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6649A - 포장백용 리베팅장치 - Google Patents

포장백용 리베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6649A
KR20150046649A KR20130126120A KR20130126120A KR20150046649A KR 20150046649 A KR20150046649 A KR 20150046649A KR 20130126120 A KR20130126120 A KR 20130126120A KR 20130126120 A KR20130126120 A KR 20130126120A KR 20150046649 A KR20150046649 A KR 20150046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horizontal
interlocking rod
holder
packaging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6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재웅
김윤진
Original Assignee
추재웅
김윤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재웅, 김윤진 filed Critical 추재웅
Priority to KR20130126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6649A/ko
Publication of KR20150046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66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5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mechanical means or mechanical connections, e.g. form-fits
    • B29C65/60Riveting or staking
    • B29C65/601Riveting or staking using extra riveting elements, i.e. the rivets being non-integral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백용 리베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백의 손잡이 연결부위를 보강하기 위한 홀더피스를 자동으로 견고하게 리벳팅 하면서도 불량률을 최소화하는 포작백용 리베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작백용 리베팅장치는, 포장백(20)의 손잡이 연결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홀더피스(10)를 시간차를 두고 공급하는 공급부(30)를 지지하는 몸체(50)와, 상기 공급부(30)로부터 공급되는 홀더피스(10)가 포장백(20)과 동일수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급부(30)에 고정되는 지지체(70)와, 상기 지지체(70)에 배치된 홀더피스(10)가 리베팅 되면서 포장백(20)에 결합 되도록 상하 운동하는 가압부(90)와, 상기 공급부(30)와 가압부(90) 및 상기 지지체(70)가 동시에 지지 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40)가 부양되도록 상기 몸체(50)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부양봉(60)이 구비되는 포장백용 리베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90)가 홀더피스(10)를 가압하여 압축되도록 하기 직전에 상기 지지체(70) 상에서 상기 홀더피스(10)가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후, 상기 가압부(90)가 상기 홀더피스(10)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홀더피스(10)에서 이격 되는 배치유지부(100); 상기 배치유지부(100)의 상부에 연결된 채로 회전되면서 상기 배치유지부(100)가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 되도록 하는 수평유동캠(200); 및 상기 몸체(50)에 연결형성되고 상기 수평유동캠(200)의 축을 이루면서 회전되며 그 회전에 의해 상기 수평유동캠(200)이 연동 되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봉(3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포장백용 리베팅장치{RIVETING APPARATUS FOR PACKAGING BAG}
본 발명은 포장백용 리베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백의 손잡이 연결부위를 보강하기 위한 홀더피스를 자동으로 견고하게 리벳팅 하면서도 불량률을 최소화하는 포작백용 리베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물 등을 포장하거나 기타 물품 등을 간단히 넣어 손으로 들기에 편리하도록 손잡이가 제공되는 포장백은 백화점이나 그 밖의 상업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포장백은 종이 또는 비닐 소재로 제작되는 바, 통상적으로 포장백의 제작은 일차적으로 일정량을 담을 수 있는 크기로 소정 넓이를 갖는 포장지를 제단하고, 일정 부위를 접어 접착 작업으로 마무리한 후, 상단이 개방된 사각형의 백 몸체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백 몸체의 개방단 측 전,후면으로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복수 개의 펀칭공을 형성시키고, 이 펀칭공으로는 일정 길이의 와이어 손잡이을 연결한다.
한편, 상기 포장백은 포장 물건의 무게에 따른 손잡이 부위의 찢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펀칭공으로 소정 직경을 갖는 알루미늄 또는 금속재질의 홀더 피스를 리벳팅하여 손잡이 끈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있어 포장백의 리벳팅 과정은 작업자가 펀칭공에 홀더 피스를 일일이 끼우고, 별도의 가압공구를 이용하여 홀더 피스가 포장백에 고정되도록 하는바,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성이 저하되고, 많은 수의 작업인원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대량 생산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홀더 피스가 포장백 상에서 고정된 상태에서 펀칭공이 상하로 유동 되면서 홀더 피스를 펀칭해야 하는데 펀칭공이 홀더 피스를 펀칭시 홀더 피스가 움직일 경우, 포장백에 견고하게 결합 되지 않고 불량이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홀더 피스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펀칭공을 통해 포장백에 홀더 피스를 결합하는 작업 자체가 어려워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246692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백용 리베팅장치는, 자동 기계화에 의한 대량생산을 통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포장백용 리베팅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백용 리베팅장치는, 홀더 피스가 포장백 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펀칭공이 홀더 피스를 펀칭하여 홀더 피스가 포장백에 견고하게 결합 될 수 있도록 하는 포장백용 리베팅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백용 리베팅장치는, 홀더 피스를 포장백에 결합하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생산능률이 향상되도록 하는 포장백용 리베팅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작백용 리베팅장치는, 포장백(20)의 손잡이 연결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홀더피스(10)를 시간차를 두고 공급하는 공급부(30)를 지지하는 몸체(50)와, 상기 공급부(30)로부터 공급되는 홀더피스(10)가 포장백(20)과 동일수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급부(30)에 고정되는 지지체(70)와, 상기 지지체(70)에 배치된 홀더피스(10)가 리베팅 되면서 포장백(20)에 결합 되도록 상하 운동하는 가압부(90)와, 상기 공급부(30)와 가압부(90) 및 상기 지지체(70)가 동시에 지지 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40)가 부양되도록 상기 몸체(50)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부양봉(60)이 구비되는 포장백용 리베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90)가 홀더피스(10)를 가압하여 압축되도록 하기 직전에 상기 지지체(70) 상에서 상기 홀더피스(10)가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후, 상기 가압부(90)가 상기 홀더피스(10)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홀더피스(10)에서 이격 되는 배치유지부(100); 상기 배치유지부(100)의 상부에 연결된 채로 회전되면서 상기 배치유지부(100)가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 되도록 하는 수평유동캠(200); 및 상기 몸체(50)에 연결형성되고 상기 수평유동캠(200)의 축을 이루면서 회전되며 그 회전에 의해 상기 수평유동캠(200)이 연동 되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봉(300);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50)는, 상기 회전봉(300)의 회전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와,
상기 포장백(20)이 상기 지지체(70)로 진입되면 상기 제어부(400)에 전기신호를 보내 상기 회전봉(300)이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공급부(30)에서 상기 홀더피스(10)가 상기 지지체(70)로 공급되도록 하는 리미트스위치(190)를 포함한다.
