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0950A - 입력 제어 장치,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 입력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입력 제어 장치,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 입력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0950A
KR20150040950A KR1020157004754A KR20157004754A KR20150040950A KR 20150040950 A KR20150040950 A KR 20150040950A KR 1020157004754 A KR1020157004754 A KR 1020157004754A KR 20157004754 A KR20157004754 A KR 20157004754A KR 20150040950 A KR20150040950 A KR 20150040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er
contact
event
touch pane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4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9243B1 (ko
Inventor
야스키 가도마츠
Original Assignee
엔이씨 솔루션 이노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이씨 솔루션 이노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이씨 솔루션 이노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40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0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8Cursor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입력 제어 장치(1)의 표시 제어부(105)는 조작 대상 영역(OB)을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부(101)에 표시시키고, 조작 인식부(103)는, 유저가 터치 패널(TD)에 접촉한 위치를 나타내는 접촉 좌표(CO)를 취득한다. 표시 제어부(105)는, 접촉 좌표(CO)로부터 포인터(PO)를 향하는 포인터 벡터(CP)의 방향이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의 중심 좌표(CE)로부터 접촉 좌표를 향하는 방향과 거의 일치하고, 접점 벡터(CC)의 크기(LC)의 증가에 따라 포인터 벡터(CP)의 크기가 증가하도록 포인터(PO)를 표시한다.

Description

입력 제어 장치,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 입력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INPUT CONTROL DEVICE, THIN-CLIENT SYSTEM, INPUT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입력 제어 장치,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 입력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가 표시하는 윈도우에 있어서, 유저가, 아이콘 등의 조작 대상을, 포인터를 사용해서 지시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3).
일본국 특개2011-028524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0-102474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11-024841호 공보
특허문헌 1~3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포인터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유저가 접촉하고 있는 위치, 또는 그 근방에 표시된다. 이 때문에, 유저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외부 프레임 가까이에 표시된 아이콘 등의 조작 대상을, 포인터를 사용해서 지시하는 경우에는, 이 조작 대상이 표시되어 있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외부 프레임에 가까운 영역에 접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유저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외부 프레임에 가까운 영역, 특히 네모난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네 모퉁이 근처 영역에 접촉하고자 하면,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외부 프레임에 방해받아 의도대로 접촉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특허문헌 1~3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외부 프레임 가까이, 특히 네모난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네 모퉁이 가까이에 표시된 조작 대상을 포인터를 사용해서 지시하는 것이 곤란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유저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외부 프레임 가까이에 표시된 조작 대상을, 포인터를 사용해서 용이하게 지시할 수 있는 입력 제어 장치,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 입력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입력 제어 장치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와,
조작 대상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을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화상 표시 수단과,
상기 조작 대상 영역마다, 각 상기 조작 대상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와 이벤트 정보의 대응을 나타내는 이벤트 대응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과,
유저가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접촉한 위치인 접촉 좌표를 취득하는 조작 인식 수단과,
포인터를, 상기 접촉 좌표로부터 포인터를 향하는 포인터 벡터의 방향이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상의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접촉 좌표를 향하는 접점 벡터의 방향과 거의 일치하고, 상기 접점 벡터의 크기의 증가에 따라 상기 포인터 벡터의 크기가 증가하도록, 표시하는 포인터 표시 수단과,
상기 포인터가 지시하는 위치의 좌표인 지시 좌표가, 어느 하나의 상기 조작 대상 영역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지시 좌표가 임의의 조작 대상 영역에 들어간 경우 및/또는 임의의 조작 대상 영역으로부터 나온 경우, 상기 이벤트 대응 정보를 참조해서, 이 조작 대상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이벤트 정보 생성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입력 제어 장치와, 상기 입력 제어 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서버를 구비하는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버는, 조작 대상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를 상기 입력 제어 장치에 송신하는 화상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제어 장치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화상 정보를 수신하는 화상 수신 수단과,
상기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조작 대상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을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화상 표시 수단과,
유저가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접촉한 위치인 접촉 좌표를 취득하는 조작 인식 수단과,
포인터를, 상기 접촉 좌표로부터 포인터를 향하는 포인터 벡터의 방향이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상의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접촉 좌표를 향하는 접점 벡터의 방향과 거의 일치하고, 상기 접점 벡터의 크기의 증가에 따라 상기 포인터 벡터의 크기가 증가하도록, 표시하는 포인터 표시 수단과,
상기 포인터가 지시하는 위치의 좌표인 지시 좌표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위치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조작 대상 영역마다, 각 상기 조작 대상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와 이벤트 정보의 대응을 나타내는 이벤트 대응 정보와, 상기 이벤트 정보와 처리의 대응을 나타내는 처리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과,
상기 입력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수신 수단과,
상기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지시 좌표가 어느 하나의 상기 조작 대상 영역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지시 좌표가 임의의 조작 대상 영역에 들어간 경우 및/또는 임의의 조작 대상 영역으로부터 나온 경우, 상기 이벤트 대응 정보를 참조해서, 이 조작 대상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이벤트 정보 생성 수단과,
상기 처리 정보를 참조해서, 상기 이벤트 정보에 대응된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은,
조작 대상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을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화상 표시 스텝과,
유저가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접촉한 위치인 접촉 좌표를 취득하는 조작 인식 스텝과,
포인터를, 상기 접촉 좌표로부터 포인터를 향하는 포인터 벡터의 방향이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상의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접촉 좌표를 향하는 접점 벡터의 방향과 거의 일치하고, 상기 접점 벡터의 크기의 증가에 따라 상기 포인터 벡터의 크기가 증가하도록, 표시하는 포인터 표시 스텝과,
상기 포인터가 지시하는 위치의 좌표인 지시 좌표가 어느 하나의 상기 조작 대상 영역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지시 좌표가 임의의 조작 대상 영역에 들어간 경우 및/또는 임의의 조작 대상 영역으로부터 나온 경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조작 대상 영역마다의, 각 상기 조작 대상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와 이벤트 정보의 대응을 나타내는 이벤트 대응 정보를 참조해서, 이 조작 대상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이벤트 정보 생성 스텝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은,
서버가, 조작 대상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를, 상기 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입력 제어 장치에 송신하는 화상 송신 스텝과,
상기 입력 제어 장치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화상 정보를 수신하는 화상 수신 스텝과,
상기 입력 제어 장치가, 상기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조작 대상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을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화상 표시 스텝과,
상기 입력 제어 장치가, 유저가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접촉한 위치를 나타내는 접촉 좌표를 취득하는 조작 인식 스텝과,
상기 입력 제어 장치가, 포인터를, 상기 접촉 좌표로부터 포인터를 향하는 포인터 벡터의 방향이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상의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접촉 좌표를 향하는 접점 벡터의 방향과 거의 일치하고, 상기 접점 벡터의 크기의 증가에 따라 상기 포인터 벡터의 크기가 증가하도록, 표시하는 포인터 표시 스텝과,
상기 입력 제어 장치가, 상기 포인터가 지시하는 위치의 좌표인 지시 좌표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위치 송신 스텝과,
상기 서버가, 상기 입력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수신 스텝과,
상기 서버가, 상기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지시 좌표가 어느 하나의 상기 조작 대상 영역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지시 좌표가 임의의 조작 대상 영역에 들어간 경우 및/또는 임의의 조작 대상 영역으로부터 나온 경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조작 대상 영역마다의, 각 상기 조작 대상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와 이벤트 정보의 대응을 나타내는 이벤트 대응 정보를 참조해서, 이 조작 대상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이벤트 정보 생성 스텝과,
상기 서버가,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이벤트 정보와 처리의 대응을 나타내는 처리 정보를 참조해서, 상기 이벤트 정보에 대응된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스텝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를,
조작 대상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을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화상 표시 수단,
상기 조작 대상 영역마다, 각 상기 조작 대상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와 이벤트 정보의 대응을 나타내는 이벤트 대응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유저가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접촉한 위치인 접촉 좌표를 인식하는 조작 인식 수단,
포인터를, 상기 접촉 좌표로부터 포인터를 향하는 포인터 벡터의 방향이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상의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접촉 좌표를 향하는 접점 벡터의 방향과 거의 일치하고, 상기 접점 벡터의 크기의 증가에 따라 상기 포인터 벡터의 크기가 증가하도록, 표시하는 포인터 표시 수단,
상기 포인터가 지시하는 위치의 좌표인 지시 좌표가 어느 하나의 상기 조작 대상 영역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지시 좌표가 임의의 조작 대상 영역에 들어간 경우 및/또는 임의의 조작 대상 영역으로부터 나온 경우, 상기 이벤트 대응 정보를 참조해서, 이 조작 대상 영역에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이벤트 정보 생성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저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외부 프레임 가까이에 표시된 조작 대상을 포인터를 사용해서 용이하게 지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입력 제어 장치에 의한 포인터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입력 제어 장치에 의한 포인터의 다른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b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입력 제어 장치에 의한 포인터의 다른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c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입력 제어 장치에 의한 포인터의 다른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d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입력 제어 장치에 의한 포인터의 다른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입력 제어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입력 제어 장치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유저가, 실시형태 1에 따른 입력 제어 장치를 사용해서, 포인터에 의해 조작 대상 영역을 지시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입력 제어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입력 제어 장치에 의한 아이콘과 포인터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a는 실시형태 2에 따른 입력 제어 장치에 의한 아이콘과 포인터의 다른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b는 실시형태 2에 따른 입력 제어 장치에 의한 아이콘과 포인터의 다른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c는 실시형태 2에 따른 입력 제어 장치에 의한 아이콘과 포인터의 다른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d는 실시형태 2에 따른 입력 제어 장치에 의한 아이콘과 포인터의 다른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유저가, 실시형태 2에 따른 입력 제어 장치를 사용해서, 포인터에 의해 조작 대상 영역을 지시하고, 탭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실시형태 2에 따른 입력 제어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입력 제어 장치에 의한 아이콘과 포인터의 표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입력 제어 장치에 의한 아이콘과 포인터의 표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1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입력 제어 장치에 의한 아이콘과 포인터의 표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1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입력 제어 장치에 의한 아이콘과 포인터의 표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실시형태 1)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입력 제어 장치 및 입력 제어 방법을, 도 1에 나타내는 입력 제어 장치(1)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입력 제어 장치(1)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를 구비한다.
