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4144A - 로프 걸림고리 결착구 및 로프와 걸림고리의 결착방법 - Google Patents

로프 걸림고리 결착구 및 로프와 걸림고리의 결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4144A
KR20150044144A KR20130123145A KR20130123145A KR20150044144A KR 20150044144 A KR20150044144 A KR 20150044144A KR 20130123145 A KR20130123145 A KR 20130123145A KR 20130123145 A KR20130123145 A KR 20130123145A KR 20150044144 A KR20150044144 A KR 20150044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support bar
ring
hook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3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식
Original Assignee
박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근식 filed Critical 박근식
Priority to KR20130123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4144A/ko
Publication of KR20150044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41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4Devices or coupling-pieces designed for easy formation of adjustable loops, e.g. choker hooks; Hooks or eyes with integral parts designed to facilitate quick attachment to cables or ropes at any point, e.g. by forming loops
    • F16G11/143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로프 걸림고리 결착구는, 일측 단부에 걸림바를 구비하고, 타측 단부에 훅을 구비하며, 로프가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된 걸림고리에 화물을 고정하는 로프를 결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걸림고리의 관통구에 관통된 벤딩부 사이에 삽입하여 로프를 거는 걸이핀; 제1지지바와 제2지지바로 구성되어 상기 걸이핀을 감싸 돌아나온 로프가 상기 제1지지바와 제2지지바의 사이의 슬릿에 끼워지도록 하여 상기 걸이핀의 자세를 유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걸이핀과 제1지지바 및 제2지지바의 일측 단부들을 연결하도록 결합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로프와 걸림고리의 결착방법은, 걸림고리에 결합할 로프의 일측을 구부려 벤딩부를 형성하고, 벤딩부를 걸림고리의 관통구에 삽입하는 제1단계; 상기 벤딩부에 걸림핀을 삽입함과 동시에 제1지지바와 제2지지바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에 로프를 삽입하는 제2단계; 상기 걸림핀과 제1지지바 및 제2지지바에 이탈방지부재를 결합하는 제3단계; 및 상기 로프에 래칫에 의해 장력을 제공하여 화물을 고정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로프 걸림고리 결착구 및 로프와 걸림고리의 결착방법{DEVICE FOR CONNECTING ROPE AND HANGER}
본 발명은 로프 걸림고리 결착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걸이핀을 이용하여 로프를 걸림고리에 고정시킴으로써 간단한 구조와 단순한 작업을 통해 로프에 충분한 장력을 부여하여 완벽한 조임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화물의 안정적인 운송을 보장할 수 있고, 걸이핀의 안정적인 자세유지를 위해 걸이핀과 일체로 제작되는 지지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로프 조임구조의 신뢰성을 극대화하고 핀의 이탈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걸이핀에 의해 로프를 걸림고리에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제1 로프 부분의 길이를 충분히 예상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하게 로프의 여유길이를 많이 확보할 필요가 없어 쓸데없이 로프가 낭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물의 운송중에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로프의 장력이 떨어져 화물과의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걸림고리에 로프를 복잡한 방법으로 감을 필요가 없어 초보자라도 용이하게 작업하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로프를 걸림고리에 고정시키는 결착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걸림고리에 결착구를 이용하여 로프를 결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물 운송시에는 운송중에 정해진 위치를 이탈하거나 추락하여 화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로프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화물을 단단히 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로프와 같은 고정수단이 화물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걸림고리와 래칫을 사용하고 있다.
