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4618A -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4618A
KR20150044618A KR20130123891A KR20130123891A KR20150044618A KR 20150044618 A KR20150044618 A KR 20150044618A KR 20130123891 A KR20130123891 A KR 20130123891A KR 20130123891 A KR20130123891 A KR 20130123891A KR 20150044618 A KR20150044618 A KR 20150044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erchant
card
payment
related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3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석
정은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23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4618A/ko
Publication of KR20150044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46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initialising or reloading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6Aspects of software for card payments
    • G06Q20/3567Software being in the read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1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06K17/0029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the arrangement being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interrogation of grouped or bundled articles tagged with wireless record carri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은 가맹점 내의 태그 태깅 시, 사용자 장치에 등록된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최적화된 결제관련 카드를 자동으로 검색하고, 검색된 결제관련 카드를 통해 결제를 수행함으로써 전자 지갑 앱과 같은 특정 앱의 서비스를 통해 단순 태깅 동작만으로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최적화된 결제관련 카드를 사용자 장치의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User equipment, service providing device, electronic wallet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맹점 내의 태그 태깅 시, 사용자 장치에 등록된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결제관련 카드를 자동으로 검색하고, 검색된 결제관련 카드를 통해 결제를 제공하는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장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능, 통화 기능(또는 호(call) 기능) 및 콘텐츠(메시지, 파일 등 포함)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여, 그 수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전자지갑 앱과 같은 특정 앱을 통해 가맹점에서의 결제 수행 시, 특정 앱에 등록된 수많은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결제관련 카드를 확인하고, 확인된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해당 결제관련 카드의 적립률이나 할인율 등을 확인하여 실제 사용할 결제관련 카드를 선택해야하는 등 결제관련 카드의 선택에서 사용까지 번거로운 절차를 수행해야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83029호 [명칭: 카드 추천 시스템, 사용자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카드 추천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가맹점 내의 태그 태깅 시, 사용자 장치에 등록된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최적화된 결제관련 카드를 자동으로 검색하고, 검색된 결제관련 카드를 통해 결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는 복수의 사용자 장치별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관련 카드 및 복수의 가맹점별 사용 가능한 결제관련 카드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장치를 통해 인식된 태그 정보에 포함된 가맹점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사용자 장치별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수신된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장치에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를 확인하고,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가맹점별 사용 가능한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수신된 가맹점 정보에 대응되는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결제관련 카드를 확인하고, 확인된 사용자 장치에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와 확인된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결제관련 카드를 근거로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최적의 결제관련 카드를 선정하고, 선정된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최적의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결제관련 카드는 신용 카드, 체크 카드, 포인트 카드 및 할인 카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정보는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 제휴사 이름, 카드 이름, 카드번호, 유효기간, 할인율 또는 적립률을 포함하는 혜택, 연회비, 결제관련 카드와 연동하는 바코드 정보, QR 코드 정보, NFC 태그 정보 및 스마트 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는 가맹점에 구비된 가맹점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를 태깅하고, 태그에 포함된 가맹점 정보를 인식하는 리더기;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 및 리더기를 통해 인식된 가맹점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전송하고, 전송에 응답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장치에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할인율 또는 적립률이 가장 큰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수신된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최적의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표시부에 표시되는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최적의 결제관련 카드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관련 카드를 통해 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는 사용자 장치의 MDN(Mobile Directory Number),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카드 고유정보 및 시리얼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은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장치를 