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0303A -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를 포함하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를 포함하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0303A
KR20150050303A KR1020140009691A KR20140009691A KR20150050303A KR 20150050303 A KR20150050303 A KR 20150050303A KR 1020140009691 A KR1020140009691 A KR 1020140009691A KR 20140009691 A KR20140009691 A KR 20140009691A KR 20150050303 A KR20150050303 A KR 20150050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butter
melting point
starch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9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4406B1 (ko
Inventor
이의정
오주영
박선규
김은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150050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4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36Glucomannans or galactomannans, e.g. locust bean gum, guar g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를 포함하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융점이 40℃ 이하인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를 전체 중량 대비 0.5 중량%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고, -20℃ 내지 80에서 점도가 8,000 cps 이하인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저점도를 나타내어 냉장 유통 조건에서도 안정성이 뛰어나며, 나아가 일 양태에서 전분, 에탄올 및/또는 검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실온 및 냉장 유통 조건은 물론 고온 조건에서도 안정성이 뛰어나고 발림성 등의 사용감이 우수한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를 포함하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Low viscosity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butter or wax having low melting point}
본 발명은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를 포함하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융점이 40℃ 이하인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를 전체 중량 대비 0.5 중량%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고, -20℃ 내지 80℃에서 점도가 8,000 cps 이하인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저점도를 나타내어 냉장 유통 조건에서도 안정성이 뛰어나며, 나아가 일 양태에서 전분, 에탄올 및/또는 검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실온 및 냉장 유통 조건은 물론 고온 조건에서도 안정성이 뛰어나고 발림성 등의 사용감이 우수한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인 제품을 살펴보면 거의 지방 알코올이나 왁스 등을 이용하여 저점도 유액을 형성하기 어렵다. 피부에 직접 도포되는 화장료의 경우, 저융점 고경도 버터만을 사용하여 스킨과 같은 흐름성을 가지고 실온에서 유통 및 사용되는 것과 같은 특성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는 없었다. 화장료의 제조 시, 현재 시판중인 스킨, 로션 및 에센스 등을 고경도 버터나 왁스상으로 제조할 경우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특히, 스킨의 경우 영양감 있는 사용감과 보습능력을 높이기 위해 유상성분을 고함량으로 사용하기 어려우며, 사용한다 해도 고압조건 하에서 해야하는 공정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왁스 형상의 원료들은 대부분 점도나 경도를 급격히 증가시키고 발림성을 크게 떨어뜨리며 냉장 조건에서 석출되어 화장료를 사용하기 힘든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실온유통 화장료의 냉장 유통 조건에서는 점도나 경도를 급격히 증가시키고 발림성이 크게 나빠지거나 석출 등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원인으로 고융점 왁스상의 원료들이 가장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왁스상의 원료들은 피부에 도포 후에는 보습막을 형성하여 피부의 건조함을 막아주고, 피부에 생기 있는 윤기도 부여하는 등의 꼭 필요한 원료로 사용을 배제하기는 힘들다. 본 발명자들은 왁스상의 원료들 중에서도 융점이 40℃ 초과의 고융점의 왁스상 원료들이 이러한 문제를 더욱 크게 야기시키고, 40℃ 이하의 저융점 왁스상 원료는 상기의 문제점들을 야기시키지 않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융점이 20~40℃이고 증점 및 보습을 부여하는 왁스상 성분을 2~10 중량% 포함하는 유화 제형 화장료 조성물을 특허출원한 바 있다(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2-0076169호). 그러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도포 시 사용자에게 만족할 만한 수준의 발림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왁스상 성분을 상당히 소량으로 제한해야 하였으며, 고경도 조성물로 제한되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물을 포함하지 않거나 1 중량% 이하로 포함하며,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비유화 무수 제형의 오일 기반 화장료 조성물로서, 25~35℃의 융점을 가진 저융점 왁스상 원료를 5~30 중량% 포함하는 냉장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을 특허출원한 바 있다(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3-0012596호). 그러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기반의 화장료 조성물로서 제형의 다양화에 제한이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상 성분을 포함하면서 발림성이 우수하고, 냉장 및 고온 안정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는 추가적인 성분들이 요구됨을 발견하였고, 이에 전분, 에탄올, 검 등을 이용하여 저점도 제품의 품질 유지를 위해서 형상이나 발림성 및 기본적인 효과는 해치지 않으면서, 안정한 유효성분에 의한 효능 및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융점의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를 포함하며, 냉장 유통 조건 및 고온 조건에서 안정성이 뛰어나고 발림성 등의 사용감이 우수한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융점이 40℃ 이하인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를 전체 중량 대비 0.5 중량%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고, -20℃ 내지 80℃에서 점도가 8,000 cp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종래 화장료는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를 함유하는 경우, 상기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 