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9550A -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9550A
KR20150049550A KR1020130130254A KR20130130254A KR20150049550A KR 20150049550 A KR20150049550 A KR 20150049550A KR 1020130130254 A KR1020130130254 A KR 1020130130254A KR 20130130254 A KR20130130254 A KR 20130130254A KR 20150049550 A KR20150049550 A KR 20150049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iometric
fingerprint
biometric information
fingerpri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0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0226B1 (ko
Inventor
김민철
김상헌
손효진
위태환
이은영
이해동
임연욱
한용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0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226B1/ko
Priority to US14/504,858 priority patent/US9710630B2/en
Publication of KR20150049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35Combining adjacent partial images (e.g. slices) to create a composite input or reference pattern; Tracking a sweeping finger mov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70Multimodal biometrics, e.g. combining information from different biometric moda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며, 이를 위해 둘 이상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과, 상기 센서 모듈을 통해 감지된 상기 둘 이상의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생체 조합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생체 조합 정보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둘 이상의 생체 정보를 조합한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전자 장치 내의 다양한 객체들에 대해 보다 강화된 보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CURING USING COMPLEX BIOMETRICS}
본 발명은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단순한 통화 기능 외에, 예를 들어,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 인터넷 통신 등과 같이 보다 다양한 기능들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렇게 전자 장치들이 다양한 기능들을 포함하게 됨에 따라 개인 정보 보안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을 이용한 금융 결재와 같이, 타인에 의해 도용될 경우 매우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는 기능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의 개인 정보 보안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최근에는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 방법은 타인과 구별되는 개인 특유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것이므로, 그 안정성이 매우 높다.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 방법의 대표적인 예로서 지문을 이용한 보안 방법이 있다. 지문은 개개인마다 각기 다르기 때문에 보안 시스템에서 가장 먼저 채택된 생체 조직이다. 지문을 이용한 보안 방법은 지문 인식 장치에 의한 지문 인식률이 높고,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현재 전자 장치의 보안 문제가 큰 이슈가 되고 있으며, 지문을 통해 보안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법이 소수 개시되어 있기는 하나, 보안성 및 편리성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솔루션은 제공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보안성 및 편리성을 보장할 수 있는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다양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사용자 인증 및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한 번의 절차로서 간편하게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과, 상기 센서 모듈을 통해 감지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생체 조합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생체 조합 정보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을 제공하는 방법은, 적어도 두 개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적어도 두 개의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생체 조합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생체 조합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생체 조합 정보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보안성 및 편리성을 보장할 수 있는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둘 이상의 생체 정보를 조합한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전자 장치 내의 다양한 객체들에 대해 보다 강화된 보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과 객체 실행 과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전자 장치의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 생체 정보 입력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생체 정보 등록 동작에 대한 흐름도,
도 6a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 생체 정보의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 생체 정보의 생성 동작에 대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지문 정보를 이용한 객체 보안 동작에 대한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객체 보안 동작을 예시한 화면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객체 보안 동작을 예시한 화면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보안 촬영 모드에서 지문 정보를 이용한 객체 보안 동작에 대한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지문 정보 입력에 따라 잠금된 객체에 접근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선택된 객체에 대해 지문 정보의 입력을 안내하는 화면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복수의 객체 실행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7a 내지 도 17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복수의 객체 실행에 따른 화면예시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입력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는, 휴대 단말, 이동 단말, 통신 단말, 휴대용 통신 단말 또는 휴대용 이동 단말 등으로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 휴대폰, 게임기, 텔레비전(TV),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용 헤드 유닛,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내비게이션 장치, 은행의 ATM, 상점의 POS 장치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의 일부 구성 소자는 필요에 따라 생략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하나의 입력부(190)(예컨대, 터치 스크린) 및 적어도 하나의 입력부 컨트롤러(19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제어부(110), 통신 모듈(120), 카메라 모듈(150),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및 전원 공급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110)는 CPU(111), 전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는 싱글 코어뿐만 아니라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와 같이 다수 개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 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통신 모듈(120), 카메라 모듈(150),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 공급부(180), 입력부(190) 및 입력부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 내의 다양한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동작의 일 예로, 제어부(110)는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잠금을 수행하는데, 이를 위해 크게 생체 정보 등록 동작, 객체를 선택한 후 생체 정보들의 조합으로 상기 객체를 잠금하는 객체 잠금 동작, 잠금을 해제할 객체 선택 시에는 등록된 생체 정보들의 조합을 입력하여 인증하는 생체 정보 인증 동작 및 상기 인증이 성공적이면 상기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해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정보 등록 동작은 센서 모듈(170)을 통해 동일 사용자 또는 서로 다른 사용자의 생체 이미지를 획득하면, 획득된 생체 이미지 내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 추출 영역으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그 특징 추출 영역별로 추출된 특징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며, 추출된 특징 정보들의 조합이 선택되면 적어도 두 개의 특징 정보들을 조합한 생체 조합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동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객체 잠금 동작은 잠금시킬 객체가 선택되면 둘 이상의 생체 정보의 조합으로 상기 객체를 보안하여 저장하는 동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생체 정보 인증 동작은 보안된 객체에 대해 생체 정보들의 조합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생체 정보들의 조합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이 성공적이면 상기 보안된 객체를 표시하거나 실행하는 동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10)는 상기 센서 모듈(170)을 통해 감지된 상기 둘 이상의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생체 조합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생체 조합 정보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로 다른 사용자의 생체 정보들을 조합한 정보를 이용하거나 동일 사용자의 특징 추출 영역별 특징 정보들을 조합한 정보를 이용하여 원하는 객체들을 보안할 수 있어, 보다 강화된 보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생체 정보를 통한 인증과 동시에 보안된 객체를 간편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통신 모듈(120)은 이동 통신 모듈, 무선랜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60)은 키패드(166) 이외에 복수의 버튼, 마이크, 스피커, 