상기 리미트스위치(190)는, 상기 포장백(20)의 일면과 타면이 상기 지지체(7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진입되는 것을 확인하고, 상기 포장백(20)의 일면과 타면이 겹쳐진 채로 상기 지지체(70)의 상부 또는 하부로 진입시 상기 제어부(400)가 상기 회전봉(300)에 동작 지령 송신을 중단하여 상기 회전봉(300)의 동작이 정지된다.
상기 수평유동캠(200)은, 일부가 곡선을 형성하며 상기 배치유지부(100)와 연결된 부위의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면(210)과, 상기 돌출면(210)을 제외한 평면(220)과, 상기 배치유지부(100)가 상하로 유동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배치유지부(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하이탈방지턱(230)과, 상기 수평유동캡(200)이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봉(300) 상에서 유동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블록체(40)에 고정된 채로 상기 수평유동캠(200)에 연결되는 유동방지대(240)와, 상기 유동방지대(240)가 내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음각 형성되는 유동방지홈(250)을 포함한다.
상기 배치유지부(100)는, 상기 수평유동캠(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돌출면(210)과 평면(220)에 교번 되게 밀착되어 수평방향으로 유동 되면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밀착봉(110)과, 상기 밀착봉(110)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밀착봉(110)의 유동에 의해 연동 되는 수직연동봉(120)과, 상기 수직연동봉(120)과 직교 되게 직교축(132)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직연동봉(120)의 유동에 의해 연동 되는 수평연동봉(130)과, 상기 수평연동봉(130)과 연동 되도록 연결되면서 상기 홀더피스(10)의 배치부위에 진입 또는 이탈되는 유동판(140)과, 상기 유동판(140)의 상부를 관통하면서 상기 블록체(40)에 연결되어 상기 유동판(140)이 상기 수평연동봉(130)에 의해 유동판(140)이 가로방향으로 회동 될 수 있도록 축을 이루는 회동축(170)과, 상기 유동판(140)에 천공되어 상기 홀더피스(10)를 부분적으로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치유지홈(150)과, 상기 블록체(40)에 고정배치되면서, 상기 수직연동봉(120)의 상부와 하부가 수평방향으로 유동 될 수 있도록 축을 이루는 수직유동축(160)과, 상기 수직연동봉(120)과 상기 수평연동봉(130)을 동시에 관통하면서 상기 수평연동봉(130)이 상기 수직연동봉(120)의 유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유동 될 수 있도록 하는 수평축(180)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봉(300)은, 상기 회전봉(300) 상에 상기 수평유동캠(200)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가압부(90)가 승강 또는 하강 되도록 하는 상하유동캠(310)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90)는, 상기 상하유동캠(310)에 밀착된 채로 회전되는 롤러(92)와, 상기 롤러(92)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롤러(92)의 유동과 연동 되는 연동봉(94)과, 상기 연동봉(94)이 내부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상기 연동봉(94)과 연결되고 상기 블록체(40)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는 판 형태의 고정판(96)과, 상기 고정판(96)과 상기 롤러(92) 사이의 상기 연동봉(94) 외면을 감싸면서 배치되는 스프링(98)과, 상기 스프링(98)과 상기 롤러(92) 사이의 상기 연동봉(94) 외면에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연동봉(94)의 상하 유동시 상기 스프링(98)을 가압하는 가압판(95)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봉(300)은, 상기 몸체(50)의 상부와 하부에 이격되도록 한 쌍이 배치되고, 상기 수평유동캠(200)은, 각각의 상기 회전봉(300)에 나란하게 한 쌍이 배치되며, 상기 배치유지부(100)는, 각각의 상기 수평유동캠(200)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상기 몸체(50)는,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블록체(40)를 동시에 관통하면서 연결되어 상기 블록체(40)가 상기 부양봉(60) 상에서 유동 되면서 상호 간격을 조절하도록 하는 간격조절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간격조절부(500)는, 기 부양봉(60)과 이격 된 채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몸체(50)에 연결된 채로 양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부양봉(60) 상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블록체(40)가 상호 간격이 좁혀지거나 넓혀질 수 있도록 외면에 나사면(512)이 대항 되게 형성되는 스크류볼트(510)와, 상기 스크류볼트(510)가 양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서브모터(520)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92)의 외면에는, 상기 롤러(92)가 상기 상하유동캠(310)에 밀착된 채로 회전시 발생 되는 소음이 완화되도록 보조하는 소음방지층(91)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작백용 리베팅장치는, 홀더 피스가 포장백에 간편하게 결합 되도록 하여 대량생산을 통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백용 리베팅장치는, 홀더 피스가 포장백에 견고하게 결합 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불량률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이에 따른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백용 리베팅장치는, 홀더 피스를 포장백에 결합하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생산능률이 향상되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백용 리베팅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백용 리베팅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백용 리베팅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백용 리베팅장치의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요부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백용 리베팅장치의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포장백의 손잡이 연결부위를 보강하기 위한 홀더피스를 자동으로 견고하게 리벳팅 하면서도 불량률을 최소화하는 포작백용 리베팅장치 [특히, 배치유지부, 수평유동캠, 회전봉 ]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백용 리베팅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백용 리베팅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내부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포장백(20)의 손잡이 연결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홀더피스(10)를 시간차를 두고 공급하는 공급부(30)를 지지하는 몸체(50)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공급부(30)로부터 공급되는 홀더피스(10)가 포장백(20)과 동일수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급부(30)에 고정되는 지지체(70)와, 상기 지지체(70)에 배치된 홀더피스(10)가 리베팅 되면서 포장백(20)에 결합 되도록 상하 운동하는 가압부(90)가 구비된다.