시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가 녹지않아 발림성이 불량한 문제가 있었으며, 특히 고경도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발림성 불량이 더욱 심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를 함유하면서도 점도가 낮아 발림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융점이 40℃ 이하로 저융점인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를 사용하여, 피부에 도포 시 상기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가 쉽게 녹아 화장료 중에 함유된 유효 성분의 빠른 흡수를 돕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상기 융점이 40℃ 이하인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융점이 20℃ 내지 4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저융점 고경도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융점이 40℃ 이하인 저융점 고경도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는 40℃ 이하의 저융점을 가지나 상온(약 15℃ 내지 25℃ 내외)에서는 높은 경도를 나타내어 고형으로 존재하는 버터 또는 왁스상의 원료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40℃ 이하의 저융점 고경도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는 냉장이나 상온 유통 시에는 고경도를 나타내나, 40℃ 이하의 저융점으로 인하여 피부 도포 전·후에 체온에 쉽게 녹아 우수한 사용감과 발림성을 제공한다.
종래 왁스상 원료를 포함하며, 실온 유통중인 조성물들은 왁스상 원료의 융점의 범위를 고려함이 없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화장료 조성물, 특히 피부에 도포할 용도로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40℃ 초과의 고융점 왁스상 원료들을 사용하게 되면 유통 온도 조건에 따라 화장료의 점도나 경도가 급격하게 변하게 되고, 피부에의 발림성이 불량하거나 온도 변화에 따른 석출 현상 발생 등, 제형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를 극복하고자 40℃ 이하의 저융점 왁스상 원료를 사용하더라도, 화장료 전체의 점도를 조절하고 발림성의 우수성, 제형의 안정성을 도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40℃ 이하의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를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 대비 0.5 중량%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도록 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전체 화장료 조성물의 -20℃ 내지 80℃에서의 점도가 8,000 cps 이하가 되도록 조절하여 발림성이 우수하고 제형 안정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40℃ 이하의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가 0.5 중량% 미만이면 계면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되고 20 중량%보다 많으면 너무 뻑뻑하고 피부흡수가 느려 사용감이 떨어지며 안정성에도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40℃ 이하의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의 함유량을 최대 20 중량%까지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어, 높은 보습력과 흡수력이 요구되는 제품에도 적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40℃ 이하의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로는 쉐어버터, 쿠푸아수버터, 바바수버터, 카카오버터 등과 같은 식물유, 라놀린이나 비스-피이지-18 메틸 에테르 디메틸 실란 등과 같은 왁스류, 파라핀이나 바세린 등과 같은 탄화수소류 및 에스테르류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40℃ 이하의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로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쉐어버터, 쿠푸아수버터 및/또는 바바수버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험예에서는, 40℃ 이하의 저융점 고경도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를 사용하는 경우 40℃ 초과의 고융점 왁스상 원료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실온과 냉장에서의 점도 차이가 크지 않고 석출됨이 없이 안정하며(실험예 1의 실시예 1과 비교예 2의 비교), 피부 보습력이 떨어지지 않음(실험예 3의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비교)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저점도"는 8,000 cps 이하의 점도 수준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고경도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를 이용하여 저점도 유액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을 형성하기 어렵다. 특히, 40℃ 초과의 고융점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의 경우에는 함량을 조금만 높여도 점도나 경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냉장 조건에서 석출되어 안정성이 떨어져 저점도 유액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어렵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40℃ 이하의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를 사용함으로써 0.5 중량% 수준의 저함량은 물론, 20 중량%의 다소 높은 함량에서도 스킨과 같은 흐름성을 가지는, 8,000 cp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cps 내지 5,000 cps (-20℃ 내지 80℃ 온도범위 기준)의 저점도 유액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40℃ 이하의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의 함량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40℃ 이하의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의 함량을 0.5 중량% 내지 10 중량%로 조절할 경우 더욱 점도가 낮은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전분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전분의 양친매성을 이용하여 고함량의 버터류가 고온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저점도 제품의 품질 유지를 위해서 형상이나 발림성 및 기본적인 효과는 해치지 않으면서, 안정한 유효성분에 의한 효능 및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전분을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1 중량% 내지 2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제형의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발림성 및 사용감 또한 우수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전분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불용성의 부분 수화된 과립상 전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불용성의 부분 수화된 과립상 전분"이란 열에 의해 호화 및 노화된 전분을 의미한다.
