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2501A - 차선별 교통 정보를 이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선별 교통 정보를 이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2501A
KR20150042501A KR20130121232A KR20130121232A KR20150042501A KR 20150042501 A KR20150042501 A KR 20150042501A KR 20130121232 A KR20130121232 A KR 20130121232A KR 20130121232 A KR20130121232 A KR 20130121232A KR 20150042501 A KR20150042501 A KR 20150042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ane
traffic
route
route gui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1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성효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21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2501A/ko
Publication of KR20150042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5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0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transmitted instructions are used to compute a rou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선별 교통 정보를 이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와 경로 안내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서비스 장치가,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로부터 경로 안내 요청을 받으면, 요청된 출발지 및 목적지까지의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하면서, 이동 경로 상의 교통 환경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차선별 교통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차선별 교통 정보를 분석하여 교통 흐름이 원활한 차선을 예측하고, 예측된 차선에 대한 차선 안내 정보를 단말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단말 장치에서 예측된 차선으로 경로를 안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신뢰도 높은 경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선별 교통 정보를 이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COURSE GUIDING SERVICE METHOD USING TRAFFIC INFORMATION OF EACH LANE, COURSE GUIDING SERVICE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경로 안내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교차로 및 톨게이트 등을 진입하기 전에 경로 상의 차선별 교통 정보를 이용하여 차선을 사전에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경로 안내 서비스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경로 안내 서비스에서는 과거의 교통 데이터 즉, 과거의 특정 노드와 노드의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교통 정보를 제공하거나, 특정 위치와 위치의 단순 교통량만을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선택한 경로에 대한 시간, 안전시설물에 대한 안내가 전부였다.
더욱이, 종래의 교통 정보는 도로의 노드 정보를 기준으로 제공되어 왔으며, 기존 차선별 교통 정보 또한 단순한 영상을 통한 구간별 차선의 소통을 확인하는 정도이므로 실제 사용자에게 도로 상의 차선에 대한 교통 흐름에 따른 소통 정보를 제공하는 것보다는 단순히 데이터 형태의 집약으로 교통 정보를 제공하였다.
때문에 실제 운전자는 제공되는 교통 정보를 확인하여 이동 경로 상의 단순한 교통 흐름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직접 교통 흐름을 보고 차선별 교통 흐름을 판단하게 된다. 더욱이 교차로나 톨게이트와 같은 차선이 많은 위치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차선 전체를 판단하기 어려우므로 사용자의 직관에 따라 차선을 변경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07-0093484호, 2007년 09월 19일 공개(명칭: 차선 안내 이미지가 표시되는 자동차용 네비게이션 장치)
본 발명은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와 경로 안내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서비스 장치가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로부터 경로 안내 요청을 받으면, 요청된 출발지 및 목적지까지의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하면서, 이동 경로 상의 교통 환경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차선별 교통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차선별 교통 정보를 분석하여 교통 흐름이 원활한 차선을 예측하고, 예측된 차선에 대한 차선 안내 정보를 단말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단말 장치에서 예측된 차선으로 경로를 안내하도록 하기 위한 차선별 교통 정보를 이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는,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와 경로 안내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로부터 경로 안내 요청을 받으면, 요청된 출발지 및 목적지까지의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하되, 이동 경로 상의 교통 환경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차선별 교통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차선별 교통 정보를 분석하여 교통 흐름이 원활한 차선을 예측하고, 예측된 차선에 대한 차선 안내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이동 경로 상의 교통 환경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교통 관련 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수집된 교통 환경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경로 상의 차선 정보, 차량 정보 및 신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선별 교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수집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경로 상의 각 차선에 위치한 차량의 종류 및 크기를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한 다른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매핑된 차량 정보, 상기 이동 경로 상에 설치된 교통 정보 수집 장치를 통해 수집된 영상 정보 및 GPS로부터 수집된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분석하여 상기 이동 경로 상의 각 차선에 위치한 차량의 종류 