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4361A - 필터 유닛, 도포 시공 장치 및 도포 시공막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필터 유닛, 도포 시공 장치 및 도포 시공막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4361A
KR20150044361A KR20140013459A KR20140013459A KR20150044361A KR 20150044361 A KR20150044361 A KR 20150044361A KR 20140013459 A KR20140013459 A KR 20140013459A KR 20140013459 A KR20140013459 A KR 20140013459A KR 20150044361 A KR20150044361 A KR 20150044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oating
coating solution
housing
fil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13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고마츠바라
하지메 미치히라
마사시 미야케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44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43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01Filters in combination with devices for the removal of gas, air purg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15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4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moving work of indefinite length, e.g. to a moving web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Degasification And Air Bubble El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와,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필터는 일단부측이 개구를 가지며, 상기 필터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도포 시공액을 여과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은 일단부측에 상기 도포 시공액의 유입구와, 타단부측에 상기 필터로 여과된 도포 시공액의 배출구를 갖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타단부측에는 상기 개구와 상기 배출구가 연통되도록 상기 필터가 설치되고, 상기 타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필터의 외측에는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 구멍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필터 유닛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필터 유닛, 도포 시공 장치 및 도포 시공막의 제조 방법{FILTER UNIT, CO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COATING FILM}
본 발명은 필터 유닛, 도포 시공 장치 및 도포 시공막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시트에 도포 시공액을 도포 시공해서 도포 시공막을 형성하는 도포 시공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도포 시공 장치에서는, 도포 시공액에 이물이 혼입되어 있으면, 도포 시공에 의해 얻어진 도포 시공막의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이러한 도포 시공 장치는, 통상 도포 시공액을 여과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가 수용된 하우징을 갖는 필터 유닛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필터 유닛을 사용해서 도포 시공액을 여과하며, 여과된 도포 시공액을 시트에 도포 시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필터 유닛은, 하우징 내에서 필터의 양단측이 고정되어 있거나, 이렇게 양단측이 고정되면서 그 중 일단부측이 스프링 등으로 가압되어 고정되어 있거나 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도포 시공 장치에서는, 기포가 혼입된 도포 시공액이 필터 하우징 내에 유입되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에는, 기포를 내부에 함유하는 도포 시공액이 필터를 통과해서 시트에 도포 시공되게 된다. 이렇게 기포를 함유하는 도포 시공액이 시트에 도포 시공되면, 기포가 혼입된 도포 시공막이 얻어지거나, 기포의 분량만큼 두께가 원하는 값으로부터 변동된 도포 시공막이 얻어질 우려가 있다. 또한, 하우징 내에 필터의 양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부재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부재에 의해 기포의 흐름이 방해되어 기포가 체류하고, 이 체류에 의해 기포끼리 합체해서 확대되는 결과, 한층 큰 기포가 혼입된 도포 시공막이 얻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필터 유닛 내의 기포를 제거 가능한 필터 유닛을 구비한 도포 시공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포 시공 장치에 구비된 필터 유닛으로서, 그 길이 방향이 연직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필터 유닛의 하우징의 하단부측에, 하단부에 개구를 갖는 원통 형상의 필터가 고정되며, 상기 필터의 내부에 하방으로부터 도포 시공액이 유입되도록 형성되고, 또한, 하우징의 상단부측에 기포를 배출하는 배출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필터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도포 시공액을 여과하고, 여과된 도포 시공액의 기포를 상기 배출 구멍으로부터 배출하도록 구성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예를 들어 도포 시공 장치에 구비된 필터 유닛으로서, 그 길이 방향이 연직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고, 하우징의 하단부측에, 하단부에 개구를 갖는 원통 형상의 필터가 고정되며, 하우징의 동체(측벽)에 있어서의 상단부측에 도포 시공액이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의 더욱 상단부측에 기포의 배출 구멍이 형성되고, 상단부측에서 하단부측을 향해서 하방으로 도포 시공액을 흐르게 하면서 배출 구멍으로부터 기포를 배출하면서, 필터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여과하며, 여과된 도포 시공액을 하우징의 하단부측으로부터 배출하도록 구성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들 기술에 의하면, 필터의 일단부측을 고정함으로써 기포의 체류를 감소시키면서, 배출 구멍을 통해서 필터 유닛 내의 기포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8-4179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8-279461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과 같은 필터 하우징에서는, 필터로 여과된 도포 시공액으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고 있고, 여과 전의 도포 시공액으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고 있지 않다. 