통해 인식된 태그 정보에 포함된 가맹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어부를 통해 미리 저장된 복수의 사용자 장치별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수신된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장치에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를 확인하는 단계; 제어부를 통해 미리 저장된 복수의 가맹점별 사용 가능한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수신된 가맹점 정보에 대응되는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결제관련 카드를 확인하는 단계; 제어부를 통해 확인된 사용자 장치에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와 확인된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결제관련 카드를 근거로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최적의 결제관련 카드를 선정하는 단계; 및 통신부를 통해 선정된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최적의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리더기를 통해 가맹점에 구비된 가맹점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를 태깅하여 태그에 포함된 가맹점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 및 리더기를 통해 인식된 가맹점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통신부를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장치에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할인율 또는 적립률이 가장 큰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표시부를 통해 수신된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최적의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제어부를 통해 표시부에 표시되는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최적의 결제관련 카드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관련 카드를 통해 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갑 시스템은 사용자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장치를 통해 인식된 태그 정보에 포함된 가맹점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 장치에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가맹점 정보에 대응된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최적의 결제관련 카드를 선정하고, 선정된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최적의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정보를 전자 지갑 앱과 같은 특정 앱을 통해 표시하고, 최적의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맹점 내의 태그 태깅 시, 사용자 장치에 등록된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최적화된 결제관련 카드를 자동으로 검색하고, 검색된 결제관련 카드를 통해 결제를 수행함으로써, 전자 지갑 앱과 같은 특정 앱의 서비스를 통해 단순 태깅 동작만으로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최적화된 결제관련 카드를 사용자 장치의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지갑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갑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갑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지갑 시스템(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지갑 시스템(10)은 사용자 장치(11), 웹서버(Web Server, 12), WAS(Web Application Server, 13), 서비스 제공 장치(14), 제휴사 서버(15), DB서버(Database Server, 16)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전자지갑 시스템(1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전자지갑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전자지갑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장치(또는 단말)(11)는 MDN,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카드 고유정보, 시리얼번호와 같은 고유의 식별정보를 통해 식별되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웹서버(12)와 통신한다. 이때, 사용자 장치(11)는 웹서버(12)로부터 결제관련 카드 정보, 쿠폰 관련 정보, 상품권 관련 정보 등을 수신 및 저장하며, 특정 앱 실행 또는 특정 메뉴 선택 시 해당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결제관련 카드 정보는 카드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 제휴사 이름, 카드 이름, 카드번호, 유효기간, 혜택, 연회비, 해당 카드와 연동하는 바코드 정보/QR 코드 정보/NFC 태그 정보/스마트 태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쿠폰 관련 정보는 제휴사 이름, 쿠폰 이름, 쿠폰 번호, 혜택, 사용처, 사용기간, 사용방법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품권 관련 정보는 제휴사 이름, 상품권 이름, 상품권 번호, 금액, 사용처, 사용 기간, 사용 방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1)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결제관련 카드, 쿠폰, 티켓, 상품권 등과 관련된 정보를 웹서버(12)를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14)로부터 수신 한다.
웹서버(12)는 사용자 장치(11)로부터 전송되는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 장치(11)와 관련되어 DB서버(16)에 저장된 정보를 WAS(13)를 통해 확인하고 이를 사용자 장치(11)에 제공한다.
또한, 웹서버(12)는 사용자 장치(11)로부터 결제관련 카드, 쿠폰, 티켓, 상품권 등에 대한 발급 요청이 전송되면, 해당 요청을 서비스 제공 장치(14)에 전달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4)가 제휴사 서버로부터 관련 정보를 제공받은 후, 사용자 장치(11)에 제공(또는 발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웹서버(12)는 사용자 장치(11)의 요청에 응답하여, WAS(13)를 통해 DB서버(16)에 저장된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하거나, 서비스 제공 장치(14)를 통해 제휴사 서버(15)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사용자 장치(11)에 제공한다.
WAS(Web Application Server)(또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13)는 웹서버(12)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장치(11)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DB서버(16)에 저장된 정보를 웹서버(12)를 통해 사용자 장치(11)에 제공하며, 나아가, 웹서버(12)의 기능을 분산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서비스 제공 장치(14)는 웹서버(12)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장치(11)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치(11)의 요청에 따른 정보를 사용자 장치(11)에 제공하거나, 필요시 해당 정보를 제휴사 서버(15)로부터 전송받은 후 이를 사용자 장치(11)에 제공한다.
