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0141A -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0141A
KR20150050141A KR1020130131598A KR20130131598A KR20150050141A KR 20150050141 A KR20150050141 A KR 20150050141A KR 1020130131598 A KR1020130131598 A KR 1020130131598A KR 20130131598 A KR20130131598 A KR 20130131598A KR 20150050141 A KR20150050141 A KR 20150050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version
switching
conversion unit
power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1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4043B1 (ko
Inventor
차상현
이연중
유제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1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4043B1/ko
Priority to US14/288,134 priority patent/US9204506B2/en
Priority to CN201410602429.8A priority patent/CN104602392A/zh
Publication of KR20150050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05B45/372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 H05B45/382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with galvanic isolation between input and outp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0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ulses, e.g. flash lamp
    • H05B41/34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ulses, e.g. flash lamp to provide a sequence of flas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05B45/372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Dc-Dc Converter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변환 회로의 스위칭 주기와 상기 스위칭 주기 중 자기 소거 시간(demagnetization time)에 기초하여 전원 변환 회로의 스위칭을 제어함으로써 별도의 외장 캐패시터를 채용하지 않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입력 전원을 스위칭하여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변환부; 및 상기 전원 변환부의 스위칭 주기와 상기 스위칭 주기 중 자기 소거 시간(demagnetization time)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 변환부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DRIVING APPRATUS FOR LIGHT EMITTING DIODE}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에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의 발열을 저감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발광 다이오드(LED)에 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기기는 컴팩트한 제작이 가능해 기존 전자 제품으로는 설치가 어려운 장소에도 사용할 수 있고, 조명으로 사용되는 경우 다양한 색상 구현 및 조도 조절이 용이하여 영화 감상, 독서, 회의 등 상황에 적합한 시스템 조명으로써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전력소모가 백열등의 1/8 수준으로 수명은 5~10배인 5~10만시간이고, 무수은 광원으로 친환경적이며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하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한국을 비롯하여 미국, 일본, 호주 등 많은 국가에서 발광 다이오드 조명 사업을 국책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더하여, 최근 들어, 평판 디스플레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스마트폰, 게임기, 디지털 카메라 이외에 자동차 계기판에도 평판 디스플레이가 사용되고 있고 앞으로는 초박형 텔레비젼, 투명 네비게이션 등 우리 생활에 디스플레이의 활용 폭이 넓어지고 있다.
이러한 평판 디스플레이는 주로 TFT-LCD(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가 주를 이룬다.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화소들에 화상정보에 따른 데이터신호를 개별적으로 공급하여 그 화소들의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조절할 수 있는 표시장치로서, 자체적으로 발광하지 못하므로 그 배면에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을 설치하여 화상을 표현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는 경량, 박형, 저소비 [0002] 전력 구동 등의 특징으로 인해 그 응용 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따라 액정 표시 장치는 사무 자동화 기기, 오디오/비디오 기기 등에 이용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는 자체 발광을 하지 못하므로 백라이트(backlight)라고 불리는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며, 이러한, 냉음극 형광 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 CCFL), 외부 전극 형광 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 EEFL)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은 기존의 냉음극 형광 램프에 비해 전력 소모 및 부피 저감 등의 이점으로 인해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이하, 'LED'라고 함)의 채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LED를 사용하는 백라이트는 직하형(direct type) LED 백라이트와 에지형(edge type) LED 백라이트로 나눌 수 있는데, 직하형 LED 백라이트는 면 전체에 LED 칩 모듈을 설치해 빛이 바로 LCD 패널로 가게 하는 방식이고, 에지형 LED 백라이트는 테두리에만 LED 칩 모듈을 설치해 빛을 LCD 패널 가운데로 쏘아주는 방식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사용이 증가 추세에 있는 발광 다이오드는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를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LED는 그 구조상 수 볼트(volt) 정도의 직류(DC) 전원에서 구동된다. 따라서, LED를 교류(AC)에 연결하여 구동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수단이 필요하다.