이로 인해, 필터 자체가 기포의 흐름을 저해하게 되어, 상기 필터의 표면에 기포가 체류해서 확대될 우려가 있다. 또한, 기포가 혼입된 도포 시공액이 여과되게 되고, 이에 의해, 여과 후의 도포 시공액 중의 기포가 매우 미세해지기 때문에, 기포를 도포 시공액으로부터 제거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또한, 이렇게 기포가 세분화됨으로써, 그만큼 부력이 감소하여, 상방의 배출 구멍으로 기포가 이동하기 어려워질 우려도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와 같은 필터 하우징에서는,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도포 시공액을 이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하우징 내의 기포가 도포 시공액의 흐름에 의해 하방으로 눌려 내려져, 그만큼 기포를 도포 시공액으로부터 제거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또한, 이러한 기포의 부력에 저항하는 방향을 향하는 도포 시공액의 흐름에 의해, 기포의 상방으로의 흐름이 저해되고, 그 결과, 기포가 체류되어 기포의 제거가 곤란해질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종래보다도 용이하게 기포를 제거할 수 있는 필터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과제로 한다. 또한, 종래보다도 용이하게 기포를 제거하면서 도포 시공할 수 있고, 게다가, 품질이 떨어지는 도포 시공막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도포 시공 장치 및 도포 시공막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유닛은,
시트에 도포 시공되는 도포 시공액을 여과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필터는 일단부측이 개구를 가지며 또한 상기 필터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상기 도포 시공액을 여과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은 일단부측에 상기 도포 시공액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타단부측에 상기 필터로 여과된 도포 시공액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갖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타단부측에는 상기 개구와 상기 배출구가 연통되도록 상기 필터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타단부측에 있어서의 상기 필터의 외측에는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 구멍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필터 유닛에 의하면, 상기 필터 유닛을, 하우징의 상기 타단부측 쪽이 상기 일단부측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이하의 작용을 발휘한다. 즉, 하우징의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도포 시공액은, 하우징 내에서 필터의 외측을 상방으로 흐르고, 이 흐름과 함께 공기를 상기 타단부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도포 시공액을 필터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여과해서 하우징의 배출구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타단부측으로 이동시킨 공기를 배출 구멍으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도포 시공액을 필터에 의해 그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여과하면서, 여과 전의 도포 시공액에 혼입된 공기를, 하방으로 밀어내려서 그 흐름(공기의 부력)을 저해하는 것이 아니라, 도포 시공액의 흐름과 공기가 도포 시공액보다 비중이 작은 것에 의해 밀어올리면서 상기 타단부측까지 부상시켜서, 배출 구멍으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보다도 기포를 제거하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포 시공 장치는,
상기 필터 유닛과,
상기 필터 유닛에 의해 여과된 도포 시공액을 상기 시트에 도포 시공해서 도포 시공막을 형성하는 도포 시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 유닛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타단부측 쪽이 상기 일단부측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의 상기 타단부측 쪽이 상기 일단부측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상기 필터 유닛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도포 시공액으로부터 기포를 용이하게 제거하면서, 여과된 도포 시공액을 시트에 도포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공기가 혼입되거나, 두께가 원하는 값으로부터 변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품질이 떨어지는 도포 시공막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도포 시공막의 제조 방법은,
상기 도포 시공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필터 유닛에 의해 도포 시공액을 여과하고,
여과된 도포 시공액을 시트에 도포 시공하여, 도포 시공막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의 상기 타단부측 쪽이 상기 일단부측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상기 필터 유닛에 의해 도포 시공액을 여과하기 때문에, 도포 시공액으로부터 기포를 용이하게 제거하면서, 여과된 도포 시공액을 시트에 도포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도포 시공액으로부터 기포를 용이하게 제거하면서, 여과된 도포 시공액을 시트에 도포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공기가 혼입되거나, 두께가 원하는 값으로부터 변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품질이 떨어지는 도포 시공막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필터 유닛을 구비한 도포 시공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유닛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유닛의 개략 측면 단면도.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유닛을 제1 덮개측으로부터 본 개략 정면도.