일예로, 사용자 장치(11)로부터 결제관련 카드, 쿠폰, 티켓, 상품권 등에 대한 발급 요청을 웹서버(12)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14)는 해당 요청에 응답하여 관련 정보를 제휴사 서버(15)로부터 전송받은 후 사용자 장치(11)에 전송한다.
즉, 웹서버(12)는 사용자 장치(11)로부터 특정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발급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발급 요청을 사용자 장치의 식별정보와 함께 서비스 제공 장치(14)에 전송한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14)는 전송된 해당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발급 요청 정보에 응답하여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장치(11)에 해당 결제관련 카드를 발급(또는 전송)한다.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14)는 결제관련 카드를 제휴사 서버(15)로부터 전달받아 사용자 장치(11)에 제공(또는 전송)할 수 있다.
제휴사 서버(또는 제휴사 서비스 장치)(15)는 서비스 제공 장치(14)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며, 서비스 제공 장치(14)로부터 제휴사 서버(15)와 관련된 카드의 발급 요청이 전달되면, 해당 요청에 응답하여 관련된 결제관련 카드를 서비스 제공 장치(14)를 통해 사용자 장치(11)에 발급한다.
DB서버(데이터베이스 서버)(16)는 WAS(13)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사용자 장치(11)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정보(예를 들어 결제관련 카드 발급 정보, 결제관련 카드 사용 정보, 바코드/QR 코드/NFC 태그/스마트 태그의 발급 정보, 바코드/QR 코드/NFC 태그/스마트 태그의 사용 정보, 포인트 적립/사용 정보, 쿠폰 발급/사용 정보 등 포함)를 저장한다.
또한, DB서버(16)는 특정 사용자 장치(11)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웹서버(12)의 요청에 응답하여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장치(11)에 대한 정보를 WAS(13)를 통해 웹서버(12)에 전송한다.
또한, 전자지갑 시스템(10)은 서비스 제공 장치(14) 내지 제휴사 서버(15)와 통신하는 쿠폰 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1)로부터 쿠폰 발급 요청이 있는 경우, 웹서버(12)는 해당 요청을 사용자 장치(11)로부터 전송받은 후 서비스 제공 장치(14)에 전송하며, 서비스 제공 장치(14)는 전송받은 요청에 대응되는 쿠폰을 쿠폰 서버(또는 쿠폰 서비스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후 사용자 장치(11)에 직접 발급하거나 웹서버(12)릍 통해 사용자 장치(11)에 발급한다. 이때, 쿠폰 서버는 해당 쿠폰을 제휴사 서버(15)로부터 제공(또는 발급)받을 수 있다.
또한, 쿠폰 서버는 웹서버(12)의 쿠폰 발급 요청에 응답하여, 쿠폰 발급 요청에 대응되는 해당 쿠폰을 생성하고(또는 제휴사 서버(15)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쿠폰을 제공받고), 쿠폰 발급 요청에 포함된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장치(11)에 해당 쿠폰을 발급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갑 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지갑 시스템(100)은 태그(110), 사용자 장치(120) 및 서비스 제공 장치(130)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전자 지갑 시스템(10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전자 지갑 시스템(10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전자 지갑 시스템(10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장치(120)를 통해 태그(110)가 태깅(tagging)되면, 사용자 장치(120)는 사용자 장치(120)의 식별 정보와 태깅된 가맹점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130)에 전송한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사용자 장치(120)의 식별 정보와 가맹점 정보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 장치(120)에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하기에 최적인 결제관련 카드를 선정하고, 선정된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장치(120)에 전송한다. 이후, 사용자 장치(120)는 서비스 제공 장치(13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하기에 최적인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해당 결제관련 카드를 통한 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태그(110)는 서비스 매장과 같은 가맹점에 구비(또는 설치)된다.
또한, 태그(110)는 해당 가맹점의 고유 식별 정보인 가맹점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태그(110)는 바코드 형태, QR 코드 형태, NFC 태그 형태 및 스마트 태그 형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120)는 리더기(121), 표시부(122), 저장부(123), 통신부(124) 및 제어부(125)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장치(12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사용자 장치(12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사용자 장치(120)가 구현될 수도 있다.
