(100)와 탑 커버(500) 사이에 쿠션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쿠션재는 압전 소자(100)의 두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커버(500)와 압전 소자(100)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0)의 내면에는 압전 스피커 모듈(2000)을 둘러싸도록 쿠션제(1300)가 마련될 수 있다. 쿠션제(1300)가 마련됨으로써 압전 스피커 모듈(2000)의 체적 공간을 마련하고 압전 스피커 모듈(2000)의 진동으로 인한 전자기기(10)의 이음을 없앨 수 있다. 여기서, 쿠션제(1300)는 예를 들어 실리콘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압전 스피커 모듈(2000)을 둘러싸도록 원형, 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쿠션제(1300)는 몸체(1000)에 부착될 수도 있고, 몸체(1000) 상에 마련된 소정의 수용 공간(1310)에 삽입될 수도 있다. 즉, 압전 스피커 모듈(2000)을 둘러싸도록 소정의 간격을 가지는 제 1 및 제 2 격벽이 마련되고 제 1 및 제 2 격벽 사이에 쿠션제(130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쿠션제(1300)는 전자기기(10)의 후면에 접촉될 수 있는데, 쿠션제(1300)의 높이가 너무 높으면 몸체(1000)가 전자기기(10)에 체결될 수 없으므로 전자기기(10)에 몸체(1000)가 체결될 수 있는 높이로 쿠션제(130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압전 스피커의 개략도이다. 즉,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압전 스피커의 개략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24는 그 변형 예에 따른 휴대용 압전 스피커의 개략도이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압전 스피커는 전자기기(10)의 후면에 체결되는 몸체(1000)와, 몸체(1000)의 일 영역에 마련되어 전자기기(10)와 연결되는 압전 스피커 모듈(2000)과, 몸체(100)의 일 영역에 마련되어 압전 스피커 모듈(20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40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0)의 일 측면으로부터 전자기기(10)의 전면을 커버할 수 있는 플립 커버(3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00)는 전자기기(10)의 후면에 대응되는 제 1 영역(1000a)과, 제 1 영역(1000a)의 하측에 마련되어 전원 공급부(4000)가 마련되는 제 2 영역(1000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몸체(1000)는 제 1 영역(1000a)이 전자기기(10)의 사이즈로 마련되어 전자기기(10)의 후면이 체결되고, 전자기기(10)의 하측에 대응되는 제 1 영역(1000a)의 하측에 제 2 영역(1000b)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전자기기(10)는 후면 커버가 제거된 상태에서 몸체(1000)의 제 1 영역(1000a)에 체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전자기기(10)의 후면 커버가 제거된 후 몸체(1000)가 전자기기(10)의 후면에 체결된다. 또한, 제 1 영역(1000a)과 제 2 영역(1000b) 사이에는 몸체(1000)의 바닥면보다 높은 중간벽(1000c)이 마련될 수 있다. 중간벽(1000c)은 예를 들어 전자기기(10)의 커넥터가 마련된 하측의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몸체(1000)의 제 1 영역(1000a)에는 가장자리에 복수의 체결 돌기(미도시)가 마련되어 전자기기(10)의 체결 홈(미도시)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중간벽(1000c)이 전자기기(10)의 하측면과 동일 높이로 형성되어 하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중간벽(1000c)에는 예를 들어 전자기기(10)의 커넥터에 대응되는 중앙 부분이 커넥터의 사이즈로 제거되어 제 1 홈(13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간벽(1000c)에는 중앙 부분으로부터 일측으로 이격된 소정 영역이 소정 사이즈로 제거되어 제 2 홈(132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몸체(100)의 제 1 영역(1000a)에는 소정 사이즈의 제 1 개구(1100)가 형성되고, 제 1 개구(1100) 내에는 압전 스피커 모듈(2000)이 삽입된다. 또한, 몸체(1000)의 제 1 영역(1000a)의 소정 영역, 예를 들어 압전 스피커 모듈(2000)이 삽입되는 제 1 개구(1100) 하측에는 예를 들어 NFC 안테나, DMB 안테나, 블루투스 안테나가 장착되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안테나가 장착되는 공간은 예를 들어 전자기기(10)의 배터리가 장착되는 공간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몸체(1000)의 제 1 영역(1000a) 상에 부착되어 제 1 영역(1000a)을 커버하기 위해 상부 커버(1400)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몸체(1000)의 제 1 영역(1000a)에는 압전 스피커 모듈(2000), 안테나 등이 마련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데, 상부 커버(1400)가 이들을 커버하여 이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부 커버(1400)는 적어도 제 1 영역(1000a)의 사이즈로 마련될 수 있고, 압전 스피커 모듈(2000)의 연결 단자(300)가 전자기기(10)의 NFC 단자와 연결되는 부분이 제거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4000)는 전자기기(10)의 하측에 대응되는 몸체(1000)의 일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전원 공급부(4000)는 몸체(100)의 제 1 영역(1000a)으로부터 연장된 제 2 영역(1000b)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4000)는 압전 스피커 모듈(20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며, 압전 스피커 모듈(200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4000)는 외부의 전원 공급 단자 또는 데이터 공급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4000)는 전자기기(1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외부의 전원 공급 단자 또는 데이터 공급 단자가 전원 공급부(4000)는 일측에 연결되고, 전자기기(10)가 전원 공급부(4000)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4000)는 배터리(4100)와, 회로 기판(4200)과, 제 1 및 제 2 커넥터(4300, 4400)와, 하부 커버(450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4100)는 제 1 커넥터(4300)와 연결된 전원 공급 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회로 기판(4200)은 상측에 제 1 및 제 2 커넥터(4300, 4400)가 마련되고 하측이 배터리(4100)에 연결된다. 