입력 제어 장치(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인터(PO)와, 조작 대상 영역(OB)과, 윈도우(WI)를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에 표시한다.
임의의 조작 대상 영역(OB)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 조작 대상 영역(OB)에서 발생한 이벤트에 미리 대응되어 있던 이벤트 정보가 생성된다. 예를 들면, 유저가, 임의의 조작 대상 영역(OB)을, 포인터(PO)로 지시하거나, 포인터(PO)로 지시한 후에 탭하면, 입력 제어 장치(1)가 이들 조작을 검출하고, 이 조작 대상 영역(OB)을 지시하는 조작, 혹은 지시한 후에 탭하는 조작에 미리 대응되어 있던 이벤트 정보가 생성된다.
입력 제어 장치(1)는, 유저가 접촉하고 있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 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접촉 좌표(CO)를 취득한다. 또한, 입력 제어 장치(1)는, 입력 제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해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 좌표(CO)를 기준으로 해서 결정한 표시 위치에 포인터(PO)를 표시한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도 1에서는 접촉 좌표(CO)를 검은 동그라미로,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의 중심 좌표(CE)를 × 표시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접촉 좌표(CO)로부터 포인터(PO)를 향하는 벡터(이하, "포인터 벡터(CP)"라 함) 및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의 중심 좌표(CE)로부터 접촉 좌표(CO)를 향하는 벡터(이하, "접점 벡터(CC)"라 함)를 일점 쇄선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실제로는, 검은 동그라미, × 표시, 일점 쇄선 화살표는 표시되지 않는다.
입력 제어 장치(1)는, 포인터(PO)를,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인터 벡터(CP)의 방향과 접점 벡터(CC)의 방향이 일치하며, 또한, 접점 벡터(CC)의 크기(LC)에 포인터 벡터(CP)의 크기가 비례하도록 표시한다. 도 1에서, k는 1보다 큰 비례 정수이다.
유저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에 접촉한 상태에서 접촉하는 위치를 이동(드래그)함으로써, 도 2a~도 2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 좌표(CO)를 변화시켜, 접촉 좌표(CO)에 대응하는 포인터(PO)를 이동시킨다.
입력 제어 장치(1)가 포인터(PO)를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함으로써,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 좌표(CO)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의 외부 프레임에 접근하면, 포인터(PO)는 자동적으로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의 외부 프레임 가까이에 표시된다.
입력 제어 장치(1)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11)와, 주 저장부(12)와, 외부 저장부(13)와, 표시부(14)와, 조작부(15)와, 타이머(16)와, 이들 각 부를 서로 접속하는 내부 버스(10)를 구비한다.
제어부(1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으로 구성되며, 입력 제어 장치(1)의 각 부를 제어한다.
제어부(11)는, 외부 저장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입력 제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입력 제어 장치(1)의 각종 기능을 실현한다.
주 저장부(12)는 RAM(Random-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되며, 각종 데이터 및 각종 프로그램을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주 저장부(12)는, 외부 저장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입력 제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프로그램을 전개함으로써, 제어부(11)의 작업 영역으로서 기능한다.
외부 저장부(13)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며, 각종 데이터나 입력 제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각종 프로그램을 고정적으로 저장한다.
표시부(14)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구성되며, 제어부(11)의 제어에 따라 화상을 표시한다.
조작부(15)는, 표시부(14)를 구성하는 LCD에 중첩된 터치 패드 등으로 구성되며, 유저의 접촉을 검지한다.
표시부(14)를 구성하는 LCD와, 조작부(15)를 구성하는 터치 패드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를 구성한다.
타이머(16)는, 현재 시각을 정기적으로 제어부(11)에 공급한다.
상기 물리적 구성을 갖는 입력 제어 장치(1)는, 기능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101)와, 입력부(102)와, 조작 인식부(103)와, 저장부(104)와, 표시 제어부(105)를 구비한다. 또, 입력 제어 장치(1)는, 동화상 재생 기능 등도 구비하지만, 도 4에서는, 특징적인 부분을 주로 나타내며, 그 외는 도시하고 있지 않다.
표시부(101)는, 후술하는 표시 제어부(105)의 제어에 따라 화상을 표시한다.
입력부(102)는, 유저의 접촉을 검지하고, 입력을 수신한다.
조작 인식부(103)는, 유저가 접촉한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 상의 물리적 위치를 입력부(102)로부터 취득한다. 조작 인식부(103)는, 취득한 물리적 위치를,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좌표 정보를 참조해서 좌표로 변환하고, 그 얻어진 좌표를 접촉 좌표(CO)로서 취득한다.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좌표 정보는, 후술하는 저장부(104)에 저장되어 있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 상의 물리적 위치를 좌표로 변환하기 위한 정보이다. 조작 인식부(103)는, 접촉 좌표(CO)를 표시 제어부(105)로 전송한다.
또한, 조작 인식부(103)는, 입력부(102)에 의한 접촉의 검지에 의거하여, 유저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에 접촉하고 있던 시간인 접촉 시간을 취득한다.
저장부(104)는, 화상 정보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좌표 정보와, 이벤트 대응 정보와, 처리 정보를 저장한다.
화상 정보는 포인터(PO), 윈도우(WI) 등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이다.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좌표 정보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 상의 물리적 위치를 좌표로 변환하기 위한 정보이다.
이벤트 대응 정보는, 조작 대상 영역(OB)마다, 각 조작 대상 영역(OB)에서 발생한 이벤트와 이벤트 정보의 대응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처리 정보는, 이벤트 정보와 처리의 대응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표시 제어부(105)는, 저장부(104)로부터 화상 정보를 판독하여, 표시부(101)에 포인터(PO), 조작 대상 영역(OB), 윈도우(WI) 등을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시킨다.
표시 제어부(105)는, 입력 제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조작 인식부(103)로부터 수신한 접촉 좌표(CO)에 의거하여 포인터(PO)를 표시한다. 포인터(PO)는, 포인터 벡터(CP)의 방향이 접점 벡터(CC)의 방향과 일치하고, 접점 벡터(CC)의 크기(LC)에 포인터 벡터(CP)의 크기가 비례하도록 표시된다.
또, 표시 제어부(105)는, 입력 제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 조작 인식부(103)로부터 수신한 접촉 좌표(CO)에, 또는 접촉 좌표(CO)로부터 소정 거리를 둔 위치에, 포인터(PO)를 표시한다.
유저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에 접촉한 상태에서 접촉하는 위치를 드래그함으로써, 도 2a~도 2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 좌표(CO)를 변화시켜, 포인터(PO)를 이동시킨다.
표시 제어부(105)는, 포인터(PO)를, x 좌표가 임계값 -Xp 이상 임계값 Xp 이하가 되고, y 좌표가 임계값 -Yp 이상 임계값 Yp 이하가 되도록 표시한다. 임계값 -Xp, +Xp, -Yp, +Yp를 설정함으로써, 도 2c, 도 2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인터(PO)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의 외부 프레임에 접해서 표시되어 있는 경우, 가령 접촉 좌표(CO)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의 외부 프레임에 더 접근했다고 해도, 포인터(PO)가 이 이상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의 외부 프레임에 매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표시 제어부(105)는, 포인터(PO)가 지시하는 위치의 좌표(이하, "지시 좌표"라 함)가, 조작 대상 영역(OB)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표시 제어부(105)는, 지시 좌표가 조작 대상 영역(OB)에 들어간 경우, 및/또는, 조작 대상 영역(OB)으로부터 나온 경우에, 저장부(104)에 저장되어 있는, 조작 대상 영역(OB)마다의, 각 조작 대상 영역(OB)에서 발생한 이벤트와 이벤트 정보의 대응을 나타내는 이벤트 대응 정보를 참조해서, 당해 조작 대상 영역(OB)에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하는 이벤트 정보를 생성한다.
표시 제어부(105)는, 저장부(104)에 저장되어 있는, 이벤트 정보와 처리의 대응을 나타내는 처리 정보를 참조해서, 생성된 이벤트 정보에 처리가 대응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지시 좌표가, 조작 대상 영역(OB1)에 들어갔을 때, "OB1-ON"이라는 이벤트 정보가 생성되고, 조작 대상 영역(OB1)으로부터 나왔을 때, "OB1-OFF"라는 이벤트 정보가 생성된다.
표시 제어부(105)는, "OB1-ON"이라는 이벤트 정보가 생성된 경우, 저장부(104)에 저장되어 있는 처리 정보를 참조해서, "OB1-ON"이라는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동시에, 표시 제어부(105)는, 당해 처리에 대응하는 처리 화면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를 저장부(104)로부터 판독하여, 당해 처리 화면을 표시부(101)에 표시시킨다.
