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0249A -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0249A
KR20150050249A KR1020130131807A KR20130131807A KR20150050249A KR 20150050249 A KR20150050249 A KR 20150050249A KR 1020130131807 A KR1020130131807 A KR 1020130131807A KR 20130131807 A KR20130131807 A KR 20130131807A KR 20150050249 A KR20150050249 A KR 20150050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uthentication data
connection authentication
card
service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1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석
정은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1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0249A/ko
Publication of KR20150050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2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1Virtual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5Establishing or using transaction specific ru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은 신용카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에 미리 저장하여 둠으로써 기발급된 신용카드가 사용자 장치 내에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제가 가능하며, 서비스 제공 장치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신용카드 중 결제 단계에서의 혜택이 가장 큰 신용카드가 자동적으로 선택되게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User equipment and service providing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용카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에 미리 저장하여 둠으로써 기발급된 신용카드가 사용자 장치 내에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제가 가능한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전자 지갑 시스템은 USIM 카드 등이 구비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신용카드, 교통카드, 결제관련 카드, 쿠폰 등을 관리하고, 사용자 단말과 제휴 단말 간을 통해 결제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전자 지갑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단말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칩 내에 신용카드 기능이 구비되므로, 전자 지갑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장치가 NFC 칩 내에 신용카드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야 하며, 신용카드 가맹점에서도 NFC 리더기를 구비한 결제 장치를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즉, 모바일 카드를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를 진행하는 경우, 카드사에서 발급받은 모바일 카드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을 POS 단말과 연결된 NFC 리더기에 태그하고, NFC 태그 리더기는 태그된 사용자 단말에서 모바일 카드 정보를 읽어 들여서 POS 단말에 카드 정보를 전달하고, VAN을 통해 카드사에 매입 대행을 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이 경우, 전자 지갑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내에 신용카드 기능이 구비된 NFC 칩을 준비해두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87215호 [명칭: 신용카드 쿠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신용카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에 미리 저장하여 둠으로써 기발급된 신용카드가 사용자 장치 내에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제가 가능하며, 서비스 제공 장치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신용카드 중 결제 단계에서의 혜택이 가장 큰 신용카드가 자동적으로 선택될 수 있는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POS 단말이 NFC 리더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고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제가 가능한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는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접속 인증 데이터 요청을 송신하고,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접속 인증 데이터 요청에 기초한 접속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는 접속 인증 데이터 관리부; POS 단말을 경유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접속 인증 데이터를 포함한 결제 요청을 송신하는 결제 요청부;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접속 인증 데이터에 기초하여 획득된 카드 혜택 내역을 수신하는 수신부; 카드 혜택 내역에 대한 사용자 선택 정보를 획득하는 입력부; 및 사용자 선택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장치로부터 접속 인증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고, 접속 인증 데이터 요청 및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접속 인증 데이터를 획득하고, 사용자 장치로 접속 인증 데이터를 송신하는 접속 인증 데이터 관리부; 사용자 장치로부터 POS 단말을 경유하여 접속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고, POS 단말로부터 가맹점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접속 인증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드 혜택 정보를 획득하는 카드 혜택 정보 관리부; 카드 혜택 정보 및 가맹점 정보에 기초하여 카드 선택 정보를 획득하는 결제 카드 관리부; 및 카드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제휴사 서버로 결제를 요청하는 결제요청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접속 인증 데이터 요청을 송신하고,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접속 인증 데이터 요청에 기초한 접속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POS 단말을 경유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접속 인증 데이터를 포함한 결제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접속 인증 데이터에 기초하여 획득된 카드 혜택 내역을 수신하는 단계; 카드 혜택 내역에 대한 사용자 선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사용자 선택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접속 인증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카드 혜택 내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카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 장치로부터 접속 인증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고, 접속 인증 데이터 요청 및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접속 인증 데이터를 획득하고, 사용자 장치로 접속 인증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사용자 장치로부터 POS 단말을 경유하여 