도 5는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유닛의 개략 사시도.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유닛 및 그것을 구비한 도포 시공 장치, 상기 도포 시공 장치를 사용한 도포 시공막의 제조 방법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도포 시공 장치(1)는 도포 시공액(3)이 수용된 수용부(5)와, 도포 시공액(3)을 상기 수용부(5)로부터 하류측으로 보내는 송액부로서의 펌프(7)와, 펌프(7)에 의해 보내진 도포 시공액(3)을 여과하는 필터 유닛(20)과, 필터 유닛(20)으로 여과된 도포 시공액(3)을 길이 방향을 따라서 하류측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띠 형상의 시트(11)에 차례로 도포 시공해서 도포 시공막(40)을 형성하는 도포 시공부(13)와, 도포 시공액(3)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배관(15)과, 시트(11)를 지지하는 지지부(1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포 시공 장치(1)는 필터 유닛(20)으로부터 배출된 기포(공기)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배관(39)과, 상기 배관(39)에 배치된 밸브(3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도포 시공액(3)으로는, 예를 들어 중합체 용액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시트(11)는 도포 시공액(3)(보다 구체적으로는 여과된 도포 시공액(3))이 도포 시공되어서 이것을 지지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시트(11) 상에 도포 시공액(3)이 도포 시공된 후, 경화되어서 형성된 도포 시공막(40)을 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트(11)로는, 예를 들어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수용부(5)는 시트(11)에 도포 시공되기 때문에 사용되는 도포 시공액(3)을 수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용부(5)로는, 예를 들어 금속제의 탱크 등을 들 수 있다.
펌프(7)는 수용부(5)에 수용된 도포 시공액(3)을 하류측으로, 필터 유닛(20)으로 보내는 것이다. 이 펌프(7)는 도포 시공액(3)이 필터 유닛(20)으로 여과되는 데 필요한 압력을 공급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펌프(7)로는, 예를 들어 기어 펌프나 다이어프램 펌프와 같은 종래 공지된 펌프를 들 수 있다.
도포 시공부(13)는 필터 유닛(20)으로 여과된 도포 시공액(3)을, 예를 들어 롤러 등의 지지부(9)로 지지되면서 상기 도포 시공부(1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류측으로 이동하는 띠 형상의 시트(11)에 차례로 도포 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도포 시공부(13)를 형성하는 것으로는, 예를 들어 다이 코터 등을 들 수 있다.
배관(15)은 수용부(5)와 펌프(7)의 사이, 펌프(7)와 필터 유닛(20)의 사이 및 필터 유닛(20)과 도포 시공부(13)의 사이에 각각 접속되어, 수용부(5)로부터 펌프(7)를 통해서 필터 유닛(20)으로 도포 시공액(3)을 이동시키고, 필터 유닛(20)으로부터 도포 시공부(13)로, 여과된 도포 시공액(3)을 이동시키는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배관(15)으로는 금속 재료, 수지와 금속이 혼합된 복합 재료나, 수지 재료 등을 사용해서 관상으로 형성된 튜브 등을 들 수 있다.
지지부(19)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시트(11)를 도포 시공부(13)에 있어서의 도포 시공액(3) 토출구의 반대측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부(19)로는 롤러 등이 사용된다.