및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이동 경로 상에 교차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교차로의 차선 정보, 각 차선의 차량 정보 및 상기 교차로의 신호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교차로의 각 차선별 통과 소요 시간을 계산하여 계산된 통과 소요 시간 정보를 각 차선별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교차로에서 좌회전 신호 시 현재 차선에서 상기 교차로를 통과하기 어려운 경우, 다른 차선의 통과 소요 시간을 확인하여 좌회전 신호 시 다른 차선에서 좌회전을 할 수 있는 타이밍을 계산하여 계산된 타이밍에 따른 차선 안내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교차로에서 직진 신호 시 현재 차선에서 상기 교차로를 통과하기 어려운 경우, 좌회전 차선의 통과 소요 시간을 분석하여 좌회전 차선의 차량이 모두 통과한 후 좌회전 차선에서 직진 신호 시 상기 교차로를 통과할 수 있는 타이밍에 따른 차선 안내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이동 경로 상에 톨게이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톨게이트의 차선 정보, 각 차선에 위치한 차량 종류 및 차량 크기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각 차선에 위치한 차량들의 톨게이트 통과 예상 시간을 산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부는, 사용자가 상기 톨게이트 진입 전에 상기 저장된 각 차선의 통과 예상 시간을 확인하여 통과 예상 시간이 가장 짧은 차선에 대한 차선 안내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서비스 장치와 경로 안내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경로 안내 정보에 따라 경로 안내를 하되, 상기 서비스 장치에서 이동 경로 상의 교통 환경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차선별 교통 정보에 따라 예측된 차선에 대한 차선 안내 정보를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차선 안내 정보에 따라 경로를 안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경로 안내 정보 및 상기 예측된 차선 정보를 실행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선별 교통 정보를 이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로부터 경로 안내 요청을 받으면, 요청된 출발지 및 목적지까지의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하되, 이동 경로 상의 교통 환경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차선별 교통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차선별 교통 정보를 분석하여 교통 흐름이 원할한 차선을 예측하고, 예측된 차선에 대한 차선 안내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서비스 장치; 및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경로 안내 정보에 따라 경로 안내를 수행 시,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차선 안내 정보에 따라 교통 흐름이 원할한 상기 예측된 차선으로 경로 안내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서의 차선별 교통 정보를 이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 방법은,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로부터 경로 안내 요청을 받으면, 요청된 출발지 및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 상의 교통 환경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교통 환경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차선별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차선별 교통 정보를 분석하여 교통 흐름이 원할한 차선을 예측하는 단계; 및 예측된 차선에 대한 차선 안내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서의 차선별 교통 정보를 이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교통 환경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차선별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경로 상의 각 차선에 위치한 차량의 종류 및 크기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교통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경로 상의 각 차선별 차선 정보 및 신호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분석된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선별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차선별 교통 정보를 이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경로 안내 시 이동 경로 상의 교통 환경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차선별 교통 정보를 분석하여 이동 경로 상의 도로에 존재하는 신호등, 차선, 차량의 종류 및 크기 등의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보다 교통 흐름이 원활한 차선을 예측하고, 예측된 차선으로 경로를 안내함으로써, 신뢰도 높은 경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차로 또는 톨게이트 등을 보다 빠르게 통과할 수 있도록 차선을 안내할 수 있으므로 목적지까지의 도착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안내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안내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안내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서의 차선별 교통 정보를 이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안내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차선별 교통 정보를 이용한 경로 안내를 위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경로 안내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경로 안내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경로 안내 서비스 시스템은 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00) 및 서비스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통신망(10)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TV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통신망(10)을 이용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이며, 통신망(10)을 경유하여 서비스 장치(200)와 통신하기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즉,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장치(200)와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이 가능하고, 경로 안내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면 그 어떠한 단말기도 가능하며, 