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0494A - 발전기에 연결된 내연기관의 운전방법 - Google Patents

발전기에 연결된 내연기관의 운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0494A
KR20150050494A KR1020140149530A KR20140149530A KR20150050494A KR 20150050494 A KR20150050494 A KR 20150050494A KR 1020140149530 A KR1020140149530 A KR 1020140149530A KR 20140149530 A KR20140149530 A KR 20140149530A KR 20150050494 A KR20150050494 A KR 20150050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generator
fuel
increa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8122B1 (ko
Inventor
호세 고메스
헤르베르트 코페체크
에리히 크룩켄하우저
헤르베르트 샤움베르거
Original Assignee
게 옌바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오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 옌바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오게 filed Critical 게 옌바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오게
Publication of KR20150050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6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electric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3/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 F02B63/04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electric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5/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devices driven thereby
    • F01D15/10Adaptations for driving, or combinations with, electric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1/00Use of speed-sensing governors to control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1/001Electric control of rotation speed
    • F02D31/007Electric control of rotation speed controlling fuel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3/00Controlling delivery of fuel or combustion-ai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21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2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low pressure type
    • F02D41/36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low pressure type with means for controlling distribu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9/00Measuring volume flow relative to another variable, e.g. of liquid fuel for an engi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4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ducing oscillations of power in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9/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9/006Means for protecting the generator by using contr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9/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9/04Control effected upon non-electric prime mover and dependent upon electric output value of the gener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9/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9/10Control effected upon generator excitation circuit to reduce harmful effects of overloads or transients, e.g. sudden application of load, sudden removal of load, sudden change of lo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9/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9/48Arrangements for obtaining a constant output value at varying speed of the generator, e.g. on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0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 F02D2041/2086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with means for detecting circuit failures
    • F02D2041/2093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with means for detecting circuit failures detecting short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10Parameters related to the engine output, e.g. engine torque or engine speed
    • F02D2200/1002Output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10Parameters related to the engine output, e.g. engine torque or engine speed
    • F02D2200/1012Engine speed gradi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50/00Engine control related to specific problems or objectives
    • F02D2250/18Control of the engine output torque
    • F02D2250/24Control of the engine output torque by using an external load, e.g. a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27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the fuel being gaseo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9/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9/10Control effected upon generator excitation circuit to reduce harmful effects of overloads or transients, e.g. sudden application of load, sudden removal of load, sudden change of load
    • H02P9/102Control effected upon generator excitation circuit to reduce harmful effects of overloads or transients, e.g. sudden application of load, sudden removal of load, sudden change of load for limiting effects of transi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기(2)에 연결된 전력공급 네트워크(1)에서 네트워크의 고장, 특히 전기단락 중에, 발전기(2), 특히 동기발전기에 연결된 내연기관(4)의 운전방법에 관한 것으로, 내연기관(4)에 의하여 공급된 기계적인 동력(Pmech)이 발전기(2)에 공급되고 발전기(2)에서 전력(Pel)으로 전환되며, 전력(Pel)이 전력공급 네트워크(1)로 공급되는 발전기(2)에 연결된 내연기관(4)의 운전방법에 있어서, 내연기관(4)에 의하여 공급되는 기계적인 동력(Pmech)이, 네트워크 고장 전 및/또는 네트워크 고장 중에, 좋기로는 내연기관(4)으로 주입되는 연료량(m)이 증가되는 만큼, 발전기(2) 및/또는 내연기관(4)의 적어도 하나의 운전파라메타의 값에 따라서 적어도 일시적으로 증가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전기에 연결된 내연기관의 운전방법 {METHOD OF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NECTED TO AN ELECTRIC GENERATOR}
본 발명은 발전기에 연결된 전력공급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의 고장, 특히 전기단락 중에, 발전기, 특히 동기발전기에 연결된 내연기관의 운전방법에 관한 것으로, 내연기관에 의하여 공급된 기계적인 동력이 발전기에 공급되고 발전기에서 전력으로 전환되며, 전력이 전력공급 네트워크로 공급되는 발전기에 연결된 내연기관의 운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력공급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의 고장 중에, 특히 전력공급 네트워크에서 전기단락 및 이에 수반되는 네트워크 전압의 강하 중에, 예를 들어 발전기의 회전속도 또는 부하각(load angle)과 같은, 전력공급 네트워크에 연결된 발전기, 특히 동기발전기의 운전파라메타의 원치않는 변화가 발전기에서 일어날 수 있다. 용어 "부하각"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발전기 고정자의 회전자계의 벡터와 발전기 회전자의 회전자계의 벡터 사이의 각도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네트워크 전압의 강하는 발전기로부터 전력공급 네트워크로의 전력공급이 현저히 감소되도록 한다. 발전기의 회전자가 이러한 회전자를 구동시키는 내연기관(예를 들어 가스엔진)의 엔진축에 연결된 통상적인 구조의 경우에, 이러한 전력의 전압강하는 내연기관 및 이와 함께 회전자의 회전속도를 상응하여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발전기와 전력공급 네트워크의 동기화가 유지되지 않을 수 있거나 이것이 원인이 되어 발전기에 손상이 있을 수 있다.
