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4615A -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4615A
KR20150044615A KR20130123887A KR20130123887A KR20150044615A KR 20150044615 A KR20150044615 A KR 20150044615A KR 20130123887 A KR20130123887 A KR 20130123887A KR 20130123887 A KR20130123887 A KR 20130123887A KR 20150044615 A KR20150044615 A KR 20150044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onnection
information
user equipment
user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3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8146B1 (ko
Inventor
주성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3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146B1/ko
Publication of KR20150044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4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은 특정한 지점에 도달한 사용자 장치가 미리 지정된 다른 사용자 장치와 통화 연결하거나, 사용자 장치가 특정한 지점에 도달한 다른 사용자 장치와 통화 연결하며,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가 사용자 장치에게 통화 연결을 도와줄 수 있는 통화 연결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User equipment and service providing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사용자 간의 통화 연결이 가능하며, 통화 연결 대상의 통화 상태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통화 연결이 가능한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위치 기반 서비스란 이동중인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다양하고 유용한 정보와 실시간으로 결합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부가적인 응용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망과 이를 지원하는 각종 사용자 장치의 발전과 더불어 스마트폰, PDA 등과 같은 사용자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 장치에 설치된 다양한 통신모듈,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크게 각광받고 있다.
예컨대, 위치 기반 문자 전송 서비스와 같은 위치 기반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대방과 통화를 연결하는 통화 서비스, 상대방과 통화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각종 편의를 제공하는 통화 서비스는 제공되고 있지 않아, 위치 기반 서비스 기능에 의해 획득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정보가 효율적으로 사용되고 있지 않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84823호 [명칭: 위치정보를 이용한 대리기사 자동 연결 시스템]
본 발명은 특정한 지점에 도달한 사용자 장치가 미리 지정된 다른 사용자 장치와 통화 연결하거나, 사용자 장치가 특정한 지점에 도달한 다른 사용자 장치와 통화 연결하며, 이때, 통화 연결을 도와줄 수 있는 통화 연결 정보를 전달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위치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과 연계하여 통화 연결 정보를 직관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통화 연결 과정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가 통화 연결 대상의 통화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통화 연결에 대한 선택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사용자가 적절한 시기에 통화를 연결하거나,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적절한 시기에 통화 연결을 재시도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간이한 입력 방법에 의하여 통화 연결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서비스 제공 장치로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위치 정보 관리부; 위치 정보 및 통화 연결 대상인 사용자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획득된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통화 연결 정보 수신부; 및 통화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통화 연결 대상인 사용자 장치와 연결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통화 연결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통화 연결 정보를 구동중인 어플리케이션과 연계시키고, 통화 연결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통화 연결 정보는 통화 연결 주소, 통화 연결 대상의 통화 상태 정보 및 통화 연결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제 1 사용자 장치 정보 및 제 1 사용자 장치의 통화 연결 대상인 제2 사용자 장치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장치 정보 획득부; 제 1 사용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 제 1 사용자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제 2 사용자 장치 정보에 근거하여, 통화 연결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 및 제 1 사용자 장치 및 제 2 사용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통화 연결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위치 정보 관리부를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로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통화 연결 정보 수신부를 통해 위치 정보 및 통화 연결 대상인 사용자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획득된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통신부를 통해 통화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통화 연결 대상인 사용자 장치와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장치 정보 획득부를 통해 제 1 사용자 장치 정보 및 제 1 사용자 장치의 통화 연결 대상인 제2 사용자 장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위치 정보 수신부를 통해 제 1 사용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어부를 통해 제 1 사용자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제 2 사용자 장치 정보에 근거하여, 통화 연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통신부를 