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0248A - Goods take-out port structure for vending machine - Google Patents

Goods take-out port structure for vend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0248A
KR20150040248A KR20147025177A KR20147025177A KR20150040248A KR 20150040248 A KR20150040248 A KR 20150040248A KR 20147025177 A KR20147025177 A KR 20147025177A KR 20147025177 A KR20147025177 A KR 20147025177A KR 20150040248 A KR20150040248 A KR 20150040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product
goods
ven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251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24822B1 (en
Inventor
마사히로 요시노
미쯔히로 사까
유우끼 오오노
다쯔오 무라야마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40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02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8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of helical or spiral form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6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ectilinearly movab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26Endless ban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07F9/105Heating or cooling means,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conditioning of articles and their stor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체 캐비넷(1)의 폐색 부재(51)에 형성된 상품 취출구(52)와, 상품 취출구(52)를 개폐하기 위한 상품 취출 도어(60)를 구비한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에 있어서, 상품 취출 도어(60)의 하단 테두리부가 상품 취출구(52)의 양측 테두리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변위되는 형태로 상품 취출 도어(60)를 개폐 이동시키는 도어 개폐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이 도어 개폐 수단은, 상품 취출 도어(60)의 상단 테두리부가 폐색 부재(51)로부터 점차 이격되는 형태로 상품 취출 도어(60)를 개방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Out door (52) formed in the closing member (51) of the main body cabinet (1) and a product takeout door (6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roduct takeout opening (52) And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rticle take-out door 60 in such a manner that the bottom edge of the article take-out door 60 is displac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both side edges of the article take-out port 52. It is preferable that the door opening / closing means open the article take-out door 60 in such a manner that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commodity takeout door 60 is gradually spaced from the closing member 51.

Description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GOODS TAKE-OUT PORT STRUCTURE FOR VENDING MACHINE}[0001] The invention relates to a product dispatch structure for a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상품의 판매를 행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ods dispensing port structure of an automatic vending machine for selling a product.

종래, 상품의 판매를 행하는 자동 판매기에는, 상품 수용고의 상품 랙에 수납된 상품을 반송 트레이에 조출(繰出)한 후, 반송 트레이에 의해 반송하여 소정의 상품 취출 영역으로 불출(拂出)하도록 한 것이 있다. 상품 취출 영역은, 상품 취출구를 통해 상품 수용고의 외부에 연통된 공간이며, 이용자가 상품 취출구로부터 손을 넣으면, 구입한 상품의 취출이 가능하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in a vending machine for selling a product, a product stored in a product rack of a product receptacle is delivered to a delivery tray, and then conveyed by a delivery tray to be dispensed to a predetermined product takeout area There is one thing. The commodity taking-out area is a space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of the commodity receiving hall through the commodity taking-out port, and when the user puts his hand from the commodity taking-out port, the purchased commodity can be taken out.

통상, 이러한 종류의 자동 판매기에서는, 전방면을 구성하는 도어체가 글래스 등의 투명한 면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 상품 수용고의 상품 랙에 수납된 상품을 외부로부터 시인(視認)하여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상품 랙으로부터 조출된 구입 상품이 반송 트레이에 의해 상품 취출 영역까지 반송되는 상태를 관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품 수용고의 내부가 시인 가능한 자동 판매기에 의하면, 이용자의 구매 의욕을 높일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Generally, in this type of vending machine, the door constituting the front face is constituted by a transparent face plate such as a glass, so that it is possible to visually check the commodity stored in the commodity rack of the commodity receiving hall from the outside and select Further, it is possible to observe a state in which the purchased product delivered from the merchandise rack is transported to the goods takeout area by the transport tray. According to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in which the inside of the product receptacle can be visually recognized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s desire to purchase can be enhanced.

그리고, 이와 같은 자동 판매기에서는, 상품 취출구는 상품 취출 도어에 의해 개폐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상품 취출 도어는, 상단부가 축지지되어 하단부가 전후 방향으로 요동함으로써 개폐 이동하는 것이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In such a vending machine, the product dispensing opening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product taking-out door, and the product taking-out door is opened and closed by swinging the upper end portio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hile the upper end portion is pivotally supported (for example, Reference).

일본 특허 제3414904호 공보Japanese Patent No. 3414904

그런데, 최근에 있어서는, 자동 판매기에서 판매되는 상품도 다양화되어 있어, 이전에는 판매가 곤란했던 도시락 등과 같이 상품 자세를 바꾸어 버리면 상품 내용물이 흐트러져 버리는 상품도 판매되고 있다.In recent years, however, products sold in vending machines have also been diversified, and products such as lunch boxes or the like, which were previously difficult to sell, are sold even if the contents of the products are changed by changing the product posture.

상술한 바와 같은 자동 판매기에서는, 반송 트레이로부터 상품 취출 영역으로 상품을 불출하도록 하고, 또한 상품 취출 도어는 상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요동함으로써 상품 취출구를 개폐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이용자가 상품 취출 도어를 개방 이동시켜 상품 취출구를 개방시킨 후에 상품 취출 영역으로부터 상품을 취출할 때에 상품 자세를 변경해야만 하고, 결과적으로 상품 내용물이 흐트러져 버릴 우려가 있었다.In the above-described vending machine, since the product is dispensed from the delivery tray to the product takeout area and the product takeout door swings back and forth about the upper end portion to open and close the product takeout opening, The product posture must be changed when the product is taken out from the product taking-out area after opening the product taking-out port by opening the product taking-out port, resulting in the product contents being disturbed.

