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4665A - 전자장치들간 연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장치들간 연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4665A
KR20150044665A KR20130123986A KR20130123986A KR20150044665A KR 20150044665 A KR20150044665 A KR 20150044665A KR 20130123986 A KR20130123986 A KR 20130123986A KR 20130123986 A KR20130123986 A KR 20130123986A KR 20150044665 A KR20150044665 A KR 20150044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connection
communication
wireles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3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4046B1 (ko
Inventor
이우성
정찬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3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046B1/ko
Priority to US14/513,954 priority patent/US9615312B2/en
Publication of KR20150044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4665A/ko
Priority to US15/476,332 priority patent/US1011727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4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user query or use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8Trunked mobile radio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전자장치들간 연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다양한 실시예가 기술된 바, 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연결을 위한 제1 전자장치의 동작방법은, 근거리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전자장치가 접속해 있는 무선 AP(Access Point) 접속에 필요한 연결정보 및 관련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메시지를 방송하는 동작, 상기 무선 AP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장치로부터 연결요청들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장치들간 연결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자장치들간 연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 전자장치가 근거리 통신을 통해 특정 무선 AP(Access Point) 연결 정보 및 관련 서비스 정보를 방송하여 다수의 다른 전자장치들을 상기 특정 무선 AP에 접속하게 한 후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학교, 사무실, 회의실, 식당, 가정 등의 공간에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무선연결 기능이 있는 전자장치들이 근거리에서 서로 연결이 되고, 상기 연결을 통해 교육 또는 회의 진행을 위한 서비스 및 관련 자료나 멀티미디어 파일 공유를 지원하고 있다. 이때, 탐색 프로토콜(Discovery Protocol)을 이용하여 전자장치들간 연결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탐색 프로토콜로써, DLNA(Digital Living Network Appliance)에서 사용되는 uPnP(Universal Plug and Play), 애플의 봉주르(Bonjour) 등이 있다. uPnP 및 봉주르는 UDP(User Datagram Protocol) 멀티캐스트를 사용하여 전자장치들간 서로 탐색(discovery)을 수행한다. 그리고 표준적인 프로토콜 대신 응용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한 탐색방식들도 대부분 UDP 멀티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를 사용하여 자신의 존재를 알리거나 현재 네트워크상에 있는 다른 전자장치들을 발견할 수 있다.
한편, UDP 멀티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서버 기반의 탐색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각 전자장치가 네트워크에 진입하여 응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해당 서버와 등록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전자장치가 네트워크에 진입한 경우 상기 해당 서버로부터 현재 등록된 사용자 목록을 제공받아 기존 전자장치들의 존재를 인지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연결하려는 모든 전자장치들과 서버가 동일한 네트워크상에 있는 AP에 연결되어 있는 환경하에서 탐색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만약 하나의 전자장치라도 다른 AP에 접속하게 된다면 탐색절차는 실패될 수 있다.
또한, 학교나 기업과 같이 수백에서 수천 대의 전자장치들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UDP 멀티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를 사용하여 탐색절차가 시도될 때, 전체 전자장치들에 패킷이 전달되어 망에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과부하로 인해 멀티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수신이 원할하지 못해서 탐색절차가 실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구성이나 장비에 따라 멀티캐스트를 지원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한편,서버 기반의 탐색방식의 경우에는 서버가 갑자기 다운(down)이 될 때 탐색이 불가능할 수 있다. 또한 서버에 접속이 폭주할 경우 서버의 응답이 늦어져 탐색절차가 실패할 수도 있다. 더하여, 서버 구축에 대한 기술적 또는 비용 등의 문제로 서버 구축이 제한되는 경우도 있다.
본 개시는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근거리의 전자장치들간 연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블루투스 저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BLE) 기술을 사용하여 각 전자장치들끼리 서로 탐색을 하고 BLE 광고 메시지의 정보를 이용하여 동일한 AP(Access Point)에 접속하도록 유도한 후 교육 또는 회의 진행을 위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서비스 연결을 위한 제1 전자장치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근거리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전자장치가 접속해 있는 무선 AP(Access Point) 접속에 필요한 연결정보 및 관련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메시지를 방송하는 동작; 상기 무선 AP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장치로부터 연결요청들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 AP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장치의 상기 연결요청들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연결응답을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정보는 상기 무선 AP의 MAC 주소, SSID(Service Set IDentifier), 상기 제1 전자장치의 IP 주소 및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관련 서비스 정보는 서비스 명칭, 식별자, 시간, 장소, 개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통신은 BLE(Bluetooth Low Energy) 기능을 포함한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통신, 가시광통신, 인체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근거리통신이 인에이블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근거리통신이 인에이블 상태가 아닐 시, 상기 근거리통신을 인에이블 상태로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채널 스캐닝을 통해 방송채널 신호가 없거나 스캔된 방송채널 중 가장 낮은 방송채널을 선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시지를 방송하기 위한 채널은 인접채널들과 겹치지 않게 할당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 AP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장치와 연결을 수행하고, 스캐닝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 상기 스캐닝 모드에서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관련 서비스에 참여 여부를 포함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관련 서비스에 참여 여부를 포함한 메시지를 수신할 시, 상기 제1 전자장치가 접속해 있는 무선 AP 접속에 필요한 연결정보 및 관련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메시지를 방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관련 서비스에 대응하는 전체 제2 전자장치들과 모두 연결이 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관련 서비스에 대응하는 전체 제2 전자장치들과 모두 연결이 될 시, 상기 메시지 방송을 중지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 AP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장치와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장치와 연결 중 연결이 끊겼는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장치와 연결 중 어느 하나가 끊긴 경우, 상기 끊긴 연결에 대응하는 제2 전자장치와 재접속을 시도하는 동작, 상기 재접속이 실패할 시, 상기 제1 전자장치가 접속해 있는 무선 AP 접속에 필요한 연결정보 및 관련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메시지를 방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서비스 연결을 위한 제2 전자장치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근거리통신을 이용하여, 제1 전자장치가 접속해 있는 무선 AP(Access Point) 접속에 필요한 연결정보 및 관련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무선 AP를 통해, 상기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전자장치에 연결요청을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 AP를 통해, 상기 제1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연결요청에 대한 연결응답을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정보는 상기 무선 AP의 MAC 주소, SSID(Service Set IDentifier), 상기 제1 전자장치의 IP 주소 및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관련 서비스 정보는 서비스 명칭, 식별자, 시간, 장소, 개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통신은 BLE(Bluetooth Low Energy) 기능을 포함한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통신, 가시광통신, 인체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통신이 인에이블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근거리통신이 인에이블 상태가 아닐 시, 상기 근거리통신을 인에이블 상태로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전자장치와 연결을 수행하기 전에, 전송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 상기 전송 모드에서 상기 관련 서비스에 참여할 것임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 상기 메시지 전송 후, 상기 전송 모드에서 상기 스캐닝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제2 전자장치가 접속해 있는 무선 AP 접속에 필요한 연결정보 및 관련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 AP를 통해, 상기 제1 전자장치와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전자장치와 연결 중 연결이 끊겼는 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제1 전자장치와 연결이 끊긴 경우, 이전 수신된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재접속을 시도하는 동작, 상기 재접속이 실패할 시, 상기 제1 전자장치가 접속해 있는 무선 AP 접속에 필요한 연결정보 및 관련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program)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근거리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전자장치가 접속해 있는 무선 AP(Access Point) 접속에 필요한 연결정보 및 관련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메시지를 방송하고, 상기 무선 AP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장치로부터 연결요청들을 수신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무선 AP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장치의 상기 연결요청들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연결응답을 전송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정보는 상기 무선 AP의 MAC 주소, SSID(Service Set IDentifier), 상기 제1 전자장치의 IP 주소 및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관련 서비스 정보는 서비스 명칭, 식별자, 시간, 장소, 개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통신은 BLE(Bluetooth Low Energy) 기능을 포함한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통신, 가시광통신, 인체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근거리통신이 인에이블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근거리통신이 인에이블 상태가 아닐 시, 상기 근거리통신을 인에이블 상태로 변경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은, 채널 스캐닝을 통해 방송채널 신호가 없거나 스캔된 방송채널 중 가장 낮은 방송채널을 선택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시지를 방송하기 위한 채널은 인접채널들과 겹치지 않게 할당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무선 AP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장치와 연결을 수행하고, 스캐닝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스캐닝 모드에서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관련 서비스에 참여 여부를 포함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관련 서비스에 참여 여부를 포함한 메시지를 수신할 시, 상기 제1 전자장치가 접속해 있는 무선 AP 접속에 필요한 연결정보 및 관련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메시지를 