또, 조작 인식부(103)가 접촉 시간을 인식하는 구성에서는, 조작 인식부(103)는, 접촉 시간에 의거하여, 유저가 탭(tap)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조작 인식부(103)는, 접촉 시간이 임계값 α 이상 임계값 β 이하인 경우에, 유저가 탭했다고 판정한다. 임계값 α를 설정함으로써, 유저가 조작할 의도 없이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에 접촉한 경우 등에서 발생하는 접촉 시간이 짧은 접촉을 탭이라고 판정하게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임계값 β를 설정함으로써, 유저가 잘못해서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에 접촉하게 되었을 때에, 계속해서 접촉함으로써 탭을 해제할 수 있다.
조작 인식부(103)는, 유저가 탭했다고 판정하면, 유저가 탭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 제어부(105)로 전송한다. 표시 제어부(105)는, 유저가 탭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면, 예를 들면, "탭"이라는 이벤트 정보를 생성한다. 표시 제어부(105)는, 저장부(104)에 저장되어 있는 처리 정보를 참조해서, "탭"이라는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또, 표시 제어부(105)가 아니라, 입력 제어 장치(1)가 구비하는 다른 기능부가 처리 정보를 참조해서, 생성된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도 5는, 유저가, 포인터를 사용해서 조작 대상 영역을 지시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의 예에서는, 윈도우(WI)의 최소화 버튼이 조작 대상 영역(OB1)이고, 윈도우(WI)의 최대화 버튼이 조작 대상 영역(OB2)이며, 윈도우(WI)의 닫기 버튼이 조작 대상 영역(OB3)이다.
윈도우(WI)가 최대화된 경우, 입력 제어 장치(1)는, 윈도우(WI)의 닫기 버튼인 조작 대상 영역(OB3)을,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의 우측 상부 모퉁이에 표시한다.
유저는, 조작 대상 영역(OB3)을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 접촉 위치를 우측 상부 모퉁이 방향으로 드래그한다. 포인터(PO)는, 접촉 위치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의 우측 상부 모퉁이에 접근할수록,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의 외부 프레임에 다가간다. 이 때문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저는, 손가락을 조작 대상 영역(OB3)의 위치까지 이동시키지 않아도, 포인터(PO)로 윈도우(WI)의 닫기 버튼인 조작 대상 영역(OB3)을 지시할 수 있다.
유저가, 포인터(PO)를 사용해서 조작 대상 영역(OB3)을 지시하면, 지시 좌표가 조작 대상 영역(OB3)에 들어가, "OB3-ON"이라는 이벤트 정보가 생성된다. 유저가 조작 대상 영역(OB3)을 포인터(PO)로 지시한 상태에서 탭하면, "탭"이라는 이벤트 정보가 생성된다. 표시 제어부(105)는, 저장부(104)에 저장되어 있는 처리 정보를 참조해서, "OB3-ON"과 "탭"이라는 이벤트 정보의 조합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당해 처리의 실행 후, 윈도우(WI)가 닫힌다.
조작 대상 영역(OB)에는, 도 5에 나타내는, 윈도우(WI)의 닫기 버튼인 OB3 등과 같이, 유저가 포인터(PO)에 의해 지시하며, 또한, 탭함으로써 대응된 처리가 실행되는 조작 대상 영역(OB)과, 유저가 포인터(PO)에 의해 지시한 것만으로 대응된 처리가 실행되는 조작 대상 영역(OB)이 있다.
후자의 예로서는, 유저가 포인터(PO)를 사용해서 지시하면 설명문(help text)이 팝업되는 아이콘이나, 유저가 포인터(PO)를 사용해서 지시하면 날짜 표시가 팝업되는 시각 표시, 유저가 포인터(PO)를 사용해서 지시하면 하이라이트 표시로 전환되는 아이콘 등이 있다.
이하에, 입력 제어 장치(1)의 동작에 대해서 도 6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입력 제어 장치(1)의 특징적인 동작을 주로 설명한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입력 제어 장치(1)는, 동화상 재생 등 각종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입력 제어 장치(1)는, 입력 제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기동되면, 도 6의 플로차트에 나타내는 처리를 개시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입력 제어 장치(1)는, 전원이 투입되면 입력 제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는 것으로 한다.
입력부(102)가 유저의 접촉을 검지하면(스텝 S11: YES), 조작 인식부(103)는, 입력부(102)가 접촉을 검지한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 상의 물리적 위치를 취득하고, 저장부(104)에 저장되어 있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좌표 정보를 참조해서, 취득한 물리적 위치를 좌표로 변환하고, 이 좌표를 접촉 좌표(CO)로서 취득한다(스텝 S12). 조작 인식부(103)는, 접촉 좌표(CO)를 표시 제어부(105)로 전송한다.
입력부(102)가 접촉을 검지하지 않은 경우는(스텝 S11: NO), 스텝 S11을 반복한다.
표시 제어부(105)는, 조작 인식부(103)로부터 수신한 접촉 좌표(CO)에 의거하여, 포인터 벡터(CP)의 방향과 접점 벡터(CC)의 방향이 일치하며, 또한, 접점 벡터(CC)의 크기(LC)에 포인터 벡터(CP)의 크기가 비례하도록, 포인터(PO)의 표시 위치를 산출한다(스텝 S13). 표시 제어부(105)는, 스텝 S13에서 산출한 표시 위치에 포인터(PO)를 표시한다(스텝 S14).
표시 제어부(105)는, 지시 좌표(포인터(PO)가 지시하고 있는 위치의 좌표)가 어느 하나의 조작 대상 영역(OB)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5).
지시 좌표가 임의의 조작 대상 영역(OB)에 들어간 경우(스텝 S15: YES, 스텝 S16: YES), 표시 제어부(105)는, 저장부(104)에 저장되어 있는, 조작 대상 영역(OB)마다의, 각 조작 대상 영역(OB)에 발생한 이벤트와 이벤트 정보의 대응을 나타내는 이벤트 대응 정보를 참조해서, 지시 좌표가 당해 조작 대상 영역(OB)에 들어간 것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고(스텝 S17), 스텝 S20으로 이행한다.
지시 좌표가 임의의 조작 대상 영역(OB)으로부터 나온 경우(스텝 S15: NO, 스텝 S18: YES), 표시 제어부(105)는, 이벤트 대응 정보를 참조해서, 지시 좌표가 당해 조작 대상 영역(OB)으로부터 나온 것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고(스텝 S19), 스텝 S20으로 이행한다.
한편, 지시 좌표가 어느 조작 대상 영역(OB)에도 들어가 있지 않은 경우(스텝 S15: YES, 스텝 S16: NO) 및 지시 좌표가 조작 대상 영역(OB)으로부터 나와 있지 않은 경우(스텝 S15: NO, 스텝 S18: NO), 조작 인식부(103)는, 접촉 좌표(CO) 및 접촉 시간에 의거하여, 유저가 접촉 좌표(CO)에서 탭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0).
유저가 접촉 좌표(CO)에서 탭하고 있지 않은 경우(스텝 S20: NO), 스텝 S21로 이행한다.
한편, 유저가 접촉 좌표(CO)에서 탭한 경우(스텝 S20: YES), 조작 인식부(103)는, 유저가 접촉 좌표(CO)에서 탭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 제어부(105)로 전송한다.
표시 제어부(105)는, 유저가 접촉 좌표(CO)에서 탭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조작 인식부(103)로부터 수신하면, 이벤트 대응 정보를 참조해서, 접촉 좌표(CO)가 탭된 것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를 생성한다(스텝 S22). 표시 제어부(105)는, 처리 정보를 참조해서, 스텝 S17, 스텝 S19 또는 스텝 S22에서 생성된 이벤트 정보에 처리가 대응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처리를 실행하고(스텝 S21), 스텝 S23으로 이행한다.
입력부(102)가 접촉을 검지하고 있는 동안에는(스텝 S23: NO), 스텝 S12~스텝 S23을 반복한다.
입력부(102)가 접촉을 검지하지 않게 되면(스텝 S23: YES), 입력 제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OFF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스텝 S24), 입력 제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OFF로 되어 있지 않으면(스텝 S24: NO), 스텝 S11~스텝 S23을 반복한다. 입력 제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OFF가 되면(스텝 S24: YES), 처리를 종료한다.