즉, LED가 직류 전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교류 상용 전원을 직류로 변환하고 점등에 필요한 전압 크기를 변환하기 위한 일환으로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SMPS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기 효율은 높아지는 반면 회로가 복잡해지고 스위칭 모드(Switching Mode)를 사용하므로 높은 주파수의 노이즈 발생, 커패시터 및 인덕터의 사용에 의한 수명의 저하, 역률이 감소한다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다른 방식으로서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이용한 전류제어형 LED 구동회로를 적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이용한 회로에서는 LED에 흐르는 전류를 스위칭 방식의 회로와 연산 증폭기로 조정하게 되는 구조로서, 감지 저항에 걸리는 전압을 피드백시켜 LED에 흐르는 전류를 조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 방식은 리니어 방식과 달리 스위칭 방식을 이용하게 되므로 스위칭 블록에서의 전력소모가 줄어들게 되어 전기적인 효율이 증대되는 장점을 가지므로 비교적 큰 전력이 소모되는 경우에 널리 사용되는 방식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사용이 증가 추세에 있는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를 필요로 하는데,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경우 직류 전원을 제공하기 위해, 일차측에서 정류된 전원을 스위칭하여 절연된 이차측에 전달하여 이차측의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시키게 되는데, 일차측의 정류된 전원을 스위칭하기 위한 제어 회로에 GM 앰프가 채용되게 되며, GM 앰프의 출력단에 별도의 대용량의 캐패시터가 필요하게 되어, 외장 캐패시터에 의한 회로 면적 및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8731호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전원 변환 회로의 스위칭 주기와 상기 스위칭 주기 중 자기 소거 시간(demagnetization time)에 기초하여 전원 변환 회로의 스위칭을 제어함으로써 별도의 외장 캐패시터를 채용하지 않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를 제안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으로, 입력 전원을 스위칭하여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변환부; 및 상기 전원 변환부의 스위칭 주기와 상기 스위칭 주기 중 자기 소거 시간(demagnetization time)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 변환부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전원과, 상기 전원 변환부의 스위칭 주기 및 상기 스위칭에 의한 드레인 전압를 연산하여 기준 전압을 제공하는 연산부; 및 상기 구동 전원을 검출한 피드백 신호와 상기 연산부로부터의 기준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 변환부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전원 변환부의 상기 스위칭 주기를 카운트하는 제1 카운터; 출력 신호가 상기 입력 전원의 전압 레벨을 추종하도록 신호 연산하는 제1 연산 증폭기; 상기 제1 연산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상기 제1 카운터의 카운트값에 따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는 제1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 상기 전원 변환부의 상기 자기 소거 시간을 카운트하는 제2 카운터; 출력 신호가 상기 제1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의 출력 신호를 추종하도록 신호 연산하는 제2 연산 증폭기; 및 상기 제2 카운터의 카운트값에 따라 상기 제2 연산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여 상기 제2 연산 증폭기에 피드백하는 제2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변환부로부터의 피드백 신호와 사전에 설정된 기준 신호를 비교하는 제1 비교기; 상기 연산부로부터의 기준 전압과 상기 전원 변환부의 스위칭 전류를 검출한 검출 전압을 비교하는 제2 비교기; 및 상기 제1 비교기의 비교 결과를 입력받는 셋(set) 단자와, 상기 제2 비교기의 비교 결과를 입력받는 리셋(reset) 단자를 구비하여, 상기 셋 단자와 상기 리셋 단자에 입력된 신호를 논리 연산하여 상기 전원 변환부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RS 래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원 변환부는 상기 입력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치; 및 상기 입력 전원을 전달받는 일차 권선과, 상기 일차 권선과 사전에 설정된 권선비를 형성하여 상기 일차권선으로부터 전원을 유기받는 이차 권선과, 상기 일 권선과 사전에 설정된 권선비를 형성하여 상기 일차 권선으로부터 상기 이차 권선으로 유기되는 전원을 검출하여 상기 구동 제어부에 피드백하는 보조 권선을 갖는 트랜스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트랜스포머는 그라운드의 전기적 성질이 다른 일차측과 이차측을 구비하고, 상기 일차 권선 및 상기 보조 권선은 상기 일차측에 형성되고, 상기 이차 권선은 상기 이차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상기 전원 변환부에 상기 입력 전원을 제공하는 정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일차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으로, 입력 전원을 스위칭하여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변환부; 및 상기 입력 전원과, 상기 전원 변환부의 스위칭 주기 및 상기 스위칭에 의한 드레인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 변환부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 