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9958A - 목향 및 측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목향 및 측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9958A
KR20150039958A KR1020130118396A KR20130118396A KR20150039958A KR 20150039958 A KR20150039958 A KR 20150039958A KR 1020130118396 A KR1020130118396 A KR 1020130118396A KR 20130118396 A KR20130118396 A KR 20130118396A KR 20150039958 A KR20150039958 A KR 20150039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mediated immune
present
immune disease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8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8743B1 (ko
Inventor
박선민박선민
박선민
서종우서종우
서종우
Original Assignee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리봄화장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리봄화장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18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743B1/ko
Publication of KR20150039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9Vladimi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4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향 및 측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향 및 측백나무 혼합 추출물은 목향 또는 측백나무 단일 추출물과 비교하여 NF-κB의 활성화에 관여하는 IL-6 및 TNF-α의 분비와 PAR-2 및 ICAM1의 발현, IgE의 분비를 보다 현저히 억제시키고, 비만세포 및 호산구의 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천연물을 소재로 이용하여 저렴한 생산비용과 사용의 편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목향 및 측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of Th1-mediated Immune Disease or Th2-mediated Immune Disease Comprising Extracts from Saussurea lappa Clarke and Biota orientalis (L.) Endl. as an Active Ingredients}
본 발명은 목향 및 측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소득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식습관의 변화, 위생의 청결화, 공해의 심화 등으로 인하여 알레르기는 날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전 국민의 20-25%가 아토피피부염(AD), 천식, 비염 등의 증상을 가지고 있다. 이는 삶의 질을 현격히 저하시킴으로써 심각한 사회문제를 여기하고 있다. 또한, 식품 알레르기는 영유아의 6-8%에서 확인되고 있고, 소아의 AD는 35%가 식품알레르기에 의한 것으로 결코 무시할 수 없다.
또한, 식품첨가물, 화학물질의 과다 사용, 공해 등으로 아토피 피부염환자들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천연 소재 탐색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과 관련이 있는 면역기능을 향상시키고 염증(NF-κB 기전)을 억제하는 특징을 갖는 보습능력이 좋은 폴리올 계통의 물질들을 탐색하고 이들을 피부에 침투하기 쉬운 나노 리포좀의 형태로 제품화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탐색한 천연 소재를 아토피 로션이나 크림 형태로 개발하는데 필요한 나노 리포좀 형성 및 안정화 방법,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로션이나 크림 개발도 함께 진행되고 있다.
궁극적으로는 아토피 질환의 진행에 관련된 PAR-2(Protease activated receptor-2) 및 NF-κB 기전을 억제하는 한약재를 탐색하는 것도 원천 기술을 확보하는 것으로 의미가 있으며, 이 한약 추출물이 피부 세포를 침투할 수 있는 나노 리포좀의 형태를 만드는 것과 안정화시키는 것도 원천기술을 확보하여 화장품을 제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아토피는 피부 건조화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피부 질환으로 전체 인구의 약 10-20%에서 발병하고 있다. 그 원인으로는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으로 나눌 수 있는데 유전적인 요인은 크게 변화가 없다고 보았을 때 환경적인 요인이 유병률 증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그 중에서도 실외 및 실내 알레르겐인 집먼지, 진드기 등의 노출과 관련이 깊으며, 모유 수유의 감소, 가공 식품 섭취 증가로 인한 식품첨가물 및 지방 섭취의 증가와도 관련이 있다.
