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8219A - 음료수 머신용 액체 제공 장치 및 그의 사용 - Google Patents

음료수 머신용 액체 제공 장치 및 그의 사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8219A
KR20150048219A KR1020157007851A KR20157007851A KR20150048219A KR 20150048219 A KR20150048219 A KR 20150048219A KR 1020157007851 A KR1020157007851 A KR 1020157007851A KR 20157007851 A KR20157007851 A KR 20157007851A KR 20150048219 A KR20150048219 A KR 20150048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ode
tank
water tank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7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샤흐르야르 레이한루
Original Assignee
쥬라 엘렉트로아파라테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라 엘렉트로아파라테 아게 filed Critical 쥬라 엘렉트로아파라테 아게
Publication of KR20150048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82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6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having water-level controls; having temperature contr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57Water-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2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60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60Cleaning devices
    • A47J31/605Water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2Eliminating or preventing deposits, scale removal, scale preven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수 머신(110)용 액체 제공 장치(100)에 관한 것이며, 물 탱크(10)를 채우기 위해 물 연결부에 제어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물 입구(11)를 가지는 물 탱크(10), 제어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물 입구(1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30), 및 적어도 물 탱크(10) 내의 액체의 제1 채움(filling) 레벨이 도달 또는 초과되었지 아닌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채움 레벨 센서(41, 42)를 포함한다. 보다 쉬운 세정, 특히 장치(100)의 디스케일을 달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채움 레벨 센서(41, 42)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 장치(30)에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되고, 제어 장치(30)는 적어도 하나의 채움 레벨 센서(41, 42)의 신호 및 적어도 하나의 작동 모드에 따라 물 입구(11)를 제어하도록 설계되며, 작동 모드는 채움 모드 또는 비움 모드 중 어느 하나이다. 뿐만 아니라, 물 탱크(10)로부터의 액체를 배수하기 위한 제어 가능한 배수 장치(44)가 존재한다.

Description

음료수 머신용 액체 제공 장치 및 그의 사용{DEVICE FOR PROVIDING LIQUID FOR A BEVERAGE MACHINE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음료수 머신용, 특히 커피 머신 또는 커피 디스펜서용, 액체 제공 장치, 뿐만 아니라 커피 머신 또는 커피 디스펜서에서의 그러한 장치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끓임 액체(brewing liquid)와 같은 액체 제공 장치는, 음료수 머신에서, 특히 커피 머신 또는 커피 디스펜서에서, 세미 미식(semi-gastronomy) 및 미식 분야에 사용되고, 완충 저장소로서 역할을 하는 물 탱크를 포함하며, 물 탱크는 물 연결부에, 특히 휴대용 물 공급원에, 물 입구에 의해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간헐적으로 각각 연결된다. 간헐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이러한 "고정 주요 물 공급원(fixed mains water supply)"을 제공함으로써, 예를 들면, 커피 음료를 준비하기 위해, 신선한 물이 물 탱크에서 항상 이용할 수 있게 유지될 수 있어, 정체수로 인해 가능한 맛의 절충을 줄인다.
이에 의해, 배경 기술로부터 알려진 휴대용 물 공급원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물 탱크를 가지는 음료수 머신용 액체 제공 장치에는, 통상, 동작 플로트 스위치(float switch), 또는 다른 센서 장치가 제공되고. 다른 센서 장치는 물 탱크를 고정 주요 물 공급원을 통해 각각 채우거나 리필할 때 리드 스위치(reed switch)에 의해, 목표 물 레벨이 도달되었을 때, 적절한 제어 장치를 상호 연결하는 것에 의해, 연결부 및 물 입구 사이의 경로에 설치되는 입구 밸브를 폐쇄한다.
문헌 US 6401729 B1에는, 커피, 차 또는 농축 음료와 같은 음료수가 저장된 저장조(reservoir)를 씻어 내거나 세정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 장치는 두 개의 그러한 음료수용 저장조를 동시에 씻어 낼 수 있는 것에 적합하다. US 6401729 B1으로부터 알려진 장치는, 물 탱크(96)를 채우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물 입구(104)를 가지는 물 탱크(96)를 포함하며, 이 물 탱크(96)는 밸브(102)를 통해 물 연결부(100)에 연결된다. 물 입구(104)는 제어 장치(94)의 도움으로 밸브(102)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채움(filling) 레벨 센서(106)가 신호를 출력할 때까지, 물 탱크(96)를 가압된 물로 채우며, 이에 따라 물 탱크(96)는 제1 액체 채움 레벨, 즉 완전 액체 채움 레벨에 도달 또는 초과한다. 이를 위해, 채움 레벨 센서(106)는 제어 장치(9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제어 장치(94)는 적어도 하나의 채움 레벨 센서(106)의 신호에 따라 물 입구를 제어하도록 설계되기도 한다. US 6401729 B1에 따라, 미터 밸브(100)가 제어 장치(94)에 의해 개방되자마자, 물 탱크(96)에 위치된 씻어냄 물은 출력 라인(108)을 통해 스프레이 헤드(114)로 안내된다. 그 후, 스프레이 물은 스프레이 헤드(114)를 통해 홀더(20)로 유입되고, 이에 의해 끓임 공정(brewing process)이 시작되며, 여기서 끓임 공정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겠다. US 6401729 B1에는 세정 공정이 기술되어 있지만, 상기 세정 공정은 물 탱크(96)를 세정하는 것이 아니라, 음료수 저장조(24 또는 26)를 각각 세정하는 역할을 하여, 즉, 물 탱크(96)를 비우거나 세정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각각 기술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면, 완충 저장소로서 구현되고 제어 유닛에 연결되는 두 개의 물 레벨 센서를 포함하는 물 탱크를 가지는 커피 머신은, U.S. 특허 명세서 5,063,836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에 의해, 고정 메인 물 공급원과 물 탱크의 입구, 따라서 물 입구 사이의 입구 밸브는, 물 탱크의 내부에 부착되는 보다 낮은 물 레벨 센서의 채움 레벨이 도달 또는 초과되었는지를 보고하지 않는 한 개방된다. 물 레벨 센서의 결함, 또는 가능하다면 오염 또는 석회화(calcification)로 인해서도, 입구 밸브가 그렇게 오랜 시간 동안 개방된 채로 있어 물 탱크가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물 레벨 센서가 제1 물 레벨 센서 위에 배치되고, 제2 물 레벨 센서는, 이 제2 상부 센서가 부착된 물 채움 레벨에 도달되자마자, 대응 신호를 제어 장치에 전송함으로써 입구 밸브의 폐쇄를 보장한다.
배경기술로부터 알려지는 이러한 장치는, 예를 들면 디스케일링(descaling)의 형태로의 세정이 어렵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에, 배경기술로부터 알려지는 장치의 경우에, 소정의 농도를 가지는 디스케일링 액체를 물 탱크에 물 탱크 내에 배치된 모든 부품의 실질적으로 완전한 세정 또는 디스케일링을 각각 보장하는 레벨까지 채우는 것이 불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배경기술로부터 알려지는 장치의 경우에, 일단 액체가 추가되면, 농축된 방식 및 물 탱크로부터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세정 액체 또는 디스케일링 액체를 각각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본 예시적 발명은, 세정 또는 디스케일링 각각이 보다 쉽고 완전하게 가능한 방식으로, 음료수 머신용, 특히 커피 머신 또는 커피 디스펜서용, 일반적인 액체 제공 장치를 더 개발하는 과제에 기초한다.