방송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관련 서비스에 대응하는 전체 제2 전자장치들과 모두 연결이 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관련 서비스에 대응하는 전체 제2 전자장치들과 모두 연결이 될 시, 상기 메시지 방송을 중지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AP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장치와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장치와 연결 중 연결이 끊겼는 지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장치와 연결 중 어느 하나가 끊긴 경우, 상기 끊긴 연결에 대응하는 제2 전자장치와 재접속을 시도하고, 상기 재접속이 실패할 시, 상기 제1 전자장치가 접속해 있는 무선 AP 접속에 필요한 연결정보 및 관련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메시지를 방송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program)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근거리통신을 이용하여, 제1 전자장치가 접속해 있는 무선 AP(Access Point) 접속에 필요한 연결정보 및 관련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AP를 통해, 상기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전자장치에 연결요청을 전송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무선 AP를 통해, 상기 제1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연결요청에 대한 연결응답을 수신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정보는 상기 무선 AP의 MAC 주소, SSID(Service Set IDentifier), 상기 제1 전자장치의 IP 주소 및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관련 서비스 정보는 서비스 명칭, 식별자, 시간, 장소, 개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통신은 BLE(Bluetooth Low Energy) 기능을 포함한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통신, 가시광통신, 인체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근거리통신이 인에이블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근거리통신이 인에이블 상태가 아닐 시, 상기 근거리통신을 인에이블 상태로 변경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은, 전송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 상기 전송 모드에서 상기 관련 서비스에 참여할 것임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메시지 전송 후, 상기 전송 모드에서 상기 스캐닝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제2 전자장치가 접속해 있는 무선 AP 접속에 필요한 연결정보 및 관련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무선 AP를 통해, 상기 제1 전자장치와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전자장치와 연결 중 연결이 끊겼는 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전자장치와 연결이 끊긴 경우, 이전 수신된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재접속을 시도하고, 상기 재접속이 실패할 시, 상기 제1 전자장치가 접속해 있는 무선 AP 접속에 필요한 연결정보 및 관련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 저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BLE)기술을 사용하여 각 전자장치들끼리 서로 탐색을 하고 동일한 AP(Access Point)에 접속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근거리의 전자장치들간 연결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통신을 이용한 전자장치들간 연결 시나리오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교육진행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전자장치들간 연결을 위한 신호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회의진행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전자장치들간 연결을 위한 신호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일 공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전자장치들간 연결을 위한 신호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들간 연결을 위한 제1 전자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장치와 연결을 위한 제2 전자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들간 연결을 위한 제1 전자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장치와 연결을 위한 제2 전자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다수 연결정보를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제2 전자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참여하고자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수신된 관련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연결정보를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제2 전자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통신을 인에이블(enble)시키는 방법 및 시점을 도시하고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에 따라 연결정보 및 관련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전자장치의 참여정보에 대응하여 연결정보를 방송하는 제1 전자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참여정보 방송 후 연결정보를 수신하는 제2 전자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a) 내지 도 16(b)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캐닝 채널 선택을 위한 제1 전자장치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a) 내지 도 17(b)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연결 후 상기 서비스를 주관하는 사용자의 권한을 위임하는 전자장치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개시는 근거리통신을 이용하여 연결정보 및 관련 서비스 정보를 방송하고, 상기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관련 서비스 정보에 대응하는 다수의 전자장치들을 동일한 AP(Access Point)에 접속하도록 유도한 후 교육 또는 회의 진행을 위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근거리통신은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통신, 가시광통신, 인체통신 혹은 매개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중 하나일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설명에서 블루투스 통신 특히, BLE(Bluetooth Low Energy) 기술을 이용하여 광고(advertising) 메시지를 방송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겠지만, 상기 광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근거리통신은 블루투스 통신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근거리통신 방식이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통신을 이용한 전자장치들간 연결 시나리오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a)을 참조하면, 특정 공간의 해당 학급에 교사 전자장치(100)(또는 제1 전자장치)와 다수의 학생 전자장치들(150)(또는 제2 전자장치)들이 있으며, 교사 전자장치(100)는 IEEE 802.11 계열의 무선통신방식에 기반하여 무선 AP(110)에 접속되어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학생 전자장치들(150) 중 일부는 교사 전자장치(100)가 접속되어 있는 동일한 무선 AP(110)에 접속되거나 다른 일부 학생 전자장치들은 다른 무선 AP(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교사 전자장치(100)는 수업진행을 위해서 상기 다수의 학생 전자장치들(150)이 상기 무선 AP(110)에 접속할 수 있도록, 상기 도 1(b)과 같이, 연결정보 및 관련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 BLE 광고 메시지를 방송할 수 있다.
상기 연결정보는 상기 교사 전자장치(100)가 접속되어 있는 AP(110)의 MAC 주소 또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또는 상기 교사 전자장치(100)의 IP 주소 및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관련 서비스 정보는 수업진행/회의진행/파일공유와 같은 서비스의 고유 식별자(ID) 또는 고유 이름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c)과 같이, 특정 공간의 해당 학급에 있는 상기 다수의 학생 전자장치들(150)은 상기 BLE 광고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AP(110)에 접속한 후 상기 교사 전자장치(100)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이미 상기 무선 AP(110)에 접속되어 있는 학생 전자장치들은 상기 무선 AP(110)에 접속하기 위한 절차를 생략하고, 바로 상기 교사 전자장치(100)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 TCP 연결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전송전 통신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으로써, 서버는 상기 교사 전자장치(100)가 되고 클라이언트는 학생 전자장치(150)가 될 수 있다.
전자장치(100, 105)는,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이동 패드(mobile pad),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서버, 퍼스널 컴퓨터 등과 같은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들 중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결합한 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전자 장치일 수도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전자장치는 제어기(200), 스피커/마이크로폰(210), 카메라(220), GPS 수신기(230), RF 처리기(240), 센서모듈(250), 터치스크린(260), 터치스크린 제어기(265), 확장 메모리(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200)는, 인터페이스(20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2, 203) 그리고 내부 메모리(204)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어기(200) 전체를 프로세서로 칭하기도 한다. 인터페이스(201),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2), 통신 프로세서(203), 내부 메모리(204)는 별개의 구성요소일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집적화된 회로에 집적화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202)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자장치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고 통신 프로세서(203)는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프로세서(202, 203)는 확장 메모리(270) 혹은 내부 메모리(204)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한 소프트웨어 모듈(명령어 세트)을 실행하여 그 모듈에 대응하는 특정한 여러 가지의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도 한다. 즉, 프로세서(202, 203)는 확장 메모리(270) 혹은 내부 메모리(204)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들과 연동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들간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하기 도 6 내지 하기 도 9 및 하기 도 14 내지 하기 도 15).
또한, 프로세서(202, 203)는 다수 연결정보를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하기 도 10 내지 하기 도 11 참조).
또한, 프로세서(202, 203)는 스캐닝 채널 선택을 제어(도 16(a) 내지 도 16(b) 참조) 및 서비스 연결 후 상기 서비스를 주관하는 사용자의 권한을 위임하도록 제어(도 17(a) 내지 도 17(b) 참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장치들간 연결 제어 및 다수 연결정보를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 스캐닝 채널을 선택하는 제어, 및 서비스 연결 후 상기 서비스를 주관하는 사용자의 권한을 위임하는 제어는 다수의 기능블록으로 세분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예: 제어부, 송신부, 수신부, 선택부, 결정부 등등).
인터페이스(201)는 전자장치의 터치 스크린 제어기(265) 및 확장 메모리(270)에 연결시킨다. 센서모듈(250)은 인터페이스(201)에 결합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움직임 센서 및 광센서가 인터페이스(201)에 결합되어 각각 전자 장치의 움직임 감지 및 외부로부터의 빛 감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위치측정 시스템, 온도센서 또는 생체 센서 등과 같은 기타 센서들이 인터페이스(250)에 연결되어 관련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부(720)는 인터페이스(201)를 통해 센서모듈(250)과 결합하여, 사진 및 비디오 클립 레코딩과 같은 카메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RF 처리기(240)는 통신 기능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통신 프로세서(203)의 제어하에 RF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통신 프로세서(203)로 제공하거나 통신 프로세서(203)로부터의 기저대역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여기서, 통신 프로세서(203)는 다양한 통신방식에 기저대역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통신방식은, 이들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통신방식,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통신방식,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방식,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방식,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방식,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방식, Wi-Fi(Wireless Fidelity) 통신방식, WiMax 통신방식 또는/및 Bluetooth 통신방식, 적외선통신방식, 가시광통신방식, 인체통신방식 혹은 매개통신방식, 지그비(Zigbee) 통신방식, NFC 통신방식, RFID 통신방식이다.