전력공급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고장의 검출은 예를 들어 모니터되는 전력공급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전압 및/또는 발전기에 의하여 전력공급 네트워크에 공급된 전류 및/또는 발전기 또는 내연기관의 회전속도 및/또는 내연기관의 엔진축 또는 발전기의 회전축의 토크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경우에 있어서 사전에 결정가능한 한계값을 초과하는 이들 모니터되는 운전파라메타의 적어도 하나에서 변화가 발생될 때 네트워크 고장이 검출된다. 또한 이 점에 관하여 발생되는 변화는 다수의 이들 운전파라메타가 사전에 결정가능한 한계값을 초과하는 해당 변화에 관련있을 때, 따라서 만약 예를 들어 네트워크 전압, 전류 및 회전속도가 이에 대응하는 편차를 보일 때에만 네트워크 고장으로서 검출될 수 있다. 발전기는 네트워크 고장 중에도 전력공급 네트워크에 그대로 연결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고장에 대응하는 통상적인 방법은 이러한 회전속도의 증가와 이와 관련된 발전기 부하각에서의 증가에 대응하기 위하여 적당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다. 따라서 조치는 통상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회전속도와 부하각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이러한 조치는 대응하여 스로틀링(throttled)되는 발전기에 연결된 내연기관에 의한 가속모멘트의 감소이다.
그러나, 통상적인 조치는 어떠한 특정 상황에서 네트워크 고장의 발생시 불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발전기의 회전속도는 증가하지 않고 초기에 떨어진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영문 기술 용어 "백-스윙(back-swing)"으로 전문가에게 잘 알려진 이러한 효과는 어떤 경우에 있어서는 발전기의 폴 슬립(pole slip)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폴 슬립은 발전기를 불안정하게 하여 내연기관에 의하여 엔진축을 통해 회전자에 공급되는 기계적인 동력이 발전기에 의하여 더 이상 요구된 전력으로 전환될 수 없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언급된 결점을 해소하고 전력공급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고장 중에 발전기, 특히 동기발전기에 연결된 내연기관의 운전방법, 즉, 종래기술 보다 개선된 운전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러한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부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구성들이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열거된다.
본 발명은 과도효과(subtransient effects), 즉, 네트워크 고장 후 수 10 밀리초(ms)의 시간규모에서 일어나는 이벤트에 관련된 것이다.
좋기로는 본 발명은 내연기관에 의하여 네트워크에 공급되는 전력이 전력공급 네트워크의 전체 전력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예를 들어, 10% 이하, 좋기로는 1% 이하) 전력공급 네트워크에 적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내연기관에 의하여 공급되는 기계적인 동력이, 네트워크 고장 전 및/또는 네트워크 고장 중에, 좋기로는 내연기관으로 주입되는 연료량이 증가되는 만큼, 발전기 및/또는 내연기관의 적어도 하나의 운전파라메타의 값에 따라서 적어도 일시적으로 증가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특히 백-스윙 중에 일어나고 대부분의 불리한 경우에 발전기의 폴 슬립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속도의 강하에 대처할 수 있다.
우선실시형태에 따라서 연료는 적어도 하나의 연료계량장치에 의하여 내연기관, 좋기로는 내연기관의 주입관으로 주입되고, 좋기로는 내연기관의 각 실린더에 대하여 각 연료계량장치가 제공된다. 이 점에 있어서 내연기관으로 주입되는 연료의 양은 달라지는 적어도 하나의 연료계량장치의 개방위치 및/또는 개방시간에 의하여 증가되고, 적어도 하나의 연료계량장치는 포트 인젝션 밸브(port injection valve)의 형태일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3 MW 이상의 전력레벨을 갖는 대형 가스엔진의 경우에 있어서 혼합물형성(mixture formation)은 유입밸브의 직상류측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소위 공기충전형 엔진연료가 각 실린더의 각 연료계량장치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계량될 수 있다. 혼합물형성이 압축기 유닛의 가스믹서 상류측의 중앙에서 이루어지는 혼합물충전형 엔진이 혼합물형성으로부터 연소실까지의 긴 거리 때문에 연료 또는 가스계량의 간섭에 대하여 완만하게 반응하는 반면에, 연료계량장치(예를 들어 포트 인젝션 밸브의 형태)를 갖는 공기충전형 엔진에서는 반응시간이 실질적으로 더 짧다. 따라서 연료계량장치에 의하여 주입되는 연료량의 변화는 내연기관에 의하여 공급되는 기계적인 동력에서 이미 10 ms 내에 작용할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은 백-스윙 효과가 낮은 관성상수를 갖는 발전기에서는 보다 강력하게 작용하므로 1.5 Ws/VA 이하, 좋기로는 1 Ws/VA 이하의 관성상수를 갖는 발전기에 특히 유리하다.