통해 제 1 사용자 장치 및 제 2 사용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통화 연결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통화 연결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제 1 사용자 장치 및 제 2 사용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통화 연결 주소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통화 연결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통화 연결 대상의 통화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통화 연결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통화 연결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통화 연결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는 통화 연결 대상이 통화 불가능 상태인 경우, 기설정된 기간 경과 후 통화 연결 명령을 재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사용자 장치와 미리 설정된 지점에 도착한 사용자 장치를 서로 통화 연결시킬 수 있고, 통화 연결 과정에서 사용자 장치에 통화 연결 정보를 전달하여 상대방의 통화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간이한 입력 방법에 의하여 위치 기반 통화 연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서비스 제공 장치는 통화 연결 대상인 사용자 장치의 통화가 불가능한 경우 통화가 가능한 시기에 통화 연결을 재시도함으로써 통화 연결 방법을 간편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위치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과 연계하여 통화 연결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화면 상에 통화 연결 정보를 직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시스템(1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시스템(10)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3은 제 1 사용자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된 통화 연결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 1 사용자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된 통화 연결 정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 1 사용자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된 통화 연결 정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 1 사용자 장치(100-1)와 제 2 사용자 장치(100-2) 간의 통화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시스템(10)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8은 제 2 사용자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된 통화 연결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제 2 사용자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된 통화 연결 정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통화 연결 서비스가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과 연계되어 구동되는 경우, 사용자 장치의 표시부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통화 연결 서비스가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과 연계되어 구동되는 경우, 사용자 장치의 표시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여기서 설명되는 사용자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의 핸드헬드 방식의 단말은 물론, 태블릿 PC, 노트북, 데스크탑 PC 등 사용자의 명령어를 입력받아 선정된 작업을 수행하는 모든 종류의 단말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여기서 설명되는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요구되는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사용자 장치가 구비한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지원하는 모든 종류의 전자장치를 총칭하는 개념이다. 또, 서비스 제공 장치는 기지국과 연계하여 사용자 장치에게 통화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시스템(1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연결 시스템(10)은 사용자 장치(100), 서비스 제공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통화 연결 시스템(1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통화 연결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통화 연결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할 때, 복수의 사용자 장치(100) 중 하나의 사용자 장치가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 획득된 위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사용자 장치가 위치하는 지점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위치 정보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위치 정보를 송신한 사용자 장치(100)가 다른 사용자 장치와 통화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위치 정보를 제공한 사용자 장치가 다른 사용자 장치로 호(call) 신호를 송신하도록 하거나, 미리 설정된 사용자 장치가 위치 정보를 제공한 사용자 장치로 호 신호를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장치 간 통화 연결시의 편의를 위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호 신호를 발신하는 사용자 장치(100)로 통화 연결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장치를 제 1 사용자 장치(100-1)로 사용하기로 하고, 제 1 사용자 장치와 통화 연결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 장치를 제 2 사용자 장치(100-2)로 사용하기로 한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100)는 위치 정보 관리부(110), 연결 정보 수신부(120), 통신부(130), 표시부(140),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 장치 정보 획득부(210), 위치 정보 수신부(220), 제어부(230), 통신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0),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포함된 각 구성들의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시스템(10)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1,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200)의 사용자 장치 정보 획득부(210)는 제 1 사용자 장치 정보, 제 2 사용자 장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10). 