커넥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전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전자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입력부(19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는 전자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센서 모듈(170)은 전자 장치(100)의 상태 및 전자 장치(100) 주변의 상황을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170)은 사용자의 전자 장치(100)에 대한 접근 여부를 검출하는 근접 센서, 전자 장치(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 센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회전, 전자 장치(100)의 가속 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모션 센서(도시되지 아니함),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전자 장치(100)의 방위(point of the compass)를 검출하는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중력의 작용 방향을 검출하는 중력 센서(Gravity Sensor),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고도를 검출하는 고도계(Altimeter), GPS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모듈(170)은 지문 센서(17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문 센서(170a)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손마디 등이 그 표면에 접촉하면 손가락별 지문, 손가락 마디, 손가락 마디 주름, 손가락 주름 등의 패턴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지문 센서(170a)는 스위치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사용자의 누름에 따른 누름 감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지문 센서(170a)는 생성된 생체 정보 및/또는 누름 감지 데이터를 제어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문 센서(170a)는 여기 신호를 생성하고, 픽셀 안테나 어레이를 이용하여 도전성을 갖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지문 센서(170a)의 표면에 접촉함에 따른 상기 여기 신호에 기인한 응답 신호의 전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생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학식, 전자 광학식(electro-optic), 초음파식, 압력식, 정전용량(capacitive)식 등 다양한 방식의 지문 센서가 지문을 인식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의 지문을 좌/우 또는 상/하로 분할하여 등록할 수 있다. 먼저, 도 6a에서와 같이 지문을 스캔 시 스캔된 지문(600)에는 복수의 특징점들(601)이 추출될 수 있다. 이때, 지문 스캔 시 지문 전체 영역이 아닌 일부 영역(602)에 해당하는 지문만 스캔되는 경우, 그 스캔된 영역(602) 내에는 특징점들의 개수가 지문 인식에 필요한 특징점들의 개수에 비해 적어 충분한 신뢰도를 가질 수 없다고 간주되어 지문 인식이 실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서는 스캔된 지문(600)을 좌/우 또는 상/하로 분할하는 등 n개의 영역들(604, 606, 608)로 나눌 수 있다. 이어, 각 영역별(604, 606, 608)로 각각의 특징점들(605, 607, 609)을 추출한 후, 각 영역별(604, 606, 608)로 특징점들(605, 607, 609)을 매칭하여 저장해 놓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일부 영역의 지문이 입력되더라도 그 입력된 일부 영역의 지문의 특징점과 각 영역별 특징점들을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기존에는 단지 입력된 지문의 특징점과 등록된 지문에서의 특징점을 비교한 결과를 기반으로 본인 거부율(FRR)이 정해지므로 지문 입력 시의 각도에 따라 본인 거부율이 높았으나, 본 발명의 일실 예에 따르면 각 영역별 특징 정보 중에서 입력된 지문의 특징점에 매칭되는 것을 찾으면 되므로 인식률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물리적 크기의 제한이 있는 지문 센서(170a)의 한계를 극복하여 일부 영역의 지문만 입력되더라도 인식률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분할된 영역들의 지문들을 조합하여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에서와 같이 사용자 A의 지문(600)의 오른쪽 부분(606), 사용자 B의 지문(610)의 왼쪽 부분(612)과 같이 일부 영역의 지문들의 특징점들을 추출하여, 각 영역(606, 612)의 특징점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지문 데이터(624)로 등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A의 서로 다른 손가락 지문들의 일부 영역에서의 특징점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지문 데이터로 등록할 수도 있다.
또한, 지문 센서(170a)를 통해 지문 등록 시에 입력부(190)에 손바닥을 대고 지문 스캔을 함으로써 입력부(190)에서 인식된 손바닥 영역의 지문과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이 입력부(190)는 지문 인식이 가능한 새로운 터치 스크린이 아니라 기존 터치 스크린과 동일한 방식으로 접촉된 손바닥 모양의 영역과 위치, 각도를 파악함으로써 보안의 보조적인 도구로 보안 레벨을 강화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지문 센서(170a)를 통해 다양한 생체 정보가 등록된다면 사용자는 상위 보안 레벨로 객체를 보안하고자 할 경우 원하는 생체 정보들의 조합으로 그 객체를 잠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객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바닥 영역 정보와 지문을 함께 저장함으로써 상기 객체를 잠금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사용자에게 손바닥 접촉을 안내한 후, 사용자가 입력부(190)에 손바닥을 접촉함에 따라 생성되는 손바닥 영역 정보를 기반으로 기 저장된 손바닥 정보와 지문과 미리 정해진 오차 범위 이내에서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객체에 대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생체 정보의 다른 예로, 손가락 혈관 패턴 정보, 생체 혈류 정보, 심전도, 맥박, 산소포화도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센서 모듈(170)은 IR(Infrared) 센서, 압전 센서, 홀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IR 센서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와 적외선 포트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발광 다이오드에서 나온 적외선이 손가락 끝의 모세 혈관에 도달하여 혈관의 용적 변동에 대응한 반사광이 포토 트랜지스터에 수광되도록 하는 반사형 광전 용적 맥판 측정을 이용하는 장비를 지칭하는 것이다. 또한, 홀 센서의 경우 인듐안티모나이드(Insb), 인듐아세나이드(InAs), 게르마늄(Ge), 실리콘(Si)을 재료로 만들어진 자성변환소자를 지칭한다. 상기와 같은 추가적인 센서들이 지문 센서(170a)가 배치된 위치에 추가된다면 신체적 전기적 신호를 파악하여 자기장 변화에 대한 신호를 추가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모듈(170)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들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과 접촉되어 생체 신호 중 심전도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심전도 전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모듈(170)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 예컨대, 손가락에 접촉되어 생체 신호 중 맥파 신호를 측정하는 광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 모듈(170)은 지문 센서(170a) 이외에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함으로써 지문을 비롯하여 다양한 생체 정보를 동시에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획득된 생체 정보는 저장부(175)에 지문 등의 다른 생체 정보와 함께 저장되어 보안에 필요한 추가적인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문 인식과 동시에 다른 생체 정보 예컨대, 생체혈류 정보를 인식하는 등 이러한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생체 정보를 사용한다면 보다 강화된 보안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센서 모듈(170)을 통해 수신되는 생체 정보 이외에 음성 인식과 지문 인식 등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생체 정보의 조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이러한 생체 정보는 지문 인식에 따른 특징점들과 조합하여 저장될 경우 보다 강화된 보안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지문 센서(170a)로부터 수신한 생체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 손마디 주름, 손가락 주름 등의 패턴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생체 정보 각각 또는 그 조합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통신 모듈(120), 카메라 모듈(150),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또는 입력부(190)의 동작에 따라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전자 장치(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 내 롬(112), 램(113) 또는 전자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SD 카드, 메모리 스틱) 등의 임의의 데이터 저장 장치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저장부(175)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75)는 네비게이션, 화상 통화, 게임, 사용자에게 시간을 기반으로 하는 알람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의 어플리케이션들과 이와 관련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들, 사용자 정보, 문서,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데이터, 전자 장치(100)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배경 이미지들(메뉴 화면, 대기 화면 등) 또는 운영 프로그램들, 카메라 모듈(15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7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센서 모듈(170)을 통해 입력된 둘 이상의 생체 정보를 조합한 복수의 생체 조합 정보와 상기 생체 조합 정보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각각 맵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75)는 둘 이상의 생체 정보를 조합한 복수의 생체 조합 정보들을 저장하며, 이러한 예로, 동일 사용자 또는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 손마디 주름, 손가락 주름 등을 조합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전자 장치(100)상에서 특정 기능을 실행하도록 하는 어떠한 유형의 명령어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령어는 전자 장치(100)에 설치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포함하거나,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함께 어플리케이션 내의 특정 기능의 실행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이며,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라는 용어는 기계가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기계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매체로 정의될 수 있다. 저장부(175)는 비휘발성 매체(non-volatile media) 및 휘발성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매체는 상기 매체에 의해 전달되는 명령들이 상기 명령들을 상기 기계로 읽어 들이는 물리적 기구에 의해 검출될 수 있도록 유형의 것일 수 있다.