본 발명에 따라, 본 과제는 독립 청구항 1에 따른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특히, 본 과제는, 음료수 머신용, 특히 커피 머신 또는 커피 디스펜서용, 액체 제공 장치가 명시되어 있는 점에서 해결되고, 액체 제공 장치는, 물 탱크를 채우기 위해, 물 연결부에, 특히 초과 압력 물 연결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휴대용 물 공급원에, 제어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 입구, 제어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물 입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 및 적어도 물 탱크 내의 액체의 제1 채움(filling) 레벨이 도달 또는 초과되었지 아닌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채움 레벨 센서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채움 레벨 센서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제어 장치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거나 연결되고, 제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채움 레벨 센서의 신호 및 적어도 하나의 작동 모드에 따라 물 입구를 제어하도록 설계되며, 작동 모드는 채움 모드 또는 비움 모드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에 따라, 음료수 머신용 액체 제공 장치는 물 탱크로부터 액체를 배수하기 위해 제어 가능한 배수 장치를 더 포함하며, 제어 장치는, 채움 모드에서, 제1 채움 레벨이 도달 및 초과되지 않았을 때 물 입구를 물 연결부에 연결하도록 설계되고, 비움 모드에서, 배수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물 탱크의 완전한 비움을 제공하기 위해, 제1 채움 레벨로부터 별개로 물 연결부에의 물 입구의 연결을 중단하도록 더 설계된다.
이것은, 대응 작동 모드에서, 물 탱크가, 예를 들면 세정 공정 또는 디스케일(descale) 공정을 위해, 새롭게 채워지기 전에 완전히 비워질 수 있는 점에서 특히 이점이 있으며, 이에 의해 결론지어지는 맛의 절충은 후속 음료수 주문을 위해 최소화된다.
이에,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작동 모드는 장치의 적어도 둘 이상의 작동 모드로부터 선택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예를 들면, 장치는, 적어도 채움 모드 또는 비움 모드 중 어느 하나에서 작동 가능한 그러한 방식으로 구현된다. 이 경우에, 두 개의 작동 모드인 "채움 모드(filling mode)" 및 "비움 모드(emptying mode)"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작동 모드"가 선택 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이에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작동 모드"는 장치의 채움 모드 또는 비움 모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작업자는, 예를 들면 음료수 머신과 제어 장치 사이의 통신에 의해, 이러한 작동 모드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도 미리 선택할 수 있다. 채움을 개별 요구 환경에 적응하는 것이 이를 통해 가능하다. 특히, 예를 들면 커피를 주문하는 정상 음료수 주문이 의도되면, 채움 모드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고, 세정 또는 디스케일이 끝나거나 장치를 끈 후 물 탱크가 가능할 때까지 완전히 비워지면, 비움 모드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여, 후속 커피 주문을 위한 맛의 절충이 피해진다.
채움 모드에서, 제1 채움 레벨이 도달 또는 초과되지 않았을 때, 제어 장치는 물 연결부를 물 입구에 연결하도록 더 설계되도록 제공된다. 채움 모드가 작동 모드로서 수동 또는 자동으로 미리 선택되면, 물 탱크의 채움 레벨을 수동으로 제어할 필요 없이, 충분한 양의 신선한 물을 다음의 음료수 주문을 위해 항상 이용할 수 있는 것이 이를 통해 보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물 탱크로부터 액체를 배수하기 위해 제어 가능한 배수 장치를 더 포함하는 사실로 인해, 배수 장치의 제어성에 의해 자동화될 수도 있는 물 탱크의 단순 비움이 또한 세정 또는 디스케일 액체를 각각 배출하거나, 예를 들면 커피 머신과 같은 음료수 머신을 씻어 내는 것이 가능하기도 하다.
예를 들면, 배수 장치는 액체를 물 탱크로부터 펌프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현되어, 물 탱크를 비우는데 적합한 펌프를 포함한다. 이러한 펌프(이하 "비움 펌프"로 부르기도 함)는, 예를 들면 액체를 물 탱크로부터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예를 들면 잔여 물 볼(residual water bowl)에 펌프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잔여 물 볼은 펌프된 액체를 수용하고 적어도 어느 시간 동안 저장하는데 적합하다.
배수 장치는 (펌프 또는 비움 펌프에 각각 대신하거나 추가하여) 제어 가능한 밸브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밸브는 물 탱크로부터의 액체를, 예를 들면 잔여 물 볼에 배수하기 위해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밸브는, 액체를 배수하기 위해, 물 탱크의 출구에, 예를 들면 액체 배수 라인에 배치될 수 있다.
채움 모드에서, 제1 채움 레벨이 도달 또는 초과되었을 때, 물 연결부에의 물 입구의 연결을 중단하기 위한 유리한 방식으로 더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버퍼(buffer) 탱크로서 구현되는 물 탱크의 넘침을 막을 필요없이(수동으로 적용 가능할지라도), 충분한 양의 신선한 물을 다음 음료수 주문을 위해 항상 이용할 수 있는 것이 보장된다.
비움 모드에서, 이와 관련하여 제어 장치는 제1 채움 레벨로부터 별개로 물 연결부에의 물 입구의 연결을 중단하도록 설계되도록 더 제공될 수 있다. 비움 모드가 자동 또는 수동으로 미리 선택되면, 물 채움 레벨이 최소 물 채움 레벨 이하로 떨어졌을 때, 항상 새로운 신선한 물을 물 탱크에 채우지 않고도, 물 저장조, 즉 물 탱크의 실질적 완전 비움은 이를 통해 가능하다.
장치는 적어도 세 개의 다른 작동 모드, 이미 언급된 작동 모드인 "채움 모드"와 "비움 모드"중 하나에 더하여, 예를 들면 "씻어냄 모드(flushing mode)"에서도 작동 가능하도록 더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작동 모드"는, 작동 모드인 "채움 모드" , "비움 모드" 및 "씻어냄 모드"로부터 선택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어,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작동 모드"는 장치의 채움 모드 , 비움 모드 또는 "씻어냄 모드" 중 어느 하나이다.
그러한 씻어냄 모드를 제공함으로써, 제1 채움 레벨이 도달될 때, 물 입구로부터 물 연결부의 분리를 하지 않고, 물 탱크를 임의의 레벨까지 체계적으로 채우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세정 또는 디스케일에 반응하여, 음료수 머신, 즉 특히 커피 머신의 유체 시스템을 씻어내기 위한 많은 양의 씻어냄 물을, 그 동안에 리필하지 않고, 체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이 이를 통해 가능하다. 동시에, 물 탱크의 전체 내부 부피의 기본적 세정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물 탱크 내의 액체의 제2 채움 레벨이 도달 또는 초과되었는지 아닌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명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채움 레벨 센서의 신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이 제2 채움 레벨은 제1 채움 래벨 보다 물 탱크 내의 많은 액체 부피를 식별한다. 이를 위해, 제1 채움 레벨 센서의 위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채움 레벨 센서를 특히 제공할 수도 있다.
세정 공정 또는 디스케일 공정은, 제2의 추가 평가 가능성, 더 높은 채움 레벨로 인해, 더 큰 정도로 변화될 수 있으며, 이것은 세정 또는 디스케일 능력을 각각 향상시킨다.