아토피 피부염 증상은 피부 건조와 함께 표피 과증식, 염증, 가려움증 등이 있으며,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이 아직 밝혀지지 않아 치료 방법도 확실하지 않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치료 방법은 부신 피질 호르몬 제재, 항히스타민제재, 자외선 요법을 통한 DNA 합성 억제, 세포 과증식 억제, 염증 및 가려움증 억제에 중점을 두고 있지만 이러한 방법들이 부작용을 수반하고 근본적인 치료를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아토피 피부염는 특히 유아에게서 많이 나타나므로 복용약을 투여하기 어려움이 있으므로 외용제로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토피 피부염이 염증과 관련이 있는 것은 아토피 피부염이 알레르기 유발 물질에 의해서 면역글로부린 E와 반응하여 T 림프구가 활성화되고, 이것이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피부에 침유되어 사이토카인을 분비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궁극적으로 아토피 피부염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보습을 유지시켜주면서 염증을 감소시키고 표피의 과증식을 방지하므로 한약재 중에서 염증 유발을 억제하고 표피의 과증식을 방지하는 것을 탐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복용제나 외용제로 사용할 수 있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수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효율적인 아토피 예방이나 치료에 적합한 기능성 제품이 개발되지 않고 있다. 피부 질환치료제는 복용약도 좋지만 실제로 외용제가 효과적이며 특히 아토피 피부염은 피부 건조증에 의한 가려움증이 심하므로 보습과 함께 가려움과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시키는 인자를 근본적으로 제거하여 염증을 없을 수 있는 외용제로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토피 피부염의 가장 문제는 면역 기능의 비정상적인 활성화로 염증 반응이 항진되어 사이토카인의 발생이 증가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염증 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 한약재를 탐색하여 아토피 예방 및 치료재로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부분의 연구가 염증 감소 및 면역 기능을 정상화시킴으로 아토피 피부염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기능성 제품의 개발은 대부분 복용하는 제품으로 개발이 많은데 아토피 피부염을 치료하는 제품은 복용하는 것보다 외용이 더 효과적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염증성 질환 및 알레르기와 같은 Th1 또는 Th2 면역 반응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 질환 또는 상태를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천연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목향 및 측백나무 추출물의 조합이 목향 또는 측백나무 단일 추출물과 비교하여 현저히 개선된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짐을 실험적으로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목향 및 측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목향 및 측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염증성 질환 및 알레르기와 같은 Th1 또는 Th2 면역 반응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 질환 또는 상태를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천연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목향 및 측백나무 추출물의 조합이 목향 또는 측백나무 단일 추출물과 비교하여 현저히 개선된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짐을 실험적으로 규명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목향(Saussurea lappa Clarke)은 국화과 식물로서 가을에 뿌리를 캐 줄기와 잔뿌리를 다듬어 버리고 굵은 것을 말려 사용한다. 알려진 화학성분으로는 알란토락톤, 이눌린, 사포닌 등 여러 가지가 있다. 한방에서 목향은 건위약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기관지염, 폐결핵 등 여러 가지 호흡기 질병에 사용되어 왔다. 목향은 오래전부터 한방에서 사용해 온 재료로 서 체내섭취에 따른 인체 안정성이 이미 확인되어 있으며, 피부 및 점막에 대한 자극도 전혀 없는 극히 안전한 식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측백나무(Biota orientalis (L.) Endl.)는 측백나무과(Cupressaceae)에 속하는 상록교목으로 강백이라고도 하며, 중국이 원산지이고 한국 전역에 널리 분포되어있다. 측백나무 잎은 부인들의 하혈이나 피오줌 대장이나 직장의 출혈에 도 효과가 크고, 고혈압과 중풍을 예방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측백나무의 정유 성분을 이용하여 항균력과 항산화능력, 살균작용을 측정한 결과 모두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잎에는 플라보노이드, 정유, 납, 타닌질, 수지가 있으며, 플라보노이드로는 쿠에르세틴, 켐페롤, 미리세틴, 히노키플라본, 아멘토플라본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용어 “목향 추출물” 이란 상기 목향의 뿌리로부터 적합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여 얻는 혼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용어 “측백나무 추출물” 이란 상기 측백나무 잎과 붙어 있는 잔가지로부터 적합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여 얻는 혼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용어 “목향 및 측백나무 혼합추출물” 이란 상기 목향 추출물 및 측백나무 추출물의 혼합물로 바람직하게는 목향 추출물 및 측백나무 추출물을 1:1로 혼합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의 유효성분인 목향 및 측백나무 추출물을 분리하는 방법은 천연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 압력의 조건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목향 및 측백나무 추출물을 목향 및 측백나무에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얻는 경우에는, 다양한 추출용매가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극성 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i) 물, (ii) 알코올(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 1-펜탄올, 2-부톡시에탄올, 에틸렌글리콜 또는 부틸렌글리콜), (iii) 아세트산, (iv) DMFO(dimethyl-formamide) 및 (v) DMSO(dimethyl sulfoxide)를 포함한다. 