상기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플렉서블 디스크(flexible disk), 하드 디스크, 자기 테이프, 시디롬(compact disc read-only memory: CD-ROM), 광학 디스크, 펀치 카드(punch card), 페이퍼 테이프(paper tape), 램, 피롬(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이피롬(Erasable PROM: EPROM) 및 플래시-이피롬(FLASH-EPRO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는 전자 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80)는 커넥터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 소스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전자 장치(1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80)는 무선 충전 기술을 통해 외부의 전원 소스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전원을 전자 장치(1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90)는 전자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출력 정보에 대한 표시 기능을 수행하는 표시 패널과, 사용자에 의한 각종 입력 기능을 수행하는 입력 패널로 구비될 수 있다. 표시 패널은 LCD, AMOLED 등과 같은 패널이 될 수 있다. 표시 패널은 전자 장치(100)의 각종 동작 상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및 서비스 등에 따른 다양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잠금이 설정된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입력 패널은 손가락, 펜 등의 각종 물체를 이용한 사용자의 싱글 또는 멀티 터치 입력, 드래그 입력, 필기 입력, 드로잉 입력 등의 각종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패널은 손가락 입력 감지 및 펜 입력 감지가 모두 가능한 하나의 패널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손가락 입력 감지가 가능한 터치 인식 모듈과 펜 입력 감지가 가능한 펜 인식 모듈과 같이 두 개의 패널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입력부(190)는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신호를 입력부 컨트롤러(195)로 출력할 수 있다. 입력부(190)는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어, 검지를 포함하는 손가락)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90)는 하나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수신할 수도 있다. 입력부(190)는 입력되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부 컨트롤러(195)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터치는 입력부(190)와 손가락 등의 사용자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예를 들어, 입력부(190)와의 직접 접촉 없이 사용자 입력 수단을 검출할 수 있는 인식 거리(예를 들어, 1cm) 이내에 사용자 입력 수단이 위치하는 경우)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90)에서 사용자 입력 수단을 인식할 수 있는 거리 또는 간격은 전자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특히 입력부(190)는 사용자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의한 직접 터치 이벤트와, 간접 터치 이벤트(즉, 호버링 이벤트)를 구분하여 검출 가능하도록, 상기 직접 터치 이벤트와 호버링 이벤트에 의해 검출되는 값(예컨대, 아날로그 값으로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을 포함)이 다르게 출력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90)는 예를 들어,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 컨트롤러(195)는 입력부(19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입력부 컨트롤러(195)부터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입력부(19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직접 터치 이벤트 또는 호버링 이벤트에 응답하여 입력부(190)에 표시된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객체가 선택 또는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 컨트롤러(195)는 제어부(110)에 통합될 수도 있다.
입력부 컨트롤러(195)는 입력부(190)를 통해 출력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을 검출하여 사용자 입력 위치뿐만 아니라 호버링 간격 또는 거리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거리 값을 디지털 신호(예컨대, Z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입력부(190)뿐만 아니라 카메라 모듈(150), 입/출력 모듈(160), 및 센서모듈(170) 등을 통해 수신되는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터치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제스처(gesture), 음성, 눈동자 움직임, 생체신호 등 상기 장치(100) 내로 입력되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검출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동작 또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각 기능부 및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각 기능부는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전면(100a) 중앙에 배치된 입력부(190)와, 지문 센서(170a)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지문 센서(170a)는 지문 인식 기능, 전자 장치(100)에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홈 버튼의 기능, 그리고 방향 키 기능을 함께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지문 센서(170a)의 위, 아래 또는 옆에 별도의 홈 버튼이 더 배치될 수도 있다. 지문 센서(170a) 또한, 전자 장치(100)의 후면, 측면 또는 전면의 좌/우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반드시 전면만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전자 장치(100)에는 지문 센서(170a) 이외에 사용자의 생체혈류 정보, 심전도 신호, 맥파 신호 등을 측정할 수 있도록 심전도 전극들(170b, 170c, 170d) 및 광 센서(170e)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전자 장치(100)의 전면에서 복수의 심전도 전극(170b, 170c, 170d)과 광 센서(170e)가 배치되는 경우를 예시하나,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파지하는 방법에 따라 심전도 전극들 및 광 센서의 배치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 3개를 이용하여 접촉 가능한 위치에 심전도 전극들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는, 상기 입력부(190)에 잠금 화면이 표시된 예를 나타낸다. 잠금 화면은 전자 장치(100)의 전원을 켰을 때 상기 입력부(190) 상에 표시되는 첫 화면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보안정보(예컨대, 생체 조합 정보, 비밀번호, 보안패턴 등)를 입력하여, 전자 장치(100)에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화면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지문 센서(170a)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확인되는 보안정보(예컨대, 생체 조합 정보, 비밀번호, 보안패턴 등)의 유효성을 확인한 후, 잠금 화면의 해제를 진행하여 홈 화면으로 전환하는 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 생체 정보 입력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장치는 전처리부(300), 생체 정보 등록부(310), 생체 정보 DB(320), 생체 정보 분석부(330), 명령어 검색부(340), 명령어 DB(350) 및 명령어 실행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처리부(300)는 지문 센서(170a) 또는 입력부(190) 상에 접촉되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생체 이미지가 입력되면 분할, 회전, 크기 조절 등의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생체 정보 등록부(310)는 동일 사용자 또는 서로 다른 사용자에 대한 복수의 생체 정보의 등록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며, 생체 정보의 인증에 활용되는 속성 정보의 특징값들을 생체 정보 DB(320)에 저장할 수 있다. 생체 정보 등록부(310)는 사용자에게 지문 등의 생체 정보의 입력을 안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190) 상에 생체 정보의 등록을 안내하는 창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손 모양과 같은 미리 정해진 마커를 입력부(19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그 손 모양 형태로 그 표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90)에 등록 유효 시간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생체 정보의 등록을 독려할 수 있다.
또한 생체 정보의 등록 안내 창에는 체크 박스의 선택 또는 해제를 통해 등록할 손가락 지문, 손가락 마디, 손가락 마디 주름, 손가락 주름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를 표시함으로써 원하는 생체 정보의 조합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 등분된 손가락 지문을 입력하도록 안내하는 경우에는 엄지/검지를 모아서 스와이핑(swiping)하는 안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 지문, 손가락 마디, 손가락 마디 주름, 손가락 주름 등의 조합을 위해 입력을 안내하는 경우에는 검지 손가락 끝과 중지 손가락 마디를 모아서 스와이핑하는 안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생체 정보 DB(320)는 상기 동일 사용자 또는 서로 다른 사용자에 대한 복수의 생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가락별 지문, 손가락 마디, 손가락 마디 주름, 손가락 주름 등의 정보를 비롯하여 이러한 생체 정보들을 조합한 생체 조합 정보도 저장될 수 있다. 이외에도 손가락 혈관 패턴 정보, 생체 혈류 등의 정보도 저장될 수 있다.