씻어냄 모드에서, 이와 관련하여, 제어 장치는, 제2 채움 레벨이 도달 또는 초과되지 않았을 때 물 연결부에의 물 입구의 연결하도록 설계되고, 제2 채움 레벨이 도달 또는 초과되었을 때 물 연결부에의 물 입구의 연결을 중단하도록 설계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씻어냄 모드에서, 음료수 머신, 즉 특히 커피 머신의 유체 시스템을 씻어내기 위해 큰 물 부피를 자동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보다 완전한 세정으로 인해 후속 음료수 주문을 위한 가능한 맛의 절충을 더 줄인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제어 장치는 채움 모드에서 제2 채움 레벨도 평가하도록, 즉 채움 모드에서 물 연결부에의 물 입구의 연결을 중단하도록, 가능하면, 제2 채움 레벨이 도달 또는 초과되었을 때, 경고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계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채움 레벨용 채움 레벨 센서가 분리되게 제공되는 고장으로 인해, 이 제1 채움 레벨이 정상 작동에서, 즉 채움 모드에서 초과되고, 제2 채움 레벨이 도달된 경우에, 이 방식으로 물 입구의 안전한 폐쇄가, 즉, 물 입구로부터 물 연결부의 강제적 분리가 제공된다. 동시에, 경고 신호는, 예를 들면 광학 또는 음향 신호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음료수 머신의 작업자는 고장에 대해 통보받을 수 있어, 작업자는, 가능하다면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채움 레벨 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작동 모드에 따라, 배수 장치를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제어하도록 더 설계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비움 모드에서, 간헐적으로 음료수 머신의 유체 시스템, 예를 들면 커피 머신의 튜브 시스템 내로 디스케일 액체의 비움을 실행하는 것이 특히 가능하며, 이에 의해 이러한 유체 시스템에서 세정 또는 디스케일 액체의 긴 노출 시간이 각각 가능하여, 이 결과로서 세정 능력이 더 향상한다. 씻어냄 모드에서 유체 시스템의 후속 씻어냄은, 즉 물 탱크를 대체로 완전히 비우고 신선한 물로의 후속 채움 후에, 배수 장치의 연속적인 작동이 일어날 수 있어, 음료수 머신은 후속 음료수 주문을 위해 보다 빨리 재이용할 수 있다.
게다가, 물 탱크에서의 어느 표준 장치는 탱크 출구의 상류에 배치된 물 필터를 포함한다. 원칙적으로, 물 탱크에 배치된 이러한 물 필터는, 물을 각각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각 연수화하거나 탈이온화하기 위한 물 연수 장치(water softener)이다. 전형적으로 이용되는 이온 교환 기술로 인해, 필터 성능은 물 입구를 통해 물 탱크에 채워질 수 있는 신선한 물의 기본 석회 함유량(탄산염 경도)에 의존하고, 통과하는 액체량에 의존하여, 필터(또는 대응하는 필터 삽입체)를 교환하기 위한 경제적으로 합리적인 시기를 일반적인 장치의 경우에 결정하는 것이 힘들다.
이와 관련하여, 적어도 하나의 채움 레벨 센서는, 채움 레벨의 도달에 관하여 신호를 제어 장치에 출력하도록 현재 더 제공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도성 측정에 의해(즉, 물의 전기 전도성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탱크 물 경도(water hardness)를 결정하도록 더 설계되어, 물로 적시는 것에 반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의해 탱크 물 경도를 제어 장치에 전송하도록 설계된다. 이에 의해, 탱크 물 경도에 따라, 제어 장치는 물 탱크에 제공되는 물 필터를 위한 교체 간격을 결정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정해진 교체 간격이 지났을 때 필터 교환 신호를 출력하도록 더 설계된다. 상기 교체 신호는 물 필터 또는, 가능하면, 물 필터의 필터 삽입체가 보다 바람직하게 교체되어만 하는 시기를 특징짓는다.
물 탱크에서의 물 경도를 측정함으로써, 필터 또는 필터 삽입체가 각각 필터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 교체되어야만 하는 교체 간격이 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량계의 값 또는 시간차도 제어 장치에서 평가될 수 있다.
이미 언급된 이점에 더하여, 이것은 물 필터 교체(또는 필터 삽입체의 교체)를 경제적으로 합리적인 시기에 실행하기 위해 음료수 머신의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것을 단순한 방식으로 가능하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 장치용 물 탱크의 출구에 물 경도 센서를 더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으며, 물 경도 센서는, "출구 물 경도"(즉, 필터를 통과하여 흐른 후 출구를 통해 탱크에 남은 물의 경도)를, 보다 바람직하게는 액체로 적시는 것에 반응하는 전도성 측정에 의해(즉, 물의 전기 전도성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결정하고, 출구 물 경도를,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의해, 장치의 제어 장치 또는, 다른 제어 장치에, 예를 들면 음료수 머신의 제어 전자제품에 전송하도록 설계된다. 이 경우에, 장치의 제어 장치 또는 음료수 머신의 제어 전자제품은 각각 측정된 탱크 물 경도를 각각 측정된 출구 물 경도와 비교하도록 더 설계되고; 이를 위해, 예를 들면, 측정된 출구 물 경도와 측정된 탱크 물 경도 사이의 차이, 또는 측정된 출구 물 경도와 측정된 탱크 물 경도 사이의 비(ratio)가 결정될 수 있다.
탱크 물 경도와 출구 물 경도 사이의 이러한 비교는, 예를 들면 출구 물 경도와 탱크 물 경도 사이의 비(이하 "물 경도비") 또는 출구 물 경도와 탱크 물 경도 사이의 차이(이하 "물 경도 차이")에 따라, 물 탱크에 제공된 물 필터를 위한 "비교 교체 간격"을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특정 "비교 교체 간격"이 끝났을 때 필터 교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 "비교 교체 간격"은 탱크 물 경도와 출구 물 경도 사이의 비교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시간 간격을 식별하는 것이며, 이것의 목표는 물 필터 또는 물 필터의 필터 삽입체 각각이 보다 바람직하게 교체되어야만 하는 시기를 특징짓는다.
탱크 물 경도와 출구 물 경도 사이의 이러한 비교(예를 들면, 상기 언급된 "물 경도비" 또는 "물 경도 차이"를 결정하는 것에 의한)는, 필터의 마모의 정도에 대해 결론을 내리도록 한다. 이 물 경도 차이가, 필터의 마모 또는 필터 효과를 증가시키면서, 시간 전에 미리 정해지거나 미리 정해질 수 있는 값으로 떨어지면, 또는 이 물 경도 차이가 소정의 값보다 작거나 같게 되면, 장치의 제어 장치 또는 음료수 머신의 제어 전자부품은 정해진 비교 교체 간격 또는 필터 교체 신호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이것에 의해, 물 필터를 교체(또는 삽입체를 교체)하기 위한 경제적으로 합리적인 시기의 보다 정확한 결정이 가능하다. 장치의 제어 장치 또는 음료수 머신의 제어 전자제품은, 정해진 물 경도비가 소정의 값으로 증가하거나 소정의 값을 초과할 때, 그에 따라 정해진 비교 교체 간격 또는 필터 교체 신호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수 머신용 액체 제공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자동 세정 또는 디스케일 방법도 각각 제공될 수도 있고, 자동 세정 또는 디스케일 방법은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며,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채움 모드를 활성화하여 물 탱크를 제1 채움 레벨까지 채우는 단계;
세제를, 바람직하게는 탈석회제를 물 탱크에 추가하는 단계;
비움 모드를 활성화하여 물 탱크를 비우는 단계;
씻어냄 모드를 활성화하여 물 탱크를 제2 채움 레벨까지 채우는 단계;
비움 모드를 활성화하여 물 탱크를 비우는 단계;
채움 모드를 활성화하여 물 탱크를 제1 채움 레벨까지 채우는 단계;
비움 모드를 활성화하여 물 탱크를 비우는, 바람직하게는 간헐적으로 비우는 단계.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는 아래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명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액체 제공 장치를 개략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2는 A로 식별된 도 1로부터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추가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액체 제공 장치를 개략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관한 음료수 머신(110)용, 특히 커피 머신 또는 커피 디스펜서용, 액체 제공 장치(100)를 개략 단면도로 나타낸다.
