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0782A - 선박용 공기조화 환기설비 및 이를 갖는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용 공기조화 환기설비 및 이를 갖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0782A
KR20150050782A KR1020130131664A KR20130131664A KR20150050782A KR 20150050782 A KR20150050782 A KR 20150050782A KR 1020130131664 A KR1020130131664 A KR 1020130131664A KR 20130131664 A KR20130131664 A KR 20130131664A KR 20150050782 A KR20150050782 A KR 20150050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oom
duct
outside
main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1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민
최정하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1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0782A/ko
Publication of KR20150050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7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 기능룸의 내부 공간에 외기를 유입하고 실내 공기를 배출하여 환기를 이루는 환기 유니트; 및 다수의 보조 기능룸과 상기 주 기능룸의 내부 공간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조절하는 공기 조화 유니트를 포함하는 선박용 공기조화 환기설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선박용 공기조화 환기설비를 갖는 선박도 제공한다.

Description

선박용 공기조화 환기설비 및 이를 갖는 선박{AIR CONDITION/VENTILATION EQUIPMENT FOR SHIP AND SHIP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선박용 공기조화 환기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사용 기능을 하는 기능룸들 각각에서 독립적으로 공조 및 환기를 이루도록 할 수 있는 선박용 공기조화 환기설비 및 이를 갖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이나 선박 등 대형 구조물 내에는 필수적으로 내부 공기를 정화시키고 순환시키기 위한 환기시스템이 마련되며, 이러한 환기시스템에는 반드시 공기조화기가 구비되어야 한다.
여기서, 공기조화기(Air Handling Unit)란 송풍하는 공기를 정화하여 그 온도 및 습도를 조정하는 장치로서, 통상, 송풍기, 전동기, 냉각코일, 가열코일, 가습기, 에어필터 및 케이싱으로 구성된다.
광의의 의미로는 환경에 부합되는 조화된 공기를 송풍하는 기기를 총괄하나, 일반적인 의미로는 기계실에 설치되어 닥트를 통하여 공조 공간에 에어를 송풍하는 장치로서 중앙식 공기조화기라고도 부른다.
특히, 군함에서 취사장과 식당 그리고 식량창고 등을 하나의 공조체계로 구성시, 취사장 구역의 통풍(VENTILATION) 조건과 공조(AIR-CONDTIONING)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두 체계를 연동하여 구성하는 경우, 제어(Control)체계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취사장으로부터 악취가 포함된 공기가 식당이나 다른 격실로 유입되어 냄새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취사장 공조(A/C)시에 취사장 전체 격실 용량을 만족하기 위해서 공조기의 용량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선박의 환기시스템 및 환기방법(특허출원 제10-2012-000022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사용 기능을 하는 기능룸들 각각에서 독립적으로 공조 및 환기를 이루도록 할 수 있는 선박용 공기조화 환기설비 및 이를 갖는 선박을 제공함에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주 기능룸의 내부 공간에 외기를 유입하고 실내 공기를 배출하여 환기를 이루는 환기 유니트; 및 다수의 보조 기능룸과 상기 주 기능룸의 내부 공간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조절하는 공기 조화 유니트를 포함하는 선박용 공기조화 환기설비를 제공한다.
상기 환기 유니트는, 상기 주 기능룸에 외기의 유입 경로를 형성하는 외기 유입 덕트와, 상기 주 기능룸으로부터 실내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 경로를 형성하는 실내 공기 배출 덕트와, 상기 외기 유입 덕트를 통해 외기를 강제 유입시키는 외기유입 통풍팬과, 상기 실내 공기 배출 덕트를 통해 실내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실내 공기 배출 통풍팬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 기능룸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를 포집하여 상기 실내 공기 배출 덕트로 유동시키는 후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 조화 유니트는, 상기 주 기능룸과 다수의 보조 기능룸의 내부 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설정된 조건으로 조절하는 공조기와, 상기 공조기와 상기 주 기능룸과 다수의 보조 기능룸 각각과 연결되어 온도 및 습도가 조절된 공기를 유입시키는 다수의 공급 덕트와, 상기 다수의 보조 기능룸들 각각과 상기 공조기와 연결되어, 상기 각 보조 기능룸 내부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덕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술한 공기조화 환기 설비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통풍팬과 공조기를 별도로 분리하여 제어가 간단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덕트의 구성이 간단하고, 공기 역류 방지 장치가 필요 없어 설비가 단순화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주 