예컨대, 사용자는 통화 연결 대상인 사용자 장치(100-1, 100-2), 사용자 장치 중 어느 사용자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통화 연결이 이루어질 것인지 여부, 사용자 장치(100-1, 100-2) 중 어느 사용자 장치가 다른 사용자 장치로 호 신호를 송신할 것인지 여부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즉, 제 1 사용자 장치 정보, 제 2 사용자 장치 정보는 통화 연결 대상인 사용자 장치를 의미한다. 또, 사용자 장치 정보 획득부(210)는 제 1 사용자 장치 정보 및 제 2 사용자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사용자 장치(100-1) 및 제 2 사용자 장치(100-2) 중 어느 하나를 호 신호 송신 사용자 장치로 지정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 1 사용자 장치(100-1)가 호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할 때, 제 1 사용자 장치(100-1)는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 위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S220). 즉, 제 1 사용자 장치(100-1)의 위치 정보 관리부(110)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 위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200)의 위치 정보 수신부(220)는 제 1 사용자 장치(100-1)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제 1 사용자 장치(100-1)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제 1 사용자 장치 정보, 제 2 사용자 장치 정보, 제 1 사용자 장치의 위치 정보 등에 기초하여 통화 연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30). 예컨대, 제어부(230)는, 제 1 사용자 장치의 위치 정보가 미리 설정된 위치 내에 해당되는 경우, 제 1 사용자 장치와 제 2 사용자 장치를 통화 연결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제어부(230)가 획득하는 통화 연결 정보는 사용자 장치 간의 통화 연결을 위한 데이터 및 통화 연결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들을 통칭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기지국과 연계하여 제 2 사용자 장치의 통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S232). 예컨대, 제어부(230)는 제 2 사용자 장치가 통화 상태인지, 통화 가능 상태인지, 전원 오프 상태 인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230)가 획득하는 통화 연결 정보는 통화 연결 주소, 통화 연결 대상의 통화 상태 정보, 통화 연결 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화 연결 주소는 제 1 사용자 장치가 미리 설정된 사용자 장치(제 2 사용자 장치)로 호 신호를 송신하게 하기 위한 명령을 링크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컨대, 통화 연결 주소는 콜백 URL(Call-back URL)을 포함할 수 있다.
또, 통화 연결 대상의 상태 정보는 제어부(230)가 획득한 제 2 사용자 장치의 통화 가능 여부(예컨대, 통화 가능 상태, 통화 불가능 상태)를 나타낸 데이터를 의미한다.
또, 통화 연결 명령은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장치에게 미리 설정된 사용자 장치로 호 신호를 명령하는 신호이다. 즉, 통화 연결 명령은, 사용자 입력에 무관하게, 제 1 사용자 장치가 미리 설정된 사용자 장치로 호 신호를 송신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서비스 제공 장치(200)의 통신부(240)는 제어부(230)에서 획득된 통화 연결 정보를 호 신호를 송신하기로 설정된 사용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S250).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 1 사용자 장치(100-1)가 호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이므로, 서비스 제공 장치(200)의 통신부(240)는 통화 연결 정보를 제 1 사용자 장치(100-1)로 송신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 장치(100-1)의 통화 연결 정보 수신부(120)는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부터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 장치(100-1)의 표시부(140)는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통화 연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제 1 사용자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된 통화 연결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장치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다른 사용자 장치와 통화 연결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입력에 무관하게,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장치가 다른 사용자 장치와 통화 연결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장치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다른 사용자 장치와 통화 연결하는 경우의 표시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표시부(140)는 통화 연결 주소(310)를 표시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화 연결 주소는 사용자 장치가 미리 설정된 사용자 장치로 호 신호를 송신하게 하기 위한 명령을 링크한 데이터이므로, 사용자가 통화 연결 주소(310)와 관련된 객체를 선택하는 경우, 제 1 사용자 장치(100-1)는 제 2 사용자 장치(100-2)로 호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제 1 사용자 장치(100-1)의 통신부(130)는 제 2 사용자 장치(100-2)로 호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제 1 사용자 장치(100-1)와 제 2 사용자 장치(100-2)가 통화 연결될 수 있다(S260).
이와 같이, 미리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제 1 사용자 장치와 제 2 사용자 장치가 바로 통화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에게 선택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 표시부(140)는 통화 상태 정보(320)를 표시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화 상태 정보는 통화 연결 대상인 사용자 장치의 통화 가능 여부(예컨대, 통화 가능 상태, 통화 불가능 상태)를 나타낸 데이터를 의미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연결 대상인 사용자 장치가 통화 중인 경우, 사용자는 통화 상태 정보(320)를 통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다.
통화 상태 정보에 의하여, 사용자가 통화 대상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적절한 시기에 통화 연결이 가능하다.