노트북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의 통신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한편, 단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장치(200)와 통신망(10)을 통해 경로 안내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고,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경로 안내 정보에 따라 경로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차선별 교통 정보에 따라 예측된 차선에 대한 차선 안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차선 안내 정보에 따라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00)와 통신망(10)을 통해 경로 안내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고,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00)로부터 경로 안내 요청을 받으면, 요청된 출발지 및 목적지까지의 경로 안내 정보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때, 서비스 장치(200)는 이동 경로 상에서 수집된 교통 환경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차선별 교통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차선별 교통 정보를 분석하여 교통 흐름이 원활한 차선을 예측하고, 예측된 차선에 대한 차선 안내 정보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하여 예측된 차선으로 경로를 안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장치(20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이동 경로 상의 교통 환경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 장치(100) 및 서비스 장치(200)는 통신망(10)을 통해 연동되며, 이러한 통신망(10)은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을 말한다. 또한, 통신망(10)은 서비스 장치(200)와 결합되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자원을 저장한다. 이러한, 통신망(10)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경로 안내 서비스 시스템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안내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100)는 제어부(110), 입력부(120), 통신부(130), 저장부(140), 출력부(150) 및 촬영부(16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특히 생체 인식 및 사용자 인증 수행을 위한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요청한 경로 상의 차선별 교통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 안내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경로 안내 서비스 모듈(11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경로 안내 서비스 모듈(111)은 통신부(130)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경로 안내를 위한 경로 안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경로 안내 정보에 따라 경로 안내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경로 안내 서비스 모듈(111)은 서비스 장치(200)에서 이동 경로 상의 교통 환경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차선별 교통 정보에 따라 예측된 차선에 대한 차선 안내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한다. 이에 따라 경로 안내 서비스 모듈(111)은 수신된 차선 안내 정보에 따라 교통이 원활한 예측된 차선으로 차선을 변경하여 경로를 안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안내 서비스 모듈(111)은 예를 들어, 이동 경로 상에 교차로가 존재하면,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차선별 통과 소요 시간 및 신호 정보에 따라 계산된 타이밍에 따른 차선 안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차선 안내 정보에 따라 교차로를 통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경로 안내 서비스 모듈(111)은 실행 화면에 차선 안내 정보를 출력하고, 경로 안내 정보에 따라 출력되는 차선과 함께 교차로를 빠르게 통과할 수 있도록 현재 수신된 차선 안내 정보를 실행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경로 안내 서비스 모듈(111)은 차선 안내 정보에 포함된 차선을 통과할 수 있는 타이밍 정보를 실행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로 안내 서비스 모듈(111)은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로에서 좌회전 신호 시 현재 차선(1차선)에서 교차로를 통과하기 어려운 경우,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다른 차선(2차선)의 통과 소요 시간에 따라 계산된 타이밍 정보를 포함한 차선 안내 정보를 수신하여 실행 화면에 출력한다. 이때, 경로 안내 서비스 모듈(111)은 타이밍 정보에 따라 2차선으로 교차로를 통과할 수 있는 타이밍이 되면, 1차선에서 2차선으로 변경하도록 스피커를 통해 안내 음성을 출력하면서 실행 화면에 안내 정보를 표출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안내 서비스 모듈(111)은 교차로에서 직진 신호 시 현재 차선(2차선)에서 현재 신호에 교차로를 통과하기 어려운 경우, 좌회전 차선(1차선)의 통과 소요 시간 및 신호 정보에 따라 계산된 타이밍 정보를 포함한 차선 안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타이밍 정보에 따라 좌회전 차선(1차선)의 차량이 모두 통과한 후 좌회전 차선(1차선)에서 직진 신호 시 교차로를 통과할 수 있도록 차선을 안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경로 안내 서비스 모듈(111)은 이동 경로 상에 톨게이트가 존재하는 경우, 톨게이트의 차선 정보, 각 차선에 위치한 차량 종류 및 차량 크기에 따라 산출된 각 차선의 통과 예상 시간을 포함한 차선 안내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각 차선의 통과 예상 시간 중 가장 짧은 통과 예상 시간의 차선으로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이때, 경로 안내 서비스 모듈(111)은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하이 패스 이용자와 일반 이용자를 구분하여 차선 안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이나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현재 상용화되어 있거나 향후 상용화가 가능한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등과 같은 일반적인 입력 장치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특정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제스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경로 요청을 위한 출발지 및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입력된 정보를 제어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통신망(10)을 통해 서비스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방송 서비스 및 화면 캡처를 위한 메시지들을 송수신한다. 