변환 회로의 스위칭 주기와 스위칭 주기 중 자기 소거 시간(demagnetization time)에 기초하여 전원 변환 회로의 스위칭을 제어함으로써 별도의 외장 캐패시터를 채용하지 않아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의 주요 동작 파형 그래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에 채용된 연산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는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의 주요 동작 파형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100)는 전원 변환부(120) 및 구동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전원 변환부(120)에 제공하는 정류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변환부(120)는 정류된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치(M)와 스위칭된 전원을 유기하여 출력하는 트랜스포머(T)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M)은 구동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정류된 전원(Vsup)을 스위칭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트랜스포머(T)의 일차 권선(P)에 입력되는 정류된 전원(Vsup)을 스위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위치(M)은 일차 권선(P)의 일단과 접지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일차 권선(P)의 타단으로는 정류된 전원(Vsup)이 입력될 수 있다. 스위치(M)은 스위칭 주기(Ts) 중 스위칭 온 주기(TON)에 턴 온될 수 있다.
트랜스포머(T)는 일차 권선(P), 이차 권선(S) 및 보조 권선(Aux)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스포머(T)는 그라운드의 전기적 성질이 상이한 일차측과 이차측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일차측에는 일차 권선(P)과 보조 권선(Aux)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이차측에는 이차 권선(S)가 형성될 수 있다. 더하여, 구동 제어부(130)는 일차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일차 권선(P), 이차 권선(S) 및 보조 권선(Aux)는 각각 사전에 설정된 권선수를 가지며, 일차 권선(P)와 이차 권선(S)는 서로 자기 결합되어 사전에 설정된 권선비를 형성하고, 일차 권선(P)에 입력된 정류된 전원(Vsup)은 스위치(M)의 스위칭을 통해 상기 권선비에 따라 이차 권선(S)에 유기될 수 있다(lo).
이차 권선(S)에 유기된 전원은 출력단의 다이오드 및 캐패시터를 통해 안정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LEDs)에 공급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LEDs)는 복수개가 직렬 연결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았지만,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가 서로 병렬 연결될 수도 있다.
보조 권선(Aux)은 일차 권선(S) 및 이차 권선(P)과 사전에 설정된 권선비를 형성하여 일차 권선(S)에서 이차 권선(S)으로 유기되는 전원을 유기받아 상기 권선비에 따라 이차 권선(S)에 유기되는 전원을 검출할 수 있다.
보조 권선(Aux)에 의해 검출된 전원(Vaux)(SYNC)은 구동 제어부(130)에 전달될 수 있다.
더하여, 전원 변환부(120)는 전원 변환 스위칭 동작에 이용되는 누설 인덕터(Lk)와 자화 인덕터(Lm)이 포함될 수 있으며, 전원 변환 스위칭 동작시 전원 스파이크 성분을 억제하는 스너버 회로(Sn)와, 스위치(M)의 스위칭 온시에 흐르는 전류(lDS)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저항(Rc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130)는 연산부(131) 및 제어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연산부(131)는 전원 변환부(120)의 스위칭 주기(Ts)와 상기 스위칭 주기 중 자기 소거 시간(demagnetization time)(TDIS)에 기초하여 전원 변환부(120)의 스위치(M)의 스위칭을 제어하기 위한 기준 전압(Vref)를 연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산부(131)는 정류된 전원(Vsup)과, 스위치(M)의 스위칭 주기(Duty) 및 스위치(M)에 흐르는 드레인 전압(Vdrain)을 연산하여 기준 전압(Vref)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에 채용된 연산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연산부(131)는 출력 신호가 정류된 전원(Vsup)의 전압 레벨을 추종하도록 신호 연산하는 제1 연산 증폭기(131a), 스위치(M)의 스위칭 주기(Ts)를 카운트하는 제1 카운터(131c), 제1 연산 증폭기(131a)의 출력 신호를 제1 카운터(131c)의 카운트값(A)에 따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는 제1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131b, DAC), 스위치(M)의 자기 소거 시간(TDIS)을 카운트하는 제2 카운터(131d), 출력 신호가 제1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131a)의 출력 신호를 추종하도록 신호 연산하는 제2 연산 증폭기(131e) 및 제2 카운터(131d)의 카운트값에 따라 제2 연산 증폭기(131e)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여 제2 연산 증폭기(131e)에 피드백하는 제2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131f)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연산부(131)의 동작에 따라 제1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131a)의 출력 신호와. 제2 연산 증폭기(131f)의 기준 전압(Vref)는 다음의 수식과 같을 수 있다.