본 발명은 상기 실정에 감안하여, 상품 취출구가 개방된 경우에 상품 자세를 변경시키지 않고 상품을 취출시킬 수 있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view of the abov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rchandise outlet structure of an automatic vending machine capable of taking out a merchandise without changing the merchandise attitude when the merchandise dispensing outlet is open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는, 자동 판매기 본체의 접객면(接客面)에 형성된 상품 취출구와, 상기 상품 취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상품 취출 도어를 구비한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품 취출 도어의 하단 테두리부가 상기 상품 취출구의 양측 테두리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변위되는 형태로 그 상품 취출 도어를 개폐 이동시키는 도어 개폐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roduct dispensing opening structure of an automatic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product dispensing opening formed in a customer surface of a dispenser main body of a vending machine body; and a vending machine having a product takeout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roduct dispensing opening And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roduct take-out door in such a manner that the lower edge of the product take-out door is displac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both side edges of the product take-out por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수단은, 상기 상품 취출 도어의 상단 테두리부가 상기 접객면으로부터 점차 이격되는 형태로 그 상품 취출 도어를 개방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structure of the article dispensing opening of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the door opening / closing means moves the article taking-out door in such a manner that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article taking-out door is gradually spaced from the receiving surface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자동 판매기 본체는,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단 설치되고, 또한 상품을 수납하는 상품 랙과, 상기 상품 랙의 전방 영역에 설치된 반송(搬送) 통로를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또한 어느 한쪽의 상품 랙으로부터 불출된 상품을 수용하여 반송하는 반송 트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 개폐 수단은, 상기 상품 취출 도어를 개방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상품 취출구를 통하여 상기 반송 트레이로부터 상품이 취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rchandise outlet structure for an automatic vending machine, wherein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main body comprises: a merchandise rack which is provided at plural stage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accommodates merchandise; And a conveyance tray which is arranged to be movabl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accommodates and conveys a product dispensed from one of the merchandise racks, wherein the door opening / And allows the article to be taken out from the carrier tray through the outle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수단은, 개방 이동시킨 상기 상품 취출 도어에 의해 상기 반송 통로를 폐색(閉塞)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structure of the article dispensing opening of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the door opening / closing means closes (closes) the conveying passage by the article takeout door that has been open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수단은, 상기 상품 취출 도어의 폐쇄 이동의 속도를 규제하는 댐퍼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structure of the goods dispensing opening of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the door opening / closing means is provided with a damper member for regulating the closing movement speed of the goods taking-out doo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품 취출 도어보다도 상방 영역에 있어서 하단부가 요동 가능하게 되는 형태로 상단부가 상기 자동 판매기 본체에 축지지되고, 또한 상기 상품 취출 도어가 상기 상품 취출구를 폐쇄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단부가 그 상품 취출 도어의 이면에 접촉하는 한편, 상기 상품 취출 도어가 개방 이동하는 경우에는, 그 상품 취출 도어의 개방 이동에 따라 상기 자동 판매기 본체의 내측을 향해 요동하는 방도판(防盜板)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structure of the goods dispensing opening of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the upper end portion is pivotally supported by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main body in such a manner that the lower end portion is swingable in a region above the goods taking-out door, When the article take-out port is closed, the lower end portio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goods take-out door, and when the goods take-out door moves to open, And a protection plate for protecting the display panel.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수단은, 상기 상품 취출 도어를 개방 이동시키는 경우에, 그 상품 취출 도어와 상기 상품 취출구의 양측 테두리부와의 사이의 개구 면적을 저감시키는 방도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 the structure of the article dispensing opening of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the door opening / closing means, when the goods taking-out door is moved to open, the opening area between the article take-out door and both side edges of the article take- And a damper member for reducing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품 취출 도어는, 단열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structure of the article dispensing opening of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the article taking-out door has a heat insulating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품 취출 도어는, 상기 자동 판매기 본체의 내부를 시인시키기 위한 투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structure of the article dispensing opening of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the article taking-out door has a transparent portion for visually inspecting the inside of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main bod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품 취출 도어는, 상기 상품 취출구를 폐쇄할 때에 그 상품 취출구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는 팽출부(膨出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structure of the article dispensing opening of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the article taking-out door has a swelling portion (swelling port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article dispensing opening when closing the article dispensing opening.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품 취출 도어는, 상기 팽출부의 하부에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merchandise outlet structure of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the merchandise taking-out door is characterized in that a handle portion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ulge por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개폐 수단이, 상품 취출 도어의 하단 테두리부가 상품 취출구의 양측 테두리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변위되는 형태로 상품 취출 도어를 개폐 이동시키므로, 상품을 상품 취출 도어의 하단 테두리부에 접촉시키지 않도록 상품 자세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품 취출구가 개방된 경우에 상품 자세를 변경시키지 않고 상품을 취출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moves the article take-out door in the form of being displac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both side edges of the article take-out port with the lower end edge of the article take-out door, There is no need to change the product posture so as not to let the product posture change. Therefore, when the article dispensing opening is opened, the article can be taken out without changing the article postur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상품 취출구 구조가 적용된 자동 판매기의 내부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상품 랙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구획판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상품 랙으로부터 구획판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상품 랙으로부터 구획판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구획판을 랙 기체에 설치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7은 모터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모터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모터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케이스를 랙 배판에 설치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11은 스파이럴과 모터의 연결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폐색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한 폐색 부재에 있어서의 상품 취출구 근방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한 상품 취출 도어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에 도시한 폐색 부재에 있어서의 상품 취출구 근방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상태의 상품 취출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에 도시한 폐색 부재에 있어서의 상품 취출구 근방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에 도시한 폐색 부재에 있어서의 상품 취출구 근방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에 도시한 폐색 부재에 있어서의 상품 취출구 근방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vending machine to which a product dispensing po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modity rack shown in Fig. 1.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partition plate shown in Fig.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rtition plate is removed from the commodity rack shown in Fig. 2;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rtition plate is removed from the commodity rack shown in Fig. 2;
Fig. 6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rtition plate is mounted on a rack base.
7 is a front view showing a case for housing the motor.
8 is a side view showing a case housing the motor.
9 is a plan view showing a case housing the motor.
10 is a sectional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se is mounted on the rack back plate.
11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spiral and the motor.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losure member shown in Fig.
Fig. 13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losing member shown in Fig. 1 in the vicinity of the article dispensing opening. Fig.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goods takeout door shown in Fig. 12; Fig.
Fig. 15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losing member shown in Fig. 1 in the vicinity of the article dispensing opening. Fig.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oods dispensing port in the state shown in Fig. 15; Fig.
Fig. 17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losing member shown in Fig. 1 in the vicinity of the product dispensing opening. Fig.
Fig. 18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losing member shown in Fig. 1 in the vicinity of the article dispensing opening. Fig.
Fig. 19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losing member shown in Fig. 1 in the vicinity of the article dispensing opening. Fig.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product dispensing opening structure of a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상품 취출구 구조가 적용된 자동 판매기의 내부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다. 여기서 예시하는 자동 판매기는, 본체 캐비넷(1)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1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vending machine to which a product dispensing po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vending machine exemplified here includes the main body cabinet 1.

본체 캐비넷(1)은 전방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자동 판매기 본체이며, 그 내부에 단열 구조의 상품 수용고(2)가 배치되어 있다. 상품 수용고(2)에는, 상품 랙(상품 수납 장치)(10)이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단 설치되어 있다. 이들 상품 랙(10)은 각각 상품 수용고(2)의 양측에 세워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랙 지지 측판 사이에 가설되어 있고, 상품을 수납하는 것이다.The main body cabinet 1 i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shaped automatic vending machine body whose front face is opened, and a goods receptacle 2 of a heat insulating structure is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cabinet 1. In the merchandise container 2, a plurality of merchandise racks (merchandise storehouses) 10 are provid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Each of the commodity racks 10 is suspended between rack-supporting side plates (not shown)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mmodity-accommodating tank 2, and houses commodities.

또한, 상품 수용고(2)에는 냉각 수단으로서의 증발기(3)가 설치되어 있다. 증발기(3)는 기계실(4)에 배치된 압축기(5)나 응축기(6) 등과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고 있고, 자신의 도시하지 않은 냉매 통로를 통과하는 냉매와, 자신의 주위를 통과하는 상품 수용고(2)의 내부의 공기를 열교환시켜 그 공기를 냉각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기계실(4)은 본체 캐비넷(1)의 내부에 있어서 상품 수용고(2)의 하방측에 구획 형성된 실이다.An evaporator 3 as a cooling means is provided in the merchandise container 2. The evaporator 3 constitutes a refrigeration cycle for circulating the refrigerant between the compressor 5 and the condenser 6 disposed in the machine room 4 and is connected to a refrigerant passing through a refrigerant passage Exchanges the air inside the passing article receiving chamber 2 and cools the air. Here, the machine room 4 is a compartment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erchandise container 2 in the body cabinet 1. [

증발기(3)의 주위에서 냉각된 공기는, 상품 수용고 내 송풍 팬(7)이 구동함으로써, 상품 수용고(2)의 배면에 설치된 배면 덕트(8)의 흡입구(8a)로부터 통풍로(9)로 흡입되고, 이 통풍로(9)를 통과한 후에 분출구(8b)로부터 분출됨으로써, 상품 랙(10)에 수납된 상품을 냉각하게 된다.The air cooled around the evaporator 3 is guided from the suction port 8a of the rear duct 8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product receiving container 2 to the air passage 9 And blows out from the jet port 8b after passing through the ventilation path 9, thereby cooling the product stored in the commodity rack 10.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상품 랙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일부의 구성 요소를 생략하고 있다. 여기서 예시하는 상품 랙(10)은 랙 기체(10a)와, 구획판(15)과, 모터(21)와, 스파이럴(29)(도 1 참조)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erchandise rack shown in Fig. 1, and a part of components are omitted. The merchandise rack 10 exemplified here is constituted by a rack base 10a, a partition plate 15, a motor 21 and a spiral 29 (see Fig. 1).

랙 기체(10a)는 바닥판(11)과 배판(12)을 갖고 구성되어 있다. 바닥판(11)은, 예를 들어 강판 등에 의해 형성된 직사각 형상의 판 형상 부재이며, 그 좌우 양단부를 상방을 향해 굴곡시킴으로써 측판(11a)을 형성하고 있다.The rack base 10a has a bottom plate 11 and a back plate 12. As shown in Fig. The bottom plate 11 is a rectangular plate-like member formed of, for example, a steel plate, and the side plates 11a are formed by bending both left and right ends thereof upward.

