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3365A - 입력 표시 제어 장치,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 입력 표시 제어 방법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입력 표시 제어 장치,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 입력 표시 제어 방법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3365A
KR20150043365A KR1020157005809A KR20157005809A KR20150043365A KR 20150043365 A KR20150043365 A KR 20150043365A KR 1020157005809 A KR1020157005809 A KR 1020157005809A KR 20157005809 A KR20157005809 A KR 20157005809A KR 20150043365 A KR20150043365 A KR 20150043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ymbol
displayed
screen
touch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5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9242B1 (ko
Inventor
야스키 가도마츠
Original Assignee
엔이씨 솔루션 이노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이씨 솔루션 이노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이씨 솔루션 이노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43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3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1Texturing; Colouring; Generation of texture or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16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adaptation to the client's capab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입력 표시 제어 장치(1)의 표시 제어부(15)는, 유저가 입력한 기호를 표시하는 기호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부(11)의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15)는, 기호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기호를 표시부(11)에의 탭에 의해 입력시키기 위한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 및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를, 표시 제어부(15)가 표시한 화상에 중첩해서, 조작 버튼이 반투명으로 표시되게, 표시부(11)의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15)는,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의 표시색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표시색에서 선택된 표시색으로 변경한다.

Description

입력 표시 제어 장치,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 입력 표시 제어 방법 및 기록매체{INPUT DISPLAY CONTROL DEVICE, THIN CLIENT SYSTEM, INPUT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입력 표시 제어 장치,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 입력 표시 제어 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유저에 의해 입력된 문자 등을 표시하는 텍스트 입력 영역의 일부에, 유저에게 문자 등을 입력하게 하기 위한 키보드 화면(가상 키보드)을 중첩해서 표시해도, 유저가 텍스트 입력 영역을 시인(視認)할 수 있게 하는 장치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화상 판독 장치가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화상 판독 장치에서는, 키보드 화면은, 반투명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유저는, 텍스트 입력 영역의 일부에 키보드 화면을 중첩해서 표시해도, 텍스트 입력 영역 전체를 시인할 수 있다.
일본국 특개2011-254358호 공보
그러나, 예를 들면, 표시되어 있는 화상과 이것에 중첩해서 표시하는 키보드 화면의 표시색이 동일색 혹은 동계색(同系色)인 경우, 유저는, 키보드 화면이 잘 보이지 않게 된다. 이렇게, 표시색에 따라서는, 키보드 화면(가상 키보드)이 잘 보이지 않게 되므로, 유저가 가상 키보드를 조작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표시되어 있는 화상에 중첩해서 표시하는 가상 키보드가 잘 보이지 않는 것을 해소할 수 있는 입력 표시 제어 장치,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 입력 표시 제어 방법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입력 표시 제어 장치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와,
유저가 입력한 기호를 표시하는 기호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을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 수단과,
상기 기호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기호를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의 탭에 의해 입력시키기 위한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 및 상기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를, 상기 화면 표시 수단이 표시한 화상에 중첩해서, 상기 조작 버튼이 반투명으로 표시되게,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키보드 표시 수단과,
상기 키보드 표시 수단이 표시한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의 표시색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표시색에서 선택된 표시색으로 변경하는 표시색 변경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서버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입력 표시 제어 장치로 구성되는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버는,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화상 정보를 상기 입력 표시 제어 장치에 송신하는 화상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표시 제어 장치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화상 정보를 수신하는 화상 수신 수단과,
상기 화상 수신 수단이 수신한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유저가 입력한 기호를 표시하는 기호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을,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 수단과,
상기 기호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기호를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의 탭에 의해 입력시키기 위한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 및 상기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를, 상기 화면 표시 수단이 표시한 화상에 중첩해서, 상기 조작 버튼이 반투명으로 표시되게,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키보드 표시 수단과,
상기 키보드 표시 수단이 표시한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의 표시색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표시색에서 선택된 표시색으로 변경하는 표시색 변경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입력 표시 제어 방법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입력 표시 제어 장치가 실행하는 입력 표시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 표시 제어 장치가, 유저가 입력한 기호를 표시하는 기호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을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 스텝과,
상기 입력 표시 제어 장치가, 상기 기호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기호를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의 탭에 의해 입력시키기 위한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 및 상기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를, 상기 화면 표시 스텝에서 표시한 화상에 중첩해서, 상기 조작 버튼이 반투명으로 표시되게,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키보드 표시 스텝과,
상기 입력 표시 제어 장치가, 상기 키보드 표시 스텝에서 표시한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의 표시색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표시색에서 선택된 표시색으로 변경하는 표시색 변경 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입력 표시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서버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입력 표시 제어 장치로 구성되는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이 실행하는 입력 표시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서버가,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화상 정보를 상기 입력 표시 제어 장치에 송신하는 화상 송신 스텝과,
상기 입력 표시 제어 장치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화상 정보를 수신하는 화상 수신 스텝과,
상기 입력 표시 제어 장치가, 상기 화상 수신 스텝에서 수신한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유저가 입력한 기호를 표시하는 기호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을,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 스텝과,
상기 입력 표시 제어 장치가, 상기 기호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기호를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의 탭에 의해 입력시키기 위한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 및 상기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를, 상기 화면 표시 스텝에서 표시한 화상에 중첩해서, 상기 조작 버튼이 반투명으로 표시되게,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키보드 표시 스텝과,
상기 입력 표시 제어 장치가, 상기 키보드 표시 스텝에서 표시한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의 표시색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표시색에서 선택된 표시색으로 변경하는 표시색 변경 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기록매체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입력 표시 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를,
유저가 입력한 기호를 표시하는 기호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을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 수단,
상기 기호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기호를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의 탭에 의해 입력시키기 위한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 및 상기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를, 상기 화면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된 화상에 중첩해서, 상기 조작 버튼이 반투명으로 표시되게,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키보드 표시 수단,
상기 키보드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된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의 표시색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표시색에서 선택된 표시색으로 변경하는 표시색 변경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상 키보드가 잘 보이지 않는 것을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입력 표시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 표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입력 표시 제어 장치의 스마트 키보드 매니저에 의해 관리되는 가상 키보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입력 표시 제어 장치의 스마트 키보드 매니저의 가상 키보드가 플로팅 표시(floating display)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입력 표시 제어 장치의 스마트 키보드 매니저의 가상 키보드가 전체 화면 표시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입력 표시 제어 장치에서, 표시색 후보 윈도우가 표시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입력 표시 제어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입력 표시 제어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입력 표시 제어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입력 표시 제어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입력 표시 제어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입력 표시 제어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입력 표시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스마트 키보드 매니저라 한다.
(실시형태 1)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스마트 키보드 매니저의 키보드의 표시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에 따른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를 구비한다.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의 화면에는, 예를 들면, 유저가 입력한 기호를 표시하는 기호 표시 영역(A)을 포함하는 화상이 표시된다. 여기에서, 기호란, 알파벳 문자, 히라가나 문자, 숫자, 부호, 단위 표시, 기능 표시 등을 포함한다. 또한, 화상이란, 각종 문자, 숫자, 사진, 묘화 등을 포함한다.
스마트 키보드 매니저는, 입력 표시 제어 장치(1)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의 화면에 화상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기동된다.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는,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의 화면에, 스마트 키보드 매니저에 의해 관리되는 가상 키보드(K)를, 표시되어 있는 화상에 중첩해서 표시한다.
가상 키보드(K)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탭(접촉)에 의해, 기호 표시 영역(A)에 표시킬 기호를, 유저에게 입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가상 키보드(K)는, 키보드 프레임(W1)과,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조작 버튼(W2)과, 각 조작 버튼(W2)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알파벳 문자, 히라가나 문자, 숫자, 부호, 단위 표시, 기능 표시 등을 포함함)(W3)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탭(tapping)"이란, 유저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의 화면에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접촉 하는 것이며, 상세는 후술한다.
키보드 프레임(W1) 및 조작 버튼(W2)은, 반투명으로 표시된다. "반투명으로 표시한다"란, 중첩되어 있는 화상이 투과해서 보이도록 화소를 연산해서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한편, 기호 W3은, 반투명이 아니라 전부 칠해져서(불투명하게) 표시된다. 따라서, 기호 W3이 표시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유저는, 중첩되어 있는 화상을 볼 수 없다.
스마트 키보드 매니저는, 예를 들면,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가상 키보드(K1, K2, K3)를,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의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에 중첩해서 표시해도 된다. 이때, 스마트 키보드 매니저는, 가상 키보드(K1, K2, K3)를,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의 화면에, 유저가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도록 표시(플로팅(floating) 표시)해도 된다. 또한, 스마트 키보드 매니저는, 유저의 선택에 따라, 예를 들면, 가상 키보드(K1)와 가상 키보드(K3) 또는 가상 키보드(K2)와 가상 키보드(K3)의 조합을,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의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에 중첩해서 표시해도 된다.
