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8818A - 식물성 소재 추출물 또는 그 발효 물질에 의한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식물성 소재 추출물 또는 그 발효 물질에 의한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8818A
KR20150038818A KR20130116601A KR20130116601A KR20150038818A KR 20150038818 A KR20150038818 A KR 20150038818A KR 20130116601 A KR20130116601 A KR 20130116601A KR 20130116601 A KR20130116601 A KR 20130116601A KR 20150038818 A KR20150038818 A KR 20150038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extraction
fermentation
fermented
extra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6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1453B1 (ko
Inventor
이호
김철
이석준
박원균
김수경
Original Assignee
(주) 비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비에스티 filed Critical (주) 비에스티
Priority to KR1020130116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453B1/ko
Priority to PCT/KR2013/008822 priority patent/WO2014148711A1/ko
Priority to US14/778,082 priority patent/US20160271051A1/en
Publication of KR20150038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8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4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8Taraxacum (dandel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3Cactaceae (Cactus family), e.g. pricklypear or Cere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6Aloeaceae (Aloe family), e.g. aloe ve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성 소재 추출물 또는 그 발효 물질에 의한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식물성 소재로부터 추출된 유효 성분 또는 유효 성분의 발효 물질의 주요 성분으로 하는 식물성 소재 추출물 또는 그 발효 물질에 의한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포공영, 병풀, 곰피, 대나무, 머위, 편백, 선인장 및 알로에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를 열수 추출, 에탄올 추출,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및 초임계 추출에 의하여 추출한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발효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발효 성분은 락토바실리우스(Lactobacillus)에 의하여 발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물성 소재 추출물 또는 그 발효 물질에 의한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Composition for Protecting Ultraviolet Rays from Damaging Skin Originated from Extracts of Plants or Fermentation Thereof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식물성 소재 추출물 또는 그 발효 물질에 의한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식물성 소재로부터 추출된 유효 성분 또는 유효 성분의 발효 물질의 주요 성분으로 하는 식물성 소재 추출물 또는 그 발효 물질에 의한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Ultraviolet Ray)은 성층권의 오존에 의하여 완전히 흡수되는 UV-C, 대부분이 오존층에 의하여 흡수되지만 일부는 지표면에 도달하는 UV-B 및 오존층에 흡수되지 않는 다른 종류의 자외선에 비하여 긴 파장을 가지는 UV-A로 이루어진다. UV-A는 피부를 붉게 만들면서 피부 면역 체계에 작용하여 피부 노화에 의한 장기적 피부 손상을 일으키면서 피부암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UV-B는 동물체의 피부를 태우고 피부 조직으로 침투하여 피부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 또는 신체 조직에 영향을 미치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방법으로 자외선을 열에너지로 변화시켜 피부를 보호하는 자외선 흡수제(Synthetic filter) 및 피부에 도달하는 자외선을 반사 또는 산란시키는 자외선 산란제(mineral filter)가 알려져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 파라아미노안식향산과 같은 것이 있고 그리고 자외선 흡수제로 이산화티탄과 산화아연과 같은 것이 있다. 이와 같은 자외선 흡수제 또는 자외선 산란제는 민감성 피부에 두드러기 또는 염증을 발생시키거나 피부를 두껍게 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자외선 차단제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2013-0087650호 ‘자외선 차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페놀산계 화합물,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자외선 차단 활성제 및 이와 같은 자외선 차단 활성제의 함침을 위한 소수성 액상 고분자 매질로 이루어진 자외선 차단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자외선 차단제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 또는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가 포집된 코아세르베이트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제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자외선 차단제와 관련된 또 다른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2008-0072997호 ‘수용성 자외선 차단제 및 그 환경친화적 제조방법’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싸이클로덱스트린 및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하이드로디)-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올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클로텍스트린과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3:1의 몰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자외선 차단재료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서 개시된 자외선 차단제는 모두 무기계 또는 유기계 화합물이 적용되므로 종래의 자외선 화합물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성 소재 추출물 또는 그 발효 물질에 의한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물성 소재 추출물 또는 그 발효 물질에 의한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포공영, 병풀, 곰피, 대나무, 머위, 편백, 선인장 및 