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1390A - 공작기계용 조작반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용 조작반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1390A
KR20150041390A KR20130119848A KR20130119848A KR20150041390A KR 20150041390 A KR20150041390 A KR 20150041390A KR 20130119848 A KR20130119848 A KR 20130119848A KR 20130119848 A KR20130119848 A KR 20130119848A KR 20150041390 A KR20150041390 A KR 20150041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panel
lifting body
machine tool
lifting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9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6386B1 (ko
Inventor
우진근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9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386B1/ko
Publication of KR20150041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1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5/00Supervisory desks or panels for centralised control or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작기계용 조작반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작기계용 조작반 이송장치는 상기 공작기계의 일측에 설치된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미끄럼부와, 상기 미끄럼부와 결합된 이동 바디부를 포함하는 이동부재, 그리고 상기 이동 바디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승강 바디부와 상기 이동 바디부와 상기 승강 바디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 바디부를 상승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반을 지지하는 승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작기계용 조작반 이송장치 {CONTROL PANEL TRANSFERRING APPARATUS FOR MACHINE TOOL}
본 발명의 실시예는 조작반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작기계용 조작반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공구의 회전 또는 공작물의 회전에 의해 공작물을 가공하는 장치를 일컫는다. 공작기계는 절삭, 보링, 연삭과 같은 작업을 수행한다.
공작기계는 가공시 공작물을 파지하기 위한 척과, 공구를 회전시키는 스핀들, 그리고 이러한 척과 스핀들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반을 포함한다.
조작반은 공작기계의 척 그리고 스핀들을 제어하며 스핀들의 회전수와 같은 공작기계의 작업 정보를 작업자에게 알려준다.
즉, 조작반은 작업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으며 공작기계가 수행할 작업들을 제어하고, 공작기계의 작업 정보를 작업자에게 알려준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조작반은 작업자가 조작이 용이하도록 공작기계의 하우징 일측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하지만, 공작물을 가공하는 가공영역이 길게 형성된 공작기계의 경우 조작반이 하우징의 일측에 고정되어 있어 작업자가 실제 공작물이 가공되는 작업을 확인하면서 스핀들의 회전수 또는 위치 등을 조작반으로 조작하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조작반은 공작기계의 출하시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 작업자에 따라 다른 신장 조건에 의해 조작반을 조작하기 곤란하며 이에 따라 작업자의 피로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작업자에 의해 위치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공작기계용 조작반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작기계를 제어하는 조작반을 이송하는 공작기계용 조작반 이송장치는 상기 공작기계의 일측에 설치된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미끄럼부와, 상기 미끄럼부와 결합된 이동 바디부를 포함하는 이동부재, 그리고 상기 이동 바디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승강 바디부와 상기 이동 바디부와 상기 승강 바디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 바디부를 상승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반을 지지하는 승강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프리 락타입 가스 스프링(free lock type gas spring)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일측이 상기 이동 바디부와 결합되며 내부에 유체가 충진된 실린더와, 일단이 상기 실린더 내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유체가 상기 영역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가지며, 타단이 상기 승강 바디부와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 외부로 신축되는 피스톤과, 상기 유로를 개폐 가능한 밸브, 그리고 상기 승강 바디부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이 임의의 높이를 갖도록 상기 밸브를 제어할 수 있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를 회동시켜 상기 밸브가 상기 유로를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승강 바디부가 하강되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상기 조작반은 하강될 수 있다.
상기한 공작기계용 조작반 이송장치는 일단이 상기 이동바디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바디와 결합되어, 상기 이동 바디부로부터 상기 승강 바디부가 상승되는 높이를 제한하는 상승 제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작기계용 조작반 이송장치는 작업자가 조작반의 위치 및 높이를 효과적으로 조절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조작반 이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영역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3은 도 1의 구동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한 공작기계용 조작반 이송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조작반 이송장치를 설명한다.
공작기계용 조작반 이송장치(101)는 공작기계를 제어하는 조작반(20)을 이송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조작반 이송장치(101)는 안내부재(100)와, 미끄럼부(210)와 이동 바디부(220)를 포함하는 이동부재(200), 그리고 승강 바디부(320)와 구동부(400)를 포함하는 승강부재(300)를 포함한다.
안내부재(100)는 공작기계의 일측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부재(100)는 레일일 수 있다.