스피커/마이크로폰(210)은 음성 인식, 음성 복제, 디지털 레코딩(recording) 및 전화 기능과 같은 오디오 스트림의 입력과 출력을 담당할 수 있다. 즉, 스피커/마이크로폰(210)은 음성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거나 전기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탈부착 가능한(attachable and detachable) 이어폰(ear phone), 헤드폰(head phone) 또는 헤드셋(head set)이 외부포트를 통해 전자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제어기(265)는 터치스크린(260)에 결합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260) 및 터치 스크린 제어기(265)는, 이하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터치스크린(260)과의 하나 이상의 접촉점을 결정하기 위한 용량성, 저항성, 적외선 및 표면 음향파 기술들뿐만 아니라 기타 근접 센서 배열 또는 기타 요소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멀티 터치 감지 기술을 이용하여 접촉 및 움직임 또는 이들의 중단을 검출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260)은 전자장치와 사용자 사이에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터치스크린(260)은 표시 패널과 터치 패널을 포함하며, 이러한 터치스크린(260)은 표시 패널 전면에 터치 패널이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터치스크린(260)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전자장치에 전달한다. 또한 전자 장치로부터의 출력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매개체이다. 즉,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보여준다. 이러한 시각적 출력(visual output)은 텍스트(text), 그래픽(graphic), 비디오(video)와 이들의 조합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터치스크린(260)은 여러 가지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또는 FLED(Flexible LED)를 사용할 수 있다.
GPS 수신기(230)는 인공위성으로부터 받은 신호를 위치, 속도, 시간 등의 정보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위성과 GPS 수신기간 거리는 빛의 속도와 신호도달 시간을 곱하면 계산되며, 3개 위성의 정확한 위치와 거리를 구하여 공지된 삼각측량의 원리로 전자장치의 위치가 측정된다.
확장 메모리(270) 혹은 내부 메모리(204)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와 같은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하나 이상의 광 저장 장치 및/또는 플래시 메모리(예컨대, NAND, NOR)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 메모리(270) 혹은 내부 메모리(204)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통신 소프트웨어 모듈, 그래픽 소프트웨어 모듈,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모듈 및 MPEG 모듈, 카메라 소프트웨어 모듈,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모듈 등을 포함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인 모듈은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모듈을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모듈은 또한 프로그램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는 일반적인 시스템 동작(system operation)을 제어하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의 제어는, 예를 들면, 메모리 관리 및 제어, 저장 하드웨어(장치) 제어 및 관리, 전력 제어 및 관리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는 여러 가지의 하드웨어(장치)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모듈) 사이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통신 소프트웨어 모듈은, RF 처리기(240)를 통해 컴퓨터, 서버 및/또는 휴대용 단말기 등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소프트웨어 모듈은, 해당 통신방식에 해당하는 프로토콜 구조로 구성된다.
그래픽 소프트웨어 모듈은 터치스크린(260) 상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그래픽(graphics)이란 용어는 텍스트(text), 웹 페이지(web page), 아이콘(icon), 디지털 이미지(digital image), 비디오(video), 애니메이션(animation)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모듈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어떻게 변경되는지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의 변경이 어떤 조건에서 이루어지는지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카메라 소프트웨어 모듈은 카메라 관련 프로세스 및 기능들을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 관련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모듈은 렌더링 엔진을 포함하는 웹브라우저(browser), 이메일(email), 즉석 메시지(instant message), 워드 프로세싱(word processing), 키보드 에뮬레이션(keyboard emulation), 어드레스 북(address book), 접촉 리스트(touch list), 위젯(widget),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 Management),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음성 복제, 위치 결정 기능(position determining function),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270, 204)는 위에서 기술한 모듈 이외에 추가적인 모듈(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필요에 따라, 일부의 모듈(명령어들)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모듈은 전자장치들간 연결을 명령어들(하기 도 6 내지 하기 도 9 및 하기 도 14 내지 하기 도 1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모듈은 다수 연결정보를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명령어들(하기 도 10 내지 하기 도 11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모듈은 스캐닝 채널 선택을 위한 명령어들(도 16(a) 내지 도 16(b) 참조) 및 서비스 연결 후 상기 서비스를 주관하는 사용자의 권한을 위임하기 위한 명령어들(도 17(a) 내지 도 17(b)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교육진행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전자장치들간 연결을 위한 신호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학생 전자장치는 300단계에서 교사 전자장치로부터 BLE 광고를 수신하기 위해 스캐닝을 시작할 수 있다.
한편, 교사 전자장치는 302단계에서 수업시작 시 BLE 광고를 시작한다. 다시 말해, 교사 전자장치는 학급이름, 수업명칭 또는 수업 식별자, 교사 전자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AP의 MAC 주소 또는 SSID, 그리고 교사 전자장치의 IP 주소 및 포트 정보 중 최소 하나를 포함한 광고 메시지를 방송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인접한 장소에서 다른 교사 전자장치에 의해 광고 메시지가 더 방송될 수 있다.
이후 학생 전자장치는 303단계에서 수신된 다수의 광고 메시지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304단계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광고 메시지 목록으로부터 해당 학급과 관련한 광고 메시지를 선택하고, 305단계에서 선택된 광고 메시지를 이용하여 교사 전자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동일한 AP에 접속할 수 있다. 이미 학생 전자장치가 교사 전자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동일한 AP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305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해당 학급과 관련한 광고 메시지는 사전 정보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후, 교사 전자장치와 학생 전자장치는 306단계에서 교사 전자장치의 IP 주소 및 포트를 이용하여 TCP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교사 전자장치는 307단계에서 TCP 연결을 통해 수업시작 준비를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교사 전자장치는 학급의 학생 전자장치들이 출석 여부 및 리포트 제출 여부 또는 수업자료 전송을 시작할 수 있다.
한편, 교사 전자장치는 308단계에서 학급의 모든 학생 전자장치들이 연결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BLE 광고를 중지할 수 있다.
또한, 310단계에서 제1 학생 전자장치와 교사 전자장치 사이 연결이 끊길 때, 312단계에서 기존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재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 재접속 시도가 실패시, 교사 전자장치는 314단계에서 연결이 끊긴 제1 학생 전자장치를 수업에 참여시키기 위해 BLE 광고메시지 방송을 다시 시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1 학생 전자장치와 교사 전자장치 사이 연결이 끊길 때, 312단계를 생략하고 바로 BLE 광고 메시지 방송을 다시 시작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회의진행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전자장치들간 연결을 위한 신호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회의참여자 전자장치는 400단계에서 회의주관자 전자장치로부터 BLE 광고를 수신하기 위해 스캐닝을 시작할 수 있다.
한편, 회의주관자 전자장치는 402단계에서 회의시작 시 BLE 광고를 시작한다. 다시 말해, 회의주관자 전자장치는 회의명칭 또는 회의 식별자, 회의주관자 전자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AP의 MAC 주소 또는 SSID, 그리고 회의주관자 전자장치의 IP 주소 및 포트 정보 중 최소 하나를 포함한 광고 메시지를 방송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인접한 장소에서 다른 회의주관자 전자장치에 의해 광고 메시지가 더 방송될 수 있다.
이후 회의참여자 전자장치는 403단계에서 수신된 다수의 광고 메시지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404단계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광고 메시지 목록으로부터 해당 회의와 관련한 광고 메시지를 선택하고, 405단계에서 선택된 광고 메시지를 이용하여 회의주관자 전자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동일한 AP에 접속할 수 있다. 이미 회의참여자 전자장치가 회의주관자 전자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동일한 AP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405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해당 회의와 관련한 광고 메시지는 사전 정보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후, 회의주관자 전자장치와 회의참여자 전자장치는 406단계에서 회의주관자 전자장치의 IP 주소 및 포트를 이용하여 TCP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회의주관자 전자장치는 407단계에서 TCP 연결을 통해 회의시작 준비를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의주관자 전자장치는 회의참석자들이 출석 여부 및 회의 자료 전송을 시작할 수 있다.