이러한 통신부(130)는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통신부(13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신부(130)는 각각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30)는 경로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고, 경로 요청에 따라 경로 안내 정보 및 차선 안내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수신된 정보들을 제어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단말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며, 특히,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경로 안내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경로 요청에 따라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경로 안내 정보 및 차선 안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출력부(150)는 단말 장치(100)의 동작 결과나 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표시부나, 가청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단말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경로 안내 서비스에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경로 안내 요청에 따른 경로 설정을 위한 실행 화면 및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경로 안내 정보에 따른 경로 안내를 위한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출력부(150)는 경로 안내를 위한 실행 화면에 차선별 통과 예상 시간에 따른 타이밍 정보 및 차선 안내 정보를 표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경로 안내 서비스 시스템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안내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장치(200)는 통신부(210), 교통 관련 정보 수집부(220),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부(230) 및 저장부(24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통신망(10)을 통해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00)와 방송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들을 송수신한다. 이러한 통신부(210)는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통신부(22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신부(220)는 각각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220)는 경로 안내 요청에 따라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00)로 경로 안내 정보를 전송하고, 경로 안내 시 각 차선별 교통 정보에 따라 예측된 차선에 대한 차선 안내 정보를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교통 관련 정보 수집부(22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이동 경로 상의 교통 환경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부(230)에 저장시킬 수 있다. 이때, 교통 관련 정보 수집부(220)는 신호등 및 교통 관제 센터(도시되지 않음) 등으로부터 현재 이동 경로 상의 교통 환경 정보로서, 신호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한 교통 정보 수집 카메라 및 GPS를 통해 차선 정보 및 도로 교통 상황에 따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교통 관련 정보 수집부(220)는 이동 경로 상의 차량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교통 정보 수집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집하고,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한 차량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교통 관련 정보 수집부(220)는 이렇게 수집된 교통 환경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차선별로 구분하여 저장부(230)에 저장시킬 수 있다.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부(230)는 통신부(210)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00)로부터 경로 안내 요청을 받으면, 요청된 출발지 및 목적지까지의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부(230)는 상기 교통 관련 정보 수집부(220)에서 수집된 이동 경로 상의 교통 환경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차선별 교통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차선별 교통 정보를 분석하여 교통 흐름이 원할한 차선을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부(230)는 예측된 차선에 대한 차선 안내 정보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교통 환경 정보는 차선 정보, 신호 정보, 교통 혼잡 정보, 도로 정보, 기상 정보, 교통 사고 정보, 공사 정보 등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정보는 교통 정보 수집 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촬영된 영상 정보, 각 차량의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확인된 차량 등록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부(230)는 수집된 교통 환경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경로 상의 차선 정보, 차량 정보 및 신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차선별 교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부(230)는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한 다른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매핑된 차량 정보, 이동 경로 상에 설치된 교통 정보 수집 장치를 통해 수집된 영상 정보 및 GPS로부터 수집된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분석하여 이동 경로 상의 차량의 위치 및 각 차선에 위치한 차량의 종류 및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부(230)는 각 차량의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각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고, 수신된 신호에 따라 각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식별 정보에 매핑되어 저장된 차량 등록 정보를 검색하거나, 차량 정보가 등록된 차량 등록 서버(도시되지 않음) 등과 연동하여 식별 정보에 따른 차량 등록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 등록 정보를 통해 차량의 종류 및 크기를 