우선 실시형태에서 발전기는 커플링장치에 의하여 내연기관에 결합된다. 내연기관은 예를 들어 오토 싸이클(Otto Cycle)에 따라서 작동되는 왕복동 내연기관일 수 있다.
내연기관에 의하여 발전기에 주입되는 기계적인 동력과 발전기에 의하여 전력공급 네트워크에 공급되는 전력 사이에 불균형이 발생한다는 이유로 네트워크 고장 중에 발전기의 운전파라메타에 편차가 흔히 발생한다. 네트워크 고장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백-스윙 효과의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불균형은 기계적인 동력 보다 큰 전력에 의하여 발생 될 수 있다. 내연기관에 의하여 공급되는 기계적인 동력의 증가에 의하여 이러한 불균형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우선실시형태에 따라서 네트워크 고장 전에 발전기에 의하여 전력공급 네트워크에 공급된 전력이 운전파라메타로서 검출되고, 내연기관에 주입된 연료량은 네트워크 고장 전에 발전기에 의하여 전력공급 네트워크에 공급된 전력에 따라서 증가된다. 여기에서 내연기관에 공급되는 연료량은 사전에 결정가능한 기준값 - 좋기로는 정격전력에 대하여 네트워크 고장 전 공급된 전력의 차이에 실질적으로 비례하여 증가될 수 있다.
우선 실시형태에서 발전기 및/또는 커플링장치 및/또는 내연기관의 회전속도가 네트워크 고장 전에 운전파라메타로서 검출되고, 내연기관에 주입되는 연료량은 네트워크 고장 전에 회전속도에 따라서 증가된다.
또한 발전기 및/또는 커플링장치 및/또는 내연기관의 일시적인 과도회전속도가 네트워크 고장 중에 운전파라메타로서 검출되고, 내연기관에 주입되는 연료량은 네트워크 고장 전에 회전속도에 대하여 과도회전속도의 차이에 실질적으로 비례하여 증가된다.
예를 들어 다음의 공식 F1 에 따라서 사전에 결정가능한 100%의 공칭개방위치 또는 공칭개방시간에 대하여 연료계량장치의 백분율 개방위치 또는 개방시간을 확인함으로써 내연기관에 주입되는 연료량의 증가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F1: S7s=100%+(S1ref-S1)*Pspeed 여기에서, S7s 는 100%의 공칭개방위치 또는 공칭개방시간에 대하여 연료계량장치의 백분율 개방위치 또는 개방시간을 나타내고, S1ref 는 100%의 공칭회전속도에 대하여 네트워크 고장 전에 발전기 또는 커플링장치 또는 내연기관의 백분율 회전속도를 나타내며, S1 은 100%의 공칭회전속도에 대하여 네트워크 고장 중에 발전기 또는 커플링장치 또는 내연기관의 백분율 과도회전속도를 나타내고, Pspeed 는 연료계량장치의 개방위치 또는 개방시간의 변화강도가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포지티브 비례인수(positive proportionality factor)를 나타낸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발전기 및/또는 커플링장치 및/또는 내연기관의 회전속도의 변화가 네트워크 고장 중에 운전파라메타로서 검출될 수 있으며, 내연기관에 주입되는 연료량은 회전속도 변화의 크기에 따라서 증가된다.
또한 내연기관의 엔진축 및/또는 발전기 회전축의 토크가 네트워크 고장 중에 운전파라메타로서 검출될 수 있으며, 내연기관에 주입되는 연료량은 토크에 따라서 증가된다.
다른 우선실시형태에서 발전기의 부하각은 네트워크 고장 중에 운전파라메타로서 검출될 수 있으며, 내연기관에 주입되는 연료량은 검출된 부하각의 크기에 실질상 간접적으로 비례하여 증가된다.