접속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고, POS 단말로부터 가맹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접속 인증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드 혜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카드 혜택 정보 및 가맹점 정보에 기초하여 카드 선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카드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제휴사 서버로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카드 혜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접속 인증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제 카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휴사 서버로 결제 카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제휴사 서버로부터 카드 정보에 대응되는 카드 혜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카드 선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사용자 장치로 가맹점 정보에 기초한 카드 혜택 내역을 송신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장치로부터 카드 혜택 내역에 대한 사용자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제어 방법,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가 신용카드를 구비한 NFC 칩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신용카드 결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복수의 신용카드 중 가장 혜택이 많은 신용카드가 자동적으로 선택되어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카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NFC 리더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POS 단말에서도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제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전자 지갑 시스템 구축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카드 사용을 간편하게 만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지갑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갑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 제공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POS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자 지갑 시스템의 각 구성 간의 신호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지갑 시스템(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지갑 시스템(10)은 단말(11), 웹서버(Web Server, 12), WAS(Web Application Server, 13), 서비스 제공 장치(14), 제휴사 서버(15), DB서버(Database Server, 16)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전자지갑 시스템(1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전자지갑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전자지갑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또는 사용자 장치)(11)은 MDN(Mobile Directory Nymber),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카드 고유정보, 시리얼번호와 같은 고유의 식별정보를 통해 식별되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웹서버(12)와 통신한다. 이때, 단말(11)은 웹서버(12)로부터 결제관련 카드 정보, 쿠폰 관련 정보, 상품권 관련 정보 등을 수신 및 저장하며, 특정 앱 실행 또는 특정 메뉴 선택 시 해당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결제관련 카드 정보는 카드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 제휴사 이름, 카드 이름, 카드번호, 유효기간, 혜택, 연회비, 해당 카드와 연동하는 바코드 정보/QR 코드 정보/NFC 태그 정보/스마트 태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쿠폰 관련 정보는 제휴사 이름, 쿠폰 이름, 쿠폰 번호(또는 쿠폰의 고유코드), 제목, 혜택, 사용처, 사용기간, 사용방법, 쿠폰 종류(예를 들어 무료 정보, 유료 정보 등 포함)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품권 관련 정보는 제휴사 이름, 상품권 이름, 상품권 번호, 금액, 사용처, 사용 기간, 사용 방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11)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결제관련 카드, 쿠폰, 티켓, 상품권 등과 관련된 정보를 웹서버(12)를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14)로부터 수신 한다.
웹서버(12)는 단말(11)로부터 전송되는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단말(11)과 관련되어 DB서버(16)에 저장된 정보를 WAS(13)를 통해 확인하고 이를 단말(11)에 제공한다.
또한, 웹서버(12)는 단말(11)로부터 결제관련 카드, 쿠폰, 티켓, 상품권 등에 대한 발급 요청이 전송되면, 해당 요청을 서비스 제공 장치(14)에 전달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4)가 제휴사 서버로부터 관련 정보를 제공받은 후, 단말(11)에 제공(또는 발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웹서버(12)는 단말(11)의 요청에 응답하여, WAS(13)를 통해 DB서버(16)에 저장된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하거나, 서비스 제공 장치(14)를 통해 제휴사 서버(15)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단말(11)에 제공한다.
WAS(Web Application Server)(또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13)는 웹서버(12)로부터 전송된 단말(11)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DB서버(16)에 저장된 정보를 웹서버(12)를 통해 단말(11)에 제공하며, 나아가, 웹서버(12)의 기능을 분산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서비스 제공 장치(14)는 웹서버(12)로부터 전송된 단말(11)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단말(11)의 요청에 따른 정보를 단말(11)에 제공하거나, 필요시 해당 정보를 제휴사 서버(15)로부터 전송받은 후 이를 단말(11)에 제공한다.
일예로, 단말(11)로부터 결제관련 카드, 쿠폰, 티켓, 상품권 등에 대한 발급 요청을 웹서버(12)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14)는 해당 요청에 응답하여 관련 정보를 제휴사 서버(15)로부터 전송받은 후 단말(11)에 전송한다.
즉, 웹서버(12)는 단말(11)로부터 특정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발급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발급 요청을 단말의 식별정보와 함께 서비스 제공 장치(14)에 전송한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14)는 전송된 해당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발급 요청 정보에 응답하여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단말(11)에 해당 결제관련 카드를 발급(또는 전송)한다.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14)는 결제관련 카드를 제휴사 서버(15)로부터 전달받아 단말(11)에 제공(또는 전송)할 수 있다.
제휴사 서버(또는 제휴사 서비스 장치)(15)는 서비스 제공 장치(14)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며, 서비스 제공 장치(14)로부터 제휴사 서버(15)와 관련된 카드의 발급 요청이 전달되면, 해당 요청에 응답하여 관련된 결제관련 카드를 서비스 제공 장치(14)를 통해 단말(11)에 발급한다.