리더기(121)는 가맹점에 구비된(또는 설치된) 태그(110)를 태깅(또는 리드(read) 또는 인식)한다. 여기서, 태그(110)는 바코드 형태, QR 코드 형태, NFC 태그 형태 및 스마트 태그 형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리더기(121)는 이러한 형태(예를 들어 바코드 형태, QR 코드 형태, NFC 태그 형태, 스마트 태그 형태 등 포함)의 태그(110)를 인식하기 위한 바코드 리더기, QR 코드 리더기, NFC 리더기, 스마트 태그 리더기 등을 포함한다.
또한, 리더기(121)는 태그(110)를 태깅하여 인식된 하나 이상의 정보(예를 들어 가맹점 정보 등 포함)를 제어부(125)에 전달한다.
표시부(122)는 제어부(125)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23)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메뉴 화면 등과 같은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22)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각종 정보 데이터 포함)와 아이콘, 리스트 메뉴, 콤보 박스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한다. 또한, 표시부(122)는 터치 스크린 일 수 있다.
저장부(12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등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23)는 사용자 장치(11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23)는 통신부(124)를 통해 수신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저장한다.
통신부(124)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통신한다. 이때, 외부의 단말은 서비스 제공 장치(300), POS(Point Of Sale Terminal) 단말(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5)는 사용자 장치(11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제어부(125)는 리더기(121)를 통해 태깅된(또는 인식된) 가맹점 정보를 저장부(123)에 미리 설치된 전자 지갑(Electronic Wallet 또는 Digital wallet) 앱과 같은 특정 앱을 통해 표시부(122)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25)는 사용자 장치(120)의 식별 정보와 리더기(121)를 통해 태깅된 가맹점 정보를 통신부(124)를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130)에 전송한다. 여기서, 사용자 장치(120)의 식별 정보는 사용자 장치의 MDN,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카드 고유정보, 시리얼번호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125)는 전송된 사용자 장치(120)의 식별 정보와 가맹점 정보에 응답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30)로부터 전송되는 결제관련 카드 정보(또는 결제관련 카드)를 통신부(124)를 통해 수신한다. 이때, 수신되는 결제관련 카드 정보는 사용자 장치(120)에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하기에 최적인 결제관련 카드(또는 할인율 또는 적립률 등에서 가장 큰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결제관련 카드)에 대응한다.
또한, 제어부(125)는 수신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저장부(123)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125)는 수신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전자 지갑 앱과 같은 특정 앱을 통해 표시부(122)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25)는 표시부(122)의 특정 앱을 통해 표시되는 결제관련 카드 정보에 대응되는 해당 결제관련 카드와 가맹점에 구비된 POS 단말 간의 연동을 통해 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25)는 결제 기능 수행 결과를 전자 지갑 앱과 같은 특정 앱을 통해 표시부(122)에 표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제 1 통신부(131), 제 1 저장부(132) 및 제 1 제어부(133)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서비스 제공 장치(13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4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서비스 제공 장치(13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서비스 제공 장치(13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제 1 통신부(131)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통신한다. 이때, 외부의 단말은 사용자 장치(120), 제휴사 서버(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통신부(131)는 사용자 장치(12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장치(120)의 식별 정보와 가맹점 정보를 수신한다.
제 1 저장부(13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저장한다.
또한, 제 1 저장부(132)는 서비스 제공 장치(13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또한, 제 1 저장부(132)는 DB 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최신 상태의 사용자 장치별로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 최신 상태의 가맹점별 사용 가능한 결제관련 카드 정보(또는 가맹점별 사용 가능한 결제관련 카드 목록/리스트) 등을 저장한다.
또한, 제 1 저장부(132)는 제 1 통신부(131)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장치(120)의 식별 정보와 가맹점 정보를 저장한다.