알로에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를 열수 추출, 에탄올 추출,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및 초임계 추출에 의하여 추출한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발효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발효 성분은 락토바실리우스(Lactobacillus)에 의하여 발효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추출물 또는 발효 성분은 쿠마린 산, 시나믹 산, 페롤 산, 아시아틱 산(aciatic acid) 및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그리고 사이토카인 분비 억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추출물 또는 발효 성분은 피부 자극 완화 또는 피부 염증 완화 기능을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포공영, 병풀, 곰피, 대나무, 머위, 편백, 선인장 및 알로에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식물성 소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물성 소재를 열수 추출, 에탄올 추출,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또는 초임계 추출에 의하여 추출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의 농축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추출물을 락토바실리우스에 의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식물성 소재로부터 제조되어 염증의 발생과 같은 부작용을 발생시키지 않는다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천연 소재에 해당되므로 다양한 기능성 천연 화장품 소재에 첨가되어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사용감이 뛰어나면서 사용 후 피부로부터 쉽게 제거가 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병풀 열수 추출물 및 포공영 열수 추출물의 UVB 차단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각각 병풀 열수 추출물 및 발효 성분, 포공영 열수 추출물 및 발효 성분, 그리고 도 2c는 곰피 발효 열수 추출물 및 발효 성분, 대나무 잎 열수 추출물 및 발효 성분에 대한 UVB 차단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d는 머위 뿌리 고체 발효 성분 및 편백 고체 발효 성분에 대한 UVB 차단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2e는 선인장 에탄올 추출물 및 알로에 열수 추출물에 대한 UVB 차단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UVA 차단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대조군으로 유기계 차단제에 해당되는 옥토크릴렌(Octocyrlene)이 사용되었다.
도 3b 내지 도 3d에서 좌측은 추출물, 우측은 발효 성분 그리고 아래쪽은 추출물 및 발효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약학적 효능의 시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 소재 추출물에 의한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은 포공영, 병풀, 곰피, 대나무, 머위, 편백, 선인장 및 알로에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열수 추출, 에탄올 추출,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및 초임계 추출에 의한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발효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발효 성분은 락토바실리우스(Lactobacillus)에 의하여 발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식물성 소재 추출물에 의한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포공영, 병풀, 곰피, 대나무, 머위, 편백, 선인장 및 알로에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식물성 소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물성 소재를 열수 추출, 에탄올 추출,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또는 초임계 추출에 의하여 추출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의 농축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농축 용액을 락토바실리우스에 의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식물성 소재의 준비 단계(S11); 상기 식물성 소재로부터 유효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S12); 상기 추출된 유효 성분의 농축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S13); 및 상기 농축 용액을 발효시키는 단계(S1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식물성 소재는 예를 들어 포공영, 병풀, 곰피, 대나무, 머위 및 편백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포공영은 국화과의 민들레 또는 동속 식물의 전초를 말린 약재를 말한다. 병풀(Centella asiatica)은 녹색 잎과 줄기가 약용으로 사용되는 식물을 말하고 피부 상처, 만성궤양, 관절염, 각형 또는 해열제를 위한 약재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병풀은 임의의 지역에서 자생하는 병풀을 포함한다. 곰피(Ecklonia stolonifera)는 갈조식물 다시마목 미역과에 속하는 무기질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다년생 해조를 말한다. 대나무는 벼과에 속하는 식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주로 대나무 잎의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머위(Petasites japonicus)는 숲 또는 계곡 주변의 습에서 자생하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 꽃봉오리가 한약재로 사용되는 식물을 말하고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주로 머위 잎의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편백은 상록 침엽 교목에 속하고 내한성과 내염성에 약하지만 내공해성에 강한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식물을 말한다. 편백은 피톤치트라는 항균 물질을 함유하여 알레르기를 포함하는 피부 질환 개선, 항균, 항스트레스, 탈취와 정화 기능 및 면역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주로 편백 잎의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선인장(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MAKINO)은 열대산 초본 식물에 해당되고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를 위하여 주로 가지가 사용된다. 그리고 알로에(Aloe)는 백합목에 속하는 식물로 약 300종이 존재하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알로에의 종류에 제한되지 않고 잎과 줄기가 조성물의 제조를 위하여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를 위하여 각각의 식물성 소재가 채취될 수 있고 잎, 줄기 또는 뿌리가 세척이 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건조 및 분쇄가 되어 준비될 수 있다(S11).