예를 들어 내연기관에 주입되는 연료량의 증가는 네거티브 부하각의 경우에 다음의 공식 F2 에 따라서 사전에 결정가능한 100%의 공칭개방위치 또는 공칭개방시간에 대하여 연료계량장치의 백분율 개방위치 또는 개방시간을 확인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F2: S7s=100%-(S2/180)*100%*Pload _ angle 여기에서, S7s 는 100%의 공칭개방위치 또는 공칭개방시간에 대하여 연료계량장치의 백분율 개방위치 또는 개방시간을 나타내고, S2는 측정된 네거티브 부하각의 각도를 나타내며, Pload _ angle 는 연료계량장치의 개방위치 또는 개방시간의 변화강도가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포지티브 비례인수를 나타낸다.
좋기로는 내연기관에 주입되는 연료량은 사전에 결정가능한 최대량까지 최대로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각 공식 F1 및 F2 의 파라메타 S7s 에 대한 최대값을 사전에 결정할 수 있으며, 그 이상에서는 연료계량장치의 백분율 개방위치 또는 개방시간이 증가되지 않는다. 이러한 안전조치는 내연기관의 임계작동상태를 피할 수 있도록 한다.
특별한 우선 실시형태에 따라서 네트워크 고장 중에 발전기의 운전파라메타의 발진이 검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발진이 사전에 결정가능한 강도를 초과하는 경우 내연기관에 주입되는 연료량이 증가된다. 여기에서 발전기의 부하각의 발진이 검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발진이 2도 이상, 좋기로는 10도 이상의 진폭을 갖는 경우 내연기관에 주입되는 연료량이 증가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내용과 이점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전력공급 네트워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내연기관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전기의 개략적인 블록회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전력공급 네트워크에서 한 예로서 네트워크의 고장 중에 시간에 대한 발전기의 부하각의 변화를 보인 다이아그램을 나타내며, 그리고
도 3은 전력공급 네트워크에서 한 예로서 네트워크의 고장 중에 시간에 대한 부하각, 회전속도, 토크 및 가스량의 변화를 보인 다이아그램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의 블록회로도에서는 3-상 구조의 전력공급 네트워크(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전기(2)를 보이고 있다. 발전기(2)는 동기발전기의 형태이고 고정자(6)와 이러한 고정자(6)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회전자(7)를 갖는다. 전력공급 네트워크(1)의 3상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발전기(2)의 고정자(6)의 권선에 연결된다. 전력공급 네트워크(1)는 네트워크 주파수를 사전에 결정하는 공공 전력공급 네트워크 또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주파수가 발전기(2)에 의하여 사전에 결정되는 아일랜드 작동모드(island mode of operation)의 지역 전력공급 네트워크일 수 있다. 발전기(2)의 회전자(7) 또는 회전자부재는 커플링장치(3)에 의하여 내연기관(4)의 엔진축(8)에 실질적으로 회전되지 않게 연결된다. 내연기관(4)은 예를 들어 오토 싸이클로 작동되는 스파크점화형 왕복동 피스턴 엔진의 형태일 수 있는 정치형 가스엔진일 수 있다.
내연기관(4)에 의하여 공급되는 기계적인 동력(Pmech)은 엔진축(8)에 의하여 발전기(2)에 주입되고 발전기(2)에서 전력(Pel)으로 전환되며 그 후에 전력(Pel)이 전력공급 네트워크(1)에 공급된다.
도시된 예에서 종래기술에서 잘 알려진 회전속도센서(9)가 발전기(2), 커플링장치(3) 및 내연기관(4)에 배치되며, 이에 의하여 엔진축(8) 또는 회전자(7)의 회전속도(n)가 검출될 수 있고 적당한 신호라인(10)에 의하여 신호가 제어장치(11)로 보내질 수 있다. 아울러 토크센서(12)가 엔진축(8)과 회전자(7)의 회전자축(7')에 배치되어 이에 의하여 커플링장치(3)의 상류측 엔진축(8)과 커플링장치(3)의 하류측 회전자축(7')에서 기계적인 토크(ML)가 검출될 수 있고 적당한 신호라인(10)에 의하여 신호가 제어장치(11)로 보내질 수 있다. 이후에 제어장치(11)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검출된 회전속도(n)로부터 회전자(7)의 현재 부하각(5)을 확인할 수 있다(도 2 참조). 또한 부하각(5)은 발전기의 리액턴스와 측정된 전기적인 파라메타(예를 들어 전압, 전류, 역률)를 기초로 한 계산에 의하여 확인될 수 있다.