배판(12)은 지지 부재(13)에 지지됨으로써 바닥판(11)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배판(12)은 바닥판(11)의 후단부에 접하여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상연부(上延部:12a)와, 이 제1 상연부(12a)의 연장 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1 후연부(後延部:12b)와, 이 제1 후연부(12b)의 연장 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상연부(12c)와, 이 제2 상연부(12c)의 연장 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2 후연부(12d)를 갖고 있다.The back plate (12) is supported by the supporting member (13), and is arranged so as to extend up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bottom plate (11). The back plate 12 includes a first upper portion 12a extending upward in contact with the rear end of the bottom plate 11 and a second upper portion 12b extending from the extending end of the first upper portion 12a toward the rear A second upper edge portion 12c extending upward from the extending end of the first rear edge portion 12b and a second upper edge portion 12c extending from the extension of the second upper edge portion 12c And a second rear edge 12d extending rearward from the end.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구획판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판(15)은, 예를 들어 강판 등을 가공하여 형성된 것으로, 그 전후 길이는, 랙 기체(10a)의 전후 길이보다도 약간 짧은 것이다. 이와 같은 구획판(15)은 제1 걸림 갈고리(15a)와, 제2 걸림 갈고리(15b)와, 제3 걸림 갈고리(15c)가 형성되어 있다.3 is a side view showing the partition plate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3, the partition plate 15 is formed by machining a steel plate, for example, and its longitudinal length is slightly shorter than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rack base 10a. The partition plate 15 is formed with a first locking claw 15a, a second locking claw 15b and a third locking claw 15c.

제1 걸림 갈고리(15a)는 구획판(15)의 전단부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된 후에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훅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The first latching claw 15a is shaped like a hook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partition plate 15 and then extending forward.

제2 걸림 갈고리(15b)는 복수(도시한 예에서는 4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이 제1 걸림 갈고리(15a)보다도 후방측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설편(舌片)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A plurality of (four in the illustrated example) second latching claws 15b are formed and each has a shape of a tongue piec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latch claw 15a .

제3 걸림 갈고리(15c)는 구획판(15)의 후단부면의 상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된 후에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훅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The third latching claw 15c extends rear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end face of the partition plate 15 and then extends downwardly in the form of a hook.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2에 도시한 상품 랙(10)으로부터 구획판(15)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4는 평면도이며, 도 5는 정면도이다. 이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랙 기체(10a)를 구성하는 바닥판(11)에는, 구획판(15)의 제1 걸림 갈고리(15a)의 진입을 허용하는 슬릿 형상의 복수의 제1 걸림 구멍(16a)이 좌우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제1 걸림 구멍(16a)의 후방에는, 구획판(15)의 제2 걸림 갈고리(15b)의 진입을 허용하는 슬릿 형상의 복수의 제2 걸림 구멍(16b)이 좌우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다. 또한, 랙 기체(10a)를 구성하는 배판(12)에 있어서의 제1 상연부(12a)로부터 제1 후연부(12b)에는, 구획판(15)의 제3 걸림 갈고리(15c)의 진입을 허용하는 슬릿 형상의 복수의 제3 걸림 구멍(16c)이 좌우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다.4 and 5 show a state in which the partition plate 15 is removed from the merchandise rack 10 shown in Fig. 2. Fig. 4 is a plan view and Fig. 5 is a front view. 4 and 5, the bottom plate 11 constituting the rack base 10a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lit-shaped openings 15a for allowing the first latching claws 15a of the partition plate 15 to enter, A first latching hole 16a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 slit 15b for allowing the second latching claw 15b of the partition plate 15 to enter the rear of the first latching hole 16a Shaped second latching holes 16b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eft-right direction. The entrance of the third locking claw 15c of the partition plate 15 into the first rear edge 12b of the back plate 12 constituting the rack base 10a A plurality of slit-shaped third engagement holes 16c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eft-right direction.

그리고, 구획판(15)의 제1 걸림 갈고리(15a)를 제1 걸림 구멍(16a)에 진입시킨 후에 구획판(15)을 전방을 향해 변위시키고, 그 상태에서 제2 걸림 갈고리(15b)를 제2 걸림 구멍(16b)에 진입시키고, 또한 제3 걸림 갈고리(15c)를 제3 걸림 구멍(16c)에 진입시킴으로써,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판(15)을 바닥판(11)에 세워 설치시킬 수 있다.After the first engaging claw 15a of the partition plate 15 has entered the first engaging hole 16a, the partition plate 15 is displaced forward and the second engaging claw 15b The partition plate 15 is placed on the bottom plate 11 as shown in Fig. 6 by entering the second latching hole 16b and the third latching claw 15c into the third latching hole 16c It can be installed upright.

이와 같이 하여 바닥판(11)에 복수의 구획판(15)을 세워 설치시킴으로써, 구획판(15) 사이에 있어서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품 수납 통로(20a)를 구비하는 컬럼(20)이 형성된다. 즉, 상품 랙(10)은 복수의 컬럼(20)이 좌우로 병설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By arranging a plurality of partition plates 15 on the bottom plate 11 in this way, the column 20 having the product receiving passages 20a extendi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between the partition plates 15 is formed do. That is, the commodity rack 10 is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columns 20 juxtaposed right and left.

이 바닥판(11)에는, 상품 수납 통로(20a)[컬럼(20)]에 대응하는 부분에 오목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바닥판(11)과 함께 랙 기체(10a)를 구성하는 배판(12)에는, 상품 수납 통로(20a)에 대응하는 부분에 원 형상의 관통 구멍(1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판(12)에는, 관통 구멍(17)의 양측 영역에 상하 방향이 길이 방향으로 되는 슬릿 형상의 빠짐 방지 구멍(18a)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관통 구멍(17)의 상방 영역에 좌우 방향이 길이 방향으로 되는 직사각 형상의 걸림 구멍(18b)이 형성되어 있다.The bottom plate 11 is provided with a concave portion 11b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mmodity receiving passage 20a (column 20). A circular through hole 17 is formed in the back plate 12 constituting the rack base 10a together with the bottom plate 11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receiving passage 20a. The back plate 12 is provided with slit-shaped escape prevention holes 18a in which the vertical direction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both side regions of the through holes 17, And a locking hole 18b having a rectangular shape whose direction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도 7∼도 9는 각각 모터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7은 정면도, 도 8은 측면도, 도 9는 평면도이다. 이들 도 7∼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22)는 내부에 모터(21)를 수납하는 것이며, 그 중앙부 하부에 전방면(22a)으로부터 후방면(22b)으로 삽입 관통하는 삽입 관통 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 관통 구멍(23)은 배판(12)에 형성된 관통 구멍(17)보다도 직경이 작은 것이다. 이러한 삽입 관통 구멍(23)으로부터 모터(21)의 구동을 전달하기 위한 끼워 맞춤 오목부(24a)가 내면에 형성된 원통 형상의 전달부(24)가 자신의 중심축이 삽입 관통 구멍(23)의 중심축에 일치하는 상태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모터(21)는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이며, 전달부(24)는 케이스(22)의 전방면(22a)을 정면에 배치하여 정면에서 본 경우에, 자신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한다.Figs. 7 to 9 each show a case for housing the motor. Fig. 7 is a front view, Fig. 8 is a side view, and Fig. 9 is a plan view. As shown in Figs. 7 to 9, the case 22 accommodates the motor 21 therein. Below the central portion of the case 22, an insertion through hole (not shown) is formed through the front surface 22a to the rear surface 22b. (23) are formed. The insertion through hole 23 is smaller in diameter than the through hole 17 formed in the back plate 12. A cylindrical transmitting portion 24 having a fitting concave portion 24a for transmitting the drive of the motor 21 from the insertion through hole 23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transmitting portion 24, And is exposed in a state of coinciding with the central axis. When the front surface 22a of the case 22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and viewed from the front, the motor 21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rotatable in one direction, It is assumed that it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for example.

이와 같은 케이스(22)에는, 제1 빠짐 방지편(25a), 제2 빠짐 방지편(25b), 제1 걸림 갈고리(26a), 제2 걸림 갈고리(26b)가 형성되어 있다.In this case 22, a first slip prevention piece 25a, a second slip prevention piece 25b, a first engagement claw 26a, and a second engagement claw 26b are formed.

제1 빠짐 방지편(25a)은 케이스(22)의 양측면의 하부에 있어서의 전방면(22a)의 근방에 있어서 형성되어 있다. 제1 빠짐 방지편(25a)은 케이스(2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 즉 전방을 향해 연장된 후에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훅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The first falling-out preventing piece 25a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front surface 22a at the lower portion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case 22. The first escape preventing member 25a has a hook shape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ase 22, that is, extending forward and then downward.