확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부(230)는 이동 경로 상에 교차로가 존재하는 경우, 교차로의 차선 정보, 각 차선의 차량 정보 및 교차로의 신호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교차로의 각 차선별 통과 소요 시간을 계산하여 계산된 통과 소요 시간 정보를 각 차선별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때,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부(230)는 교차로에서 좌회전 신호 시 현재 차선(1차선)에서 교차로를 통과하기 어려운 경우, 다른 차선(2차선)의 통과 소요 시간을 확인하여 좌회전 신호 시 다른 차선에서 좌회전을 할 수 있는 타이밍을 계산하여 계산된 타이밍에 따른 경로 안내 정보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부(230)는 교차로에서 직진 신호 시 현재 차선(2차선)에서 교차로를 통과하기 어려운 경우, 좌회전 차선(1차선)의 통과 소요 시간을 분석하여 좌회전 차선(1차선)의 차량이 모두 통과한 후 좌회전 차선(1차선)에서 직진 신호 시 교차로를 통과할 수 있는 타이밍 정보를 포함한 차선 안내 정보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부(230)는 이동 경로 상에 톨게이트가 존재하는 경우, 저장된 교통 환경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톨게이트의 차선 정보, 각 차선에 위치한 차량 종류 및 차량 크기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각 차선에 위치한 차량들의 톨게이트 통과 예상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부(230)는 산출된 톨게이트 통과 예상 시간을 차선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부(230)는 사용자가 톨게이트 진입 전에 저장된 각 차선의 통과 예상 시간을 확인하여 통과 예상 시간이 가장 짧은 차선으로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이때,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부(230)는 통과 예상 시간이 가장 짧게 예측된 차선에 대한 차선 안내 정보를 경로 안내 정보와 함께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40)는 수집된 교통 환경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저장하고, 경로 요청에 따른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와,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에 따른 이동 경로 상의 경로 안내 정보 및 차선별 교통 안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40)는 각 차선별 통과 예상 시간 및 타이밍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24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그러면, 이와 같이 구성된 경로 안내 서비스 시스템에서 차선별 교통 정보를 이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를 위한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서의 차선별 교통 정보를 이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를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1101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00)로부터 경로 안내 요청을 받으면, 요청된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를 확인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설정하고, 설정된 이동 경로 상의 교통 환경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장치(20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 경로 상의 기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500m)에 교차로 또는 톨게이트가 존재하는 경우, 교차로 또는 톨게이트의 현재 교통 환경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수집한다.
그런 다음 1102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수집된 교통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이동 경로 상의 차선 정보 및 신호 정보를 분석하고,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종류 및 크기를 분석한다. 이에 따라 1103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차선 정보, 신호 정보 및 차량 정보를 분석한 결과 정보를 각 차선별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장치(200)는 교통 환경 정보에 포함된 기상 정보, 교통 혼잡 정보, 도로 정보 및 사고 또는 공사 정보 등을 분석하여 각 차선의 혼잡도 및 사고 또는 공사 등을 파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장치(200)는 교차로 또는 톨게이트의 차선 정보 및 신호 정보를 분석하고, 각 차선에 위치한 차량들의 종류 및 크기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교차로 또는 톨게이트의 각 차선별 통과 소요 시간을 계산하여 계산된 통과 소요 시간 정보를 각 차선별로 저장한다. 이때, 서비스 장치(200)는 수집된 기상 정보 및 사고 또는 공사 정보 등에 따라 계산된 통과 소요 시간을 보정하여 보다 정확한 통과 소요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톨게이트 경우, 하이 패스 차선 및 일반 요금 차선을 구분하여 통과 소요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아울러, 서비스 장치(20))는 교차로 또는 톨게이트와 같은 구간뿐만 아니라 기 설정된 구간별로 각 차선에 위치한 차량들의 종류 및 크기 정보와 신호 정보를 파악하여 원활한 차선을 변경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그런 다음 1104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분석된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경로 상의 차선별 교통 정보를 생성하고, 1105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생성된 차선별 교통 정보를 분석하여 교통 흐름이 원활한 차선을 예측할 수 있다.
이후, 1106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예측된 차선에 대한 차선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차선 안내 정보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장치(200)는 이동 경로 상의 구간에서 전방 500m에서 우회전을 해야 하고, 전방 400m에 버스 정류장이 존재하거나, 손님을 태우기 위해 자주 정차하는 택시들이 위치하는 경우, 경로 안내 시 이를 반영하여 현재 우회전 차선을 안내하면서, 우회전 차선과 다른 차선의 전방 500m 전에 우회전하기 위한 차선 변경이 가능한지 여부를 분석한다. 