장치(100)는, 도 1에서 좌측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게 될 소위 메인 물 클립(clip)(13)이 내부에 클립되는 물 탱크(10)를 포함한다.
물 입구(11)가 메인 물 클립(13)의 하우징의 내부를 통해 안내되며, 물 탱크의 입구 개구(11a)를 가지는 물 탱크(10)의 내부로 돌출한다. 한편, 물 입구(11)의 호스는 밸브 연결부(12)에 제공되며, 결국, 유압 서보 밸브(servo valve)(20)의 측에 연결된다.
유압 서보 밸브(20)는 제어 가능한 방식으로 구현되며, 만약 적절한 신호가 유압 서보 밸브의 제어 라인(32)에 존재하면, 예를 들면, 휴대용 물 공급원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물 연결부(21)에 (유체) 연결부를 각각 설치 및 분리 또는 중단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유압식 서보 밸브(20)는 다른 설계의 밸브에 의해 교체될 수도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제어 라인(32)은, 예를 들면, 중앙 인터페이스로서 미니 허브(hub)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장치(30)에 연결된다.
제어 장치(30)는 음료수 머신(110)에 상태 라인(status line)(34)을 더 포함하며, 이것은 음료수 머신(1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작동 모드용 수동 선택 옵션(사용자에 의해 음료수 머신(110)을 작동시키는 어느 경우에 통상적으로 존재함)을 제공하는 것을 특히 간단하게 한다. 그 후, 작동 모드를 특징짓는 대응 신호는, 상태 라인(34)을 통해 음료수 머신(110)으로부터 제어 장치(30)에 전송될 수 있다.
제어 장치(30)는 신호 라인(33)에 더 연결되며, 신호 라인(33)은, 센서 프로브(60)에 배치되는 제1 채움 레벨 센서(41) 및 제2 채움 레벨 센서(42)에 메인 물 클립(13)의 하우징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어져, 채움 레벨 센서(41, 42)에의 전기적 신호 연결을 이룬다. 센서 프로브(40), 제2 채움 레벨 센서(42) 뿐만 아니라 제1 채움 레벨 센서(41)는 도 2에서의 메인 물 클립(13)의 확대도에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메인 물 클립(13)이 물 탱크(10)에 적절하게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특징짓는 추가 정보는, 신호 라인(33)을 통해 제어 장치(30)에 더 전송된다. 이 목적을 위해, 메인 물 클립(13)은, 대응 신호를 제어 장치(30)에 전송하는 검출 스위치(121)를 포함한다. 메인 물 클립(13)이 물 탱크에 적절하게 장착되지 않은 경우, 제어 장치(30)는 물 탱크(10)의 채움, 즉 유압 서보 밸브(20)의 개구를 막도록 제공된다. 제어 장치(30)가 신호 라인(33)을 통해 LED(120)를 활성화하는 점에서, 작업자에게 광학 신호가 동시에 출력된다.
제1 채움 레벨 센서(41)는 제1 물 채움 레벨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채움 레벨 센서가 액체에 의해 젖었을 때, 즉 물 탱크(10) 내에서 채움 레벨 센서에 할당된 채움 레벨이 도달 또는 초과되자마자, 신호 라인(33)을 통해 대응 신호를 제어 장치(30)에 출력한다. 또한, 제1 채움 레벨 센서 위에 위치된 제2 채움 레벨 센서(42)는, 제2 채움 레벨, 즉 물 탱크(10) 내에서 보다 높은 채움 레벨이 도달 또는 초과되자마자, 신호 라인(33)을 통해 제어 장치(30)에 신호를 대응 방식으로 전송한다.
센서 프로브(40)는 적절한 조정 장치에 의해 높이 조정 가능한 방식으로 배치되어, 어느 한계 내에서 제1 채움 레벨 센서(41) 및 제2 채움 레벨 센서(42)의 채움 레벨의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음료수 머신의 연속 작동 동안 뿐만 아니라, 즉 커피 머신과 같은 음료수 머신의 채움 모드시, 제품이 얻어지는 동안, 예를 들면 제어 장치(30)는, 제1 채움 레벨 센서(41), 소위 작동 포인트에 의해 명시되는 물 레벨까지의 리필이 항상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방식으로, 유압 서보 밸브(20)를 제어한다. 물 탱크(10)에서의 물 레벨이 제1 채움 레벨 이하로 떨어질 때, 제1 채움 레벨 센서(41)는, 신호 라인(33)을 통해 이러한 물 레벨의 감소를 제어 장치(30)에 전송하고, 이에 반응하여, 제어 장치(30)는 유압 서보 밸브(20)를 개방하여, 제1 채움 레벨에 이르는 것에 반응하여 센서가 대응 신호를 다시 공급할 때까지, 물 입구(11)와 물 연결부(21) 사이의 연결을 이루고, 이에 반응하여 유압 서보 밸브(20)가 다시 폐쇄된다.
채움 레벨 센서(41, 42) 모두 어느 측정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물과 공기의 전도성의 신호 점프(jump)가 제어 장치(30)의 전자부품 또는 채움 레벨 센서(41, 42)에 각각 통합된 전자제품에 의해 측정되는 점에서, 저항은, 같은 높이는 이루도록 센서 프로브(40)의 둥근 측정 스틱에 배치되는 두 개의 전기적 전도성 측정면 사이에서 측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 센서 대안물은 일반적인 세정제에 의해 가능한 석회 잔여물을 쉽게 세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작동 모드에 따라, 제1 채움 레벨이 제1 채움 레벨 센서(41)에 도달할 때까지 또는 제2 채움 레벨이 제1 채움 레벨 센서(42)에 도달할 때까지 중 어느 하나에서, 물 탱크(10)의 채움이 실행되거나, 리필이 발생하지 않는 그러한 방식으로, 제어 장치(30)에 의한 제어가 발생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탱크(10)는 출구(15)를 가지며, 출구(15)를 통해 (신선한) 물 또는 다른 액체가 물 탱크(10)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도 1에서의 화살표(15') 는 출구(15)를 통해 흐르는 액체의 흐름 방향을 제시한다.
제어된 방식으로 물 탱크(10)를 비우기 위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는, 액체를 물 탱크로부터 배수하기 위해,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배수 장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배수 장치는, 적어도 어느 시간 동안, 각각의 액체를 물 탱크(10)로부터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배출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배수 장치는 비움 펌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비움 펌프는 액체를 물 탱크로부터, 예를 들면 잔여 물 볼(residual water bowl)(도 1 및 도 2에 미도시) 내에,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펌프할 수 있는 그러한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이 펌프 작업은, 예를 들면 출구(15)를 통해(또는, 대안적으로, 다른 방법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비움 펌프는 장치(100)의 일부일 수 있거나, 예를 들면, 장치(10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제어 장치(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음료수 머신(110)에 통합되며, 음료수 머신(110)의 유체 시스템(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도 3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 관련된 문맥에 기술되어 있음)(음료수 머신(11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함)에서의 물 또는 다른 액체를 이송하기 위해 설계되는 펌프는, 이러한 비움 펌프로서 역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음료수 머신(110)의 펌프는, 음료수 머신(110)의 제어 전자제품(30a)(도 3에 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물 또는 다른 액체는 이 펌프에 의해 탱크(10)로부터, 예를 들면, 물 출구(도 1 및 도 2에 미도시) 내로, 예를 들면 음료수 머신(110)의 잔여 물 볼 내로, 펌프될 수 있는 그러한 방식으로 탱크(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음료수 머신(110)에서 그러한 비움 펌프가 유량계(50, 도 3 참조)에 연결되도록 더 제공될 수도 있어, 물 탱크(10)가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비워진 시점을 확인하는 모니터링이 추가적으로 가능하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설계로 인해, 예를 들면, 물 탱크(10)의 대체로 자동화된 디스케일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유일하게 요구되는 것은, 예를 들면 음료수 머신(110) 상의 버튼을 작동시킨 후 장치(100)의 작동 모드를 변경하고 자동 디스케일 공정을 시작하기 위해, 물 탱크(100) 내에 존재하는 규정된 탈석회제 농축양을 물에 채우는 것이다.