DB서버(데이터베이스 서버)(16)는 WAS(13)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단말(11)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정보(예를 들어 결제관련 카드 발급 정보, 결제관련 카드 사용 정보, 바코드/QR 코드/NFC 태그/스마트 태그의 발급 정보, 바코드/QR 코드/NFC 태그/스마트 태그의 사용 정보, 포인트 적립/사용 정보, 쿠폰 발급/사용 정보 등 포함)를 저장한다.
또한, DB서버(16)는 특정 단말(11)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웹서버(12)의 요청에 응답하여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단말(11)에 대한 정보를 WAS(13)를 통해 웹서버(12)에 전송한다.
또한, 전자지갑 시스템(10)은 서비스 제공 장치(14) 내지 제휴사 서버(15)와 통신하는 쿠폰 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11)로부터 쿠폰 발급 요청이 있는 경우, 웹서버(12)는 해당 요청을 단말(11)로부터 전송받은 후 서비스 제공 장치(14)에 전송하며, 서비스 제공 장치(14)는 전송받은 요청에 대응되는 쿠폰을 쿠폰 서버(또는 쿠폰 서비스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후 단말(11)에 직접 발급하거나 웹서버(12)릍 통해 단말(11)에 발급한다. 이때, 쿠폰 서버는 해당 쿠폰을 제휴사 서버(15)로부터 제공(또는 발급)받을 수 있다.
또한, 쿠폰 서버는 웹서버(12)의 쿠폰 발급 요청에 응답하여, 쿠폰 발급 요청에 대응되는 해당 쿠폰을 생성하고(또는 제휴사 서버(15)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쿠폰을 제공받고), 쿠폰 발급 요청에 포함된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단말(11)에 해당 쿠폰을 발급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갑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지갑 시스템은 사용자 장치(100), 서비스 제공 장치(200), POS 단말(300), 제휴사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전자 지갑 시스템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전자 지갑 시스템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전자 지갑 시스템이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장치(100)는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결제 카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결제를 진행하기 위하여, 사용자 장치(100)는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 접속 인증 데이터를 송신하고,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접속 인증 데이터에 기초하여 신용카드 서비스 제공 서버(400, 제휴사 서버)로 결제 요청을 송신하여 결제를 수행한다.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결제 카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 카드 정보는 사용자의 신용 카드 번호, 신용 카드의 유효 기간, 신용 카드의 CVC 번호 등 신용 카드의 결제를 위하여 사용되는 정보를 통칭한다.
사용자 장치(100)가 POS 단말(300)을 통하여 결제를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장치(100)는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부터 접속 인증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장치(100)는 접속 인증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용 카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장치(100)는 POS 단말을 경유하여 신용카드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접속 인증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 인증 데이터는 신용카드 서비스 제공 서버(400, 제휴사 서버)가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부터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카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데이터이다. 즉, 제휴사 서버(400)는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접속 인증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접속 인증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부터 결제 카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 제공 장치(2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저장부(210), 접속 인증 데이터 관리부(220), 통신부(230), 카드 혜택 정보 관리부(240), 카드 선택 관리부(250), 결제 요청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서비스 제공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서비스 제공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저장부(210)는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카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한 명의 사용자에 대하여 복수의 결제 카드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저장부(210)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복수의 결제 카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접속 인증 데이터 관리부(220)는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접속 인증 데이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접속 인증 데이터 요청은 접속 인증 데이터를 송신해달라는 요청이며, 요청 당사자에 관한 정보(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 인증 데이터 관리부(220)는 접속 인증 데이터 요청 및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접속 인증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접속 인증 데이터 관리부(220)는 저장부(210)에 저장된 복수의 사용자 정보 중 접속 인증 데이터 요청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접속 인증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 접속 인증 데이터 관리부(220)는 접속 인증 데이터를 요청한 사용자 장치(100)로 획득된 접속 인증 데이터를 송신할 있다.