게다가 발전기(2)에는 종래기술에서 잘 알려져 있고 발전기(2)에 의하여 전력공급 네트워크(1)에 공급된 전력(Pel)을 확인하여 이를 다른 신호라인(10)에 의하여 제어장치(11)와 전압조절기(15)로 보내는 전력측정수단(13)이 배치된다. 여기에서 전력측정수단(13)은 잘 알려진 방법으로 전압 및 전류측정값으로부터 전력(Pel)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발전기의 회전자(7)는 전기적인 여자기전류(IE)를 갖는 동기기(synchronous machine)의 형태인 여자장치(14)에 의하여 작동되는 여자기권선(상세히 도시하지 않았음)을 갖는다. 여자장치(14)는 여자기전압(S3)을 갖는 전압조절기(15)에 의하여 작동되어 여자기전압 S3 에 일치하는 여자기전류(IE)가 발전기(2)의 회전자(7)의 여자기 권선에 대하여 설정된다.
엔진제어라인(17)을 통해 내연기관(4)에 의하여 공급되는 기계적인 동력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내연기관(4)의 제어부재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재는 예를 들어 연료라인(19)에 의하여 제공된 연료를 내연기관(4)에 주입하는 연료계량장치(18)일 수 있다.
특히 내연기관(4)은 연료계량장치(18)가 제어장치(11)에 의하여 각각 설정된 연료량을 실린더, 개별적으로 각 실린더에 대한 각 주입관으로 주입하기 위하여 가스엔진의 각 실린더에 각각 제공된 공기충전형 가스엔진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각 연료량은 해당 연료계량장치(18)의 개방위치 및/또는 개방시간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전력공급 네트워크(1)의 네트워크 고장 중에, 특히 백-스윙 효과를 보이는 네트워크 고장 중에, 제어장치(11)는 네트워크 고장 전 및/또는 네트워크 고장 중에 발전기(2) 및/또는 내연기관(4)의 적어도 하나의 운전파라메타의 값에 따라서 내연기관으로 주입될 연료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내연기관(4)의 연료계량장치(18)의 상응하여 변화된 개방위치 및/또는 개방시간(S7s)을 확인한다. 연료계량장치(18)의 변화된 개방위치 및/또는 개방시간(S7s)은 엔진제어라인(17)을 통하여 제어장치(11)에 의하여 내연기관(4)의 연료계량장치(18)에 신호로 보내진다.
변화된 개방위치 및/또는 개방시간(S7s)은 100%의 공칭개방위치 또는 공칭개방시간에 대한 연료계량장치(18)의 백분율 개방위치 또는 개방시간일 수 있다. 이 점에 관하여 변화된 개방위치 및/또는 개방시간(S7s)은 앞의 공식 F1 및 F2 각각에 따라서 확인될 수 있다.
도 2는 백-스윙의 효과를 보이는 네트워크 고장 중에 초 단위의 시간에 대하여 도(degree) 단위의 발전기(2)의 회전자(7)의 부하각(5)의 변화를 한 예로서 보인 것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트워크 고장 중에 부하각(5)에서 발진이 일어난다. 여기에서 점선은 네트워크 고장에 대하여 통상적인 제어조치를 적용하였을 때 부하각(5)의 발진을 보인 것이고 실선은 제안된 방법을 적용하였을 때 부하각(5)의 형태를 보인 것이다. 제안된 방법을 적용하였을 때 명백히 보인 바와 같이 부하각(5)의 발진의 진폭이 감소되어 네트워크 고장 중에 발전기(2)는 전체적으로 더 높은 안정성을 보이는 것이다. 이러한 도면에서 + 또는 - 180도의 부하각(5)은 슬립 한계를 보이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기(2)는 제안된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경우 이러한 슬립한계에 이미 매우 가깝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3은 전력공급 네트워크(1)에서 네트워크 고장 중에 시간에 대한 부하각(5), 회전속도(n), 토크(ML) 및 내연기관(4)에 주입된 연료량(m)의 변화를 한 예로서 보인 것이다.
여기에서 다이아그램 A 는 시간에 대하여 내연기관(4)(도 1 참조)에 연결된 발전기(2)의 부하각(5)의 변화를 보인 것이다. 다이아그램 B 는 시간(t)에 대한 내연기관(4)의 회전속도(n)의 변화를 보인 것이다. 다이아그램 C 는 시간(t)에 대한 내연기관(4)의 엔진축(8)의 기계적인 토크(ML)의 변화를 보인 것이다. 다이아그램 D 는 시간(t)에 대하여 내연기관(4)에 주입된 연료량(m)의 변화를 보인 것이다.