그 외에도, 스마트 키보드 매니저는, 예를 들면,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알파벳 문자의 입력에 관련된 가상 키보드(K4)를,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의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에 중첩해서 표시해도 된다. 이때, 스마트 키보드 매니저는, 예를 들면, 하드웨어 버튼부(16)가 유저에 의해 눌려지게 되면, 예를 들면, 알파벳 문자의 입력에 관련된 가상 키보드(K4)를 가타카나 문자의 입력에 관련된 가상 키보드로 전환하여,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의 화면에 표시해도 된다.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의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기호 W3(각 조작 버튼(W2)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 W3)이, 유저에 의해 탭(접촉)되면, 탭된 기호 W3에 대응하는 처리(예를 들면,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의 화면에의 알파벳 문자의 표시 또는 이미 표시되어 있는 숫자의 삭제 등)를 실행한다.
또한,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는, 하드웨어 버튼(B1)이 유저에 의해 눌려지면,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의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가상 키보드(K, K1~K4)의 기호 W3의 표시색을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는,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드웨어 버튼(B1)이 유저에 의해 눌려지면, 복수의 표시색의 후보를 제시하기 위한 표시색 후보 윈도우(W4)를,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의 화면에 표시하고, 표시색의 선택을 유저에게 촉구한다. 다시 하드웨어 버튼(B1)이 유저에 의해 눌려져서, 표시색의 선택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는, 가상 키보드(K, K1~K4)의 기호 W3의 표시색을 선택된 표시색으로 변경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는, 가상 키보드(K, K1~K4)의 기호 W3의 표시색을, 복수의 표시색의 후보에서 선택된 표시색으로 변경할 수 있다(키보드 프레임(W1), 조작 버튼(W2)의 표시색은 고정). 따라서, 유저는, 가상 키보드(K, K1~K4)에 중첩해서 표시되는 화상에 따라, 보기 쉬운 표시색으로,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의 화면에, 기호 W3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유저는, 가상 키보드(K, K1~K4)가 잘 보이지 않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는, 키보드 프레임(W1) 및 각 조작 버튼(W2)을, 반투명으로 표시한다. 이에 따라, 유저는, 가상 키보드(K, K1~K4)를 투과해서, 중첩되어 있는 화상을 보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상 키보드(K, K1~K4)는, 유저 조작에 방해가 되기 어렵다. 또한,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는, 기호 W3을, 반투명이 아니라 전부 칠해서(불투명하게) 표시한다. 따라서, 유저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의 화면에 표시된 기호 W3을 보기 쉽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 1에 따른 입력 표시 제어 장치(1)의 구성을 설명한다.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는 표시부(11), 입력부(12), 조작 인식부(13), 저장부(14), 표시 제어부(15) 및 하드웨어 버튼부(16)를 구비한다.
표시부(11)는, 액정 패널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시 제어부(15)에서 생성된 화상을 표시한다. 입력부(12)는, 표시부(11)를 구성하는 액정 패널의 표면에 설치한, 탭을 검출하는 터치 패드 등의 위치 입력 장치로 구성되어 있고, 유저의 탭에 의한 입력을 수신한다. 표시부(11) 및 입력부(12)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에 의해 실현된다.
조작 인식부(13)는, 입력부(12)가 탭을 검출한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 상의 위치를 취득하고, 저장부(14)에 저장되어 있는, 화면의 좌표를 나타내는 화면 좌표 정보와 대조해서, 접점 좌표를 인식한다. 또한, 조작 인식부(13)는, 입력부(12)가 검출한 탭에 대해서, 탭을 개시하고 나서 종료할 때까지의 연속 탭 시간을 인식한다. 조작 인식부(13)는, 접점 좌표 및 연속 탭 시간을 표시 제어부(15)에 송신한다.
표시 제어부(15)는, 저장부(14)로부터, 표시부(11)의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화상 정보를 판독하며, 그 판독한 화상 정보로부터 표시부(11)의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화상을, 표시부(11)의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15)는, 스마트 키보드 매니저의 기동이 완료되면, 스마트 키보드 매니저의 가상 키보드(K)의 데이터를 저장부(14)로부터 판독하여, 가상 키보드(K)를, 표시부(11)의 화면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한다.
표시 제어부(15)는, 조작 인식부(13)로부터 수신한 접점 좌표 및 연속 탭 시간에 의거하여, 유저가 조작 버튼(W2)(도 1, 2 참조)을 탭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시 제어부(15)는, 탭 개시시의 접점 좌표가 조작 버튼(W2)의 표시 영역의 범위 내이며, 연속 탭 시간이 임계값 α 이상 임계값 β 이하인 경우에, 탭했다고 판정한다. 임계값 α를 마련함으로써, 유저가 무의식 중에 접촉한 경우 등의, 연속 탭 시간이 짧은 터치를, 표시 제어부(15)가 잘못해서 탭이라고 판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임계값 β를 마련함으로써, 잘못된 조작 버튼(W2)을 터치하게 되었을 때에, 유저는, 터치한 조작 버튼을 계속해서 길게 탭함으로써 조작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연속 탭 시간의 임계값 외에, 예를 들면, 탭 개시시의 접점 좌표로부터의 변위에 임계값을 마련함으로써, 유저가, 터치한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조작을 해제할 수 있도록, 표시 제어부(15)를 구성해도 된다. 또한, 탭 개시시의 접점 좌표가 조작 버튼(W2)의 표시 영역의 범위 내이며, 연속 탭 시간이 0 이상인 경우는, 모두 탭했다고 판정하도록, 표시 제어부(15)를 구성해도 된다.
표시 제어부(15)는, 유저가 조작 버튼(W2)을 탭했다고 판정한 경우, 저장부(14)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로부터, 조작 버튼(W2)이 선택된 경우에 발행하는 이벤트 정보를 생성해서, 이벤트를 발행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15)는, 저장부(14)에 저장되어 있는, 이벤트와 처리의 대응을 나타내는 처리 정보를 참조해서, 발행된 이벤트에 대응되어 있는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표시 제어부(15)는, 조작 버튼(W2)이 선택된 경우에 발행하는 이벤트가 히라가나 문자 あ(A)인 경우, 표시부(11)의 화면에, 히라가나 문자 あ(A)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15)는, 조작 버튼(W2)이 선택된 경우에 발행하는 이벤트가 "BACK SPACE"인 경우, 표시부(11)의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커서 앞에 있는 문자 등을 1개 삭제한다. 또, 처리 정보를 참조해서, 발행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은, 표시 제어부(15)가 아니라, 입력 표시 제어 장치(1)가 구비하는 다른 기능부이여도 된다.
하드웨어 버튼부(16)는, 하드웨어 버튼(B1)과 신호 출력 장치로 구성된다. 하드웨어 버튼부(16)는, 하드웨어 버튼(B1)이 눌려지면, 신호 출력 장치로 하여금 전기 신호를 출력하게 한다. 출력된 전기 신호가, 표시 제어부(15)에서 수신되면, 표시 제어부(15)는, 복수의 표시색을 나타내는 표시색 정보를 저장부(14)로부터 판독하고, 표시색 후보 윈도우(W4)를, 표시부(11)의 화면에 표시하여, 표시색의 선택을 유저에게 촉구한다. 하드웨어 버튼(B1)이 눌려져서, 표시색의 선택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입력되면, 표시 제어부(15)는, 선택된 표시색으로, 가상 키보드(K, K1~K4)의 기호 W3의 표시색을 변경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서, 실시형태 1에 따른 입력 표시 제어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의 플로차트에 나타내는 처리는, 스마트 키보드 매니저의 기동 지시 및 가상 키보드(K, K4)의 전체 화면 표시(도 1b, 도 2b 참조)가, 예를 들면, 입력부(12)에서 수신된 경우(유저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개시된다.
우선, 표시 제어부(15)는, 스마트 키보드 매니저의 가상 키보드(K)의 데이터(또는 가상 키보드(K4)의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저장부(14)로부터 판독하고, 가상 키보드(K)(또는 가상 키보드(K4))를, 표시부(11)의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에 중첩해서, 전체 화면 표시한다(스텝 S11).
다음으로, 표시 제어부(15)는, 하드웨어 버튼(B1)이 눌려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2). 표시 제어부(15)는, 하드웨어 버튼(B1)이 눌려졌다고 판정되면(스텝 S12: Yes), 즉, 하드웨어 버튼부(16)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를 수신하면, 복수의 표시색을 나타내는 표시색 정보를 저장부(14)로부터 판독한다. 이어서, 표시 제어부(15)는, 표시색 후보 윈도우(W4)를,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의 화면에 표시해서, 표시색의 선택을 유저에게 촉구한다(스텝 S13).