필터 유닛(20)은 펌프(7)에 의해 보내진 도포 시공액(3)을 여과하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 유닛(20)은 시트(11)에 도포 시공되는 도포 시공액(3)을 여과하는 필터(21)와, 필터(21)를 수용하는 하우징(23)을 구비하고 있다. 필터(21)는 단부(21b)측에 개구(21ba)를 갖고, 상기 필터(21)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도포 시공액(3)을 여과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23)은 일단부(23a)측에 도포 시공액(3)이 유입되는 유입구(27a)와, 타단부(23b)측에 필터(21)로 여과된 도포 시공액(3)을 배출하는 배출구(29a)를 갖고 있다. 하우징(23)의 상기 타단부(23b)측에는, 상기 개구(21ba)와 상기 배출구(29a)가 연통되도록 필터(21)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23)의 타단부(23b)측에 있어서의 필터(21)의 외측에는,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 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개구(21ba)와 상기 배출구(29a)가 연통한다는 것은, 여과된 도포 시공액(3)이 상기 개구(21ba)및 상기 배출구(29a)를 통과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필터 유닛(20)은 하우징(23)의 상기 타단부(23b)측 쪽이 상기 일단부(23a)측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 도 2에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하우징(23)은 상기 일단부(23a)측으로부터 상기 타단부(23b)측을 향해서 비스듬히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비스듬히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배출 구멍(35)으로 기포를 보다 이동시키기 쉬워진다.
이러한 필터 유닛(20)의 수평면과 평행한 가상 평면 S에 대한 경사 각도 θ1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10 내지 80°가 바람직하고, 20 내지 50°가 보다 바람직하다.
경사 각도 θ1이 10° 미만인 경우에는, 기포가 일단부(23a)측으로부터 타단부(23b)측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진다. 그러나, 경사 각도 θ가 10° 이상인 것에 의해, 기포가 상방을(즉 배출 구멍(35)을) 향해서 이동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기포가 배출 구멍(35)으로부터, 보다 확실하게 배출되기 쉬워진다. 한편, 경사 각도 θ1이 8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타단부(23b)측으로 이동한 기포가, 상기 타단부(23b)측에 있어서 배출 구멍(35)이 형성된 위치로 이동하기 어렵다. 그러나, 경사 각도 θ1이 80° 이하인 것에 의해, 기포가 제2 덮개(29)에 도착했을 때, 상기 제2 덮개(29)에 형성된 배출 구멍(35)에, 보다 확실하게 도달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기포가 배출 구멍(35)으로부터, 보다 확실하게 배출되기 쉬워진다.
상기 필터(21)는 도포 시공액(3)을 여과하는 것이다.
이러한 필터(21)는 개구를 갖지 않는 단부(밀봉측 단부)(21a)와, 개구(21ba)를 갖는 단부(개방측 단부)(21b)를 구비해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필터의 측면(둘레면)에 있어서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도포 시공액(3)을 여과하도록 되어 있다(도 3의 흰색 화살표 참조).
이러한 필터(21)로는, 예를 들어 딥스 필터, 플리트 필터, 멤브레인 필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필터(21)의 외경 및 길이는 적절히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포 시공액(3)의 점도 등에 따라, 필터(21)의 길이가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포 시공액(3)의 점도가 비교적 높은 경우에는, 필터(21)의 길이가 비교적 크고, 도포 시공액(3)의 점도가 비교적 낮은 경우에는, 필터(21)의 길이가 비교적 작아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3)은 필터(21)를 수용하면서, 필터(21)가 도포 시공액(3)을 여과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2, 도 3에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하우징(23)은 하우징(23)의 주체를 이루는 원통 형상의 동체(25)와, 상기 동체(25)의 양단부를 각각 덮는 제1 덮개(27) 및 제2 덮개(29)를 갖고 있다. 즉, 하우징(23)의 일단부(23a)는 제1 덮개(27)를 갖고, 타단부(23b)는 제2 덮개(29)를 갖고 있다.