준비된 식물성 소재는 각각의 소재에 적합한 추출 방법에 따라 추출될 수 있지만 인체에 적용되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예를 들어 열수 추출, 에탄올 추출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및 초임계 추출과 같은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S12). 그리고 추출물은 농축 용액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S13).
구체적으로 열수 추출은 예를 들어 증류수를 80 내지 100 ℃로 만들어 2 내지 6 시간 동안 편백 잎을 침지시키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추출물은 여과가 되어 감압 농축이 될 수 있다. 에탄올 추출은 편백 잎을 에탄올에 침지시키고 30 내지 45 ℃에서 2 내지 5일간 배양하고 이후 추출된 유효 성분은 여과시키고 그리고 감압 및 농축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은 편백 잎을 증류수에 침지시키고 10 내지 50 분간 마이크로웨이브로 처리하고 그리고 추출물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시키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초임계 추출은 이산화탄소 또는 펜탄으로 300 내지 400 bar, 70 내지 90 ℃의 온도에서 2 내지 6 시간 진행되고 그리고 추출 효율이 시료 중량의 0.2 내지 0.5 wt%가 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농축 용액이 직접적으로 자외선 차단을 위한 조성물로 적용이 되거나 또는 발효가 되어(S14) 자외선 차단을 위한 조성물로 적용될 수 있다.
발효는 예를 들어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Lactobacillus plantarum) 또는 아르페르길루스 니게르(Aspergillus niger)와 같은 세균이 이용될 수 있다. 발효는 20 내지 35 ℃의 온도에서 2 내지 6일간 진행될 수 있고 발효액은 다시 원심분리기에서 10,000 내지 20,000 rpm으로 10 내지 30 분간 원심분리가 될 수 있다. 이후 원심분리가 된 상등액이 분리되어 농축이 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얻기 위하여 고체 발효가 적용될 수 있다. 고체 발효는 식물성 소재가 세척 및 건조가 되고 그리고 건조된 소재가 잘게 분쇄되어 분말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후 분말 형태의 소재는 락토바실리우스 세균 또는 바람직하게 락토바실리우스 플란타륨으로 MRS 배지에서 2 내지 6 주간 발효가 될 수 있다. 발효는 예를 들어 20 내지 35 ℃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발효된 물질은 적절한 용매에 용해시켜 자외선 차단제의 조성물로 적용될 수 있다.
위에서 제시된 식물성 소재의 추출물 또는 식물성 소재의 추출물의 발효 성분은 예를 들어 쿠마린 산, 시나믹 산 또는 페롤 산과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유기산, 당, 사포닌, 알칼로이드, 배당체, 다양한 형태의 단백질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아시아틱 산(aciatic acid) 또는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와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다른 적절한 물질과 혼합되어 자외선 차단제로 사용될 수 있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이 된다.
단계 1: 포공용 잎을 수집하여 세척 및 건조를 하고 잘게 분쇄시켰다.
단계 2: 분쇄된 소재를 약 85 ℃의 증류수에서 약 3 시간 동안 침지시키고 여과하여 감압 농축을 하였다(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4.57 wt%).
