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6971A -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자동장입 시스템 - Google Patents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자동장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6971A
KR20150046971A KR1020130126622A KR20130126622A KR20150046971A KR 20150046971 A KR20150046971 A KR 20150046971A KR 1020130126622 A KR1020130126622 A KR 1020130126622A KR 20130126622 A KR20130126622 A KR 20130126622A KR 20150046971 A KR20150046971 A KR 20150046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control unit
coke
hoisting
coke 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6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7692B1 (ko
Inventor
이기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126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692B1/ko
Publication of KR20150046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6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39/00Cooling or quenching coke
    • C10B39/12Cooling or quenching coke combined with convey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39/00Cooling or quenching coke
    • C10B39/14Ca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ke Industry (AREA)

Abstract

버켓의 이동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움직임을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내로 건류 완료된 코크스를 장입할 수 있는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자동장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자동장입 시스템은, 버켓과, 상기 버켓이 이동되는 주행레일 및 상기 버켓을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되, 그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움직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버켓 내에 적재된 코크스를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의 장입구를 통해 장입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자동장입 시스템{CONTROL SYSTEM FOR AUTO-INTRODUCTION OF COKE DRY QUENCHING EQUIPMENT}
본 발명은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자동장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적열 코크스가 적재된 버켓의 움직임 제어하여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에 자동으로 장입하는,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자동장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개의 탄화실을 구비하는 코크스 오븐(10)은 장입차를 이용하여 탄화실에 석탄을 장입한 후, 약 1240℃ 이상의 온도로 약 26시간 동안 외부 공기를 차단시키고 가열함으로써, 코크스를 생산하는 설비이다.
이와 같은 작업을 '건류작업'이라고 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류작업이 끝난 코크스는 압출작업을 통해 탄화실(40)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압출작업을 시행하기 위해 탄화실(40)의 코크스 오븐 도어(20)를 인출하여 오픈시킨 후 압출기(30)의 램을 이용하여 트랜스퍼카로 압출한다.
그 후 코크스 가이드를 통해 버켓에 적재된 후, 도 2에 도시된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400)로 이송되어 소화되는데, 탄화실(40)로부터 코크스의 배출이 완료되면 압출기(30)와 트랜스퍼카는 코크스 오븐 도어(20)를 폐쇄시키고, 탄화실(40) 내에 석탄을 재장입하여 건류작업을 반복 수행한다.
코크스를 이동할 때 사용되는 버켓의 하단에는 미들트럭이 체결되어 있고, 이 미들트럭이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버켓이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까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코크스가 적재된 버켓을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까지 이동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미들트럭의 움직임을 제어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작업자가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미들트럭을 작동시키게 되면 전원공급장치 및 동력장치에 의해 미들트럭이 제1주행레일을 따라 지상에서 이동하게 되고, 일정거리를 이동한 후에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버켓을 약 40m 높이로 권상시켰다.
버켓의 권상이 완료되면 크레인 및 버켓이 제2주행레일을 따라 약 50m 정도 주행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장입구 커버의 개방 및 슈트의 이동이 시작된다.
버켓의 이동이 완료되면 크레인이 권출되어 버켓은 장입구를 향해 하강하게 되고, 장입구 커버는 버켓의 하강이 완료되기 전에 개방이 완료된다. 이때, 슈트가 장입구 상단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버켓의 하단부를 통해 배출되는 코크스가 슈트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내로 투입되게 된다.
하지만, 코크스를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내로 장입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작업자가 육안으로 버켓의 이동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며 제어부를 지속적으로 제어하는 작업을 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떨어지게 되며, 또한 작업자의 실수로 인한 대형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았다.
그 뿐만 아니라, 버켓의 이동을 육안으로 제어하였기 때문에 버켓이 정지하는 위치가 매번 동일하지 않았고, 그에 따라 버켓의 위치를 다시 맞추는 작업을 실시하는 등 작업시간 손실이 많았다.