제 1 제어부(133)는 서비스 제공 장치(13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제 1 제어부(133)는 제 1 통신부(131)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장치(120)의 식별 정보와 가맹점 정보 및 제 1 저장부(132)에 미리 저장된 최신 상태의 사용자 장치별로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와 최신 상태의 가맹점별 사용 가능한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 장치(120)에 발급된(또는 등록된)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최적의 결제관련 카드를 선정(또는 검색/확인)한다. 여기서, 결제관련 카드는 신용 카드, 체크 카드, 포인트 카드, 할인 카드 등을 포함한다.
즉, 제 1 제어부(133)는 제 1 저장부(132)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사용자 장치별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관련 카드(또는 결제관련 카드 정보) 중에서 제 1 통신부(131)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장치(120)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해당 사용자 장치(120)에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또는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확인한다. 또한, 제 1 제어부(133)는 제 1 저장부(132)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가맹점별 가맹점 정보에 대응되는 가맹점별 사용 가능한 결제관련 카드(또는 결제관련 카드 정보) 중에서 제 1 통신부(131)를 통해 수신된 가맹점 정보에 대응되는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결제관련 카드(또는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확인한다. 이후, 제 1 제어부(133)는 확인된 해당 사용자 장치(120)에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확인된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결제관련 카드를 매칭하여,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최적의 결제관련 카드를 선정한다.
또한, 제 1 제어부(133)는 선정된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최적의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정보(또는, 결제관련 카드/결제관련 카드 정보), 해당 사용자 장치(200)의 식별 정보, 해당 가맹점 정보 등을 제 1 저장부(132)에 저장한다. 여기서, 결제관련 카드 정보는 카드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 제휴사 이름, 카드 이름, 카드번호, 유효기간, 혜택(예를 들어 할인율, 적립률 등 포함), 연회비, 해당 카드와 연동하는 바코드 정보/QR 코드 정보/NFC 태그 정보/스마트 태그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제 1 제어부(133)는 수신된 사용자 장치(120)의 식별 정보와 가맹점 정보에 응답하여 선정된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최적의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제 1 통신부(131)를 통해 사용자 장치(120)에 전송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장치(120)에서 사용자 장치(120)의 식별 정보와 태깅된 가맹점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130)에 제공하고, 서비스 제공 장치(130)에 사용자 장치(120)에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하기에 최적인 결제관련 카드를 선정한 후, 선정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해당 사용자 장치(120)에 전송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비스 제공 장치(130)의 해당 기능들은 사용자 장치(120)에서 자체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 장치(120)에서는 서비스 제공 장치(130) 또는 DB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최신 상태의 해당 사용자 장치(120)에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또는 결제관련 카드) 등을 미리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 장치(120)를 통해 태그(110)가 태깅되면, 사용자 장치(120)는 태깅된 가맹점 정보를 확인한다. 이때, 가맹점 정보에는 해당 가맹점의 고유 식별 정보뿐만 아니라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결제관련 카드 정보(또는 결제관련 카드)가 포함된 상태일 수도 있다. 이후, 사용자 장치(120)는 미리 저장된 최신 상태의 해당 사용자 장치(120)에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 중에서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매칭하여,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최적의 결제관련 카드를 선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가맹점 내의 태그 태깅 시, 사용자 장치에 등록된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최적화된 결제관련 카드를 자동으로 검색하고, 검색된 결제관련 카드를 통해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지갑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갑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 장치(120)가 가맹점(미도시)에서의 결제 기능 수행을 위해서 가맹점에 구비된 태그(110)를 태깅하는 경우, 사용자 장치(120)는 사용자 장치(120)의 식별 정보와 태깅된(또는 인식된) 가맹점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130)에 전송한다. 여기서, 태그(110)는 바코드 형태, QR 코드 형태, NFC 태그 형태 및 스마트 태그 형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가맹점 정보는 해당 가맹점의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장치(120)의 식별 정보는 사용자 장치의 MDN,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카드 고유정보, 시리얼번호 등을 포함한다.