단계 3: 감압 농축이 된 소재 5.0 g, 프로필렌글리콜 10 g, 피마자유 1.0 g, 구연산 0.2 g 및 정제수 60 g을 혼합하여 교반시켜 자외선 차단제를 제조하였다.
단계 1: 병풀을 수집하여 세척 및 건조를 하고 잘게 분쇄시켰다.
단계 2: 분쇄된 소재를 약 40 ℃의 에탄올에 2일간 침지하고 여과시켜 얻어진 용액을 감압 농축을 하였다(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4.54 wt%).
단계 3: 감압 농축이 된 소재 5.0 g, 프로필렌글리콜 10 g, 미네랄 오일 10 g, 구연산 0.2 g 및 정제수 60 g을 혼합하여 교반시켜 자외선 차단제를 제조하였다.
단계 1: 곰피를 수집하여 세척 및 건조를 하고 잘게 분쇄시켰다.
단계 2: 분쇄된 소재를 증류수에 넣고 약 60 ℃의 온도에서 30 분간 마이크로웨이브로 처리를 하고 여과시켜 얻어진 용액을 감압 농축을 하였다(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4.21 wt%).
단계 3: 감압 농축이 된 소재 5.0 g, 프로필렌글리콜 10 g, 피마자유 1.0 g, 구연산 0.2 g 및 정제수 60 g을 혼합하여 교반시켜 자외선 차단제를 제조하였다.
단계 1: 대나무 잎을 수집하여 세척 및 건조를 하고 잘게 분쇄시켰다.
단계 2: 분쇄된 소재를 이산화탄소로 350 bar, 80 ℃의 온도로 3 시간 동안 진행을 하여 추출 효율이 전체 중량의 0.3 wt%,가 되도록 하였다.
단계 3: 얻어진 추출물 5.0 g, 프로필렌글리콜 10 g, 미네랄 오일 10 g, 구연산 0.2 g 및 정제수 60 g을 혼합하여 교반시켜 자외선 차단제를 제조하였다.
단계 1: 머위를 수집하여 세척 및 건조를 하고 잘게 분쇄시켰다.
단계 2: 분쇄된 소재를 실시 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여 감압 농축액을 얻고 그리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으로 25 ℃의 온도에서 3일간 발효를 시키고 그리고 원심분리를 하여 농축액을 얻었다(전체 중량의 약 2.41 wt%).
단계 3: 얻어진 농축액 5.0 g, 프로필렌 글리콜 10 g, 피마자유 1.0 g, 구연산 0.2 g, 정제수 60 g을 혼합하여 교반시켜 자외선 차단제를 제조하였다.
단계 1: 편백 잎을 수집하여 세척 및 건조를 하고 잘게 분쇄시켰다.
단계 2: 분쇄된 소재를 락토바실리우스 플란타륨으로 MRS 배지에서 25 ℃에서 3 주간 발효시켜 고체 발효물을 얻고 이후 에탄올에 용해시켜 원심분리를 하고 여과시켰다(전체 중량의 약 3.25 wt%).
단계 3: 고체 발효물 5g, 프로필렌글리콜 10 g, 미네랄 오일 10 g, 구연산 0.2 g 및 정제수 60 g을 혼합하여 교반시켜 자외선 차단제를 제조하였다.
단계 1: 선인장을 수집하여 세척 및 건조를 하고 잘게 분쇄시켰다.
단계 2: 분쇄된 소재를 약 40 ℃의 에탄올에 2일간 침지하고 여과시켜 얻어진 용액을 감압 농축을 하였다(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4.60 wt%).
단계 3: 감압 농축이 된 소재 5.0 g, 프로필렌글리콜 10 g, 미네랄 오일 10 g, 구연산 0.2 g 및 정제수 60 g을 혼합하여 교반시켜 자외선 차단제를 제조하였다.
단계 1: 알로에를 수집하여 세척 및 건조를 하고 잘게 분쇄시켰다.