도 1에는 묶음 방식의 로프 고정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걸림고리는 고리홈에 걸림고리를 걸기 위한 훅(hook)과 로프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바로 구성된다. 걸림바에 로프를 고정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는 로프를 걸림바에 묶어 매듭을 짓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묶음 방식에 의하면 운송 중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로프를 걸림바에 묶은 매듭이 조금씩 조여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로프에 장력이 가해지면 대부분의 장력은 매듭에 가해지게 되고 그 결과 매듭이 보다 더 조여져 상대적으로 로프의 다른 부분은 느슨해지게 된다. 따라서, 화물이 도착할 시점이 되면 로프와 고정하고자 하는 화물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여 로프의 장력이 현저히 저하되고 화물을 고정시키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76332호(2012.8.22. 공고)에는 중량의 화물을 고정함에 있어 걸림고리를 기점으로 로프를 중첩시킨 다음 로프의 중첩 부분에 외력을 가하여 면 마찰력에 의해 고정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도 2에는 상기 등록특허에서 걸림고리(120)에 로프(110)를 고정하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걸림고리(120)에 로프(110)를 일련의 순서대로 매듭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걸림고리(120)는 일반적인 삼각형 방식 대신 제1 걸림바(124)와 제2 걸림바(126)를 구비하고, 이러한 한 쌍의 걸림바에 로프를 수 회 회전시켜 매듭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로프를 수 회 꼬아서 매듭을 형성하므로 작업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순서대로 로프를 꼬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숙련도가 필요하여 초보자가 능숙하게 작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반드시 일정 길이로 로프를 절단하여 작업하여야 하므로 불필요하게 로프를 소모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상기 등록특허의 도면 5 참조). 즉, 수십 미터의 로프를 절단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로프 소모량이 급증하게 된다.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10-2013-0113077호(걸림고리와 로프의 결합구조)를 통하여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특허출원발명도 결합구조에 사용되는 결착구가 다소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이를 보완하여 보다 심플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상기 특허출원발명이 가지는 장점을 모두 발휘하는 로프 걸림고리 결착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구조가 간단하고 작업이 단순하여 숙련되지 않는 작업자라도 단시간에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로프의 장력을 충분히 확보하여 안정적으로 화물을 운송할 수 있는 로프 걸림고리 결착구 및 로프와 걸림고리를 결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로프 걸림고리 결착구는, 일측 단부에 걸림바를 구비하고, 타측 단부에 훅을 구비하며, 로프가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된 걸림고리에 화물을 고정하는 로프를 결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걸림고리의 관통구에 관통된 벤딩부 사이에 삽입하여 로프를 거는 걸이핀; 제1지지바와 제2지지바로 구성되어 상기 걸이핀을 감싸 돌아나온 로프가 상기 제1지지바와 제2지지바의 사이의 슬릿에 끼워지도록 하여 상기 걸이핀의 자세를 유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걸이핀과 제1지지바 및 제2지지바의 일측 단부들을 연결하도록 결합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걸이핀과 제1지지바 및 제2지지바의 타측 단부들이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로프가 상기 걸이바와 상기 슬릿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걸이핀에는 상기 로프가 걸이핀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로프결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바는 제1지지바 보다 길게 형성되고, 제2지지바에는 제1링결합홈과 제2링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부재가 걸이핀, 제1지지바 및 제2지지바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링결합홈에 결합되어 상기 이탈방지부재가 빠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제1이탈방지링과, 상기 제2링결합홈에 결합되어 상기 이탈방지부재가 제2지지바의 단부만 삽입된 상태에서 제2지지바를 이탈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제2이탈방지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로프와 걸림고리의 결착방법은, 걸림고리에 결합할 로프의 일측을 구부려 벤딩부를 형성하고, 벤딩부를 걸림고리의 관통구에 삽입하는 제1단계; 상기 벤딩부에 걸림핀을 삽입함과 동시에 제1지지바와 제2지지바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에 로프를 삽입하는 제2단계; 상기 걸림핀과 제1지지바 및 제2지지바에 이탈방지부재를 결합하는 제3단계; 및 상기 로프에 래칫에 의해 장력을 제공하여 화물을 고정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걸이핀을 이용하여 로프를 걸림고리에 고정시킴으로써 간단한 구조와 단순한 작업을 통해 로프에 충분한 장력을 부여하여 완벽한 조임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화물의 안정적인 운송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걸이핀에 일체로 제작되는 지지부재를 추가로 결합하여 로프 조임구조의 신뢰성을 극대화하고 걸이핀의 자세를 유지하고, 이탈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핀에 의해 로프를 걸림고리에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제1 로프 부분의 길이를 충분히 예상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하게 로프의 여유길이를 많이 확보할 필요가 없어 쓸데없이 로프가 낭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묶음 방식의 종래의 로프 고정방식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걸림고리에 로프를 고정하는 종래의 방식을 도시한 개념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프 걸림고리 결착구의 사시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착구를 사용하여 로프를 결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로프가 걸림고리에 결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프 걸림고리 결착구(100)의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착구(100)를 사용하여 로프(R)를 결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로프(R)가 걸림고리(2)에 결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프 걸림고리 결착구(100)는,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걸이핀(10), 지지부재(20,제1지지바(21) 및 제2지지바(22)), 고정부재(30), 이탈방지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로프 걸림고리 결착구(100)에 의해 로프(R)가 걸림고리(2)에 결합된다.
로프(R)는 화물(미도시)에 장력을 제공하여 화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편의상 로프(R) 중 절단되어 걸림고리(2)에 걸리는 부분을 제1 로프(R1), 화물과 밀착하여 화물에 장력을 제공하는 부분을 제2 로프(R2)라 명명하기로 한다.
도 5,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로프(R1)와 제2로프(R2)는 서로 일체로 이어져 있으며, 걸이핀(10)에 걸리는 벤딩부(8)를 중심으로 제1로프(R1)와 제2로프(R2)가 구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R)가 구부러진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벤딩부(8)는 걸림고리(2)의 관통구(7) 일측에서 관통구(7)를 통과하여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부(8)의 사이 공간에 걸이핀(10)이 삽입된다.