따라서, 버켓의 움직임을 자동으로 정확하게 제어하여 버켓 내의 코크스를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내로 장입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동하는 물제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방안이 종래의 "코크스 공장의 장입차 주행위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등록특허 10-1027271)"에 구체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종래의 코크스 공장의 장입차 주행위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장입차가 채탄위치에서 목표위치의 코크스 오븐까지 주행하는 경우에 위치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코크스 공장의 장입차 주행위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먼저 위치연산부가 장입차의 아이들 휠에 부착된 엔코더로부터 발생하는 펄스신호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장입차의 현재위치가 목표위치와 기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연산한다.
이후에, 장입차의 현재위치가 목표위치와 기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에 있는 경우에는, 위치연산부가 장입차의 중심이 목표위치에 있는 코크스 오븐의 문의 중심과 기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연산한다.
장입차의 현재위치가 목표위치와 기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주행부가 장입차의 파킹 브레이크를 오픈하여 장입차 내부에 구비된 모터를 동작시켜 장입차를 연산된 목표위치로 주행시킨 후, 위치연산부가 장입차의 중심이 목표위치에 있는 코크스 오븐의 문의 중심과 기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연산한다.
이후에, 장입차의 중심이 목표위치에 있는 코크스 오븐의 문의 중심과 기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에 있는 경우에는, 주행부가 장입차의 파킹 블레이크를 클로즈하여 주행을 마친다. 그러나, 장입차의 중심이 목표위치에 있는 코크스 오븐의 문의 중심과 기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후진부가 장입차의 주행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장입차를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시킨 후에 장입차를 주행시킨다.
장입차를 주행시킨 후에는, 위치연산부가 다시 장입차의중심이 목표위치에 있는 코크스 오븐의 문의 중심과 기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연산한다. 장입차의 중심이 목표위치에 있는 코크스 오븐의 문의 중심과 기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에 있는 경우에는 주행부가 장입차의 파킹 블레이크를 클로즈하여 주행을 마치고, 장입차의 중심이 목표위치에 있는 코크스 오븐의 문의 중심과 기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알람 발생부가 알람을 발생시킨 후 주행부가 장입차의 파킹 브레이크를 클로즈한다.
하지만, 종래의 "코크스 공장의 장입차 주행위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등록특허 10-1027271)"로는 버켓의 이동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오작동한 센서를 즉시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여전히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027271 (2011. 03. 29)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버켓의 이동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움직임을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내로 건류 완료된 코크스를 장입하기 위한,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자동장입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자동장입 시스템은, 버켓과, 상기 버켓이 이동되는 주행레일 및 상기 버켓을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되, 그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움직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버켓 내에 적재된 코크스를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의 장입구를 통해 장입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주행레일은, 상기 버켓이 지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1주행레일과, 상기 버켓이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상단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2주행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버켓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주행레일에 설치되며 상기 버켓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위치신호를 전송하는 다수 개의 위치센서와, 상기 버켓을 상기 제1주행레일에서 상기 제2주행레일로 권상시키고, 상기 버켓을 제2주행레일에서 상기 장입구로 권하시키는 권상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 개의 위치센서로부터 상기 위치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버켓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 개의 위치센서로부터 상기 위치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버켓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권상수단은, 상기 버켓과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권취시키는 권상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권상모터에는 그 회전수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엔코더가 체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수를 전송받아 상기 와이어의 권취/권출 길이를 연산함으로써 상기 버켓의 이동거리 및 현재위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 개의 위치센서로부터 상기 위치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버켓의 위치를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버켓의 현재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버켓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표시 수단은, 상기 다수 개의 위치센서와 대응되도록 