도 4는 제 1 사용자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된 통화 연결 정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는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장치가 사용자 입력과 무관하게 다른 사용자 장치와 통화 연결하는 경우의 표시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표시부(140)는 제 2 사용자 장치(100-2)와 통화 연결중이라는 안내 메시지(330)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통화 연결 명령에 의하여 제 1 사용자 장치(100-1)가 제 2 사용자 장치(100-2)로 호 신호를 송신하므로, 표시부(140)는 이에 대한 안내 메시지(330)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140)는 통화 연결을 중단시키기 위한 객체(340)를 표시할 수 있다. 통화 연결을 중단시키기 위한 객체(340)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는 경우, 제 1 사용자 장치(100-1)는 제 2 사용자 장치(100-2)로의 호 신호 송신을 중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사용자 장치와 제 2 사용자 장치가 통화 연결 명령에 의하여 바로 통화 연결 시도 중이더라도, 사용자에게 이를 중단시키기 위한 선택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제 1 사용자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된 통화 연결 정보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서는 제 1 사용자 장치(100-1)와 제 2 사용자 장치(100-2) 간의 통화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의 표시부를 나타내고 있다. 예컨대, 제 1 사용자 장치(100-1)가 제 2 사용자 장치(100-2)로 호 신호를 송신하려고 하더라도, 제 2 사용자 장치(100-2)가 통화 중이라서 통화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제 1 사용자 장치(100-1)의 표시부(140)는 제 2 사용자 장치와의 통화 연결이 불가능하다는 내용의 메시지(35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제 1 사용자 장치(100-1)와 제 2 사용자 장치(100-2) 간의 통화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200)가 제 2 사용자 장치(100-2)의 통화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제 2 사용자 장치(100-2)의 통화 불가능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S232).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내 메시지를 포함하는 통화 연결 정보(S250)를 제 1 사용자 장치(100-1)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통화 연결 대상이 통화 불가능 상태인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기설정된 기간 경과 후 제 1 사용자 장치(100-1)와 제 2 사용자 장치(100-2) 간의 통화 연결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252).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200)가 제 1 사용자 장치(100-1)와 제 2 사용자 장치(100-2) 간의 통화 연결이 가능함을 확인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제 1 사용자 장치(100-1)로 통화 연결 정보를 재송신할 수 있다(S254).
이와 같이, 제 1 사용자 장치(100-1)가 제 2 사용자 장치(100-2)와 통화 연결하려는 과정에서 제 2 사용자 장치(100-2)가 통화 불가능 상태이더라도, 서비스제공 장치(200)가 제 2 사용자 장치(100-2)가 통화 연결 상태가 됨을 확인한 후 제 1 사용자 장치(100-1)로 통화 연결 정보를 재송신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 시스템(10)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 2 사용자 장치(100-2)가 호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7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200)의 사용자 장치 정보 획득부(210)는 제 1 사용자 장치 정보, 제 2 사용자 장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710).
또, 제 1 사용자 장치(100-1)는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 위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S720).
또, 서비스 제공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제 1 사용자 장치 정보, 제 2 사용자 장치 정보, 제 1 사용자 장치의 위치 정보 등에 기초하여 통화 연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730). 또, 서비스 제공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기지국과 연계하여 제 1 사용자 장치의 통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S732).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사용자 장치(100-2)가 호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이므로, 서비스 제공 장치(750)의 통신부(240)는 제 2 사용자 장치(200-2)로 통화 연결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S750).