비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플루오로알칸, 펜탄, 헥산, 2,2,4-트리메틸펜탄, 데칸,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펜탄, 디이소부틸렌, 1-펜텐, 1-클로로부탄, 1-클로로펜탄, o-자일렌,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2-클로로프로판, 톨루엔, 1-클로로프로판, 클로로벤젠, 벤젠,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 설파이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어닐린, 디에틸아민, 에테르, 사염화탄소 및 THF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추출물은 물, 에탄올, 부탄올, 부틸렌글리콜,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이의 조합을 목향 및 측백나무에 처리하여 수득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추출물은 부틸렌글리콜을 목향 및 측백나무에 처리하여 수득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목향 및 측백나무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목향 및 측백나무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목향 및 측백나무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하기의 목향 및 측백나무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천연식물재료인 목향 및 측백나무로부터 추출한 조성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목향 및 측백나무 추출물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향 및 측백나무 혼합 추출물은 NF-κB의 활성화에 관여하는 IL-6 및 TNF-α의 분비와 PAR-2 및 ICAM1의 발현을 억제시키고, IgE의 분비를 억제시키며, 비만세포 및 호산구의 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데 유효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양한 Th1-매개 면역 질환, 질병 또는 상태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Th1-매개 면역 질환”은 Th1 세포의 생성 및/또는 활성에 의해 생성되는 사이토카인, 예컨대, IL-1β, IL-2, IL-12, IL-17, IFN-γ 또는 TNF-α 등이 관여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Th1 세포”는 유전자 발현, 단백질 분비 및 기능적 활성 측면에서 특정되는 헬퍼 T 세포 림포사이트의 서브세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Th1 세포는 IL-2 및 IFN-γ를 합성하지만 IL-4, IL-5, IL-10 및 IL-13는 합성하지 않는 사이토카인 발현 패턴을 나타낸다. Th1 세포는 다양한 세포내 병원균에 대한 세포-매개 면역반응, 기관-특이적 자가면역 질환 및 지연성 과민반응에 관여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되는 Th1-매개 면역 질환은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이식 거부, 자가면역질환 또는 염증 질환에 적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되는 Th1-매개 면역 질환은 자가면역질환 또는 염증 질환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대장염, 염증성 장질환, 타입 1 당뇨병, 타입 2 당뇨병 및 류마티스 관절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되는 Th1-매개 면역 질환은 대장염, 염증성 장질환, 타입 1 당뇨병, 타입 2 당뇨병, 류마티스 관절염, 반응성 관절염(Reactive Arthritis), 골관절염, 건선, 공피증, 공다공증,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심근염, 심내막염, 심낭염, 낭성 섬유증, 하시모토 갑상선염, 그레이브스병, 나병, 매독, 라임 질환(Lyme), 보렐리아증(Borreliosis), 신경성-보렐리아증, 결핵, 사르코이드증(Sarcoidosis), 낭창, 원판성 낭창, 동창성 루프스, 루프스 신염, 전신성 홍반성 루프스, 천식, 황반변성, 포도막염, 과민대장 증후군, 크로씨병, 쇼그랜 증후군, 섬유근통, 만성피로 증후군, 만성피로 면역부전 증후군, 근육통성 뇌척수염,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파킨스병, 다발경화증, 자폐스펙트럼 장애, 주의력결핍 장애 및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양한 Th2-매개 면역 질환, 질병 또는 상태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Th2-매개 면역 질환”은 알러젠-특이 Th2 세포의 생성 및 활성에 의한 IgE 및 비만세포가 관여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Th2 세포”는 유전자 발현, 단백질 분비 및 기능적 활성 측면에서 특정되는 헬퍼 T 세포 림포사이트의 서브세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Th2 세포는 IL-4, IL-5, IL-10, 및 IL-13 사이토카인 발현 패턴을 나타낸다. Th2 세포는 체액성 면역반응에 관여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되는 Th2-매개 면역 질환은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알레르기 질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토피 피부염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되는 Th2-매개 면역 질환은 아토피 피부염, 아토피와 관련된 다른 피부학적 질환, 알레르기 비염(급성 또는 만성), 고초열 및 알레르기 기관지 천식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a) 상술한 본 발명의 목향 및 측백나무 추출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제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목향 및 측백나무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일반적인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 ㎎/kg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향 및 측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목향 및 측백나무 추출물뿐 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남성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향 및 측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식품 제조 시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으로서 목향 및 측백나무 추출물 이외에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을 추가 성분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및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을 포함한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린, 스테비아 추출물 등) 및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향 및 측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 성분으로서의 남성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본 발명은 목향 및 측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ⅱ) 본 발명의 목향 및 측백나무 혼합 추출물은 목향 또는 측백나무 단일 추출물과 비교하여 NF-κB의 활성화에 관여하는 IL-6 및 TNF-α의 분비와 PAR-2 및 ICAM1의 발현, IgE의 분비를 보다 현저히 억제시키고, 비만세포 및 호산구의 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ⅲ) 본 발명은 천연물을 소재로 이용하여 저렴한 생산비용과 사용의 편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집진드기에 의한 PAR-2, ICAM-1과 IL-6의 발현 정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β-액틴 발현 mRNA에 대한 상대적 mRNA 레벨로 나타냄. a,b 하나의 변수에서 막대 위의 알파벳이 다른 것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나타냄.
도 2는 목향, 측백나무 및 목향+측백나무 혼합추출물이 TNF-α와 IL-6 분비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이다.
a,b,c 하나의 변수에서 막대 위의 알파벳이 다른 것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나타냄.
도 3은 목향, 측백나무 및 목향+측백나무 혼합추출물이 PAR-2, ICAM1, MCP-1 및 IL-6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이다.
a,b,c 하나의 변수에서 막대 위의 알파벳이 다른 것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나타냄.
도 4는 아토피 유발에 따른 마우스 등의 증상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목향, 측백나무 및 목향+측백나무 혼합추출물 처리에 따른 관능 검사 점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a,b,c 같은 열에서 알파벳이 다른 것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나타냄(P<0.05).