더불어, 상기 공급부(30)와 가압부(90) 및 상기 지지체(70)가 동시에 지지 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40)가 부양되도록 상기 몸체(50)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부양봉(60)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작백용 리베팅장치에서는, 상기 몸체(50)에 연결되어 상기 홀더피스(10)가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후, 상기 가압부(90)가 상기 홀더피스(10)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홀더피스(10)에서 이격 되는 배치유지부(10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치유지부(100)의 상부에 연결된 채로 회전되면서 상기 배치유지부(100)가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 되도록 하는 수평유동캠(200)이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상기 몸체(50)에 연결형성되고 상기 수평유동캠(200)의 축을 이루면서 회전되며 그 회전에 의해 상기 수평유동캠(200)이 연동 되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봉(300)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50)는, 상기 회전봉(300)의 회전운동과 상기 몸체(50)에 형성되는 구성요소들에 전기를 제공하여 동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40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몸체(50)는, 지면에 지지 되어 상기의 구성요소들이 견고하게 지지 및 부양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의 구성요소들이 원활하게 구동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모터들과, 기어, 체인, 풀리, 벨트, 센서, 파워 플랜트, 전자제어 시스템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50)에 상기의 구성요소들이 원활하게 고정되어 동작 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브라켓, 블록, 바, 플레이트, 하우징, 커버 등의 부속들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여기서는, 상기 몸체(50)에 상기의 구성요소들의 배치 및 동작을 보조하기 위한 부수적인 구성 및 부속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부수적인 구성 및 부속은 몸체(50)로 통칭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작백용 리베팅장치에서, 상기 배치유지부(100)는, 상기 가압부(90)가 홀더피스(10)를 가압하여 압축되도록 하기 직전에 상기 지지체(70) 상에서 상기 홀더피스(10)가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후, 상기 가압부(90)가 상기 홀더피스(10)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홀더피스(10)에서 이격 되는 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즉, 상기 배치유지부(100)는, 상기 수평유동캠(200)의 동작에 의해 연동 되어 상기 홀더피스(10)가 배치된 상기 지지체(70)의 측면에서 수평으로 왕복운동 되면서 상기 홀더피스(10)가 상기 가압부(90)에 의해 견고하게 압축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배치유지부(100)는, 상기 수평유동캠(200)의 회전운동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배치유지부(100)는, 상기 홀더피스(10)가 상기 포장백(20)의 손잡이와 연결되는 부위를 관통하여 압축되면서 손잡이가 상기 포장백(2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준비작업을 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배치유지부(100)는, 상기 가압부(90)가 상기 홀더피스(10)를 압축하기 직전에 상기 홀더피스(10)가 상기 지지체(70)에서 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가압부(90)가 상기 홀더피스(10)를 견고하게 압축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배치유지부(100)의 내용은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수평유동캠(200)은, 상기 배치유지부(100)의 상부에 연결된 채로 회전되면서 상기 배치유지부(100)가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 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즉, 상기 수평유동캠(200)은, 상기 회전봉(300)의 외면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봉(300)의 회전에 따라 연동 되면서 상기 배치유지부(100)가 수평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봉(300)은, 상기 몸체(50)에 연결형성되고 상기 수평유동캠(200)의 축을 이루면서 회전되며 그 회전에 의해 상기 수평유동캠(200)이 연동 되어 회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봉(300)은, 일 회전을 함으로 인해 상기 수평유동캠(200)이 연동 되어 일 회전 되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배치유지부(100)가 수평방향으로 1회 왕복 운동 되며, 상기 가압부(90)가 상기 홀더피스(10)를 상기 포장백(20)에 압축결합 되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봉(300)은, 상기 회전봉(300) 상에 상기 수평유동캠(200)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가압부(90)가 승강 또는 하강 되도록 하는 상하유동캠(31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상하유동캠(310)은, 타원형의 측 단면을 가지며 상기 회전봉(300)에 고정된 채로 상기 회전봉(300)의 회전에 연동 되면서 상기 가압부(90)의 상면을 시간차를 두고 가압하면서 상기 가압부(90)가 승강 또는 하강 되면서 상기 홀더피스(10)를 상기 포장백(20)에 압축결합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가압부(90)는, 상기 상하유동캠(310)에 밀착된 채로 회전되는 롤러(92)와, 상기 롤러(92)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롤러(92)의 유동과 연동 되는 연동봉(9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90)는, 상기 연동봉(94)이 내부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상기 연동봉(94)과 연결되고 상기 블록체(40)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는 판 형태의 고정판(96)과, 상기 고정판(96)과 상기 롤러(92) 사이의 상기 연동봉(94) 외면을 감싸면서 배치되는 스프링(98)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가압부(90)는, 상기 스프링(98)과 상기 롤러(92) 사이의 상기 연동봉(94) 외면에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연동봉(94)의 상하 유동시 상기 스프링(98)을 가압하는 가압판(9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90)는, 상기 롤러(92)가 상기 상하유동캠(310)에 직접밀착된 채로, 상기 상하유동캠(310)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상하유동캠(310)에 가압 되어 상기 연동봉(94)이 하강 되게 되고, 상기 고정판(96)과 상기 가압판(95) 사이에 배치된 상기 스프링(98)에 의해 승강 되게 된다.