또한, 하우징(23)은 제1 덮개(27)에 도포 시공액(3)을 유입시키는 유입구(27a)가 형성되고, 제2 덮개(29)에 필터(21)로 여과된 도포 시공액(3)을 배출하는 배출구(29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덮개(29)에는, 상기 개구(21ba)와 상기 배출구(29a)가 연통되도록 필터(2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덮개(29)에는, 상기 제2 덮개(29)의 필터(21)보다 외측의 위치에,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 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터 유닛에 있어서는, 하우징이 상기와 같은 덮개를 갖지 않는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상기 동체(25)는 서로 연결 가능한 통 형상 부재(33)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서 동체(25)는 동일한 원 형상의 원통 형상 부재(33)가 복수 연결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5에서 동체(25)는 1개의 원통 형상 부재(33)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체(25)가 3개의 통 형상 부재(33)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3개의 통 형상 부재(33)가 연결되어, 얻어진 연결체의 양단부에 제1 덮개(27) 및 제(2)의 덮개(29)가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체(25)가 1개의 통 형상 부재(33)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통 형상 부재(33)의 양단부에, 제1 덮개(27) 및 제2 덮개(29)가 각각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통 형상 부재(33)와, 제1 덮개(27) 및 제(2)의 덮개(29)의 고정은, 예를 들어 클램프 고정이나 나사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동체(25)가 서로 연결 가능한 통 형상 부재(33)로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필터(21)의 길이에 따라 동체(25)의 길이, 즉 하우징(23)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필터(21)의 길이에 따라서 일체물의 동체를 새로 제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하우징(23)의 제작 비용이나 작업의 낭비가 줄어든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덮개(27)의 중앙이며, 필터(21)의 단부(21a)의 주연보다 내측의 위치에는, 하우징(23)에 있어서의 필터(21)의 외측 영역에 도포 시공액(3)을 유입시키는 유입구(27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유입구(27a)의 크기는, 펌프(7)에 의한 도포 시공액(3)의 송액량이나, 하우징(23) 내에 걸리는 압력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덮개(27)와, 필터(21)의 단부(21a)의 사이에는, 도포 시공액(3)이 이동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덮개(29)에는 필터(21)의 단부(21b)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덮개(29)는 필터(21)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제2 덮개(29)에 대한 필터(21) 단부(21b)의 설치는, 예를 들어 트위스트락(twist lock) 기구를 사용한 고정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상기 제2 덮개(29)의 중앙이며, 상기 필터(21)의 단부(21b)보다 내측의 위치에는, 필터(21)로 여과된 도포 시공액(3)을 배출하는 배출구(29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출구(29a)의 크기는, 필터(21)를 통과한 도포 시공액(3)의 양, 여과된 도포 시공액(3)의 도포 시공부(13)로의 송액량이나, 필터(21) 내에 걸리는 압력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덮개(29)의 주연측이며, 상기 필터(21)보다 외측의 위치에는, 공기를 배출하는 원 형상의 배출 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출 구멍(35)의 형상,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우징(23) 내에서의 기포의 발생 상황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배출 구멍(35)의 배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 유닛(20)이 경사져서 배치되었을 때, 기포가 집합되기 쉬운 점을 고려하면, 제2 덮개(29)의 중앙측 가까이에 형성되는 것보다, 주연측에 형성되는 편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출 구멍(35)의 수량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덮개(29)의 주연을 따라 복수,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렇게 배출 구멍(35)이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경우, 이들 복수의 배출 구멍(35)이 수평면과 평행한 가상 평면 S(또는, 제2 덮개(29)의 직경을 통하는 가상 직선)에 대하여 동일한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배출 구멍(35)은 상기 가상 평면 S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배출 구멍(35)으로부터 기포가 보다 배출되기 쉬워진다.