도 6은 목향, 측백나무 및 목향+측백나무 혼합추출물 처리에 따른 혈청 내 IgE와 TNF-α 농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a,b,c 같은 열에서 알파벳이 다른 것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나타냄(P<0.05).
도 7은 목향, 측백나무 및 목향+측백나무 혼합추출물 처리에 따른 비만세포와 호중구의 숫자를 측정한 결과이다.
a,b,c 같은 열에서 알파벳이 다른 것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나타냄(P<0.05).
도 8은 목향, 측백나무 및 목향+측백나무 혼합추출물 처리에 따른 피부조직에서 IL-4, IL-13 및 INF-γ의 mRNA 발현 정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a,b,c 같은 열에서 알파벳이 다른 것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나타냄(P<0.05).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재료 및 방법
1. 재료
1,3-부틸렌 글리콜에 목향(운목향(雲木香), Saussuerea lappa Clarke의 뿌리를 말린 것)과 측백나무(Biota orientalis (L.) Endl.)(측백나무 잎과 잔가지 말린 것) 파우더를 각각 70% 넣고 60℃에서 2시간 초음파 추출하였다. 즉, 말린 목향 파우더 및 측백나무 파우더 각 1 kg에 1,3-부틸렌 글리콜을 300 g 넣고 60℃에서 2시간 초음파 추출하였다. 추출한 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상층액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2. 세포 배양
인간 각막세포인 HaCaT 세포에서 PAR-2 발현 및 사이토카인 분비
인간 각막세포인 HaCaT 세포를 10% FBS, 2 mM L-글루타민, 100 IU/ml 페니실린 및 100 /ml 스트렙토마이신 항생제를 포함하는 RPMI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PAR-2(protease-activated receptor-2) 발현을 측정하기 위해서 아토피 유발 물질로 알려진 집진드기 추출물을 연세대 의용절지동물소재은행에서 구입하여 3 μg/mL를 HaCat 세포에 처리하여 아토피를 유발시키고 PAR-2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집진드기 추출물과 함께 목향, 측백나무 추출물 또는 목향+측백나무 혼합추출물을 처리하고 PAR-2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사이토카인 분비 실험을 하기 2일 전에 1 x 106 HaCaT 세포를 12-웰 배양 플레이트로 옮긴 후 RPMI, 10% FBS, 2 mM L-글루타민 및 항생제를 넣어 배양하였다. 사이토카인 분비 실험을 하는 당일에 0.2%(w/v) BSA와 목향, 측백나무 추출물 또는 목향+측백나무 혼합추출물을 넣은 KRB 용액(pH. 7.2)으로 바꾸어 주고 2시간 후에 각각의 웰로 부터 KRB 용액을 모으고, 모은 KRB 용액으로 분비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와 IL-6의 농도를 ELISA 키트(eBioscience, San Diego, CA, 미국)로 측정하였으며, KRB 용액은 측정할 때까지 80℃에 보관하였다. 웰에 있는 세포는 긁어서 균질화 버퍼(5% (v/v) HCOOH, 1%(v/v)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및 1%(w/v) NaCl를 포함하는 1 M HCl)로 용해시키고, 세포 내에 남아 있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와 IL-6의 양을 실시간 PCR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3. 동물 실험
피부염 유도 및 시료처리
5-6주령이 된 Nc/Nga 마우스의 등 부위를 깨끗하게 제모한 다음, 피부의 미세 상처가 치유되도록 24시간 방치하였다. 1% DNCB 용액(아세톤:올리브오일=3:1) 200 ㎕를 등 부위에 도포하고 4일 후, 1주일에 2-3번씩 0.2% DNCB 용액 150 ㎕를 등 부위에 도포하였다. 4-5주 처리한 다음 피부염이 충분히 유발되어 등 부위의 가피가 모두 벗겨지고(치료 약물의 투과가 용이해짐), 이 부위에 새로운 피부염이 형성되면서 긁는 행동이 심화되면 DNCB 처리를 중단하고, 관능 평가를 실시한 다음 혈액을 채취하여 혈구를 침전한 뒤, 혈청만 취하여 -70℃에 냉동 보관하였다. DNCB 처리를 종료하기 직전에 치료효과를 시험할 약물을 적당한 용매(화합물이 완전히 녹고, 피부자극이 없는 용매)에 원하는 농도로 용해시켰다. 0.2% DNCB 처리하면서 목향, 측백나무, 목향+측백나무 혼합추출물을 매일 2회 등에 국소 도포(150 ㎕)하여 6주 동안 실시하였다. 관능 평가는 매주 실시하였다. 관능평가를 실시한 다음 혈액을 취하고 등 부위의 피부를 절제하여 10% 포르말린 용액에 담아 보관하였다. 혈액은 혈구를 침전한 뒤, 혈청만을 취하여 -70℃에 냉동 보관하였다.