생체 정보 분석부(330)는 입력되는 생체 이미지를 분석한다. 예를 들어, 그 생체 이미지의 특징값들을 분석하여 그 생체 이미지가 어떤 생체 정보에 해당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명령어 검색부(340)는 생체 정보 분석부(330)에 의해 식별된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명령어 DB(350)에 저장된 매핑 테이블을 통해 검색한다. 상기 명령어는 전자 장치(100)상에서 특정 기능을 실행하도록 하는 어떠한 유형의 명령어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령어는 전자 장치(100)에 설치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포함하거나,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함께 어플리케이션 내의 특정 기능의 실행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 DB(350)는 생체 정보 각각 또는 둘 이상의 생체 정보들을 조합한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지 손가락 지문 정보에 전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라는 명령어를 매핑하고, 검지 손가락 마디 정보에 SNS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라는 명령어를 매핑할 수 있다. 만일 손가락 지문부터 시작하여 손가락 마디까지 동시에 인식되는 경우에는 각각에 대응하는 명령어들이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실행될 수 있으며, 멀티 윈도우 형태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검지 손가락 지문 정보와 중지 손가락 마디 정보를 조합하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명령어를 맵핑할 수 있다. 일 예로, 잠금을 실행하라는 명령어, 사용자가 지정한 폴더로 파일을 이동하라는 명령, 서버로의 이동 등 전자 장치(100)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기능이 명령어에 맵핑될 수 있다. 또한 손가락들의 지문 정보를 조합하는 것 이외에 제1사용자의 손가락 지문 정보와 제2사용자의 손가락 지문 정보의 일부 영역을 조합하여 하나의 생체 조합 정보로 만들어, 이러한 생체 조합 정보로 잠금을 실행하라는 명령어에 매핑할 수 있다.
명령어 실행부(360)는 상기 명령어 검색부(340)에 의해 검색된 명령어를 실행한다. 이때, 명령어 실행부(360)는 생체 정보 분석부(330)에 의한 생체 정보의 검증이 성공적일 경우 상기 명령어 실행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도 3에서의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기능 및 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음을 나타나기 위해 별도로 도면에 표시한 것이며, 물리적으로 반드시 별도의 구성요소이거나 별도의 코드로 구현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술한 바에서는 등록된 생체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생체 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입력된 생체 정보를 인증하는 동작이 전자 장치(100) 내에서 수행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동작들이 생체 정보 인증 서버(410)에서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복합 생체 정보에 대한 인증을 통한 인식률이 향상될 수 있도록 입력되는 생체 정보를 해쉬화해서 통신 네트워크(400)를 통해 생체 정보 인증 서버(410)로 전송한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400)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단거리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네트워크(400)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으며, 적외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이 단거리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전송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네트워크(400)는 스마트 TV와 같은 전자 장치(100)에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케이블 방송 통신망, 지상파 방송 통신망, 위성 방송 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정보 인증 서버(410)는 사용자의 지문과 같은 생체 정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자 장치(100)로부터 전달되는 생체 정보를 해쉬화해서 저장하며, 인증을 위해 수신되는 생체 정보와 기 저장된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인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생체 정보 인증 서버(410)는 다양한 서비스 구현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생체 정보 인증 서버(410)가 전자 결재 시스템에서의 결재 인증 서버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현된 경우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특정 생체 정보 예컨대, 왼손 검지 손가락 지문 및 약지 손가락 두 번째 마디를 입력하도록 전자 장치(100)에게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100)에서 해당 생체 정보들을 생체 정보 인증 서버(410)로 전송하여 인증이 성공적이라는 결과를 수신하면 결재 서비스가 수행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체 정보를 외부의 생체 정보 인증 서버(410)에 저장하여 인증할 수 있으므로, 금융 결재와 같이 높은 레벨의 보안이 요구되는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본인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므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다른 전자 장치를 이용해서도 원하는 컨텐츠, 기능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생체 정보 등록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6a 내지 도 8을 예시하여 설명을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생체 정보의 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500단계에서 생체 이미지를 획득하며, 505단계에서 생체 이미지를 전처리한다. 이어, 전자 장치(100)는 510단계에서 생체 이미지에서 하나 이상의 특징 추출 영역을 결정한 후 분석을 수행한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515단계에서 특징 추출 영역으로부터 특징 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특징 추출 영역은 둘 이상일 수 있으며 예컨대, 한 손가락 내에서는 지문 영역, 마디 영역 등이 해당되며, 한 손 내에서는 지문 영역, 마디 영역, 손바닥 주름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만일 520단계에서 생체 정보의 조합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만일 생체 정보의 조합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525단계에서 특징 추출 영역별로 특징 정보를 조합한 후 저장한다. 이와 달리 생체 정보의 조합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530단계로 진행하여 특징 추출 영역별 특징 정보를 매칭한 후 저장한다. 이와 같이 다양한 상황에서의 생체 정보 인식이 가능하도록 전자 장치(100)는 둘 이상의 특징 추출 영역별 특징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도 6b에서와 같이 생체 이미지로 사용자 A의 지문 이미지(600)가 획득된 경우, 지문 이미지(600)를 세로축을 기준으로 반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지문 정보(604, 606)를 보안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좌우로 분할된 영역들(604, 606)에서 특징점을 추출하여 각각의 독립된 지문 정보로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 B의 지문 이미지(610)가 획득된 경우,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지문 정보(612, 614)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보안 강화를 위해 둘 이상의 지문 정보를 조합한 생체 조합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도 6b에서와 같이 사용자 A의 지문 일부와 사용자 B의 지문 일부를 조합하여 새로운 지문 데이터(620, 622, 624, 626)를 만들어 이러한 지문 데이터를 보안 강화를 위해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기능에 자신의 단일 지문 정보 또는 자신의 지문 정보의 조합을 맵핑하거나, 자신의 지문과 다른 사용자의 지문을 조합한 정보를 맵핑할 수 있다.