천연의 전분은 친수성의 아밀로오즈와 친유성의 아밀로펙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로 형성된 미셀을 가진 천연의 전분을 β 전분이라 하고, 이를 호화한 것을 α 전분이라 한다. α 분을 습윤상태에서 저온하에 두면 β 전분 형태로 회복되는데, 이 현상을 녹말의 노화라 한다.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 호화 및 노화 과정을 거친 수불용성의 부분 수화된 과립상 전분을 사용하는 경우, 전분이 점도가 낮은 수상에 더욱 잘 분산되어, 수화가 진행되지 않았거나 완전 수화된 전분보다 안정한 에멀젼을 형성하며, 호화 후 노화 시 점도 저하 현상을 조절함으로써 보다 저점도의 제형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전분은 구체적으로 타피오카, 쌀 및 옥수수 유래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전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험예에서는, 40℃ 이하의 저융점 고경도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와 전분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전분을 함께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고온에서의 안정성이 더욱 우수함(실험예 2의 실시예 1과 실시예 2 내지 4의 비교)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에탄올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에탄올을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 에탄올이 물보다 비극성인 점을 이용하여 버터를 일부 녹여내어 버터를 다량 포함한 화장료가 급격히 경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전분의 분산성을 물보다 우수하게 하여, 전분을 뭉침 없이 효율적으로 제형에 적용할 수 있게 하며, 전분 외 다른 검들의 결합력을 증가시켜 저점도에서도 분리되지 않고 안정한 제형을 형성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에탄올을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0 중량%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적절히 조절되고 제형 안정성이 우수해 질 뿐만 아니라, 발림성 또한 우수해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험예에서는, 40℃ 이하의 저융점 고경도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 및 전분과 함께 에탄올을 사용하는 경우 에탄올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저점도에서도 분리되지 않고 안정한 제형을 형성함을 확인하였다(실험예 1의 실시예 2와 실시예 3의 비교).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검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에탄올, 전분, 및 검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다량의 전분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밀림 현상 등을 방지하여, 저점도 제품의 품질 유지를 위해서 형상이나 발림성 및 기본적인 효과는 해치지 않으면서, 안정한 유효성분에 의한 효능 및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검을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제형의 안정성이 우수하며,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 시 화장료가 밀리는 현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검은 구체적으로 구아검, 아라비아고무 또는 천연 다당류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검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천연 다당류로는 한천, 로커스트콩검, 타마린드검, 크산탄검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험예에서는, 40℃ 이하의 저융점 고경도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 전분 및 에탄올과 함께 검을 사용하는 경우 검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밀림 현상 등을 막아 발림성이 더욱 우수함을 확인하였다(실험예 4).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초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바디 화장품, 두발용 화장품 및 두피용 화장품 등의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초화장품의 제형으로는 스킨, 로션, 에센스, 부스터 등이 있으며, 바디화장품의 제형으로는 바디로션 등이 있으며, 상기 메이크업 화장품으로는 프라이머 등이 있으며, 두발용 화장품으로는 헤어 트리트먼트, 헤어 칼라제, 헤어 블릿치제 등이 있으며, 두피용 화장품으로는 스칼프 트리트먼트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화장품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그 용도에 따라 적절히 첨가할 수 있다. 화장품 분야의 일반적인 첨가제는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무기염류, 합성 고분자 물질, 유분, 물, 계면활성제, 알코올 및 킬레이트제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융점이 40℃ 이하인 저융점 고경도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를 전체 중량 대비 0.5 중량%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고, -20℃ 내지 80℃에서의 점도를 8,000 cps 이하의 저점도로 조절함으로써, 냉장 및 고온 유통 조건에서도 화장료 제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양태에서, 전분, 에탄올 및/또는 검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버터 또는 왁스류가 고온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버터를 포함한 화장료가 급격히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으며, 화장료의 밀림 현상 등을 방지하여 발림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및 2