실시형태 1의 입력 제어 장치(1)에 의하면, 유저의 접촉 위치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의 외부 프레임에 가까워지면 질수록, 포인터(PO)가 자동적으로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의 외부 프레임에 접근한다. 이 때문에, 유저는, 외부 프레임 가까이, 특히 네모난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의 네 모퉁이 가까이에 표시된 조작 대상 영역(OB)을, 포인터(PO)를 사용해서 용이하게 지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입력 제어 장치(1)에 전원이 투입됨과 동시에 입력 제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기동되었다. 그러나, 입력 제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기동 타이밍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입력 제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의 외부 프레임 가까이에 표시된 조작 대상 영역(OB)을 포인터(PO)에 의해 지시할 때에 큰 효과를 발휘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의 외부 프레임으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에 유저가 접촉한 경우, 입력 제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자동적으로 기동된다. 또한, 포인터 벡터(CP)의 방향과 접점 벡터(CC)의 방향이 일치하며, 또한, 접점 벡터(CC)의 크기(LC)에 포인터 벡터(CP)의 크기가 비례하도록, 포인터(PO)가 표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입력 제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기동되어 있지 않을 때, 또는 유저의 조작에 응답해서 입력 제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종료되었을 때, 포인터(PO)는, 접촉 좌표(CO)에, 또는 접촉 좌표(CO)로부터 소정 거리를 둔 위치에 표시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포인터(PO)는, 포인터 벡터(CP)의 방향과 접점 벡터(CC)의 방향이 완전히 일치하도록 표시되었다. 그러나, 포인터 벡터(CP)의 방향과 접점 벡터(CC)의 방향이 거의 일치하면 되고, 포인터(PO)의 표시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각 영역에 있어서의 포인터 벡터(CP)의 방향을,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의 중심에서 방사하는 소정의 방향으로 설정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접점 벡터(CC)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의 중심 좌표(CE)로부터 접촉 좌표(CO)를 향하는 벡터로 했다. 그러나, 터치 패널 상의 임의의 기준점으로부터 접촉 좌표(CO)를 향하는 벡터를 접점 벡터(CC)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입력 제어 장치(1)는, 포인터(PO)를, 기준점으로부터 접촉 좌표(CO)를 향하는 벡터의 방향과, 접촉 좌표(CO)로부터 포인터(PO)를 향하는 벡터의 방향이 일치하도록 표시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포인터(PO)는, 포인터 벡터(CP)의 크기가, 접점 벡터(CC)의 크기(LC)에 비례하도록 표시되었다. 그러나, 포인터 벡터(CP)의 크기가, 접점 벡터(CC)의 크기(LC)의 증가에 맞춰 증가하면 되고, 포인터(PO)의 표시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포인터(PO)를, 접점 벡터(CC)의 크기(LC)와, 포인터 벡터(CP)의 크기(LP)가 관계식, LP= knLCn+kn -1LCn -1+…+kOLCO(식 중, n 및 kn, kn -1, …, k0는 임의의 정수(定數))를 만족시키도록 표시해도 된다.
또, 임의의 정수 n 및 kn, kn -1, …, k0는, 예를 들면, 접점 벡터(CC)의 크기(LC)와 포인터 벡터(CP)의 크기(LP)의 상관(correlation)을 실험 등에 의해 구하고, 유저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의 일부 영역(예를 들면, 사각형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의 2/3~4/5를 차지하는 사각형 영역)에서 접촉 위치를 드래그함으로써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의 전체 영역을, 포인터(PO)를 사용해서 지시할 수 있는 값으로 설정된다. 단, 임의의 정수 n 및 kn, kn -1, …, k0의 결정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적당히 설정하면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포인터(PO)는, 접촉 좌표(CO)를 기준으로 해서 산출된 위치에 표시되었다. 유저의 접촉이 검지되지 않은 경우(스텝 S11: NO)에, 소정 위치에 포인터(PO)를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유저의 접촉이 검지되면(스텝 S11: YES), 접촉 좌표(CO)를 취득해서 표시 위치를 산출하고, 이 표시 위치에 포인터(PO)를 표시한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1의 입력 표시 장치(1)는, 접촉 좌표(CO)에 아무것도 표시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접촉 좌표(CO)에서 탭을 행하는 유저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 상에 아무것도 표시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서 탭을 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입력 제어 장치(1)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이콘(IC)을 표시함으로써, 유저가 탭 등의 조작을 직관적으로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입력 제어 장치(1)는, 유저가 접촉한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 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접촉 좌표(CO)를 취득한다.
입력 제어 장치(1)는, 입력 제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 좌표(CO)에 아이콘(IC)을 표시한다. 접촉 좌표(CO)에 윈도우(WI) 등의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 아이콘(IC)은, 이 화상에 중첩해서 표시된다.
또한, 입력 제어 장치(1)는, 접촉 좌표(CO)를 기준으로 해서, 포인터(PO)의 표시 위치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입력 제어 장치(1)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 좌표(CO)로부터 포인터(PO)를 향하는 벡터(포인터 벡터(CP))의 방향이,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의 중심 좌표(CE)로부터 접촉 좌표(CO)를 향하는 벡터(접점 벡터(CC))의 방향과 일치하고, 접점 벡터(CC)의 크기(LC)에 포인터 벡터(CP)의 크기가 비례하도록, 포인터(PO)를 표시한다. 도 7에서, k는 비례 정수이다.
또, 도 7에 도시한, 접촉 좌표(CO)를 나타내는 검은 동그라미, 포인터 벡터(CP) 및 접점 벡터(CC)를 나타내는 일점 쇄선 화살표, 중심 좌표(CE)를 나타내는 × 표시는 모두 실제로는 표시되지 않는다.
유저는, 도 8a~도 8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 상의 접촉 위치를 드래그함으로써 아이콘(IC)을 드래그하여, 포인터(PO)를 이동시킨다.
아이콘(IC) 및 포인터(PO)를 전술한 방법에 따라 표시함으로써, 도 8a~도 8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이콘(IC)의 표시 위치(접촉 좌표(CO))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의 외부 프레임에 가까워지면 질수록, 포인터(PO)가 자동적으로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의 외부 프레임에 접근한다.
또, 도 8a, 도 8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인터(PO)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의 외부 프레임에 접해서 표시된 경우, 아이콘(IC)의 표시 위치(접촉 좌표(CO))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의 외부 프레임에 더 접근한다고 해도, 포인터(PO)가 이 이상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의 외부 프레임에 매몰되는 경우는 없다.
입력 제어 장치(1)는, 아이콘(IC)을 반투명하게 표시한다. 반투명하게 표시한다는 것은, 아이콘(IC)이 윈도우(WI) 등 다른 화상에 중첩된 경우, 아이콘(IC)을 투과하여, 아이콘(IC)과 중첩된 화상이 투과해서 보이도록 화소를 연산해서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아이콘(IC)은,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우스의 왼쪽 버튼 및 오른쪽 버튼을 모의(模擬)한다.
또한, 유저는, 아이콘(IC)을 탭함으로써, 예를 들면, 마우스의 우클릭이나 좌클릭과 동일한 조작을 입력한다. 유저는, 아이콘(IC)을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탭해야 할 위치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실시형태 2의 입력 제어 장치(1)는, 실시형태 1의 입력 제어 장치(1)와 동일한 하드웨어 구성, 기능 구성을 구비한다. 그러나, 조작 인식부(103) 및 표시 제어부(105)의 기능 및 동작은 제 1 실시형태의 입력 제어 장치(1)와는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이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표시 제어부(105)는, 입력 제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기동되면, 아이콘(IC)의 화상 데이터를 저장부(104)로부터 판독하여, 표시부(101)로 하여금 접촉 좌표(CO) 상에 표시하게 한다. 접촉 좌표(CO)에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 표시 제어부(105)는, 아이콘(IC)을 이 화상에 중첩해서 표시시킨다. 아이콘(IC)은 반투명으로 표시되어, 아이콘(IC)을 투과해서 배면의 화상이 보이기 때문에, 조작에 방해되지 않는다.
유저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에 접촉한 상태에서 접촉 위치를 드래그함으로써 접촉 좌표(CO)를 변화시키고, 아이콘(IC)을 드래그하여, 포인터(PO)를 이동시킨다.
표시 제어부(105)는, 조작 인식부(103)로부터 수신한 접촉 좌표(CO)에 의거하여, 포인터 벡터(CP)의 방향이 접점 벡터(CC)의 방향과 일치하고, 접촉 벡터(CC)의 크기(LC)에 포인터 벡터(CP)의 크기가 비례하도록, 포인터(PO)를 표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인식부(103)는, 유저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에 접촉하고 있던 시간인 접촉 시간을 취득한다. 조작 인식부(103)는, 접촉 좌표(CO) 및 접촉 시간에 의거하여, 유저가 아이콘(IC)을 탭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조작 인식부(103)는, 유저가 아이콘(IC)을 탭했다고 판정한 경우, 유저가 아이콘(IC)을 탭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 제어부(105)에 전송한다.
표시 제어부(105)는, 유저가 아이콘(IC)을 탭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조작 인식부(103)로부터 수신하면, 아이콘(IC)이 탭된 것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이벤트를 발행한다.
도 9는, 유저가 포인터(PO)를 사용해서 조작 대상 영역(OB)을 지시하고, 아이콘(IC)을 탭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의 예에서는, 윈도우(WI)의 최소화 버튼이 조작 대상 영역(OB1)이고, 윈도우(WI)의 최대화 버튼이 조작 대상 영역(OB2)이며, 윈도우(WI)의 닫기 버튼이 조작 대상 영역(OB3)이다.
윈도우(WI)가 최대화된 경우, 윈도우(WI)의 닫기 버튼인 조작 대상 영역(OB3)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D)의 우측 상방 모퉁이에 표시된다.
유저는, 조작 대상 영역(OB3)을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의 우측 상방 모퉁이 방향으로 아이콘(IC)을 드래그한다. 아이콘(IC)이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의 우측 상방 모퉁이에 접근할수록, 포인터(PO)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의 외부 프레임에 자동적으로 다가간다. 이 때문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저는, 손가락을 조작 대상 영역(OB3)의 위치까지 이동시키지 않아도, 포인터(PO)를 사용해서 조작 대상 영역(OB3)을 지시할 수 있다.
유저가, 포인터(PO)를 사용해서 조작 대상 영역(OB3)을 지시하면, "OB3-ON"이라는 이벤트 정보가 생성된다.
유저가, 포인터(PO)를 사용해서 조작 대상 영역(OB3)을 지시한 상태에서, 아이콘(IC)을 탭하면, "IC-탭"이라는 이벤트 정보가 생성된다.