적어도 상기 위치센서의 수 이상으로 구비된 엘이디와, 상기 다수 개의 엘이디 작동상태를 파악하는 테스트 버튼과, 상기 다수 개의 위치센서가 오작동시 경고를 발생시키는 버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표시 수단은, 상기 위치신호를 수신시 상기 위치신호를 전송한 위치센서와 대응되는 엘이디를 점등시키고, 상기 버켓의 현재위치 정보를 수신시 그와 대응되는 엘이디를 점등시키며, 상기 테스트 버튼은, 작동시 상기 다수 개의 엘이디 전체를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버켓의 하단에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제1주행레일 상을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구동휠과, 상기 제어부로부터 구동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구동휠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버켓의 이동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권상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버켓의 권상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다양한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버켓의 자동으로 정확하게 제어함으로써 인력 낭비 및 작업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버켓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위치센서의 오작동시 해당 위치센서를 즉시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코크스 오븐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켓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며,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구성의 도면번호는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자동장입 시스템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자동장입 시스템은, 버켓(200), 주행레일(10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버켓(200)은 탄화실에서 건류된 코크스가 적재되는 것으로, 그 하단에는 후술하는 구동수단(300)이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며, 운반차(80) 및 전차(90에 의해 이동레일(50)을 따라 일정거리를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버켓(200)의 하면에는 적재된 코크스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후술하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주행레일(100)은 이동레일(50)을 따라 이동해온 버켓(200)이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400)의 장입구(410)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레일이며, 이러한 주행레일(100)은 지상에 설치된 제1주행레일(110)과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400) 상단에 설치된 제2주행레일(120)을 포함한다.
본 일 실시예에서는 버켓(200)이 이동하는 구간을 표현하기 용이하도록, 제1주행레일(110)이 설치된 구간을 "A구간", 제2주행레일(120)이 설치된 "C구간", 버켓(200)이 제1주행레일(110)로부터 제2주행레일(120)까지 권상하는 구간을 "B"구간, 버켓(200)이 제2주행레일(120)의 끝에서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400)의 장입구(410)까지 권하하는 구간을 "D구간"으로 표현하였으며, 이러한 각 구간에 대한 명칭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제1주행레일(110)에 도착한 버켓(200)은 그 하단에 체결된 구동수단(300)에 의해 제1주행레일(110) 상을 이동하게 된다.
제어부는 버켓(200)이 주행레일(1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버켓(20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그 움직임을 정확하게 제어함으로써 버켓(200)을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400)의 장입구(410)까지 이동시키고, 버켓(200)이 장입구(410) 상단에 위치하게 되면 버켓(200)의 하단부에 형성된 배출구를 개방하여 적재되어 있던 코크스를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400) 내로 장입시킨다.
한편, 본 발명은 구동수단(300), 다수 개의 위치센서(미도시), 권상수단(500) 및 위치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수단(300)은 버켓(200)이 제1주행레일(110) 상을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버켓(200)의 하단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지지플레이트(미도시)와, 지지플레이트(미도시)가 제1주행레일(1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체결되는 복수 개의 구동휠(320)과, 상술한 제어부로부터 구동신호를 전송받아 구동휠(32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다수 개의 위치센서(미도시)는 제1주행레일(110) 및 제2주행레일(120)을 따라 설치되며, 제1주행레일(110) 및 제2주행레일(120) 상을 따라 이동하는 버켓(20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제어부로 위치신호를 전송한다.
이러한 다수 개의 위치센서(미도시)는 그 수에는 제한을 두지 않으나, 제1주행레일(110) 및 제2주행레일(120) 상에 골고루 분산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술한 B구간 및 D구간에도 설치 가능할 것이다.
이때 제어부는 다수 개의 위치센서(미도시)로부터 위치신호를 전송받아 구동모터(미도시)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버켓(200)의 이동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일 예를 들어 A구간의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버켓(200)이 이동할 때, 막 이동을 시작한 버켓(200)의 위치가 A구간의 전단부에서 감지되면 제어부에서는 구동모터(미도시)의 회전속도를 상승시켜 버켓(200) 및 구동수단(300)의 이동속도를 증가시키게 되고, 버켓(200) A구간의 중간을 넘어간 후 위치센서(미도시)에서 감지되면 제어부에서는 구동모터(미도시)의 회전속도를 감소시켜 버켓(200) 및 구동수단(300)의 이동속도를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A구간의 끝단에 있는 위치센서(미도시)에서 버켓(200)의 위치가 감지되면 제어부에서는 A구간 내에서 버켓(200)의 이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 후 후술하는 권상수단(500)을 작동시키게 되며, C구간도 A구간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어된다.