걸이핀(10)은 제1로프(R1)와 제2로프(R2)의 벤딩부(8)가 걸리는 부분이다. 걸이핀(10)에는 걸이핀(10)에 걸린 로프(R)가 좌우로 이탈하지 않도록 단턱이 형성된 로프결착홈(11)이 형성될 수 있다. 걸이핀(10)은 관통구(7)의 일측면에 걸림바(6)와 나란한 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걸이핀(10)은 훅(4)이 형성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훅(4)이 형성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것도 무방하다.
걸이핀(10)을 감싸 돌아나온 로프는 지지부재(20)를 구성하는 제1지지바(21)와 제2지지바(22)의 사이 슬릿(23)에 삽입된다. 지지부재(20)는 제1로프(R1)와 제2로프(R2)가 풀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고정부재(30)에 의해 걸이핀(10)과 일체로 제작됨으로써, 걸이핀(10)이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유도하여 걸이핀(10)에 걸린 로프가 걸이핀(10)을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지지부재(20)를 구성하는 제1지지바(21)와 제2지지바(22) 중 어느 하나는 제1로프(R1)에 접촉하게 되고, 다른 하나는 제1로프(R1)에 접촉하게된다. 도 3, 도 4 및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0)는 걸이핀(10)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되어 걸이핀(10)을 감싸고 관통구(7)로 되돌아나온 로프(R)가 일정이상의 각도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제1지지바(21)와 제2지지바(22)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23)을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로프(R)에 장력이 가해졌을때 로프(R), 걸이핀(10) 및 걸이바에 강한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유도한다.
고정부재(30)는 걸이핀(10), 제1지지바(21) 및 제2지지바(22)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여 일체화가 되도록 형성된다. 걸이핀(10), 제1지지바(21) 및 제2지지바(22)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함께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핀(10), 제1지지바(21) 및 제2지지바(22)가 고정부재(30)에 의해 일체화된 구조만으로도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을 이룰 수 있으나, 지속적인 진동 등에 의해 로프(R)가 걸이핀(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탈방지부재(40)를 결합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재(40)는 걸이핀(10), 제1지지바(21) 및 제2지지바(22)의 타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는 삽입홈(41)이 형성된다. 로프를 걸이핀(10)에 걸고 지지부재(20)의 슬릿(23)에 삽입한 다음, 이탈방지부재(40)의 삽입홈(41)에 걸이핀(10) 등을 삽입하여 로프가 결착구(100)를 이탈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탈방지부재(40)를 결합한 다음, 이탈방지부재(40)가 걸이핀(10) 등에서 빠지지 않도록 제1지지바(21), 제2지지바(22), 걸이핀(10)의 단부 어느 한 곳에 제1이탈방지링(26)이 결합될 수 있는 제1링결합홈(24)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지지바(22)가 제1지지바(2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제작되고 제2지지바(22)에 제1링결합홈(24)이 형성된다. 또한, 이탈방지부재(40)가 결착구(100)와 따로 분리되지 않고 세트(SET)로 보관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2지지바(22)의 단부에 제2링결합홈(25)이 형성되고 여기에 제2이탈방지링(27)이 결합될 수 있다. 즉, 이탈방지부재(40)를 제2지지바(22)에만 결합한 상태에서 제2이탈방지링(27)을 결합해 두면 세트로 보관될 수 있고, 로프를 결착한 상태에서 이탈방지부재(40)를 결합하면 제1이탈방지링(26)을 제1링결합홈(24)에 결합하여 이탈방지부재(40)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로프(R)의 결착을 견고히 할 수 있다.