표시 제어부(105)는, 저장부(104)에 저장되어 있는 처리 정보를 참조해서, "OB3-ON"과 "IC-탭"이라는 이벤트 정보의 조합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처리 실행 후, 윈도우(WI)는 닫힌다.
이하에서는, 실시형태 2의 입력 제어 장치(1)의 동작을, 도 10의 플로차트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또, 실시형태 2의 입력 제어 장치(1)는, 동영상 재생 기능 등 각종 기능을 갖지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실시형태 2의 입력 제어 장치(1)에 특징적인 동작을 주로 설명한다.
입력 제어 장치(1)는, 입력 제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기동되면, 도 10의 플로차트에 나타내는 처리를 개시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입력 제어 장치(1)는, 전원이 투입되면, 입력 제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는 것으로 한다.
입력부(102)가 유저의 접촉을 검지하면(스텝 S31: YES), 조작 인식부(103)는, 입력부(102)가 접촉을 검지한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 상의 물리적 위치를 취득하고, 저장부(104)에 저장되어 있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좌표 정보를 참조해서 물리적 위치를 좌표로 변환하여, 이 좌표를 접촉 좌표(CO)로서 취득함과 함께, 접촉 시간을 취득한다(스텝 S32). 조작 인식부(103)는, 접촉 좌표(CO) 및 접촉 시간을 표시 제어부(105)로 전송한다. 입력부(102)가 접촉을 검지하지 않은 경우는(스텝 S31: NO), 스텝 S31을 반복한다.
표시 제어부(105)는, 조작 인식부(103)로부터 수신한 접촉 좌표(CO)에 의거하여, 포인터 벡터(CP)의 방향이 접점 벡터(CC)의 방향과 일치하고, 접점 벡터(CC)의 크기(LC)에 포인터 벡터(CP)의 크기가 비례하는 포인터(PO)의 표시 위치를 산출한다(스텝 S33). 표시 제어부(105)는, 포인터(PO)와 아이콘(IC)의 화상 데이터를 저장부(104)로부터 판독하여, 표시부(101)로 하여금, 아이콘(IC)을 접촉 좌표(CO)에 표시하게 하고, 포인터(PO)를 스텝 S33에서 산출한 표시 위치에 표시하게 한다(스텝 S34).
표시 제어부(105)는, 포인터(PO)가 지시하고 있는 위치의 좌표인 지시 좌표가, 어느 하나의 조작 대상 영역(OB)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5).
지시 좌표가 임의의 조작 대상 영역(OB)에 들어간 경우(스텝 S35: YES, 스텝 S36: YES), 표시 제어부(105)는, 저장부(104)에 저장되어 있는, 조작 대상 영역(OB)마다의, 각 조작 대상 영역(OB)에서 발생한 이벤트와 이벤트 정보의 대응을 나타내는 이벤트 대응 정보를 참조해서, 지시 좌표가 당해 조작 대상 영역(OB)에 들어간 것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고(스텝 S37), 스텝 S40으로 이행한다.
지시 좌표가 임의의 조작 대상 영역(OB)으로부터 나온 경우(스텝 S35: NO, 스텝 S38: YES), 표시 제어부(105)는, 이벤트 대응 정보를 참조해서, 지시 좌표가 당해 조작 대상 영역(OB)으로부터 나온 것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고(스텝 S39), 스텝 S40으로 이행한다.
한편, 지시 좌표가 어느 조작 대상 영역(OB)에도 들어가 있지 않은 경우(스텝 S35: YES, 스텝 S36: NO) 및 지시 좌표가 조작 대상 영역(OB)으로부터 나와 있지 않은 경우(스텝 S35: NO, 스텝 S38: NO), 조작 인식부(103)는, 접촉 좌표(CO) 및 접촉 시간에 의거하여, 아이콘(IC)이 탭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40).
아이콘(IC)이 탭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40: NO), 스텝 S42로 이행한다.
한편, 아이콘(IC)이 탭된 경우에는(스텝 S40: YES), 조작 인식부(103)는, 유저가 아이콘(IC)을 탭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 제어부(105)로 전송한다.
표시 제어부(105)는, 유저가 아이콘(IC)을 탭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조작 인식부(103)로부터 수신하면, 아이콘(IC)이 탭된 것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를 생성한다(스텝 S41). 표시 제어부(105)는, 처리 정보를 참조해서, 스텝 S37, 스텝 S39 또는 스텝 S41에서 생성된 이벤트 정보에 처리가 대응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처리를 실행하고(스텝 S42), 스텝 S43으로 이행한다.
입력부(102)가 접촉을 검지하고 있는 동안에는(스텝 S43: NO), 스텝 S32~스텝 S43을 반복한다.
입력부(102)가 접촉을 검지하지 않게 되면(스텝 S43: YES), 입력 제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OFF로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스텝 S44)한다. 입력 제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OFF로 되어 있지 않으면(스텝 S44: NO), 스텝 S31~스텝 S44를 반복한다. 입력 제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OFF가 되면(스텝 S44: YES), 처리를 종료한다.
실시형태 2의 입력 제어 장치(1)에 의하면,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 상의 유저의 접촉 위치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의 외부 프레임에 가까워지면 질수록, 포인터(PO)가 자동적으로 외부 프레임에 접근한다. 이 때문에, 유저는, 외부 프레임 가까이, 특히 네모난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의 네 모퉁이 가까이에 표시된 조작 대상 영역(OB)을, 포인터(PO)를 사용해서 용이하게 지시할 수 있다.
또한, 마우스를 모의한 아이콘(IC)을 표시함으로써, 유저가 직관적으로 탭 등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아이콘(IC)을 접촉 좌표(CO)에 표시했지만, 접촉 좌표(CO)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아이콘(IC)을 표시해도 된다.
또한, 유저의 접촉이 검지되지 않은 경우(스텝 S31: NO), 소정의 위치에 아이콘(IC)을 표시해도 된다. 이 경우, 유저의 접촉이 검지되어(스텝 S31: YES), 접촉 좌표(CO)를 취득하면, 이 접촉 좌표에 아이콘(IC)을 표시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저가 아이콘(IC)을 탭했는지의 여부만을 판정했지만, 유저가 아이콘(IC)의 어느 영역을 탭했는지를 더 판정해도 된다. 이 경우, 아이콘(IC)의 영역마다, 각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와 이벤트 정보가 대응되며, 각 이벤트 정보에 처리가 대응된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1, 2에서는, 지향하는 방향이 일정한 화살표 형태의 포인터(PO)가 표시되었다.
이하에서는, 포인터(PO)의 표시 위치에 따라, 화살표 형태의 포인터(PO)가 지향하는 방향을 변화시키는, 제 3 실시형태의 입력 제어 장치(1)의 기능과 동작을 설명한다.
실시형태 3의 입력 제어 장치(1)는, 실시형태 2의 입력 제어 장치(1)와 동일한 하드웨어 구성, 기능 구성을 구비한다. 그러나, 표시 제어부(105)의 기능 및 동작은 제 2 실시형태의 입력 제어 장치(1)와는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이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표시 제어부(105)는, 입력 제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조작 인식부(103)로부터 수신한 접촉 좌표(CO)에 의거하여, 포인터 벡터(CP)의 방향이 접점 벡터(CC)의 방향과 일치하고, 접점 벡터(CC)의 크기(LC)에 포인터 벡터(CP)의 크기가 비례하는 위치에, 포인터(PO)를 표시한다.
표시 제어부(105)는, 또한, 도 11a~도 11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 형태의 포인터(PO)가 지향하는 방향과, 접점 벡터(CC)의 방향이 일치하도록 포인터(PO)를 표시한다.
실시형태 3의 입력 제어 장치(1)에 의하면,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 상의 유저의 접촉 위치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의 외부 프레임에 가까워지면 질수록, 포인터(PO)가 자동적으로 외부 프레임에 접근하며, 또한, 화살표 형태의 포인터(PO)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의 중심에서 방사하는 방향을 가리킨다. 이 때문에, 유저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의 외부 프레임 가까이, 특히 네모난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의 네 모퉁이 가까이에 표시된 조작 대상 영역(OB)을, 포인터(PO)를 사용해서 용이하게 지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포인터(PO)는, 화살표 형태의 포인터(PO)가 지향하는 방향이 접점 벡터(CC)의 방향과 완전히 일치하도록 표시되었다. 그러나, 포인터(PO)가 지향하는 방향과 접점 벡터(CC)의 방향이 거의 일치하면 되고, 포인터(PO)의 표시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를 복수 영역으로 구획하고, 각 영역에서 포인터(PO)가 지향하는 방향을,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의 중심에서 방사하는 소정의 방향으로 설정해도 된다.
또, 포인터(PO)의 형상은 화살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삼각형의 포인터(PO)를 표시해도 된다.
(실시형태 4)
실시형태 1~3에서는, 입력 제어 장치(1)가, 유저에 의한 접촉의 검지, 접촉 좌표(CO)나 접촉 시간의 취득, 포인터(PO)의 표시 위치 산출, 포인터(PO)나 아이콘(IC)의 표시, 지시 좌표가 조작 대상 영역(OB)에 포함되는지의 여부의 판정, 이벤트의 발행, 처리의 실행 등의 일련의 처리를 실행했다. 그러나, 전술한 처리의 일부를, 입력 제어 장치(1) 이외의 장치가 행해도 된다.