또한, 공작기계는 공작기계를 커버하는 하우징(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내부재(100)는 공작기계의 하우징(10)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안내부재(100)는 공작기계의 작업이 이루어지는 가공영역을 따라 조작반(20)을 이동할 수 있도록 공작기계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안내부재(100)는 조작반(20)의 무게 또는 이동 범위에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재(200)는 미끄럼부(210)와 이동 바디부(220)를 포함하며, 안내부재(100)를 따라 이동한다.
미끄럼부(210)는 안내부재(100)와 계합되어 안내부재(100)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부재(100)가 레일인 경우 미끄럼부(210)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일 수 있다. 또한, 미끄럼부(210)는 안내부재(100)의 개수 또는 조작반(20)의 무게를 고려하여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부재(200)는 이동 바디부(220)의 일측이 미끄럼부(210)와 결합되어 안내부재(10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승강부재(300)는 승강 바디부(320)와 구동부(4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승강부재(300)는 이동부재(200)로부터 승강될 수 있도록 이동 바디부(220)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승강 바디부(320)의 일측은 이동 바디부(220)의 타측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부재(200)는 승강 안내부(230)를 더 포함하고, 승강부재(300)는 승강 미끄럼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 안내부(230)는 이동 바디부(220)의 타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승강 미끄럼부(330)는 승강 안내부(230)를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승강 바디부(32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승강 바디부(320)의 타측은, 앞서 설명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반(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31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위치에 따라 작업자가 조작반(20)과 대향되도록 조작반(20)을 회전 시킬 수 있어 조작반(20)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동부(400)는 이동 바디부(220)와 승강 바디부(320) 사이에 설치되며, 이동 바디부(220)로부터 승강 바디부(320)가 상승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400)는 일측이 이동 바디부(220)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승강 바디부(320)의 일측과 결합되어, 구동부(400)의 타측이 구동부(400)의 일측으로부터 신장될때 승강 바디부(320)가 일방향으로 상승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즉, 구동부(400)는 신축자재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작반(20)을 지지하는 승강부재(300)가 이동부재(200)로부터 승강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동부재(200)가 안내부재(100)를 따라 이동될 수 있어,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로 조작반(20)을 이동시키고 작업자가 원하는 높이로 조작반(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고정된 조작반을 조작함으로써 작업자에게 수반되는 피로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부(400)는 승강 바디부(320)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구동력을 제공함으로 작업자가 조작반(20)의 높이조절을 위해 승강 바디부(320)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적은 힘으로 승강 바디부(3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부(400)가 승강 바디부(320)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구동력을 제공함으로 작업자가 조작반(20)의 높이조절을 위해 승강 바디부(320)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승강 바디부(320)의 무게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승강 바디부(320)가 급격하게 이동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즉, 구동부(400)는 승강 바디부(320)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 승강 바디부(320)와 이동 바디부(220) 사이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완충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조작반 이송장치(101)는 프리 락타입 가스 스프링(free lock type gas spring)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 락 타입 가스 스프링는 임의의 위치에서 이동을 정지 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공작기계용 조작반 이송장치(101)가 프리 락타입 가스 스프링(free lock type gas spring)을 포함하는 경우, 조작반(20)을 지지하는 승강부재(300)의 높이는 작업자에 의해 임의의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조작반(20)을 조작하기 용이한 높이로 승강부재(300)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조작반 이송장치(101)의 구동부(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410)와, 피스톤(420)과, 밸브(430), 그리고 레버(44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410)는 내부에 충진된 유체를 포함하며 일측이 이동 바디부(22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410)는 내부에 충진된 유체를 기밀하게 유지하는 씨일(seal)(411)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실린더(410) 내부에 충진된 유체는 압축성 유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실린더(410) 내부에 충진된 유체는 가스와 오일이 혼합된 혼합유체일 수 있다.
피스톤(420)은 실린더(410)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유체의 압력에 의해 실린더(410) 외부로 신축될 수 있다. 즉, 피스톤(420)은 실린더(410) 내부에서 실린더(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운동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스톤(420)의 일단은 실린더(410)에 삽입되어 실린더(410) 내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한다. 즉, 실린더(410)의 내부는 피스톤(420)의 일단에 의해 상부 영역(a)과 하부 영역(b)으로 구획되며, 상부 영역(a)은 하부 영역(b)보다 피스톤(420)의 타단과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420)의 일단은 구획된 영역에 위치하는 유체가 이동될 수 있는 유로(421)를 가진다.