4. 평가법
관능 평가
NC/Nga 마우스의 피부염은 아토피성 피부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임상적 육안 평가법을 이용하였다. 육안평가 결과는 다음의 5가지 항목을 각각 평가한 점수의 총 합으로 나타낸다. 평가항목은 홍반(erythema), 가려움과 건조피부(Pruritus & Dry Skin), 부종과 혈종(Edema & escoriation), 짖무름(Erosion), 그리고 태선화(Lichenification)로 나누어진다. 이 각각의 항목은 없음(0), 약함(1), 중증도(2), 심함(3)으로 채점된다. 따라서 최소 0점에서, 최고 15점사이의 점수를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DNCB를 이용해 피부염을 유발할 경우, 약 12-13점이면 피부염이 최고조에 달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ELISA(Pharmingen : manufacturer's recommendation)
목향과 측백나무의 혼합 추출물의 항아토피 효과를 면역기능의 변화를 통하여 확인하기 위하여 아토피 피부염이 유도된 동물 모델에 추출물을 처리하고 혈청 내 IgE의 농도를 효소면역분석법(ELISA)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DNCB를 처리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유도한 동물 모델에서 DNCB 처리를 종료한 10일 후 부터, 대조군은 30% 부틸렌 글리콜(1,3-butylene glycol)을 실험군은 제조된 목향, 측백나무, 목향+측백나무의 혼합추출물을 200 μl씩 하루에 2번, 8주 동안 원액 도포한 다음, 4주 간격으로 안 점막의 모세혈관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고 혈구를 침전한 뒤, 혈청만을 취하여 그 혈중 IgE의 농도를 확인하였다.
ELISA는 캡쳐 항체(Capture Ab)(항-마우스 IgE capture mAB, BD Bioscience)를 코팅 완충 용액(coating buffer)으로 250배 희석한 다음 ELISA용 96웰 플레이트에 50 μl씩 첨가하고, 4℃에서 하룻밤 동안 배양하여, 캡쳐 항체가 플레이트에 반응하도록 한 후, PBST로 5번 씻어내어 반응하지 못한 항체를 제거하였다. 이후, 각 웰을 100 μl의 어세이 희석제(assay diluent)로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블락킹(blocking)하고, 블락킹(blocking) 하는 동안 표준 시료(100 / 50 / 25 / 12.5 / 6.3 / 3.2 / 1.6 ng/ml)와 4.15 μl의 IgE 표준 시료, 및 샘플 시료를 제조하였다. 이 때, 샘플 시료는 질환이 유도되어 임상적 점수가 6-7점을 넘어가면 혈중 IgE 농도가 10 μg/ml을 넘어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혈액을 200-500배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각각의 웰에 표준 시료 및 샘플 시료 50 μl를 가하고 랩으로 씌운 다음 상온에서 2시간동안 반응시킨 다음, PBST로 5번 세척하였다. 각각의 웰에 검출 항체(detection Ab+Avidin-HRP)(바이오틴화 항-마우스 IgE; biotinylated anti-mouse IgE, BD Bioscience) 50 μl를 가한 다음 랩으로 씌우고 상온에서 1시간동안 반응시켰다. 그 다음, PBST로 5번 세척하여 반응하지 않은 항체를 제거하고 각각의 웰에 TMB 기질을 50 μl씩 가한 다음 상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25 μl의 정지 용액(stop solution)을 가하여 반응을 중단시키고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IgE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혈청 내 TNF-α도 IgE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되 항체를 TNF-α(eBioscience, San Diego, CA, 미국)와 IgE (mdbioproducts, St Paul, MN, 미국)에 대한 것을 사용하였다.
5. 피부조직 염색 및 관찰
채취한 등 피부는 비만세포를 관찰하기 위한 톨루이딘 블루 염색을 실시하였고, HE 염색(Heamatoxylin-Eosin)을 실시하여 세포의 형태를 관찰하였다. 먼저 총 6주 동안 실험을 끝낸 후 등 부위의 피부를 1×1 cm2로 절제하여 10%의 포르말린용액에 담아 보관하였다. 하루 뒤 PBS 용액에 일주일 정도 보관 후 포매하여 파라핀 블록을 제조하였다. 파라핀 블록으로 제조한 피부조직은 절단 기기(Shandon finesse E+)에 고정 시킨 후 5 μm 두께로 맞추어 절단하였다. 절단한 피부조직을 40% 에탄올에 넣은 뒤 에탄올에 넣으면 염색하기 전의 피부조직을 소독하고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그 다음, 슬라이드 글라스를 이용하여 펴진 피부조직을 37℃의 미지근한 물에 넣었다. 이는 절단한 피부조직을 펴주는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슬라이드 글라스를 이용하여 피부조직을 걷어 실온에 건조 시킨 뒤 슬라이드 박스에 넣어 보관하였다.