하드웨어 버튼(B1)이 눌려져서, 표시색의 선택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입력되면, 표시 제어부(15)는, 가상 키보드(K)(또는 가상 키보드(K4))의 기호 W3의 표시색을, 선택된 표시색으로 변경한다(스텝 S14). 그 후, 조작 인식부(13)에 의해, 스텝 S15이 실행된다.
한편, 표시 제어부(15)는, 하드웨어 버튼(B1)이 눌려져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12: No), 즉,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 스텝 S13 및 스텝 S14를 스킵한다.
다음으로, 조작 인식부(13)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에의 탭의 유무를 판정한다(스텝 S15). 조작 인식부(13)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에의 탭이 없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15: No), 즉,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의 탭을 입력부(12)가 검출하고 있지 않은 경우, 조작 인식부(13)는, 처리를 스텝 S12로 되돌린다.
한편, 조작 인식부(13)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에의 탭이 있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15: Yes), 즉,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의 탭을 입력부(12)가 검출한 경우, 입력부(12)가 탭을 검출한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 상의 위치를 취득해서, 저장부(14)에 저장되어 있는 화면 좌표 정보와 대조하여, 접점 좌표 및 연속 탭 시간을 인식한다(스텝 S16). 그리고, 조작 인식부(13)는, 접점 좌표 및 연속 탭 시간을 표시 제어부(15)에 송신한다(스텝 S16).
다음으로, 표시 제어부(15)는, 스텝 S17에서 다음 처리를 실행한다. 즉, 표시 제어부(15)는, 조작 인식부(13)로부터 수신한 접점 좌표 및 연속 탭 시간에 의거하여, 조작 버튼(W2) 중 어느 것이 탭되었는지를 특정한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15)는, 저장부(14)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로부터, 조작 버튼(W2)이 선택된 경우에 발행하는 이벤트 정보를 생성해서, 이벤트를 발행한다.
그 후, 표시 제어부(15)는, 저장부(14)에 저장되어 있는, 이벤트와 처리의 대응을 나타내는 처리 정보를 참조해서, 발행된 이벤트에 대응되어 있는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18).
그리고, 표시 제어부(15)는, 스마트 키보드 매니저의 종료의 지시의 유무를 판정한다(스텝 S19). 표시 제어부(15)는, 조작 인식부(13)로부터 스텝 S16에서 수신한 접점 좌표 및 연속 탭 시간에 의거하여, 조작 버튼(W2)이 탭된 것이 아니라, 스마트 키보드 매니저를 종료하는 버튼이 탭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19: Yes), 스마트 키보드 매니저를 종료해서, 도 4에 나타내는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표시 제어부(15)는, 스마트 키보드 매니저를 종료하는 버튼이 탭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19: No), 처리를 스텝 S12로 되돌린다.
실시형태 1의 입력 표시 제어 장치(1)에 의하면, 표시색 후보 윈도우(W4)의 표시색의 후보에서 선택된 표시색으로, 가상 키보드(K, K4)의 기호 W3의 표시색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가상 키보드(K, K4)에 중첩해서 표시되는 화상에 따라, 보기 쉬운 표시색으로,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의 화면에, 기호 W3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유저는, 가상 키보드(K, K4)가 잘 보이지 않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는, 키보드 프레임(W1) 및 각 조작 버튼(W2)을, 반투명으로 표시한다. 이에 따라, 유저는, 가상 키보드(K, K1~K4)를 투과해서, 중첩되어 있는 화상을 보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상 키보드(K, K1~K4)는, 유저 조작에 방해가 되기 어렵다. 또한,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는, 기호 W3을, 반투명이 아니라 전부 칠해서(불투명하게) 표시한다. 따라서, 유저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의 화면에 표시된 기호 W3을 보기 쉽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2에 따른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입력 표시 제어 장치(1)와 동일한 구성이다. 실시형태 2에서는, 스마트 키보드 매니저의 가상 키보드(K1~K3)(도 2a 참조)를, 유저는, 드래그함으로써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서, 실시형태 2에 따른 입력 표시 제어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의 플로차트에 나타내는 처리는, 스마트 키보드 매니저의 기동 지시 및 가상 키보드(K1~K3)의 플로팅 표시(도 2a 참조)가, 예를 들면 입력부(12)에서 수신된 경우(유저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개시된다. 또, 도 5의 플로차트에 나타내는 처리는, 도 4의 플로차트에 나타내는 처리와 동일한 처리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붙여져 있다.
도 5의 플로차트에 나타내는 처리가 개시되면, 표시 제어부(15)는, 스마트 키보드 매니저의 가상 키보드(K1~K3)의 데이터를 저장부(14)로부터 판독하고, 가상 키보드(K1~K3)를, 표시부(11)의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화면에 중첩해서, 소정의 위치에 표시한다(스텝 S31). 즉, 표시 제어부(15)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의 화면의 일부에, 가상 키보드(K1~K3)를 표시한다.
그 후, 표시 제어부(15)는, 하드웨어 버튼(B1)이 눌려져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스텝 S12~스텝 S14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표시 제어부(15)는, 하드웨어 버튼(B1)이 눌려졌다고 판정되면(스텝 S12: Yes), 복수의 표시색을 나타내는 표시색 정보를 저장부(14)로부터 판독하고, 표시색 후보 윈도우(W4)를,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의 화면에 표시해서, 표시색의 선택을 유저에게 촉구한다(스텝 S13).
하드웨어 버튼(B1)이 눌려져서, 표시색의 선택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입력되면, 표시 제어부(15)는, 가상 키보드(K1~K3)의 기호 W3의 표시색을, 선택된 표시색으로 변경한다(스텝 S14). 또, 키보드 프레임(W1), 조작 버튼(W2)의 표시색은, 고정(예를 들면, 적색)이다.
다음으로, 조작 인식부(13)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에의 탭의 유무를 판정한다(스텝 S15). 조작 인식부(13)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에의 탭이 없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15: No), 처리를 스텝 S12로 되돌린다. 한편, 조작 인식부(13)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에의 탭이 있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15: Yes), 스텝 S16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16의 실행 후, 표시 제어부(15)는, 스텝 S16에서 조작 인식부(13)로부터 수신한 접점 좌표가, 가상 키보드(K1~K3)가 표시되어 있는 영역(표시 영역)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2). 표시 제어부(15)는, 가상 키보드(K1~K3)의 표시 영역 중 어디에도 접점 좌표가 포함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32: No), 저장부(14)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대조해서, 접점 좌표가 포함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고(스텝 S33), 처리를 스텝 S19로 이행한다.
한편, 표시 제어부(15)는, 가상 키보드(K1~K3)의 표시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접점 좌표가 포함된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32: Yes), 스텝 S16에서 조작 인식부(13)로부터 수신한 연속 탭 시간으로부터, 가상 키보드(K1~K3) 중 어느 하나가 드래그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4). 표시 제어부(15)는, 드래그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34: Yes), 변화된 탭 좌표의 위치에, 예를 들면 가상 키보드(K1)를 이동시키고(가상 키보드(K1)의 표시 영역에 접점 좌표가 포함되는 경우, 스텝 S35), 처리를 스텝 S19로 이행한다. 여기에서, 표시 제어부(15)는, 탭 개시시의 접점 좌표가 가상 키보드(K1~K3) 중 어느 하나의 표시 영역의 범위 내이며, 탭 개시시의 접점 좌표로부터의 변위가 임계값 γ보다 큰 경우에, 드래그되었다고 판정한다.
한편, 표시 제어부(15)는, 드래그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34: No), 스텝 S16에서 조작 인식부(13)로부터 수신한 접점 좌표 및 연속 탭 시간에 의거하여, 조작 버튼(W2) 중 어느 것이 탭되었는지를 특정한다(스텝 S17). 그 후, 표시 제어부(15)는, 특정된 조작 버튼(W2)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고(스텝 S18), 처리를 스텝 S19로 이행한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15)는, 스텝 S19에서, 스마트 키보드 매니저의 종료가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전술한 실시형태 2의 입력 표시 제어 장치(1)에 의하면, 유저는 표시색을 변경 가능한 기호 W3을 갖는 가상 키보드(K1~K3) 각각을 임의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보기 쉬운 위치에, 가상 키보드(K1~K3)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2의 입력 표시 제어 장치(1)에 의하면, 실시형태 1의 입력 표시 제어 장치(1)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표시색에서 선택된 표시색으로, 가상 키보드(K1~K3)의 기호 W3의 표시색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가상 키보드(K1~K3)에 중첩해서 표시되는 화상에 따라, 보기 쉬운 표시색으로,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의 화면에 기호 W3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유저는, 가상 키보드(K1~K3)가 잘 보이지 않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는, 키보드 프레임(W1) 및 각 조작 버튼(W2)을 반투명으로 표시한다. 이에 따라, 유저는, 가상 키보드(K, K1~K4)를 투과해서, 중첩되어 있는 화상을 보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상 키보드(K, K1~K4)는, 유저 조작에 방해가 되기 어렵다. 또한,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는, 기호 W3을, 반투명이 아니라 전부 칠해서(불투명하게) 표시한다. 따라서, 유저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의 화면에 표시된 기호 W3을 보기 쉽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3에 따른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입력 표시 제어 장치(1)와 동일한 구성이다. 실시형태 3에서는,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는, 스마트 키보드 매니저에 의해 관리되는 가상 키보드(K, K4)의 기호 W3의 표시색을, 표시부(11)에 표시된 화상의 표시색에 따라 변경한다.