제2 빠짐 방지편(25b)은 케이스(22)의 양측면의 하부에 있어서의 후방면(22b)의 근방에 있어서 형성되어 있다. 제2 빠짐 방지편(25b)은 케이스(2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 즉 후방을 향해 연장된 후에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훅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The second falling-out preventing piece 25b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rear surface 22b at the lower portion of both sides of the case 22. The second escape preventing piece 25b has a hook shape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ase 22, that is, extending backward and then downward.

제1 걸림 갈고리(26a)는 케이스(22)의 상면에 있어서 케이스(2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 즉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걸림 갈고리(26a)는 제1 빠짐 방지편(25a)의 상방에 있어서 케이스(2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latching claw 26a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22 so as to extend away from the case 22, that is, toward the front. That is, the first locking claw 26a is formed so as to protrud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ase 22 above the first locking piece 25a.

제2 걸림 갈고리(26b)는 케이스(22)의 상면에 있어서 케이스(2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 즉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2 걸림 갈고리(26b)는 제2 빠짐 방지편(25b)의 상방에 있어서 케이스(2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locking claw 26b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22 so as to extend away from the case 22, that is, toward the rear. That is, the second hooking claw 26b is formed so as to protrud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ase 22 above the second hooking preventing piece 25b.

이러한 케이스(22)는 제1 빠짐 방지편(25a)이 배판(12)의 빠짐 방지 구멍(18a)에 후방으로부터 진입함과 함께, 제1 걸림 갈고리(26a)가 배판(12)의 걸림 구멍(18b)에 탄성 변형되면서 후방으로부터 진입하여 그 후에 탄성 복원력에 의해 그 단부가 배판(12)에 걸림으로써,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판(12)의 후방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 삽입 관통 구멍(23) 및 전달부(24)는 각각의 중심축이 관통 구멍(17)의 중심축에 일치한 상태로 관통 구멍(17)을 통하여 노출되어 있다. 이 경우, 케이스(22)의 전방면(22a)이 배판(12)이 설치되는 설치면으로 되고, 이러한 전방면(22a)이 정면에 배치되는 점에서, 정면에서 본 경우에는 전달부(24)는 자신의 중심축 주위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The first escape preventing piece 25a of the case 22 enters the escape preventing hole 18a of the back plate 12 from the rear and the first escape claw 26a is engaged with the escape hole of the back plate 12 18b of the back plate 12 as shown in Fig. 10 by being elastically deformed from the backward direction and then elastically restoring the end portions thereof to the back plate 12,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insertion through hole 23 and the transmission portion 24 are exposed through the through hole 17 with their center axes aligned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through hole 17. In this case, the front surface 22a of the case 22 serves as a mounting surface on which the back plate 12 is provided.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front surface 22a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Is rotated clockwise about its own central axis.

한편, 케이스(22)는 제2 빠짐 방지편(25b)이 배판(12)의 빠짐 방지 구멍(18a)에 후방으로부터 진입함과 함께, 제2 걸림 갈고리(26b)가 배판(12)의 걸림 구멍(18b)에 탄성 변형되면서 후방으로부터 진입하여 그 후에 탄성 복원력에 의해 그 단부가 배판(12)에 걸림으로써, 배판(12)의 후방면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삽입 관통 구멍(23) 및 전달부(24)는 각각의 중심축이 관통 구멍(17)의 중심축에 일치한 상태로 관통 구멍(17)을 통하여 노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케이스(22)의 후방면(22b)이 배판(12)이 설치되는 설치면으로 되고, 이러한 후방면(22b)이 정면에 배치되는 점에서, 정면에서 본 경우에는 전달부(24)는 자신의 중심축 주위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22, the second escape preventing piece 25b enters the escape preventing hole 18a of the back plate 12 from behind, and the second securing claw 26b comes into engagement with the retaining hole 18a of the back plate 12, It may be provided on the rear face side of the back plate 12 by elastically deforming the elastic member 18b from the rear and then engaging the end portion thereof with the back plate 12 by an elastic restoring force. At this time, the insertion through hole 23 and the transmission portion 24 are exposed through the through hole 17 with their center axes aligned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through hole 17. In this case, the rear surface 22b of the case 22 serves as a mounting surface on which the back plate 12 is provided.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rear surface 22b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round its central axis.

이와 같이 케이스(22)는 전방면(22a) 및 후방면(22b) 중 어느 한쪽을 설치면으로서 택일적으로 선택하여 배판(12)에 설치되는 것이며, 설치면을 선택함으로써 전달부(24)의 회전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The case 22 is provided on the back plate 12 by alternatively selecting either the front surface 22a or the rear surface 22b as the mounting surface and by selecting the mounting surface, The direction of rotation can be changed.

스파이럴(29)은 종래 공지의 것이고, 예를 들어 금속제의 막대 형상체가 전후 방향을 따라 나선 형상으로 권회됨으로써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스파이럴(29)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단부가 조인트 부재(30)의 전단부(31)에 연결되어 있다. 조인트 부재(30)는, 예를 들어 폴리아세탈 등의 수지재로 형성된 표면이 평활한 것이며, 대략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조인트 부재(30)의 후단부(32)의 외주면에는, 도면에는 명시하지 않지만, 전달부(24)의 끼워 맞춤 오목부(24a)에 끼워 맞춤 가능한 끼워 맞춤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The spiral 29 is a conventionally known one, for example, formed by winding a rod-shaped metal member in a spiral shape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11, the proximal end portion of the spiral 29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portion 31 of the joint member 30. As shown in Fig. The joint member 30 has a smooth surface formed of, for example, a resin material such as polyacetal, and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end portion 32 of the joint member 30 is formed with a fitting protrusion which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is fittable to the fitting concave portion 24a of the transmitting portion 24. [

이와 같은 조인트 부재(30)는 자신의 중심축이 스파이럴(29)의 중심축과 일치한 상태로, 전단부(31)가 스파이럴(29)의 기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관통 구멍(17) 및 삽입 관통 구멍(23)을 전방으로부터 관통하여 후단부(32)가 전달부(24)와 끼워 맞추어져 있다. 즉, 조인트 부재(30)는 자신의 중심축이 스파이럴(29)의 중심축과 일치할 뿐만 아니라 전달부(24)의 중심축과도 일치되어 배치된다. 이에 의해, 스파이럴(29), 조인트 부재(30), 관통 구멍(17), 삽입 관통 구멍(23), 전달부(24)의 각 중심축은 서로 일치하게 되고, 스파이럴(29)은 상품 수납 통로(20a)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따라서, 바닥판(11)의 오목부(11b)는, 스파이럴(29)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고도 할 수 있다.The front end portion 31 of the joint member 30 is connected to the proximal end portion of the spiral 29 while the central axis of the joint member 30 is aligned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spiral 29, And the rear end portion 32 is fitted into the transmission portion 24 through the through hole 23 from the front side. That is, the joint member 30 is disposed such that its central axis coincides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spiral 29, and also coincides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transfer unit 24. [ The center axes of the spiral 29, the joint member 30, the through hole 17, the insertion through hole 23 and the transmission portion 24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the spiral 29 passes through the product receiving passage 20a. Therefore, the concave portion 11b of the bottom plate 11 may be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piral 29.

또한, 이 조인트 부재(30)에는, 미끄럼 이동편(33)이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편(33)은 관통 구멍(17)보다도 전방측의 외주면에 있어서 그 조인트 부재(30)의 중심축의 직경 방향 외부를 향해 연장되는 방사상 부재이며, 그 외경이 관통 구멍(17)보다도 큰 것이다.Further, in the joint member 30, a sliding piece 33 is formed. The sliding piece 33 is a radial member extending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joint member 30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n the front side of the through hole 17 and has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through hole 17 .

이와 같이, 스파이럴(29)은 조인트 부재(30)를 통해 모터(21)에 연결되는 것으로 되지만, 이러한 모터(21)와의 연결의 사이에 랙 기체(10a)를 구성하는 배판(12)이 존재하는 것으로 되고, 배판(12)을 끼운 상태로 모터(21)에 연결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piral 29 is connected to the motor 21 through the joint member 30, but the back plate 12 constituting the rack base 10a is present between the connection with the motor 21 And is connected to the motor 21 with the back plate 12 interposed therebetween.