시간(t1)에서 네트워크 고장이 발전기(2)가 연결된 전력공급 네트워크(1)에서 발생한다. 여기에서 보인 네트워크 고장은 내연기관(4)의 초기에 떨어지는 회전속도(n)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 고장을 직접적으로 따르는 백-스윙 효과를 야기한다. 이러한 결과로 이에 대응하여 부하각(5)이 증가하고 내연기관(4)의 엔진축(8)에서 기계적인 토크(ML)가 증가한다. 내연기관(4)에 주입되는 연료량(m)도 시간(t2)에서 회전속도의 변화가 검출되어 증가된다.
회전속도의 감소 또는 내연기관(4)으로 주입되는 연료량(m)의 일시적인 증가에 의한 토크의 증가에 대하여 대응할 수 있다. 그 결과, 시간(t3)에서 회전속도(n)와 토크(ML)는 네트워크 고장의 발생 이전에 우세했던 값으로 다시 회복되고, 또한 내연기관(4)로 주입되는 연료량도 네트워크 고장의 발생 이전에 우세했던 값으로 다시 설정된다.
전체적으로 제안된 방법은 네트워크 고장에 의하여 시작되는 백-스윙 효과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내연기관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전기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발전기를 포함하는 발전장치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백-스윙 효과를 갖는 이러한 고장 상황중에 통상적인 제어방법은 이러한 통상적인 제어방법이 백-스윙 효과를 고려하지 않고 예를 들어 내연기관으로 주입되는 연료량을 조절하지 않고 증가시키므로 비생산적인 것이다.
좋기로는 제안된 방법이 백-스윙 효과의 발생중에만 네트워크 고장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제어방법은 백-스윙 효과가 소멸된 후에 다시 채택될 수 있다.
1: 전력공급 네트워크, 2: 발전기, 3: 커플링장치, 4: 내연기관, 5: 부하각, 6: 고정자, 7: 회전자, 7': 회전자축, 8: 엔진축, 9: 회전속도센서, 10: 신호라인, 11: 제어장치, 12: 토크센서, 13: 전력측정수단, 14: 여자장치, 15: 전압조절기, 17: 엔진제어라인, 18: 연료계량장치, 19: 연료라인.

Claims (16)

  1. 발전기(2)에 연결된 전력공급 네트워크(1)에서 네트워크의 고장, 특히 전기단락 중에, 발전기(2), 특히 동기발전기에 연결된 내연기관(4)의 운전방법으로서, 내연기관(4)에 의하여 공급된 기계적인 동력(Pmech)이 발전기(2)에 공급되고 발전기(2)에서 전력(Pel)으로 전환되며, 전력(Pel)이 전력공급 네트워크(1)로 공급되는 발전기(2)에 연결된 내연기관(4)의 운전방법에 있어서, 내연기관(4)에 의하여 공급되는 기계적인 동력(Pmech)이, 네트워크 고장 전 및/또는 네트워크 고장 중에, 좋기로는 내연기관(4)으로 주입되는 연료량(m)이 증가되는 만큼, 발전기(2) 및/또는 내연기관(4)의 적어도 하나의 운전파라메타의 값에 따라서 적어도 일시적으로 증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2)에 연결된 내연기관(4)의 운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연료가 적어도 하나의 연료계량장치에 의하여 내연기관(4), 좋기로는 내연기관(4)의 주입관으로 주입되고, 좋기로는 내연기관의 각 실린더에 대하여 각 연료계량장치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에 연결된 내연기관의 운전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내연기관(4)으로 주입되는 연료량(m)은 달라지는 적어도 하나의 연료계량장치의 개방위치 및/또는 개방시간에 의하여 증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에 연결된 내연기관의 운전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연료계량장치가 포트 인젝션 밸브의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에 연결된 내연기관의 운전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전기(2)가 1.5 Ws/VA 이하, 좋기로는 1 Ws/VA 이하의 관성상수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에 연결된 내연기관의 운전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전기(2)가 커플링장치(3)에 의하여 내연기관(4)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에 연결된 내연기관의 운전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고장 전에 발전기(2)에 의하여 전력공급 네트워크(1)에 공급된 전력(Pel)이 운전파라메타로서 검출되고, 내연기관(4)에 주입된 연료량(m)은 네트워크 고장 전에 발전기에 의하여 전력공급 네트워크(1)에 공급된 전력(Pel)에 따라서 증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에 연결된 내연기관의 운전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내연기관(4)에 공급되는 연료량(m)이 사전에 결정가능한 기준값- 좋기로는 정격전력 -에 대하여 네트워크 고장 전 공급된 전력(Pel)의 차이에 실질적으로 비례하여 증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에 연결된 내연기관의 운전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전기(2) 및/또는 커플링장치(3) 및/또는 내연기관(4)의 회전속도가 네트워크 고장 전에 운전파라메타로서 검출되고, 내연기관(4)에 주입되는 연료량(m)은 네트워크 고장 전에 회전속도에 따라서 증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에 연결된 내연기관의 운전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전기(2) 및/또는 커플링장치(3) 및/또는 내연기관(4)의 일시적인 과도회전속도가 네트워크 고장 중에 운전파라메타로서 검출되고, 내연기관(4)에 주입되는 연료량(m)은 네트워크 고장 전에 회전속도에 대하여 과도회전속도의 차이에 실질적으로 비례하여 증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에 연결된 내연기관의 운전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전기(2) 및/또는 커플링장치(3) 및/또는 내연기관(4)의 회전속도의 변화가 네트워크 고장 중에 운전파라메타로서 검출되고, 내연기관(4)에 