실시형태 3에서는, 표시 제어부(15)는, 표시부(11)의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화상 정보를, 저장부(14)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15)는, 취득한 화상 정보로부터, 현재 표시되어 있는 화면에서 사용되고 있는 표시색의 비율을, 사용되고 있는 표시색마다 산출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15)는, 산출한 사용되고 있는 비율이 높은 표시색의 순으로 5개의 표시색을 특정하고, 특정한 5개의 표시색 이외의 표시색으로, 가상 키보드(K, K4)의 기호 W3의 표시색을 변경한다. 또, 키보드 프레임(W1), 조작 버튼(W2)의 표시색은, 고정(예를 들면, 적색)이다.
도 6은, 실시형태 3에 따른 입력 표시 제어 장치(1)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6의 플로차트에 나타내는 처리는, 스마트 키보드 매니저의 기동 지시 및 가상 키보드(K, K4)의 전체 화면 표시(도 1b, 도 2b 참조)가, 예를 들면 입력부(12)에서 수신된 경우(유저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개시된다. 또, 도 6의 플로차트에 나타내는 처리는, 도 4의 플로차트에 나타내는 처리와 동일한 처리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붙여져 있다.
도 6의 플로차트에 나타내는 처리가 개시되면, 표시 제어부(15)는, 스마트 키보드 매니저의 가상 키보드(K)의 데이터(또는 가상 키보드(K4)의 데이터)를 저장부(14)로부터 판독하고, 가상 키보드(K)(또는 가상 키보드(K4))를, 표시부(11)의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에 중첩해서, 전체 화면 표시한다(스텝 S11).
다음으로, 표시 제어부(15)는, 표시부(11)의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화상 정보를, 저장부(14)로부터 취득한다(스텝 S41). 그리고, 표시 제어부(15)는, 취득한 화상 정보로부터, 현재 표시되어 있는 화면에서 사용되고 있는 표시색의 비율을, 사용되고 있는 표시색마다 산출한다(스텝 S42).
그리고, 표시 제어부(15)는, 사용되고 있는 표시색의 비율이 높은 순으로 5개의 표시색을 특정하고, 가상 키보드(K)(또는 가상 키보드(K4))의 기호 W3의 표시색을, 특정한 5개의 표시색 이외의 하나의 표시색으로 변경한다(스텝 S43). 예를 들면, 가상 키보드(K, K4)의 표시색이 8종류로 변경 가능한 경우, 표시 제어부(15)는, 특정한 5개의 표시색 이외의 표시색, 즉, 나머지 3종류 중 1개의 표시색으로, 가상 키보드(K)(또는 가상 키보드(K4))의 기호 W3의 표시색을 변경한다.
그 후, 조작 인식부(13)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가 탭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15: No), 처리를 스텝 S41로 되돌린다.
한편, 조작 인식부(13)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의 탭을 입력부(12)가 검출한 경우(스텝 S15: Yes), 스텝 S16을 실행한다. 그 후, 표시 제어부(15)는, 스텝 S17~스텝 S19의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15)는, 스텝 S19에서, 스마트 키보드 매니저의 종료의 지시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전술한 실시형태 3의 입력 표시 제어 장치(1)에 의하면, 스마트 키보드 매니저의 가상 키보드(K, K4)의 기호 W3의 표시색을, 표시부(11)에 표시된 화상의 표시색에 따라 변경한다. 따라서, 유저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의 화면에 표시된 가상 키보드(K, K4)의 기호 W3을 보기 쉽게 할 수 있다. 즉, 유저는, 가상 키보드(K, K4)가 잘 보이지 않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는, 키보드 프레임(W1) 및 각 조작 버튼(W2)을 반투명으로 표시한다. 이에 따라, 유저는, 가상 키보드(K, K4)를 투과해서, 중첩되어 있는 화상을 보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상 키보드(K, K4)는, 유저 조작에 방해가 되기 어렵다. 또한,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는, 기호 W3을, 반투명이 아니라 전부 칠해서(불투명하게) 표시한다. 따라서, 유저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의 화면에 표시된 기호 W3을 보기 쉽다.
(실시형태 4)
실시형태 4에 따른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는, 실시형태 2에 따른 입력 표시 제어 장치(1)와 동일한 구성이다. 실시형태 4에서는, 스마트 키보드 매니저의 가상 키보드(K1~K3)의 기호 W3의 표시색을, 가상 키보드(K1~K3)를 표시하고 있는 영역(표시 영역)의 화상의 표시색에 따라 변경한다. 또, 키보드 프레임(W1), 조작 버튼(W2)의 표시색은, 고정(예를 들면, 적색)이다.
실시형태 4에서는, 표시 제어부(15)는, 표시부(11)의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화상 정보를, 저장부(14)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15)는, 취득한 화상 정보로부터, 가상 키보드(K1~K3)가 표시되어 있는 영역(표시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표시색의 비율을, 각각의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표시색마다 구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15)는, 표시색의 비율이 높은 순으로 5개의 표시색을, 각각의 영역마다 특정하고, 영역마다 특정한 5개의 표시색 이외의 표시색으로, 가상 키보드(K1~K3)의 기호 W3 각각의 표시색을 변경한다.
도 7은, 실시형태 4에 따른 입력 표시 제어 장치(1)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7의 플로차트에 나타내는 처리는, 스마트 키보드 매니저의 기동 지시 및 가상 키보드(K1~K3)의 플로팅 표시(도 2a 참조)가, 예를 들면 입력부(12)에서 수신된 경우(유저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개시된다. 또, 도 7의 플로차트에 나타내는 처리는, 도 5의 플로차트에 나타내는 처리와 동일한 처리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붙여져 있다.
도 7의 플로차트에 나타내는 처리가 개시되면, 표시 제어부(15)는, 스마트 키보드 매니저의 가상 키보드(K1~K3)의 데이터를 저장부(14)로부터 판독하고, 가상 키보드(K1~K3)를, 표시부(11)의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화면에 중첩해서, 소정의 위치에 표시한다(스텝 S31). 즉, 표시 제어부(15)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의 화면의 일부에, 가상 키보드(K1~K3)를 표시한다.
다음으로, 표시 제어부(15)는, 표시부(11)에 표시되는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화상 정보를, 저장부(14)로부터 취득한다(스텝 S51). 그리고, 표시 제어부(15)는, 취득한 화상 정보로부터, 가상 키보드(K1~K3)가 표시되어 있는 영역(표시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표시색의 비율을, 각각의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표시색마다 구한다(스텝 S52).
그리고, 표시 제어부(15)는, 표시색의 비율이 높은 순으로 5개의 표시색을 각각의 영역마다 특정하고, 영역마다 특정한 5개의 표시색 이외의 하나의 표시색으로, 가상 키보드(K1~K3)의 기호 W3 각각의 표시색을 변경한다(스텝 S53).
예를 들면, 가상 키보드(K1~K3)의 기호 W3의 표시색이 8종류로 변경 가능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에, 표시 제어부(15)는, 가상 키보드(K1)가 표시되어 있는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표시색의 비율이 높은 순의 5개의 표시색, 예를 들면, 파랑, 빨강, 노랑, 초록, 검정을 특정한다. 표시 제어부(15)는, 그 5개의 표시색 이외의 하나의 표시색, 즉, 나머지 3종류 중 1개의 표시색(예를 들면, 흰색)으로, 가상 키보드(K1)의 기호 W3의 표시색을 변경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15)는, 가상 키보드(K2)가 표시되어 있는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표시색의 비율이 높은 순의 5개의 표시색을, 예를 들면, 파랑, 흰색, 노랑, 초록, 검정으로 특정했다고 하면, 그 5개의 표시색 이외의 하나의 표시색, 즉, 나머지 3종류 중 1개의 표시색(예를 들면, 보라색)으로, 가상 키보드(K2)의 기호 W3의 표시색을 변경한다.