한편, 회의주관자 전자장치는 408단계에서 회의실의 모든 참석자 전자장치들이 연결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BLE 광고를 중지할 수 있다.
또한, 410단계에서 제1 회의참석자 전자장치와 회의주관자 전자장치 사이 연결이 끊길 때, 412단계에서 기존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재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 재접속 시도가 실패시, 회의주관자 전자장치는 414단계에서 연결이 끊긴 제1 참석자 전자장치를 회의에 참여시키기 위해 BLE 광고메시지 방송을 다시 시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1 참석자 전자장치와 주관자 전자장치 사이 연결이 끊길 때, 412단계를 생략하고 바로 BLE 광고 메시지 방송을 다시 시작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일 공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전자장치들간 연결을 위한 신호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전자장치(클라이언트 전자장치라 칭함)는 500단계에서 서버에 대응하는 전자장치(서버 전자장치라 칭함)로부터 BLE 광고를 수신하기 위해 스캐닝을 시작할 수 있다.
한편, 서버 전자장치는 502단계에서 공유시작 시 BLE 광고를 시작한다. 다시 말해, 서버 전자장치는 서버명칭 또는 서버 식별자, 서버 전자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AP의 MAC 주소 또는 SSID, 그리고 서버 전자장치의 IP 주소 및 포트 정보 중 최소 하나를 포함한 광고 메시지를 방송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인접한 장소에서 다른 서버 전자장치에 의해 광고 메시지가 더 방송될 수 있다.
이후 클라이언트 전자장치는 503단계에서 수신된 다수의 광고 메시지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504단계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광고 메시지 목록으로부터 해당 서버와 관련한 광고 메시지를 선택하고, 505단계에서 선택된 광고 메시지를 이용하여 서버 전자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동일한 AP에 접속할 수 있다. 이미 클라이언트 전자장치가 서버 전자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동일한 AP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505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해당 서버와 관련한 광고 메시지는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후, 서버 전자장치와 클라이언트 전자장치는 506단계에서 서버 전자장치의 IP 주소 및 포트를 이용하여 TCP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서버 전자장치는 507단계에서 TCP 연결을 통해 파일 공유를 시작할 수 있다.
한편, 서버 전자장치는 508단계에서 파일공유의 모든 클라이언트 전자장치들이 연결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BLE 광고를 중지할 수 있다.
또한, 510단계에서 클라이언트 전자장치와 서버 전자장치 사이 연결이 끊길 때, 512단계에서 기존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재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 재접속 시도가 실패시, 서버 전자장치는 514단계에서 연결이 끊긴 클라이언트 전자장치를 파일공유에 참여시키기 위해 BLE 광고메시지 방송을 다시 시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클라이언트 전자장치와 서버 전자장치 사이 연결이 끊길 때, 512단계를 생략하고 바로 BLE 광고 메시지 방송을 다시 시작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 3 내지 상기 도 5에서, 탐색(Discovery)을 처음 시도하는 전자장치(예: 학교에서 수업을 시작하는 교사의 전자장치, 회사에서 회의를 주관하는 전자장치, 멀티미디어 파일을 공유하는 전자장치)는 광고(advertising) 모드로 진입하여 BLE 광고를 방송할 수 있다.
상기 광고 모드는 교사 전자장치 또는 회의주관자 전자장치가 특정 학급 또는 특정 회의실에 위치할 때, 자동으로 천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교사 전자장치와 학생 전자장치 사이 또는 회의주관자 전자장치와 참석자 전자장치 사이 협상절차를 통해, 교사 전자장치 또는 회의주관자 전자장치가 상기 광고 모드로 천이될 수도 있다.
반면, 상기 학생 전자장치 또는 상기 회의참여자 전자장치는 광고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스캐닝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학생 전자장치 또는 상기 회의참여자 전자장치는 광고 메시지를 수신하여, 특정 AP에 접속한 후 광고 메시지에 포함된 교사/회의 주관자/파일 공유자의 전자장치의 IP 주소 및 포트 번호를 이용하여 TCP/UDP/Bluetooth등의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한편, TCP로 모두 연결이 되어 있기 때문에, 교사 전자장치 또는 회의 주관자 전자장치는 학생 전자장치 또는 회의참여자 전자장치의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교사 또는 회의주관자 전자장치에서 학생 또는 참여자 전자장치의 연결이 끊어졌다는 것을 감지할 때, 연결이 끊긴 학생 또는 참여자 전자장치가 수업/회의/파일 공유에 계속 참여하도록 BLE 광고 메시지를 다시 방송할 수 있다. 이때, 학생 또는 참여자 전자장치는 스캐닝 모드로 진입하여 BLE 광고 메시지를 다시 수신하여 연결을 재시도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들간 연결을 위한 제1 전자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특정 무선 AP에 접속된 제1 전자장치(예: 교사 전자장치, 회의참여자 전자장치, 파일공유 전자장치)는 600단계에서 근거리통신을 이용하여 무선 AP 접속에 필요한 정보 및 관련 서비스 정보를 방송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전자장치는 광고모드로 진입하여 서비스명칭 또는 서비스 식별자, 상기 제1 전자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AP의 MAC 주소 또는 SSID, 그리고 상기 제1 전자장치의 IP 주소 및 포트 정보 중 최소 하나를 포함한 BLE 광고 메시지를 방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 전자장치는 602단계에서 상기 특정 무선 AP을 통해 하나 이상의 제2 전자장치(예: 학생 전자장치, 회의참여자 전자장치, 클라이언트 전자장치)로부터 TCP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604단계에서 각각의 제2 전자장치의 TCP 연결 요청에 대해 응답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장치와 연결을 위한 제2 전자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제2 전자장치(예: 학생 전자장치, 회의참여자 전자장치, 클라이언트 전자장치)는 700단계에서 스캐닝 모드로 진입하여 근거리통신을 이용하여 무선 AP 접속에 필요한 정보 및 관련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전자장치는 스캐닝 모드로 진입하여 서비스명칭 또는 서비스 식별자, 상기 제1 전자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AP의 MAC 주소 또는 SSID, 그리고 상기 제1 전자장치의 IP 주소 및 포트 정보 중 최소 하나를 포함한 BLE 광고 메시지를 특정 무선 AP에 접속된 제1 전자장치(예: 교사 전자장치, 회의참여자 전자장치, 파일공유 전자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2 전자장치는 702단계에서 상기 특정 무선 AP을 통해 상기 제1 전자장치에 TCP 연결 요청을 전송하고 704단계에서 TCP 연결 요청에 대해 응답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WiFi의 연결을 할 경우 무선 AP에 연결하는 전자장치는 AP의 SSID(Service Set Identification)를 사용한다. 그리고, WiFi 로밍의 경우에는 이 SSID와 보안(security) 인증이 일치하는 경우에 대해 로밍을 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학교 또는 회사와 같이 특정 AP에 연결을 하기 위해 WiFi 로밍은 인접한 학급의 WiFi에 연결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수업 시작 시점에 학생 전자장치들에 WiFi 정보를 전달할 경우 SSID가 아닌 MAC 주소를 방송하여 동일한 SSID를 가지더라도 해당 학급에 있는 무선 AP로 연결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교사 전자장치와 학생 전자장치가 무선 AP에 연결된 시점에서 서버를 통해 필요한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학생-교사 연결/재연결/종료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주관자 전자장치와 참여자 전자장치들이 TCP 연결된 상태에서 참여자 전자장치의 연결이 끊어지면 주관자 전자장치는 이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주관자 전자장치는 어떤 참여자 전자장치의 연결이 끊어졌는지를 알고 다시 BLE 광고 메시지를 방송할 수 있다. 반면 참여자 전자장치는 수업 중에 연결이 끊어지면 이를 감지하여, 바로 스캐닝 모드로 변경하여 주관자 전자장치의 BLE 광고 메시지를 수신할 준비를 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들간 연결을 위한 제1 전자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특정 무선 AP에 접속된 제1 전자장치(예: 교사 전자장치, 회의참여자 전자장치, 파일공유 전자장치)는 800단계에서 근거리통신(예컨대 블루투스통신)이 동작상태인지 즉 인에이블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802단계에서 상기 제1 전자장치는 상기 근거리통신이 동작상태가 아닐 시, 80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근거리통신을 동작시키고 즉, 상기 근거리통신을 인에이블시키고 반면 상기 근거리통신이 동작상태일 때, 806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장치는 806단계에서 상기 근거리통신을 이용하여 무선 AP 접속에 필요한 정보 및 관련 서비스 정보를 방송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전자장치는 광고모드로 진입하여 서비스명칭 또는 서비스 식별자, 상기 제1 전자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AP의 MAC 주소 또는 SSID, 그리고 상기 제1 전자장치의 IP 주소 및 포트 정보 중 최소 하나를 포함한 BLE 광고 메시지를 방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 전자장치는 808단계에서 상기 특정 무선 AP을 통해 하나 이상의 제2 전자장치(예: 학생 전자장치, 회의참여자 전자장치, 클라이언트 전자장치)와 TCP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전자장치는 810단계에서 관련 제2 전자장치들(예컨대, 수업 또는 회의 참여자 전자장치들)이 모두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관련 