또한, 제 1 커넥터(4300)는 외부의 전원 공급 단자 또는 데이터 공급 단자와 연결되고 제 2 커넥터(4400)는 전자기기(10)와 연결된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4000)를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2 영역(1000b)은 중간벽(1000c)의 제 1 홈(1310)에 대응되는 영역의 일부가 제거되어 제 3 홈(1330)이 형성된다. 제 3 홈(1330)에 대응되도록 제 1 커넥터(4300)가 마련되고, 제 1 홈(1310)에 대응되도록 제 2 커넥터(4400)가 마련된다. 여기서, 제 1 커넥터(430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전원 공급부(4000) 내부에 매립되도록 마련되고, 제 2 커넥터(4400)는 제 1 영역(1000a) 측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된다. 즉, 배터리(4100), 회로 기판(4200), 제 1 및 제 2 커넥터(4300, 4400)가 제 2 영역(1000b)에 마련되고, 그 상부에 하부 커버(4500)가 커버링되면 전원 공급부(4000)의 하측에는 제 1 커넥터(4300)가 매립된 홈이 노출되고, 전원 공급부(4000)의 상측에는 제 2 커넥터(4400)가 돌출된다. 또한, 제 1 커넥터(4300)는 전원 공급 단자 또는 데이터 공급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사이즈로 마련되고, 제 2 커넥터(4400)는 전자기기(10)의 커넥터에 삽입될 수 있는 사이즈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전원 공급 단자 또는 데이터 공급 단자가 제 1 커넥터(4300)에 삽입되고, 제 2 커넥터(4400)는 전자기기(10)의 커넥터에 삽입된다. 제 1 및 제 2 커넥터(4300, 4400)의 하측에 마련된 회로 기판(4200)과 연결된다. 또한, 회로 기판(4200)의 하측에 배터리(4100)가 마련되고, 회로 기판(4200)의 일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연결 라인(421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로 기판(4200)은 제 1 커넥터(430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배터리(4100)가 충전되도록 할 수 있고, 배터리(4100)의 전원이 연결 라인(4210)을 통해 압전 스피커 모듈(2000)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회로 기판(4200) 상에는 전원 증폭 회로가 마련될 수 있고, 전원 증폭 회로를 이용하여 압전 스피커 모듈(20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증폭시킬 수 있다. 즉, 압전 스피커 모듈(2000)은 전자기기(10)의 구동 전원보다 높은 전원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는데, 압전 스피커 모듈(2000)의 구동 전원을 전원 공급부(4000)에서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4200)의 일측에 마련된 연결 라인(4210)은 중간벽(100c)의 제 2 홈(1320)을 통해 제 1 영역(1000a)에 마련된 압전 스피커 모듈(2000)과 연결된다. 한편, 제 2 커넥터(4400)가 전자기기(10)와 연결되므로 제 1 및 제 2 커넥터(4300, 4400)을 통해 전자기기(10)에 전원 또는 데이터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압전 스피커를 이용하여 음량을 증폭하면서 전자기기(10)를 충전할 수 있다. 이때, 전자기기(10)가 충전될 때 전원 공급부(4000)의 배터리(4100)도 함께 충전될 수 있고, 배터리(4100)에 의해 압전 스피커 모듈(2000)이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몸체 200 : 진동 전달부
300 : 지지부 110 : 상부판
120 : 하부판 130 : 측벽판

Claims (21)

  1. 내부에 소정의 공명 공간이 마련되고 일 면에 전자기기가 접촉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된 공명 홀을 포함하는 음향 증폭 상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전자기기가 접촉되어 안착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대면하는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 및 하부판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측벽판을 포함하는 음향 증폭 상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 하부판 및 적어도 하나의 측벽판은 분리 및 결합되는 음향 증폭 상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 하부판 및 측벽판의 변의 소정 영역에 체결부가 마련되어 결합되는 음향 증폭 상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변으로부터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부와,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와, 볼록부 및 오목부가 반복 형성된 요철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음향 증폭 상자.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측벽판은 상기 하부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접힘 가능하도록 복수 마련되고, 상기 측벽판의 하나는 상기 상부판과도 접힘 가능하도록 마련된 음향 증폭 상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일측에 상기 측벽판이 접힘 가능하도록 마련된 상기 상부판은 이와 대향되는 타 측에 외부판이 접힘 가능하도록 마련된 음향 증폭 상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의 일 측에 연결된 측벽판을 외측에서 덮도록 상기 외부판이 위치하고 상기 측벽판과 외부판의 접촉면의 소정 영역에 자석이 마련된 음향 증폭 상자.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측벽판은 상기 하부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접힘 가능하도록 복수 마련되고, 상기 측벽판의 둘은 상기 상부판과도 접힘 가능하도록 마련된 음향 증폭 상자.