마찬가지로, 표시 제어부(15)는, 가상 키보드(K3)가 표시되어 있는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표시색의 비율이 높은 순의 5개의 표시색을, 예를 들면, 빨강, 흰색, 노랑, 초록, 검정으로 특정했다고 하면, 그 5개의 표시색 이외의 하나의 표시색, 즉, 나머지 3종류 중 1개의 표시색(예를 들면, 핑크)으로, 가상 키보드(K3)의 기호 W3의 표시색을 변경한다.
그 후, 조작 인식부(13)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의 탭을 입력부(12)가 검출한 경우(스텝 S15: Yes), 스텝 S16을 실행한다. 그 후, 표시 제어부(15)는, 판정에 따라, 스텝 S33~스텝 S35의 처리, 및 스텝 S17~스텝 S19의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조작 인식부(13)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의 탭을 입력부(12)가 검출하고 있지 않은 경우(스텝 S15: No), 처리를 스텝 S51로 되돌린다.
전술한 실시형태 4의 입력 표시 제어 장치(1)에 의하면, 유저는 표시색을 변경 가능한 기호 W3을 갖는 가상 키보드(K1~K3) 각각을 임의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보기 쉬운 위치에, 가상 키보드(K1~K3)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 4의 입력 표시 제어 장치(1)에 의하면, 스마트 키보드 매니저의 가상 키보드(K1~K3)의 기호 W3의 표시색을, 가상 키보드(K1~K3)를 표시하고 있는 영역의 화상의 표시색에 따라 변경한다. 따라서, 유저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의 화면에 표시된 가상 키보드(K1~K3)의 기호 W3을 보기 쉽게 할 수 있다. 즉, 유저는, 가상 키보드(K1~K3)가 잘 보이지 않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는, 키보드 프레임(W1) 및 각 조작 버튼(W2)을, 반투명으로 표시한다. 이에 따라, 유저는, 가상 키보드(K, K1~K4)를 투과해서, 중첩되어 있는 화상을 보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상 키보드(K, K1~K4)는, 유저 조작에 방해가 되기 어렵다. 또한,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는, 기호 W3을, 반투명이 아니라 전부 칠해서(불투명하게) 표시한다. 따라서, 유저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의 화면에 표시된 기호 W3을 보기 쉽다.
(실시형태 5)
도 8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한다.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입력 표시 제어 장치(1)와 서버(2)로 구성된다.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는, 표시부(11), 입력부(12), 조작 인식부(13), 저장부(14), 표시 제어부(15), 하드웨어 버튼부(16), 화면 수신부(17) 및 이벤트 송신부(18)를 구비한다. 서버(2)는, 실행부(21), 저장부(22), 화면 송신부(23) 및 이벤트 수신부(24)를 구비한다.
입력 표시 제어 장치(1)의 표시부(11), 입력부(12), 조작 인식부(13), 저장부(14) 및 하드웨어 버튼부(16)는, 실시형태 1의 입력 표시 제어 장치(1)와 동일한 구성이다.
화면 수신부(17)는, 서버(2)의 실행부(21)의 처리에 의해 화면 송신부(23)로부터 송신된 화상 정보, 즉, 표시부(11)의 화면(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의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화상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15)는, 화면 수신부(17)가 수신한 화상 정보로부터, 기호 표시 영역(A)(도 1a 참조)을 포함하는 화상을 생성해서, 표시부(11)의 화면(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의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15)는, 저장부(14)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로부터, 가상 키보드(K)(또는 가상 키보드(K4))를 생성하고, 생성한 가상 키보드(K)(또는 가상 키보드(K4))를, 표시부(11)의 화면에 표시한다.
실시형태 5에서는, 표시 제어부(15)는, 가상 키보드(K)(또는 가상 키보드(K4))를, 표시부(11)의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에 중첩해서, 전체 화면 표시한다(키보드 프레임(W1) 및 조작 버튼(W2)은 반투명으로 표시되며, 기호 W3은 반투명이 아니라 전부 칠해서(불투명하게) 표시됨). 그리고, 표시 제어부(15)는, 하드웨어 버튼(B1)이 눌려졌다고 판정되면, 복수의 표시색을 나타내는 표시색 정보를 저장부(14)로부터 판독하고, 표시색 후보 윈도우(W4)를, 표시부(11)의 화면에 표시해서, 표시색의 선택을 유저에게 촉구한다.
표시색의 선택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의 입력이, 하드웨어 버튼(B1)의 유저 조작에 의해 행해지면, 표시 제어부(15)는, 선택된 표시색으로, 가상 키보드(K, K4)의 기호 W3의 표시색을 변경한다. 또, 키보드 프레임(W1), 조작 버튼(W2)의 표시색은, 고정(예를 들면, 적색)이다.
또한, 표시 제어부(15)는, 조작 인식부(13)로부터 수신한 접점 좌표 및 연속 탭 시간에 의거하여, 조작 버튼(W2) 중 어느 것이, 탭되었는지를 특정한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15)는, 저장부(14)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로부터, 조작 버튼(W2)이 선택된 경우에 발행하는 이벤트 정보를 생성해서, 이벤트를 발행한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15)는, 생성한 이벤트 정보를 이벤트 송신부(18)에 출력한다. 표시 제어부(15)의 그 밖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이벤트 송신부(18)는, 표시 제어부(15)로부터 수신한 이벤트 정보를, 서버(2)의 이벤트 수신부(24)에 송신한다.
이벤트 수신부(24)는, 입력 표시 제어 장치(1)의 이벤트 송신부(18)로부터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면, 그 이벤트 정보를 실행부(21)에 출력한다. 실행부(21)는, 저장부(22)에 저장되어 있는, 이벤트와 처리의 대응을 나타내는 처리 정보를 참조해서, 수신한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실행부(21)는, 실행한 처리 화면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를, 저장부(22)로부터 판독해서 화상 송신부(23)로 전송한다. 그러면, 화상 송신부(23)는, 입력 표시 제어 장치(1)의 화면 수신부(17)에 그 화상 정보를 송신한다.
입력 표시 제어 장치(1)의 화면 수신부(17)가, 서버(2)의 화면 송신부(23)로부터 처리 화면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를 수신하면, 표시 제어부(15)는, 화면 수신부(17)가 수신한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처리 화면을 생성하고, 그 생성한 처리 화면을 표시부(11)에 표시한다.
전술한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은, 실시형태 1의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뿐만아니라, 실시형태 2~4의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를 사용해도, 구성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5의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100)에 의하면, 처리의 실행을 서버(2)에 의해 행하므로, 입력 표시 제어 장치(1)의 부하가 작아진다. 이에 따라, 입력 표시 제어 장치(1)의 비용의 저감이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100)에서는, 서버(2)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경우, 서버(2)의 디스플레이용 화면을, 입력 표시 제어 장치(1)의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에 표시시킨다. 입력 표시 제어 장치(1)의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가, 서버(2)의 디스플레이보다 작은 경우, 화면이 축소되어 표시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유저는, 가상 키보드(K, K4)를 투과해서, 중첩되어 있는 화상을 보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상 키보드(K, K4)는, 유저 조작에 방해가 되기 어렵다. 또한, 유저는, 가상 키보드(K, K4)가 잘 보이지 않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서, 각 실시형태에 따른 입력 표시 제어 장치(1)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제어부(3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으로 구성되며, 외부 저장부(33)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39)에 따라, 조작 인식부(13) 및 표시 제어부(15)의 각 처리를 실행한다.
주저장부(32)는, RAM(Random-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되며, 외부 저장부(33)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39)을 로딩함으로써, 제어부(31)의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외부 저장부(33)는, 플래시 메모리, 하드디스크, DVD-RAM(Digital Versatile Disc Random-Access Memory), DVD-RW(Digital Versatile Disc ReWritable)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며, 입력 표시 제어 장치(1)의 처리를 제어부(31)에 행하게 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39)을 미리 저장하고 있다. 또한, 외부 저장부(33)는, 제어부(31)의 지시에 따라, 제어 프로그램(39)의 실행시에 사용되는 각종 데이터를 제어부(31)에 공급함과 함께, 제어부(31)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14)는, 외부 저장부(33)로 구성된다.
조작부(34)는, 터치 패드 등의 위치 입력 장치 및 버튼식 스위치 등의 입력 장치를, 내부 버스(30)에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유저가 조작부(34)에 의해 조작 입력을 행하면, 조작 입력에 따른 지시가, 조작부(34)로부터 제어부(31)로 공급된다. 조작부(34)는, 입력부(12) 및 하드웨어 버튼부(16)로서 기능한다.
표시부(35)는, CRT(Cathode Ray Tube)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 으로 구성되며, 애플리케이션 화면 등을 표시한다. 표시부(35)는, 표시부(11)로서 기능한다.