이와 같은 스파이럴(29)은 모터(21)의 구동에 의해 전달부(24)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전달부(24)에 끼워 맞추는 조인트 부재(30)도 중심축 주위로 회전하고, 이에 의해 자신의 중심축 주위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스파이럴(29)이 중심축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그 스파이럴(29)의 각 피치간에 구속되는 상품을 점차 전방을 향해 반출하여 최전방측의 수납 상품을 불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spiral 29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or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by the drive of the motor 21 so that the joint member 30 fitted to the transmission portion 24 is also rotated around the central axis Thereby rotating about its own central axis. As the spiral 29 rotates around the central axis, the articles constrained between the respective pitches of the spiral 29 are gradually moved forward, and the storage goods on the foremost side can be dispensed.

이와 같은 구성의 상품 랙(10)의 전방 영역에는, 그 양측에 좌우 한 쌍으로 되는 형태로 반송 레일(40)이 배치되고, 이들 반송 레일(40) 사이를 반송 트레이(41)가 도시하지 않은 반송 기구에 의해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즉, 반송 레일(40) 사이에는, 반송 트레이(41)를 통과시키기 위한 반송 통로(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반송 통로(42)는 기계실(4)의 전방까지 연장되어 있고, 반송 통로(42)와 기계실(4)은 구획 단열재(4a)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In the front area of the goods rack 10 having such a structure, the conveying rails 40 are arranged in a pair so as to be paired on both sides thereof, and the conveying tray 41 is arranged between the conveying rails 40 And is arranged to be movabl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by a transport mechanism. In other words, a conveyance passage 42 for passing the conveyance tray 41 is formed between the conveyance rails 40. This conveyance passage 42 extends to the front of the machine room 4 and the conveyance passage 42 and the machine room 4 ar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insulator 4a.

상기 본체 캐비넷(1)에는, 도어체(50) 및 폐색 부재(51)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체(50)는 본체 캐비넷(1)의 전방면 개구의 상방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품 수용고(2)의 전방 영역을 개폐하는 것이고 본체 캐비넷(1)의 일측 테두리부에 개폐 이동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도어체(50)는 단열 구조를 갖는 것이며, 외부로부터 내부의 시인을 가능하게 하는 단열성의 글래스판(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The body cabinet (1) is provided with a door body (50) and a closing member (51). The door body 50 opens and closes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opening of the main body cabinet 1, more specifically, the front area of the merchandise container 2. The door body 50 is disposed in one side edge portion of the main body cabinet 1 . The door body 50 has a heat insulating structure and is provided with a heat insulating glass plate (not shown) which enables the inside to be visually inspected from the outside.

폐색 부재(51)는 본체 캐비넷(1)의 전방면 개구의 하방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도어체(50)로 폐색할 수 없는 본체 캐비넷(1)의 전방면 개구의 하방부를 폐색하는 것이다. 따라서, 폐색 부재(51)는 기계실(4)의 전방에 형성되는 반송 통로(42)의 전방을 폐색하고 있다.The closing member 51 closes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opening of the main body cabinet 1 and more specifically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opening of the main cabinet 1 which can not be closed by the door body 50 . Therefore, the closing member 51 closes the front of the conveyance passage 42 formed in front of the machine room 4. [

이 폐색 부재(51)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 형상의 상품 취출구(5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상품 취출구(52)는 반송 트레이(41)를 통하여 반송된 상품을 이용자가 취출하기 위한 개구이며, 상품 취출 도어(60)에 의해 개폐되는 것이다. 이하에 있어서,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As shown in Fig. 12, the obtuse article 52 is formed in the closing member 51. As shown in Fig. The product delivery port 52 is an opening for the user to take out the product conveyed through the delivery tray 41 and is opened and closed by the product takeout door 60.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goods dispensing opening of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will be described.

도 13은, 폐색 부재에 있어서의 상품 취출구 근방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며, 도 14는, 도 12에 도시한 상품 취출 도어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 13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losing member in the vicinity of the goods dispensing port, and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goods taking out door shown in Fig.

이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품 취출 도어(60)는 상품 취출구(52)를 후방측으로부터 폐쇄하는 것이다. 이 상품 취출 도어(60)는 단열 구조를 갖는 것이며, 내부를 시인 가능하게 하는 투과부(61)를 갖는 것이다. 상품 취출 도어(60)는 도 12∼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품 취출구(52)를 폐쇄하는 경우에, 이 상품 취출구(52)보다도 외측(전방)으로 돌출되는 팽출부(62)를 갖고 있고, 이러한 팽출부(62)의 하부에 손잡이부(63)가 형성되어 있다.13 and 14, the goods takeout door 60 closes the article take-out port 52 from the rear side. The goods take-out door 60 has a heat insulating structure and has a transparent portion 61 which enables the inside to be visually recognized. As shown in Figs. 12 to 14, the goods taking-out door 60 has a swelling portion 62 which protrudes outward (forward) from the article take-out port 52 when the article take-out port 52 is closed And a handle 63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welling portion 62. [

이와 같은 상품 취출 도어(60)의 좌측면의 하부에는, 좌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좌측 돌출부(64a)가 형성되어 있다. 상품 취출 도어(60)의 우측면의 하부에도, 우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우측 돌출부(64b)가 형성되어 있다. 좌측 돌출부(64a)는 상품 취출구(52)의 좌측 테두리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53)(도 15 이후 참조)에 진입하고 있다. 우측 돌출부(64b)는 상품 취출구(52)의 우측 테두리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도시하지 않음)에 진입하고 있다. 여기서 상품 취출구(52)의 좌측 테두리부 및 우측 테두리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53)은 상방을 향함에 따라 약간 점차 후방으로 경사지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A left protruding portion 64a protruding toward the left sid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goods takeout door 60. [ A right protruding portion 64b protruding toward the right side is also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goods takeout door 60. [ The left protruding portion 64a enters the guide groove 53 (see FIG. 15 and the following) formed in the left edge of the article take-out port 52. The right protruding portion 64b enters a guide groove (not shown) formed at the right edge of the article take-out port 52. Here, the guide grooves 53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article take-out port 52 are provided so as to be slightly inclined backward toward the upward direction.

상품 취출 도어(60)의 좌측면의 중앙 부분에는 로드 형상의 좌측 링크 부재(65a)의 일단부가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좌측 링크 부재(65a)의 타단부는, 상품 취출구(52)의 좌측 테두리부의 상방 부분에 댐퍼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댐퍼 부재는, 상세는 후술하지만, 상품 취출구(52)의 폐쇄 이동의 속도를 규제하는 것이다. 상기 좌측 링크 부재(65a)에는, 평판 형상의 방도 부재(66)가 설치되어 있다.One end of the rod-shaped left link member 65a is pivotably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goods takeout door 60. [ The other end of the left link member 65a is pivotally supported by a damper member (not shown) on an upper portion of the left edge of the article take-out port 52 so as to be swingable. The damper member regulates the closing movement speed of the article outlet 52,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The left link member 65a is provided with a flat plate-shaped diaphragm 66.

상품 취출 도어(60)의 우측면의 중앙 부분에는 로드 형상의 우측 링크 부재(65b)의 일단부가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우측 링크 부재(65b)의 타단부는, 상품 취출구(52)의 우측 테두리부의 상방 부분으로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이 우측 링크 부재(65b)에는, 평판 형상의 방도 부재(66)가 설치되어 있다.One end of the rod-shaped right link member 65b is swingably arrang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goods take-out door 60. The other end of the right link member 65b is pivotally suppor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right side edge of the article take-out port 52. The right link member 65b is provided with a flat plate-shaped diaphragm 66.