주입되는 연료량(m)은 회전속도 변화의 크기에 따라서 증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에 연결된 내연기관의 운전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연기관(4)의 엔진축(8) 및/또는 발전기(2)의 회전축(7)의 토크(ML)가 네트워크 고장 중에 운전파라메타로서 검출되고, 내연기관(4)에 주입되는 연료량(m)이 토크(ML)에 따라서 증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에 연결된 내연기관의 운전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전기(2)의 부하각(5)이 네트워크 고장 중에 운전파라메타로서 검출되고, 내연기관(4)에 주입되는 연료량(m)이 검출된 부하각(5)의 크기에 실질상 간접적으로 비례하여 증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에 연결된 내연기관의 운전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연기관(4)에 주입되는 연료량(m)이 사전에 결정가능한 최대량까지 최대로 증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에 연결된 내연기관의 운전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고장 중에 발전기(2)의 운전파라메타의 발진이 검출되고, 이러한 발진이 사전에 결정가능한 강도를 초과하는 경우 내연기관(4)에 주입되는 연료량(m)이 증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에 연결된 내연기관의 운전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발전기(2)의 부하각(5)의 발진이 검출되고, 이러한 발진이 2도 이상, 좋기로는 10도 이상의 진폭을 갖는 경우 내연기관(4)에 주입되는 연료량(m)이 증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에 연결된 내연기관의 운전방법.
KR1020140149530A 2013-10-30 2014-10-30 발전기에 연결된 내연기관의 운전방법 KR1017381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832/2013 2013-10-30
ATA832/2013A AT514811B1 (de) 2013-10-30 2013-10-30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mit einem elektrischen Generator, insbesondere Synchrongenerator, verbundenen Brennkraft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494A true KR20150050494A (ko) 2015-05-08
KR101738122B1 KR101738122B1 (ko) 2017-05-22

Family

ID=51846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530A KR101738122B1 (ko) 2013-10-30 2014-10-30 발전기에 연결된 내연기관의 운전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926862B2 (ko)
EP (1) EP2868903B1 (ko)
JP (1) JP6071074B2 (ko)
KR (1) KR101738122B1 (ko)
CN (1) CN104595045B (ko)
AT (1) AT514811B1 (ko)
ES (1) ES2620795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4811B1 (de) 2013-10-30 2015-04-15 Ge Jenbacher Gmbh & Co O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mit einem elektrischen Generator, insbesondere Synchrongenerator, verbundenen Brennkraftmaschine
AT515415B1 (de) * 2014-10-30 2015-09-15 Ge Jenbacher Gmbh & Co O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AT517397B1 (de) * 2015-07-07 2017-10-15 Ge Jenbacher Gmbh & Co Og Anordnung mit einem Synchrongenerator und einer Asynchronmaschine
AT518130A1 (de) * 2015-12-29 2017-07-15 Ge Jenbacher Gmbh & Co Og Genset
EP3561988B1 (en) * 2018-04-24 2022-12-07 Innio Jenbacher GmbH & Co OG Fast grid synchronization
JP2020141432A (ja) * 2019-02-26 2020-09-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発電機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29174A (en) * 1966-08-08 1970-09-15 Otto J M Smith Power system with transient control and method
FR1576528A (ko) * 1968-05-17 1969-08-01
JP2875067B2 (ja) 1991-07-26 1999-03-24 日野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補助駆動装置
JP2934092B2 (ja) 1992-03-17 1999-08-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発電設備
US6555929B1 (en) * 2000-10-24 2003-04-29 Kohler Co.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excessive reaction to a load disturbance by a generator set
JP2006509489A (ja) * 2002-12-06 2006-03-16 エレクトリック パワー リサーチ インスチテュー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停電源及び発電システム
JP2004257285A (ja) 2003-02-25 2004-09-16 Honda Motor Co Ltd エンジン駆動式発電装置
JP2005171890A (ja) 2003-12-11 2005-06-30 Osaka Gas Co Ltd 発電設備
JP2006211734A (ja) * 2005-01-25 2006-08-10 Denso Corp トルク検出装置