권상수단(500)은 제1주행레일(110) 상에서 이동이 완료된 버켓(200)을 제2주행레일(120)까지 권상시키고, 제2주행레일(120) 상에서 이동이 완료된 버켓(200)을 장입구(410)를 향해 권하시키는 것으로, 버켓(200)과 연결되는 와이어(510)와, 와이어(510)를 권취시키는 권상모터(520)를 포함한다. 이러한 권상모터(520)가 회전함에 따라 와이어(510)가 권취 또는 권출되며, 그에 따라 버켓(200)이 권상 또는 권하하게 된다.
또한, 권상수단(500)에는 복수 개의 주행휠(540) 및 주행모터(미도시)가 체결되어 제어부에 의해 제2주행레일(120)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권상모터(520)에는 그 회전수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엔코더(530)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권상모터(520)에서는 권상모터(520)의 회전시 그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수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전송하게 되고, 제어부에서는 전송받은 회전수를 이용해 권취/권출된 와이어(510)의 길이를 연산하게 되며, 이러한 연산에 의해 B구간 및 D구간에서 이동하는 버켓(200)의 이동거리 및 현재위치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B구간 및 D구간에서는 제어부에 의해 연산된 버켓(200)의 이동거리를 이용하여 버켓(200)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게 되고, 그에 따라 권상모터(52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버켓(200)의 권상속도를 가속 또는 감속 시키게 된다.
위치표시 수단은 버켓(200)의 현재 위치 및 이동상태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표시하는 것으로, 다수 개의 위치센서(미도시)로부터 위치신호를 전송받아 버켓(200)의 위치를 표시하고, 제어부로부터 버켓(200)의 현재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버켓(200)의 위치를 표시한다.
이러한 위치표시 수단은 다수 개의 위치센서(미도시)와 대응되도록 적어도 위치센서(미도시)의 수 이상으로 구비되는 엘이디와, 다수 개의 엘이디 작동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테스트 버튼과, 다수 개의 위치센서(미도시)가 오작동시 경고를 발생시키는 버저를 포함한다.
위치표시 수단의 엘이디는 기본적으로 A ~ D구간에 설치된 센서의 수 이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B구간 및 D구간에서 이동중인 버켓(200)의 위치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원하는 위치의 수만큼 엘이디를 추가로 설치하면 될 것이다.
이러한 위치표시 수단은 위치센서(미도시)로부터 위치신호를 수신시 그와 대응되는 엘이디를 점등시키고, 버켓(200)의 현재위치 정보를 수신시 그와 대응되는 엘이디를 점등시킴으로써 버켓(200)의 현재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위치표시 수단의 테스트 버튼을 작동시키면 다수 개의 엘이디 전체가 점등됨으로써 엘이디의 정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만약 위치센서(미도시)에서 오작동을 일으켜 다수 개의 엘이디 중 여러개가 동시에 점등된다면 버저에서 알람을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코크스가 장입되는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400)의 장입구(410)에는 장입구(410) 커버 개폐가능하게 체결되며, 장입구(410) 커버가 개폐된 후에는 장입구(410) 상단에 슈트가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슈트는 버켓(200)으로부터 배출되는 코크스가 장입구(410)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장입구(410) 커버의 작동상태에 따라 그 위치가 달라지게 된다.