즉, 상기 롤러(920)가 상기 상하유동캠(310)에 의해 가압 되면, 상기 연동봉(94)이 상기 블록체(40)에 고정된 상기 고정판(96)을 관통하여 하강 되게 되면서, 상기 가압판(95)이 상기 고정판(96)에 지지 된 상기 스프링(98)을 가압하여 스프링(98)이 압축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스프링(98)이 압축된 상태로 상기 연동봉(94)이 상기 홀더피스(10)를 압축한 후, 상기 스프링(98)이 상기 가압판(95)에 탄성을 발휘하면서 상기 연동봉(94)이 승강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가압부(90)는, 상기 상하유동캠(310)에 의하여 상기 가압부(90)의 상부가 시간차를 두고 가압 되면서 승강 또는 하강 되어 상기 홀더피스(10)를 상기 포장백(20)에 압축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하유동캠(310)은, 타원형태의 외형에 따라 상기 가압부(90)의 롤러(92)를 가압하는 힘이 달라 지게 되는데, 사용자가 상기 홀더피스(10)를 압축하는 힘을 변경하기 위해 타원형태가 다른 상하유동캠(310)으로 교체하여 간편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롤러(92)의 외면에는, 상기 롤러(92)가 상기 상하유동캠(310)에 밀착된 채로 회전시 발생 되는 소음이 완화되도록 보조하는 소음방지층(91)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음방지층(91)은, 상기 롤러(92)의 외면을 감싼 채로 상기 상하유동캠(310)에 밀착되어, 상기 롤러(92)가 상기 상하유동캠(310)에 밀착된 채로 회전되면서 발생 되는 소음을 최소화하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소음방지층(91)은, 밀착 저항에 따른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탄력을 갖는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상하유동캠(310)의 외면에도 소음방지를 위해 별도의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이러한, 상기 소음방지층(91)을 통해 상기 상하유동캠(310)과 상기 롤러(92)가 상호 밀착된 채로 회전되면서 발생 되는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어 작업자에게 쾌적한 작업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90)의 형태는 일 실시 예일 뿐, 상기 홀더피스(10)를 가압하여 상기 홀더피스(10)가 상기 포장백(20)에 견고하게 결합 될 수 있다면, 상기 가압부(9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 당연하다.
이러한 상기 가압부(90)는, 상기 몸체(50)에 다수 개가 좌우 상하로 4개가 배치될 수 있고, 상부에 배치된 가압부(90)와 하부에 배치된 가압부(90)는 상호 대항 되게 형성되어 다수 개의 가압부(90) 마다 각각 배치되는 상기 상하유동캠(310)의 회전과 상기 스프링(98)의 탄성력을 통해 상기 홀더피스(10)를 상기 포장백(20)의 일면과 타면에 압축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몸체(50)는, 상기 회전봉(300)의 회전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에 언급되었던 모터와, 풀리 및 벨트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회전봉(300)이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설정된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400)는, 이에 필요한 전자제어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고, 일례로 설정 입력을 위한 제어판과, 작업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표시창 등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회전봉(300)은, 상기 몸체(50)의 상부와 하부에 이격되도록 한 쌍이 배치되고, 상기 수평유동캠(200)은, 각각의 상기 회전봉(300)에 나란하게 한 쌍이 배치되며, 상기 배치유지부(100)는, 각각의 상기 수평유동캠(200)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즉, 상기 몸체(50)에는, 한 쌍의 상기 회전봉(300)에 각각 한 쌍의 상기 수평유동캠(200)과 배치유지부(100) 및 상기 가압부(90)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몸체(50)에서 동시에 동작 되면서 상기 홀더피스(10)를 한번에 상기 포장백(20)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두 개씩 압축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회전봉(300)과 상기 수평유동캠(200), 배치유지부(100) 및 상기 가압부(90)는 일 실시 예일 뿐, 상기 홀더피스(10)를 상기 포장백(20)에 견고하게 압축결합할 수 있다면,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상하로 한 개씩 배치될 수 있고 다양한 갯 수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백용 리베팅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도 3 및 도 4를 살펴보면, 상기 홀더피스(10)가 상기 지지체(70)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는 배치유지부(100)와, 상기 배치유지부(100)가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 되도록 하는 수평유동캠(200)과 상기 수평유동캠(200)의 축을 이루면서 회전되며 그 회전에 의해 상기 수평유동캠(200)이 연동 되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봉(300)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치유지부(100)는, 상기 수평유동캠(200)의 회전 운동을 통해 상기 지지체(70)에 배치된 상기 홀더피스(10)를 향해 수평 왕복 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배치유지부(100)는, 상기 수평유동캠(200)의 회전에 따라 하기의 돌출면(210)과 평면(220)에 교번 되게 밀착되어 수평방향으로 유동 되면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밀착봉(110)과, 상기 밀착봉(110)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밀착봉(110)의 유동에 의해 연동 되는 수직연동봉(1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치유지부(100)는, 상기 수직연동봉(120)과 직교 되게 직교축(132)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직연동봉(120)의 유동에 의해 연동 되는 수평연동봉(130)과, 상기 수평연동봉(130)과 연동 되도록 연결되면서 상기 홀더피스(10)의 배치부위에 진입 또는 이탈되는 유동판(140)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배치유지부(100)는, 상기 유동판(140)에 천공되어 상기 홀더피스(10)를 부분적으로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치유지홈(150)과, 상기 블록체(40)에 고정배치되면서, 상기 수직연동봉(120)의 상부와 하부가 수평방향으로 유동 될 수 있도록 축을 이루는 수직유동축(16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치유지부(100)는, 