피부의 전반적인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HE 염색과 톨루이딘 블루 염색법을 이용해 조직을 염색하였고, 광학현미경 상에서 10배의 비율로 관찰하였다.
톨루이딘 블루 염색을 하기 전에 톨루이딘 용액은 플라스크에 1 g 톨루이딘 블루 + 1 g 소듐 붕산염 + 100 ml dH2O를 넣고 잘 섞이도록 하여 제조하였다. 사용할 때 마다 거름종이에 걸러서 사용한다. 절단 후, 슬라이드 박스에 보관 해 둔 슬라이드 글라스를 철 받침대에 20개씩 넣은 후 함수과정을 실시하였다. 탈수과정을 마친 피부조직위에 현미경을 사용해 커버글라스로 덮어주었다.
HE 염색법을 실시하기 전에 염색에 필요한 시약을 만든다. 마이어 헤마톡실린은 사용할 때 마다 거름종이에 걸러 사용하였고, 에오신은 플라스크에 에오신 옐로위시 1.0 g + 증류수 100 ml를 교반기에 올려 모두 녹을 때 까지 두었다가 거름종이에 걸러 사용하였다. 산성 알코올 1%는 70% 알코올 99 ml + 염산 1 ml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염색을 수행하기 위해, 먼저 절단 후 물기를 제거한 피부조직을 철 받침대에 20개씩 넣은 후 함수과정을 실시하였다. 건조 후 거름종이에 한번 거른 헤마톡실린에 피부조직을 5분간 넣어 두었다가 흐르는 dH2O(3차 증류수)에서 충분히 세척하였다. 그 다음, 1% 산성 알코올에 몇 초간 넣어 두고, 다시 한 번 흐르는 dH2O(3차 증류수)에서 세척하고, 거름종이에 거른 에오신에 6분간 넣어 두었다가 흐르는 dH2O(3차 증류수)에서 충분히 세척한 다음 마지막으로 탈수과정을 실시하였다. 탈수과정을 마친 피부조직위에 커버글라스로 덮은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6. 피부조직에서 IL-4, IL-13과 INF-r mRNA 발현 확인
실험 종료 후, 각 실험군의 5마리 마우스로부터 등 피부 조직을 수득하였다. 피부 조직의 총 RNA는 페놀 및 구아니딘 이소티오시안염(Trizol reagent, Gibco-BRL, Rockville, MD)의 단상(monophasic) 용액을 이용하여 분리한 다음,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이용하여 추출 및 침전시켰다. 수퍼스크립트 III 역전사효소(Invitrogen, Grand Island, NY, 미국)를 이용하여 동량의 총 RNA를 cDNA로 합성한 다음, 하이 피델리티 Taq DNA 중합효소(Invitrogen, Grand Island, NY, 미국)를 이용하여 PCR를 수행하였다. 동량의 cDNA를 사이버그린 믹스(Invitrogen, Grand Island, NY, 미국)와 혼합한 다음, 실시간 PCR 기계(BioRad Laboratories, Hercules, C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관심 유전자의 발현 레벨은 하우스 키핑 유전자인 β-액틴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PCR 반응에는 다음 프라이머를 사용하였다: 마우스 IFN-γ, 정방향 5′-CGGCACAGTCATTGAAAGCCTA-3′ 및 역방향 5′-GTTGCTGATGGCCTGATTGTC-3′; IL-4, 정방향 5′-TCTCGAATGTACCAGGAGCCATATC-3′ 및 역방향 5′-AGCACCTTGGAAGCCCTACAGA-3′; 마우스 IL-13, 정방향 5’-cagctccctggttctctcac-3’ 및 역방향 5’-ccacactccataccatgctg-3’; 마우스 β-액틴, 정방향 5′-CATCCGTAAAGACCTCTATGCCAAC-3′ 및 역방향 5′-ATGGAGCCACCGATCCACA-3′. 프라이머는 mRNA 및 유전체 DNA로부터 유래된 산물을 구별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인트론에 결합하도록 디자인하였다.
실험결과
1. 피부세포인 HaCaT에서 항아토피 효과
집진드기에 의한 PAR-2, ICAM-1과 IL-6 발현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집진드기에 의해 PAR-2, ICAM-1 및 IL-6 유전자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μg/mL까지는 집진드기에 의해서 유전자 발현이 증가하였으나 그보다 높은 농도에서는 효과가 없거나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상기 결과를 토대로 본 발명에서는 3 μg/mL 농도의 집진드기를 사용하였다(도 1).