통신부(230)는 POS 단말(300)로부터 접속 인증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장치(100)가 POS 단말(300)로 접속 인증 데이터를 제공하는 경우, 접속 인증 데이터를 제공받은 POS 단말(300)은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 접속 인증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또, 통신부(230)는 POS 단말(300)로부터 가맹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POS 단말(300)이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 접속 인증 데이터를 제공할 때, 가맹점 정보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가맹점 정보는 POS 단말(300)이 속한 가맹점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즉, 통신부(230)는, 접속 인증 데이터 및 가맹점 정보를 수신하므로, 결제를 수행하려는 사용자 정보, 결제를 수행하려는 가맹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카드 혜택 정보 관리부(240)는 통신부(230)에서 획득된 접속 인증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드 혜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접속 인증 데이터에 의하여 사용자 정보를 식별하고,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카드 정보에 대한 카드 혜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카드 혜택 정보는 특정 가맹점에서 특정 신용 카드가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돌아가는 혜택 내역을 총괄하여 나타낸 것이다. 예컨대, 사용자에게 돌아가는 혜택 내역은 요금 할인, 포인트 적립, 쿠폰 적립 등이 있을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제휴사 서버(400)로부터 카드 혜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저장부(210)가 카드 혜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카드 선택 관리부(250)는 카드 혜택 정보 관리부(240)에서 획득된 카드 혜택 정보 및 통신부(230)에서 획득된 가맹점 정보에 기초하여 카드 선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카드 선택 정보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결제 카드 정보 중 카드 선택 관리부(250)에 의하여 선택된 결제 카드 정보를 의미한다.
예컨대, 카드 선택 관리부(250)는 결제를 수행하려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결제 카드 정보 중 사용자에게 돌아가는 혜택이 가장 큰 결제 카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돌아가는 혜택이 가장 큰 것은 요금 할인 가장 많이 되거나, 포인트 적립이 가장 많이 되거나, 쿠폰이 가장 많이 적립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에게 돌아가는 혜택을 어떻게 비교할 것인지는 카드 선택 관리부(250)에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가맹점마다 결제가 수행되어야 하는 결제 카드 정보가 카드 선택 관리부(250)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특정 가맹점에서는 특정 결제 카드로만 결제를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이러한 내용을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카드 선택 관리부(250)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결제 요청부(260)는 카드 선택 관리부(250)에 의하여 결정된 카드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제휴사 서버(300)로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즉, 결제 요청부(260)는 제휴사 서버(300)로 카드 선택 관리부(250)에 의하여 선택된 결제 카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장치(1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100)는 접속 인증 데이터 관리부(110), 결제 요청부(120), 송신부(130), 수신부(140), 입력부(150), 표시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사용자 장치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4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사용자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사용자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접속 인증 데이터 관리부(110)는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접속 인증 데이터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장치(100)가 본 발명의 전자 지갑 시스템을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접속 인증 데이터 관리부(110)가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 접속 인증 데이터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접속 인증 데이터 요청은 서비스 제공 장치(200)가 사용자 장치(100)로 접속 인증 데이터를 전송해달라는 신호이다.
한편, 접속 인증 데이터 관리부(110)는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부터 접속 인증 데이터 요청에 기초한 접속 인증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표시부(160)는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접속 인증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160)는 접속 인증 데이터를 바코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바코드는 POS 단말인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일 수 있다.
결제 요청부(120)는 POS 단말을 경유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 접속 인증 데이터를 포함한 결제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장치(100)가 본 발명의 전자 지갑 시스템을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경우, 우선, 결제 요청부(120)가 접속 인증 데이터를 포함한 결제 요청을 POS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즉, POS 단말은 접속 인증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리더기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POS 단말은 바코드 리더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접속 인증 데이터를 포함한 결제 요청을 수신한 POS 단말은 접속 인증 데이터를 포함한 결제 요청 및 가맹점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의 결제 의사 및 결제가 진행되는 가맹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가 소지한 복수의 신용 카드 중 사용자에게 혜택이 가장 큰 신용 카드를 선택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복수의 신용 카드 각각의 혜택을 확인하고, 복수의 신용 카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때, 수신부(140)는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부터 접속 인증 데이터에 기초하여 획득된 카드 혜택 내역을 수신할 수 있다. 또, 표시부(160)는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부터 획득된 카드 혜택 내역을 표시할 수 있다. 또, 입력부(150)는 카드 혜택 내역에 대한 사용자 선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 송신부(130)는 입력부에서 획득된 사용자 선택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POS 단말(300)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POS 단말(300)은 리더기(310), 통신부(320), 저장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POS 단말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5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POS 단말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사용자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장치(100)가 결제를 요청하는 경우, 리더기(310)는 사용자 장치(100)에 표시된 접속 인증 데이터를 인식(또는 리드(read))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 인증 데이터는 바코드 형태, QR 코드 형태, 스마트 태그 형태 등일 수 있다. 또한, 리더기(310)는 이와 같은 형태(예를 들어, 바코드 형태, QR 코드 형태, 스마트 태그 형태 등)의 접속 인증 데이터를 인식하기 위한 바코드 리더기, QR 코드 리더기, 스마트 태그 리더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330)는 POS 단말(300)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저장부(330)는 리더기(310)를 통해 인식된 접속 인증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 저장부(330)는 가맹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통신부(32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통신한다. 이때, 외부의 단말은 사용자 장치(100), 서비스 제공 장치(200), 제휴사 서버(4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자 지갑 시스템의 각 구성 간의 신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결제 카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610). 예컨대,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100) 등을 통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에 사용자 정보, 결제 카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입력된 사용자 정보, 결제 카드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에게 신용 카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0)는, 결제가 필요한 시점에,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 접속 인증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S622). 예컨대, 사용자는 전자 지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전자 지갑 서비스 제공 서버에 기설정된 기간 동안 유효한 접속 인증 데이터 발급을 요청할 수 있다.