기능룸인 취사장에서 공조기로 회수되는 공기가 없기 때문에 취사장 오염공기(냄새)가 보조 기능룸인 타 격실로 유입되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취사장 부피 전체를 공조하지 않고 점 냉방(spot cooling)하기 때문에 용량이 적은 공조기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항상 취사장에 온도와 습도가 조절되는 공기가 공급되어 쾌적한 조건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선박용 공기조화 환기설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선박용 공기조화 환기설비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선박용 공기조화 환기설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선박용 공기조화 환기 설비는 군함과 같은 선박에 설치되며, 환기 유니트(100)와, 공기조화 유니트(200)로 구성된다.
주 기능룸(10)은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취사장일 수 있다.
다수의 보조 기능룸(20)은 식량 창고, 식당과 같은 룸일 수 있다.
상기 환기 유니트(100)는 상기 주 기능룸(10)에 외기의 유입 경로를 형성하는 외기 유입 덕트(110)와, 상기 주 기능룸(10)으로부터 실내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 경로를 형성하는 실내 공기 배출 덕트(120)와, 상기 외기 유입 덕트(110)를 통해 외기를 강제 유입시키는 외기유입 통풍팬(130)과, 상기 실내 공기 배출 덕트(120)를 통해 실내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실내 공기 배출 통풍팬(1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기 유입 덕트(110)의 단부와 실내 공기 배출 덕트(120)의 단부에는 각각 루버(30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외기 유입 덕트(110)의 단부와 실내 공기 배출 덕트(120)는 서로 주 기능룸(10)을 경계로 반대의 방향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주 기능룸(10)의 내부 공간에서, 외기 유입 덕트(110)의 단부에는 룸 유닛(400)이 설치된다.
상기 주 기능룸(10)의 내부 공간에는 내부 공간의 공기를 포집하여 상기 실내 공기 배출 덕트(120)로 유동시키는 후드(15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후드(150)는 끝단에 룸 터미널(500)이 설치되는 덕트(160)와 연결되고, 상기 덕트(160)는 외기 유출 덕트(120)와 연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드(150)는 취사장인 주 기능룸(10)의 내부 공간에서 열기(熱氣)나 수증기, 유해 가스, 금속분 등이 나오는 곳의 위에 배치된다. 따라서, 이의 위치에서 상기 성분을 국소적으로 모아 옥외로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공기조화 유니트(200)는 상기 주 기능룸과 다수의 보조 기능룸(20)의 내부 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설정된 조건으로 조절하는 공조기(210)와, 상기 공조기(210)와 상기 주 기능룸과 다수의 보조 기능룸(20) 각각과 연결되어 온도 및 습도가 조절된 공기를 유입시키는 다수의 공급 덕트(221,222)와, 상기 다수의 보조 기능룸들(20) 각각과 상기 공조기(210)와 연결되어, 상기 각 보조 기능룸(20) 내부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유출하는 배출 덕트(232)와 외부 공기를 공조기로 공급하는 외기 유입 덕트(231)로 구성된다.
상술한 보조 기능룸들(20)은 주 기능룸(10)과 독립적으로 선상에 배치되고, 이들의 공간 크기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상기 보조 기능룸들(20)은 식당 또는 식량 창고와 같이 악취가 발생되지 않는 룸인 것이 좋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주 기능룸(10)과, 각각의 보조 기능룸들(20)은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공급 덕트는 제 1, 2 공급 덕트(221, 222)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공급 덕트(221)는 공조기(210)로부터 주 기능룸(10)에 연결된다.
공조기는 설정된 온도 및 습도로 조절된 공기를 상기 제 1 공급 덕트(221)를 통해, 주 기능룸(10)으로 공급한다.
상기 제 2 공급 덕트(222)는 공조기(210)로부터 각각의 보조 기능룸들(20)과 독립적으로 분기되어 연결된다.
따라서, 공조기(210)는 설정된 온도 및 습도로 조절된 공기를 상기 제 2 공급 덕트(222)를 통해, 각각의 보조 기능룸들(20)로 공급한다.
또한, 배출 덕트(232)는 각각의 보조 기능룸들(20)로부터 공조기(210)로 연결된다.
따라서, 다수의 보조 기능룸들(20) 내부에서의 공기는 배출 덕트(23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외기 유입 덕트(231)는 외부 공기를 공조기로 공급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통풍팬과 공조기를 별도로 분리하여 제어가 간단하다.
또한, 덕트의 구성이 간단하고, 공기 역류 방지 장치가 필요 없어 설비가 단순화될 수 있다.
또한, 주 기능룸인 취사장에서 공조기로 회수되는 공기가 없기 때문에 취사장 오염공기(냄새)가 보조 기능룸인 타 격실로 유입되지 않는다.
또한, 취사장 부피 전체를 공조하지 않고 점 냉방(spot cooling)하기 때문에 용량이 적은 공조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항상 취사장에 온도와 습도가 조절되는 공기가 공급되어 쾌적한 조건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선박용 공기조화 환기설비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주 기능룸 20 : 보조 기능룸
100 : 환기 유니트 110 : 외기 유입 덕트
120 : 실내 공기 배출 덕트 130 : 외기유입 통풍팬
140 : 실내 공기 배출 통풍팬 150 : 후드
160 : 덕트 200 : 공기조화 유니트
210 : 공조기 221 : 제 1 공급 덕트
222 : 제 2 공급 덕트 231 : 외기 유입 덕트
232 : 배출 덕트 300 : 루버
400 : 룸 유닛 500 : 룸 터미널