이하에서는, 입력 제어 장치(1)와 서버가 협동해서 전술한 일련의 처리를 실행하는, 실시형태 4의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3)에 대해서 설명한다.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3)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 제어 장치(1)와 서버(2)를 구비한다.
입력 제어 장치(1)는, 실시형태 1의 입력 제어 장치(1)와 동일한 하드웨어 구성을 구비하며, 통신부(도시 생략)를 더 구비한다. 통신부는,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망 종단(終端) 장치 또는 무선 통신 장치와, 시리얼 인터페이스 또는 LAN(Local Area Network)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통신부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2)에 접속한다.
입력 제어 장치(1)는, 기능적으로는, 실시형태 1의 입력 제어 장치(1)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화상 수신부(106) 및 위치 송신부(107)를 더 구비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105)의 기능 및 동작의 일부도, 실시형태 1의 입력 제어 장치(1)와는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이들의 차이점을 주로 설명한다.
화상 수신부(106)는, 서버(2)의 화상 송신부(203)로부터, 윈도우(WI), 조작 대상 영역(OB) 등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를 수신한다. 표시 제어부(105)는, 화상 수신부(106)가 수신한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윈도우(WI), 조작 대상 영역(OB) 등의 화상을, 표시부(101)에 표시시킨다.
표시 제어부(105)는, 입력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저장부(104)로부터 포인터(PO)의 화상 정보를 판독하여, 표시부(101)로 하여금, 조작 인식부(103)로부터 수신한 접촉 좌표(CO) 또는 접촉 좌표(CO)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포인터(PO)를 표시하게 한다.
입력 제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기동되면, 표시 제어부(105)는, 조작 인식부(103)로부터 수신한 접촉 좌표(CO)에 의거하여, 포인터(PO)를, 포인터 벡터(CP)의 방향이 접점 벡터(CC)의 방향과 일치하고, 접점 벡터(CC)의 크기(LC)에 포인터 벡터(CP)의 크기가 비례하도록 표시한다.
표시 제어부(105)는, 지시 좌표(포인터(PO)가 지시하는 위치의 좌표)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위치 송신부(107)로 전송한다. 위치 송신부(107)는, 표시 제어부(105)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를 서버(2)의 위치 수신부(204)로 송신한다.
서버(2)는, 실행부(201)와, 저장부(202)와, 화상 송신부(203)와, 위치 수신부(204)를 구비한다.
서버(2)의 실행부(201)는, 저장부(202)로부터 윈도우(WI), 조작 대상 영역(OB)을 포함하는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를 판독해서 화상 송신부(203)로 전송하여, 입력 제어 장치(1)의 화상 수신부(106)로 송신시킨다.
위치 수신부(204)는, 입력 제어 장치(1)의 위치 송신부(107)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실행부(201)로 전송한다. 실행부(201)는, 위치 수신부(204)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지시 좌표가 조작 대상 영역(OB)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실행부(201)는, 지시 좌표가 조작 대상 영역(OB)에 들어간 경우 및/또는 조작 대상 영역(OB)으로부터 나온 경우에는, 저장부(202)에 저장되어 있는, 조작 대상 영역(OB)마다의, 각 조작 대상 영역(OB)에서 발생한 이벤트와 이벤트 정보의 대응을 나타내는 이벤트 대응 정보를 참조해서, 당해 조작 대상 영역(OB)에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하는 이벤트 정보를 생성한다.
실행부(201)는, 저장부(202)에 저장되어 있는, 이벤트 정보와 처리의 대응을 나타내는 처리 정보를 참조해서, 생성된 이벤트 정보에 처리가 대응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처리를 실행한다.
실행부(201)는, 실행한 처리에 대응하는 처리 화면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를 저장부(202)로부터 판독해서 화상 송신부(203)로 전송하여, 입력 제어 장치(1)의 화상 수신부(106)로 송신시킨다.
입력 제어 장치(1)의 화상 수신부(106)가 서버(2)의 화상 송신부(203)로부터 처리 화면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를 수신하면, 표시 제어부(105)는, 이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처리 화면을 표시부(101)에 표시시킨다.
실시형태 4의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3)에 의하면, 지시 좌표가 조작 대상 영역(OB)에 포함되는지의 여부의 판정, 이벤트의 발행, 처리의 실행 등을 서버(2)가 행한다. 이 때문에, 입력 제어 장치(1)의 처리 부하가 작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 제어 장치(1)의 비용의 저감이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기지(旣知)의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는, 서버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경우, 서버의 디스플레이용 화면을 입력 제어 장치의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입력 제어 장치의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가 서버의 디스플레이보다 작은 경우, 화면이 축소 표시되어,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의 외부 프레임 가까이에 표시된 조작 대상 영역을 조작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실시형태 4의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3)에 의하면, 입력 제어 장치(1)가 구비하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 상의 유저의 접촉 위치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의 외부 프레임에 접근하면, 포인터(PO)가 자동적으로 외부 프레임 가까이에 표시된다. 이 때문에, 가령 화면이 축소 표시되었다고 해도,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D)의 외부 프레임 가까이에 표시된 조작 대상 영역(OB)을, 포인터(PO)를 사용해서 용이하게 지시할 수 있다.
실시형태 4에서는, 입력 제어 장치(1)가 서버(2)에 지시 좌표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송신하고, 서버(2)가, 지시 좌표가 조작 대상 영역(OB)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해서, 지시 좌표가 조작 대상 영역(OB)에 들어간 경우 및/또는 조작 대상 영역(OB)으로부터 나온 경우에는, 이벤트 대응 정보를 참조해서 당해 조작 대상 영역(OB)에서 발생한 이벤트와 대응하는 이벤트 정보를 생성한다.
그러나,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3)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입력 제어 장치(1)는, 지시 좌표가 조작 대상 영역(OB)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지시 좌표가 조작 대상 영역(OB)에 들어간 경우 및/또는 조작 대상 영역(OB)으로부터 나온 경우에는, 이벤트 대응 정보를 참조해서, 당해 조작 대상 영역(OB)에서 발생한 이벤트와 대응하는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서버(2)에 송신해도 된다. 이 경우, 서버(2)는, 처리 정보를 참조해서, 수신한 이벤트 정보에 처리가 대응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처리를 실행한다.
전술한 하드웨어 구성이나 플로차트는 일례이며, 임의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입력 제어 장치(1) 및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3)은, 전용 시스템에 의해서뿐만 아니라, 통상의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해서 실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입력 제어 장치(1) 및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3)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플렉시블 디스크, CD-ROM, DVD-ROM 등)에 저장해서 배포하여,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인스톨함으로써, 전술한 처리를 실행하는 입력 제어 장치(1) 및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3)을 구성해도 된다. 또한,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 상의 서버 장치가 갖는 저장 장치에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해 두고, 통상의 컴퓨터 시스템에 다운로드함으로써 입력 제어 장치(1) 및씬 클라이언트 시스템(3)을 구성해도 된다.
또한, 입력 제어 장치(1) 및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3)의 기능을, OS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분담, 또는 OS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협동에 의해 실현하는 경우 등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부분만을 기록 매체나 저장 장치에 저장해도 된다.
또한, 반송파에 컴퓨터 프로그램을 중첩하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배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통신 네트워크 상의 게시판(BBS: Bulletin Board System)에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게시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배포해도 된다. 그리고, 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동하여, OS의 제어하에서, 다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실행함으로써, 전술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광의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여러 실시형태 및 변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범위는, 실시형태가 아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 내 또는 그것과 동등한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서 실시되는 여러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 내인 것으로 간주된다.
상기 실시형태의 일부 또는 전부는, 이하의 부기와 같이 기재될 수도 있지만, 이하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부기 1)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와,
조작 대상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을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화상 표시 수단과,
상기 조작 대상 영역마다, 각 상기 조작 대상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와 이벤트 정보의 대응을 나타내는 이벤트 대응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과,
유저가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접촉한 위치인 접촉 좌표를 취득하는 조작 인식 수단과,
포인터를, 상기 접촉 좌표로부터 포인터를 향하는 포인터 벡터의 방향이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상의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접촉 좌표를 향하는 접점 벡터의 방향과 거의 일치하고, 상기 접점 벡터의 크기의 증가에 따라 상기 포인터 벡터의 크기가 증가하도록, 표시하는 포인터 표시 수단과,
상기 포인터가 지시하는 위치의 좌표인 지시 좌표가, 어느 하나의 상기 조작 대상 영역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지시 좌표가 임의의 조작 대상 영역에 들어간 경우 및/또는 임의의 조작 대상 영역으로부터 나온 경우, 상기 이벤트 대응 정보를 참조해서, 이 조작 대상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이벤트 정보 생성 수단을 포함하는, 입력 제어 장치.
(부기 2)
상기 조작 인식 수단은, 유저가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접촉하고 있던 시간인 접촉 시간을 더 취득하며,
상기 입력 제어 장치는, 상기 접촉 시간에 의거하여, 유저가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를 탭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정보 생성 수단은, 유저가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를 탭했다고 상기 판정 수단이 판정한 경우, 유저가 탭한 것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를 생성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입력 제어 장치.
(부기 3)
상기 접촉 좌표의 위치에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접촉 좌표의 변화에 맞춰, 상기 아이콘의 표시 위치를 변화시키는 아이콘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부기 1 또는 부기 2에 기재된 입력 제어 장치.
(부기 4)
상기 포인터 표시 수단은, 또한, 상기 포인터가 지향하는 방향이 상기 접점 벡터의 방향과 거의 일치하도록, 상기 포인터를 표시하는, 부기 1 내지 부기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입력 제어 장치.