상기 유동판(140)의 상부를 관통하면서 상기 블록체(40)에 연결되어 상기 유동판(140)이 상기 수평연동봉(130)에 의해 유동판(140)이 가로방향으로 회동 될 수 있도록 축을 이루는 회동축(1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치유지부(100)는, 상기 수직연동봉(120)과 상기 수평연동봉(130)을 동시에 관통하면서 상기 수평연동봉(130)이 상기 수직연동봉(120)의 유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유동 될 수 있도록 하는 수평축(180)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수평유동캠(200)은, 일부가 곡선을 형성하며 상기 배치유지부(100)와 연결된 부위의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면(210)과, 상기 돌출면(210)을 제외한 평면(220)과 상기 배치유지부(100)가 상하로 유동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배치유지부(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하이탈방지턱(2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유동캠(200)은, 상기 수평유동캡(200)이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봉(300) 상에서 유동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블록체(40)에 고정된 채로 상기 수평유동캠(200)에 연결되는 유동방지대(240)와, 상기 유동방지대(240)가 내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음각 형성되는 유동방지홈(25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밀착봉(110)은, 상기 수평유동캠(200)에 형성되는 상기 돌출면(210)과 평면(220)에 교번 되게 밀착되어 수평방향으로 유동 되게 된다.
만약, 상기 돌출면(210)에 의해 상기 밀착봉(110)이 상기 가압부(90)와 가까워지도록 수평방향으로 유동 되면, 상기 수직연동봉(120)이 수직유동축(160)을 축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수직연동봉(120)의 상부 또한 상기 가압부(90)의 형성 방향으로 유동 되고, 상기 수직연동봉(120)의 하부는 수직연동봉(120)의 상부와 반대 방향의 수평방향으로 유동 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직연동봉(120)의 하부에 상기 수평축(180)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수평연동봉(130)은 상기 수직연동봉(120)의 상부가 상기 가압부(90)의 형성 방향으로 유동 되면 상기 수평연동봉(130)은 상기 유동판(140)이 상기 지지체(70)에서 이탈되도록 유동 된다.
즉, 상기 유동판(140)은, 상기 수직연동봉(120)의 상부가 상기 가압부(90)의 형성 방향으로 유동 될 경우, 상기 회동축(170)을 축으로 상기 수평연동봉(130)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유동 되면서 상기 지지체(70)에서 이탈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수직연동봉(120)의 상부가 상기 가압부(90)의 형성 방향으로 유동 될 경우, 상기 수직연동봉(120)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수평연동봉(130)이 상기 유동판(140)과 연동 되면서 상기 유동판(140)에 천공된 상기 배치유지홈(150)이 상기 홀더피스(10)에서 이탈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평면(220)에 의해 상기 밀착봉(110)이 상기 가압부(90)와 멀어지도록 수평방향으로 유동 되면, 상기 수직연동봉(120)이 상기 수직유동축(160)을 축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수직연동봉(120)의 상부 또한 상기 가압부(90)가 형성된 반대 방향으로 유동 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수직연동봉(120)의 하부는 수직연동봉(120)의 상부와 반대 방향의 수평방향으로 유동 되면서 상기 수직연동봉(120)에 상기 수평축(180)으로 연결되는 상기 수평연동봉(130)이 상기 회동축(170)을 축으로 상기 수평연동봉(130)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유동 되는 상기 유동판(140)을 연동 되게 하여, 상기 유동판(140)이 상기 지지체(70)로 진입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동판(140)의 배치유지홈(150)은 상기 홀더피스(10)의 배치부위에서 상기 홀더피스(10)를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상기 홀더피스(10)가 상기 가압부(90)에 의해 압축될 때까지 상기 홀더피스(10)의 배치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치유지부(100)와 상기 수평유동캠(200)의 형태는 일 실시 예일 뿐, 상기 홀더피스(10)가 상기 가압부(90)에 의해 압축되기 직전에 상기 지지체(70)에 배치된 홀더피스(10)의 배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면 상기 배치유지부(100)와 상기 수평유동캠(20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이렇게 상기 유동판(140)의 배치유지홈(150)이 상기 홀더피스(10)의 배치부위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상기 가압부(90)가 상기 홀더피스(10)를 가압하여 압축시킴으로써, 상기 홀더피스(10)는 상기 포장백(20)에 견고하게 결합 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백용 리베팅장치의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요부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도 5 및 도 6을 살펴보면, 상기 몸체(50)는, 상기 회전봉(300)의 회전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50)는, 상기 포장백(20)이 상기 지지체(70)로 진입되면 상기 제어부(400)에 전기신호를 보내 상기 회전봉(300)이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공급부(30)에서 상기 홀더피스(10)가 상기 지지체(70)로 공급되도록 하는 리미트스위치(19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포장백(20)이 상기 지지체(70)로 진입되면서 상기 리미트스위치(190)와 접촉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400)와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리미트스위치(190) 내부의 도체가 접점 되어 전기가 흐르면서 전기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그 전기신호는 상기 제어부(400)로 공급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리미트스위치(190)는, 상기 포장백(20)의 일면과 타면이 상기 지지체(7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진입되는 것을 확인하고, 상기 포장백(20)의 일면과 타면이 겹쳐진 채로 상기 지지체(70)의 상부 또는 하부로 진입시 상기 제어부(400)가 상기 회전봉(300)에 동작 지령 송신을 중단하여 상기 회전봉(300)의 동작이 정지된다.