제 2 사용자 장치(100-2)의 표시부(140)는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통화 연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제 2 사용자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된 통화 연결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서는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장치(제 2 사용자 장치)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다른 사용자 장치(제 1 사용자 장치)와 통화 연결하는 경우의 표시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2 사용자 장치(100-2)의 표시부(140)는 통화 연결 주소(310)를 표시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화 연결 주소는 사용자 장치가 미리 설정된 사용자 장치로 호 신호를 송신하게 하기 위한 명령을 링크한 데이터이므로, 사용자가 통화 연결 주소(310)와 관련된 객체를 선택하는 경우, 제 2 사용자 장치(100-2)의 통신부(140)는 제 1 사용자 장치(100-1)로 호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 표시부(140)는 통화 상태 정보(320)를 표시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화 상태 정보는 통화 연결 대상인 사용자 장치의 통화 가능 여부(예컨대, 통화 가능 상태, 통화 불가능 상태)를 나타낸 데이터를 의미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연결 대상인 사용자 장치(제 1 사용자 장치)가 통화 가능한 상태인 경우, 사용자는 통화 상태 정보(320)를 통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다.
통화 상태 정보에 의하여, 사용자가 통화 대상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적절한 시기에 통화 연결이 가능하다.
도 9는 제 2 사용자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된 통화 연결 정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서는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장치가 사용자 입력과 무관하게 다른 사용자 장치와 통화 연결하는 경우의 표시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2 사용자 장치(100-2)의 표시부(140)는 제 1 사용자 장치(100-1)와 통화 연결중이라는 안내 메시지(330)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통화 연결 명령에 의하여 제 2 사용자 장치(100-2)가 제 1 사용자 장치(100-1)로 호 신호를 송신하므로, 표시부(140)는 이에 대한 안내 메시지(330)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140)는 통화 연결을 중단시키기 위한 객체(340)를 표시할 수 있다. 통화 연결을 중단시키기 위한 객체(340)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는 경우, 제 2 사용자 장치(100-2)는 제 1 사용자 장치(100-1)로의 호 신호 송신을 중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통화 연결 서비스가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과 연계되어 구동되는 경우, 사용자 장치의 표시부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10을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의 통신부(140)가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장치의 제어부(140)는 수신된 통화 연결 정보를 구동중인 어플리케이션과 연계시킬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장치가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중, 사용자 장치가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통화 연결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350)를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 제어부(140)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통화 연결 정보(360)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중인 경우, 사용자는 구동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통화 연결 정보를 더욱 손쉽게 인식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통화 연결 서비스가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과 연계되어 구동되는 경우, 사용자 장치의 표시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11을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의 통신부(140)가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장치의 제어부(140)는 수신된 통화 연결 정보를 구동중인 어플리케이션과 연계시킬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장치가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중, 사용자 장치가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통화 연결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350)를 SNS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 제어부(140)는 SNS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통화 연결 정보(360)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위치 기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중인 경우, 사용자는 구동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통화 연결 정보를 더욱 손쉽게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포인트 관리 기능을 구비하거나, 포인트 관리 기능을 구비한 서비스 제공 장치와 연계되어 구동될 수 있다. 이때, 포인트는 고객이 제품을 구입할 때 사업주가 고객에게 제공하는 포인트, 마일리지, 쿠폰 등을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통화 연결 시스템에 의한 통화 요금을 자신이 적립한 포인트로 결제하기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즉, 앞에서 설명한 방식에 의하여, 제 1 사용자 장치(100-1)와 제 2 사용자 장치(100-2)가 통화 연결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통화 연결에 따른 통화 요금을 포인트로 대납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등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제휴사 서버 등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 및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 및 설치한 스마트 카드 등의 외장 메모리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등에 장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지점에 도달한 사용자 장치가 미리 지정된 다른 사용자 장치와 통화 연결하거나, 사용자 장치가 특정한 지점에 도달한 다른 사용자 장치와 통화 연결하며,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가 사용자 장치에게 통화 연결을 도와줄 수 있는 통화 연결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통신 분야, 위치기반 네트워크 서비스 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다.