따라서, 피스톤(420)의 일단은 실린더(410)에 삽입되어 실린더(410) 내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며, 유로(421)가 형성되어 구획된 복수의 영역 사이의 유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피스톤(420)의 타단은 실린더(410) 내부의 유체 압력에 따라 실린더(410)의 외부로 신축될 수 있다. 또한, 피스톤(420)의 타단은 승강 바디부(320)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 바디부(320)는 피스톤(420)의 신축에 따라 함께 승강될 수 있다.
밸브(430)는 피스톤(420)의 일단에 형성된 유로(421)를 개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밸브(430)는 피스톤(42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실린더(410)보다 피스톤(420)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밸브(430)의 일단부가 피스톤(420)의 타단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밸브(430)의 일단부가 가압되면 밸브(430)가 피스톤(4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피스톤(420)의 일단에 형성된 유로(421)를 개방시키며, 유체는 개방된 유로(421)를 통해 이동될 수 있다.
레버(440)는 작업자가 승강부재(300)의 높이를 조절할 때 조작되며, 승강 바디부(32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레버(440)는 작업자에 의해 회동되며 작업자가 조작하는 힘에 의해 밸브(430)의 일단부를 가압시켜 유로(421)를 개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레버(440)는 작업자가 조작하는 힘을 제거하는 경우 유로(421)가 폐쇄되도록 밸브(430)를 제어하여 피스톤(420)이 현재 위치에 정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버(440)는 승강 바디부(320)와 회전핀(441)에 의해 결합되어 승강 바디부(320)의 일측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레버(440)를 밸브(430)의 일단부를 향해 회동되도록 조작하여 밸브(430)의 일단부를 가압하면, 유로(421)가 개방되어 상부 영역(a)에 있던 유체가 하부 영역(b)으로 유입되며 피스톤(420)이 실린더(410)로부터 신장되어 승강 바디부(320)를 상승시킬 수 있어 조작반(20)의 높이가 상승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자가 레버(440)에 작용하는 힘을 해제하면, 밸브(430)의 일단부를 가압하는 힘이 해제되어 밸브(430)는 유로(421)를 폐쇄시며 피스톤(420)의 신장으로 상승된 승강 바디부(320)의 상승된 현재 높이를 유지할 수 있어 상승된 조작반(20)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밸브(430)의 일단부를 향해 회동되도록 레버(440)를 조작하여 밸브(430)의 일단부를 가압하고, 승강 바디부(320)가 이동 바디부(220)를 따라 하강되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유로(421)가 개방되며 상기 외력에 의해 피스톤(420)이 실린더(410)로부터 신축되고 하부 영역(b)에 있던 유체가 상부 영역(a)으로 유입되어 승강 바디부(320)를 하강시킬 수 있어 조작반(20)의 높이가 하강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자가 레버(440)에 작용하는 힘을 해제하면, 밸브(430)의 일단부를 가압하는 힘이 해제되어 밸브(430)는 유로(421)를 폐쇄시며 피스톤(420)의 수축으로 하강된 승강 바디부(320)의 하강된 현재 높이를 유지할 수 있어 하강된 조작반(20)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조작반 이송장치(101)의 구동부(400)는 자유 피스톤(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유 피스톤(450)은 서로 다른 매질의 유체가 충진될 수 있도록 실린더(410) 내부를 오일영역(d)과 가스영역(c)으로 구획할 수 있다.
오일영역(d)에는 오일이 충진되며, 가스영역(c)에는 가스가 충진된다. 구체적으로, 오일영역(d)은 피스톤(420)에 의해 구획되는 상부 영역(a)과 하부 영역(b)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자유 피스톤(450)은 실린더(410) 내부의 상부 영역(a)보다 하부 영역(b)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실린더(410) 내부에 가스영역(c)을 형성할 수 있다.