여기서, 상기 포장백(20)은, 상기 포장백(20)의 일면과 타면이 상기 지지체(70)의 상부와 하부로 각각 진입되어 상기 포장백(20)의 일면과 타면의 손잡이와 연결되는 부위 각각에 상기 홀더피스(10)가 결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리미트스위치(190)는, 상기 포장백(20)이 상기 지지체(70)에 진입시 상기 포장백(20)의 일면과 타면이 상기 지지체(70)의 상부 또는 하부에 겹쳐지게 진입되는 것을 확인하여 제품의 불량이 발생 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리미트스위치(190)의 전기신호를 받은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회전봉(300)이 기설정된 회전을 수행하도록 상기 회전봉(300)에 연결된 모터에 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회전봉(300)이 일 회전 또는 여러 번의 회전을 하면서 상기 회전봉(300)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기 수평유동캠(200)과 상기 상하유동캠(310)이 동시에 동작 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유동캠(200)과 상기 상하유동캠(310)이 동시에 동작 되면 상기 배치유지부(100)와 상기 가압부(90)가 동시에 동작 되면서 상기 홀더피스(10)는 상기 포장백(20)에 견고하게 결합 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지지체(70)에서 상기 포장백(20)이 이탈되게 되면, 상기 리미트스위치(190)의 전기연결이 끊어지면서 상기 제어부(400)와 모터의 동작도 정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리미트스위치(19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지지체(70)에 상기 포장백(20)의 진입시에만 상기 제어부(400)와 모터가 동작 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봉(300)과 수평유동캠(200), 배치유지부(100) 및 가압부(90)가 동작 되면서 상기 홀더피스(10)는 상기 포장백(20)에 견고하게 결합 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리미트스위치(190)를 통해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하면서도 상기 홀더피스(10)는 상기 포장백(20)에 견고하게 결합 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백용 리베팅장치의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도 7 및 도 8을 살펴보면, 상기 몸체(50)는,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블록체(40)를 동시에 관통하면서 연결되어 상기 블록체(40)가 상기 부양봉(60) 상에서 유동 되면서 상호 간격을 조절하도록 하는 간격조절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간격조절부(500)는, 상기 부양봉(60)과 이격 된 채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몸체(50)에 연결된 채로 양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부양봉(60) 상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블록체(40)가 상호 간격이 좁혀지거나 넓혀질 수 있도록 외면에 나사면(512)이 대항 되게 형성되는 스크류볼트(510)와, 상기 스크류볼트(510)가 양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서브모터(520)를 포함한다.
즉, 상기 볼스크류볼트(510)의 상기 나사면(512)은, 상기 볼스크류볼트(510)가 양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부양봉(60) 상에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블록체(40)가 상호 간격이 좁혀지거나 넓혀질 수 있도록 하나의 블록체(40)와 다른 블록체(40)가 배치된 곳에 형성되는 상기 나사면(512)은 상호 대항 되게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볼트(510)에는 한 쌍의 상기 블록체(40)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크류볼트(510)의 외면에는 상기 블록체(40)와 결합 되는 나사면(5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블록체(40)가 상기 나사면(512)을 따라 상기 스크류볼트(510) 상에서 유동 될 수 있도록, 상기 블록체(40)의 내면에는 상기 나사면(512)과 대응되는 탭(미도시)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부양봉(60)에 연결되는 블록체(40)는, 상기 스크류볼트(510)와도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볼트(5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나사면(512)에서 유동 되는 블록체(40)는 상기 부양봉(60) 상에서도 유동 되게 된다.
특히, 상기 스크류볼트(51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한 쌍의 상기 블록체(40)가 서로 가까워지고, 상기 스크류볼트(510)가 일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한 쌍의 상기 블록체(40)가 서로 멀어질 수 있도록, 상기 나사면(512)은 각각의 블록체(40)에 따라 서로 대항 된 방향으로 형성되게 된다.
즉, 상기 나사면(512)은, 상기 스크류볼트(510)의 외면에 두 개의 방향을 형성하며 배치되게 된다.
이렇게, 하나의 상기 스크류볼트(510) 외면에 두 개의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나사면(512)이 형성되기 때문에, 하나의 상기 스크류볼트(510) 상에 배치된 한 쌍의 상기 블록체(40)는 상기 스크류볼트(510)의 회전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서브모터(520)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스크류볼트(51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면, 한 쌍의 상기 블록체(40)는, 상기 부양봉(60)에 안내되면서 유동 되어 블록체(40) 끼리 상호 가까워지게 되면서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블록체(40)에는, 상기 배치유지부(100)와 상기 가압부(90)가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블록체(40)의 간격이 조절된다는 것은 상기 배치유지부(100)와 상기 가압부(90)의 간격이 조절된다는 의미이다.