단계 2: 분쇄된 소재를 증류수에 넣고 약 60 ℃의 온도에서 30 분간 마이크로웨이브로 처리를 하고 여과시켜 얻어진 용액을 감압 농축을 하였다(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4.81 wt%).
단계 3: 감압 농축이 된 소재 5.0 g, 프로필렌글리콜 10 g, 피마자유 1.0 g, 구연산 0.2 g 및 정제수 60 g을 혼합하여 교반시켜 자외선 차단제를 제조하였다.
효능 시험
실시 예 1 내지 8으로부터 얻어진 자외선 차단제에 대하여 자외선 차단지수(SPF Index) 및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농도는 실시 예 1 및 8에서 얻어진 자외선 차단제를 표준시료로 하고 각각에 추출물을 추가로 첨가하여 농도를 조절하였다.
피시험자 100명에 대하여 24 시간 간격으로 자외선 차단제를 적용하여 20일간 누적 자극을 유도하였다. 대조군으로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에 해당하는 산화아연(Zinc oxide) 및 이산화티탄(Titanium dioxide)이 사용되었다.
측정을 위하여 UV 스펙트로미터(Spectrophotometer) 및 제논 아크 램프(Xenon Arc Lamp)가 사용되었고, 측정 파장은 290 내지 400 nm가 되고 그리고 SPF는 자외선 차단제의 적용 후 15분 후에 측정이 되었다.
차단선 차단지수(SPF)의 시험 결과는 아래와 같다.
Figure pat00001
1은 표준 시료, 2 및 4는 각각 표준 시료의 농도를 각각 2배 및 4배로 만든 것을 의미한다
각각의 시험에서 인체누적 피부 반응이 시험되었고 0 내지 4 등급(No visible reaction, Mild erythema, Intense erythema, Intense erythema with edema, Intense erythema with edema & vesicle)로 구분하여 판정하였고 피부 색조도, 건조도, 수분함유도 및 레이저 혈류량에 따라 피부 반응의 추세를 기록하였다. 1등급 이상의 반응을 나타내는 피시험자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른 한편으로 UVA를 조사하고 24 시간 및 48 시간 경과 후 광-독성 지수를 산출하였다. 광-독성 지수(Phototoxic index) = UV 조사 부위의 조사 지수 - UV 미-조사 부위의 조사 지수로 표시된다.
광-독성 지수는 0 내지 8.0의 값으로 나타낼 수 있고 0은 광-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상태(Non Phototoxic) 그리고 8.0은 최대 광독성(Extremely phototoxic)을 나타낸다. 피검사자 100명에 대하여 1차 조사에서 20명이 약 0.3의 광-독성 지수를 나타내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 다른 추출물의 효능이 UV 민감성 효모 스트레인(sensitive yeast strain)을 이용하여 시험되었다.
시험을 위하여 실시 예에 의하여 제조된 자외선 차단제를 배지 덮개에 도포하고 UVB 및 UVA를 2분간 조사하였다.
도 2a는 병풀 열수 추출물 및 포공영 열수 추출물의 UVB 차단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열수 추출은 제시된 실시 예에서 제시된 방법에 따라 이루어졌다.