(수식)
Figure pat00001
즉, 나누기 연산을 연산부(131)의 구성과 같이 디지털 방식으로 구현하여 노이즈 내성 특성이 우수하고, 별도의 외장 캐패시터를 채용하지 않을 수 있어, 회로 면적 및 제조 비용이 저감될 수 있으며, 또한 외장 캐패시터 연결을 위한 단자가 필요없어 제조 비용이 더욱 저감될 수 있다.
제어부(132)는 제1 비교기(OP1), 제2 비교기(OP2) 및 RS 래치(RS)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교기(OP1)는 보조 권선(Aux)의 검출 신호(SYNC)의 신호 레벨과 사전에 설정된 기준 신호(ref)의 신호 레벨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를 RS 래치(RS)의 셋(set) 단자(S)에 전달할 수 있고, 제2 비교기(OP2)는 연산부(131)의 기준 전압(Vref)의 전압 레벨과 검출 저항(Rcs)에 의해 검출된 검출 전압의 전압 레벨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를 RS 래치(RS)의 리셋(reset) 단자(R)에 전달할 수 있다.
RS 래치(RS)는 셋(set) 단자(S)에 입력된 제1 비교기(OP1)의 비교 결과와, 리셋(reset) 단자(R)에 입려된 제2 비교기(OP2)의 비교 결과에 따라 논리 연산하여 출력 단자(Q)를 통해 스위치(M)의 스위칭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GATE)를 스위치(M)에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 변환 회로의 스위칭 주기와 스위칭 주기 중 자기 소거 시간(demagnetization time)에 기초하여 전원 변환 회로의 스위칭을 제어함으로써, 즉 나누기 연산을 연산부(131)의 구성과 같이 디지털 방식으로 구현하여 노이즈 내성 특성이 우수하고, 별도의 외장 캐패시터를 채용하지 않을 수 있어, 회로 면적 및 제조 비용이 저감될 수 있으며, 또한 외장 캐패시터 연결을 위한 단자가 필요없어 제조 비용이 더욱 저감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110: 정류부
120: 전원 변환부
130: 구동 제어부
131: 연산부
132: 제어부
131a: 제1 연산 증폭기
131b: 제1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
131c: 제1 카운터
131d: 제2 카운터
131e: 제2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
131f: 제2 연산 증폭기

Claims (16)

  1. 입력 전원을 스위칭하여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변환부; 및
    상기 전원 변환부의 스위칭 주기와 상기 스위칭 주기 중 자기 소거 시간(demagnetization time)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 변환부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
    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전원과, 상기 전원 변환부의 스위칭 주기 및 상기 스위칭에 의한 드레인 전압를 연산하여 기준 전압을 제공하는 연산부; 및
    상기 구동 전원을 검출한 피드백 신호와 상기 연산부로부터의 기준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 변환부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전원 변환부의 상기 스위칭 주기를 카운트하는 제1 카운터;
    출력 신호가 상기 입력 전원의 전압 레벨을 추종하도록 신호 연산하는 제1 연산 증폭기;
    상기 제1 연산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상기 제1 카운터의 카운트값에 따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는 제1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
    상기 전원 변환부의 상기 자기 소거 시간을 카운트하는 제2 카운터;
    출력 신호가 상기 제1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의 출력 신호를 추종하도록 신호 연산하는 제2 연산 증폭기; 및
    상기 제2 카운터의 카운트값에 따라 상기 제2 연산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여 상기 제2 연산 증폭기에 피드백하는 제2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
    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변환부로부터의 피드백 신호와 사전에 설정된 기준 신호를 비교하는 제1 비교기;
    상기 연산부로부터의 기준 전압과 상기 전원 변환부의 스위칭 전류를 검출한 검출 전압을 비교하는 제2 비교기; 및
    상기 제1 비교기의 비교 결과를 입력받는 셋(set) 단자와, 상기 제2 비교기의 비교 결과를 입력받는 리셋(reset) 단자를 구비하여, 상기 셋 단자와 상기 리셋 단자에 입력된 신호를 논리 연산하여 상기 전원 변환부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RS 래치
    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변환부는
    상기 입력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치; 및
    상기 입력 전원을 전달받는 일차 권선과, 상기 일차 권선과 사전에 설정된 권선비를 형성하여 상기 일차권선으로부터 전원을 유기받는 이차 권선과, 상기 일 권선과 사전에 설정된 권선비를 형성하여 상기 일차 권선으로부터 상기 이차 권선으로 유기되는 전원을 검출하여 상기 구동 제어부에 피드백하는 보조 권선을 갖는 트랜스포머
    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는 그라운드의 전기적 성질이 다른 일차측과 이차측을 구비하고,
