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0400A - Easy Setup을 재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 - Google Patents

Easy Setup을 재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0400A
KR20240030400A KR1020220109389A KR20220109389A KR20240030400A KR 20240030400 A KR20240030400 A KR 20240030400A KR 1020220109389 A KR1020220109389 A KR 1020220109389A KR 20220109389 A KR20220109389 A KR 20220109389A KR 20240030400 A KR20240030400 A KR 20240030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access point
user terminal
communication interface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9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성일
김진환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9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0400A/ko
Priority to PCT/KR2023/007485 priority patent/WO2024048917A1/ko
Priority to US18/216,121 priority patent/US20240073993A1/en
Publication of KR20240030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04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2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the thing itsel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본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 및 통신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와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액세스 포인트와의 재연결을 위한 스캔(scan)을 수행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Easy Setup을 재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 { ELECTRONIC APPARATUS, USER TERMINAL DEVICE FOR RE-PERFORMING EASY SETUP AND CONTROL METHODS THEREOF }
본 개시는 전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Easy Setup을 재수행하는 전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종류의 전자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IoT(internet of things) 기기가 보급되면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고 있다.
다만, 대다수의 IoT 기기들은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정보 전달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사용자가 IoT 기기들을 인터넷에 연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상과 같은 문제는 스마트폰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IoT 기기들이 인터넷에 연결되고 동시에 IoT 서버에 등록되는 과정을 스마트폰이 중재하는 방법을 통해 문제 해결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은 Easy Setup, onboarding 또는 commissioning으로 불린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와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재연결을 위한 스캔(scan)을 수행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재연결 요청을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Wi-Fi beacon frame 또는 BLE advertising packet을 수신하고, 상기 Wi-Fi beacon frame 또는 상기 BLE advertising packet가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신호를 임계 시간 동안 브로드캐스팅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임계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지 않으면 상기 신호를 다시 브로드캐스팅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Wi-Fi beacon frame 또는 BLE advertising packet을 브로드캐스팅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연결을 위한 easy setup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며,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통신 연결이 해제되었음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재연결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거나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연결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와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재연결을 위한 스캔(scan)을 수행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재연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Wi-Fi beacon frame 또는 BLE advertising packet을 수신하고, 상기 Wi-Fi beacon frame 또는 상기 BLE advertising packet가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전자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장치가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를 임계 시간 동안 브로드캐스팅하고, 상기 임계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지 않으면 상기 신호를 다시 브로드캐스팅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Wi-Fi beacon frame 또는 BLE advertising packet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 연결을 위한 easy setup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저장된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통신 연결이 해제되었음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전자 장치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재연결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그리고, 기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거나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연결 상태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asy Setup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장치들을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연결이 해제된 후의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asy Setup의 재수행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목적은 Easy Setup 후, 통신 연결이 해제됨에 따라 Easy Setup의 전체 동작 또는 일부 동작을 재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라는 표현은 "A" 또는 "B" 또는 "A 및 B"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 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asy Setup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IoT(Internet of Things) 장치들은 스마트폰과 같이 터치 스크린이 없는 경우가 많아 사용자 입력이 매우 제한적이며, 그에 따라 사용자들은 IoT 장치들을 인터넷에 연결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Easy Setup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IoT 장치를 인터넷에 연결하고 동시에 IoT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이며, onboarding 또는 commissioning이라고 불리고, 스마트폰과 스마트 TV와 같이 onboarding을 돕는 장치는 onboarding helper 또는 commissioner라고 불린다.