본 일 실시예에서 적용한 다수 개의 위치센서(미도시)는 슈트의 이동경로 및 장입구(410) 커버의 이동경로에도 설치 가능하며, 그에 따라 슈트 및 장입구(410) 커버의 이동속도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렇게 위치센서(미도시)가 추가된다면 그에 대응되도록 엘이디가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일 실시예에서는 작업자가 버켓(200)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 위치표시 수단을 적용하였지만,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황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버켓(200)의 위치정보를 표기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A ~ D구간을 이동하는 버켓(200)의 이동속도는 제어부에 의해 가속 또는 감속되지만, 그 속도는 각 구간의 작동상황 및 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되어 적용가능할 것이다.
코크스 장입이 완료된 후 이동해온 경로를 되돌아 가는 버켓의 위치 및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상술한 위치센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정확한 제어 및 관리를 위해서는 버켓이 원상복귀되는 경로에도 다수 개의 위치센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로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자동장입을 위한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버켓(200) 내에 코크스가 적재되면 전차 및 운반차에 의해 제1주행레일(11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버켓(200)이 제1주행레일(110)에 도착하게 되면 제1주행레일(110) 시작점에 설치된 위치센서(미도시)에서 버켓(200)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위치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제어부에서는 구동모터(미도시)에 구동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제어부에 의해 구동모터(미도시)가 작동하여 구동휠(320)이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지지플레이트(미도시)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버켓(200) 또한 제1주행레일(110) 상을 이동하게 된다.
제1주행레일(110) 전단에서 후단(A구간)으로 이동하기 시작한 버켓(200) 및 구동수단(300)이 다음 위치센서(미도시)에 도달하게 되면 위치센서(미도시)에서는 제어부로 위치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제어부에서는 구동모터(미도시)의 회전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구동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제1주행레일(110) 상을 이동하는 버켓(200) 및 구동수단(300)의 이동속도는 가속되어 빠르게 이동되다가 제1주행레일(110)의 중간지점을 넘어서면서 부터는 제어부에어 의해 구동모터(미도시)의 회전속도가 감속되어 그 이동속도 또한 감속된다.
이렇게 이동속도가 점진적으로 줄어들면서 제1주행레일(110)의 후단에 도착하게 되면 위치센서(미도시)에서 버켓(200) 및 구동수단(300)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송하게 되고, 제어부에서는 버켓(200) 및 구동수단(300)의 이동이 완료된 것으로 인지하여 권상수단(500)을 작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중 위치센서(미도시)에 의해 버켓(200)의 위치가 감지되면 그와 대응되는 엘이디가 점등됨으로써 작업자가 현재 버켓(200)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버켓(200)과 와이어(510)가 연결된 후 권상모터(520)가 회전함에 따라 버켓(200)은 점차적으로 권상되기 시작하며(B구간), 이때 권상모터(520)의 회전수를 엔코더(53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제어부로 전송하게 된다.
제어부에서는 엔코더(530)로부터 전송받은 회전수를 이용하여 와이어(510)의 권상길이 및 버켓(200)의 이동거리를 연산하게 되고, 그 결과로부터 버켓(200)의 현재위치를 측정하게 된다.
이렇게 측정된 버켓(200)의 현재 현재위치는 위치표시 수단으로 전송되고, 그와 대응되는 엘이디가 점등됨으로써 현재 버켓(200)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권상되기 시작한 버켓(200)의 위치에 따라 제어부에서 권상모터(52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게 되고, A구간에서와 유사하게 버켓(200)의 속도를 가속 또는 감속시키게 된다.
권상수단(500)에 의해 제1주행레일(110)에서 제2주행레일(120)로 이동하던 버켓(200)이 B구간의 끝단에 도달하게 되면 위치센서(미도시)가 버켓(200)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위치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어부에서는 주행모터(미도시)를 회전시켜 주행휠(540)이 제2주행레일(120)(C구간)을 따라 이동하게 한다.