구동부(400)는 자유 피스톤(450)를 포함하고 있어서, 밸브(430)의 일단부가 가압되어 유로(421)가 개방되는 경우 자유 피스톤(450)이 가스영역(c)의 가스의 압축 또는 팽창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즉, 자유 피스톤(450)은 오일영역(d)과 가스영역(c)의 체적을 가변시킬 수 있어 승강 바디부(320)의 상승시에 가스영역(c)의 가스 팽창에 의해 효과적으로 피스톤(420)을 신장시킬 수 있어 승강 바디부(320)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밸브(430)의 일단부에 가해지는 힘이 해제되어 유로(421)가 폐쇄되어 피스톤(420)의 신장된 높이를 유지하는 경우, 자유 피스톤(450)은 가스영역(c)의 기체가 압축되도록 가압할 수 있어 상부 영역(a)과 하부 영역(b) 사이의 체적변화에 의해 유로(421)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승강 바디부(320)의 높이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조작반 이송장치(101)는 상승 제한 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승 제한 부재(500)는 이동 바디부(220)로부터 승강 바디부(320)가 상승되는 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승 제한 부재(500)는 일단이 이동 바디부(220)에 결합되고, 타단이 승강 바디부(320)에 결합되어 실린더(410)의 유체 압력에 의해 피스톤(420)이 상승되는 경우 이동 바디부(220)와 승강 바디부(320)의 이격 거리를 제한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승 제한 부재(500)의 길이는 실린더(410)의 신장 가능한 길이 및 작업자의 신장을 고려하여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승 제한 부재(500)는 체인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조작반 이송장치(101)는 핸들부(21,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핸들부(21,350)는 조작반(20)을 이동 및 위치 조절시 작업자의 편의를 위해 설치되며 승강부재(300) 또는 조작반(2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승강부재(300)는 승강 바디부(320)를 감싸는 커버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핸들부(350)가 승강부재(300)에 형성된 경우, 커버부(34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핸들부(350)가 커버부(340)의 일측에 형성된 경우 승강부재(300)와 이동부재(200)를 효과적으로 승강 및 이동 시킬 수 있다.
또한, 핸들부(21)가 조작반(20)에 형성된 경우, 작업자가 조작반(20)을 조작시 작업자와 대향하는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핸들부(21)가 조작반(20)에 형성된 경우, 조작반(20)의 이송과, 승강, 그리고 회전을 모두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조작반 이송장치(101)는 작업자에 의해 조작반(20)의 위치 조절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즉, 조작반(20)을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 및 높이로 조절할 수 있어, 작업자가 조작반(20)을 조작시 편의성이 향상되며 작업 피로도가 감소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조작반 이송장치(101)의 위치 및 높이 조절 과정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400)의 레버(440)를 회동시켜 밸브(430)의 일단부를 가압하면 구동부(400)로부터 제공된 승강 바디부(320)를 상승시키는 구동력에 의해 조작반(20)은 상승될 수 있다.
작업자에 의해 원하는 높이까지 승강 바디부(320)를 상승시킨 후 레버(440)를 가압하는 힘을 해제시키면, 승강 바디부(320)의 높이가 현재의 승강된 높이로 고정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400)의 레버(440)를 회동시켜 밸브(430)의 일단부를 가압하고, 작업자가 승강 바디부(320)가 하강되도록 외력을 가하면 승강 바디부(320)를 하강시켜 조작반(20)은 하강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에 의해 원하는 높이까지 승강 바디부(320)를 하강시킨 후 레버(440)를 가압하는 힘을 해제시키고 외력을 해제시키면, 승강 바디부(320)의 높이가 현재의 하강된 높이로 고정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하우징 20: 조작반
101: 공작기계용 조작반 이송장치 100: 안내부재
200: 이동부재 210: 미끄럼부
220: 이동 바디부 230: 승강 안내부
300: 승강부재 310: 지지부
320: 승강 바디부 330: 승강 미끄럼부
340: 커버부 21,350: 핸들부
400: 구동부 410: 실린더
411: 씨일 420: 피스톤
421: 유로 430: 밸브
440: 레버 441: 회전핀
450: 자유 피스톤 500: 상승 제한 부재
a: 상부 영역 b: 하부 영역
c: 가스영역 d: 오일영역

Claims (5)

  1. 공작기계를 제어하는 조작반(20)을 이송하는 조작반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작기계의 일측에 설치된 안내부재(100);
    상기 안내부재(100)를 따라 이동하는 미끄럼부(210)와, 상기 미끄럼부(210)와 결합된 이동 바디부(220)를 포함하는 이동부재(200); 및
    상기 이동 바디부(220)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승강 바디부(320)와, 상기 이동 바디부(220)와 상기 승강 바디부(3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 바디부(320)를 상승시키는 구동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반(20)을 지지하는 승강부재(300)
    를 포함하는 공작기계용 조작반 이송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구동부(400)는 프리 락타입 가스 스프링(free lock type gas spring)을 포함하는 공작기계용 조작반 이송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구동부(400)는,
    일측이 상기 이동 바디부(220)와 결합되며, 내부에 유체가 충진된 실린더(410);
    일단이 상기 실린더(410) 내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유체가 상기 영역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가지며, 타단이 상기 승강 바디부(320)와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410) 외부로 신축되는 피스톤(420);
    상기 유로를 개폐 가능한 밸브(430); 및
    상기 승강 바디부(32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420)이 임의의 높이를 갖도록 상기 밸브(430)를 제어할 수 있는 레버(440)
    를 포함하는 공작기계용 조작반 이송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레버(440)를 회동시켜 상기 밸브(430)가 상기 유로를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승강 바디부(320)가 하강되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상기 조작반(20)은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조작반 이송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일단이 상기 이동 바디부(220)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승강 바디부(320)와 결합되어, 상기 이동 바디부(220)로부터 상기 승강 바디부(320)가 상승되는 높이를 제한하는 상승 제한 부재(500)를 더 포함하는 공작기계용 조작반 이송장치.