예를 들어, IoT 장치(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세탁기로 도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OOBE(out of box experience) 상태에서 Wi-Fi 상태를 soft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상태로 자동으로 변경하고, 특정 SSID로 beacon을 전송할 수 있다(Soft AP beaconing). 스마트폰은 특정 SSID를 검색(scan)하고, 연결(join)함으로써 스마트폰과 IoT 장치 간에 D2D(device to device)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D2D 채널을 통해 onboarding에 필요한 정보(액세스 포인트의 SSID/Passphrase/연결 타입 등)를 IoT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IoT 장치는 스마트폰으로부터 onboarding에 필요한 정보가 수신되면, soft 액세스 포인트를 턴 오프할 수 있다. IoT 장치는 스테이션 모드(station mode)를 턴 온하여 Wi-Fi 스캔을 수행하고,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할 수 있다. IoT 장치는 IoT 서비스를 위해 IoT 서버에 IoT 장치를 등록하고, IoT 장치와 IoT 서버 간에 D2S(device to server)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D2D 작업을 완료한 후, IoT 서버로부터 등록 완료 알림(notification)을 수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D2D 작업을 위해 IoT 장치가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IoT 장치는 BLE advertising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최초 Easy Setup 이후에는 더 이상 D2D 연결이 필요없거나 할 수 없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장치는 최초 Easy Setup 이후 Soft AP beaconing 및 BLE advertising을 중단할 수 있다.
다만, 액세스 포인트의 변경, 연결 해제 등의 이유로 다시 Easy Setup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D2D 통신 기능을 다시 켜는 방법을 통해 Easy Setup을 재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IoT 장치에 구비된 입력 버튼을 조작하여 IoT 장치가 Soft AP beaconing 또는 BLE advertising을 수행하고, 이상에서 설명한 Easy Setup 동작을 재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는 이상과 같은 일련의 동작에 대한 지식이 없어, Easy Setup 동작을 재수행하기 위한 조작은 사용자에게 어려운 문제일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시스템(1000)는 전자 장치(100), 사용자 단말 장치(200) 및 액세스 포인트(300)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100)는 IoT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보조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300)에 연결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세탁기, 냉장고, 냉동고, 식기세척기, 로봇 청소기 등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액세스 포인트(300)와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액세스 포인트(300)와의 재연결을 위한 스캔(scan)을 수행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전자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는 경우,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Easy Setup이 재수행되어 액세스 포인트(300)에 재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Easy Setup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전자 장치(100)가 액세스 포인트(300)에 연결되도록 보조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PC, 노트북, TV 등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Easy Setup을 수행하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무방하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와 액세스 포인트(300)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와 액세스 포인트(300)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사용자에게 통신 연결이 해제되었음을 안내하고, 전자 장치(100)를 액세스 포인트(200)로 재연결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최초 Easy Setup 과정에서 전자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저장해둘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전자 장치가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면, 전자 장치(100)가 액세스 포인트(300)에 재연결되도록 Easy Setup을 재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전자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동작을 통해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지 않고도 Easy Setup을 재수행하거나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제어하여 Easy Setup을 재수행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3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일 수 있다.
한편, Easy Setup을 재수행하는 동작은 도 1과 같은 전체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Easy Setup을 재수행하는 동작은 도 1의 전체 동작 중 일부 동작 또는 도 1의 전체 동작 중 일부를 변형한 동작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300)의 비번 또는 SSID가 변경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액세스 포인트(300)와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며, 액세스 포인트(300)와의 재연결을 위한 스캔을 수행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전자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전자 장치가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면, 액세스 포인트(300)의 변경된 비번 또는 변경된 SSID를 전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액세스 포인트(300)의 변경된 비번 또는 변경된 SSID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300)에 재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Easy Setup을 재수행하는 동작은 전자 장치(100)를 액세스 포인트(300)에 재연결하기 위한 전자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다양한 인터랙션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도 2에서는 전자 장치(100)가 액세스 포인트(300)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전자 장치(100)는 액세스 포인트(300)를 통해 IoT 서버로 연결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자 장치(100)가 액세스 포인트(300)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200) 또는 액세스 포인트(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통신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모듈이나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적외선 통신 모듈은 시 광선과 밀리미터파 사이에 있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근거리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기술에 따라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 모듈은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 지그비(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4G(4th Generation), 5G(5th Generation)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HDMI, DP, 썬더볼트, USB, RGB, D-SUB, DVI 등과 같은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LAN(Local Area Network) 모듈, 이더넷 모듈, 또는 페어 케이블, 동축 케이블 또는 광섬유 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로 구현되거나 복수의 통신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110)라는 표현으로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의 각 구성과 연결되어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디스플레이(미도시), 메모리(미도시) 등과 같은 구성과 연결되어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되거나 복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프로세서(120)라는 표현으로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의한 Easy Setup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300)에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액세스 포인트(300)와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액세스 포인트(300)와의 재연결을 위한 스캔(scan)을 수행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액세스 포인트(300)의 변경 등의 이유로 액세스 포인트(300)와의 통신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액세스 포인트(300)와의 재연결을 위한 