상기에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로프 걸림고리 결착구(100)는 착탈이 가능하므로, 화물의 운송이 완료된 이후에 분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로프 걸림고리 결착구(100)를 이용하여 로프(R)를 걸림고리(2)에 결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R)를 구부려 벤딩부(8)를 형성하고 걸림고리(2)의 관통구(7)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시킨다.(제1단계) 그 다음 벤딩부(8)에 걸이핀(10)을 삽입함과 동시에 제1로프(R1)와 제2로프(R2)를 제1지지바(21)와 제2지지바(22)의 사이 슬릿(23)에 삽입한다.(제2단계) 그 다음 이탈방지부재(40)를 결합한다(제3단계). 이탈방지부재(40)를 결합한 다음 제1이탈방지링을 결합하여 이탈방지부재(40)를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래칫을 이용하여 제1로프(R1)를 제2로프(R2)에 대하여 당김으로써, 로프(R)에 장력을 가하고 화물을 고정한다.(제4단계) 다만, 상기의 제3단계와 제4단계는 순서가 바뀔 수 있으며, 순서를 바꾸어 진행하여도 본 발명에 따른 로프(R)를 걸림고리(2)에 결착하는 방법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 로프 걸림고리 결착구
R : 로프
6 : 걸림바
8 : 벤딩부
10 : 걸이핀
20 : 지지부재
21 : 제1지지바
22 : 제2지지바
30 : 고정부재
40 : 이탈방지부재

Claims (5)

  1. 일측 단부에 걸림바를 구비하고, 타측 단부에 훅을 구비하며, 로프가 관통하는 관통구(7)가 형성된 걸림고리에 화물을 고정하는 로프를 결착하기 위한 로프 걸림고리 결착구에 있어서,
    상기 걸림고리의 관통구에 관통된 벤딩부 사이에 삽입하여 로프를 거는 걸이핀;
    제1지지바와 제2지지바로 구성되어 상기 걸이핀을 감싸 돌아나온 로프가 상기 제1지지바와 제2지지바의 사이의 슬릿에 끼워지도록 하여 상기 걸이핀의 자세를 유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걸이핀과 제1지지바 및 제2지지바의 일측 단부들을 연결하도록 결합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로프 걸림고리 결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핀과 제1지지바 및 제2지지바의 타측 단부들이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로프가 상기 걸이바와 상기 슬릿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로프 걸림고리 결착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핀에는 상기 로프가 걸이핀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로프결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걸림고리 결착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바는 제1지지바 보다 길게 형성되고, 제2지지바에는 제1링결합홈과 제2링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부재가 걸이핀, 제1지지바 및 제2지지바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링결합홈에 결합되어 상기 이탈방지부재가 빠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제1이탈방지링과,
    상기 제2링결합홈에 결합되어 상기 이탈방지부재가 제2지지바의 단부만 삽입된 상태에서 제2지지바를 이탈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제2이탈방지링을 더 포함하는 로프 걸림고리 결착구.
  5. 걸림고리에 결합할 로프의 일측을 구부려 벤딩부를 형성하고, 벤딩부를 걸림고리의 관통구에 삽입하는 제1단계;
    상기 벤딩부에 걸림핀을 삽입함과 동시에 제1지지바와 제2지지바의 사이에 형성된 슬릿에 로프를 삽입하는 제2단계;
    상기 걸림핀과 제1지지바 및 제2지지바에 이탈방지부재를 결합하는 제3단계; 및
    상기 로프에 래칫에 의해 장력을 제공하여 화물을 고정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로프와 걸림고리의 결착방법.

KR20130123145A 2013-10-16 2013-10-16 로프 걸림고리 결착구 및 로프와 걸림고리의 결착방법 KR201500441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3145A KR20150044144A (ko) 2013-10-16 2013-10-16 로프 걸림고리 결착구 및 로프와 걸림고리의 결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3145A KR20150044144A (ko) 2013-10-16 2013-10-16 로프 걸림고리 결착구 및 로프와 걸림고리의 결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144A true KR20150044144A (ko) 2015-04-24

Family

ID=53036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3145A KR20150044144A (ko) 2013-10-16 2013-10-16 로프 걸림고리 결착구 및 로프와 걸림고리의 결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414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0116B2 (en) Loop rope assembly
US8776323B2 (en) Cargo strap
US10421386B2 (en) Tie down strap with strap loop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while securing cargo
US8443471B2 (en) Rope and fastener assembly
US10604317B2 (en) Reusable tie strap with multiple apertures
US20070067968A1 (en) Connectable Bungee Cord
AU2019204671B2 (en) Line Tensioner
US10486582B1 (en) Ratchet strap keeper
US20190135162A1 (en) Rope tie down apparatus
JP6138867B2 (ja) 可撓性ヘッドを有するインラインケーブルタイ
US9050922B1 (en) Tie down device
KR101572728B1 (ko)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 및 이를 이용한 로프 결착방법
KR20150044144A (ko) 로프 걸림고리 결착구 및 로프와 걸림고리의 결착방법
KR101578715B1 (ko) 화물 고정용 결착구 및 이를 이용한 로프 결착방법
KR101632501B1 (ko) 화물 고정용 로프 결착구 및 이를 이용한 로프 결착방법
KR20150070992A (ko)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 및 이를 이용한 로프 결착방법
US20170020235A1 (en) Line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JP2019043560A (ja) ラッシング具
JP2013208216A (ja) ベルト固定具および落下防止具
US2299794A (en) Clothesline fastener
KR20120134317A (ko) 화물용 결속밴드의 구조
JP4814678B2 (ja) 紐締め構造
KR102023773B1 (ko) 김발 간답대용 묶음줄 형성구
JP5832006B2 (ja) 結束具
JP6722894B2 (ja) 結束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