이때, 동일한 손가락의 지문에 대해 접촉 강도, 기울임 방향 등에 따라 실제 접촉 영역이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입력부(190) 표면에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손가락을 좌우 10도 범위 이내로 기울여 접촉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생체 정보를 저장한다. 이를 위해 표면 접촉에 따라 스캔된 생체 정보를 3D 공간 상에서 좌 또는 우로 비틀어 새로운 생체 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생체 정보에서 특징점을 추출하여 저장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생체 정보 등록을 위해 한 번만 접촉하더라도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생체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입력된 생체 정보가 기 저장된 다양한 생체 정보들 중 어느 하나와 매칭되면 그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명령어가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지문을 스캔하여 특정 작업을 수행하려고 할 경우, 잘못된 스캔으로 특정 부분(왼쪽 혹은 오른쪽 영역 혹은 상단 영역)만 스캔될 경우, 도 6a에서와 같이 저장된 부분 영역(604,606, 608 등)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전체 부분이 아닌 일부분의 생체 정보 입력에도 본인 인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체 정보 등록 시 입력되는 지문 영역을 확장하여 그 확장된 영역에 대한 정보도 저장함으로써 본인 거부율(FRR)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지문(750)과 함께 사용자의 손가락별 마디(700, 710, 720, 730, 740)를 생체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손가락별 마디 정보 이외에 손가락별 마디의 주름 등이 생체 정보로 활용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주름(800) 또는 손바닥의 주름(810) 등도 생체 정보로써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가락 지문이 유실된 사용자의 경우 도 7 또는 도 8에서와 같은 생체 정보가 이용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지문에 비해 특징점이 두드러지지 않으므로 보안 레벨이 낮은 객체에 대한 잠금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마디의 경우 손가락마다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중지의 경우 가로선이 다른 손가락의 마디보다 선명하며, 두 번째 마디는 첫 번째 마디보다 가로 선의 갯수가 적다는 공통적인 특징을 갖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생체 정보 등록 시 등록할 손가락을 선택한 후,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손가락 마디의 특징에 대응하는 특징점을 추출하여 그 특징점의 오차율을 설정하여 저장한다. 따라서 이러한 손가락 마디의 공통적인 특징 및 특징점들을 분석한다면 어느 손가락인지 또는 누구의 손가락인지 등에 대한 식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지문 이외의 다른 생체 정보들은 예를 들어, 손가락의 지문 확인을 통한 사용자 인증 시 오인증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 마디 주름의 형상을 통해 해당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추가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손가락 지문부터 손가락 전체를 접촉하는 한 번의 동작만으로 복수의 생체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 입장에서는 복수의 생체 정보를 활용하여 이중으로 인식을 할 수 있어, 오인증 발생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손가락 지문 이외에 손가락, 마디, 손등 등 여러 인증 가능한 부분도 함께 인증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 생체 정보의 생성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생체 정보가 지문 정보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900단계에서 생체 정보 DB(320)에 저장된 지문 정보 리스트를 표시한다. 전자 장치(100)는 905단계에서 조합할 지문 정보가 선택되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사용자에 의해 조합할 지문 정보가 선택되면 910단계에서 선택된 2개의 지문 정보에 대한 특징 정보들을 조합한다. 이어, 915단계에서 유효한 조합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유효한 조합이 아닌 경우 920단계에서 재선택을 요청한다. 이와 달리 유효한 조합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925단계에서 특징 정보들을 조합한 신규 지문 정보를 생성한 후 저장한다. 915 단계의 유효한 조합에 대한 판단은, 지문 센서(170a)와 전자 장치(100)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2개의 지문 센서(170a)를 가진 전자 장치(100)와 하나의 지문 센서(170a)를 가진 기기는 유효한 조합에 대한 기준이 다르며, 그 유효성 확인을 위한 방법도 달라질 수 있다. 유효한 조합의 확인은 상기의 신규 생성하려는 생체 정보 입력을 1차례 이상 반복 입력하도록 하는 방법 등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지문 정보를 이용한 객체 보안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1000단계에서 입력부(190) 상에 표시되는 객체들 중 보안할 객체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면 1005단계에서 지문 정보의 입력을 요청한다. 도 11(a)에서는 화면 상에 표시되는 객체(1100)를 잠금하고자 하는 경우 지문을 입력할 것을 안내하는 알림 메시지(1105)가 표시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11(b)에서는 조합할 둘 이상의 지문 정보(1110, 1120)가 입력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때, 둘 이상의 지문 정보는 동일 사용자의 서로 다른 손가락 지문 또는 서로 다른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일 수 있다. 도 11(b)에서는 직접 지문을 등록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미리 등록된 지문 정보들 중 하나로 잠금할 수도 있다. 이때, 검증된 사용자만 객체를 잠금할 수 있도록 둘 이상의 지문 정보의 조합이 생체 정보 DB(320)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에 따라 1010단계에서 지문 정보가 입력되면 전자 장치(100)는 1015단계에서 저장된 지문 정보 리스트에 상기 입력된 지문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상기 입력된 지문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1005단계로 되돌아가 지문 정보를 다시 입력할 것을 요청한다. 이와 달리 상기 입력된 지문 정보가 존재하면 검증된 사용자라고 간주하여 1020단계에서 입력된 지문 정보와 함께 상기 객체를 보안하여 저장한다. 다르게는 검증된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지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를 보안할 수도 있다.
도 11(c)에서는 미리보기 형태로 표시되는 객체와 잠금 상태의 객체(1125, 1135))가 표시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는데, 특히 단일 지문(1140)에 의해 잠금된 객체(1135)와, 복수의 지문(1130)에 의해 잠금된 객체(1125)를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단일 지문에 의해 잠금된 경우와 복수의 지문에 의해 잠금된 경우를 아이템(1130, 1140)을 이용하여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객체가 잠금 설정되면, 그 객체의 미리보기 대신 객체 숨김 상태를 알리는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객체들은,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들, 위젯들, 특정 파일 형식의 문서들을 나타내는 아이콘들, 사진들, 및 폴더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객체의 다른 예로, 공동 구매한 동영상, 음악 등의 컨텐츠가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공동 구매한 컨텐츠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그 컨텐츠에 대한 비용을 복수의 사람들이 지불했기 때문에 이를 재생할 때에도 해당 사람들의 동의가 필요할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복수명의 동의가 필요한 경우에는 사전에 등록된 조합된 생체 정보를 이용한다면 과금의 합리성을 증가시켜 서비스 제공자에게 큰 혜택을 줄 수 있다. 생체 정보의 경우, 양도나 복사가 불가하기 때문에 구매한 유료 컨텐츠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공동 구매한 모든 사람이 한 자리에 있어야 한다. 이러한 객체 잠금의 다른 활용의 예로, 키즈 락 기능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키즈 락 기능은 어린이의 과다한 컨텐츠 사용을 막기 위해서 부모가 지문을 등록하여 부모의 동의하에 잠금이 해제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부모 혹은 보호자의 생체 정보는 생체 정보 인증 서버(410)에 미리 저장하여 전자 장치(100)에서 현재 입력된 생체 정보가 어린이에게 사용을 허락해 줄 수 있는 인원인지 파악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1(c)에서와 같이 복수의 지문 예컨대, 서로 다른 사용자의 지문들을 조합하여 객체를 잠금할 경우, 2명의 해당 사용자들의 인가가 동시에 있어야만 보안 해제가 되는 기능을 동작하게 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특정 사진이나 기념일 등 두 사람의 추억이 있는 것에 두 명의 지문을 반반씩 저장할 경우, 2명이 만났을 때만 해제가 되기 때문에 감성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객체 보안 동작을 예시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12(a)에서는 복수의 객체들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동시에 두 객체들(1200, 1210)에 대해 멀티 터치를 한 후에 도 12(b)에서와 같이 복수의 생체 정보 즉, 두 손가락 지문을 입력하기 위해 지문 센서가 배치된 표면(1220)에 접촉할 경우 도 12(c)에서와 같이 두 객체(1200, 1210)가 복수의 생체 정보(1230, 1240)로 잠금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보안 촬영 모드에서 지문 정보를 이용한 객체 보안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3에서는 보안 모드로 동작 중인 상태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는 자동으로 보안 이미지로 저장되는 과정을 예시하고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1300단계에서 프라이버시 사진 촬영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즉, 보안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프라이버시 사진 촬영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1305단계에서 일반 촬영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달리 프라이버시 사진 촬영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1310단계에서 피사체를 촬영하게 되면 1320단계에서 촬영된 이미지에서 피사체의 얼굴을 검출한다. 이어, 전자 장치(100)는 1330단계에서 얼굴 검출 결과와 지문을 등록한 사용자의 얼굴 정보와 비교한다.