이때, 사용자 장치(120)는 태깅된 가맹점 정보를 사용자 장치(120)에 미리 설치된 전자 지갑 앱과 같은 특정 앱을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S510).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사용자 장치(12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장치(120)의 식별 정보와 가맹점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수신된 사용자 장치(120)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미리 저장된 해당 사용자 장치(120)에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 및 수신된 가맹점 정보에 대응되는 미리 저장된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결제관련 카드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 장치(120)에 발급된(또는 등록된)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최적의 결제관련 카드를 선정(또는 검색/확인)한다. 여기서, 결제관련 카드는 신용 카드, 체크 카드, 포인트 카드, 할인 카드 등을 포함한다.
즉,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사용자 장치별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수신된 사용자 장치(120)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해당 사용자 장치(120)에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를 확인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가맹점별 가맹점 정보에 대응되는 가맹점별 사용 가능한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수신된 가맹점 정보에 대응되는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결제관련 카드를 확인한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확인된 해당 사용자 장치(120)에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확인된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결제관련 카드를 매칭하여,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최적의 결제관련 카드를 선정한다.
일 예로,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사용자 장치별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수신된 사용자 장치(120)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제 1 신용 카드, 제 2 신용 카드, 제 1 포인트 카드 및 제 2 포인트 카드를 확인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가맹점별 가맹점 정보에 대응되는 가맹점별 사용 가능한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수신된 가맹점 정보에 대응되는 제 2 신용 카드, 제 1 포인트 카드 및 제 2 포인트 카드를 확인한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확인된 해당 사용자 장치(120)에 발급된 제 1 신용 카드(예를 들어 5% 할인율), 제 2 신용 카드(예를 들어 7% 할인율), 제 1 포인트 카드(예를 들어 5% 할인율 또는 7% 적립률) 및 제 2 포인트 카드(예를 들어 7% 할인률 또는 10% 적립률) 중에서 확인된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제 2 신용 카드, 제 1 포인트 카드 및 제 2 포인트 카드를 매칭하여, 할인율 또는 적립률이 가장 큰 제 2 포인트 카드를 선정한다(S520).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선정된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최적의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정보(또는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사용자 장치(120)에 전송한다. 여기서, 결제관련 카드 정보는 카드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 제휴사 이름, 카드 이름, 카드번호, 유효기간, 혜택(예를 들어 할인율, 적립률 등 포함), 연회비, 해당 카드와 연동하는 바코드 정보/QR 코드 정보/NFC 태그 정보/스마트 태그 정보 등을 포함한다(S530).
이후, 사용자 장치(120)는 전송된 사용자 장치(120)의 식별 정보와 가맹점 정보에 응답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30)로부터 전송되는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사용자 장치(120)는 수신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 태깅된 가맹점 정보 등을 전자 지갑 앱과 같은 특정 앱을 통해 표시한다.
일 예로, 사용자 장치(120)는 수신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예를 들어 7% 할인율 또는 10% 적립률이 적용되는 제 2 포인트 카드에 대한 정보), 태깅된 가맹점 정보 등을 전자 지갑 앱을 통해 표시한다(S540).
이후, 사용자 장치(120)는 특정 앱에 표시되는 결제관련 카드 정보에 대응되는 해당 결제관련 카드와 가맹점에 구비된 POS 단말(미도시) 간의 연동을 통해 결제 기능을 수행한다(S55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 장치(120)가 가맹점(미도시)에서의 결제 기능 수행을 위해서 가맹점에 구비된 태그(110)를 태깅하는 경우, 사용자 장치(120)는 사용자 장치(120)의 식별 정보와 태깅된(또는 인식된) 가맹점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130)에 전송한다. 여기서, 태그(110)는 바코드 형태, QR 코드 형태, NFC 태그 형태 및 스마트 태그 형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가맹점 정보는 해당 가맹점의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장치(120)의 식별 정보는 사용자 장치의 MDN,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카드 고유정보, 시리얼번호 등을 포함한다.
이때, 사용자 장치(120)는 태깅된 가맹점 정보를 사용자 장치(120)에 미리 설치된 전자 지갑 앱과 같은 특정 앱을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S610).