스캔을 수행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액세스 포인트(300)와의 재연결이 수행되는 경우 스캔 동작을 정지하나, 액세스 포인트(300)와의 재연결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스캔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전자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IoT 서버로부터 전자 장치(100)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었다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는 스캔 동작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면, 전자 장치(100)와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Wi-Fi beacon frame 또는 BLE advertising packet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Wi-Fi beacon frame 또는 BLE advertising packet을 수신하고, Wi-Fi beacon frame 또는 BLE advertising packet가 전자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면,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액세스 포인트(30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액세스 포인트(30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300)에 재연결 요청을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가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면, 전자 장치(100)와 D2D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전자 장치(100)로 액세스 포인트(300)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액세스 포인트(300)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soft 액세스 포인트를 턴 오프하고, 액세스 포인트(30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300)에 재접속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통신 인터페이스(210) 및 프로세서(220)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전자 장치(100) 또는 액세스 포인트(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통신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모듈이나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적외선 통신 모듈은 시 광선과 밀리미터파 사이에 있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근거리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기술에 따라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 모듈은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 지그비(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4G(4th Generation), 5G(5th Generation)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HDMI, DP, 썬더볼트, USB, RGB, D-SUB, DVI 등과 같은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LAN(Local Area Network) 모듈, 이더넷 모듈, 또는 페어 케이블, 동축 케이블 또는 광섬유 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로 구현되거나 복수의 통신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210)라는 표현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동작을 설명한다.
프로세서(22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2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각 구성과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메모리(미도시),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용자 인터페이스(미도시) 등과 같은 구성과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220)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20)는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되거나 복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프로세서(220)라는 표현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동작을 설명한다.
프로세서(220)는 Easy Setup을 통해, 전자 장치(100)와 액세스 포인트(300)의 통신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프로세서(220)는 통신 연결을 위한 Easy Setup을 수행하는 동안 전자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전자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전자 장치(100)와 액세스 포인트(300)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전자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전자 장치(100)와 액세스 포인트(300)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Wi-Fi beacon frame 또는 BLE advertising packet을 브로드캐스팅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신호를 임계 시간 동안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제어하고, 임계 시간이 경과되면 전자 장치(100)가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전자 장치(100)가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면 액세스 포인트(300)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고, 전자 장치(100)가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지 않으면 신호를 다시 브로드캐스팅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전자 장치(100)가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면, 액세스 포인트(300)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액세스 포인트(30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300)에 재접속할 수 있다. 즉, Easy Setup이 재수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개입 없이도 Easy Setup이 재수행됨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프로세서(220)가 전자 장치(100)와 액세스 포인트(300)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Easy Setup을 자동으로 재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며, 프로세서(220)는 전자 장치(100)와 액세스 포인트(300)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통신 연결이 해제되었음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자 장치(100)를 액세스 포인트(300)로 재연결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의 제어에 기초하여 Easy Setup이 재수행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보다 사용성이 높은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통해 Easy Setup을 재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선택권을 제공하면서도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20)는 기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거나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전자 장치(100)와 액세스 포인트(200)의 통신 연결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전자 장치(100)를 포함하는 IoT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IoT 장치들의 통신 연결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220)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전자 장치(100)와 액세스 포인트(200)의 통신 연결 상태를 식별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통신 인터페이스(210) 및 프로세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메모리(230), 디스플레이(240), 사용자 인터페이스(250), 마이크(260), 스피커(270), 카메라(28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중 도 4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메모리(230)는 프로세서(220) 등이 접근할 수 있도록 데이터 등의 정보를 전기 또는 자기 형태로 저장하는 하드웨어를 지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모리(23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RAM, ROM 등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30)에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 또는 프로세서(220)의 동작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인스트럭션은 사용자 단말 장치(200) 또는 프로세서(220)의 동작을 지시하는 부호 단위로서,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인 기계어로 작성된 것일 수 있다. 또는, 메모리(230)에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 또는 프로세서(220)의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복수의 인스트럭션이 인스트럭션 집합체(instruction set)로서 저장될 수도 있다.