도 2b는 각각 병풀 열수 추출물 및 발효 성분, 포공영 열수 추출물 및 발효 성분, 그리고 도 2c는 곰피 발효 열수 추출물 및 발효 성분, 대나무 잎 열수 추출물 및 발효 성분에 대한 UVB 차단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d는 머위 뿌리의 고체 발효 성분 및 편백 고체 발효 성분에 대한 UVB 차단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2e는 선인장의 에탄올 추출물 및 알로에의 열수 추출물의 UVB 차단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에서 무기계 차단계로 이산화티탄 및 산화아연이 사용되었고 실시 예에서 제시된 표준 시료의 농도가 적용되었다. 도 2b 내지 도 2e에서 1로 표시된 것은 추출물, 2로 표시된 것은 발효 성분 그리고 3으로 표시된 것은 추출물 및 발효 성분을 포함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UVA 차단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대조군으로 유기계 차단제에 해당되는 옥토크릴렌(Octocyrlene)이 사용되었다. 옥토크릴렌은 무기계 차단제와 동일한 실시 예의 표준 농도로 적용이 되었다. 도 3b 내지 도 3d에서 좌측은 추출물, 우측은 발효 성분 그리고 아래쪽은 추출물 및 발효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추출물 및 발효 성분은 도 2b 내지 도 2d에 제시된 실시 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약학적 특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실시 예 1 내지 8에 따른 제조된 조성물을 하카 T 셀 라인(HaCa T cell line)에 LPS(lipopolysaccharide)로 자극하여 사이토카인(cytokine) 양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조성물은 0.1 ㎕/㎖가 사용되었고 그리고 사이토카인은 인터류킨-8(IL-8)(interleukin)의 양을 측정하여 변화가 탐지되었고 결과가 도 4로 제시되었다.
도 4에서 +는 +LPS, -는 -LPS를 각각 나타내고 그리고 1 내지 8은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실시 예 1 내지 8에 따른 조성물에 의하여 사이토카인의 양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은 항염 효과 또는 약학적 효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시된 시험 예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에 대한 자극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무기계 UVB 자외선 차단제 또는 유기계 UVA 자외선 차단제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대체 성분이 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식물성 소재로부터 제조되어 염증의 발생과 같은 부작용을 발생시키지 않는다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천연 소재에 해당되므로 다양한 기능성 천연 화장품 소재에 첨가되어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사용감이 뛰어나면서 사용 후 피부로부터 쉽게 제거가 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S11: 식물성 소재 준비
S12: 유효 성분 추출
S13: 농축 용액 형성
S14: 발효

Claims (5)

  1. 포공영, 병풀, 곰피, 대나무, 머위, 편백, 선인장 및 알로에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를 열수 추출, 에탄올 추출,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및 초임계 추출에 의하여 추출한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의 발효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발효 성분은 락토바실리우스(Lactobacillus)에 의하여 발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소재 추출물에 의한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 또는 발효 성분은 쿠마린 산, 시나믹 산, 페롤 산, 아시아틱 산(aciatic acid) 및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그리고 사이토카인 분비 억제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 또는 발효 성분은 피부 자극 완화 또는 피부 염증 완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4. 포공영, 병풀, 곰피, 대나무, 머위, 편백, 선인장 및 알로에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식물성 소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물성 소재를 열수 추출, 에탄올 추출,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또는 초임계 추출에 의하여 추출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의 농축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성 소재 추출물에 의한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을 락토바실리우스에 의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KR1020130116601A 2013-03-19 2013-09-30 식물성 소재 추출물 또는 그 발효 물질에 의한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631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601A KR101631453B1 (ko) 2013-09-30 2013-09-30 식물성 소재 추출물 또는 그 발효 물질에 의한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PCT/KR2013/008822 WO2014148711A1 (ko) 2013-03-19 2013-10-02 식물성 소재 추출물 및 그 발효 물질에 의한 화장품 제조를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US14/778,082 US20160271051A1 (en) 2013-03-19 2013-10-02 Composition for producing cosmetics using plant material extract and fermentation material thereof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601A KR101631453B1 (ko) 2013-09-30 2013-09-30 식물성 소재 추출물 또는 그 발효 물질에 의한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8818A true KR20150038818A (ko) 2015-04-09
KR101631453B1 KR101631453B1 (ko) 2016-06-27

Family

ID=53029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6601A KR101631453B1 (ko) 2013-03-19 2013-09-30 식물성 소재 추출물 또는 그 발효 물질에 의한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45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958A (ko) * 2018-06-07 2019-12-17 (주) 아모스코리아 대나무 잎 발효 여과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발효 여과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29754A (ko) * 2018-09-11 2020-03-19 주식회사 엠바디텍 패럴린을 처리한 프리저브드 플라워 제조 방법