US7295914B2 (en) * 2005-08-08 2007-11-13 Deere & Company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speed recovery power boost
DE102007045195B3 (de) 2007-09-21 2009-03-12 Mtu Friedrichshafen Gmbh Verfahren zur Regelung eines stationären Gasmotors
US20090261599A1 (en) * 2008-04-21 2009-10-22 Glacier Bay, Inc. Power generation system
CA2756135A1 (en) 2009-01-30 2010-08-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Power system frequency inertia for power generation system
EP2433355B2 (en) * 2009-05-20 2017-10-04 Cummins Power Generation IP, In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to address electrical load transients, electrical faults, and electric power grid disruptions
US8912672B2 (en) * 2009-05-20 2014-12-16 Cummins Power Generator IP, Inc. Control of an engine-driven generator to address transients of an electrical power grid connected thereto
AT509436A1 (de) * 2009-10-29 2011-08-15 Ge Jenbacher Gmbh & Co Ohg Stationäre kraftanlagen
AT509558B1 (de) 2010-01-19 2012-09-15 Ge Jenbacher Gmbh & Co Ohg Stationäre kraftanlage
US8683980B2 (en) * 2010-01-28 2014-04-01 Cummins Power Generation, Inc. Genset engine with an electronic fuel injection system integrating electrical sensing and crank position sensing
US9001053B2 (en) 2010-10-28 2015-04-0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isplay system for controlling a selector symbol within an image
DE102011105430A1 (de) * 2011-06-20 2012-08-23 Voith Patent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ynchrongenerators
DE102012203334A1 (de) * 2012-03-02 2013-09-05 Wobben Properties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ombikraftwerks bzw. Kombikraftwerk
US10389126B2 (en) * 2012-09-13 2019-08-20 Ste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amping power oscillations on an electrical grid using networked distributed energy storage systems
US20140366840A1 (en) * 2013-06-17 2014-12-18 Caterpillar Motoren GmbH & Co. KG. Fuel Apportionment for Multi Fuel Engine System
AT514811B1 (de) 2013-10-30 2015-04-15 Ge Jenbacher Gmbh & Co O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mit einem elektrischen Generator, insbesondere Synchrongenerator, verbundenen Brennkraft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8122B1 (ko) 2017-05-22
JP6071074B2 (ja) 2017-02-01
AT514811B1 (de) 2015-04-15
CN104595045A (zh) 2015-05-06
AT514811A4 (de) 2015-04-15
ES2620795T3 (es) 2017-06-29
EP2868903A3 (de) 2015-12-23
US20150115616A1 (en) 2015-04-30
EP2868903A2 (de) 2015-05-06
CN104595045B (zh) 2018-03-30
US9926862B2 (en) 2018-03-27
EP2868903B1 (de) 2016-12-28
JP2015089334A (ja) 2015-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122B1 (ko) 발전기에 연결된 내연기관의 운전방법
JP6405296B2 (ja) 内燃機関の運転方法、内燃機関及び発電セット
CA2982798C (en) Method for detecting an imminent pole slip
JPWO2014020772A1 (ja) 2軸式ガスタービン発電システム、ガスタービンシステム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6467189B2 (ja) 電力供給ネットワークに接続された発電機の運転方法
KR101831502B1 (ko) 폴 슬립 식별 방법
US9683495B2 (en) Method of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upled to a generator
EP2839575A2 (en) Synchronous generator control, generator system and vessel energy system
CN104578156B (zh) 用于运行与供电网络相连的发电设备的方法
US10658958B2 (en) Genset
AU2019203914A1 (en) Conductor loss optimisation in an electrical system for driving a pump
US11368113B2 (en) Breaker failure protection using reverse active power and negative reactive power element
ES2914581T3 (es) Método de control para operar una máquina síncrona
JPS6026470B2 (ja) ブラシレス回転電機の地絡故障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