타이머(36)는, 내부 버스(30)를 통해 현재 시각을 정기적으로 제어부(31)에 공급한다. 제어부(31)는, 타이머(36)로부터 공급된 현재 시각에 의거하여, 연속 탭 시간을 인식한다.
또, 실시형태 5의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100)에서의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는,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망 종단(終端) 장치 또는 무선 통신 장치, 및 그것들과 접속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 또는 LAN(Local Area Network) 인터페이스 등으로 구성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한다. 통신부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2)와의 통신을 확립한다. 통신부는, 화면 수신부(17) 및 이벤트 송신부(18)로서 기능한다.
도 3에 나타내는 표시부(11), 입력부(12), 조작 인식부(13), 저장부(14), 표시 제어부(15) 및 하드웨어 버튼부(16)는, 제어 프로그램(39)이, 제어부(31), 주저장부(32), 외부 저장부(33), 조작부(34), 표시부(35) 및 타이머(36)를 자원으로서 사용해서 처리를 행함으로써 실현된다.
그 밖에, 상기 하드웨어 구성이나 플로차트는 단지 일례이며, 임의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제어부(31), 주저장부(32), 외부 저장부(33), 내부 버스(30) 등으로 구성되는 시스템에서 처리를 행하는 중심이 되는 부분은, 반드시 전용 시스템일 필요는 없으며, 통상의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해서 실현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플렉시블 디스크, CD-ROM, DVD-ROM 등)에 저장해서 배포해도 된다. 따라서,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는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인스톨함으로써,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동작을 실현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상의 서버 장치가 갖는 저장 장치에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해 두고, 통상의 컴퓨터 시스템이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거나 함으로써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를 구성해도 된다.
또한, 입력 표시 제어 장치(1)의 기능을, OS(Operating System)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분담 또는 OS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협동에 의해 실현하는 경우 등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부분만을 기록매체나 저장 장치에 저장해도 된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반송파에 중첩해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배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통신 네트워크 상의 게시판(BBS: Bulletin Board System)에 컴퓨터 프로그램을 게시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 프로그램을 배포해도 된다. 그리고, 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동해서, OS의 제어하에서,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마찬가지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동작을 실현하는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를 구성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종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각 실시형태의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는, 가상 키보드(K, K1~K4)의 기호 W3을, 반투명이 아니라 전부 칠해서 표시했지만(불투명하게 표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각 실시형태의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는, 기호 W3을, 반투명으로 표시해도 된다.
또한, 각 실시형태의 입력 표시 제어 장치(1)에서는, 유저는, 조작 버튼(W2)을 손가락으로 직접 탭해서 조작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유저가, 조작 버튼(W2)을 포인터로 눌러서 조작하도록, 각 실시형태의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를 구성해도 된다.
또한, 각 실시형태의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는, 선택된 표시색으로, 가상 키보드(K, K1~K4)의 기호 W3의 표시색을 변경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각 실시형태의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는, 기호 W3에 추가해서, 키보드 프레임(W1), 조작 버튼(W2)의 표시색을, 선택된 표시색으로 변경해도 된다.
또한, 실시형태 1, 2, 5의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는, 하드웨어 버튼(B1)이 눌려졌다고 판정되면,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의 화면에, 표시색 후보 윈도우(W4)를 표시하고, 하드웨어 버튼(B1)이 다시 눌려져서, 표시색의 선택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표시색으로, 가상 키보드의 기호 W3의 표시색을 변경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실시형태 1, 2, 5의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는, 하드웨어 버튼(B1)의 누름의 판정 대신에, 가상 키보드의 임의의 1개의 조작 버튼(W2)(예를 들면, 표시색의 변경 기능이 할당된 조작 버튼)이 탭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의 화면에, 복수의 표시색의 후보를 표시하고, 표시색의 선택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의 입력이, 임의의 1개의 조작 버튼(W2)의 탭에 의해 행해지면, 선택된 표시색으로, 가상 키보드의 기호 W3의 표시색을 변경해도 된다.
또한, 실시형태 2, 4의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는, 탭 개시시의 접점 좌표가 가상 키보드(K1~K3) 중 어느 하나의 표시 영역의 범위 내인 조건하에서, 탭 개시시의 접점 좌표로부터의 변위가 임계값 γ를 초과하는 경우에 드래그되었다고 판정하고, 임계값 γ 이하인 경우에 탭되었다고 판정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탭되었다고 판정하기 위한 임계값과 드래그되었다고 판정하기 위한 임계값은 상이해도 된다.
또한, 실시형태 3, 4의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는, 표시색의 비율이 높은 순으로 5개의 표시색을 특정하고, 특정한 5개의 표시색 이외의 하나의 표시색으로, 가상 키보드(K, K1~K4)의 기호 W3의 표시색을 변경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실시형태 3, 4의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는, 예를 들면, 표시색의 비율이 높은 순으로 3개의 표시색을 특정하고, 특정한 3개의 표시색 이외의 하나의 표시색으로, 가상 키보드(K, K1~K4)의 기호 W3의 표시색을 변경해도 되며, 예를 들면, 표시색의 비율이 높은 순으로 7개의 표시색을 특정하고, 특정한 7개의 표시색 이외의 하나의 표시색으로, 가상 키보드(K, K1~K4)의 기호 W3의 표시색을 변경해도 된다.
또한, 실시형태 3, 4의 입력 표시 제어 장치(1)는, 예를 들면, 표시색의 비율이 가장 높은 표시색의 보색으로, 가상 키보드(K, K1~K4)의 기호 W3의 표시색을 변경해도 된다.
또한, 실시형태 5에서는, 입력 표시 제어 장치(1)가 접점 좌표 및 연속 탭 시간에 의거하여, 조작 버튼(W2) 중 어느 것이 선택되었는지를 특정하고, 특정한 조작 버튼(W2)이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를 생성해서 이벤트를 발행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입력 표시 제어 장치(1)가 접점 좌표 및 연속 탭 시간을 서버(2)에 송신하고, 서버(2)측에서, 접점 좌표 및 연속 탭 시간에 의거하여, 조작 버튼(W2) 중 어느 것이 선택되었는지를 특정하고, 특정한 조작 버튼(W2)이 선택된 것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를 생성해서 이벤트를 발행해도 된다.
또한, 실시형태 5에서는, 하드웨어 버튼(B1)의 누름을 검출하면, 표시 제어부(15)는, 복수의 표시색을 나타내는 표시색 정보를 저장부(14)로부터 판독하고, 복수의 표시색의 후보를, 표시부(11)의 화면에 표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다음 구성이어도 된다. 하드웨어 버튼(B1)의 누름을 검출한 경우, 표시 제어부(15)는, 이벤트 송신부(18)를 통해 검출 신호를 서버(2)로 송신한다. 그리고, 서버(2)의 실행부(21)는, 이벤트 수신부(24)를 통해 검출 신호를 수신하면, 저장부(22)에 저장되어 있는 표시색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표시색 정보를, 화면 송신부(23)를 통해 입력 표시 제어 장치(1)에 송신한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15)는, 송신된 표시색 정보를, 화면 수신부(17)를 통해 수신하면, 수신한 표시색 정보로부터 복수의 표시색의 후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표시색의 후보를, 표시부(11)의 화면에 표시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의 일부 또는 전부는, 이하의 부기와 같이 기재될 수도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부기 1)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와,
유저가 입력한 기호를 표시하는 기호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을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 수단과,
상기 기호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기호를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의 탭에 의해 입력시키기 위한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 및 상기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를, 상기 화면 표시 수단이 표시한 화상에 중첩해서, 상기 조작 버튼이 반투명으로 표시되게,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키보드 표시 수단과,
상기 키보드 표시 수단이 표시한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의 표시색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표시색에서 선택된 표시색으로 변경하는 표시색 변경 수단을 포함하는 입력 표시 제어 장치.
(부기 2)
상기 키보드 표시 수단은, 상기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를 불투명하게 표시하는, 부기 1에 기재된 입력 표시 제어 장치.
(부기 3)
상기 표시색 변경 수단은,
상기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표시색에서의 하나의 표시색의 선택을, 유저로부터 수신하는 선택 수신 수단과,
상기 선택 수신 수단이 수신한 하나의 표시색으로, 상기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의 표시색을 변경하는 선택 변경 수단을 포함하는, 부기 1 또는 부기 2에 기재된 입력 표시 제어 장치.