배지로 분비된 TNF-α와 IL-6의 농도
예비실험에서 여러 가지 한약재 추출물을 사용하여 진드기 추출물 3 μg/mL로 처리하였을 때 목향과 측백나무 추출물이 PAR-2의 발현을 억제하는 경향이 있어서 이 두 가지 추출물을 대상으로 항아토피 효과를 조사하였다. 목향, 측백나무와 목향+측백나무(1:1)의 부틸렌 글리콜 추출물을 각각 50 μg/mL로 처리한 경우, 아토피 치료에 효과적이었다. 목향과 측백나무 추출물을 각각 처리하는 것은 진드기 추출물만 처리한 대조군에 비해 TNF-α와 IL-6의 분비를 감소시키는 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목향과 측백나무를 1:1로 혼합한 것을 피부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배지로 분비되는 TNF-α 및 IL-6의 농도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도 2).
피부세포에서 발현되는 PAR-2, IL-6, ICAM-1의 mRNA의 양
피부세포에서 아토피 증세가 나타날 때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진 PAR-2의 발현과 PAR-2로 염증 반응이 향상되었을 때 발현이 증가하는 접합 분자(adhesion molecule)인 ICAM-1, 그리고 염증 물질인 IL-6 발현을 측정하였다. 목향과 측백나무 추출물 각각은 PAR-2의 발현을 현저하게 감소시키지는 못하였지만 목향+측백나무 혼합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현저하게 감소시켰다(도 3). 또한, IL-6와 ICAM1의 발현도 PAR-2의 발현과 유사한 형태를 나타냈다.
2. 아토피 동물에서 목향+측백나무 혼합추출물의 효과
관능 평가
아토피 유발과 함께 목향, 측백나무 추출물 및 목향+측백나무 혼합추출물을 도포한 후, 그 결과로서 등의 상태변화를 점수화하였을 때(평가항목은 홍반(erythema), 가려움과 건조피부(Pruritus & Dry Skin), 부종과 혈종(Edema & escoriation), 짖무름(Erosion), 그리고 태선화(Lichenification)로 나누어지고 이 각각의 항목은 없음(0), 약함(1), 중증도(2), 심함(3)으로 채점되어 최소 0점에서, 최고 15점사이의 점수를 얻을 수 있었다), 목향, 측백나무 각각의 추출물도 대조군에 비해서 등의 아토피 상태를 호전시키는 경향이 있었지만 목향+측백나무 혼합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현저하게 아토피 증세가 호전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도 4 및 도 5).
혈중 IgE와 TNF-a 농도
아토피 피부염의 가장 문제는 면역 기능의 비정상적인 활성화로 염증 반응이 항진되어 사이토카인의 발생이 증가하는 것이다. 아토피 증세가 악화될 때 비정상적으로 면역기능이 항진되는 것을 볼 수 있으므로 아토피 증세의 경감 및 완화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면역기능을 나타내는 혈청 IgE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혈액 내 염증정도를 나타내주는 TNF-α 농도를 측정하였는데, 그 결과가 관능 증세와 유사한 패턴을 나타내었다. 측백나무와 목향+측백나무 혼합추출물 처리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TNF-α의 농도가 감소하였고, 그중에서 목향+측백나무 혼합추출물 처리군에서 더 많이 감소되었다. 면역의 항진성을 나타내는 IgE 농도는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대조군에서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대조군에 비해 목향, 측백나무, 목향+측백나무에서 IgE 농도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이것은 목향+측백나무 혼합추출물이 면역의 항진성을 저하시키고 염증도 감소시킨다는 것을 의미하며, 결과적으로 목향+측백나무 혼합추출물이 아토피 증세를 효과적으로 호전시킨다는 것을 뜻한다(도 6).
피부에 존재하는 비만세포와 호산구 수
염증으로 인한 면역항진을 나타내주는 지표인 피부 조직의 단위 면적당 존재하는 비만세포와 호산구의 수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의 비만세포와 호산구의 수는 정상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 아토피를 유발한 마우스에 목향, 측백나무, 목향+측백나무 혼합추출물을 6주 동안 매일 도포한 결과, 목향은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측백나무는 그자체로도 대조군에 비해 비만세포와 호산구의 양을 감소시켰으며 목향+측백나무 혼합추출물 처리군에서는 비만세포와 호산구의 양이 현저히 감소되어 정상 대조군과 거의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도 7).
피부 내에 IL-4, IL-13과 IFN-γ 발현
체내에서 면역기능을 나타내는 T 세포는 두 가지로 나누어지는데 하나는 Th1과 Th2 세포이다. Th1 세포는 IFN-γ을 합성하여 분비하고 Th2 세포는 IL-4와 IL-13을 합성하여 분비한다. 이 두 가지가 서로 조화를 이루면서 면역 기능을 조절하여 면역 기능을 최상의 상태로 만든다. 아토피에서는 이들의 기능이 과도하게 항진되어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아토피 증세를 경감 및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Th1 및 Th2 세포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정상 대조군에 비해 대조군에서 피부조직의 IL-4, IL-13 및 INF-γ의 발현이 현저하게 높았다. 목향은 이들의 발현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키지 못했으나 측백나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더 나아가 목향+측백나무 혼합추출물 처리군에서는 피부조직의 IL-4, IL-13 및 INF-γ의 발현이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정상대조군만큼 감소되지는 못하였다(도 8).