버켓(200)이 연결된 권상수단(500)은 제2주행레일(120) 전단에서 후단으로 이동하기 시작하고, 이때 C구간에 설치된 다수 개의 위치센서(미도시) 및 제어부에 의해 구동수단(300)의 이동속도가 가속 또는 감속되게 된다.
C구간 내에서 버켓(200)의 이동이 시작되면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400) 장입구(410)에 체결되어 있던 장입구(410) 커버가 개방되게 되고, 그에 따라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400)와 이격되어 위치하던 슈트가 장입구(410) 상단으로 이동된다.
C구간 내에서 버켓(200)의 이동이 완료되면 위치센서(미도시)에서 권상수단(500) 및 버켓(200)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위치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제어부에서는 권상모터(520)를 작동시켜 버켓(200)을 권하시키게 된다.
버켓(200)이 권하하여 슈트와 근접하게 되면, 위치센서(미도시)에서 버켓(200)의 위치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게 되고, 제어부에 의해 배출구가 개방됨으로써 버켓(200) 내에 적재되어 있던 코크스가 슈트로 낙하하게 된다.
이렇게 낙하된 코크스는 슈트를 따라 슬라이딩 하여 장입구(410)를 통해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400) 내로 장입되고, 코크스 장입과정이 완료되면 버켓(200)이 이동해온 경로를 따라 다시 돌아감으로써 처음의 A구간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모든 과정시 위치센서(미도시)에 의해 버켓(200)의 위치가 감지되면, 그와 대응되는 엘이디가 점등되게 되며, 만약 위치센서(미도시)의 오작동에 의해 복수 개의 위치센서(미도시)가 동시에 점등된다면 버저에서 알람을 울리게 된다.
또한, 작업자는 이러한 작업을 시행하기 전에 테스트 버튼을 작동시켜 전체 엘이디가 정상적으로 점등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주행레일 110 : 제1주행레일
120 : 제2주행레일 200 : 버켓
300 : 구동수단 320 : 구동휠
400 :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500 : 권상수단
510 : 와이어 530 : 엔코더

Claims (9)

  1. 버켓;
    상기 버켓이 이동되는 주행레일; 및
    상기 버켓을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되, 그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움직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버켓 내에 적재된 코크스를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의 장입구를 통해 장입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자동장입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행레일은, 상기 버켓이 지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1주행레일과, 상기 버켓이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상단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2주행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버켓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주행레일에 설치되며 상기 버켓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위치신호를 전송하는 다수 개의 위치센서와, 상기 버켓을 상기 제1주행레일에서 상기 제2주행레일로 권상시키고, 상기 버켓을 제2주행레일에서 상기 장입구로 권하시키는 권상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자동장입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 개의 위치센서로부터 상기 위치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버켓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자동장입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위치센서로부터 상기 위치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버켓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자동장입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권상수단은, 상기 버켓과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권취시키는 권상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권상모터에는 그 회전수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엔코더가 체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수를 전송받아 상기 와이어의 권취/권출 길이를 연산함으로써 상기 버켓의 이동거리 및 현재위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자동장입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위치센서로부터 상기 위치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버켓의 위치를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버켓의 현재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버켓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자동장입 시스템.
  7.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표시 수단은, 상기 다수 개의 위치센서와 대응되도록 적어도 상기 위치센서의 수 이상으로 구비된 엘이디와, 상기 다수 개의 엘이디 작동상태를 파악하는 테스트 버튼과, 상기 다수 개의 위치센서가 오작동시 경고를 발생시키는 버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표시 수단은, 상기 위치신호를 수신시 상기 위치신호를 전송한 위치센서와 대응되는 엘이디를 점등시키고, 상기 버켓의 현재위치 정보를 수신시 그와 대응되는 엘이디를 점등시키며,
    상기 테스트 버튼은, 작동시 상기 다수 개의 엘이디 전체를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자동장입 시스템.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버켓의 하단에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제1주행레일 상을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구동휠과, 상기 제어부로부터 구동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구동휠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버켓의 이동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자동장입 시스템.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권상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버켓의 권상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자동장입 시스템.