(부기 4)
상기 표시색 변경 수단은,
상기 화면 표시 수단이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화상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의 전체면에 상기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상기 화상 정보 취득 수단이 취득한 화상 정보로부터, 현재 표시되어 있는 화면에서 사용되고 있는 표시색의 비율을, 사용되고 있는 표시색마다 구하는 전체면 비율 취득 수단과,
상기 전체면 비율 취득 수단이 구한 표시색의 비율이 높은 순으로 소정수의 표시색을 특정하고, 특정한 표시색 이외의 하나의 표시색을, 상기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표시색에서 선택하는 전체면 표시색 선택 수단과,
상기 전체면 표시색 선택 수단이 선택한 하나의 표시색으로, 상기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의 표시색을 변경하는 전체면 선택 변경 수단을 포함하는, 부기 1 내지 부기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입력 표시 제어 장치.
(부기 5)
상기 표시색 변경 수단은,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의 일부에 상기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상기 화상 정보 취득 수단이 취득한 화상 정보로부터,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어 있는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표시색의 비율을, 사용되고 있는 표시색마다 구하는 영역 비율 취득 수단과,
상기 영역 비율 취득 수단이 구한 표시색의 비율이 높은 순으로 소정수의 표시색을 특정하고, 특정한 표시색 이외의 하나의 표시색을, 상기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표시색에서 선택하는 영역 표시색 선택 수단과,
상기 영역 표시색 선택 수단이 선택한 하나의 표시색으로, 상기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의 표시색을 변경하는 영역 선택 변경 수단을 포함하는, 부기 4에 기재된 입력 표시 제어 장치.
(부기 6)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서버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입력 표시 제어 장치로 구성되는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버는,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화상 정보를 상기 입력 표시 제어 장치에 송신하는 화상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표시 제어 장치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화상 정보를 수신하는 화상 수신 수단과,
상기 화상 수신 수단이 수신한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유저가 입력한 기호를 표시하는 기호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을,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 수단과,
상기 기호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기호를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의 탭에 의해 입력시키기 위한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 및 상기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를, 상기 화면 표시 수단이 표시한 화상에 중첩해서, 상기 조작 버튼이 반투명으로 표시되게,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키보드 표시 수단과,
상기 키보드 표시 수단이 표시한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의 표시색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표시색에서 선택된 표시색으로 변경하는 표시색 변경 수단을 포함하는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
(부기 7)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입력 표시 제어 장치가 실행하는 입력 표시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 표시 제어 장치가, 유저가 입력한 기호를 표시하는 기호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을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 스텝과,
상기 입력 표시 제어 장치가, 상기 기호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기호를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의 탭에 의해 입력시키기 위한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 및 상기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를, 상기 화면 표시 스텝에서 표시한 화상에 중첩해서, 상기 조작 버튼이 반투명으로 표시되게,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키보드 표시 스텝과,
상기 입력 표시 제어 장치가, 상기 키보드 표시 스텝에서 표시한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의 표시색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표시색에서 선택된 표시색으로 변경하는 표시색 변경 스텝을 포함하는 입력 표시 제어 방법.
(부기 8)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서버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입력 표시 제어 장치로 구성되는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이 실행하는 입력 표시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서버가,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화상 정보를 상기 입력 표시 제어 장치에 송신하는 화상 송신 스텝과,
상기 입력 표시 제어 장치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화상 정보를 수신하는 화상 수신 스텝과,
상기 입력 표시 제어 장치가, 상기 화상 수신 스텝에서 수신한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유저가 입력한 기호를 표시하는 기호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을,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 스텝과,
상기 입력 표시 제어 장치가, 상기 기호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기호를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의 탭에 의해 입력시키기 위한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 및 상기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를, 상기 화면 표시 스텝에서 표시한 화상에 중첩해서, 상기 조작 버튼이 반투명으로 표시되게,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키보드 표시 스텝과,
상기 입력 표시 제어 장치가, 상기 키보드 표시 스텝에서 표시한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의 표시색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표시색에서 선택된 표시색으로 변경하는 표시색 변경 스텝을 포함하는 입력 표시 제어 방법.
(부기 9)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입력 표시 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를,
유저가 입력한 기호를 표시하는 기호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을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 수단,
상기 기호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기호를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의 탭에 의해 입력시키기 위한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 및 상기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를, 상기 화면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된 화상에 중첩해서, 상기 조작 버튼이 반투명으로 표시되게,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키보드 표시 수단,
상기 키보드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된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의 표시색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표시색에서 선택된 표시색으로 변경하는 표시색 변경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광의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실시형태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범위는, 실시형태가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다. 그리고, 청구범위 내 및 그것과 동등한 발명의 의의의 범위 내에서 실시되는 여러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 내인 것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은, 2012년 9월 14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번호 제2012-203202호에 기초한다. 일본국 특허출원번호 제2012-203202호의 상세한 설명, 특허청구범위, 도면 전체는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1: 입력 표시 제어 장치 2: 서버
11: 표시부 12: 입력부
13: 조작 인식부 14: 저장부
15: 표시 제어부 16: 하드웨어 버튼
17: 화면 수신부 18: 이벤트 송신부
21: 실행부 22: 저장부
23: 화면 송신부 24: 이벤트 수신부
30: 내부 버스 31: 제어부
32: 주저장부 33: 외부 저장부
34: 조작부 35: 표시부
36: 타이머 39: 제어 프로그램
100: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 A: 기호 표시 영역
B1: 하드웨어 버튼 D: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K, K1~K4: 가상 키보드 W1: 키보드 프레임
W2: 조작 버튼 W3: 기호
W4: 표시색 후보 윈도우

Claims (9)

  1.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유저가 입력한 기호를 표시하는 기호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을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 수단;
    상기 기호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기호를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의 탭(tapping)에 의해 입력시키기 위한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 및 상기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를, 상기 화면 표시 수단이 표시한 화상에 중첩해서, 상기 조작 버튼이 반투명으로 표시되게,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키보드 표시 수단; 및
    상기 키보드 표시 수단이 표시한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의 표시색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표시색에서 선택된 표시색으로 변경하는 표시색 변경 수단을 포함하는 입력 표시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표시 수단은, 상기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를 불투명하게 표시하는, 입력 표시 제어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색 변경 수단은,
    상기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표시색에서의 하나의 표시색의 선택을, 유저로부터 수신하는 선택 수신 수단과,
    상기 선택 수신 수단이 수신한 하나의 표시색으로, 상기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의 표시색을 변경하는 선택 변경 수단을 포함하는 입력 표시 제어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색 변경 수단은,
    상기 화면 표시 수단이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화상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의 전체면에 상기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상기 화상 정보 취득 수단이 취득한 화상 정보로부터, 현재 표시되어 있는 화면에서 사용되고 있는 표시색의 비율을, 사용되고 있는 표시색마다 구하는 전체면 비율 취득 수단과,
    상기 전체면 비율 취득 수단이 구한 표시색의 비율이 높은 순으로 소정수의 표시색을 특정하고, 상기 특정한 표시색 이외의 하나의 표시색을, 상기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표시색에서 선택하는 전체면 표시색 선택 수단과,
    상기 전체면 표시색 선택 수단이 선택한 하나의 표시색으로, 상기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의 표시색을 변경하는 전체면선택 변경 수단을 포함하는 입력 표시 제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색 변경 수단은,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의 일부에 상기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상기 화상 정보 취득 수단이 취득한 화상 정보로부터,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어 있는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표시색의 비율을, 사용되고 있는 표시색마다 구하는 영역 비율 취득 수단과,
    상기 영역 비율 취득 수단이 구한 표시색의 비율이 높은 순으로 소정수의 표시색을 특정하고, 상기 특정한 표시색 이외의 하나의 표시색을, 상기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표시색에서 선택하는 영역 표시색 선택 수단과,
    상기 영역 표시색 선택 수단이 선택한 하나의 표시색으로, 상기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의 표시색을 변경하는 영역 선택 변경 수단을 포함하는 입력 표시 제어 장치.
  6.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서버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입력 표시 제어 장치로 구성되는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버는,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화상 정보를 상기 입력 표시 제어 장치에 송신하는 화상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표시 제어 장치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화상 정보를 수신하는 화상 수신 수단;
    상기 화상 수신 수단이 수신한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유저가 입력한 기호를 표시하는 기호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을,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 수단;
    상기 기호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기호를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의 탭에 의해 입력시키기 위한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 및 상기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를, 상기 화면 표시 수단이 표시한 화상에 중첩해서, 상기 조작 버튼이 반투명으로 표시되게,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키보드 표시 수단; 및
    상기 키보드 표시 수단이 표시한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의 표시색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표시색에서 선택된 표시색으로 변경하는 표시색 변경 수단을 포함하는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
  7.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입력 표시 제어 장치가 실행하는 입력 표시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 표시 제어 장치가, 유저가 입력한 기호를 표시하는 기호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을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 스텝;
    상기 입력 표시 제어 장치가, 상기 기호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기호를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의 탭에 의해 입력시키기 위한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 및 상기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를, 상기 화면 표시 스텝에서 표시한 화상에 중첩해서, 상기 조작 버튼이 반투명으로 표시되게,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키보드 표시 스텝; 및
    상기 입력 표시 제어 장치가, 상기 키보드 표시 스텝에서 표시한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의 표시색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표시색에서 선택된 표시색으로 변경하는 표시색 변경 스텝을 포함하는 입력 표시 제어 방법.