메모리(230)에는 문자, 수, 영상 등을 나타낼 수 있는 비트 또는 바이트 단위의 정보인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30)에는 전자 장치(100)에 대한 정보, 액세스 포인트(300)에 대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230)는 프로세서(220)에 의해 액세스되며, 프로세서(220)에 의해 인스트럭션, 인스트럭션 집합체 또는 데이터에 대한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40)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40) 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240)는 터치 센서와 결합된 터치 스크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50)는 버튼, 터치 패드, 마우스 및 키보드 등으로 구현되거나, 디스플레이 기능 및 조작 입력 기능도 함께 수행 가능한 터치 스크린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버튼은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마이크(260)는 사운드를 입력받아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마이크(260)는 프로세서(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프로세서(220)의 제어에 의해 사운드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26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상측이나 전면 방향, 측면 방향 등에 일체화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마이크(26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와는 별도의 리모컨 등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리모컨은 마이크(260)를 통해 사운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운드를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마이크(260)는 아날로그 형태의 사운드를 수집하는 마이크, 수집된 사운드를 증폭하는 앰프 회로, 증폭된 사운드를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회로, 변환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필터 회로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마이크(260)는 사운드 센서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사운드를 수집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방식이라도 무방하다.
스피커(270)는 프로세서(22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그 밖에,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카메라(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280)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카메라(280)는 특정 시점에서의 정지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나, 연속적으로 정지 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전자 장치(100)는 액세스 포인트(300)와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후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전자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며 Easy Setup을 재수행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9를 통해 전자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동작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9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개별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도 6 내지 도 9의 개별적인 실시 예는 얼마든지 조합된 상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장치들을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자 장치(100)가 세탁기인 것으로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프로세서(220)는 IoT 장치들을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도 6의 좌측과 같은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세탁기, 건조기 등과 같은 IoT 장치들의 통신 연결 상태를 식별하고, 화면이 표시될 세탁기 및 건조기가 오프라인 상태임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세탁기에 대응되는 GUI(610)를 선택하면, 프로세서(220)는 도 6의 중간과 같이, 세탁기에 대한 세부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세탁기에 대한 세부 정보는 세탁기의 연결 상태, 이전 동작 정보 및 세탁기에 대한 설정 메뉴를 제공하는 GUI(6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세탁기에 대한 설정 메뉴를 제공하는 GUI(620)를 선택하면, 프로세서(220)는 도 6의 우측과 같이, 구체적인 설정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체적인 설정 메뉴는 사용자 가이드, 국가/지역 선택, 정보, 홈케어 매니저, 재연결 하기(6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재연결 하기(630)를 선택하면, 프로세서(220)는 세탁기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예를 들어, 시리얼 넘버)를 포함한 SSID 또는 Vendor-specific fields를 갖는 Wi-Fi beacon frame 또는 BLE advertising packet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여기서, Wi-Fi beaconing은 스마트폰에서 테더링(tethering) 기능을 수행할 때 필요하며, 대부분의 스마트폰이 지원하는 기능이다.