(부기 5)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입력 제어 장치와, 상기 입력 제어 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서버를 구비하는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버는, 조작 대상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를 상기 입력 제어 장치에 송신하는 화상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제어 장치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화상 정보를 수신하는 화상 수신 수단과,
상기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조작 대상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을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화상 표시 수단과,
유저가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접촉한 위치인 접촉 좌표를 취득하는 조작 인식 수단과,
포인터를, 상기 접촉 좌표로부터 포인터를 향하는 포인터 벡터의 방향이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상의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접촉 좌표를 향하는 접점 벡터의 방향과 거의 일치하고, 상기 접점 벡터의 크기의 증가에 따라 상기 포인터 벡터의 크기가 증가하도록 표시하는 포인터 표시 수단과,
상기 포인터가 지시하는 위치의 좌표인 지시 좌표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위치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조작 대상 영역마다, 각 상기 조작 대상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와 이벤트 정보의 대응을 나타내는 이벤트 대응 정보와, 상기 이벤트 정보와 처리의 대응을 나타내는 처리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과,
상기 입력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수신 수단과,
상기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지시 좌표가 어느 하나의 상기 조작 대상 영역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지시 좌표가 임의의 조작 대상 영역에 들어간 경우 및/또는 임의의 조작 대상 영역으로부터 나온 경우, 상기 이벤트 대응 정보를 참조해서, 이 조작 대상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이벤트 정보 생성 수단과,
상기 처리 정보를 참조해서, 상기 이벤트 정보에 대응된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수단을 더 포함하는,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
(부기 6)
조작 대상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을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화상 표시 스텝과,
유저가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접촉한 위치인 접촉 좌표를 취득하는 조작 인식 스텝과,
포인터를, 상기 접촉 좌표로부터 포인터를 향하는 포인터 벡터의 방향이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상의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접촉 좌표를 향하는 접점 벡터의 방향과 거의 일치하고, 상기 접점 벡터의 크기의 증가에 따라 상기 포인터 벡터의 크기가 증가하도록 표시하는 포인터 표시 스텝과,
상기 포인터가 지시하는 위치의 좌표인 지시 좌표가 어느 하나의 상기 조작 대상 영역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지시 좌표가 임의의 조작 대상 영역에 들어간 경우 및/또는 임의의 조작 대상 영역으로부터 나온 경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조작 대상 영역마다의, 각 상기 조작 대상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와 이벤트 정보의 대응을 나타내는 이벤트 대응 정보를 참조해서, 이 조작 대상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이벤트 정보 생성 스텝을 포함하는, 입력 제어 방법.
(부기 7)
서버가, 조작 대상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를, 상기 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입력 제어 장치에 송신하는 화상 송신 스텝과,
상기 입력 제어 장치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화상 정보를 수신하는 화상 수신 스텝과,
상기 입력 제어 장치가, 상기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조작 대상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을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화상 표시 스텝과,
상기 입력 제어 장치가, 유저가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접촉한 위치를 나타내는 접촉 좌표를 취득하는 조작 인식 스텝과,
상기 입력 제어 장치가, 포인터를, 상기 접촉 좌표로부터 포인터를 향하는 포인터 벡터의 방향이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상의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접촉 좌표를 향하는 접점 벡터의 방향과 거의 일치하고, 상기 접점 벡터의 크기의 증가에 따라 상기 포인터 벡터의 크기가 증가하도록, 표시하는 포인터 표시 스텝과,
상기 입력 제어 장치가, 상기 포인터가 지시하는 위치의 좌표인 지시 좌표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위치 송신 스텝과,
상기 서버가, 상기 입력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수신 스텝과,
상기 서버가, 상기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지시 좌표가 어느 하나의 상기 조작 대상 영역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지시 좌표가 임의의 조작 대상 영역에 들어간 경우 및/또는 임의의 조작 대상 영역으로부터 나온 경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조작 대상 영역마다의, 각 상기 조작 대상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와 이벤트 정보의 대응을 나타내는 이벤트 대응 정보를 참조해서, 이 조작 대상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이벤트 정보 생성 스텝과,
상기 서버가,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이벤트 정보와 처리의 대응을 나타내는 처리 정보를 참조해서, 상기 이벤트 정보에 대응된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스텝을 포함하는, 입력 제어 방법.
(부기 8)
컴퓨터를,
조작 대상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을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화상 표시 수단,
상기 조작 대상 영역마다, 각 상기 조작 대상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와 이벤트 정보의 대응을 나타내는 이벤트 대응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유저가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접촉한 위치를 나타내는 접촉 좌표를 인식하는 조작 인식 수단,
포인터를, 상기 접촉 좌표로부터 포인터를 향하는 포인터 벡터의 방향이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상의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접촉 좌표를 향하는 접점 벡터의 방향과 거의 일치하고, 상기 접점 벡터의 크기의 증가에 따라 상기 포인터 벡터의 크기가 증가하도록, 표시하는 포인터 표시 수단,
상기 포인터가 지시하는 위치의 좌표인 지시 좌표가 어느 하나의 상기 조작 대상 영역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지시 좌표가 임의의 조작 대상 영역에 들어간 경우 및/또는 임의의 조작 대상 영역으로부터 나온 경우, 상기 이벤트 대응 정보를 참조해서, 이 조작 대상 영역에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이벤트 정보 생성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본 출원은, 2012년 8월 31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번호 제2012-192536호에 기초한다. 명세서, 특허청구범위, 도면을 포함하는 일본국 특허출원번호 제2012-192536호의 전체 내용은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1: 입력 제어 장치 2: 서버
3: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 10: 내부 버스
11: 제어부 12: 주 저장부
13: 외부 저장부 14: 표시부
15: 조작부 16: 타이머
101: 표시부 102: 입력부
103: 조작 인식부 104: 저장부
105: 표시 제어부 106: 화상 수신부
107: 위치 송신부 201: 실행부
202: 저장부 203: 화상 송신부
204: 위치 수신부 k: 비례 정수
TD: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WI: 윈도우
CC: 접점 벡터 CP: 포인터 벡터
IC: 아이콘 PO: 포인터
CO: 접촉 좌표 CE: 중심 좌표
LC: 접점 벡터의 크기 OB: 조작 대상 영역
OB1: 최소화 버튼 OB2: 최대화 버튼
OB3: 닫기 버튼

Claims (8)

  1.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조작 대상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을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화상 표시 수단;
    상기 조작 대상 영역마다, 각 상기 조작 대상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와 이벤트 정보의 대응을 나타내는 이벤트 대응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유저가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접촉한 위치인 접촉 좌표를 취득하는 조작 인식 수단;
    포인터를, 상기 접촉 좌표로부터 포인터를 향하는 포인터 벡터(pointer vector)의 방향이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상의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접촉 좌표를 향하는 접점 벡터(contact point vector)의 방향과 거의 일치하고, 상기 접점 벡터의 크기의 증가에 따라 상기 포인터 벡터의 크기가 증가하도록, 표시하는 포인터 표시 수단; 및
    상기 포인터가 지시하는 위치의 좌표인 지시 좌표가, 어느 하나의 상기 조작 대상 영역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지시 좌표가 임의의 조작 대상 영역에 들어간 경우 및/또는 임의의 조작 대상 영역으로부터 나온 경우, 상기 이벤트 대응 정보를 참조해서, 이 조작 대상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이벤트 정보 생성 수단을 포함하는, 입력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인식 수단은, 유저가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접촉하고 있던 시간인 접촉 시간을 더 취득하며,
    상기 입력 제어 장치는, 상기 접촉 시간에 의거하여, 유저가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를 탭(tap)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정보 생성 수단은, 유저가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를 탭했다고 상기 판정 수단이 판정한 경우, 유저가 탭한 것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를 생성 하는, 입력 제어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좌표의 위치에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접촉 좌표의 변화에 맞춰, 상기 아이콘의 표시 위치를 변화시키는 아이콘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입력 제어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표시 수단은, 또한, 상기 포인터가 지향하는 방향이 상기 접점 벡터의 방향과 거의 일치하도록, 상기 포인터를 표시하는, 입력 제어 장치.
  5.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입력 제어 장치와, 상기 입력 제어 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서버를 구비하는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버는, 조작 대상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를 상기 입력 제어 장치에 송신하는 화상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제어 장치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화상 정보를 수신하는 화상 수신 수단과,
    상기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조작 대상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을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화상 표시 수단과,
    유저가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접촉한 위치인 접촉 좌표를 취득하는 조작 인식 수단과,
    포인터를, 상기 접촉 좌표로부터 포인터를 향하는 포인터 벡터의 방향이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상의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접촉 좌표를 향하는 접점 벡터의 방향과 거의 일치하고, 상기 접점 벡터의 크기의 증가에 따라 상기 포인터 벡터의 크기가 증가하도록, 표시하는 포인터 표시 수단과,
    상기 포인터가 지시하는 위치의 좌표인 지시 좌표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위치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조작 대상 영역마다, 각 상기 조작 대상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와 이벤트 정보의 대응을 나타내는 이벤트 대응 정보와, 상기 이벤트 정보와 처리의 대응을 나타내는 처리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과,
    상기 입력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수신 수단과,
    상기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지시 좌표가 어느 하나의 상기 조작 대상 영역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지시 좌표가 임의의 조작 대상 영역에 들어간 경우 및/또는 임의의 조작 대상 영역으로부터 나온 경우, 상기 이벤트 대응 정보를 참조해서, 이 조작 대상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이벤트 정보 생성 수단과,
    상기 처리 정보를 참조해서, 상기 이벤트 정보에 대응된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수단을 더 포함하는,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
  6. 조작 대상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을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화상 표시 스텝;
    유저가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접촉한 위치인 접촉 좌표를 취득하는 조작 인식 스텝;
    포인터를, 상기 접촉 좌표로부터 포인터를 향하는 포인터 벡터의 방향이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상의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접촉 좌표를 향하는 접점 벡터의 방향과 거의 일치하고, 상기 접점 벡터의 크기의 증가에 따라 상기 포인터 벡터의 크기가 증가하도록, 표시하는 포인터 표시 스텝; 및
    상기 포인터가 지시하는 위치의 좌표인 지시 좌표가 어느 하나의 상기 조작 대상 영역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지시 좌표가 임의의 조작 대상 영역에 들어간 경우 및/또는 임의의 조작 대상 영역으로부터 나온 경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조작 대상 영역마다의, 각 상기 조작 대상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와 이벤트 정보의 대응을 나타내는 이벤트 대응 정보를 참조해서, 이 조작 대상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이벤트 정보 생성 스텝을 포함하는, 입력 제어 방법.