또한, 복수의 배출 구멍(35)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모든 배출 구멍의 상기 가상 평면 S에 대한 각도 θ2가 4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배출 구멍(35)의 상기 가상 평면 S에 대한 각도 θ2가 4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출 구멍(35)이 1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이러한 배출 구멍(35)은 상기 가상 평면 S보다 상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배출 구멍(35)의 상기 가상 평면 S에 대한 각도 θ2가, 4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가장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 각도 θ2가 45° 이상인 것에 의해, 기포가 배출되기 쉬워진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배관(39)은 필터 유닛(20)의 배출 구멍(35)으로부터 배출된 기포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배관(39)으로는, 수지제의 튜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37)는 필터 유닛(20)의 배출 구멍(35)으로부터 배관(39)으로 배출된 기포가 소정의 양에 도달할 때까지 배관(39)을 폐쇄하고, 상기 소정의 양에 도달했을 때 배관(39)을 개방하는 것이다. 이러한 밸브(37)의 개방에 의해, 기포는 또한 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기포는 통상, 도포 시공액(3)의 일부와 함께 배출 구멍(35)으로부터 배출되도록 되어 있고, 이 기포를 함유하는 도포 시공액(3)은 도시하지 않은 액체 배출용 탱크에 배출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으며, 수용부(5)에 반송되어서 재이용되게 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한 도포 시공 장치(1)에 의하면, 펌프(7)에 의해 수용부(5)로부터 필터 유닛(20)으로 배관(15)을 통해서 도포 시공액(3)이 보내지면, 도포 시공액(3)은 하우징(23)의 일단부(23a)측의 유입구(27a)로부터 하우징(23) 내에 유입되고, 필터(21)의 주위에 있어서 타단부(23b)측을 향해서 이동하면서 상기 하우징(23) 내에 충전된다. 이와 동시에, 도포 시공액(3)이 필터(21)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여과된다. 이때, 필터(21) 주위의 도포 시공액(3)에 기포가 혼입되어도, 도포 시공액(3)의 흐름과, 도포 시공액보다 비중이 작은 것에 의해, 기포가 제2 덮개(29)로 상방(여기서는, 비스듬히 상방)으로 보내지고, 또한, 제2 덮개(29)의 내면의 최상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유입구(27a)로부터 유입된 도포 시공액(3) 중, 필터(21)의 하방으로 유입된 도포 시공액에 포함되는 기포는, 그 부력에 의해 필터(21)보다 하방으로부터, 이것보다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도포 시공액(3)의 흐름과 함께, 배출 구멍(35)으로 이동한다.
상기 최상측으로 이동한 기포 또는, 여기로 이동해서 집합된 기포는, 배출 구멍(35)으로부터 배관(39)으로 배출되고, 밸브(37)의 개방에 의해 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해서 기포가 제거되면서, 필터(21)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여과된 도포 시공액(3)은 제2 덮개(29)의 배출구(29a)로부터 배출되어, 배관(15)을 통해서 도포 시공부(13)로 보내진다. 그리고, 도포 시공부(13)에 의해, 지지부(9)로 지지되면서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시트(11)에 도포 시공액(3)이 도포 시공되어, 도포 시공막(4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포 시공 장치(1)를 사용한 본 실시 형태의 도포 시공막의 제조 방법은, 상기 필터 유닛(20)에 의해 도포 시공액(3)을 여과하고, 여과된 도포 시공액(3)을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띠 형상의 시트(11)에 도포 시공하여, 도포 시공막(40)을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유닛(20)은 시트(11)에 도포 시공되는 도포 시공액(3)을 여과하는 필터(21)와, 상기 필터(21)를 수용하는 하우징(23)을 구비하고, 필터(21)는 단부(21b)측이 개구(21ba)를 가지며, 상기 필터(21)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도포 시공액(3)을 여과하도록 되어 있고, 하우징(23)은 일단부(23a)측에 도포 시공액(3)이 유입되는 유입구(27a)와, 타단부(23b)측에 필터(21)로 여과된 도포 시공액(3)을 배출하는 배출구(29a)를 가지며, 하우징의 상기 타단부(23b)측에는, 상기 개구(21ba)와 상기 배출구(29a)가 연통되도록 필터(21)가 설치되고, 하우징의 상기 타단부(23b)측에 있어서의 상기 필터(21)의 외측에는,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 구멍(35)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필터 유닛(20)에 의하면, 상기 필터 유닛(20)을 하우징(23)의 상기 타단부(23b)측 쪽이 상기 일단부(23a)측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이하의 작용을 발휘한다. 