이후, 사용자 장치(120)는 전송된 사용자 장치(120)의 식별 정보와 가맹점 정보에 응답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30)로부터 전송되는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결제관련 카드 정보는 사용자 장치(120)에 등록된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해당 가맹점에서 가장 큰 혜택(예를 들어 할인율 또는 적립률)을 제공받을 수 있는 최적의 결제관련 카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20)는 수신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 태깅된 가맹점 정보 등을 전자 지갑 앱과 같은 특정 앱을 통해 표시한다(S620).
이후, 사용자 장치(120)는 특정 앱에 표시되는 결제관련 카드 정보에 대응되는 해당 결제관련 카드와 가맹점에 구비된 POS 단말(미도시) 간의 연동을 통해 결제 기능을 수행한다(S630).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사용자 장치(12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장치(120)의 식별 정보와 가맹점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사용자 장치(120)의 식별 정보는 사용자 장치의 MDN,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카드 고유정보, 시리얼번호 등을 포함한다. 또한, 가맹점 정보는 사용자 장치(120)를 통해 가맹점에 구비된 태그(110)를 인식한 후, 인식된 태그 정보에 포함된 해당 가맹점의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S710).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수신된 사용자 장치(120)의 식별 정보와 가맹점 정보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 장치(120)에 발급된(또는 등록된)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최적의 결제관련 카드를 선정(또는 검색/확인)한다. 여기서, 결제관련 카드는 신용 카드, 체크 카드, 포인트 카드, 할인 카드 등을 포함한다.
즉,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사용자 장치별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수신된 사용자 장치(120)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해당 사용자 장치(120)에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를 확인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가맹점별 가맹점 정보에 대응되는 가맹점별 사용 가능한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수신된 가맹점 정보에 대응되는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결제관련 카드를 확인한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확인된 해당 사용자 장치(120)에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확인된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결제관련 카드를 매칭하여,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최적의 결제관련 카드를 선정한다(S720).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선정된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최적의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정보(또는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사용자 장치(120)에 전송한다. 여기서, 결제관련 카드 정보는 카드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 제휴사 이름, 카드 이름, 카드번호, 유효기간, 혜택(예를 들어 할인율, 적립률 등 포함), 연회비, 해당 카드와 연동하는 바코드 정보/QR 코드 정보/NFC 태그 정보/스마트 태그 정보 등을 포함한다(S73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등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등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 및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 및 설치한 스마트 카드 등의 외장 메모리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등에 장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가맹점 내의 태그 태깅 시, 사용자 장치에 등록된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최적화된 결제관련 카드를 자동으로 검색하고, 검색된 결제관련 카드를 통해 결제를 수행하여, 전자 지갑 앱과 같은 특정 앱의 서비스를 통해 단순 태깅 동작만으로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최적화된 결제관련 카드를 사용자 장치의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가맹점 내의 태그 태깅 시, 사용자 장치에 등록된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최적화된 결제관련 카드를 자동으로 검색하고, 검색된 결제관련 카드를 통해 결제를 수행함으로써 전자 지갑 앱과 같은 특정 앱의 서비스를 통해 단순 태깅 동작만으로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최적화된 결제관련 카드를 사용자 장치의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사용자 서비스 제공 분야, 데이터베이스 분야, 서비스 검색 분야, 태그 활용 분야, 마케팅 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다.