  7. 서버가, 조작 대상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를, 상기 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입력 제어 장치에 송신하는 화상 송신 스텝;
    상기 입력 제어 장치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화상 정보를 수신하는 화상 수신 스텝;
    상기 입력 제어 장치가, 상기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조작 대상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을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화상 표시 스텝;
    상기 입력 제어 장치가, 유저가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접촉한 위치를 나타내는 접촉 좌표를 취득하는 조작 인식 스텝;
    상기 입력 제어 장치가, 포인터를, 상기 접촉 좌표로부터 포인터를 향하는 포인터 벡터의 방향이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상의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접촉 좌표를 향하는 접점 벡터의 방향과 거의 일치하고, 상기 접점 벡터의 크기의 증가에 따라 상기 포인터 벡터의 크기가 증가하도록, 표시하는 포인터 표시 스텝;
    상기 입력 제어 장치가, 상기 포인터가 지시하는 위치의 좌표인 지시 좌표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위치 송신 스텝;
    상기 서버가, 상기 입력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수신 스텝;
    상기 서버가, 상기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지시 좌표가 어느 하나의 상기 조작 대상 영역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지시 좌표가 임의의 조작 대상 영역에 들어간 경우 및/또는 임의의 조작 대상 영역으로부터 나온 경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조작 대상 영역마다의, 각 상기 조작 대상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와 이벤트 정보의 대응을 나타내는 이벤트 대응 정보를 참조해서, 이 조작 대상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이벤트 정보 생성 스텝;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이벤트 정보와 처리의 대응을 나타내는 처리 정보를 참조해서, 상기 이벤트 정보에 대응된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스텝을 포함하는, 입력 제어 방법.
  8. 컴퓨터를,
    조작 대상 영역을 포함하는 화상을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화상 표시 수단;
    상기 조작 대상 영역마다, 각 상기 조작 대상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와 이벤트 정보의 대응을 나타내는 이벤트 대응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유저가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 접촉한 위치인 접촉 좌표를 인식하는 조작 인식 수단;
    포인터를, 상기 접촉 좌표로부터 포인터를 향하는 포인터 벡터의 방향이 상기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상의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접촉 좌표를 향하는 접점 벡터의 방향과 거의 일치하고, 상기 접점 벡터의 크기의 증가에 따라 상기 포인터 벡터의 크기가 증가하도록, 표시하는 포인터 표시 수단; 및
    상기 포인터가 지시하는 위치의 좌표인 지시 좌표가 어느 하나의 상기 조작 대상 영역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지시 좌표가 임의의 조작 대상 영역에 들어간 경우 및/또는 임의의 조작 대상 영역으로부터 나온 경우, 상기 이벤트 대응 정보를 참조해서, 이 조작 대상 영역에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이벤트 정보 생성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57004754A 2012-08-31 2013-08-28 입력 제어 장치,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 입력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7092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92536 2012-08-31
JP2012192536A JP5388246B1 (ja) 2012-08-31 2012-08-31 入力表示制御装置、シンクライアントシステム、入力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CT/JP2013/073009 WO2014034725A1 (ja) 2012-08-31 2013-08-28 入力制御装置、シンクライアントシステム、入力制御方法および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950A true KR20150040950A (ko) 2015-04-15
KR101709243B1 KR101709243B1 (ko) 2017-02-23

Family

ID=50036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4754A KR101709243B1 (ko) 2012-08-31 2013-08-28 입력 제어 장치,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 입력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665238B2 (ko)
EP (1) EP2891958B1 (ko)
JP (1) JP5388246B1 (ko)
KR (1) KR101709243B1 (ko)
CN (1) CN104718524B (ko)
CA (1) CA2883404A1 (ko)
ES (1) ES2668196T3 (ko)
WO (1) WO20140347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2258769A1 (en) * 2001-04-09 2002-10-21 America Online Incorporated Server-based browser system
WO2016105329A1 (en) * 2014-12-22 2016-06-30 Intel Corporation Multi-touch virtual mouse
CN106339115B (zh) * 2015-07-16 2019-11-1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终端触控识别方法及装置
JP6569546B2 (ja) * 2016-01-28 2019-09-04 富士通コネクテッド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CN106383705B (zh) * 2016-08-31 2020-05-08 华为技术有限公司 在应用瘦客户端中设置鼠标显示状态的方法及装置
USD852221S1 (en) * 2017-11-07 2019-06-25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9933251A (zh) * 2017-12-19 2019-06-25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改变目标元素状态的方法和装置
CN113218146A (zh) * 2020-01-21 2021-08-06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显示区域控制方法、冰箱以及存储介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841A (ja) 1997-07-07 1999-01-29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3186620A (ja) * 2001-12-14 2003-07-04 Ricoh Co Ltd ポインティング機能付き表示装置を備えた情報処理装置
US20050024326A1 (en) * 2003-04-25 2005-02-03 Betts-Lacroix Jonathan Blended transfer function for computer pointing devices
JP2010102474A (ja) 2008-10-23 2010-05-0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情報表示装置、携帯情報端末、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11028524A (ja) 2009-07-24 2011-02-10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ポインティング方法
KR20120046807A (ko) * 2010-10-27 2012-05-1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가상화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6735A (ja) * 2002-08-28 2004-03-18 Toshiba Corp 電子機器及び動作モード切替方法
JP2010257328A (ja) * 2009-04-27 2010-11-11 Alps Electric Co Ltd 入力処理装置
JP5418232B2 (ja) 2010-01-04 2014-02-19 ソニー株式会社 操作方向判定装置、遠隔操作システム、操作方向判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1141753A (ja) * 2010-01-07 2011-07-21 Sony Corp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5513957B2 (ja) * 2010-04-02 2014-06-0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認証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841A (ja) 1997-07-07 1999-01-29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3186620A (ja) * 2001-12-14 2003-07-04 Ricoh Co Ltd ポインティング機能付き表示装置を備えた情報処理装置
US20050024326A1 (en) * 2003-04-25 2005-02-03 Betts-Lacroix Jonathan Blended transfer function for computer pointing devices
JP2010102474A (ja) 2008-10-23 2010-05-0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情報表示装置、携帯情報端末、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11028524A (ja) 2009-07-24 2011-02-10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ポインティング方法
KR20120046807A (ko) * 2010-10-27 2012-05-1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가상화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91958A1 (en) 2015-07-08
CN104718524B (zh) 2018-06-22
EP2891958A4 (en) 2016-01-27
JP2014048976A (ja) 2014-03-17
WO2014034725A1 (ja) 2014-03-06
US20150324085A1 (en) 2015-11-12
CN104718524A (zh) 2015-06-17
US9665238B2 (en) 2017-05-30
KR101709243B1 (ko) 2017-02-23
ES2668196T3 (es) 2018-05-17
EP2891958B1 (en) 2018-02-28
CA2883404A1 (en) 2014-03-06
JP5388246B1 (ja) 201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243B1 (ko) 입력 제어 장치,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 입력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US8866773B2 (en) Remote control apparatus, remote control system, remote control method, and program
AU2013276998B2 (en) Mouse function provision method and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101974852B1 (ko) 터치스크린을 가진 단말에서 오브젝트 이동 방법 및 장치
US2011029874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120229409A1 (en) Contact operation determination apparatus, contact opera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US20140059428A1 (en) Portable device and guid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thereof
EP2770419B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virtual keypad
EP2746924B1 (en) Touch input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03809903B (zh) 用于控制虚拟屏幕的方法和装置
US20140285461A1 (en) Input Mode Based on Location of Hand Gesture
KR101686495B1 (ko) 표시 제어 장치,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 표시 제어 방법 및 기록매체
JP2018049432A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システム及び表示制御方法
CN102799373B (zh) 电子设备、生成输入区域的方法和终端设备
US20160004379A1 (en) Manipulation input devic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method for control of manipulation input device, and recording medium
US20140152586A1 (en) Electronic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0691293B2 (en) Display device and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with display control program stored thereon
KR20140067861A (ko)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객체 스크롤 방법 및 장치
US20140218313A1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40145960A1 (en) Electronic apparatus, display processing program and display processing method
KR20160048411A (ko)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961786B1 (ko)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단말을 이용한 마우스 기능의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50054795A1 (en) Terminal device
KR102125100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2096861B1 (ko) 통합 터치 시스템 및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