즉, 상기 배치유지부(100)와 상기 가압부(90)의 간격이 조절되게 되면, 상기 포장백(20)에 압축되어 결합 되는 상기 홀더피스(10)의 고정간격이 조절되어 다양한 크기의 포장백(20)에 상기 홀더피스(1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서브모터(520)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스크류볼트(510)가 일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면, 한 쌍의 상기 블록체(40)는, 상기 부양봉(60)에 안내되면서 유동 되어 블록체(40) 끼리 상호 멀어지게 되면서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이렇게, 한 쌍의 상기 블록체(40) 간의 거리가 조절되면 상기 회전봉(300) 상에 배치되는 상기 수평유동캠(200)과 상하유동캠(310)의 위치도 상기 블록체(4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회전봉(300) 상에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통하여, 홀더 피스가 포장백에 간편하게 결합 되도록 하여 대량생산을 통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홀더 피스가 포장백에 견고하게 결합 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불량률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이에 따른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더불어, 홀더 피스를 포장백에 결합하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생산능률이 향상되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홀더피스 20 : 포장백
30 : 공급부 40 : 블록체
50 : 몸체 60 : 부양봉
70 : 지지체 90 : 가압부
100 : 배치유지부 110 : 밀착봉
120 : 수직연동봉 130 : 수평연동봉
140 : 유동판 150 : 배치유지홈
160 : 수직유동축 170 : 회동축
180 : 수평축 190 : 리미트스위치
200 : 수평유동캠 210 : 돌출면
220 : 평면 230 : 상하이탈방지턱
240 : 유동방지대 250 : 유동방지홈
300 : 회전봉 310 : 상하유동캠
400 : 제어부
500 : 간격조절부 510 : 스크류볼트
512 : 나사면 520 : 서브모터

Claims (10)

  1. 포장백(20)의 손잡이 연결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홀더피스(10)를 시간차를 두고 공급하는 공급부(30)를 지지하는 몸체(50)와, 상기 공급부(30)로부터 공급되는 홀더피스(10)가 포장백(20)과 동일수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급부(30)에 고정되는 지지체(70)와, 상기 지지체(70)에 배치된 홀더피스(10)가 리베팅 되면서 포장백(20)에 결합 되도록 상하 운동하는 가압부(90)와, 상기 공급부(30)와 가압부(90) 및 상기 지지체(70)가 동시에 지지 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40)가 부양되도록 상기 몸체(50)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부양봉(60)이 구비되는 포장백용 리베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90)가 홀더피스(10)를 가압하여 압축되도록 하기 직전에 상기 지지체(70) 상에서 상기 홀더피스(10)가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후, 상기 가압부(90)가 상기 홀더피스(10)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홀더피스(10)에서 이격 되는 배치유지부(100);
    상기 배치유지부(100)의 상부에 연결된 채로 회전되면서 상기 배치유지부(100)가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 되도록 하는 수평유동캠(200); 및
    상기 몸체(50)에 연결형성되고 상기 수평유동캠(200)의 축을 이루면서 회전되며 그 회전에 의해 상기 수평유동캠(200)이 연동 되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봉(300);을 포함하는 포장백용 리베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50)는,
    상기 회전봉(300)의 회전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와,
    상기 포장백(20)이 상기 지지체(70)로 진입되면 상기 제어부(400)에 전기신호를 보내 상기 회전봉(300)이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공급부(30)에서 상기 홀더피스(10)가 상기 지지체(70)로 공급되도록 하는 리미트스위치(190)를 포함하는 포장백용 리베팅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스위치(190)는,
    상기 포장백(20)의 일면과 타면이 상기 지지체(7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진입되는 것을 확인하고, 상기 포장백(20)의 일면과 타면이 겹쳐진 채로 상기 지지체(70)의 상부 또는 하부로 진입시 상기 제어부(400)가 상기 회전봉(300)에 동작 지령 송신을 중단하여 상기 회전봉(300)의 동작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백용 리베팅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유동캠(200)은,
    일부가 곡선을 형성하며 상기 배치유지부(100)와 연결된 부위의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면(210)과,
    상기 돌출면(210)을 제외한 평면(220)과,
    상기 배치유지부(100)가 상하로 유동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배치유지부(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하이탈방지턱(230)과,
    상기 수평유동캡(200)이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봉(300) 상에서 유동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블록체(40)에 고정된 채로 상기 수평유동캠(200)에 연결되는 유동방지대(240)와,
    상기 유동방지대(240)가 내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음각 형성되는 유동방지홈(250)을 포함하는 포장백용 리베팅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유지부(100)는,
    상기 수평유동캠(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돌출면(210)과 평면(220)에 교번 되게 밀착되어 수평방향으로 유동 되면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밀착봉(110)과,
    상기 밀착봉(110)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밀착봉(110)의 유동에 의해 연동 되는 수직연동봉(120)과,
    상기 수직연동봉(120)과 직교 되게 직교축(132)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직연동봉(120)의 유동에 의해 연동 되는 수평연동봉(130)과,
    상기 수평연동봉(130)과 연동 되도록 연결되면서 상기 홀더피스(10)의 배치부위에 진입 또는 이탈되는 유동판(140)과,
    상기 유동판(140)의 상부를 관통하면서 상기 블록체(40)에 연결되어 상기 유동판(140)이 상기 수평연동봉(130)에 의해 유동판(140)이 가로방향으로 회동 될 수 있도록 축을 이루는 회동축(170)과,