상기 폐색 부재(51)의 후방면에 있어서의 상품 취출구(52)의 상방 영역에는, 방도판(67)이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방도판(67)은 하단부가 전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되는 형태로 상단부가 폐색 부재(51)의 후방면에 있어서의 상품 취출구(52)의 상방 영역에 축지지되어 있고, 하단부가 상품 취출 도어(60)의 후방면(이면)에 접촉하고 있다.A diaphragm 67 is provided in an area above the article outlet 52 on the rear surface of the closing member 51. [ The upper end of the blocking plate 67 is pivotally supported in a region above the article outlet 52 on the rear surface of the closing member 51, (Back surface) of the goods take-out door 60. As shown in Fig.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품 취출 도어(60)는 임의의 상품 랙(10)의 스파이럴(29)로부터 불출된 상품을 수용한 반송 트레이(41)가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 통로(42)를 하방을 향해 이동하여 후방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용자에 의해 손잡이부(63)가 보유 지지되어 상방을 향해 들어 올려지면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The product takeout door 6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nveyance tray 41 containing articles dispensed from the spiral 29 of an arbitrary merchandise rack 10 is conveyed downward by the conveyance mechanism When the user holds the grip portion 63 and is lifted upwards in the case where the grip portion 63 is moved and positioned in the rear region, the operation is as follows.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돌출부(64a) 및 우측 돌출부(64b)가 가이드 홈(53)을 그 가이드 홈(53)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방을 향해 이동하고, 상품 취출 도어(60)의 상단 테두리부가 폐색 부재(접객면)(51)로부터 후방을 향해 이격되는 형태로 이동함으로써 상품 취출 도어(60)가 개방 이동한다. 이때, 상단 테두리부의 이동에 의해 방도판(67)도 후방(내측)을 향해 요동한다. 이때,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링크 부재(65a) 및 우측 링크 부재(65b)에 설치한 방도 부재(66)가 상품 취출 도어(60)와 상품 취출구(52)의 양측 테두리부와의 사이의 개구 면적을 저감시킨다. 또한, 방도판(67)이 상품 취출 도어(60)의 상단 테두리부와 상품 취출구(52)의 상단 테두리부와의 사이를 폐색한다.The left protruding portion 64a and the right protruding portion 64b move the guide groove 53 upwar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groove 53 as shown in Fig. The upper edge portion moves away from the closing member (the receiving surface) 51 in the rearward direction so that the goods takeout door 60 is opened. At this time, the diaphragm plate 67 also oscillates toward the rear (inside) by the movement of the upper edge portion.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6, the striking member 66 provided on the left link member 65a and the right link member 65b is engaged with the side edges of the article take-out door 60 and the article take- Thereby reducing the opening area. Further, the striking plate 67 closes the gap between the upper edge of the article take-out door 60 and the upper edge of the article take-out port 52.

그리고, 상품 취출 도어(60)를 더욱 들어 올림으로써,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품 취출 도어(60)는 상단 테두리부가 폐색 부재(51)로부터 후방을 향해 더욱 이격되도록 개방 이동하고,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돌출부(64a) 및 우측 돌출부(64b)가 가이드 홈(53)의 상단 테두리부에 접촉함으로써, 상품 취출 도어(60)의 개방 이동은 정지한다. 이때, 상품 취출 도어(60)는 반송 통로(42)를 폐색한 자세로 된다.17 and 18, the product takeout door 60 is opened so that the upper edge part is further separated from the closing member 51 toward the rear side as shown in Figs. 17 and 18 , The left protruding portion 64a and the right protruding portion 64b come into contact with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guide groove 53 to stop the opening movement of the product takeout door 60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goods takeout door 60 is in a state of closing the conveyance passage 42.

상품 취출 도어(60)를 이와 같은 자세로 한 이용자는, 반송 트레이(41)로부터 상품 취출구(52)를 통하여 상품을 취출할 수 있다. 이때, 이용자는, 상품 취출 도어(60)로부터 손을 떼버리는 것이 생각되지만, 댐퍼 부재가 상품 취출구(52)의 폐쇄 이동의 속도를 규제하므로, 이용자가 상품 취출 도어(60)로부터 손을 떼도 즉시 상품 취출 도어(60)가 폐쇄 이동해 버리는 경우는 없다.A user who has put the goods take-out door 60 in this posture can take out the goods from the delivery tray 41 through the goods dispensing port 52. [ At this time, it is conceivable that the user releases his / her hand from the goods take-out door 60. However, since the damper member regulates the closing movement speed of the article take-out port 52, The goods taking-out door 60 is not closed.

이와 같이 하여 상품 취출구(52)를 통하여 반송 트레이(41)의 상품이 취출된 후, 상품 취출 도어(60)는 자신의 자체 중량에 의해, 좌측 돌출부(64a) 및 우측 돌출부(64b)가 가이드 홈(53)을 그 가이드 홈(53)의 연장 방향을 따라 하방을 향해 이동함으로써, 상단 테두리부가 폐색 부재(51)에 근접하도록 폐쇄 이동하고, 그 후에 도 12∼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품 취출구(52)를 폐색한 자세로 된다.After the product of the delivery tray 41 is taken out through the product outlet 52 in this way, the left product protruding portion 64a and the right protruding portion 64b of the product takeout door 60 are guided by the self- The upper edge portion is closed and moved close to the closing member 51 by moving the lower frame 53 downwar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groove 53. Thereafter, as shown in Figs. 12 to 14, And the air outlet 52 is clos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에 있어서는, 가이드 홈(53), 좌측 돌출부(64a), 우측 돌출부(64b), 좌측 링크 부재(65a), 우측 링크 부재(65b)가 상품 취출 도어(60)의 하단 테두리부가 상품 취출구(52)의 양측 테두리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변위되는 형태로 상품 취출 도어(60)를 개폐 이동시키는 도어 개폐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In the merchandise outlet structure of the vending machine as described above, the guide groove 53, the left protruding portion 64a, the right protruding portion 64b, the left link member 65a, and the right link member 65b are provided on the product takeout door 60 ) Of the article take-out door (52) is displac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both side edges of the article take-out port (52).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인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에 의하면, 도어 개폐 수단이, 상품 취출 도어(60)의 하단 테두리부가 상품 취출구(52)의 양측 테두리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변위되는 형태로 상품 취출 도어(60)를 개폐 이동시키므로, 상품을 상품 취출 도어(60)의 하단 테두리부에 접촉시키지 않도록 상품 자세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품 취출구(52)가 개방된 경우에 상품 자세를 변경시키지 않고 상품을 취출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oduct dispensing opening structure of the vending machin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door opening / closing means is arranged so that the lower edge of the product takeout door 60 is displac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both side edges of the article take- It is not necessary to change the article posture so as to prevent the article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lower edge of the article take-out door 60. Therefore, when the product outlet 52 is opened, the product can be taken out without changing the product posture.

상기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에 의하면, 상품 취출 도어(60)를 개방 이동시킴으로써 상품 취출구(52)를 통하여 반송 트레이(41)로부터 상품이 취출되는 것을 허용하므로, 종래와 같이 반송 트레이에서 반송시킨 상품을 상품 취출 영역으로 불출할 필요가 없고, 이러한 상품 취출 영역으로 불출함으로써 상품 자세를 변경시키는 경우도 없다. 따라서, 상품 취출구(52)가 개방된 경우에 상품 자세를 변경시키지 않고 상품을 취출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rchandise outlet structure of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since the merchandise is taken out from the conveyance tray 41 through the merchandise outlet 52 by opening the merchandise taking-out door 60, Is not required to be dispensed to the commodity taking-out region, and the commodity posture is not changed by dispensing to the commodity taking-out region. Therefore, when the product outlet 52 is opened, the product can be taken out without changing the product posture.

상기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에 의하면, 개방 이동한 상품 취출 도어(60)가 반송 통로(42)를 폐색한 자세로 되므로, 당해 상품 취출 도어(60)가 방해 판 부재로 되어, 상품 취출구(52)가 개방된 상태에서 악의를 가진 사람이 손가락을 침입시켜 상품 랙(10)에 수납된 상품 등을 취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반송 경로(42)를 폐색한 자세로 됨으로써, 원하는 온도로 냉각된 상품 수용고(2)의 냉기가 상품 취출구(52)를 통하여 외부에 누설되어 버리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article dispensing opening of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the opened article taking-out door 60 is in a posture in which the conveying passage 42 is closed so that the commodity taking-out door 60 becomes a baffle plate mem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a malicious person from intruding his / her fingers to take out goods or the like stored in the goods rack 10. Furth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eakage of the cool air of the product receptacle 2 cooled to the desired temperature to the outside through the product outlet 52 by setting the posture 42 to be closed.