100: 사용자 장치 110: 위치 정보 관리부
120: 통화 연결 정보 수신부 130: 통신부
140: 표시부 150: 제어부
200: 서비스 제공 장치 210: 사용자 장치 정보 획득부
220: 위치 정보 수신부 230: 제어부
240: 통신부

Claims (12)

  1.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서비스 제공 장치로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위치 정보 관리부;
    상기 위치 정보 및 통화 연결 대상인 사용자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획득된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통화 연결 정보 수신부; 및
    상기 통화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통화 연결 대상인 사용자 장치와 연결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연결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연결 정보를 구동중인 어플리케이션과 연계시키고, 상기 통화 연결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연결 정보는 통화 연결 주소, 통화 연결 대상의 통화 상태 정보 및 통화 연결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
  5. 제 1 사용자 장치 정보 및 상기 제 1 사용자 장치의 통화 연결 대상인 제2 사용자 장치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장치 정보 획득부;
    제 1 사용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
    상기 제 1 사용자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제 2 사용자 장치 정보에 근거하여, 통화 연결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 1 사용자 장치 및 상기 제 2 사용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통화 연결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6. 위치 정보 관리부를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로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통화 연결 정보 수신부를 통해 상기 위치 정보 및 통화 연결 대상인 사용자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획득된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통신부를 통해 상기 통화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통화 연결 대상인 사용자 장치와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의 제어 방법.
  7. 사용자 장치 정보 획득부를 통해 제 1 사용자 장치 정보 및 상기 제 1 사용자 장치의 통화 연결 대상인 제2 사용자 장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위치 정보 수신부를 통해 제 1 사용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어부를 통해 상기 제 1 사용자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제 2 사용자 장치 정보에 근거하여, 통화 연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 1 사용자 장치 및 상기 제 2 사용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통화 연결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연결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사용자 장치 및 상기 제 2 사용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통화 연결 주소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연결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통화 연결 대상의 통화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연결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통화 연결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연결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는, 통화 연결 대상이 통화 불가능 상태인 경우, 기설정된 기간 경과 후 통화 연결 명령을 재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6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130123887A 2013-10-17 2013-10-17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1838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887A KR101838146B1 (ko) 2013-10-17 2013-10-17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887A KR101838146B1 (ko) 2013-10-17 2013-10-17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615A true KR20150044615A (ko) 2015-04-27
KR101838146B1 KR101838146B1 (ko) 2018-03-14

Family

ID=53036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3887A KR101838146B1 (ko) 2013-10-17 2013-10-17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1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976B1 (ko) * 2020-07-14 2021-09-02 주식회사 후후앤컴퍼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1843A (ja) * 2000-10-02 2002-04-12 Akihiko Uto 自動リダイヤル装置
JP2013197901A (ja) * 2012-03-20 2013-09-30 Nakayo Telecommun Inc 発信予約機能を有する電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8146B1 (ko) 2018-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6280B2 (en) Data backup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9716531B2 (en) Near field communication-base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KR102274043B1 (ko) 연락처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KR102150624B1 (ko) 스미싱 알림 방법 및 장치
KR20170065228A (ko)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EP29638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ata of electronic device
KR20160111211A (ko) 데이터 통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051640A (ko) 전자장치에서 메시지의 상태 확인 방법 및 장치
KR102462427B1 (ko) 메시지 통합 관리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20170081910A (ko) 통신 연결을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
CN104796460B (zh) 文件传输方法和装置
KR102152671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착신 전환 제어 방법
KR102550591B1 (ko) 전자 장치에서 가입자 식별 모듈을 연결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
CN108235237B (zh) 数据上报方法、装置、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介质
KR20180110517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근거리 통신 커버리지 보상 방법
CN108200546A (zh) 数据上报方法、装置、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介质
CN104242998A (zh) 一种通过磁传感器快捷共享多种信息的方法及系统
EP3195633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figuring message,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executing the message
KR101838146B1 (ko)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160022645A (ko) 메시지 전송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344763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휴대단말기 사이의 파일 공유 방법
CN108805512B (zh) 一种考勤信息记录方法及其设备、系统
JP2015036871A (ja) 車両管理システム
KR102243822B1 (ko) 다중 유심카드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2572099B (zh) 一种移动终端状态查询间隔时间确定方法、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