    상기 일차 권선 및 상기 보조 권선은 상기 일차측에 형성되고, 상기 이차 권선은 상기 이차측에 형성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상기 전원 변환부에 상기 입력 전원을 제공하는 정류부를 더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일차측에 형성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9. 입력 전원을 스위칭하여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변환부; 및
    상기 입력 전원과, 상기 전원 변환부의 스위칭 주기 및 상기 스위칭에 의한 드레인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 변환부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
    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입력 전원과, 상기 전원 변환부의 스위칭 주기 및 상기 스위칭에 의한 드레인 전압를 연산하여 기준 전압을 제공하는 연산부; 및
    상기 구동 전원을 검출한 피드백 신호와 상기 연산부로부터의 기준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 변환부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전원 변환부의 상기 스위칭 주기를 카운트하는 제1 카운터;
    출력 신호가 상기 입력 전원의 전압 레벨을 추종하도록 신호 연산하는 제1 연산 증폭기;
    상기 제1 연산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상기 제1 카운터의 카운트값에 따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는 제1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
    상기 전원 변환부의 상기 자기 소거 시간을 카운트하는 제2 카운터;
    출력 신호가 상기 제1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의 출력 신호를 추종하도록 신호 연산하는 제2 연산 증폭기; 및
    상기 제2 카운터의 카운트값에 따라 상기 제2 연산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여 상기 제2 연산 증폭기에 피드백하는 제2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
    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변환부로부터의 피드백 신호와 사전에 설정된 기준 신호를 비교하는 제1 비교기;
    상기 연산부로부터의 기준 전압과 상기 전원 변환부의 스위칭 전류를 검출한 검출 전압을 비교하는 제2 비교기; 및
    상기 제1 비교기의 비교 결과를 입력받는 셋(set) 단자와, 상기 제2 비교기의 비교 결과를 입력받는 리셋(reset) 단자를 구비하여, 상기 셋 단자와 상기 리셋 단자에 입력된 신호를 논리 연산하여 상기 전원 변환부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RS 래치
    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변환부는
    상기 입력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치; 및
    상기 입력 전원을 전달받는 일차 권선과, 상기 일차 권선과 사전에 설정된 권선비를 형성하여 상기 일차권선으로부터 전원을 유기받는 이차 권선과, 상기 일 권선과 사전에 설정된 권선비를 형성하여 상기 일차 권선으로부터 상기 이차 권선으로 유기되는 전원을 검출하여 상기 구동 제어부에 피드백하는 보조 권선을 갖는 트랜스포머
    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는 그라운드의 전기적 성질이 다른 일차측과 이차측을 구비하고,
    상기 일차 권선 및 상기 보조 권선은 상기 일차측에 형성되고, 상기 이차 권선은 상기 이차측에 형성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상기 전원 변환부에 상기 입력 전원을 제공하는 정류부를 더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일차측에 형성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KR1020130131598A 2013-10-31 2013-10-31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KR102134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598A KR102134043B1 (ko) 2013-10-31 2013-10-31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US14/288,134 US9204506B2 (en) 2013-10-31 2014-05-27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apparatus
CN201410602429.8A CN104602392A (zh) 2013-10-31 2014-10-31 发光二极管驱动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598A KR102134043B1 (ko) 2013-10-31 2013-10-31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141A true KR20150050141A (ko) 2015-05-08
KR102134043B1 KR102134043B1 (ko) 2020-07-14

Family

ID=52994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1598A KR102134043B1 (ko) 2013-10-31 2013-10-31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204506B2 (ko)
KR (1) KR102134043B1 (ko)
CN (1) CN10460239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91791B2 (en) * 2015-03-30 2018-06-05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System and method for a switched-mode power supply