그런 다음 서비스 장치(200)는 우회전이 가능한 경우, 다른 차선의 통과 예상 시간을 계산하여 현재 차선과 다른 차선의 통과 예상 시간을 비교한 후, 다른 차선이 빠르게 통과할 수 있는 경우, 현재 차선에서 다른 차선으로 변경하도록 차선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서비스 장치(200)는 우회전 시 회전 주의 구간을 통해 우회전을 하는 도로에서 우회전 차선이 혼잡한 경우, 직진 신호 정보를 분석하여 직진 신호에 우회전을 할 수 있는 타이밍 정보를 산출하고, 타이밍 정보에 따라 직진 신호 시에 직진 차선에서 우회전을 할 수 있도록 차선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200)는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500m에 교차로가 존재하며, 교차로에서 좌회전 신호 시 현재 차선(1차선)에서 교차로를 통과하기 어려운 경우, 다른 차선(2차선)의 통과 소요 시간을 확인하여 좌회전 신호 시 다른 차선에서 좌회전을 할 수 있는 타이밍을 계산하고, 계산된 타이밍에 따른 차선 안내 정보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200)는 교차로에서 직진 신호 시 현재 차선(2차선)에서 교차로를 통과하기 어려운 경우, 좌회전 차선(1차선)의 통과 소요 시간을 확인하여 좌회전 차선(1차선)으로 직진이 가능한지를 확인하고, 죄회전 차선의 차량이 모두 통과한 후 좌회전 차선(1차선)에서 직진 신호 시 교차로를 통과할 수 있는 타이밍 정보에 따라 차선 안내 정보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서비스 장치(200)는 이동 경로 상에 톨게이트가 존재하는 경우, 각 차선에 위치한 차량들의 톨게이트 통과 예상 시간을 산출하여 산출된 톨게이트 통과 예상 시간이 가장 짧은 차선에 대한 차선 안내 정보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탑재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차선별 교통 정보를 이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경로 안내 시 이동 경로 상의 교통 환경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차선별 교통 정보를 분석하여 이동 경로 상의 도로에 존재하는 신호등, 차선, 차량의 종류 및 크기 등의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보다 교통 흐름이 원활한 차선을 예측하고, 예측된 차선으로 경로를 안내함으로써, 신뢰도 높은 경로 안내를 제공할 수 있으며, 교차로 또는 톨게이트 등을 보다 빠르게 통과할 수 있도록 차선을 안내할 수 있으므로 목적지까지의 도착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통신망 100: 단말 장치 110: 제어부
120: 입력부 130: 통신부 140: 저장부
150: 출력부 200: 서비스 장치 210: 통신부
220: 교통 관련 정보 수집부 230: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부
240: 저장부

Claims (15)

  1.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와 경로 안내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로부터 경로 안내 요청을 받으면, 요청된 출발지 및 목적지까지의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하되, 이동 경로 상의 교통 환경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차선별 교통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차선별 교통 정보를 분석하여 교통 흐름이 원할한 차선을 예측하고, 예측된 차선에 대한 차선 안내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이동 경로 상의 교통 환경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교통 관련 정보 수집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수집된 교통 환경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경로 상의 차선 정보, 차량 정보 및 신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선별 교통 정보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수집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경로 상의 각 차선에 위치한 차량의 종류 및 크기를 분석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한 다른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매핑된 차량 정보, 상기 이동 경로 상에 설치된 교통 정보 수집 장치를 통해 수집된 영상 정보 및 GPS로부터 수집된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분석하여 상기 이동 경로 상의 각 차선에 위치한 차량의 종류 및 크기를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이동 경로 상에 교차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교차로의 차선 정보, 각 차선의 차량 정보 및 상기 교차로의 신호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교차로의 각 차선별 통과 소요 시간을 계산하여 계산된 통과 소요 시간 정보를 각 차선별로 저장 및 관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교차로에서 좌회전 신호 시 현재 차선에서 상기 교차로를 통과하기 어려운 경우, 다른 차선의 통과 소요 시간을 확인하여 좌회전 신호 시 다른 차선에서 좌회전을 할 수 있는 타이밍을 계산하여 계산된 타이밍에 따른 차선 안내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교차로에서 직진 신호 시 현재 차선에서 상기 교차로를 통과하기 어려운 경우, 좌회전 차선의 통과 소요 시간을 분석하여 좌회전 차선의 차량이 모두 통과한 후 좌회전 차선에서 직진 신호 시 상기 교차로를 통과할 수 있는 타이밍에 따른 차선 안내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이동 경로 상에 톨게이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톨게이트의 차선 정보, 각 차선에 위치한 차량 종류 및 차량 크기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각 차선에 위치한 차량들의 톨게이트 통과 예상 시간을 산출하여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부는,
    사용자가 상기 톨게이트 진입 전에 상기 저장된 각 차선의 통과 예상 시간을 확인하여 통과 예상 시간이 가장 짧은 차선에 대한 차선 안내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11. 서비스 장치와 경로 안내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경로 안내 정보에 따라 경로 안내를 하되, 상기 서비스 장치에서 이동 경로 상의 교통 환경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차선별 교통 정보에 따라 예측된 차선에 대한 차선 안내 정보를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차선 안내 정보에 따라 경로를 안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경로 안내 정보 및 상기 예측된 차선 정보를 실행 화면에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2.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로부터 경로 안내 요청을 받으면, 요청된 출발지 및 목적지까지의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하되, 이동 경로 상의 교통 환경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차선별 교통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차선별 교통 정보를 분석하여 교통 흐름이 원활한 차선을 예측하고, 예측된 차선에 대한 차선 안내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서비스 장치; 및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경로 안내 정보에 따라 경로 안내를 수행 시,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차선 안내 정보에 따라 교통 흐름이 원할한 상기 예측된 차선으로 경로 안내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별 교통 정보를 이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 시스템.