제2 전자장치들이 모두 연결될 때, 812단계로 진행하여 BLE 광고 메시지 방송을 중지할 수 있고, 상기 관련 제2 전자장치들(예컨대, 수업 또는 회의 참여자 전자장치들)이 모두 연결이 안 될 때, 806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상기 관련 제2 전자장치들의 연결 여부와 상관없이, 주기적으로 계속 BLE 광고 메시지를 방송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제1 전자장치는 810단계에서 상기 관련 제2 전자장치들 중 특정 제2 전자장치의 연결이 끊겼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관련 제2 전자장치들 중 특정 제2 전자장치의 TCP 연결이 끊겼을 시 816단계로 진행하여 기존 TCP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재접속을 시도하고 TCP 연결이 끊기지 않을 시 812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전자장치는 818단계에서 재접속 실패시 806단계로 진행하여 서비스명칭 또는 서비스 식별자, 상기 제1 전자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AP의 MAC 주소 또는 SSID, 그리고 상기 제1 전자장치의 IP 주소 및 포트 정보 중 최소 하나를 포함한 BLE 광고 메시지를 다시 방송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상기 관련 제2 전자장치들 중 특정 제2 전자장치의 TCP 연결이 끊겼을 시, 기존 정보를 이용하여 재접속을 시도하지 않고 바로 연결정보 및 관련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 BLE 광고 메시지를 다시 방송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장치와 연결을 위한 제2 전자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제2 전자장치(예: 학생 전자장치, 회의참여자 전자장치, 클라이언트 전자장치)는 900단계에서 근거리통신(예컨대 블루투스통신)이 동작상태인지 즉 인에이블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902단계에서 상기 제2 전자장치는 상기 근거리통신이 동작상태가 아닐 시, 90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근거리통신을 동작시키고 즉, 상기 근거리통신을 인에이블시키고 반면 상기 근거리통신이 동작상태일 때, 906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제2 전자장치는 906단계에서 스캐닝 모드로 진입하여 근거리통신을 이용하여 무선 AP 접속에 필요한 정보 및 관련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전자장치는 스캐닝 모드로 진입하여 서비스명칭 또는 서비스 식별자, 상기 제1 전자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AP의 MAC 주소 또는 SSID, 그리고 상기 제1 전자장치의 IP 주소 및 포트 정보 중 최소 하나를 포함한 BLE 광고 메시지를 특정 무선 AP에 접속된 제1 전자장치(예: 교사 전자장치, 회의참여자 전자장치, 파일공유 전자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자장치는 다른 제1 전자장치로부터 BLE 광고 메시지를 더 수신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제2 전자장치는 908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장치로부터 수신한 BLE 광고 메시지 목록으로부터 해당 무선 AP 정보 및 관련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2 전자장치는 910단계에서 상기 특정 무선 AP을 통해 상기 제1 전자장치와 TCP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2 전자장치는 912단계에서 상기 제1 전자장치와 연결이 끊겼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제1 전자장치와 TCP 연결이 끊겼을 시 914단계로 진행하여 기존 TCP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재접속을 시도하고 TCP 연결이 끊기지 않을 시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전자장치는 916단계에서 재접속 실패시 906단계로 진행하여 서비스명칭 또는 서비스 식별자, 상기 제1 전자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AP의 MAC 주소 또는 SSID, 그리고 상기 제1 전자장치의 IP 주소 및 포트 정보 중 최소 하나를 포함한 BLE 광고 메시지를 다시 수신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상기 제1 전자장치와 TCP 연결이 끊겼을 시, 기존 정보를 이용하여 재접속을 시도하지 않고 바로 스캐닝 모드로 진입하여 연결정보 및 관련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 BLE 광고 메시지를 다시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BLE 광고 메시지의 경우 무선채널을 통해 방송되기 때문에, 무선전파가 수신되는 범위 안에서 누구나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학급 또는 회의실의 학생 또는 회의참여자 전자장치에서 이웃 학급의 수업 또는 다른 회의실의 회의에 참여할 수 있어서, 수업 또는 회의에 혼선이 야기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반 학생의 전자장치들 또는 다른 회의실의 참여자 전자장치들이 참여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
다른 수업 또는 다른 회의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먼저 학생 전자장치에 학급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 기저장된 학급정보하고 BLE 광고메시지에 포함된 관련 서비스정보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참여하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예컨대, 각 학급의 수업에 대한 정보는 각 수업의 고유번호(unique number)로 되어 있을 때, 학기초나 다른 수업을 통해서 미리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고유번호는 각 매학기, 매주, 매일, 매시간의 모든 수업들에 대해서 고유한 수업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교사 전자장치에서 BLE 광고 메시지가 방송되는 경우 고유한 학급 식별자(ID)를 직접 포함하거나, 상기 학급 식별자로 파생된 정보를 포함하는 구조로 학생 전자장치들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학생 전자장치서는 해당 시간에 기저장된 학급정보를 기준으로 교사의 고유한 수업정보와 매칭하여 해당 시간의 정보와 일치할 때 해당 학급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하기 도 11참조).
다른 수업 또는 다른 회의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학생 전자장치에 학급정보가 없는 경우, 학생 전자장치가 위치한 장소에 대한 정보를 WPS(WiFi Positioning System), NFC, BLE 태깅 등 다양한 실내 위치측정(indoor positioning) 방식으로 학생 전자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학급을 감지하고 교사전자장치가 방송하는 고유한 수업정보를 통해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학생 전자장치가 수업에 참여할지를 결정하게 된다(하기 도 10참조).
예를 들어, 도 13(a)과 같이, 학생 전자장치가 B학급 내에 있다고 가정할 시, A학급의 교사 전자장치에서 방송하는 제1 BLE 광고 메시지와 인접한 B학급의 교사 전자장치에서 방송하는 제2 광고 메시지를 동시에 수신할 때, 도 13 (b)과 같이, B학급 학생의 전자장치는 위치추정을 통해(즉, 자신이 B학급에 위치했음을 감지), 제1 및 제2 BLE 광고 메시지 중 B학급에 해당하는 제2 BLE 광고 메시지를 선택하여 연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다양할 실시 예에서, 다른 수업 또는 다른 회의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BLE 광고 메시지를 인접한 학급끼리는 동일한 스캐닝 채널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하기 <표 1>과 같이 3개의 물리적인 스캐닝 채널을 공간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1 3 1
2 1 2
3 2 3
즉, 각 채널간의 학급 식별자를 통해 각 학급의 위치와 시간을 기반으로 교사의 전자장치는 인접한 학급의 경우 서로 겹치지 않도록 스캐닝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학생 전자장치들이 모든 채널을 스캐닝하든, 아니면 자기 학급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채널만을 스캐닝하든 학생 전자장치 입장에서는 다른 학급의 교사 전자장치에 접속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표 1>은 최대한 서로 겹치지 않도록 3개의 채널을 배치한 실시 예이다. 하지만, BLE 광고메시지 방송을 위한 채널이 n개인 경우에도 확대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다수 연결정보를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제2 전자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전자장치는 1000단계에서 WPS, NFC, BLE 태깅 등 다양한 실내 위치측정(indoor positioning) 방식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고, 1002단계에서 관련 서비스가 진행되는 장소(예컨대, 특정 학급 또는 특정 회의실)의 위치를 확인하고, 1004단계 위치에 맞는 무선 AP 정보 및 관련 서비스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전자장치는 B학급에 위치해 있으며, 인접한 A학급 및 B학급으로부터 BLE 광고 메시지들을 각각 수신할 때, 자신이 B학급에 위치해 있음을 인지하고 B학급에 해당하는 BLE 광고 메시지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참여하고자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수신된 관련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연결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제2 전자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제2 전자장치는 1100단계에서 기설정된 정보를 기반하여, 사용자가 참여하는 수업 또는 회의를 확인하고, 1102단계에서 수신된 BLE 광고 메시지 내의 관련 서비스 정보과 상기 기설정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BLE 광고 메시지의 관련 서비스와 사용자가 참여하려는 서비스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BLE 광고 메시지의 관련 서비스와 사용자가 참여하려는 서비스가 일치할 시, 1104단계에서 수신된 BLE 광고 메시지 내의 연결정보(예컨대, AP의 MAC 주소, SSID, 수업 또는 회의 주관자 전자장치의 IP 주소 및 포트 정보)를 이용하여 연결을 시도하고, 1106단계에서 일치하지 않을 시, 다른 BLE 광고 메시지 내의 다른 관련 서비스 정보를 수신대기할 수 있다.