결론
DNCB를 처리한 마우스에 목향, 측백나무, 목향+측백나무 혼합추출물을 6주 동안 처리한 결과, 측백나무 단일 추출물이 면역 기능의 항진을 억제하였으며 염증 발생도 감소시켰으며 목향+측백나무 혼합추출물은 측백나무 또는 목향 단일추출물과 비교하여 면역기능과 염증의 과다항진을 현저하게 억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아토피 진전을 억제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목향(Saussurea lappa Clarke) 및 측백나무(Biota orientalis (L.) Endl.)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h1-매개 면역 질환은 이식 거부, 자가면역질환 또는 염증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h2-매개 면역 질환은 알레르기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h2-매개 면역 질환은 아토피 피부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IL-6(Interleukin-6) 및 TNF-α의 분비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PAR-2(Protease activated receptor-2) 및 ICAM1(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 1)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IgE의 분비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기능성 식품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30118396A 2013-10-04 2013-10-04 목향 및 측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38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396A KR101538743B1 (ko) 2013-10-04 2013-10-04 목향 및 측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396A KR101538743B1 (ko) 2013-10-04 2013-10-04 목향 및 측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958A true KR20150039958A (ko) 2015-04-14
KR101538743B1 KR101538743B1 (ko) 2015-07-22

Family

ID=53031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8396A KR101538743B1 (ko) 2013-10-04 2013-10-04 목향 및 측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7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8486A1 (ko) * 2015-11-06 2017-05-11 한국콜마 주식회사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70053771A (ko) * 2015-11-06 2017-05-17 한국콜마주식회사 시호, 승마, 백작약 및 목향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80027157A (ko) * 2016-09-06 2018-03-14 주식회사 피코스텍 아멘토플라본을 포함하는 피지 과다분비 또는 지루성 습진의 억제 또는 개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069B1 (ko) * 2016-10-20 2018-07-12 신덕현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과 편백 오일을 함유하는 여드름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378B1 (ko) * 2005-05-17 2007-07-24 김정진 생약재를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101337415B1 (ko) * 2011-09-19 2013-12-06 최희선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8486A1 (ko) * 2015-11-06 2017-05-11 한국콜마 주식회사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70053771A (ko) * 2015-11-06 2017-05-17 한국콜마주식회사 시호, 승마, 백작약 및 목향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US11123388B2 (en) 2015-11-06 2021-09-21 Genuone Sciences Inc.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KR20180027157A (ko) * 2016-09-06 2018-03-14 주식회사 피코스텍 아멘토플라본을 포함하는 피지 과다분비 또는 지루성 습진의 억제 또는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8743B1 (ko) 201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1818B2 (ja) キツネノマゴ属植物の抽出物または分画物を含む組成物
EP3017822A1 (en)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inflammatory skin disease, comprising, as active ingredient, immature citrus fruit extract, or synephrine or salt thereof
KR102267796B1 (ko) 천연 추출물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KR101538743B1 (ko) 목향 및 측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67423B1 (ko)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3566702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lergic diseases such as asthma or atopy, comprising baicalein as active ingredient
KR101181321B1 (ko) 고장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러지 개선용 조성물
KR20180085124A (ko) 개비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에 함유된 호모해링토닌 화합물을 포함하는 알러지 치료용 조성물
KR101734896B1 (ko) 감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막 손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01804A (ko) 갈매나무 추출물, 괭이눈 추출물, 나한송 추출물, 조록나무 추출물 또는 진달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34794B1 (ko) 고욤잎 및 포도송이 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431076B1 (ko) 천연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의 치유개선효과를 갖는 화장료
KR101732031B1 (ko) 붓순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5302632B2 (ja) 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アトピー性皮膚炎の予防及び治療用経口組成物
KR20050014947A (ko)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20180019839A (ko)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및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면역 강화 조성물
KR101409998B1 (ko) 유색감자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아토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105903A (ko) 고사리삼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19838A (ko) 기능 및 풍미가 개선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의 제조방법
JP4105498B2 (ja) アトピー性疾患の症状の予防・緩和に有効な組成物
KR20210086730A (ko)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아토피, 항산화 또는 항염증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2209969B1 (ko) 절패모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86008B1 (ko) 레스베라트롤 쌀 또는 레스베라트롤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50143B1 (ko) 타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821118B1 (ko) 감보그 산(gambogic acid)을 포함한 알러지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