1340단계에서 지문을 등록한 사용자의 얼굴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만일 지문을 등록한 사용자의 얼굴과 일치한다면 1350단계에서 미리 등록된 지문과 함께 촬영된 이미지를 보안하여 저장한다. 이때, 촬영된 이미지와 함께 저장되는 미리 등록된 지문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지문으로, 단일 지문 정보 또는 둘 이상의 지문 정보를 조합한 것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지문을 등록한 사용자의 얼굴과 일치하지 않는다면 1305단계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보안 모드에서 생성되는 객체에 대해서는 미리 등록된 지문 정보로 자동으로 잠금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어, 보안할 객체를 일일이 선택하여 잠금 설정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지문 정보 입력에 따라 잠금된 객체에 접근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도 15(a)에서와 같이 잠금 설정된 객체들(1500)과 함께 복수의 객체들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1400단계에서 보안된 객체(1500)에 대한 선택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즉, 잠금 설정된 객체를 잠금 해제하기 위한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보안된 객체(1500)에 대한 선택이 있으면, 전자 장치(100)는 1410단계에서 보안된 객체에 대한 지문 식별 정보(1510)를 표시한다. 여기서, 지문 식별 정보란, 객체를 잠금하는 데 이용된 지문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누구의 지문으로 암호화했는지를 나타낸다.
이어 전자 장치(100)는 1420단계에서 지문 정보가 입력되면, 1430단계에서 지문 인증을 수행한다. 만일 1440단계에서 지문 인증이 성공적이라고 판단되면 1460단계에서 상기 보안된 객체를 해제하여 그 객체의 내용을 표시하거나 그 객체를 실행한다. 이와 달리 1440단계에서 지문 인증이 실패하면 1450단계에서 인증 실패를 알린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지문 식별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누구의 지문으로 암호화를 했는지를 알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편하게 암호화 해제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복수의 객체 실행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에서는 손가락 지문과 손가락 마디에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어가 각각 맵핑된 경우를 전제로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1600단계에서 지문 센서를 통해 생체 정보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 도 17a에서는 지문 인식 영역(1700)에 사용자의 손가락(1710)이 접촉하는 경우를 예시하며, 그 지문 인식 영역(1700)에 손가락 접촉이 유지되는 상태로 손가락으로 쓸어내리는 스와이핑 동작을 하게 되면,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마디(1720)가 지문 인식 영역(1700)에 접촉되게 된다. 이에 따라 지문 센서를 통해 손가락 지문과 손가락 마디 등의 복수의 생체 정보가 입력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복수의 생체 정보가 입력되면 전자 장치(100)는 1610단계에서 상기 생체 정보 인증을 수행한다. 즉, 손가락 지문과 손가락 마디에 대한 정보가 생체 정보 DB(320)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1620단계에서 생체 정보 인증이 성공적인 경우 1640단계로 진행하며, 인증이 실패하면 1630단계에서 인증 실패를 알린다.
생체 정보 인증이 성공함에 따라 1640단계에서 제1및 제2생체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객체들을 결정한 후, 1650단계에서 상기 객체들(1730, 1740)을 도 17c에서와 같이 멀티윈도우 형태로 동시 실행한다. 도 17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복수의 객체 실행에 따른 멀티윈도우 화면을 예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전자 장치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저장부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전자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전자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3)

  1. 둘 이상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과,
    상기 센서 모듈을 통해 감지된 상기 둘 이상의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생체 조합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생체 조합 정보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생체 정보는,
    동일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들, 손가락 마디 주름들, 손바닥 주름, 손가락 혈관 패턴 정보, 생체 혈류 정보, 심전도, 맥박,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생체 정보가 상기 동일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들일 경우 상기 생체 조합 정보는 상기 손가락 지문들의 일부 영역들을 조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생체 정보는,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들, 손가락 마디 주름들, 손바닥 주름, 손가락 혈관 패턴 정보, 생체 혈류 정보, 심전도, 맥박,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로 다른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들이 감지되면, 상기 서로 다른 사용자 각각의 손가락 지문 전체 영역으로부터 특징점들을 추출한 후, 상기 각 손가락 지문 전체 영역을 미리 정해진 영역들로 분리하여 각 영역별로 특징점들을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로 다른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들의 일부 영역들을 조합함으로써 생체 조합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 모듈을 통해 상기 서로 다른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들이 스캔되면, 상기 저장된 각 영역별 특징점들을 이용하여 상기 둘 이상의 손가락 지문들을 인증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지문 센서, IR(Infrared) 센서, 압전 센서, 홀 센서, 심전도 전극부 및 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잠금이 설정된 객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 조합 정보에 대응하는 명령어가 잠금 해제 명령일 경우 상기 객체에 대한 잠금을 해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 위젯, 특정 파일 형식의 문서를 나타내는 아이콘, 사진 및 폴더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 상에 상기 잠금이 설정된 객체 및 상기 객체를 잠금하는데 사용된 둘 이상의 생체 정보에 대한 식별 정보를 함께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을 통해 입력된 둘 이상의 생체 정보를 조합한 복수의 생체 조합 정보와 상기 생체 조합 정보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각각 맵핑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생체 조합 정보들 중 상기 둘 이상의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생체 조합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둘 이상의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생체 조합 정보가 있으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생체 조합 정보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명령어를 실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생체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상기 둘 이상의 생체 정보가 복수의 생체 조합 정보들 중 어느 하나의 생체 조합 정보와 일치한다는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둘 이상의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명령어를 실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15. 둘 이상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둘 이상의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생체 조합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생체 조합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생체 조합 정보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을 제공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복수의 객체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둘 이상의 생체 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을 제공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 위젯, 특정 파일 형식의 문서를 나타내는 아이콘, 사진 및 폴더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을 제공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조합 정보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실행하는 과정은,
    상기 객체를 잠금 설정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을 제공하는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생체 정보는,
    동일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들, 손가락 마디 주름들, 손바닥 주름, 손가락 혈관 패턴 정보, 생체 혈류 정보, 심전도, 맥박,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을 제공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생체 정보가 상기 동일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들일 경우 상기 생체 조합 정보는 상기 손가락 지문들의 일부 영역들을 조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을 제공하는 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생체 정보는,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들, 손가락 마디 주름들, 손바닥 주름, 손가락 혈관 패턴 정보, 생체 혈류 정보, 심전도, 맥박,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을 제공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들이 감지되면, 상기 서로 다른 사용자 각각의 손가락 지문 전체 영역으로부터 특징점들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각 손가락 지문 전체 영역을 미리 정해진 영역들로 분리하는 과정과,
    상기 각 영역별로 특징점들을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을 제공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둘 이상의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생체 조합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서로 다른 사용자의 손가락 지문들이 스캔되면, 상기 저장된 각 영역별 특징점들을 이용하여 상기 둘 이상의 손가락 지문들을 인증하는 과정과,
    미리 저장된 복수의 생체 조합 정보들 중 상기 인증된 둘 이상의 손가락 지문들을 조합한 생체 조합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을 제공하는 방법.