상기 도 1 내지 상기 도 11은 초기 BLE 광고 메시지를 이용하여 연결을 시도할 시, BLE 기능이 인에이블(enable) 상태임을 가정하였지만, BLE 기능이 디스에이블(disable) 상태에 있을 수 있다. 하기 도 12에서는 BLE 기능이 디스에이블(disable) 상태에서의 전자장치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통신을 인에이블(enble)시키는 방법 및 시점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2(a)를 참조하면, 블루투스 기능이 디스에이블 상태인 제2 전자장치는 회의/수업/파일공유가 시작되는 시점에 각 장소에 배치된 LED(Light Emitting Diode)등을 통해 가시광통신으로 연결이 되어 있는 경우, 회의/수업/파일공유에 필요한 BLE 기능을 인에디블 상태로 진입시킬 수 있다. 시간과 가시광통신을 감지하면, 상기 도 12(c)와 같이 BLE 기능을 동작상태 시켜 BLE 스캐닝 모드로 변경하도록 유도하여 주관자 제1 전자장치로부터 방송되는 BLE 광고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BLE 기능을 이용하지 않고 가시광통신을 이용하여 직접 탐색을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도 12(b)와 같이, 참여자 전자장치들 주위에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를 부착하여 주관자 전자장치의 NFC 태그와 가까운 곳에 놓았을 시에 NFC 통신을 통해 감지하여 BLE 기능을 인에이블 상태로 천이시켜 상기 도 12(c)와 같이 해당 전자장치의 스캐닝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도 12(a) 및 상기 도 12(b)는 가시광통신 또는 NFC 태그를 이용하여 BLE 기능을 온(on)시켜 BLE 스캐닝 모드로 동작하는 일종의 예이다. 또한, 인체 통신이 가능한 전자장치의 경우 주관자 본인의 전자장치를 터치한 채 참여자의 전자장치를 직접 터치하여 자동으로 BLE 기능을 동작상태로 진입시킬 수도 있다.
또 다른 다양한 실시 예에서, 수업 시간 또는 회의 시간을 설정해 놓은 경우, 특정시간에 자동으로 BLE 기능을 인에이블시킬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NFC 통신, 가시광통신, 사운드 통신, 인체통신방식 외에 다른 방식의 여러 센서 혹은 연결(connectivity) 방식들을 활용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위치에 따라 연결정보 및 관련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예시도이다.
도 13(a)을 참조하면, A학급의 교사 전자장치와 B학급의 교사 전자장치는 각각 광고 모드로 천이하여 BLE 광고 메시지를 방송하고 B학급의 학생 전자장치는 스캐닝 모드에서 A학급 및 B학급의 교사 전자장치로부터 BLE 광고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3(b)을 참조하면, B학급의 학생 전자장치는 기저장된 학급정보를 이용하여 A학급 및 B학급의 교사 전자장치로부터 BLE 광고 메시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기저장된 학급정보가 없는 경우 B학급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BLE 광고 메시지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B학급의 학생 전자장치는 자신이 속해 있는 학급의 BLE 광고 메시지를 선택하여 BLE 광고 메시지 내의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AP에 접속하여 B학급의 교사 전자장치와 TCP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한편, 수업 또는 회의 중에 추가로 다른 참여자 전자장치가 진입할 수 있다. 하기 도 14 내지 하기 도 15는 수업/회의/파일 공유 중 추가되는 참여자 전자장치가 진입하는 경우에 대한 동작 방법에 대한 것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전자장치의 참여정보에 대응하여 연결정보를 방송하는 제1 전자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4를 참조하면, 제1 전자장치는 1400단계에서 수업/회의/파일공유가 시작된 이후, 주기적으로 스캐닝 모드로 전환하여 참여하려는 전자장치의 정보를 스캐닝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장치는 1402단계에서 제2 전자장치로부터 참여정보를 포함한 광고메시지를 수신하고 1404단계에서 참여자 전자장치가 있는 경우 스캐닝 모드에서 광고모드로 천이하여 연결정보를 포함한 BLE 광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참여정보 방송 후 연결정보를 수신하는 제2 전자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5를 참조하면, 제2 전자장치는 1500단계에서 수업/회의/파일공유가 시작된 후 참여하지 못했을 시에, 광고모드(advertising mode)로 천이하여 자신이 참여하고자 하는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 광고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방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2 전자장치는 1502단계에서 광고 메시지를 전송한 후 일정시간 이후에 스캐닝 모드로 전환하여 제1 전자장치로부터 BLE 광고 메시지를 수신대기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전자장치는 1504단계에서 제1 전자장치로부터 해당 BLE 광고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제2 전자장치는 광고모드(advertising mode)와 스캐닝 모드 사이를 반복적으로 천이한다. 즉, 해당 BLE 광고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1500단계 및 1502단계를 계속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자장치의 광고 모드에서 전송하는 메시지는 모드 변경 정보(예컨대, 상기 제2 전자장치가 광고모드에서 스캐닝모드로 천이하는 시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장치는 제2 전자장치들이 모두 참여하지 않았을 시에 주기적으로 스캐닝 모드로 전환하여 참여를 원하는 참여자 전자장치들이 진입하는 경우 연결(connectivity) 정보, P2P 연결 정보를 광고함으로써, 해당 참여자 전자장치들과의 연결을 유도할 수 있다.
다른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1 전자장치는 주기적으로 참여정보를 포함한 BLE 광고 메시지를 방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전자장치는 참여자 전자장치들 모두 연결될 때까지 주기적으로 BLE 광고 메시지를 방송하여 추가로 다른 제2 전자장치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제2 전자장치는 BLE 기능이 동작하는 시점에 바로 스캐닝 모드로 변경되어 BLE 광고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수업/회의/파일 공유를 진행하는 주관자 제1 전자장치는 연결을 유지하면서 시분할(time sharing) 방식으로 광고 메시지를 방송할 수 있다.
도 16(a) 내지 도 16(b)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캐닝 채널 선택을 위한 제1 전자장치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6(a)을 참조하면, 제1 전자장치는 1600단계에서 BLE 광고 메시지 방송을 위한 채널을 선택하기 위해, 채널스캐닝을 수행하고, 1602단계에서 방송채널의 신호가 없거나 가장 약한 채널을 검색하고, 1604단계에서 BLE 광고 메시지 방송을 위한 채널로, 방송채널의 신호가 없거나 가장 약한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도 16(b)을 참조하면, 제1 전자장치는 1601단계에서 하기 <표 1>과 같이 인접 채널과 겹치기 않게 방송채널들이 할당될 때, 1603단계에서 인접 채널과 겹치지 않게 할당된 방송채널을 스캐닝 채널로 선택할 수 있다.
주관자 전자장치가 수업/회의/파일공유 중간에 서비스가 불가능하거나 다른 대리인 전자장치에 주관자 역할을 맡겨야 하는 경우 자동으로 또는 임의로 주관자 역할을 다음 인원에게 인계할 수 있다.
하기 도 17(a) 내지 도 17(b)은 네트워크 구성원 중 1명에게 주관자의 권한을 인계하거나 타 그룹 멤버에게 위임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a) 내지 도 17(b)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연결 후 상기 서비스를 주관하는 사용자의 권한을 위임하는 전자장치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7(a)을 참조하면, 제1 전자장치는 1700단계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대체 전자장치를 선택하고 1702단계에서 선택한 전자장치로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1704단계에서 주관자 변경 정보를 알려준다.