10, 100: 전자 지갑 시스템 11, 120: 사용자 장치
12: 웹서버 13: WAS
14, 130: 서비스 제공 장치 15: 제휴사 서버
16: DB서버 110: 태그
121: 리더기 122: 표시부
123: 저장부 124: 통신부
125: 제어부 131: 제 1 통신부
132: 제 1 저장부 133: 제 1 제어부

Claims (9)

  1. 복수의 사용자 장치별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관련 카드 및 복수의 가맹점별 사용 가능한 결제관련 카드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장치를 통해 인식된 태그 정보에 포함된 가맹점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사용자 장치별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장치에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를 확인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가맹점별 사용 가능한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상기 수신된 가맹점 정보에 대응되는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결제관련 카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사용자 장치에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와 상기 확인된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결제관련 카드를 근거로 상기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최적의 결제관련 카드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상기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최적의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관련 카드는 신용 카드, 체크 카드, 포인트 카드 및 할인 카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정보는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 제휴사 이름, 카드 이름, 카드번호, 유효기간, 할인율 또는 적립률을 포함하는 혜택, 연회비, 결제관련 카드와 연동하는 바코드 정보, QR 코드 정보, NFC 태그 정보 및 스마트 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4. 가맹점에 구비된 가맹점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를 태깅하고, 상기 태그에 포함된 가맹점 정보를 인식하는 리더기;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리더기를 통해 인식된 가맹점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전송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사용자 장치에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상기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할인율 또는 적립률이 가장 큰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상기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최적의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최적의 결제관련 카드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관련 카드를 통해 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는 사용자 장치의 MDN(Mobile Directory Number),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카드 고유정보 및 시리얼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6.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장치를 통해 인식된 태그 정보에 포함된 가맹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어부를 통해 미리 저장된 복수의 사용자 장치별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장치에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를 통해 미리 저장된 복수의 가맹점별 사용 가능한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상기 수신된 가맹점 정보에 대응되는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결제관련 카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확인된 사용자 장치에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와 상기 확인된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결제관련 카드를 근거로 상기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최적의 결제관련 카드를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선정된 상기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최적의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
  7. 리더기를 통해 가맹점에 구비된 가맹점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를 태깅하여 상기 태그에 포함된 가맹점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리더기를 통해 인식된 가맹점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사용자 장치에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상기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할인율 또는 적립률이 가장 큰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표시부를 통해 상기 수신된 상기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최적의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제어부를 통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최적의 결제관련 카드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관련 카드를 통해 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 6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9. 사용자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장치를 통해 인식된 태그 정보에 포함된 가맹점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 장치에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상기 가맹점 정보에 대응된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최적의 결제관련 카드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최적의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정보를 전자 지갑 앱과 같은 특정 앱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최적의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사용자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KR20130123891A 2013-10-17 2013-10-17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500446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3891A KR20150044618A (ko) 2013-10-17 2013-10-17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3891A KR20150044618A (ko) 2013-10-17 2013-10-17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618A true KR20150044618A (ko) 2015-04-27

Family

ID=53036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3891A KR20150044618A (ko) 2013-10-17 2013-10-17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46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7229A (ko) * 2015-08-06 2017-02-1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pos 단말,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70034733A (ko) * 2015-09-21 2017-03-2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7229A (ko) * 2015-08-06 2017-02-1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pos 단말,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70034733A (ko) * 2015-09-21 2017-03-2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25537A1 (en) System for performing payment in mobile terminal
US20160364719A1 (en) User equipment for reverse nfc payment, nfc payment terminal, reverse nfc pay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20170000671A (ko) 사용자 위치 기반의 푸시 메시지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50019956A (ko) 카드 약관 동의 및 발급을 제공하는 단말과 서비스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50029781A (ko) 쿠폰을 제공하는 단말과 쿠폰 서버,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354802B1 (ko)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50044618A (ko)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235736B1 (ko) 제휴사 서버와 서비스 제공 장치와 단말,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50044057A (ko) 타깃 마케팅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타깃 마케팅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163747B1 (ko) 쿠폰 전송을 위한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쿠폰 전송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50101600A (ko)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50101337A (ko)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50094889A (ko)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30110851A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건물 내부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399319B1 (ko)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와 쿠폰 서버.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264919B1 (ko)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50101003A (ko)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198211B1 (ko) 단말,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50050249A (ko)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243961B1 (ko)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와 서드 파티 서버,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312352B1 (ko) 단말과 pos 단말,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67662B1 (ko)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245050B1 (ko)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80100988A (ko) 사용 패턴에 따른 맞춤형 멤버십 카드 및/또는 쿠폰 추천을 위한 사용자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110274B1 (ko)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