  13.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로부터 경로 안내 요청을 받으면, 요청된 출발지 및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 상의 교통 환경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교통 환경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차선별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차선별 교통 정보를 분석하여 교통 흐름이 원할한 차선을 예측하는 단계; 및
    예측된 차선에 대한 차선 안내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에서의 차선별 교통 정보를 이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교통 환경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차선별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경로 상의 각 차선에 위치한 차량의 종류 및 크기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교통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경로 상의 각 차선별 차선 정보 및 신호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분석된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선별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에서의 차선별 교통 정보를 이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기재된 차선별 교통 화면을 이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30121232A 2013-10-11 2013-10-11 차선별 교통 정보를 이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500425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1232A KR20150042501A (ko) 2013-10-11 2013-10-11 차선별 교통 정보를 이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1232A KR20150042501A (ko) 2013-10-11 2013-10-11 차선별 교통 정보를 이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501A true KR20150042501A (ko) 2015-04-21

Family

ID=53035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1232A KR20150042501A (ko) 2013-10-11 2013-10-11 차선별 교통 정보를 이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250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655A (ko) * 2018-12-11 2020-06-19 라온피플 주식회사 교통상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3497824A (zh) * 2020-04-06 2021-10-12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提供车辆信息的服务器和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655A (ko) * 2018-12-11 2020-06-19 라온피플 주식회사 교통상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3497824A (zh) * 2020-04-06 2021-10-12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提供车辆信息的服务器和方法
US11881103B2 (en) 2020-04-06 2024-01-23 Hyundai Motor Company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vehicle inform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1136B2 (en) Methods and software for managing vehicle priority in a self-organizing traffic control system
CN109429518B (zh) 基于地图图像的自动驾驶交通预测
Gazis et al. The problem of the amber signal light in traffic flow
Mitsch et al. Towards formal verification of freeway traffic control
JP6090449B2 (ja) 予測エネルギー残量案内システム
KR101417522B1 (ko) 고속도로 자율주행 시스템 및 방법
US20180370530A1 (en) Predicting apparatus, prediction system, prediction method, and prediction program
Barth et al.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and greenhouse gas reductions
CN111028370A (zh) 用于改进的收费站车辆处理的方法和设备
CN111341105A (zh) 基于相邻路口关联度的车速引导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05185117A (zh) 一种公路旅行时间预测方法、系统及装置
WO2022160301A1 (zh) 一种道路预警的方法、装置和系统
KR20150098071A (ko) 차선 분석을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N115662171A (zh) 变道提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车辆
KR101241516B1 (ko)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톨게이트 최적 통과 경로 안내 시스템
CN116734882B (zh) 车辆路径规划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KR20150042501A (ko) 차선별 교통 정보를 이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N113454555A (zh) 用于驾驶策略的轨迹预测
KR20200083942A (ko) 자율 주행의 셀프 리버스 차선을 위한 상호 회피 알고리즘
JP5459837B2 (ja) 緊急車両支援装置、緊急車両支援システム及び緊急車両支援方法
JP2015082200A (ja) 料金所レーン案内装置および料金所レーン案内方法
KR20100104399A (ko) 다자간의 주행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21064251A (ja) 走行支援システム、走行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4730492A (zh) 断言交通工具检测模型生成和实现
KR102496819B1 (ko) 경로 안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