상기 상품 랙(10)에 의하면, 제1 걸림 갈고리(15a)를 제1 걸림 구멍(16a)에 진입시킨 후에 구획판(15)을 전방을 향해 변위시키고, 그 상태에서 제2 걸림 갈고리(15b)를 제2 걸림 구멍(16b)에 진입시키고, 또한 제3 걸림 갈고리(15c)를 제3 걸림 구멍(16c)에 진입시킴으로써, 구획판(15)을 바닥판(11)에 세워 설치시키므로, 구획판(15)이 전방을 향해 변위되도록 해도 바닥판(11)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컬럼(20)이 회전함으로써 구속하는 상품을 전방을 향해 반출하는 스파이럴(29)을 구비한 것이어도, 구획판(15)이 반출되는 상품에 접촉 등을 하여 바닥판(11)으로부터 빠져 버리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rchandise rack 10, after the first latching claw 15a enters the first latching hole 16a, the partition plate 15 is displaced forward, and in this state, the second latching claw 15b, Since the partition plate 15 is installed on the bottom plate 11 by putting the first engaging claw 15c into the second engaging hole 16b and the third engaging claw 15c into the third engaging hole 16c,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se plate 15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bottom plate 11 even if the base plate 15 is displaced toward the front side. Particularly, even in the case where the spiral 29 is provided with the spiral 29 for transporting the product confined by the rotation of the column 20 forward, the partition plate 15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oduct to be taken out,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상기 상품 랙(10)에 의하면, 조인트 부재(30)는 배판(12)을 끼운 상태에서 스파이럴(29)을 모터(21)에 연결시킬 수 있고, 또한 배판(12)의 전방측에 관통 구멍(17)보다도 외경이 큰 미끄럼 이동편(33)을 갖고 있으므로, 스파이럴(29)이 중심축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그 스파이럴(29)의 각 피치 사이에 구속되는 상품을 점차 전방을 향해 반출하여 최전방의 수납 상품을 불출할 때에, 도 11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을 향해 반력(하중)이 작용하게 되지만, 미끄럼 이동편(33)이 배판(12)의 전방면과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모터(21)를 수납하는 케이스(22)에 반력이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케이스(22)는 나사 등으로 배판(12)에 고정할 필요가 없고, 빠짐 방지편(25a, 25b)이나 걸림 갈고리(26a, 26b)로 배판(12)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파이럴(29)의 설정 변경 등을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rchandise rack 10, the joint member 30 can connect the spiral 29 to the motor 21 while the back plate 12 is sandwiched therebetween, and the through hole The spiral 29 is rotated around the central axis so that the articles constrained between the respective pitches of the spiral 29 are gradually moved forward and the frontmost The sliding movement piece 33 slides with the front face of the back plate 12 so that the rotation of the motor 21 (load) Can be restrained from acting on the case 22 for housing the housing 22. Thereby, the case 22 does not need to be fixed to the back plate 12 with screws or the like, and can be easily fixed to the back plate 12 with the escape preventing pieces 25a and 25b and the engaging pawls 26a and 26b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change settings of the spiral 29 and the like.

상기 상품 랙(10)에 의하면, 빠짐 방지편(25a, 25b)을 케이스(2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연장한 후에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훅 형상으로 하였으므로, 걸림 갈고리(26a, 26b)가 걸림 구멍(18b)으로부터 어떠한 작용에 의해 이탈하였다고 해도, 빠짐 방지편(25a, 25b)이 빠짐 방지 구멍(18a)에 진입한 상태가 유지되고, 케이스(22)가 배판(12)으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스파이럴(29)의 구동원으로서의 역할을 계속해서 발휘할 수 있다.Since the stoppers 25a and 25b exten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case 22 and then extend downwardly, the stoppers 26a and 26b are hooked The state where the slip prevention pieces 25a and 25b enter the slip prevention hole 18a is maintained and the case 22 is prevented from dropping from the back plate 12 regardless of any action from the hole 18b So that it can continue to serve as the driving source of the spiral 29.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경을 행할 수 있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품 취출 도어(60)는 하단 테두리부가 상품 취출구(52)의 양측 테두리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변위되면서, 상단 테두리부가 폐색 부재(51)로부터 이격되도록 개방 이동하는 것이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하단 테두리부가 상품 취출구의 양측 테두리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변위되면서 개방 이동하는 것이면, 상품 취출 도어의 개방 이동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product takeout door 60 is mov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losing member 51 while being displac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both side edges of the article take-out port 52. However, In the invention, the form of opening movement of the goods take-out do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lower end portion is displac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both side edges of the goods take-out port and is opened.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스파이럴(29)과 모터(21)를 연결하는 조인트 부재(30)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형태를 이루고, 또한 방사상의 미끄럼 이동편(33)을 갖는 것이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조인트 부재는, 배판을 끼운 상태로 스파이럴과 모터를 연결시킬 수 있고, 이러한 배판에 미끄럼 이동 가능한 미끄럼 이동편을 갖고 있으면, 그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joint member 30 connecting the spiral 29 and the motor 21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has the radial sliding piece 33.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shape of the joint mem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spiral and the motor can be connected with the back plate sandwiched therebetween and the back sliding piece can slide on the back plate.

1 : 본체 캐비넷
2 : 상품 수용고
10 : 상품 랙(상품 수납 장치)
10a : 랙 기체
11 : 바닥판
11b : 오목부
12 : 배판
15 : 구획판
15a : 제1 걸림 갈고리
15b : 제2 걸림 갈고리
15c : 제3 걸림 갈고리
16a : 제1 걸림 구멍
16b : 제2 걸림 구멍
16c : 제3 걸림 구멍
17 : 관통 구멍
18a : 빠짐 방지 구멍
18b : 걸림 구멍
20 : 컬럼
20a : 상품 수납 통로
21 : 모터
22 : 케이스
22a : 전방면
22b : 후방면
23 : 삽입 관통 구멍
24 : 전달부
25a : 제1 빠짐 방지편
25b : 제2 빠짐 방지편
26a : 제1 걸림 갈고리
26b : 제2 걸림 갈고리
29 : 스파이럴
30 : 조인트 부재
31 : 전단부
32 : 후단부
33 : 미끄럼 이동편
40 : 반송 레일
41 : 반송 트레이
42 : 반송 통로
50 : 도어체
51 : 폐색 부재
52 : 상품 취출구
53 : 가이드 홈
60 : 상품 취출 도어
61 : 투과부
62 : 팽출부
63 : 손잡이부
64a : 좌측 돌출부
64b : 우측 돌출부
65a : 좌측 링크 부재
65b : 우측 링크 부재
66 : 방도 부재
67 : 방도판
1: Body cabinet
2: Commodity receptacle
10: Commodity rack (product storage)
10a: Rack airframe
11: bottom plate
11b:
12: back plate
15: partition plate
15a: first hooking hook
15b: second hooking hook
15c: third hook
16a: first latching hole
16b: second latching hole
16c: third hooking hole
17: Through hole
18a:
18b:
20: Column
20a: Goods receiving path
21: Motor
22: Case
22a: front face
22b: rear face
23: insertion hole
24:
25a: first falling-out prevention piece
25b: second falling-out prevention piece
26a: first hooking hook
26b: second latching hook
29: Spiral
30: joint member
31:
32: rear end
33:
40: conveying rail
41: Transport tray
42:
50: door body
51: Closure member
52: Product outlet
53: Guide groove
60: Product door
61:
62:
63: Handle portion
64a: Left protrusion
64b: right protrusion
65a: Left link member
65b: right link member
66:
67: Diffraction plate

Claims (11)