KR1020130126622A 2013-10-23 2013-10-23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자동장입 시스템 KR101587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622A KR101587692B1 (ko) 2013-10-23 2013-10-23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자동장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622A KR101587692B1 (ko) 2013-10-23 2013-10-23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자동장입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6971A true KR20150046971A (ko) 2015-05-04
KR101587692B1 KR101587692B1 (ko) 2016-01-21

Family

ID=53386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622A KR101587692B1 (ko) 2013-10-23 2013-10-23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자동장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6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244A (ko) 2016-12-07 2018-06-18 주식회사 포스코 이송장치
KR20210133691A (ko) 2020-04-29 2021-11-08 주식회사 팬직 대형 축사용 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1724A (ja) * 1995-03-07 1996-09-27 Toshiba Corp 移動機滑走防止制御装置
JP2003345440A (ja) * 2002-05-30 2003-12-05 Mitsubishi Electric Corp コークス炉移動機の走行制御装置
KR100815686B1 (ko) * 2001-09-24 2008-03-20 주식회사 포스코 시디큐 챰버내 코크스 장입장치
JP2011038052A (ja) * 2009-08-18 2011-02-24 Jfe Steel Corp コークス炉の移動機の位置検出装置及び位置検出方法
KR101027271B1 (ko) 2008-07-18 2011-04-06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코크스 공장의 장입차 주행위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1724A (ja) * 1995-03-07 1996-09-27 Toshiba Corp 移動機滑走防止制御装置
KR100815686B1 (ko) * 2001-09-24 2008-03-20 주식회사 포스코 시디큐 챰버내 코크스 장입장치
JP2003345440A (ja) * 2002-05-30 2003-12-05 Mitsubishi Electric Corp コークス炉移動機の走行制御装置
KR101027271B1 (ko) 2008-07-18 2011-04-06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코크스 공장의 장입차 주행위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11038052A (ja) * 2009-08-18 2011-02-24 Jfe Steel Corp コークス炉の移動機の位置検出装置及び位置検出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244A (ko) 2016-12-07 2018-06-18 주식회사 포스코 이송장치
KR20210133691A (ko) 2020-04-29 2021-11-08 주식회사 팬직 대형 축사용 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7692B1 (ko) 2016-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45015B (zh) 电梯平衡系数的检测方法
CN103209918B (zh) 用于操作电梯的方法
CN105253752B (zh) 用于驱动电梯的方法
HK11070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the stopping accuracy of an elevator car for condition monitoring
KR20150108909A (ko) 엘리베이터 장치
CN102947210A (zh) 电梯系统
JP5568633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CN108455396A (zh) 电梯安全系统和监控电梯系统的方法
WO2014091780A1 (ja) グラブバケットの昇降制御装置、グラブバケットの昇降制御装置を備えるアンローダ、及びグラブバケットの昇降制御方法
KR101587692B1 (ko)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자동장입 시스템
CN105858124A (zh) 智能型输送带检测装置
KR101731250B1 (ko) 케이블 운송 설비에서 차량의 진행을 제어하는 방법
AU2020313283A1 (en) Method and elevator arrangement
HK1123273A1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dvance opening of doors in a double-deck elevator
CN212924224U (zh) 一种高炉卷扬上料系统综合保护装置
EP3666710B1 (en) Safety system based on hoistway access detection
CN103387177B (zh) 乘客运输机的运转控制系统和运转控制方法
CN105565095A (zh) 电梯的控制装置及电梯的控制方法
JP2007145589A5 (ko)
CN101016131A (zh) 电梯控制装置
US4326337A (en) Measuring instrument for the profile of piled charge of a blast furnace
EP3653555B1 (en)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JP6515077B2 (ja)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
CN101870430B (zh) 提升机箕斗斗门的关闭状态识别装置
KR100432501B1 (ko) 장입물 위치 추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