즉, 하우징(23)의 유입구(27a)로부터 유입된 도포 시공액(3)은 하우징(23) 내에서 필터(21)의 외측을 상방으로 흐르고, 이 흐름과 함께, 공기를 상기 타단부(23b)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도포 시공액(3)을 필터(21)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여과해서 하우징(23)의 배출구(29a)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타단부(23b)측으로 이동시킨 공기를 배출 구멍(35)으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도포 시공액(3)을 필터(21)에 의해 그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여과하면서, 여과 전의 도포 시공액(3)에 혼입된 공기를, 하방으로 밀어내려서 그 흐름(공기의 부력)을 저해하는 것이 아니라, 도포 시공액(3)의 흐름과, 공기의 비중이 도포 시공액(3)보다 작은 것에 의해 밀어올리면서 상기 타단부(23b)측까지 부상시켜서, 배출 구멍(35)으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보다도 기포를 제거하기 쉬워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도포 시공 장치는 필터 유닛(20)과, 상기 필터 유닛(20)에 의해 여과된 도포 시공액(3)을 시트(11)에 도포 시공해서 도포 시공막(40)을 형성하는 도포 시공부(13)를 구비하고, 필터 유닛(20)이 하우징(23)의 상기 타단부(23b)측 쪽이 상기 일단부(23a)측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23)의 상기 타단부(23b)측 쪽이 상기 일단부(23a)측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상기 필터 유닛(20)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도포 시공액(3)으로부터 기포를 용이하게 제거하면서, 여과된 도포 시공액(3)을 시트에 도포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공기가 혼입되거나, 두께가 원하는 값으로부터 변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품질이 떨어지는 도포 시공막(40)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도포 시공막의 제조 방법은, 도포 시공 장치(1)를 사용하고, 필터 유닛(20)에 의해 도포 시공액을 여과하며, 여과된 도포 시공액(3)을 시트(11)에 도포 시공하여, 도포 시공막(40)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23)의 상기 타단부(23b)측 쪽이 상기 일단부(23a)측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상기 필터 유닛(20)에 의해 도포 시공액(3)을 여과하기 때문에, 도포 시공액(3)으로부터 기포를 용이하게 제거하면서, 여과된 도포 시공액(3)을 시트(11)에 도포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도포 시공액(3)으로부터 기포를 용이하게 제거하면서, 여과된 도포 시공액(3)을 시트(11)에 도포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공기가 혼입되거나, 두께가 원하는 값으로부터 변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품질이 떨어지는 도포 시공막(40)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포를 종래보다도 제거하기 쉬운 필터 유닛(20)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종래보다도 용이하게 기포를 제거하면서 도포 시공할 수 있고, 게다가, 품질이 떨어지는 도포 시공막(40)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도포 시공 장치(1) 및 도포 시공막(40)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유닛(20), 도포 시공 장치(1) 및 도포 시공막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도포 시공액(3)의 점도가 0.001 내지 500㎩·s인 것이 적합하다. 이러한 점도는, 예를 들어 공축 이중 원통형 회전 점도계, 단일 원통형 회전 점도계, 원추 평판형 회전 점도계에 의해 측정되는 값이다. 특히 도포 시공액(3)의 점도가 0.5 내지 500㎩·s인 경우에는, 도포 시공액(3) 중을 기포가 이동하기 어려워지지만,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유닛(20), 도포 시공 장치(1) 및 도포 시공막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하우징(23) 내에서 도포 시공액(3)의 흐름과 함께 기포를 이동시키고, 이동시킨 기포를 배출 구멍(35)으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유닛(20), 도포 시공 장치(1) 및 도포 시공막의 제조 방법이 보다 유용한 것이 된다.
본 실시 형태의 필터 유닛, 도포 시공 장치 및 도포 시공막의 제조 방법은 상기와 같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의도하는 범위 내에 있어서 적절히 설계 변경 가능하다.
1: 도포 시공 장치
3: 도포 시공액
5: 수용부
7: 펌프
11: 시트
13: 도포 시공부
15: 배관
19: 지지부
20: 필터 유닛
21: 필터
21a: 단부(밀봉 단부)
21b: 단부(개방 단부)
23: 하우징
23a: 일단부
23b: 타단부
25: 동체
27: 제1 덮개
27a: 유입구
29: 제2 덮개
29a: 배출구
35: 배출 구멍
37: 밸브
39: 배관
40: 도포 시공막

Claims (3)

  1. 시트에 도포 시공되는 도포 시공액을 여과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필터는 일단부측이 개구를 가지며 또한 상기 필터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상기 도포 시공액을 여과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은 일단부측에 상기 도포 시공액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타단부측에 상기 필터로 여과된 도포 시공액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갖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타단부측에는 상기 개구와 상기 배출구가 연통되도록 상기 필터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타단부측에 있어서의 상기 필터의 외측에는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 구멍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필터 유닛.