접속 인증 데이터 요청이 수신된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접속 인증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624). 또, 접속 인증 데이터를 획득한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접속 인증 데이터를 요청한 사용자 장치(100)로 접속 인증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S626).
이후, 사용자 장치(100)는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발급된 접속 인증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우선, 사용자 장치(100)는 POS 단말(300)로 접속 인증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S632). 이때, POS 단말(300)은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획득한 접속 인증 데이터 및 저장하고 있는 가맹점 정보를 제휴사 서버(400)를 경유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S634).
POS 단말(300)로부터 접속 인증 데이터 및 가맹점 정보를 획득한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접속 인증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드 혜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640).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결제 카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접속 인증 데이터에 의하여 식별된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고, 식별된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카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장치(200)의 저장부(210)는 결제 카드 정보에 따른 카드 혜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식별된 사용자 정보 및 저장부(210)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카드 혜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할 때,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식별된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카드 정보를 제휴사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S642).
제휴사 서버(400)는 결제 카드 정보에 따른 카드 혜택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제휴사 서버(400)는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결제 카드 정보에 대응되는 카드 혜택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S644).
이와 같이, 필요한 경우마다 서비스 제공 장치(200)가 제휴사 서버(400)로부터 카드 혜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최신의 카드 혜택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카드 혜택을 최대로 누릴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제휴사 서버(400)로부터 획득한 카드 혜택 정보 및 POS 단말(300)로부터 획득한 가맹점 정보에 기초하여 카드 선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650).
예컨대,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결제를 수행하려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결제 카드 정보 중 사용자에게 돌아가는 혜택이 가장 큰 결제 카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가맹점 정보 및 상기 가맹점 정보에 대한 카드 혜택 정보를 고려하여 결제 카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의하여 복수의 신용카드 중 가장 혜택이 많은 신용카드가 자동적으로 선택되어 결제가 진행되므로 사용자는 카드별 혜택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더라도 합리적이고 편리한 소비 생활을 누릴 수 있다.
또는, 사용자에게 결제 카드에 대한 선택권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컨대,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 장치(100)로 카드 혜택 내역을 전송할 수 있다(S652). 여기서, 카드 혜택 내역은 사용자 장치(100)가 결제를 진행하려는 가맹점에서의 카드 혜택 정보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사용자는 카드 혜택 내역을 확인하고 복수의 신용 카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장치(100)는 사용자 선택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S654).
서비스 제공 장치(200)가 카드 선택 정보를 획득한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카드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제휴사 서버(400)로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S662). 제휴사 서버(400)는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서 선택된 신용 카드 정보에 기초하여 승인 처리를 진행하고, 승인 결과를 POS 단말(300)로 송신할 수 있다(664). 또, 승인 결과를 수신한 POS 단말(300)은 사용자 장치(100)로 승인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S666).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 장치가 신용 카드 기능을 포함한 NFC 칩을 구비하고 있지 않더라도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저장된 결제 카드 정보를 이용하여 신용카드 결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등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제휴사 서버 등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 및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 및 설치한 스마트 카드 등의 외장 메모리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등에 장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신용카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에 미리 저장하여 둠으로써 기발급된 신용카드가 사용자 장치 내에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제가 가능하며, 서비스 제공 장치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신용카드 중 결제 단계에서의 혜택이 가장 큰 신용카드가 자동적으로 선택되게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전자상거래 분야, 마케팅 분야, 금융 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다.