제어 장치(30)는 물 입구(11)와 물 연결부(21) 사이를 연결하지 않는 그러한 방식으로 유압 서보 밸브(20)를 항상 제어하는 점에서, 이 디스케일 공정 동안 의도적인 방식으로 신선한 물이 추가되는 것을 방지한다. 비움 펌프가 물 탱크(10)를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비운 후, 신선한 물의 추가가, 제2 채움 레벨 센서(42)의 배치에 대응하는 물 레벨까지 유출된다. 이 물의 양은 비움 펌프에 의해 대응하는 배수 시스템, 예를 들면 잔여 물 볼로 먼저 안내되며, 이에, 물 탱크가 씻어 내어진다. 이 후 신선한 물의 추가는, 제1 채움 레벨 센서(41)의 배치에 대응하는 물 레벨까지 유출된다. 이에, 예를 들면 커피 머신과 같은 음료수 머신의 완전한 유체 시스템은, 이 신선한 물로 씻어 내어진다.
예를 들면, 음료수 머신(110)에서, 물 탱크(10)와 같은 액체 제공 장치(100) 전체, 또는 액체 제공 장치(100)의 일부만도 통합 가능하고, 이에 장치(100)의 오직 물 연결부(21), 및 가능하다면, 별도의 전압 공급원(31)이 외측으로 안내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를 가지는 특히 커피 머신과 같은 음료수 머신(110)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함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3은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관한 액체 제공 장치를 개략 단면도로 나타낸다. 다른 실시예 중, 도 3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물 탱크(10)를 가지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장치(100)를 포함하며, 가까이에 있는 경우에 커피 머신 또는 커피 디스펜서로서 각각 구현되는 도 1에 따른 음료수 머신(110)과의 결합으로 도시되어 있다.
물을 탱크(10)에 (물 연결부(21) 및 제어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유압 서보 밸브(20)를 통해) 공급하기 위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물 입구가 도 3에 명백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물을 물 탱크(10)에 공급하기 위한 대응 물 입구가 도 3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에 존재하며, 도 1에 도시된 물 입구와 (물 입구의 기능과 설계에 관하여)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구현되는 점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3에 따르면, 도 2에 따른 메인 물 클립(13)에 대응하는 메인 물 클립(13)이 장치(100)의 물 탱크(10)에 그에 맞게 클립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탱크(10)는 출구(15)를 포함하며, 출구(15)를 통해 (신선한) 물 또는 다른 유체가 탱크(10)로부터 배출될 수 있으며, 탱크(10)에 위치된 물 또는 별도의 액체가 각각 출구(15)에 도달하기 위해 각 경우에 통과하여 흘러야만 하는 필터(80)는, 출구(15)에서의 탱크(10)에 위치된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필터(80)는 이온 교환체의 형태로의 필터 삽입체를 포함하며, 필터 삽입체는, 필터(80)를 통과하여 흐르는 물 또는 필터(80)를 통과하여 흐르는 액체 중 적어도 일부를 각각 탈이온화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디스케일하도록 구현된다.
도 3에 제시되는 바와 같이, 음료수 머신(110)은 일단에서 출구(15)에 연결되는 물 라인(45)을 포함하여, 물 또는 다른 유체가 탱크(10)로부터 물 라인(45)으로 흐를 수 있고, 물 라인(45)을 통해 음료수 머신(110)에 분배될 수 있다. 물 또는 별도 액체의 흐름 방향(45')으로 연속하여 순차적으로 뒤이어 각각 배치되며, 물을 흐름 방향(45')으로 물 라인(45)에 이송하기 위한 펌프(51) 및 연속 흐름 히터(52)가, 물 라인(45)에 통합된다. 연속 흐름 히터(52)는, 펌프(51)에 의해 연속 흐름 히터(52)로 이송되는 물을 가열하도록 설계되며, 연속 흐름 히터(52)는 물을 다른 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어, 연속 흐름 히터(52)는 물 라인(45)에서 뜨거운 물 또는 스팀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물 라인(45)은, 물 라인(45)의 제1 분기(45.1) 및 물 라인(45)의 제2 분기(45.2)에서의 물의 흐름 방향(45')에 관하여 연속 흐름 히터(52)로부터 하류로 분기되며, 여기서, 물 라인(45)의 제1 분기(45.1)는 연속 흐름 히터(45)에서 생성된 뜨거운 물을 역류 방지 밸브(54)를 통해 끓임 커피용 끓임 유닛(brewing unit)(60)에 공급하기 위한 역할을 하며, 물 라인(45)의 제2 분기(45.2)는 연속 흐름 히터(52)에서 생성된 스팀을 제어 밸브(53)를 통해 스팀 라인(69)을 통한 스팀 노즐(70)에 공급하거나, 제어 밸브(53)를 통해 탱크(10)로부터의 액체를 액체 출구 라인(80)에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역할을 하여, 액체 출구 라인(80)의 출구(80.1)를 통해 액체 출구 라인(80)에 공급되는 각 경우에서의 액체(예를 들면 물 또는 세제 또는 탈석회제)를, 예를 들면 잔여 물 볼(81)에 허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3에 제시되는 바와 같이, 제어 밸브(53)는 세 개의 다른 위치를 포함하며, 물 라인(45)의 제2 분기(45.2), 스팀 라인(69)과 액체 출구 라인(80)에 연결된다. 제어 밸브(53)는 제어 밸브(53)의 제1 위치에서, 물 라인(45)의 제2 분기(45.2)는 스팀 라인(69) 및 스팀 노즐(70)과 유체 연결되고, 제어 밸브(53)의 제2 위치에서(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라인(45)의 제2 분기(45.2)는 액체 출구 라인(80) 또는 잔여 물 볼(81)과 각각 유체 연결되는 방식으로 연결된다. 반면에, 제어 밸브(53)의 제3 위치에서, 물 라인(45)의 제2 분기(45.2)는, 물 라인(45)의 제2 분기(45.2)와 스팀 라인(69) 사이의 유체 연결 뿐만 아니라, 물 라인(45)의 제2 분기(45.2)와 유체 출구 라인(80) 또는 잔여 물 볼(8) 사이를 각각 유체 연결하지 않는 그러한 방식으로 연결된다. 근접한 예에 있어서, 제어 밸브(53)는, 상기 언급된 3개의 각 위치를 추정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어 전자제품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그러한 방식으로 구현된다.
도 3으로부터 더 나타내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음료수 머신(110)은 음료수 머신(11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전자제품(30a)을 포함한다. 펌프(51), 연속 흐름 히터(52), 제어 밸브(53) 및 끓임 유닛(60)를 제어함에 따라, 제어 전자제품(30a)은, 예를 들면, 뜨거운 물이 끓임 유닛(60)에 공급되게 유도하도록 구현되어, 끓임 유닛(60)은 커피 음료를 끓일 수 있고, 이 커피 음료를 커피 공급 라인(61)을 통해 커피 음료를 제공하기 위한 커피 출구(62)에 공급할 수 있다.