KR1020130119848A 2013-10-08 2013-10-08 공작기계용 조작반 이송장치 KR101986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848A KR101986386B1 (ko) 2013-10-08 2013-10-08 공작기계용 조작반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848A KR101986386B1 (ko) 2013-10-08 2013-10-08 공작기계용 조작반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1390A true KR20150041390A (ko) 2015-04-16
KR101986386B1 KR101986386B1 (ko) 2019-09-30

Family

ID=53034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9848A KR101986386B1 (ko) 2013-10-08 2013-10-08 공작기계용 조작반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3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561A (ko) * 2015-07-08 2017-01-18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공작기계용 조작패널 유닛
KR20220103246A (ko) 2021-01-14 2022-07-22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공작기계의 조작반 높이 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3645A (ko) 2020-02-14 2021-08-24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공작기계 조작반의 위치 조절장치 및 조절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2207U (ko) * 1996-10-25 1998-07-15 추호석 공작기계의 조작반 이송구조
JP2005007487A (ja) * 2003-06-17 2005-01-13 Okamoto Machine Tool Works Ltd ワ−クの溝切方法および切削装置
JP4750229B1 (ja) * 2010-10-06 2011-08-17 ヤマザキマザック株式会社 工作機械用操作盤の支持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2207U (ko) * 1996-10-25 1998-07-15 추호석 공작기계의 조작반 이송구조
JP2005007487A (ja) * 2003-06-17 2005-01-13 Okamoto Machine Tool Works Ltd ワ−クの溝切方法および切削装置
JP4750229B1 (ja) * 2010-10-06 2011-08-17 ヤマザキマザック株式会社 工作機械用操作盤の支持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561A (ko) * 2015-07-08 2017-01-18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공작기계용 조작패널 유닛
KR20220103246A (ko) 2021-01-14 2022-07-22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공작기계의 조작반 높이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386B1 (ko)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41390A (ko) 공작기계용 조작반 이송장치
WO2009104450A1 (ja) 作業機械における干渉防止制御装置
WO2018211763A1 (ja) ロック機構付きエアチャック
KR101882919B1 (ko) 신속 개폐 기능을 포함하는 게이트밸브
JP6408233B2 (ja) コントロールバルブおよび制御方法
FI108997B (fi) Automaattinen kaulustusporalaite
KR102173869B1 (ko) 그리퍼 장치
KR101444725B1 (ko) 중량물 로딩 장치
EP2082985A1 (en) Load balancing hoist
US8573555B2 (en) Support structure of operation panel for machine tool
ITBO20070648A1 (it) Dispositivo di spinta per un tampone di una levigatrice.
CA2983915A1 (en) Drill rod alignment device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JP5806947B2 (ja) バンドソー装置
WO2020134562A1 (zh) 气电转换提升阀
KR100761203B1 (ko) 자동공구교환장치의 상하이동형 도어개폐장치
KR101448429B1 (ko) 실린더 작동식 개폐밸브
KR101743542B1 (ko) 힌지 모듈을 사용하여 리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CN209503013U (zh) 电气自动化钻孔机
KR102131283B1 (ko) 모노 타입 게이트 밸브 시스템
ITMI20130107U1 (it) Procedimento di regolazione di un macchinario di movimentazione e macchinario di movimentazione corrispondente
KR101909769B1 (ko) 컨트롤 박스의 높이조절 어셈블리
KR101265542B1 (ko) 굴삭기용 조이스틱 파일럿 압력전환밸브
EP3095752B1 (en) Oil returning structure
JP2918362B2 (ja) リベット固定工具
CN113623287B (zh) 一种工程机械油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