Claims (5)

  1. 주 기능룸의 내부 공간에 외기를 유입하고 실내 공기를 배출하여 환기를 이루는 환기 유니트; 및
    다수의 보조 기능룸과 상기 주 기능룸의 내부 공간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조절하는 공기 조화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공기조화 환기설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유니트는,
    상기 주 기능룸에 외기의 유입 경로를 형성하는 외기 유입 덕트와,
    상기 주 기능룸으로부터 실내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 경로를 형성하는 실내 공기 배출 덕트와,
    상기 외기 유입 덕트를 통해 외기를 강제 유입시키는 외기유입 통풍팬과,
    상기 실내 공기 배출 덕트를 통해 실내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실내 공기 배출 통풍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공기조화 환기설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 기능룸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내부 공간의 공기를 포집하여 상기 실내 공기 배출 덕트로 유동시키는 후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공기조화 환기설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 유니트는,
    상기 주 기능룸과 다수의 보조 기능룸의 내부 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설정된 조건으로 조절하는 공조기와,
    상기 공조기와 상기 주 기능룸과 다수의 보조 기능룸 각각과 연결되어 온도 및 습도가 조절된 공기를 유입시키는 다수의 공급 덕트와,
    상기 다수의 보조 기능룸들 각각과 상기 공조기와 연결되어, 상기 각 보조 기능룸 내부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유출하는 배출 덕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공기조화 환기설비.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공기조화 환기 설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KR1020130131664A 2013-10-31 2013-10-31 선박용 공기조화 환기설비 및 이를 갖는 선박 KR201500507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664A KR20150050782A (ko) 2013-10-31 2013-10-31 선박용 공기조화 환기설비 및 이를 갖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664A KR20150050782A (ko) 2013-10-31 2013-10-31 선박용 공기조화 환기설비 및 이를 갖는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782A true KR20150050782A (ko) 2015-05-11

Family

ID=53388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1664A KR20150050782A (ko) 2013-10-31 2013-10-31 선박용 공기조화 환기설비 및 이를 갖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07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6152A (ko) 2021-10-20 2023-04-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시스템 및 방법, 및 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6152A (ko) 2021-10-20 2023-04-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전기 장비실용 환기 시스템 및 방법, 및 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6588B2 (ja) 空調システム
JP6433546B2 (ja) 換気制御システム
JP6120820B2 (ja) 換気システム
US9714770B2 (en) Fresh air cooling device
US20190154283A1 (en) Compact air handler with multiple fans
JP6505551B2 (ja) クリーンルーム用排気ユニット
JP5784654B2 (ja) 空調システム及び空調方法
JP2005172309A (ja) 送風装置および室用空調システム
JP2015169399A (ja) 換気装置
JP2015124917A (ja) 空調システム
JP5570017B2 (ja) 空調システム
KR20150050782A (ko) 선박용 공기조화 환기설비 및 이를 갖는 선박
US10473349B2 (en) Adaptive makeup air system and method for tight enclosures
JP2018173247A (ja) 給気器の制御方法、給気器の制御装置、および、換気システム
KR101504620B1 (ko) 원전 주제어실 화재시 가변 역류 환기제어 방법
US20140190670A1 (en) Energy recovery ventilator
JP2016138718A (ja) 建物の空調換気システム
JP2019027730A (ja) 換気扇装置
CN105465942B (zh) 热交换式换气装置
KR20130038004A (ko) 선박 거주구 건조용 공기순환시스템
JP2010054110A (ja) 換気システム及び建物
KR20110040454A (ko) 주방 배기시스템
US20150034290A1 (en) Air handler with a leak free controls enclosure
JP2008111633A (ja) 暖冷房システム
CA2882585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