100: 사용자 장치 110: 접속 인증 데이터 관리부
120: 결제 요청부 130: 송신부
140: 수신부 150: 입력부
160: 표시부 200: 서비스 제공 장치
210: 저장부 220: 접속 인증 데이터 관리부
230: 통신부 240: 카드 혜택 정보 관리부
250: 카드 선택 관리부 260: 결제 요청부
300: POS 단말 310: 리더기
320: 통신부 330: 저장부
400: 제휴사 서버

Claims (9)

  1.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접속 인증 데이터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접속 인증 데이터 요청에 기초한 접속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는 접속 인증 데이터 관리부;
    POS 단말을 경유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 상기 접속 인증 데이터를 포함한 결제 요청을 송신하는 결제 요청부;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접속 인증 데이터에 기초하여 획득된 카드 혜택 내역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카드 혜택 내역에 대한 사용자 선택 정보를 획득하는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 선택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
  2.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장치로부터 접속 인증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접속 인증 데이터 요청 및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접속 인증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로 상기 접속 인증 데이터를 송신하는 접속 인증 데이터 관리부;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POS 단말을 경유하여 접속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POS 단말로부터 가맹점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접속 인증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드 혜택 정보를 획득하는 카드 혜택 정보 관리부;
    상기 카드 혜택 정보 및 상기 가맹점 정보에 기초하여 카드 선택 정보를 획득하는 결제 카드 관리부; 및
    상기 카드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제휴사 서버로 결제를 요청하는 결제요청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3.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접속 인증 데이터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접속 인증 데이터 요청에 기초한 접속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POS 단말을 경유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 상기 접속 인증 데이터를 포함한 결제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접속 인증 데이터에 기초하여 획득된 카드 혜택 내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카드 혜택 내역에 대한 사용자 선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선택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인증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혜택 내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의 제어 방법.
  6.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카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 장치로부터 접속 인증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접속 인증 데이터 요청 및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접속 인증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로 상기 접속 인증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POS 단말을 경유하여 접속 인증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POS 단말로부터 가맹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 인증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드 혜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카드 혜택 정보 및 상기 가맹점 정보에 기초하여 카드 선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카드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제휴사 서버로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혜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 인증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제 카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휴사 서버로 상기 결제 카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휴사 서버로부터 상기 카드 정보에 대응되는 카드 혜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선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장치로 상기 가맹점 정보에 기초한 카드 혜택 내역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카드 혜택 내역에 대한 사용자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3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130131807A 2013-10-31 2013-10-31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1500502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807A KR20150050249A (ko) 2013-10-31 2013-10-31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807A KR20150050249A (ko) 2013-10-31 2013-10-31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249A true KR20150050249A (ko) 2015-05-08

Family

ID=53388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1807A KR20150050249A (ko) 2013-10-31 2013-10-31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02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96115A (zh) * 2015-06-29 2015-11-25 深圳市可秉资产管理合伙企业(有限合伙) 无销售点终端的电子支付交易的方法及移动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96115A (zh) * 2015-06-29 2015-11-25 深圳市可秉资产管理合伙企业(有限合伙) 无销售点终端的电子支付交易的方法及移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urran et al. Near field communication
WO2014015010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al redemption by electronic wallet
US201502788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store credit to a presented bill for a discount when paid in store or by mobile wallet
KR101275115B1 (ko) 결제 정보 처리 방법
KR101184426B1 (ko) 개인 단말을 이용한 결제장치 및 방법
KR101247965B1 (ko) 차량용 엔에프씨를 이용한 비용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101339661B1 (ko) Nfc태그를 이용한 모바일 카드 결제 장치 및 이 장치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KR102354802B1 (ko)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6111778B2 (ja) ポイントシステムおよびポイント管理装置
KR20170064872A (ko) 모바일 단말의 위치 기반 결제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50249A (ko)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180025305A (ko) 단일 카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방법 및 결제 서비스 서버
KR101515702B1 (ko) Nfc를 이용한 sns 광고비 정산 장치 및 방법
KR20150044618A (ko)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235736B1 (ko) 제휴사 서버와 서비스 제공 장치와 단말,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163747B1 (ko) 쿠폰 전송을 위한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쿠폰 전송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80024596A (ko) 단일 카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방법 및 결제 서비스 서버
KR20150048291A (ko) 서비스 제공 장치, 이를 포함하는 쿠폰 사용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150101600A (ko)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198211B1 (ko) 단말,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145187B1 (ko) 금융 카드 장치 및 금융 카드 장치를 이용한 포인트 적립 방법
KR20150094889A (ko)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WO2015122709A1 (ko) Nfc 기능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멤버십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245050B1 (ko)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70099346A (ko) 다국 통화의 간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