펌프(51), 연속 흐름 히터(52) 및 제어 밸브(53)를 제어함 따라, 제어 전자제품(30a)은, 스팀의 일부를 스팀 노즐(70)에 공급되도록 유도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며, 스팀 노즐(70)은, 예를 들면 스팀이 출구 개구로부터 빠지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현되거나, 우유를 가열하거나 우유 거품을 만들기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펌프(51), 연속 흐름 히터(52) 및 제어 밸브(53)를 제어함에 따라, 제어 전자제품(30a)은 액체를 탱크(10)로부터 펌핑 가능하게, 액체 출구 라인(80), 예를 들면 출구(80.1)를 통해 잔여 물 볼(81)에 배출 가능하게 유도하도록 더 구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어 밸브(53)는 도 3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어, 물 라인(45)의 제2 분기(45.2)와 액체 출구 라인(80) 사이에서 유체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액체는 펌프(51)에 의해, 탱크(10)로부터 출구(15), 물 라인(10), 제어 밸브(53) 및 액체 출구 라인(80)을 통해 이어서 펌프될 수 있어, 따라서 펌프된 액체는 잔여 물 볼(81)에 수집될 수 있다.
이 예시적 예에서, 음료수 머신(110)의 제어 전자제품(30a)은, 탱크(10)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비워질 수 있는 비움 모드로 장치(100)가 작동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비움 모드에서, 제어 장치(30)는, 물 연결부(21)(도 1 참조)에의 물 입구(11)의 연결이 중단되는, 즉 탱크(10)의 채움 레벨로부터 독립되는, 즉 채움 레벨 센서(40 및 41)의 신호로부터 독립되는 방식으로, 물 입구(11)를 제어한다. 이것은 신선한 물이 물 입구(11)를 통해 탱크(10)로 흐를 수 없는 효과가 있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액체가 펌프(51)에 의해 탱크(10)로부터 출구(15), 물 라인(10), 제어 밸브(53) 및 액체 출구 라인(80)을 통해 이어서 펌프되면, 물 탱크는, 신선한 물이 물 입구(11)를 통해 탱크(10)로 흐르는 것 없이 완전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비워질 수 있다. 액체를 펌핑함으로써, 액체가 탱크(10)로부터 배수되며, 탱크(10)의 채움 레벨은 이러한 방식으로 어느 레벨까지 낮아질 수 있다. 필요하면, 탱크(10)는 완전하게 비워질 수 있다.
그 후, 탱크(10)는, (도 1 및 도 2와 관련한 문맥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탱크(10)를 세정하기 위해, 세제로 채워질 수 있다.
탱크(10)로부터의 액체의 배수를 위해 제공하는 도 3에 도시된 장치의 부품은, 본 발명의 용어에서 "배수 장치"를 형성하며, 그것의 참조는 도 3에서 참조 번호 45가 된다. 도 3에 따른 배수 장치(45)는 적어도 펌프(51)를 포함한다. 게다가, 물 라인(45) 및 액체 출구 라인(80)은 배수 장치(45)의 부품일 수 있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물 클립(13)의 제1 채움 레벨 센서(41)는 젖음(wetting)에 반응하여 탱크(10)에 위치된 물의 경도(이하 "탱크 물 경도")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고, 탱크 물 경도를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신호 라인(33)을 통해) 제어 장치(30)에 전송하도록 설계되기도 한다. 제2 채움 레벨 센서(42)를 부응하게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설계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고, 탱크(10)에 위치된 물의 물 경도 정도(탱크 물 경도)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신호 라인(33)을 통해) 탱크 물 경도를 제어 장치(3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장치(100)의 제어 장치(30)는 신호 라인(30.1)을 통해 음료수 머신(110)의 제어 전자제품(30a)에 연결되어, 신호 또는 데이터 각각이 신호 라인(30.1)을 통해 제어 장치(30) 및 제어 전자제품(30a)에 전송될 수 있다. 제어 전자제품(30a)은, 예를 들면, 제1 채움 레벨 센서(41) 사이에 의해 결정된 탱크 물 경도 및/또는 제2 채움 레벨 센서(42)에 의해 결정된 탱크 물 경도에 대한 측정값을 음료수 머신(110)의 제어 장치(30a)에 전송하도록 구현된다.
도 3에 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출구(15)에 제공된 물의 물 경도 정도(이하, "출구 물 경도")에 관한 정보를 신호 라인(43.1)을 통해 제어 장치(30a)에 출력하는 물 경도 센서(43)가, 탱크(10)의 출구(15)의 부근에서의 음료수 머신(110)의 물 라인(45)에 추가적으로 위치된다. 상대적으로 높은 탱크 물 경도의 경우에, 이 제공된 물은 필터(80)를 통과함에 의해 탱크(10) 내의 물 보다 낮은 물 경도를 가져야만 한다.
게다가, 음료수 머신(110)의 제어 전자제품(30a)은 물 경도에 관한 센서(41, 42, 43)로부터의 정보를 비교하고, 출구 물 경도와 탱크 물 경도 사이의 차이가 어느(소정) 값 이하로 떨어지면, 예를 들면 도시되어 있지 않은 LED에 의해 또는 스크린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에 의해, 필터(80)가 필터(80)를 통해 흐르는 물을 각각 불충분하게 탈이온화 또는 디스케일하여, (디스케일에 관련한) 수용 가능한 필터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것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신호를 출력하도록 현재 설계되고, 따라서, 필터(80)는 른 필터에 의해 교체되어야만 하며, 이것은 음료수 머신(110)의 물 라인(45)으로 들어가기 전에, 물이 소정의 (최대)값 이하로 떨어지는 석회 함유량을 기껏해야 가지는 것을 보장한다.
도 3은 장치(100) 및 별도 유닛으로서의 음료수 머신(110)을 도시한다. 장치(100)는 음료수 머신(110)의 일체 부품일 수도 있음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장치(100)의 제어 장치(30)는, 음료수 머신(110)의 제어 전자제품(30a)으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되는 별도 유닛으로서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제어 장치(30)는 제어 전자제품(30a)의 일체 부품으로서 실현될 수도 있는 점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경우에, 제1 채움 레벨 센서(41) 및 제2 채움 레벨 센서(42)는 신호 라인(33)을 통해 음료수 머신(110)의 제어 전자제품(30a)에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기술된 제어 장치(30)에 할당되거나 제어 장치(30)에 의해 각각 실현될 수 있는,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모든 기능은, 음료수 머신(110)의 제어 전자제품(30a)에서 시행되거나 음료수 머신(110)의 제어 전자제품(30a)에 의해 각각 실현될 수 있다.