  8.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서버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입력 표시 제어 장치로 구성되는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이 실행하는 입력 표시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서버가,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화상 정보를 상기 입력 표시 제어 장치에 송신하는 화상 송신 스텝;
    상기 입력 표시 제어 장치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화상 정보를 수신하는 화상 수신 스텝;
    상기 입력 표시 제어 장치가, 상기 화상 수신 스텝에서 수신한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유저가 입력한 기호를 표시하는 기호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을,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 스텝;
    상기 입력 표시 제어 장치가, 상기 기호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기호를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의 탭에 의해 입력시키기 위한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 및 상기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를, 상기 화면 표시 스텝에서 표시한 화상에 중첩해서, 상기 조작 버튼이 반투명으로 표시되게,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키보드 표시 스텝; 및
    상기 입력 표시 제어 장치가, 상기 키보드 표시 스텝에서 표시한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의 표시색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표시색에서 선택된 표시색으로 변경하는 표시색 변경 스텝을 포함하는 입력 표시 제어 방법.
  9.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입력 표시 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를,
    유저가 입력한 기호를 표시하는 기호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을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 수단;
    상기 기호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기호를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의 탭에 의해 입력시키기 위한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 및 상기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를, 상기 화면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된 화상에 중첩해서, 상기 조작 버튼이 반투명으로 표시되게,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키보드 표시 수단; 및
    상기 키보드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된 가상 키보드에 배열되어 있는 조작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기호의 표시색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표시색에서 선택된 표시색으로 변경하는 표시색 변경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57005809A 2012-09-14 2013-09-13 입력 표시 제어 장치,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 입력 표시 제어 방법 및 기록매체 KR1017092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03202 2012-09-14
JP2012203202A JP5522755B2 (ja) 2012-09-14 2012-09-14 入力表示制御装置、シンクライアントシステム、入力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CT/JP2013/074861 WO2014042247A1 (ja) 2012-09-14 2013-09-13 入力表示制御装置、シンクライアントシステム、入力表示制御方法および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365A true KR20150043365A (ko) 2015-04-22
KR101709242B1 KR101709242B1 (ko) 2017-02-23

Family

ID=50278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5809A KR101709242B1 (ko) 2012-09-14 2013-09-13 입력 표시 제어 장치,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 입력 표시 제어 방법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874940B2 (ko)
EP (1) EP2897029A4 (ko)
JP (1) JP5522755B2 (ko)
KR (1) KR101709242B1 (ko)
CN (1) CN104620199B (ko)
CA (1) CA2882396A1 (ko)
WO (1) WO20140422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46466A1 (en) * 2015-02-23 2016-08-25 Nuance Communications, Inc. Transparent full-screen text entry interface
JP6488903B2 (ja) * 2015-06-16 2019-03-27 富士通株式会社 画面転送制御システム、画面転送制御プログラム及び画面転送制御方法
JP2017157027A (ja) * 2016-03-02 2017-09-0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装置
JP6786272B2 (ja) * 2016-06-24 2020-11-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607564B1 (ko) 2016-09-13 2023-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소프트 키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2019000589A (ja) * 2017-06-20 2019-01-10 キヤノン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X線診断装置
US10956033B2 (en) * 2017-07-13 2021-03-23 Hand Held Products, In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virtual keyboard with a highlighted area of interest
KR102521933B1 (ko) 2018-10-04 2023-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1338525A (zh) * 2020-02-21 2020-06-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7098A (ja) * 2001-08-30 2003-03-07 Sony Corp 仮想キーボード及び仮想キーボードの操作方法
JP2007183787A (ja) * 2006-01-06 2007-07-19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ソフトウェアキーボード表示装置
JP2011254358A (ja) 2010-06-03 2011-12-15 Pfu Ltd 画像読取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20046807A (ko) * 2010-10-27 2012-05-1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가상화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1243A (en) * 1990-06-04 1996-12-03 Microslat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imulated keyboards on touch-sensitive displays
US5638501A (en) * 1993-05-10 1997-06-10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overlay image
JPH076013A (ja) * 1993-06-21 1995-01-10 Toshiba Corp プラント監視装置
JPH08211860A (ja) 1995-02-08 1996-08-20 Hitachi Ltd 表示色変更装置
CA2264167A1 (en) * 1996-08-28 1998-03-05 Via, Inc. Touch screen systems and methods
US6130665A (en) * 1998-04-01 2000-10-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Touch screen handling
US6501464B1 (en) 2000-10-31 2002-12-31 Intel Corporation On-screen transparent keyboard interface
US20060167935A1 (en) * 2002-10-15 2006-07-27 Yoshitaka Atarashi Input support method and apparatus in communication-type navigation system
JP2004343662A (ja) * 2003-05-19 2004-12-02 Sony Corp 撮像装置
JP4475634B2 (ja) * 2004-03-26 2010-06-0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US20100177035A1 (en) * 2008-10-10 2010-07-15 Schowengerdt Brian T Mobile Computing Device With A Virtual Keyboard
JP2010117205A (ja) * 2008-11-12 2010-05-27 Japan Radio Co Ltd スキャニングソナーの表示装置、水深表示方法、及び水深表示プログラム
US8019390B2 (en) 2009-06-17 2011-09-13 Pradeep Sindhu Statically oriented on-screen transluscent keyboard
WO2011025200A2 (ko) * 2009-08-23 2011-03-03 (주)티피다시아이 확장키를 이용한 정보입력시스템 및 정보입력방법
JP2011192179A (ja) * 2010-03-16 2011-09-29 Kyocera Corp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及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
US20110264442A1 (en) * 2010-04-22 2011-10-27 Microsoft Corporation Visually emphasizing predicted keys of virtual keyboard
WO2012037200A2 (en) * 2010-09-15 2012-03-22 Spetalnick Jeffrey R Methods of and systems for reducing keyboard data entry errors
KR101044320B1 (ko) * 2010-10-14 2011-06-29 주식회사 네오패드 가상 키입력수단의 배경화면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30002562A1 (en) * 2011-06-30 2013-01-03 Nokia Corporation Virtual keyboard layouts
KR101169374B1 (ko) * 2012-04-04 2012-07-30 서주홍 스마트 기기용 키패드 표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7098A (ja) * 2001-08-30 2003-03-07 Sony Corp 仮想キーボード及び仮想キーボードの操作方法
JP2007183787A (ja) * 2006-01-06 2007-07-19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ソフトウェアキーボード表示装置
JP2011254358A (ja) 2010-06-03 2011-12-15 Pfu Ltd 画像読取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20046807A (ko) * 2010-10-27 2012-05-1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가상화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9242B1 (ko) 2017-02-23
US9874940B2 (en) 2018-01-23
EP2897029A1 (en) 2015-07-22
US20150347006A1 (en) 2015-12-03
WO2014042247A1 (ja) 2014-03-20
EP2897029A4 (en) 2016-04-20
JP5522755B2 (ja) 2014-06-18
CA2882396A1 (en) 2014-03-20
JP2014059637A (ja) 2014-04-03
CN104620199B (zh) 2018-02-27
CN104620199A (zh) 2015-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242B1 (ko) 입력 표시 제어 장치,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 입력 표시 제어 방법 및 기록매체
KR102091235B1 (ko) 휴대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편집하는 장치 및 방법
US6882337B2 (en) Virtual keyboard for touch-typing using audio feedback
EP271878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haracter input interface
US6496182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ouch-sensitive screens for the visually impaired
US9684448B2 (en) Device input system and method for visually impaired users
US9582903B2 (en) Display terminal device connectable to external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for
US2011029874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956339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20180121076A1 (en) Drawing processing method, drawing program, and drawing device
US20170255357A1 (en) Display control device
JP2014048976A (ja) 入力表示制御装置、シンクライアントシステム、入力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3485603A (zh) 消息显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
WO2022253182A1 (zh) 通信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可读存储介质
CN104281318A (zh) 减少软键盘按压的显示延迟的方法和装置
KR101686495B1 (ko) 표시 제어 장치,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 표시 제어 방법 및 기록매체
CN111414115A (zh) 按键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其终端
CN112162689B (zh) 输入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3596238A (zh) 信息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US20100265107A1 (en) Self-description of an adaptive input device
CN103677531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和电子设备
US20160358580A1 (en) Coloring pattern screen display device
CN102096492A (zh) 触控荧幕的选择功能选单方法
JP6416988B2 (ja)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775237A (zh) 电子设备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