KR1020130130254A 2013-10-30 2013-10-30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180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254A KR102180226B1 (ko) 2013-10-30 2013-10-30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4/504,858 US9710630B2 (en) 2013-10-30 2014-10-02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security using complex biometric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254A KR102180226B1 (ko) 2013-10-30 2013-10-30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550A true KR20150049550A (ko) 2015-05-08
KR102180226B1 KR102180226B1 (ko) 2020-11-18

Family

ID=52994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254A KR102180226B1 (ko) 2013-10-30 2013-10-30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10630B2 (ko)
KR (1) KR102180226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63297A1 (en) * 2014-09-02 2016-03-03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KR20170025802A (ko) * 2015-08-31 201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 인식 기반 인증 방법 및 장치
WO2018016891A1 (en) * 2016-07-20 2018-0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al time authentication based on blood flow parameters
KR20190041349A (ko) * 2017-10-12 2019-04-22 민원기 지문 센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안티-스푸핑 방법 및 시스템
US10725578B2 (en) 2017-02-03 2020-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ingerprint sensor
KR102146089B1 (ko) * 2019-03-08 2020-08-19 민원기 지문 센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안티-스푸핑 방법 및 시스템
US10810294B2 (en) 2018-02-12 2020-10-2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200145924A (ko) * 2019-06-20 2020-12-3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딥 러닝 기반 손가락 주름 인식 장치 및 방법
KR20210038644A (ko) * 2018-10-03 2021-04-07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생체 인증 시스템, 생체 인증 방법 및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2189B2 (en) 2012-06-29 2017-11-28 Apple Inc. Automatic association of authentication credentials with biometrics
US10212158B2 (en) 2012-06-29 2019-02-19 Apple Inc. Automatic association of authentication credentials with biometrics
US9819676B2 (en) 2012-06-29 2017-11-14 Apple Inc. Biometric capture for unauthorized user identification
US9959539B2 (en) 2012-06-29 2018-05-01 Apple Inc. Continual authorization for secured functions
US10331866B2 (en) 2013-09-06 2019-06-25 Apple Inc. User verification for changing a setting of an electronic device
US20150073998A1 (en) 2013-09-09 2015-03-12 Apple Inc. Use of a Biometric Image in Online Commerce
US9646438B2 (en) * 2013-09-23 2017-05-09 Amazon Technologies, Inc. Device operations based on configurable input sequences
US20150082890A1 (en) * 2013-09-26 2015-03-26 Intel Corporation Biometric sensors for personal devices
US10025915B2 (en) * 2013-12-05 2018-07-17 Lenovo (Singapore) Pte. Ltd. Contact signature authentication of user of device
US20150220931A1 (en) * 2014-01-31 2015-08-06 Apple Inc. Use of a Biometric Image for Authorization
KR20150095269A (ko) * 2014-02-13 2015-08-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적응제어기능을 가지는 usn 센서 접속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생애주기의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장치
US9817956B2 (en) * 2014-12-12 2017-11-14 Excalibur Ip, Llc User authentication and data encryption
CN104536766B (zh) * 2015-01-09 2018-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US20170032166A1 (en) * 2015-05-14 2017-02-02 Cross Match Technologies, Inc. Handheld biometric scanner device
KR20160136013A (ko) * 2015-05-19 2016-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42267B1 (ko) * 2015-06-22 2021-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변경방법
US10270765B2 (en) * 2015-10-06 2019-04-23 Lenovo Enterprise Solutions (Singapore) Pte. Ltd. Enabling application functions responsive to biometric input from more than one person
CN105279415B (zh) * 2015-10-23 2018-03-1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控制方法及控制系统
KR102442779B1 (ko) 2015-11-24 2022-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
TWI545506B (zh) * 2015-12-11 2016-08-11 南開鎖業有限公司 攜帶式電子裝置之指紋辨識系統
CN106951754B (zh) * 2016-01-06 2018-08-3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信息图像显示方法及装置
US10963159B2 (en) * 2016-01-26 2021-03-30 Lenovo (Singapore) Pte. Ltd. Virtual interface offset
WO2017132822A1 (zh) * 2016-02-02 2017-08-10 刘文桂 携带式电子装置的指纹辨识系统
CN105761424B (zh) * 2016-02-29 2021-02-1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验证方法和电子设备
CN106056080B (zh) * 2016-05-30 2019-11-22 中控智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视化的生物计量信息采集装置和方法
WO2017210305A1 (en) * 2016-06-01 2017-12-07 Cpi Card Group - Colorado, Inc. Ic chip card with integrated biometric sensor pads
US20180039817A1 (en) * 2016-08-05 2018-02-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to authenticate or identify a user based upon fingerprint scans
WO2018035258A1 (en) 2016-08-16 2018-02-22 Cpi Card Group - Colorado, Inc. Improved ic chip card
CN107037955A (zh) * 2016-10-24 2017-08-1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显示图像信息的方法及装置
KR102574772B1 (ko) * 2016-12-12 2023-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데이터를 등록 및 인증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6433524B2 (ja) * 2017-03-06 2018-12-05 政信 近藤 個人認証装置
JP6433525B2 (ja) * 2017-03-06 2018-12-05 政信 近藤 個人認証装置
KR102316278B1 (ko) * 2017-04-07 2021-10-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지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7038367A (zh) * 2017-05-09 2017-08-1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指纹识别方法及移动终端
US11072311B2 (en) 2017-09-05 2021-07-27 Future Mobility Corporation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user recognition and expression for an automobile
US20190362128A1 (en) * 2018-05-23 2019-11-28 Wen-Kuei Liu Knuckle-print identification system
US20210365531A1 (en) * 2018-06-19 2021-11-25 Fingerprint Cards Ab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authenticating a user
CN109344722B (zh) * 2018-09-04 2020-03-2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用户身份确定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10745018B2 (en) 2018-09-19 2020-08-18 Byton Limited Hybrid user recognition systems for vehicle access and control
JP7117777B2 (ja) * 2018-12-06 2022-08-15 学校法人東京電機大学 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方法
US11898812B2 (en) 2019-03-29 2024-02-13 Song Jiuhong Safety control system for portable weapons, including crossbow and firearms, such as handguns, rifles and alike
CN111145399A (zh) * 2020-01-03 2020-05-12 黑龙江省墨链科技有限公司 具有生物体征识别和远程报警功能的智能指纹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8297A (ko) * 2006-11-14 2007-08-29 가부시키가이샤 인테리젠토 웨이브 외부 접속 기기를 사용한 컴퓨터의 제어방법 및 컴퓨터의제어시스템
US20130176108A1 (en) * 2012-01-06 2013-07-11 Intuit Inc. Automated mechanism to switch user data sets in a touch-based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2144A (ja) 1996-11-27 1998-06-19 Rokuzendou:Kk 複数指の指紋のパターンによる本人確認方式