한편, 제2 전자장치(즉, 대체 전자장치로 선정된 전자장치)는 1701단계에서 주관자 변경 정보를 수신하고, 1703단계에서 주관자 모드로 전환하여 1705단계에서 다른 사용자 전자장치들과 연결을 재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도 3 내지 상기 도 5와 같이, 상기 제2 전자장치는 연결정보를 포함한 BLE 광고 메시지를 방송하여 다른 사용자 전자장치들과 TCP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한편, 최초 연결이 완료되었을 시에 다음 주관자 후보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미리 전달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자료 전달하는 과정은 수업/회의/파일 공유 시작과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전달 후 수업/회의/파일 공유 시작이 수행될 수 있다.
만약 특정 대체자 멤버를 기설정하지 않았다고 한다면, 자동으로 임의의 멤버를 결정(예, IP 주소의 순서, 현재 남아있는 배터리 용량 확인, 무선채널 상태 등등)해서 방송하여 재연결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및/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발명의 청구항 및/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비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에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전자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휴대용 전자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00: 제어기, 210: 스피커/마이크로폰
220: 카메라, 230: GPS 수신기
240: RF 처리기, 250: 센서모듈
260: 터치스크린, 265: 터치스크린 제어기
270: 외부 메모리

Claims (34)

  1. 서비스 연결을 위한 제1 전자장치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근거리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전자장치가 접속해 있는 무선 AP(Access Point) 접속에 필요한 연결정보 및 관련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메시지를 방송하는 동작;
    상기 무선 AP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장치로부터 연결요청들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AP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장치의 상기 연결요청들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연결응답을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정보는 상기 무선 AP의 MAC 주소, SSID(Service Set IDentifier), 상기 제1 전자장치의 IP 주소 및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관련 서비스 정보는 서비스 명칭, 식별자, 시간, 장소, 개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통신은 BLE(Bluetooth Low Energy) 기능을 포함한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통신, 가시광통신, 인체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중 하나인 것을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통신이 인에이블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근거리통신이 인에이블 상태가 아닐 시, 상기 근거리통신을 인에이블 상태로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채널 스캐닝을 통해 방송채널 신호가 없거나 스캔된 방송채널 중 가장 낮은 방송채널을 선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방송하기 위한 채널은 인접채널들과 겹치지 않게 할당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AP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장치와 연결을 수행하고, 스캐닝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
    상기 스캐닝 모드에서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관련 서비스에 참여 여부를 포함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관련 서비스에 참여 여부를 포함한 메시지를 수신할 시, 상기 제1 전자장치가 접속해 있는 무선 AP 접속에 필요한 연결정보 및 관련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메시지를 방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서비스에 대응하는 전체 제2 전자장치들과 모두 연결이 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관련 서비스에 대응하는 전체 제2 전자장치들과 모두 연결이 될 시, 상기 메시지 방송을 중지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AP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장치와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장치와 연결 중 연결이 끊겼는 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장치와 연결 중 어느 하나가 끊긴 경우, 상기 끊긴 연결에 대응하는 제2 전자장치와 재접속을 시도하는 동작;
    상기 재접속이 실패할 시, 상기 제1 전자장치가 접속해 있는 무선 AP 접속에 필요한 연결정보 및 관련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메시지를 방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1. 서비스 연결을 위한 제2 전자장치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근거리통신을 이용하여, 제1 전자장치가 접속해 있는 무선 AP(Access Point) 접속에 필요한 연결정보 및 관련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무선 AP를 통해, 상기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전자장치에 연결요청을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AP를 통해, 상기 제1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연결요청에 대한 연결응답을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정보는 상기 무선 AP의 MAC 주소, SSID(Service Set IDentifier), 상기 제1 전자장치의 IP 주소 및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관련 서비스 정보는 서비스 명칭, 식별자, 시간, 장소, 개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통신은 BLE(Bluetooth Low Energy) 기능을 포함한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통신, 가시광통신, 인체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중 하나인 것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통신이 인에이블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근거리통신이 인에이블 상태가 아닐 시, 상기 근거리통신을 인에이블 상태로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장치와 연결을 수행하기 전에, 전송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
    상기 전송 모드에서 상기 관련 서비스에 참여할 것임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
    상기 메시지 전송 후, 상기 전송 모드에서 상기 스캐닝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제2 전자장치가 접속해 있는 무선 AP 접속에 필요한 연결정보 및 관련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AP를 통해, 상기 제1 전자장치와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전자장치와 연결 중 연결이 끊겼는 지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제1 전자장치와 연결이 끊긴 경우, 이전 수신된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재접속을 시도하는 동작;
    상기 재접속이 실패할 시, 상기 제1 전자장치가 접속해 있는 무선 AP 접속에 필요한 연결정보 및 관련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program)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근거리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전자장치가 접속해 있는 무선 AP(Access Point) 접속에 필요한 연결정보 및 관련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메시지를 방송하고,
    상기 무선 AP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장치로부터 연결요청들을 수신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제1 전자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무선 AP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장치의 상기 연결요청들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연결응답을 전송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제1 전자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정보는 상기 무선 AP의 MAC 주소, SSID(Service Set IDentifier), 상기 제1 전자장치의 IP 주소 및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관련 서비스 정보는 서비스 명칭, 식별자, 시간, 장소, 개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전자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통신은 BLE(Bluetooth Low Energy) 기능을 포함한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통신, 가시광통신, 인체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중 하나인 것을 포함하는 제1 전자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근거리통신이 인에이블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근거리통신이 인에이블 상태가 아닐 시, 상기 근거리통신을 인에이블 상태로 변경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제1 전자장치.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채널 스캐닝을 통해 방송채널 신호가 없거나 스캔된 방송채널 중 가장 낮은 방송채널을 선택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제1 전자장치.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방송하기 위한 채널은 인접채널들과 겹치지 않게 할당되는 것을 포함하는 제1 전자장치.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무선 AP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장치와 연결을 수행하고, 스캐닝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스캐닝 모드에서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관련 서비스에 참여 여부를 포함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관련 서비스에 참여 여부를 포함한 메시지를 수신할 시, 상기 제1 전자장치가 접속해 있는 무선 AP 접속에 필요한 연결정보 및 관련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메시지를 방송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제1 전자장치.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관련 서비스에 대응하는 전체 제2 전자장치들과 모두 연결이 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관련 서비스에 대응하는 전체 제2 전자장치들과 모두 연결이 될 시, 상기 메시지 방송을 중지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제1 전자장치.
  27.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AP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장치와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장치와 연결 중 연결이 끊겼는 지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장치와 연결 중 어느 하나가 끊긴 경우, 상기 끊긴 연결에 대응하는 제2 전자장치와 재접속을 시도하고,
    상기 재접속이 실패할 시, 상기 제1 전자장치가 접속해 있는 무선 AP 접속에 필요한 연결정보 및 관련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메시지를 방송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제1 전자장치.
  28.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program)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근거리통신을 이용하여, 제1 전자장치가 접속해 있는 무선 AP(Access Point) 접속에 필요한 연결정보 및 관련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AP를 통해, 상기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전자장치에 연결요청을 전송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2 전자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무선 AP를 통해, 상기 제1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연결요청에 대한 연결응답을 수신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제2 전자장치.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정보는 상기 무선 AP의 MAC 주소, SSID(Service Set IDentifier), 상기 제1 전자장치의 IP 주소 및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관련 서비스 정보는 서비스 명칭, 식별자, 시간, 장소, 개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전자장치.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통신은 BLE(Bluetooth Low Energy) 기능을 포함한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통신, 가시광통신, 인체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중 하나인 것을 포함하는 제2 전자장치.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근거리통신이 인에이블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근거리통신이 인에이블 상태가 아닐 시, 상기 근거리통신을 인에이블 상태로 변경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제2 전자장치.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1 전자장치와 연결을 수행하기 전에, 전송 모드로 전환하는 동작;
    상기 전송 모드에서 상기 관련 서비스에 참여할 것임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메시지 전송 후, 상기 전송 모드에서 상기 스캐닝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제2 전자장치가 접속해 있는 무선 AP 접속에 필요한 연결정보 및 관련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제2 전자장치.
  34.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무선 AP를 통해, 상기 제1 전자장치와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전자장치와 연결 중 연결이 끊겼는 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전자장치와 연결이 끊긴 경우, 이전 수신된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재접속을 시도하고,
    상기 재접속이 실패할 시, 상기 제1 전자장치가 접속해 있는 무선 AP 접속에 필요한 연결정보 및 관련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제2 전자장치.