세탁기는 액세스 포인트(300)와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액세스 포인트(300)로의 재연결을 위해 지속적으로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세탁기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브로드캐스팅한 Wi-Fi beacon frame 또는 BLE advertising packet을 수신할 수 있고, 그로부터 세탁기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가 식별되면 Soft AP beaconing 또는 BLE advertising을 시작함으로써 재연결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세탁기 및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도 1과 같은 과정을 거쳐 Easy Setup을 재수행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전자 장치(100)의 재연결을 보조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주기적으로 전자 장치(100)의 통신 연결 상태를 식별하고, 전자 장치(100)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경우 사용자의 제어 없이 전자 장치(100)의 재연결을 보조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연결이 해제된 후의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액세스 포인트(300)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액세스 포인트(300)로의 재연결을 위해 지속적으로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Wi-Fi beacon frame 또는 BLE advertising packet을 지속적으로 스캔할 수 있다(S710). 여기서, 프로세서(120)는 Wi-Fi beacon frame 및 BLE advertising packet을 동시에 스캔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브로드캐스팅하는 Wi-Fi beacon frame 또는 BLE advertising packet을 수신하고, Wi-Fi beacon frame 또는 BLE advertising packet가 전자 장치(100)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예를 들어, 시리얼 넘버)를 포함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S720).
프로세서(120)는 Wi-Fi beacon frame 또는 BLE advertising packet가 전자 장치(100)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Soft AP beaconing 또는 BLE advertising를 수행하고(S730), Wi-Fi beacon frame 또는 BLE advertising packet가 전자 장치(100)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스캔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Wi-Fi beacon frame 또는 BLE advertising packet가 전자 장치(100)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Soft AP beaconing 또는 BLE advertising를 수행하여 Easy Setup을 재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조작할 필요가 없이 Easy Setup의 재수행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asy Setup의 재수행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전자 장치(100)는 액세스 포인트(300)와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S810).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액세스 포인트(300)로의 재연결을 위해 지속적으로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S820).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의 연결이 끊어짐을 식별하고(S830), 사용자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재연결 하기' 옵션이 선택되면(S840), 전자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Wi-Fi beaconing 또는 BLE advertising을 수행할 수 있다(S850).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Wi-Fi beacon frame 또는 BLE advertising packet을 수신하고(S860), 수신된 정보에 전자 장치(100)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경우 Soft AP beaconing 또는 BLE advertising을 수행할 수 있다(S870).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Wi-Fi beaconing 또는 BLE advertising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수행한 후, Wi-Fi 또는 BLE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S880). 전자 장치(100)가 Soft AP beaconing 또는 BLE advertising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스캔을 통해 전자 장치(100)가 연결이 가능한 상태임을 확인하고(S890), Easy Setup을 재수행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스캔을 통해 전자 장치(100)가 연결이 가능한 상태임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다시 전자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Wi-Fi beaconing 또는 BLE advertising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와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액세스 포인트와의 재연결을 위한 스캔(scan)을 수행한다(S910).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한다(S920).
여기서,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에 재연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동작하는 단계(S920)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Wi-Fi beacon frame 또는 BLE advertising packet을 수신하고, Wi-Fi beacon frame 또는 BLE advertising packet가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면,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전자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한다(S1010). 그리고, 전자 장치가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면,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로 전송한다(S1020).
여기서,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S1010)는 신호를 임계 시간 동안 브로드캐스팅하고, 임계 시간이 경과되면 전자 장치가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S1010)는 전자 장치가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지 않으면 신호를 다시 브로드캐스팅하고, 전송하는 단계(S1020)는 전자 장치가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면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S1010)는 전자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Wi-Fi beacon frame 또는 BLE advertising packet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연결을 위한 easy setup을 수행하는 동안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S1010)는 전자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저장된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한편,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S1010)는 전자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통신 연결이 해제되었음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전자 장치를 액세스 포인트로 재연결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거나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전자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연결 상태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후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며 Easy Setup을 재수행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는 전자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여 전자 장치가 Easy Setup을 수행하도록 유도함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A))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기의 프로세싱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는 특정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기에서의 처리 동작을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0 : 전자 시스템 100 : 전자 장치
110 : 통신 인터페이스 120 : 프로세서
200 : 사용자 단말 장치 210 : 통신 인터페이스
220 : 프로세서 230 : 메모리
240 : 디스플레이 250 : 사용자 인터페이스
260 : 마이크 270 : 스피커
280 : 카메라 300 : 액세스 포인트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와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재연결을 위한 스캔(scan)을 수행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재연결 요청을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Wi-Fi beacon frame 또는 BLE advertising packet을 수신하고,
    상기 Wi-Fi beacon frame 또는 상기 BLE advertising packet가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4.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신호를 임계 시간 동안 브로드캐스팅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임계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는지 식별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지 않으면 상기 신호를 다시 브로드캐스팅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Wi-Fi beacon frame 또는 BLE advertising packet을 브로드캐스팅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연결을 위한 easy setup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며,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통신 연결이 해제되었음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재연결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거나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연결 상태를 식별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1.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와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재연결을 위한 스캔(scan)을 수행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재연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Wi-Fi beacon frame 또는 BLE advertising packet을 수신하고,
    상기 Wi-Fi beacon frame 또는 상기 BLE advertising packet가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는, 제어 방법.