  10.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 홀은 상기 하부판에 형성된 음향 증폭 상자.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의 소정 영역에 마련된 진동 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음향 증폭 상자.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의 소정 영역에 마련된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음향 증폭 상자.
  13.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은 상기 하부판 및 복수의 측벽판들과 다른 재질로 마련된 음향 증폭 상자.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상부판은 밀도가 10.0 내지 20.0 kg/㎡이고 탄성 계수가 2500 내지 3500×106N/㎡를 갖는 폴리머와, 상기 폴리머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마련되며 밀도가 100 내지 300kg/㎡이고 탄성 계수가 100 내지 200×106N/㎡를 갖는 펄프가 접착된 샌드위치형으로 마련된 음향 증폭 상자.
  15. 전자기기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음원을 1차 증폭하는 휴대용 압전 스피커; 및
    내부에 소정의 공명 공간이 마련되고 일 면에 상기 전자기기가 접촉되어 상기 휴대용 압전 스피커로부터 1차 증폭된 음향을 2차 증폭하는 음향 증폭 상자를 포함하는 음향 증폭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후면에 휴대용 압전 스피커가 결합된 음향 증폭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압전 스피커는 전자기기의 후면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소정 영역에 체결된 압전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압전 스피커 모듈은 압전 소자와,
    상기 압전 소자의 적어도 일 영역과 접촉되고 상기 압전 소자의 적어도 일 면과 이격되어 마련된 진동 전달체를 포함하는 음향 증폭 장치.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음향 증폭 상자는 상기 전자기기가 접촉되어 안착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대면하는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 및 하부판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측벽판을 포함하는 음향 증폭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공명 홀은 상기 하부판에 형성된 음향 증폭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의 소정 영역에 마련된 진동 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음향 증폭 장치.
  21. 청구항 19 또는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의 소정 영역에 마련된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음향 증폭 장치.
KR1020140072030A 2013-11-01 2014-06-13 음향 증폭 상자 및 이를 구비하는 음향 증폭 장치 KR101657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30,649 US20150122575A1 (en) 2013-11-01 2014-10-31 Sound amplification box and sound amplific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TW103137832A TW201528829A (zh) 2013-11-01 2014-10-31 聲音放大盒以及使用上述的聲音放大裝置
EP14191358.2A EP2869597A3 (en) 2013-11-01 2014-10-31 Sound amplification box and sound amplific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14222574A JP2015089137A (ja) 2013-11-01 2014-10-31 音響増幅箱及びこれを備える音響増幅装置
CN201410601833.3A CN104618844A (zh) 2013-11-01 2014-10-31 扩音盒以及包含扩音盒的扩音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938 2013-11-01
KR20130131938 2013-11-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1129A true KR20150051129A (ko) 2015-05-11
KR101657246B1 KR101657246B1 (ko) 2016-09-13

Family

ID=5338871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030A KR101657246B1 (ko) 2013-11-01 2014-06-13 음향 증폭 상자 및 이를 구비하는 음향 증폭 장치
KR1020140072031A KR101594158B1 (ko) 2013-11-01 2014-06-13 복합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031A KR101594158B1 (ko) 2013-11-01 2014-06-13 복합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1657246B1 (ko)
HK (1) HK1205393A1 (ko)
TW (2) TW2015288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361B1 (ko) * 2018-12-12 2020-03-02 박소희 울림을 개선시킨 휴대용 블루투스 스피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22304B (zh) * 2011-09-30 2014-01-01 Zhen Ding Technology Co Ltd 多層電路板及多層電路板之製作方法
KR200485186Y1 (ko) * 2016-08-30 2017-12-07 주식회사 디아이씨 휴대 전자기기의 기능성 부품이 인서트된 보호커버용 보강판
KR20200136664A (ko) * 2019-05-28 2020-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무선전력 송신장치
KR102239554B1 (ko) 2020-03-16 2021-04-21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