KR1020130123986A 2013-10-17 2013-10-17 전자장치들간 연결 방법 및 장치 KR102144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986A KR102144046B1 (ko) 2013-10-17 2013-10-17 전자장치들간 연결 방법 및 장치
US14/513,954 US9615312B2 (en) 2013-10-17 2014-10-14 Method for connec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5/476,332 US10117278B2 (en) 2013-10-17 2017-03-31 Method for connec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986A KR102144046B1 (ko) 2013-10-17 2013-10-17 전자장치들간 연결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665A true KR20150044665A (ko) 2015-04-27
KR102144046B1 KR102144046B1 (ko) 2020-08-13

Family

ID=52826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3986A KR102144046B1 (ko) 2013-10-17 2013-10-17 전자장치들간 연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9615312B2 (ko)
KR (1) KR1021440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2295A1 (ko) * 2017-12-05 2019-06-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외부 장치의 네트워크 셋업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754B1 (ko) * 2012-11-01 2019-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이용한 디바이스 연결 시스템 및 방법
US9538356B2 (en) * 2014-05-05 2017-01-03 Intel IP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bluetooth-based general service discovery
US9420407B2 (en) * 2014-06-06 2016-08-16 Em Microelectronic Marin S.A. Method and system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s via a bluetooth low energy advertise link
TWI581648B (zh) * 2015-01-12 2017-05-01 拓連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間之訊號傳輸方法及系統
JP2017033276A (ja) * 2015-07-31 2017-02-09 株式会社リコー 会議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9699815B2 (en) * 2015-09-28 2017-07-04 Hirschmann Automation And Control Gmbh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wireless coupling
US10405150B2 (en) * 2015-12-14 2019-09-03 Afero In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wireless traffic when connecting an IoT hub to an IoT device
KR102405694B1 (ko) * 2015-12-23 2022-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과 중계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WO2017171750A1 (en) * 2016-03-30 2017-10-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eting passcodes
US10165041B2 (en) * 2016-10-13 2018-12-25 Equalearning Corp. System and method for uninterrupted learning
WO2018074892A1 (ko) * 2016-10-21 2018-04-26 엘지전자(주)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206083B2 (en) * 2016-12-30 2019-02-12 Intel Corporation Using wireless display docking technology over infrastructure networks
CN107249220A (zh) * 2017-07-25 2017-10-13 上海与德科技有限公司 一种网络通讯的连接方法及装置
CN109996348B (zh) * 2017-12-29 2022-07-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智能眼镜与智能设备交互的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08449746B (zh) * 2018-06-14 2021-06-01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建立bt连接的方法、无线耳机及tws耳机
CN108990170B (zh) * 2018-07-20 2020-08-28 新华三技术有限公司 Mesh链路建立方法、装置、胖AP及存储介质
CN109872602A (zh) * 2019-04-16 2019-06-11 河南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音乐教学装置
US20220400365A1 (en) * 2019-04-29 2022-12-15 Arctec Mobile Inc. Ad hoc file and link sharing for nearby mobile devices
US10951243B2 (en) * 2019-07-26 2021-03-16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Wireless system having diverse transmission protocols
US11375356B2 (en) * 2019-10-02 2022-06-28 Bitstrata Systems Inc. Wireless communications protocol with disconnection tolerance
CN111031002B (zh) * 2019-11-20 2022-06-1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广播发现方法、广播发现装置及存储介质
CN112533304B (zh) * 2020-11-24 2023-10-20 锐捷网络股份有限公司 自组网络管理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CN113194445A (zh) * 2021-04-15 2021-07-30 厦门亿联网络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连接方法及装置
CN113660732B (zh) * 2021-10-20 2022-03-01 翱捷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耳机通信方法、系统及一种耳机
CN115277786A (zh) * 2022-08-11 2022-11-01 成都怡康科技有限公司 一种体测系统的组网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20240030400A (ko) * 2022-08-30 202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Easy Setup을 재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1491A (ko) * 2004-04-19 2005-10-24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
US20120202185A1 (en) * 2009-03-03 2012-08-09 E3 Llc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an educational setting
US20130080590A1 (en) * 2011-09-27 2013-03-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vent media file discovery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74261A1 (en) * 2008-09-24 2010-03-2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Providing access to multiple different services by way of a single network identifier
EP2317726A1 (en) 2009-11-03 2011-05-04 Nokia Corporation Transport independent service discovery
US20110289229A1 (en) 2010-05-05 2011-11-24 BridgeCo Inc. Methods and systems for wi-fi setup and configuration
US8554141B2 (en) 2010-06-24 2013-10-08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ulti-stage device filtering in a bluetooth low energy device
US20120052802A1 (en) 2010-08-24 2012-03-01 Nokia Corporation Advertisement of an existing wireless connection
US8539028B2 (en) 2010-11-05 2013-09-17 Logmein, Inc. Network-based quick connect meeting service
US8965284B2 (en) 2011-04-07 2015-02-24 Nokia Corporation Facilitating positioning through Bluetooth low energy wireless messaging
US20130089849A1 (en) * 2011-07-07 2013-04-11 Alexander Nixon Huang Wireless internet classroom environment (wice)
US20130122481A1 (en) * 2011-11-15 2013-05-16 Alan Neil Rovner System and Devices for Providing Real-Time Feedback on Student Test Performance and Test Quality
US20140362749A1 (en) * 2011-12-02 2014-12-11 No Strings Toys, Llc Wireless devices and control method
US9185652B2 (en) * 2011-12-22 2015-11-10 Broadcom Corporation Bluetooth low energy module systems and methods
US8601135B2 (en) * 2012-01-03 2013-12-03 Cisco Technology, Inc. Supporting WPS sessions using TCP-based connections
US9467818B2 (en) * 2012-01-04 2016-10-11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wireless access points using beacon frames
US9204368B2 (en) * 2012-04-30 2015-12-01 Calamp Corp. Dynamic beacon rates and fixed ad hoc modes in ad hoc networks
US20130344469A1 (en) * 2012-06-25 2013-12-2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Open Paradigm for Interactive Networked Educational Systems
US9307508B2 (en) * 2013-04-29 2016-04-05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yncronizing multiple electronic devi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1491A (ko) * 2004-04-19 2005-10-24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
US20120202185A1 (en) * 2009-03-03 2012-08-09 E3 Llc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an educational setting
US20130080590A1 (en) * 2011-09-27 2013-03-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vent media file discover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2295A1 (ko) * 2017-12-05 2019-06-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외부 장치의 네트워크 셋업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90066401A (ko) * 2017-12-05 2019-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의 네트워크 셋업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096112B2 (en) 2017-12-05 2021-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setting up network of external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08641A1 (en) 2017-07-20
US10117278B2 (en) 2018-10-30
US9615312B2 (en) 2017-04-04
KR102144046B1 (ko) 2020-08-13
US20150109897A1 (en) 2015-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4046B1 (ko) 전자장치들간 연결 방법 및 장치
US993985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rollable device in portable terminal
US20190029059A1 (en) System and method of connecting devices via wi-fi network
US11086359B2 (en) Peripherals in a wireless docking system
US20140047487A1 (en) Ad-hoc media presentation based upon dynamic discovery of media output devices that are proximate to one or more users
CN108449423B (zh) 连接交互平板的方法、装置、通信系统、终端和存储介质
JP6259158B2 (ja) スマートデバイス検出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95449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vering device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EP2757738B1 (en)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carrier means storing comunication control program
JP2017507628A (ja) 機器バインディング方法、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6383109B2 (ja) 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ネットワーク接続機器、端末、通信機器、ネットワーク接続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60014172A1 (en) Multiple user wireless docking
CN105100231A (zh) 智能设备位置信息的获取方法、设备和系统
US9571503B2 (en) Method for connecting to network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20079370A (ko)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US9094573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07005819B (zh) 无线通信设备的动态的基于邻近的组中的选择性用户交互
JP2018092666A (ja) ネットワーク上の客体検索方法及びシステム
CN105960827A (zh) 识别无线插接站的装置、系统和方法
US201301252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okering server an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executing the method
WO2017032065A1 (zh) 信息显示和发送方法、热点接入方法和系统
US10212488B2 (en) Channel-based method and system for relaying contents
JP2017103785A (ja) 位置情報サービスのための端末、無線信号検知装置及びサーバー
US20140087662A1 (en) Communicating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in stopped state
KR102158693B1 (ko) 비콘 신호를 이용한 전자 디바이스 간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