    상기 유동판(140)에 천공되어 상기 홀더피스(10)를 부분적으로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치유지홈(150)과,
    상기 블록체(40)에 고정배치되면서, 상기 수직연동봉(120)의 상부와 하부가 수평방향으로 유동 될 수 있도록 축을 이루는 수직유동축(160)과,
    상기 수직연동봉(120)과 상기 수평연동봉(130)을 동시에 관통하면서 상기 수평연동봉(130)이 상기 수직연동봉(120)의 유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유동 될 수 있도록 하는 수평축(180)을 포함하는 포장백용 리베팅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300)은,
    상기 회전봉(300) 상에 상기 수평유동캠(200)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가압부(90)가 승강 또는 하강 되도록 하는 상하유동캠(310)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90)는,
    상기 상하유동캠(310)에 밀착된 채로 회전되는 롤러(92)와,
    상기 롤러(92)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롤러(92)의 유동과 연동 되는 연동봉(94)과,
    상기 연동봉(94)이 내부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상기 연동봉(94)과 연결되고 상기 블록체(40)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는 판 형태의 고정판(96)과,
    상기 고정판(96)과 상기 롤러(92) 사이의 상기 연동봉(94) 외면을 감싸면서 배치되는 스프링(98)과,
    상기 스프링(98)과 상기 롤러(92) 사이의 상기 연동봉(94) 외면에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연동봉(94)의 상하 유동시 상기 스프링(98)을 가압하는 가압판(95)을 포함하는 포장백용 리베팅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300)은,
    상기 몸체(50)의 상부와 하부에 이격되도록 한 쌍이 배치되고,
    상기 수평유동캠(200)은,
    각각의 상기 회전봉(300)에 나란하게 한 쌍이 배치되며,
    상기 배치유지부(100)는,
    각각의 상기 수평유동캠(200)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백용 리베팅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50)는,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블록체(40)를 동시에 관통하면서 연결되어 상기 블록체(40)가 상기 부양봉(60) 상에서 유동 되면서 상호 간격을 조절하도록 하는 간격조절부(500)를 포함하는 포장백용 리베팅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500)는,
    상기 부양봉(60)과 이격 된 채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몸체(50)에 연결된 채로 양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부양봉(60) 상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블록체(40)가 상호 간격이 좁혀지거나 넓혀질 수 있도록 외면에 나사면(512)이 대항 되게 형성되는 스크류볼트(510)와,
    상기 스크류볼트(510)가 양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서브모터(520)를 포함하는 포장백용 리베팅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92)의 외면에는,
    상기 롤러(92)가 상기 상하유동캠(310)에 밀착된 채로 회전시 발생 되는 소음이 완화되도록 보조하는 소음방지층(91)이 포함되는 포장백용 리베팅장치.
KR20130126120A 2013-10-22 2013-10-22 포장백용 리베팅장치 KR201500466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6120A KR20150046649A (ko) 2013-10-22 2013-10-22 포장백용 리베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6120A KR20150046649A (ko) 2013-10-22 2013-10-22 포장백용 리베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6649A true KR20150046649A (ko) 2015-04-30

Family

ID=53037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6120A KR20150046649A (ko) 2013-10-22 2013-10-22 포장백용 리베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66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10754A (zh) * 2022-01-25 2022-04-12 浙江华朔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支架夹扣装配工装和装配方法
CN116944404A (zh) * 2023-03-06 2023-10-27 东莞市众进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温度控制器装配的铆压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10754A (zh) * 2022-01-25 2022-04-12 浙江华朔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支架夹扣装配工装和装配方法
CN114310754B (zh) * 2022-01-25 2024-01-19 浙江华朔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支架夹扣装配工装和装配方法
CN116944404A (zh) * 2023-03-06 2023-10-27 东莞市众进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温度控制器装配的铆压装置
CN116944404B (zh) * 2023-03-06 2024-03-15 东莞市众进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温度控制器装配的铆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28755B (zh) 连续式封切机
CN107825191A (zh) 一种钢板加工用夹持固定装置
CN100363235C (zh) 用于将产品包装在可拉伸塑料薄膜中的设备和方法
CN106271612A (zh) 用于装配齿轮、轴承和齿轮轴的装配机
CN203623984U (zh) 制袋及包装设备
KR20150046649A (ko) 포장백용 리베팅장치
CN107098016A (zh) 一种修眉波纹刀片自动装配生产设备及其方法
WO2015141256A1 (ja) 製袋包装機
CN106541621B (zh) 一种烫封装置
US20150314519A1 (en) Packaging machine having a tool changing system
MX2012009445A (es) Maquina de bolsa con sellador.
CN102218849B (zh) 一种制袋机整本机构
KR20170014650A (ko) 파우치 정렬장치
CN104443488B (zh) 一种自动包装机及其包装方法
CN214931238U (zh) 一种pla纸杯生产用自动打包装置
KR200462282Y1 (ko) 포장대 봉함기 구조
KR101752883B1 (ko) 컵홀더 제조장치
CN204078196U (zh) 一种输送自动封口机
CN207860586U (zh) 小菜真空封口机
KR20130119573A (ko) 비닐제품 성형장치 및 비닐제품 절취/배출장치
CN202021864U (zh) 纸箱清废清孔机
CN206899353U (zh) 一种前后风挡饰条自动冲切机用的送料装置
US20140230618A1 (en) Deep-drawing packaging machine with lifting device
CN206242583U (zh) 一种烫封装置
KR101217482B1 (ko) 회전식 냉간 포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