US6901154B2 (en) * 1997-04-16 2005-05-31 Activcard Ireland Limited Method of detecting authorised biometric information sensor
KR100267262B1 (ko) 1998-03-13 2000-11-01 김영진 지문 특징 추출방법
US6160903A (en) * 1998-04-24 2000-12-12 Dew Engineering And Development Limited Method of providing secure user access
US7047419B2 (en) 1999-09-17 2006-05-16 Pen-One Inc. Data security system
US8103881B2 (en) * 2000-11-06 2012-01-24 Innovation Connection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ticketing
US8015592B2 (en) * 2002-03-28 2011-09-06 Innovation Connection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transactions using a biometrically enabled programmable magnetic stripe
US6970582B2 (en) 2001-03-06 2005-11-29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ty verification using multiple simultaneously scanned biometric images
US8082575B2 (en) * 2002-03-28 2011-12-20 Rampart-Id System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transactions using a user enabled programmable magnetic stripe
US9082237B2 (en) * 2002-06-11 2015-07-14 Intelligent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Vehicle access and security based on biometrics
CA2857208C (en) * 2003-05-30 2018-09-04 Privaris, Inc. An in-circuit security system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ccess to and use of sensitive data
US8539790B1 (en) * 2003-11-26 2013-09-24 Randy L. Budd Secure climate-control system
US8264793B2 (en) * 2004-01-30 2012-09-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ape head with facing beams each having a head chip positioned in a recess thereof
US20070011105A1 (en) * 2005-05-03 2007-01-11 Greg Benson Trusted decision support system and method
US20070255464A1 (en) * 2006-04-26 2007-11-01 Amita Singh Car intelligence
US7890055B1 (en) * 2007-07-09 2011-02-15 Everlokt Corporation Touch field compound field detector personal ID
US8878796B2 (en) * 2007-08-01 2014-11-04 Kuo-Ching Chiang Finger motion virtual object indicator with dual image sensor for electronic device
WO2009100230A1 (en) * 2008-02-07 2009-08-13 Inflexis Corporation Mobile electronic security apparatus and method
JP2010183500A (ja) * 2009-02-09 2010-08-19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549556B1 (ko) 2009-03-06 2015-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274553B2 (en) * 2009-10-30 2016-03-01 Synaptics Incorporated Fingerprint sensor and integratable electronic display
US20110227693A1 (en) * 2010-01-28 2011-09-22 Bryan David Ekus Environmental Access Control System
US20150363586A1 (en) * 2011-08-26 2015-12-17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n individual
US8769090B2 (en) * 2011-11-30 2014-07-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mmunication inquiries
WO2013188827A1 (en) * 2012-06-14 2013-12-19 Fist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operation using biometric fingerprint identification
US9086847B2 (en) * 2012-09-25 2015-07-21 Micro Mobio Corporation Personal cloud case cover with a plurality of modular capabiliti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8297A (ko) * 2006-11-14 2007-08-29 가부시키가이샤 인테리젠토 웨이브 외부 접속 기기를 사용한 컴퓨터의 제어방법 및 컴퓨터의제어시스템
US20130176108A1 (en) * 2012-01-06 2013-07-11 Intuit Inc. Automated mechanism to switch user data sets in a touch-based device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63297A1 (en) * 2014-09-02 2016-03-03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US9460330B2 (en) * 2014-09-02 2016-10-04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KR20170025802A (ko) * 2015-08-31 201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 인식 기반 인증 방법 및 장치
WO2018016891A1 (en) * 2016-07-20 2018-0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al time authentication based on blood flow parameters
US11064893B2 (en) 2016-07-20 2021-07-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al time authentication based on blood flow parameters
US10725578B2 (en) 2017-02-03 2020-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ingerprint sensor
KR20190041349A (ko) * 2017-10-12 2019-04-22 민원기 지문 센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안티-스푸핑 방법 및 시스템
US10810294B2 (en) 2018-02-12 2020-10-2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210038644A (ko) * 2018-10-03 2021-04-07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생체 인증 시스템, 생체 인증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146089B1 (ko) * 2019-03-08 2020-08-19 민원기 지문 센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안티-스푸핑 방법 및 시스템
WO2020184763A1 (ko) * 2019-03-08 2020-09-17 민원기 지문 센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안티-스푸핑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45924A (ko) * 2019-06-20 2020-12-3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딥 러닝 기반 손가락 주름 인식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10630B2 (en) 2017-07-18
KR102180226B1 (ko) 2020-11-18
US20150116086A1 (en) 2015-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0226B1 (ko)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보안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9959016B2 (en) Method and digital device for access control with fingerprint authentication
KR102214974B1 (ko) 잠금 화면 상에서 필기 형태의 사용자 입력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9965608B2 (en) Biometrics-based authent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985846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fingerprints
TWI474263B (zh) 利用偵測生物特徵執行軟體功能的方法和相關電子裝置
TWI428798B (zh)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and program products
US8649575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a gesture based biometric system
US20130324089A1 (en) Method for providing fingerprint-based shortcut key,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portable terminal
US20150078586A1 (en) User input with fingerprint sensor
US20140181962A1 (en) Application executing method using fingerprint recognition, device therefor,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US904394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 and digital device using the same
TWI530886B (zh) 具有操作於向量模式下的指紋感測器的電子設備
KR20130133223A (ko) 바이오키네마틱 입력을 이용한 사용자 식별
KR20200009916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115725A1 (en) File using restriction method, user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CN111164543B (zh) 控制电子设备的方法
KR20150026647A (ko) 필기 서명 입력에 대한 검증 방법 및 장치
JP2015018413A (ja) 携帯端末、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424416B1 (en) Accessing applications from secured states
JP2011008697A (ja) 情報処理装置、項目表示制御方法、項目利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2183915A1 (zh) 移动终端的支付方法、装置、存储介质与移动终端
KR20150029251A (ko) 전자 장치 내의 객체를 보안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N110809089B (zh) 处理方法和处理装置
Wu et al. Non-contact palmprint attendance system on pc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