KR102167786B1 (ko) * 2020-07-28 2020-10-19 주식회사 토리든 락토바실러스를 이용한 병풀, 접시꽃, 푸른연꽃, 쓴풀 화장료용 발효물 및 그 제조방법과 화장료용 발효물을 함유한 상처치유, 피부 재생, 진정, 및 항염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73700A (ko) * 2019-12-10 2021-06-21 옥민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594811B1 (ko) * 2023-08-09 2023-10-30 주식회사 에이치티오인터내셔널 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751B1 (ko) * 2020-12-21 2021-07-22 (주)지에프씨생명과학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YoungBiome2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효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 추출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1266A (ko) * 2008-08-14 2010-02-2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외선 차단효능을 가진 디에콜을 함유한 감태 추출물
KR20120040488A (ko) * 2010-10-19 2012-04-2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곰피와 감태 추출물 유래의 플로로탄닌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120111813A (ko) * 2011-04-01 2012-10-1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세포에서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갖는 곰피 또는 감태 주정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1266A (ko) * 2008-08-14 2010-02-2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외선 차단효능을 가진 디에콜을 함유한 감태 추출물
KR20120040488A (ko) * 2010-10-19 2012-04-2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곰피와 감태 추출물 유래의 플로로탄닌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20120111813A (ko) * 2011-04-01 2012-10-1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세포에서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갖는 곰피 또는 감태 주정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플로로탄닌류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logical Pharmaceuticla Bulletin. 2006. 29(8), pp.1735-1739.*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958A (ko) * 2018-06-07 2019-12-17 (주) 아모스코리아 대나무 잎 발효 여과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발효 여과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29754A (ko) * 2018-09-11 2020-03-19 주식회사 엠바디텍 패럴린을 처리한 프리저브드 플라워 제조 방법
KR20210073700A (ko) * 2019-12-10 2021-06-21 옥민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167786B1 (ko) * 2020-07-28 2020-10-19 주식회사 토리든 락토바실러스를 이용한 병풀, 접시꽃, 푸른연꽃, 쓴풀 화장료용 발효물 및 그 제조방법과 화장료용 발효물을 함유한 상처치유, 피부 재생, 진정, 및 항염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94811B1 (ko) * 2023-08-09 2023-10-30 주식회사 에이치티오인터내셔널 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1453B1 (ko) 2016-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453B1 (ko) 식물성 소재 추출물 또는 그 발효 물질에 의한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Mehrabani et al. Screening of sun protective activity of the ethyl acetate extracts of some medicinal plants
US20160271051A1 (en) Composition for producing cosmetics using plant material extract and fermentation material thereof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200901171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moting hair growth and improving hair and scalp health
KR101798026B1 (ko) 혈액순환 및 아토피 진정 효능을 갖는 기능성 조성물
KR102113645B1 (ko) 미세침 분말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8489B1 (ko)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미세먼지의 피부 침투차단 및 피부 염증 발생억제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KR101736714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92088B1 (ko) 자외선 차단 효과를 제공하는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081275B1 (ko) 피부 세정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20120009554A (ko)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허브 추출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9303748A (zh) 天然植物防晒组合物及其制法和在防晒化妆品中的应用
KR101050613B1 (ko) 항산화 효과와 항주름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30277B1 (ko)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36202A (ko) 옥수수 속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41419B1 (ko) 피부 상처 개선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150145947A (ko) 캣츠클로, 아이슬란드 이끼 및 아사이베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9991B1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38245A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H01157909A (ja) 紫外線吸収剤
Tahir Formulation Of Lipbalm From Sari Meat Papaya Fruit (Carica Papaya L.) As A Preparation Sunblock
KR20170053544A (ko) 겨우살이, 편백나무, 참나무 및 동백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25863A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42714B1 (ko) 중/원적외선 조사를 이용한 에키네시아 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50207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태양 광선에 의한 두피 및 모발 손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4