10 : 물 탱크 11 : 물 입구
21 : 물 연결부 30, 30a : 제어 장치
41, 42 : 채움 레벨 센서 44 : 배수 장치
51 : 펌프 100 : 액체 제공 장치
110 : 음료수 머신

Claims (15)

  1. 음료수 머신(110)용, 특히 커피 머신 또는 커피 디스펜서용, 액체 제공 장치(100)로서, 상기 음료수 머신용 액체 제공 장치(100)는,
    물 탱크(10)를 채우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물 입구(11)를 가지는 상기 물 탱크(10)로서, 상기 물 입구(11)는 물 연결부(21)에, 특히 초과 압력 물 연결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휴대용 물 공급원에, 제어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물 탱크(10);
    제어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물 입구(1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30, 30a); 및
    적어도 상기 물 탱크(10) 내의 액체의 제1 채움(filling) 레벨이 도달 또는 초과되었지 아닌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채움 레벨 센서(41, 42)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움 레벨 센서(41, 42)는 상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어 장치(30, 30a)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거나 연결되고, 상기 제어 장치(30, 30a)는 적어도 하나의 채움 레벨 센서(41, 42)의 신호 및 적어도 하나의 작동 모드에 따라 상기 물 입구(11)를 제어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작동 모드는 채움 모드(filling mode) 또는 비움 모드(emptying mode)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음료수 머신용 액체 제공 장치는 상기 물 탱크(10)로부터 액체를 배수하기 위해 제어 가능한 배수 장치(4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30, 30a)는, 상기 채움 모드에서, 상기 제1 채움 레벨이 도달 및 초과되지 않았을 때 상기 물 입구(11)를 상기 물 연결부(21)에 연결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비움 모드에서, 상기 배수 장치(44)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물 탱크(10)의 완전한 비움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1 채움 레벨로부터 별개로 상기 물 연결부(21)에의 상기 물 입구(11)의 연결을 중단하도록 더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머신용 액체 제공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 장치(44)는 액체를 물 탱크(10)로부터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펌프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현되는 펌프(51)를 포함하는 음료수 머신용 액체 제공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채움 모드에서, 상기 제1 채움 레벨이 도달 또는 초과되었을 때, 상기 제어 장치(30, 30a)는 상기 물 연결부(21)에의 상기 물 입구(11)의 연결을 중단하도록 더 설계되는 음료수 머신용 액체 제공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모드는 채움 모드, 비움 모드 또는 씻어냄 모드(flushing mode) 중 어느 하나인 음료수 머신용 액체 제공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움 레벨 센서(41, 42)의 상기 신호는 상기 탱크(10) 내의 유체의 제2 채움 레벨이 도달 또는 초과되었는지 아닌지 여부를 추가로 명시하며, 상기 제2 채움 레벨은 상기 제1 채움 레벨 보다 더 큰 부피를 식별하는 음료수 머신용 액체 제공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30, 30a)는, 상기 씻어냄 모드에서, 상기 제2 채움 레벨이 도달 및 초과되지 않았을 때, 상기 물 입구(11)를 상기 물 연결부(21)에 연결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제어 장치(30, 30a)는, 상기 씻어냄 모드에서, 상기 제2 채움 레벨이 도달 또는 초과되었을 때, 상기 물 연결부(21)에의 상기 물 입구(11)의 연결을 중단하도록 더 설계되는 음료수 머신용 액체 제공 장치.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30, 30a)는, 상기 씻어냄 모드에서, 상기 제2 채움 레벨이 도달 또는 초과되었을 때, 상기 물 연결부(21)에의 상기 물 입구(11)의 연결을 중단하고 경고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계되는 음료수 머신용 액체 제공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30, 30a)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움 레벨 센서(41, 42)의 상기 신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동 모드에 따라 상기 배수 장치를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제어하도록 더 설계되는 음료수 머신용 액체 제공 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30, 30a)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물 입구(11)와 상기 물 연결부(21) 사이에 유체 연결부를 설치 및/또는 상기 물 입구(11)와 상기 물 연결부(21) 사이에 유체 연결부를 분리하도록 설계되는 밸브(20)를 포함하는 음료수 머신용 액체 제공 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움 레벨 센서(41, 42)는 액체로 적시는 것에 반응하여 상기 물 탱크에서의 탱크 물 경도(water hardness)를 결정하며, 하나의 신호에 의해 상기 탱크 물 경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어 장치(30, 30a)에 전송하도록 더 설계되며,
    상기 물 탱크(10)로부터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출구(15) 및 상기 출구(15)를 통해 상기 물 탱크(10)로부터 배출되는 액체를 탈이온 또는 디스케일(descale)하기 위한 필터(80)를 포함하는 음료수 머신용 액체 제공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출구(15)에 배치되며 상기 출구(15)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액체로 적시는 것에 반응하여 출구 물 경도를 결정하도록 설계되는 추가 물 경도 센서(43)를 포함하는 음료수 머신용 액체 제공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제어 전자제품(30a)을 포함하며,
    상기 추가 물 경도 센서(43)는 신호에 의해 상기 출구 물 경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어 전자제품(30a)에 전송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제어 전자제품(30a)은 상기 출구 물 경도에 관한 정보를 상기 탱크 물 경도에 관한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탱크 물 경도와 상기 출구 물 경도 사이의 차이가 소정의 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현되는 음료수 머신용 액체 제공 장치.
  13. 청구항 12에 따른 음료수 머신용 액체 제공 장치와 음료수 머신(110)의 결합 장치로서,
    상기 음료수 머신은, 상기 물 탱크(10)의 상기 출구(15)에 연결되는 물 라인(45)을 포함하여, 상기 출구(15)로 배출되는 상기 액체가 상기 물 라인(45)으로 흐를 수 있으며, 상기 제어 전자제품(30a)은 음료수 머신(110)의 일부이고 상기 음료수 머신(11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현되는 음료수 머신용 액체 제공 장치와 음료수 머신의 결합 장치.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음료수 머신용 액체 제공 장치(100)의 물 탱크(10)를 세정하기 위한, 음료수 머신용 액체 제공 장치의 물 탱크 세정 방법으로서,
    상기 채움 모드를 활성화하여 상기 물 탱크(10)를 제1 채움 레벨까지 채우는 단계;
    세제를, 보다 바람직하게는 탈석회제를, 상기 물 탱크(100)에 추가하는 단계;
    상기 비움 모드를 활성화하여 상기 물 탱크(10)를 비우는 단계;
    상기 씻어냄 모드를 활성화하여 상기 물 탱크(10)를 상기 제2 채움 레벨까지 채우는 단계;
    상기 비움 모드를 활성화하여 상기 물 탱크(10)를 비우는 단계;
    상기 채움 모드를 활성화하여 상기 물 탱크(10)를 상기 제1 채움 레벨까지 채우는 단계;
    상기 비움 모드를 활성화하여 상기 물 탱크(10)를 비우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간헐적으로 비우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수 머신용 액체 제공 장치의 물 탱크 세정 방법.
  15. 커피 머신, 보다 바람직하게는 커피 디스펜서에 액체를 제공하기 위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음료수 머신용 액체 제공 장치의 사용.