하기의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화장료 조성물의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단위: 중량%).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및 2는 하기 표 1에서, 원료 9에 원료 10, 11 및 12를 순차적으로 분산시킨 후, 원료 13 내지 15를 투입한 다음, 상기 수상을 온도 70~75℃로 가온 및 용해하였다. 그 다음, 원료 1 내지 8을 비이커에 계량한 후 70~75℃로 가온 및 용해하여 수상에 서서히 투입하고 호모믹서로 10분간 균일하게 유화하였다. 이 후 원료 16을 넣어 중화한 후 탈포 및 냉각 중, 원료 17, 18, 19 및 20을 투입하고 실온(25℃)으로 완전히 냉각하여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1 쉐어버터 2.0 2.0 2.0 2.0 - -
2 쿠푸아수버터 1.0 1.0 1.0 1.0 - -
3 바바수버터 2.0 2.0 2.0 2.0 - -
4 세테아릴알코올 - - - - - 1.0
5 폴리옥시에틸렌(20) 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1.0 1.0
6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 2.0 2.0 2.0 2.0 2.0 2.0
7 트리에틸헥사노인 3.0 3.0 3.0 3.0 3.0 3.0
8 사이클로펜타실록산 1.0 1.0 1.0 1.0 1.0 1.0
9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10 카보머 0.04 0.04 0.04 0.04 0.04 0.04
11 잔탄검 0.02 0.02 0.02 0.02 0.02 0.02
12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05 0.05 0.05 0.05 0.05 0.05
13 글리세린 4.0 4.0 4.0 4.0 4.0 4.0
14 디프로필렌글리콜 4.0 4.0 4.0 4.0 4.0 4.0
15 베타인 2.0 2.0 2.0 2.0 2.0 2.0
16 중화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7 에탄올 - 10 - 10 - -
18 구아검 - - 1 1 - -
19 전분 - 1 1 1 - -
20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실험예 1: 실온 및 냉장 조건 하에서의 물성 및 안정성 비교
상기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 및 2의 실온(25℃)과 냉장(5℃) 조건에서의 점도 변화를 통한 물리적 물성비교와 안정성 관찰을 위해 경시변화에 따른 석출 현상을 관찰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석출 평가기준>
이상 없음: X, 작은 덩어리 현상 보임: △, 딱딱한 알갱이: O
점도(단위: cps)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실온(25℃) 점도 1000 300 1500 500 600 3000
냉장(5℃) 점도 1200 400 2000 500 500 1000
석출 X X X O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40℃ 이하의 저융점 왁스상 원료를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 실온과 냉장에서의 점도 차이가 크지 않고 석출이 없어 제형이 안정한 반면, 비교예, 특히 비교예 2의 경우에는 40℃ 초과의 고융점 왁스상 원료를 사용하여 냉장에서 점도가 급격하게 떨어지며 석출이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경시에 따라 작은 덩어리로 뭉치는 현상과 함께 딱딱한 알갱이들도 관찰되어 안정성도 크게 떨어지는 것이 확인되어, 40℃ 이하의 저융점 왁스상 원료를 사용하는 것이 물성 차이도 적고 안정한 화장료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융점이 40℃ 이하인 저융점 왁스상 원료를 사용하면서, 전분과 에탄올을 함께 사용한 경우(실시예 2),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상당히 낮아 발림성이 우수해지면서도, 상온과 냉장의 점도 차이가 작아 제형이 보다 안정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전분, 에탄올 및 검을 함께 사용한 경우(실시예 4), 실온과 냉장에서의 점도가 거의 동일하여 가장 안정한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고온 안정성 비교
고온 안정성 확인을 위해 상기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 및 2의 고온(45℃) 조건에서의 안정성 관찰을 위해 경시변화에 따른 분리현상을 관찰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고온 안정성 평가기준>
이상 없음: X, 약간 분리 보임: △, 완전 분리 보임: O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분리 X X X O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40℃ 이하의 저융점 왁스상 원료 및 전분을 함께 사용한 실시예 2 내지 4의 경우, 고온에서 매우 안정한 제형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40℃ 이하의 저융점 왁스상 원료를 사용하였으나 전분을 사용하지 않은 실시예 1에서는 약간의 분리 현상이 관찰되었다.