  14.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전자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장치가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를 임계 시간 동안 브로드캐스팅하고,
    상기 임계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는지 식별하는,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지 않으면 상기 신호를 다시 브로드캐스팅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soft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Wi-Fi beacon frame 또는 BLE advertising packet을 브로드캐스팅하는, 제어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연결을 위한 easy setup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저장된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제어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통신 연결이 해제되었음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전자 장치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재연결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전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제어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거나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연결 상태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KR1020220109389A 2022-08-30 2022-08-30 Easy Setup을 재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 KR2024003040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389A KR20240030400A (ko) 2022-08-30 2022-08-30 Easy Setup을 재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
PCT/KR2023/007485 WO2024048917A1 (ko) 2022-08-30 2023-06-01 Easy setup을 재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
US18/216,121 US20240073993A1 (en) 2022-08-30 2023-06-29 Electronic apparatus, user terminal device for re-performing easy setup and control method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389A KR20240030400A (ko) 2022-08-30 2022-08-30 Easy Setup을 재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0400A true KR20240030400A (ko) 2024-03-07

Family

ID=90098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9389A KR20240030400A (ko) 2022-08-30 2022-08-30 Easy Setup을 재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30400A (ko)
WO (1) WO202404891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25552B2 (en) * 2008-12-31 2014-01-07 Microsoft Corporation Wireless provisioning a device for a network using a soft access point
KR102144046B1 (ko) * 2013-10-17 2020-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들간 연결 방법 및 장치
KR101574767B1 (ko) * 2014-06-23 2015-12-11 주식회사 차후 저전력 블루투스 장치 검색 시스템과 제어방법
KR101997938B1 (ko) * 2014-12-26 2019-07-09 전자부품연구원 Ble를 이용한 디바이스 등록/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415207B1 (ko) * 2021-03-09 2022-06-2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AP에서 WiFi 채널을 스캔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48917A1 (ko) 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89295B (zh) 電子裝置之自動組態
KR102393917B1 (ko)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904226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itializing a network connection for an output device
WO2016011720A1 (zh) 一种显示系统、显示系统的蓝牙音频播放方法及装置
US9032029B2 (en) Communication hub for presenting audio-visual data from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 of providing and using the same
US8514336B2 (en) Broadcasting signal receiving apparatus, remote controller and pairing method thereof
US20140370818A1 (en) Auto-discovery and auto-configuration of media devices
CN104509129A (zh) 耳机方位的自动检测
KR20150120147A (ko)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954400B2 (en) Transmitting messages to a display device based on detected audio output
WO2024041189A1 (zh) 一种无线音频/视频装置和无线通信方法
KR20240030400A (ko) Easy Setup을 재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
KR102553250B1 (ko)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US20240073993A1 (en) Electronic apparatus, user terminal device for re-performing easy setup and control methods thereof
KR20240044862A (ko) Easy Setup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
KR20240012981A (ko) Easy Setup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가전 기기
US11900007B2 (en) Display apparatus
US20240147206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40032126A1 (en) User terminal device for performing easy setup, control method thereof and home appliance
US20230289544A1 (en) Client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from an optical code associated with a sensing device
US20230060161A1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40033410A (ko)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
US20240061637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40081023A (ko) 사운드를 모드에 따라 상이하게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4123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