  2. 제1항에 기재된 필터 유닛과,
    상기 필터 유닛에 의해 여과된 도포 시공액을 상기 시트에 도포 시공해서 도포 시공막을 형성하는 도포 시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 유닛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타단부측 쪽이 상기 일단부측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서 이루어지는 도포 시공 장치.
  3. 제2항에 기재된 도포 시공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필터 유닛에 의해 도포 시공액을 여과하고,
    여과된 도포 시공액을 시트에 도포 시공하여 도포 시공막을 형성하는 도포 시공막의 제조 방법.
KR20140013459A 2013-10-16 2014-02-06 필터 유닛, 도포 시공 장치 및 도포 시공막의 제조 방법 KR201500443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15357A JP2015077546A (ja) 2013-10-16 2013-10-16 フィルターユニット、塗工装置及び塗工膜の製造方法
JPJP-P-2013-215357 2013-10-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361A true KR20150044361A (ko) 2015-04-24

Family

ID=52809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13459A KR20150044361A (ko) 2013-10-16 2014-02-06 필터 유닛, 도포 시공 장치 및 도포 시공막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104581A1 (ko)
JP (1) JP2015077546A (ko)
KR (1) KR20150044361A (ko)
CN (1) CN104548668A (ko)
TW (1) TWI5994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41378A (zh) * 2021-07-19 2021-09-28 青岛理工大学 超滤预处理的粉末活性炭预涂膜装置、预处理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2614U (ja) * 1991-04-24 1992-11-04 三菱製紙株式会社 液体のろ過器
JP2593294B2 (ja) * 1996-04-19 1997-03-26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レジスト塗布装置およびレジスト塗布方法
JP3266848B2 (ja) * 1997-03-03 2002-03-18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塗布装置と塗布方法
US6402821B1 (en) * 1998-08-18 2002-06-11 Tokyo Electron Limited Filter unit and solution treatment unit
JP2001121063A (ja) * 1999-10-26 2001-05-08 Tokyo Electron Ltd フィルタ装置及び液処理装置
JP2004049954A (ja) * 2002-07-16 2004-02-19 Fuji Photo Film Co Ltd 濾過装置及び方法
JP2006251365A (ja) * 2005-03-10 2006-09-21 Fuji Photo Film Co Ltd 反射防止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646234B2 (ja) * 2006-03-22 2011-03-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薬液供給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548668A (zh) 2015-04-29
JP2015077546A (ja) 2015-04-23
US20150104581A1 (en) 2015-04-16
TW201515719A (zh) 2015-05-01
TWI599407B (zh) 2017-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01019A1 (en) Fluid Treating Apparatus
JP3152498U (ja) 塗工ステーション
WO2011108561A1 (ja) 電極製造装置
US20100107878A1 (en) Venting and Filtration Systems with Gas Permeable Membrane
US20150265980A1 (en) Air diffusion device, air diffusion method, and water treatment device
WO2008053826A1 (en) Method of increasing purity of ultrapure water and apparatus therefor
US20130108957A1 (en) Production method of resist composition for lithography
TWI586427B (zh) 用於調節過濾器裝配的系統和方法
JP2009038047A (ja) 液体気化装置
KR20150044361A (ko) 필터 유닛, 도포 시공 장치 및 도포 시공막의 제조 방법
JP6961618B2 (ja) イオン交換体充填カートリッジ及び金属除去カラム
US965619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ditioning a filter assembly
JP5183765B2 (ja) フィルタハウジング
JP2006204988A (ja) フィルタハウジング
JP2013202450A (ja) 塗布装置
KR101531368B1 (ko) 필터
US10086314B2 (en) Fluid storage reservoir with flow dynamic fluid management and hydronucleation
CN107519763A (zh) 一种浸没式过滤装置
KR200483861Y1 (ko) 도관 트랩장치
CN114648908B (zh) 一种用于天然气脱硫设备的模拟方法
CN208949097U (zh) 一种不干胶纸生产用活性炭吸附装置
CN208627027U (zh) 一种硅粉精处理反渗透装置
KR101257886B1 (ko) 그라비아 코팅장치
KR20180131060A (ko) 액체용 탈기 장치
CN105251244A (zh) 一种高粘度浆液的脱泡装置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