KR20230153048A (ko) 2022-04-28 2023-11-06 (주)케스피온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WO2024182667A1 (en) * 2023-03-01 2024-09-06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Multiple antenna arrangement for detecting user devices of varying siz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9236A (ja) * 2003-07-10 2005-02-03 Nippon Dimple Carton Kk 保管及び組立て容易な段ボール箱
KR200430436Y1 (ko) * 2006-08-03 2006-11-13 (주)아모레퍼시픽 조립식 포장상자
KR20070100611A (ko) * 2006-04-07 2007-10-11 주식회사 이엠텍 휴대용 음향기기의 배터리 케이스형 압전스피커
US8320597B2 (en) * 2009-01-22 2012-11-27 Griffin Technology, Inc. Acoustic dock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2542A (ja) 2001-02-06 2002-08-16 Taisei Plas Co Ltd 携帯用通信機器
US7099710B1 (en) * 2003-01-06 2006-08-29 Faillace Gabriel Portable telephone case
JP2005079694A (ja) * 2003-08-28 2005-03-24 Kyocera Corp 分波器
JP2006174397A (ja) * 2004-11-17 2006-06-29 Epson Toyocom Corp 小型送信機
JP2009188801A (ja) * 2008-02-07 2009-08-20 Panasonic Corp 圧電スピーカ
US8421274B2 (en) * 2008-09-12 2013-04-16 University Of Pittsburgh-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system
US8315417B2 (en) * 2009-01-23 2012-11-20 William Basore Shippable speaker box
US8028794B1 (en) * 2010-04-22 2011-10-04 Futuristic Audio Design Innovations, LLC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GB2489524A (en) * 2011-04-01 2012-10-03 Camtech Invest Ltd Electro-magnetic or acoustic wave transmission methods or antennas
KR101580518B1 (ko) 2012-04-05 2015-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CN102882545B (zh) 2012-09-21 2015-08-05 敦泰科技有限公司 一种通信设备
TWM462033U (zh) * 2012-10-23 2013-09-21 shuang-lun Yu 可變空間的儲物櫃
US9409895B2 (en) * 2012-12-19 2016-08-09 Novartis Ag Autotaxin inhibitors
CN103248990A (zh) * 2013-04-12 2013-08-1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压电陶瓷扬声器与近距离无线通讯天线集成的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9236A (ja) * 2003-07-10 2005-02-03 Nippon Dimple Carton Kk 保管及び組立て容易な段ボール箱
KR20070100611A (ko) * 2006-04-07 2007-10-11 주식회사 이엠텍 휴대용 음향기기의 배터리 케이스형 압전스피커
KR200430436Y1 (ko) * 2006-08-03 2006-11-13 (주)아모레퍼시픽 조립식 포장상자
US8320597B2 (en) * 2009-01-22 2012-11-27 Griffin Technology, Inc. Acoustic dock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361B1 (ko) * 2018-12-12 2020-03-02 박소희 울림을 개선시킨 휴대용 블루투스 스피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224A (ko) 2015-07-13
KR101594158B1 (ko) 2016-02-15
TWI569653B (zh) 2017-02-01
HK1205393A1 (en) 2015-12-11
TW201532448A (zh) 2015-08-16
TW201528829A (zh) 2015-07-16
KR101657246B1 (ko) 201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7246B1 (ko) 음향 증폭 상자 및 이를 구비하는 음향 증폭 장치
EP2869597A2 (en) Sound amplification box and sound amplific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484768B2 (en) Complex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JP6174252B2 (ja) 携帯用圧電スピーカーおよびこれを備える電子機器
WO2013047609A1 (ja) 携帯電子機器
EP4068804A1 (en) Loudspeaker, loudspeaker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20190200109A1 (en) Speaker Box
US11006209B2 (en) Rectangular microspeaker
JP6151490B2 (ja) 電子機器用取付部材および電子機器と取付部材との組合せ体
WO2022143485A1 (zh) 电子设备
US7925035B2 (en) Speakerbox
KR101413214B1 (ko) 휴대용 압전 스피커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WO2021000106A1 (zh) 扬声器箱
CN114866632A (zh) 电子设备及其发声控制方法
KR101265798B1 (ko) 진동스피커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TWI542226B (zh) 可攜式壓電揚聲器以及具備該揚聲器的電子裝置
TW200826714A (en) Speaker set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CN109361992B (zh) 按键发声装置以及电子设备
JP2013219720A (ja) 電子機器
TWI407660B (zh) 具有揚聲器之手持式電子裝置之承載座以及電子系統
TWI323136B (en) Speaker set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CN114845226A (zh) 电子设备
JP5305857B2 (ja) 骨伝導送受話装置
TWI309126B (en) Mobile phone and acoustic box structure thereof
JPH11298997A (ja) 携帯通信端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