자동 판매기 본체의 접객면(接客面)에 형성된 상품 취출구와,
상기 상품 취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상품 취출 도어를 구비한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품 취출 도어의 하단 테두리부가 상기 상품 취출구의 양측 테두리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변위되는 형태로 그 상품 취출 도어를 개폐 이동시키는 도어 개폐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
A goods dispensing port formed on a service surface of a vending machine main body,
In a product dispensing opening structure of an automatic vending machine provided with a product taking-out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roduct dispensing opening,
And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rticle take-out door in such a manner that a lower edge of the article take-out door is displac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both side edges of the article take-out 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수단은, 상기 상품 취출 도어의 상단 테두리부가 상기 접객면으로부터 점차 이격되는 형태로 그 상품 취출 도어를 개방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oor opening / closing means opens the article takeout door in such a manner that an upper edge portion of the goods takeout door is gradually spaced from the receiving surfa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판매기 본체는,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단 설치되고, 또한 상품을 수납하는 상품 랙과,
상기 상품 랙의 전방 영역에 설치된 반송(搬送) 통로를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또한 어느 한쪽의 상품 랙으로부터 불출(拂出)된 상품을 수용하여 반송하는 반송 트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 개폐 수단은, 상기 상품 취출 도어를 개방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상품 취출구를 통하여 상기 반송 트레이로부터 상품이 취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In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main body,
A merchandise rack which is provided at plural stages along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houses the merchandise,
And a conveyance tray which is arranged so as to be movable along a vertical direction on a conveyance path provided in a front region of the commodity rack and accommodates and conveys a commodity dispensed from one of the commodity racks,
Wherein the door opening / closing means permits the article to be taken out from the conveyance tray through the article take-out port by opening the article take-out do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수단은, 개방 이동시킨 상기 상품 취출 도어에 의해 상기 반송 통로를 폐색(閉塞)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oor opening / closing means closes (closes) the conveyance passage by the article take-out door that is moved to open.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수단은, 상기 상품 취출 도어의 폐쇄 이동의 속도를 규제하는 댐퍼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door opening / closing means comprises a damper member for regulating a closing movement speed of the goods takeout door.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취출 도어보다도 상방 영역에 있어서 하단부가 요동 가능하게 되는 형태로 상단부가 상기 자동 판매기 본체에 축지지되고, 또한 상기 상품 취출 도어가 상기 상품 취출구를 폐쇄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단부가 그 상품 취출 도어의 이면에 접촉하는 한편, 상기 상품 취출 도어가 개방 이동하는 경우에는, 그 상품 취출 도어의 개방 이동에 따라 상기 자동 판매기 본체의 내측을 향해 요동하는 방도판(防盜板)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upper end portion is pivotally supported by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main body in such a manner that the lower end portion is pivotable in a region above the product takeout door and when the goods takeout door closes the goods takeout port, And a damping plate for swinging toward the inside of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main body in accordance with an opening movement of the product taking-out door when the product taking-out door moves to open, Structure of product outlet of vending machine.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수단은, 상기 상품 취출 도어를 개방 이동시키는 경우에, 그 상품 취출 도어와 상기 상품 취출구의 양측 테두리부와의 사이의 개구 면적을 저감시키는 방도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includes a guide member for reducing the opening area between the article take-out door and both side edges of the article take-out port when the article take-out door is moved to open Product release structure.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취출 도어는, 단열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the goods take-out door has a heat insulating structure.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취출 도어는, 상기 자동 판매기 본체의 내부를 시인(視認)시키기 위한 투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Wherein the goods take-out door has a transmitting portion for viewing the inside of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main body.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취출 도어는, 상기 상품 취출구를 폐쇄할 때에 그 상품 취출구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는 팽출부(膨出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Wherein the goods taking-out door has a swelling portion (swollen portion) protruding outward beyond the article take-out port when the commodity taking-out port is clos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취출 도어는, 상기 팽출부의 하부에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상품 취출구 구조.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product take-out door has a handle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ulge portion.
KR1020147025177A 2013-08-27 2014-02-28 Goods take-out port structure for vending machine KR10162482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75838A JP2015045947A (en) 2013-08-27 2013-08-27 Commodity take-out port structure of automatic vending machine
JPJP-P-2013-175838 2013-08-27
PCT/JP2014/055125 WO2015029471A1 (en) 2013-08-27 2014-02-28 Structure for product-dispensing slot in vend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248A true KR20150040248A (en) 2015-04-14
KR101624822B1 KR101624822B1 (en) 2016-05-26

Family

ID=52586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5177A KR101624822B1 (en) 2013-08-27 2014-02-28 Goods take-out port structure for vending machin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5045947A (en)
KR (1) KR101624822B1 (en)
CN (1) CN104584087B (en)
WO (1) WO2015029471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1689A (en) * 2021-05-31 2022-12-07 주식회사 벤더스터 A loading box for vending machine with adjustable width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24595B (en) * 2015-09-17 2020-06-23 富士电机株式会社 Goods outlet structure of vending machine
JP2017126278A (en) * 2016-01-15 2017-07-20 富士電機株式会社 Commercial article carry-out device
JP6666546B2 (en) * 2016-02-22 2020-03-18 富士電機株式会社 vending machine
WO2017208330A1 (en) * 2016-05-31 2017-12-07 三菱電機株式会社 Heat insulation container
CN107705426B (en) * 2016-08-08 2020-10-27 富士电机株式会社 Automatic vending machine
CN107492197A (en) * 2017-08-22 2017-12-19 北京云镜元谱信息科技有限公司 Automatic vending machine
JP7043926B2 (en) * 2018-03-29 2022-03-30 富士電機株式会社 vending machine
CN108665627A (en) * 2018-04-12 2018-10-16 苏州中科先进技术研究院有限公司 A kind of reciprocating automatic vending machine shipment device and automatic vending machine
CN108806080A (en) * 2018-08-20 2018-11-13 广州甘来信息科技有限公司 A kind of automatic vending machine and its outloading mechanism
JP7310363B2 (en) * 2019-06-28 2023-07-19 富士電機株式会社 Product storage device
CN112150705B (en) * 2019-06-28 2022-05-31 富士电机株式会社 Commodity storage device
JP7363320B2 (en) * 2019-10-03 2023-10-18 富士電機株式会社 Product detection device
CN111311823A (en) * 2020-03-13 2020-06-19 山东大学 Anti-clamping push rod device, working method and vending machine
JP7415765B2 (en) * 2020-04-16 2024-01-17 富士電機株式会社 Product storage device
JP2022100969A (en) * 2020-12-24 2022-07-06 富士電機株式会社 Commodity storag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0287U (en) * 1989-09-22 1991-05-16
JPH07334738A (en) * 1994-06-10 1995-12-22 Fuji Electric Co Ltd Steal preventing device for article opening of automatic vending machine
JP4093624B2 (en) * 1998-01-30 2008-06-04 清光 大野 Automatic article supply devic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6386389B1 (en) * 2000-04-07 2002-05-14 Crane Co. Vending machine access panel and method of formation
JP5768512B2 (en) 2011-06-07 2015-08-26 富士電機株式会社 Product storage rack and vending machine
JP5720437B2 (en) * 2011-06-28 2015-05-20 富士電機株式会社 Vending machine product storage device
JP2013015895A (en) * 2011-06-30 2013-01-24 Fuji Electric Co Ltd Vending machine
JP2013105261A (en) * 2011-11-11 2013-05-30 Fuji Electric Co Ltd Product delivery port of vending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1689A (en) * 2021-05-31 2022-12-07 주식회사 벤더스터 A loading box for vending machine with adjustable wid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4822B1 (en) 2016-05-26
CN104584087B (en) 2017-06-20
JP2015045947A (en) 2015-03-12
WO2015029471A1 (en) 2015-03-05
CN104584087A (en) 201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4822B1 (en) Goods take-out port structure for vending machine
JP5742397B2 (en) vending machine
JP5736869B2 (en) vending machine
JP6334867B2 (en) Product storage device
JP5810567B2 (en) Vending machine product storage rack
JP2013191031A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JP5720336B2 (en) vending machine
JP2012137949A (en) Automatic dispenser
JP2012221245A (en) Merchandise carrying-out device of automatic vending machine
JP6127835B2 (en) Product storage device
CN107924595B (en) Goods outlet structure of vending machine
JP5949381B2 (en) vending machine
JP2012194798A (en) Article discharge device of automatic dispenser
JP2012221242A (en) Commodity storage rack of vending machine
JP5742405B2 (en) Vending machine product storage rack
JP5949011B2 (en) Vending machine product unloading device
JP7207909B2 (en) goods vending machine
JP5954076B2 (en) vending machine
JP5907024B2 (en) vending machine
JP4631737B2 (en) Vending machine product take-out device
JP2004038670A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CN116264027A (en) Commodity storage device
JP2012221243A (en) Vending machine
JPH10261147A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JPH11296741A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