한편, 40℃ 초과의 융점을 갖는 왁스상 원료를 사용한 비교예 1 및 2의 경우 분리현상이 관찰되었고, 특히 비교예 1은 완전 분리 현상을 보여 고온에서 제형이 상당히 불안정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상기 실험 결과, 40℃ 이하의 저융점 왁스상 원료를 사용하면서 전분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온도에 따른 물성 차이도 적고 보다 안정한 화장료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피부 보습력 비교
피부의 보습력을 측정하기 위해 실시예와 비교예의 수분 보유능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수분 보유능 측정은 SKICON-200(IBS사, 일본)을 사용하여 피부표면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였으며 측정조건은 22℃, 50%의 상대습도를 유지하는 항온 항습실에서 피부 16cm²당 0.03g의 시료를 도포 후 시간대별로 측정하였고, 2회 반복 실시하였다. 피시험자는 20명으로 하였으며, 단위는 μ/Ω이다.
실험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1차 도포 후 30분 126 129 132 130 57 132
도포 후 120분 134 114 117 116 32 117
2차 도포 후 30분 133 134 136 135 62 130
도포 후 120분 118 120 123 122 37 113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왁스형 원료를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2는 왁스형 원료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 보다 피부 보습력이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로써, 피부 보습을 위해서는 왁스형 원료의 사용이 필요하며 실시예 1 내지 4의 저융점 왁스는 비교예 2의 고융점 왁스에 비해 피부 보습력이 떨어지지 않고 동등한 수준으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사용감 평가
25 내지 45세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4개의 군으로 나누어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 및 2를 각 군에 적절히 조절하여 얼굴 양쪽의 부위에 사용하게 하여 다음 평가 기준에 따라 발림성, 흡수력, 보습력, 전제적인 사용감 등의 사용감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나쁨: 1, 약간 나쁨: 2, 보통: 3, 약간 우수: 4, 매우 우수: 5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발림성 4.2 4.5 4.4 4.7 2.0 1.0
흡수력 4.5 4.5 4.4 4.7 2.4 1.4
보습력 4.3 4.5 4.6 4.6 2.9 2.0
전체적인 사용감 4.5 4.6 4.5 4.7 2.6 1.1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제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사용감 평가에서도 40℃ 이하의 저융점 왁스상 원료가 사용된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 비교예 1 및 2에 비해 발림성, 흡수력, 보습력, 전체적인 사용감의 모든 부분에서 월등히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또한, 40℃ 이하의 저융점 왁스상 원료와 함께 전분, 에탄올 및 검을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 4가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Claims (13)

  1. 융점이 40℃ 이하인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를 전체 중량 대비 0.5 중량%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고, -20℃ 내지 8O℃에서 점도가 8,000 cp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20℃ 내지 8O℃에서 점도가 50 cps 내지 5,000 cps인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점이 40℃ 이하인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는 쉐어버터, 쿠푸아수버터, 바바수버터, 카카오버터, 라놀린, 비스-피이지-18 메틸 에스터 디메틸 실란, 파라핀 및 바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전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의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1 중량% 내지 20 중량%인 화장료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은 수불용성의 부분 수화된 과립상 전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은 타피오카, 쌀 및 옥수수 유래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전분인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에탄올을 추가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의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0 중량% 내지 30 중량%인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검을 추가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의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1 중량% 내지 10 중량%인 화장료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은 구아검, 아라비아고무 및 천연 다당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검인 화장료 조성물.