KR1020157007851A 2012-08-30 2013-08-28 음료수 머신용 액체 제공 장치 및 그의 사용 KR201500482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405093.1A EP2702908A1 (de) 2012-08-30 2012-08-30 Vorrichtung zum Bereitstellen von Flüssigkeit für einen Getränkeautomaten und deren Verwendung
EP12405093.1 2012-08-30
PCT/CH2013/000153 WO2014032195A1 (de) 2012-08-30 2013-08-28 Vorrichtung zum bereitstellen von flüssigkeit für einen getränkeautomaten und deren verwend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8219A true KR20150048219A (ko) 2015-05-06

Family

ID=46963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7851A KR20150048219A (ko) 2012-08-30 2013-08-28 음료수 머신용 액체 제공 장치 및 그의 사용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9986870B2 (ko)
EP (2) EP2702908A1 (ko)
KR (1) KR20150048219A (ko)
CN (1) CN104582547B (ko)
AU (1) AU2013308064B2 (ko)
BR (1) BR112015003735A2 (ko)
CA (1) CA2881915A1 (ko)
ES (1) ES2604116T3 (ko)
HK (1) HK1208605A1 (ko)
NZ (1) NZ704816A (ko)
PL (1) PL2890279T3 (ko)
PT (1) PT2890279T (ko)
RU (1) RU2631381C2 (ko)
WO (1) WO2014032195A1 (ko)
ZA (1) ZA2015006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01957B4 (de) 2014-02-17 2024-03-14 Miele & Cie. K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Strömungsleitungssystems eines Getränkeautomaten und Getränkeautomat zur Anwendung dieses Verfahrens
CN106470579B (zh) * 2014-07-09 2020-02-14 雀巢产品有限公司 用于将饮料机器连接至分配管网的装置的联接
DE102015217964A1 (de) * 2015-09-18 2017-03-23 Franke Kaffeemaschinen Ag Reinigungssystem für eine Vorrichtung zur Ausgabe von flüssigen Lebensmitteln
PT3167777T (pt) * 2015-11-13 2018-11-07 Jura Elektroapparate Ag Dispositivo para preparação de bebidas
DE102016202257A1 (de) * 2016-02-15 2017-08-17 Wmf Group Gmbh Getränkebereiter, insbesondere Kaffeemaschine, für Festwasseranschluss sowie Festwasserkit
WO2017210386A1 (en) 2016-06-01 2017-12-07 B/E Aerospace, Inc. Valve assembly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CN106235888A (zh) * 2016-09-30 2016-12-21 陈宗仁 水位检测装置与检测方法
GB2558533A (en) * 2016-11-07 2018-07-18 Costa Express Ltd Filtration system
ES2726725T3 (es) * 2017-01-09 2019-10-08 Cup&Cino Kaffeesystem Vertrieb Gmbh & Co Kg Sistema de limpieza
US11470998B2 (en) * 2017-01-10 2022-10-18 Nuwave, Llc Automatic beverage maker reservoir heating system
US11147414B2 (en) 2017-06-21 2021-10-19 Simonelli Group S.P.A. Coffee machine with sensors
DE102017118598A1 (de) * 2017-08-15 2019-02-21 Franke Kaffeemaschinen Ag VORRICHTUNG ZUM ZUBEREITEN VON HEIßGETRÄNKEN
IT201800009919A1 (it) * 2018-10-30 2020-04-30 La Marzocco Srl Sistema attivo di monitoraggio e filtrazione dell’acqua per una macchina per caffè espresso e relativa macchina per caffè espresso
DE102018222824A1 (de) 2018-12-21 2020-06-25 BSH Hausgeräte GmbH Wassertankeinrichtung und Getränkeautomat
IT201900001623A1 (it) 2019-02-05 2020-08-05 La Marzocco Srl Macchina macina caffè con sistema di dosatura perfezionato e relativo metodo
CN111887719B (zh) * 2020-08-07 2022-04-15 黎辉 即热净化式饮水机
US20230397755A1 (en) * 2020-10-28 2023-12-14 Keurig Green Mountain, Inc. Liquid supply tank sensing arrangement for beverage machine
AU2021402000A1 (en) * 2020-12-18 2023-07-13 Breville Pty Limited Beverage appliance
EP4014805A1 (en) * 2020-12-21 2022-06-22 Koninklijke Philips N.V. Device for delivering hot water and steam
TWI785983B (zh) * 2021-01-29 2022-12-01 美商百睿達科技有限公司 具有自動清潔能力的流體原料出料機
CN115299779A (zh) * 2021-05-07 2022-11-08 苏州咖乐美咖啡机科技有限公司 一种饮品冲泡设备及其管路系统和工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3836A (en) 1989-01-25 1991-11-12 Cafe 98 Industries Ltd. Coffee making machine and components thereof
US5551988A (en) * 1993-12-15 1996-09-03 Jura Elektroapparate Ag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 brewing device, especially of a coffee machine
JP3610629B2 (ja) * 1995-05-11 2005-01-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コーヒー沸かし器
US6240829B1 (en) * 1999-02-12 2001-06-05 Pepsico. Inc. Tea or non-carbonated drink dispenser
US6164189A (en) * 1999-10-12 2000-12-26 Bunn-O-Matic Corporation Heated water dispensing system
US6401729B1 (en) * 2000-08-21 2002-06-11 Bunn-O-Matic Corporation Beverage reservoir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CA2447079A1 (en) * 2001-05-07 2003-01-03 Bunn-O-Matic Corporation Shared water reservoir beverage system
GB0504090D0 (en) * 2005-02-28 2005-04-06 Coffee Nation Ltd Apparatus for preparing beverages
PL1731067T3 (pl) * 2005-06-09 2012-07-31 Aquis Wasser Luft Systeme Gmbh Lindau Zbiornik na wodę
DE102006023449A1 (de) * 2006-05-18 2007-11-2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von Servicevorgängen in einer Heißgetränkezubereitungsvorrichtung
JP5066183B2 (ja) * 2006-07-14 2012-11-07 ヴェーエムエフ ヴュルテンベルギッシェ メタルヴァーレンファブリーク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ミルク供給装置
FR2929089B1 (fr) * 2008-03-26 2010-04-02 Seb Sa Procede de nettoyage d'une buse vapeur d'une machine pour la preparation de boissons
CN101980641B (zh) * 2008-04-07 2013-09-11 雀巢产品技术援助有限公司 带有内联式除垢系统的饮料制备设备和使用这种系统的除垢方法
EP2168466A1 (de) * 2008-09-26 2010-03-31 Jura Elektroapparate AG Brühvorrichtung mit einem Drainageventil
CH700103B1 (de) * 2008-12-10 2020-07-31 Steiner Ag Weggis Kaffeemaschine.
JP5338508B2 (ja) * 2009-02-06 2013-11-13 富士電機株式会社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DE102010007143B4 (de) * 2010-02-05 2013-08-22 Eugster/Frismag Ag Kaffeemaschine mit einer Schäumvorrichtung und Mitteln zum Reinigen der Schäumvorrichtung und einer Milchansaugleitung sowie Verfahren zum Spülen der Milchansaugleitung
DE102010010516A1 (de) 2010-03-05 2011-09-08 Kaffee Partner Service Gmbh Kaffeemaschine und Verfahren zur Reinigung derselb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3308064A1 (en) 2015-02-26
BR112015003735A2 (pt) 2017-07-04
HK1208605A1 (en) 2016-03-11
ES2604116T3 (es) 2017-03-03
WO2014032195A1 (de) 2014-03-06
RU2015111196A (ru) 2016-10-20
US9986870B2 (en) 2018-06-05
RU2631381C2 (ru) 2017-09-21
CA2881915A1 (en) 2014-03-06
AU2013308064B2 (en) 2017-04-20
EP2890279B1 (de) 2016-09-28
PL2890279T3 (pl) 2017-02-28
CN104582547B (zh) 2017-05-24
EP2890279A1 (de) 2015-07-08
ZA201500614B (en) 2015-12-23
PT2890279T (pt) 2016-11-23
NZ704816A (en) 2018-02-23
EP2702908A1 (de) 2014-03-05
CN104582547A (zh) 2015-04-29
US20150245736A1 (en) 2015-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48219A (ko) 음료수 머신용 액체 제공 장치 및 그의 사용
DK2363051T3 (en) Coffee machine and method for the cleaning thereof.
US20080163896A1 (en) Device for preparation and dispensing of beverages, with cleaning device
KR102338088B1 (ko) 음료 자판기, 특히 커피 머신 및 음료 자판기의 작동방법
KR102340032B1 (ko)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 및 방법
US8925441B2 (en) Coffee machine
CA2797023C (en) Do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osing a composition
KR20080026208A (ko) 스팀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보일러 시스템
RU2654442C1 (ru) Блок подачи жидкого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к устройству выдачи напитков и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го такого блока
RU2746737C2 (ru)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RU2710653C1 (ru) Автомат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свежезаваренных горячих напитков
TWI750401B (zh) 用於準備熱飲的裝置及測定用於準備熱飲的裝置的鈣化狀態的方法
JP2009089732A (ja) 飲料抽出装置
CN108697261B (zh) 用于连接自来水的饮品制备机以及自来水套件
JP5813205B2 (ja) エスプレッソメーカの圧力解放システム
WO2017162289A9 (en) Laundry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water soften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