CN115087169B (zh) * 2022-08-19 2023-01-17 深圳市必易微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恒流控制电路、恒流控制系统和恒流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2085A (ja) * 2007-12-07 2009-06-25 Panasonic Corp エネルギー伝達装置およびエネルギー伝達制御用半導体装置
KR20110128731A (ko) 2010-05-24 2011-11-30 산켄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이디 점등장치
CN102790531A (zh) * 2012-07-24 2012-11-21 昂宝电子(上海)有限公司 用于电源变换系统的电流控制的系统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77481B (zh) 2009-03-27 2012-06-27 Bcd半导体制造有限公司 一种开关电源的零电流启动电路及方法
CN102055357B (zh) * 2009-10-27 2013-01-09 聚辰半导体(上海)有限公司 开关电源控制器电路及开关电源系统
TWI425749B (zh) * 2010-03-17 2014-02-01 Noveltek Semiconductor Corp 主側電流控制器及其相關電源供應器
WO2011158284A1 (ja) * 2010-06-15 2011-12-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
US8477516B2 (en) * 2011-04-18 2013-07-02 Noveltek Semiconductor Corp. Low cost high power factor LED driver
JP5899504B2 (ja) * 2011-11-28 2016-04-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
CN103066872B (zh) * 2013-01-17 2015-06-17 矽力杰半导体技术(杭州)有限公司 一种集成开关电源控制器以及应用其的开关电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2085A (ja) * 2007-12-07 2009-06-25 Panasonic Corp エネルギー伝達装置およびエネルギー伝達制御用半導体装置
KR20110128731A (ko) 2010-05-24 2011-11-30 산켄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이디 점등장치
CN102790531A (zh) * 2012-07-24 2012-11-21 昂宝电子(上海)有限公司 用于电源变换系统的电流控制的系统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15822A1 (en) 2015-04-30
KR102134043B1 (ko) 2020-07-14
US9204506B2 (en) 2015-12-01
CN104602392A (zh) 2015-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7024B2 (en) Apparatus and driving lamp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9378701B2 (en) Backlight driving apparatus
US20130257305A1 (en)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apparatus
KR20130043023A (ko) Led 구동 장치, led 구동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8441428B2 (en) Power supply for liquid crystal display
KR20120094275A (ko) 광원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8994281B2 (en)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apparatus
US10217419B2 (en) Power supply devic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power supply
US20160315544A1 (en) Power supply circuit for reducing standby pow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3135207A (ja) 発光ダイオード駆動装置
KR102134043B1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US20160249427A1 (en) Led backlight source used in lcd devcice and lcd device therefore
US20070103942A1 (en) Backlight module, inverter, and DC voltage generating method thereof
EP2680417A1 (en)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apparatus
CN104602393A (zh) 发光二极管驱动器
KR101462735B1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WO2014089877A1 (zh) 直下式led背光源及其液晶显示器
KR20140081389A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KR101053278B1 (ko) 램프 구동 장치
KR20140084750A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US20040178745A1 (en) Electronic device with illumination circuit and EL device utilizing the same
KR101522783B1 (ko) 전원장치
KR101117746B1 (ko) 발광 다이오드용 전류 조절 장치
US9024532B2 (en) Direct type LED backlight and liquid crystal display thereof
KR20100066063A (ko) 발광 다이오드용 전원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