  13.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내지 20 중량%의 융점이 40℃ 이하인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
    0.1 중량% 내지 20 중량%의 전분;
    1.0 중량% 내지 30 중량%의 에탄올; 및
    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40009691A 2013-10-29 2014-01-27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를 포함하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KR1019944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513 2013-10-29
KR20130129513 2013-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303A true KR20150050303A (ko) 2015-05-08
KR101994406B1 KR101994406B1 (ko) 2019-06-28

Family

ID=53388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9691A KR101994406B1 (ko) 2013-10-29 2014-01-27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를 포함하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4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7901A1 (ko) * 2015-09-30 2017-04-06 (주)아모레퍼시픽 저점도 마스카라 조성물
WO2017090981A1 (ko) * 2015-11-27 2017-06-01 (주)아모레퍼시픽 고형 버터를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14425A (ko) * 2017-04-10 2018-10-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가교전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31892A2 (fr) * 1999-11-26 2002-08-21 Arnaud Ruel Composition de soins comprenant entre autres de l'amidon de riz, de l'huile de coco et du beurre de karite
KR100340633B1 (ko) * 1996-05-20 2002-09-18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수중유형유화조성물및수중유형유화제
KR20100101328A (ko) * 2009-03-09 2010-09-17 (주)아모레퍼시픽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21949B1 (ko) * 2011-12-19 2012-03-21 라미화장품 주식회사 수분 함량을 높인 화장품 스팀 크림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76169A (ko) * 2010-12-29 2012-07-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저융점 왁스상 성분을 포함하는 냉장유통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633B1 (ko) * 1996-05-20 2002-09-18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수중유형유화조성물및수중유형유화제
EP1231892A2 (fr) * 1999-11-26 2002-08-21 Arnaud Ruel Composition de soins comprenant entre autres de l'amidon de riz, de l'huile de coco et du beurre de karite
EP1231892B1 (fr) * 1999-11-26 2004-09-08 Arnaud Ruel Composition de soins comprenant entre autres de l'amidon de riz, de l'huile de coco et du beurre de karite
KR20100101328A (ko) * 2009-03-09 2010-09-17 (주)아모레퍼시픽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76169A (ko) * 2010-12-29 2012-07-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저융점 왁스상 성분을 포함하는 냉장유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21949B1 (ko) * 2011-12-19 2012-03-21 라미화장품 주식회사 수분 함량을 높인 화장품 스팀 크림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7901A1 (ko) * 2015-09-30 2017-04-06 (주)아모레퍼시픽 저점도 마스카라 조성물
WO2017090981A1 (ko) * 2015-11-27 2017-06-01 (주)아모레퍼시픽 고형 버터를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14425A (ko) * 2017-04-10 2018-10-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가교전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38656A (ko) * 2017-04-10 2022-03-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가교전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406B1 (ko) 201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38334B2 (ja) 可変的な透明度を有する水中油型のオルガノゲル化粧料組成物
BR112014031512B1 (pt) Composição cosmética translúcida e método para o tratamento cosmético de um material queratínico
KR101994406B1 (ko)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를 포함하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KR101503923B1 (ko) 수중유형의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9151A (ko) 실리콘 분체를 안정화시킨 무 계면활성제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20200084153A (ko) 고체 유성 성분을 안정화한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KR20120076169A (ko) 저융점 왁스상 성분을 포함하는 냉장유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25922B1 (ko)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
KR102249022B1 (ko) 수중유 에멀젼을 포함하는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53763A (ko) 바이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KR101994407B1 (ko)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44490A (ko)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0588831B1 (ko) 회합성 증점제를 이용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성겔에멀젼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509002B1 (ko) 고함량의 버터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1620294B1 (ko) 실온 충진이 가능한 고경도 화장료 조성물
KR20170084457A (ko) 투명 또는 반투명 젤 타입 화장료 조성물
KR102444116B1 (ko) 타라검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39106B1 (ko) 피부 보호막을 형성하는 크림형 하이드로겔 팩 및 그 제조방법
KR102502230B1 (ko) 가교전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74296B1 (ko)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
KR101638013B1 (ko) 안정한 수중유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KR101864346B1 (ko) 저융점 버터를 포함하는 샤벳-밤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JPH0551311A (ja) 保湿材および皮膚化粧料
KR101834196B1 (ko) 겔 형상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1978439B1 (ko) 타마린드씨 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